KR20180063767A -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767A
KR20180063767A KR1020160163959A KR20160163959A KR20180063767A KR 20180063767 A KR20180063767 A KR 20180063767A KR 1020160163959 A KR1020160163959 A KR 1020160163959A KR 20160163959 A KR20160163959 A KR 20160163959A KR 20180063767 A KR20180063767 A KR 20180063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wall
slab
roof
sla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준영
Original Assignee
설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준영 filed Critical 설준영
Priority to KR1020160163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3767A/ko
Publication of KR20180063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상 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재와 코팅 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구조를 이루게 함으로써, 그 구조상의 간소화를 가져오며, 이에 따른 시공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며, 특히 중앙의 배수로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이 소정의 상향 경사를 이루게 함으로써 원활한 배수의 유도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Roof waterproof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옥상 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상의 간소화에 따른 시공상의 편리함을 가져오면서도 우수한 배수성능의 구현과 단열 성능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건물 옥상은 빗물 등이 건물 내부로 스며들어 건물을 노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아스팔트계 시트나 합성고분자계 시트로 된 방수층이나, 고무 아스팔트계, 아크릴계,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형성된 방수층을 더 구비한다.
그러나 방수시트로 방수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시트 간 이음매를 밀봉재, 열융착, 연결재, 테이프 또는 리벳 등을 이용하여 하나하나 수작업으로 밀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 간 이음매를 이와같이 이질적인 재료로 결합하기 때문에 시트가 파열되어 누수 결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프라이머 도포 후, 약 2시간 이상 양생, 방수제 2회 분할 도포 후, 약 24시간 이상의 2회 분할 양생 및 상도(Top-Coat)재를 도포하고, 24시간 이상 양생 등, 방수층 형성에만 최소 4일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방수시트와 도막방수재를 조합하여 2중으로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여전히 시트 간 이음매를 이질적인 재료를 이용하여 결합하기 때문에, 방수층이 바탕기재에 순응하지 못하고 바탕기재가 외기온도 변화에 따라 다량의 물의 신축 거동에 따라 균열하는 경우에, 파열되거나 들뜨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패널 등을 이용한 방수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수구조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시공상의 불편함이 있어으며, 특히 배수구조이 구현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10-0696065호.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10-071043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각재와 코팅 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구조를 이루게 함으로써, 그 구조상의 간소화를 가져오며, 이에 따른 시공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며, 특히 중앙의 배수로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이 소정의 상향 경사를 이루게 함으로써 원활한 배수의 유도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옥상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부로 입설되는 다수의 수직각재와, 그 수직각재의 상단에서 수평 배열되는 다수의 수평각재로 된 각재 프레임;
각재 프레임에 형성되며, 중앙에 함몰형 배수로가 형성되고, 상단 양에는 외측으로 직각 절곡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옥상의 중심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강판형 배수부재;
일단이 배수부재를 관통 및 배수로와 연통되며, 타단이 옥상의 벽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드레인관;
길이방향 일단이 배수부재의 상부에 거치 및 배수로로 진입되게 구성되고, 타단이 벽체에 접하도록 배수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형성되되, 각각은 배수부재로부터 벽체에 이르고, 양측으로 중첩되게 배열되는 상향 경사를 이루는 강판시트로 된 다수의 바닥부재;
폭방향 양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그 플랜지부를 통해 바닥부재의 상부에서 배수부재를 덮어 마감하는 절곡형 강판시트로 된 배수로 덮개;
벽체에 형성되며, 바닥부재의 상부에서 벽체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각재와, 벽체의 상부 내주면 및 외둘레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각재와, 벽체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제3 각재로 된 간격 유지구;
폭방향 양측이 경사로 경사 날개부가 절곡 형성되어, 그 일측의 경사 날개부가 제1 각재에 고정되고 타측의 경사 날개부가 바닥부재의 상부에 중첩되는 절곡형 강판시트로 된 경사부재;
제1 각재와 그 제1 각재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각재에 고정되고, 양측으로 중첩되게 배열되는 강판시트로 된 측면부재; 및
양단에는 하방으로 직각 절곡되는 측판이 형성된 하부 개방형으로 구성되어 벽체의 상단을 덮어 마감하며, 제2 각재와 제3 각재에 고정되는 절곡형 강판시트로 된 덮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옥상의 바닥에서 다수의 수직각재와 수평각재를 이용하여 수직 및 수평 배열하여 각재 프레임을 형성하되, 각재 프레임은 옥상의 폭방향 중앙에 배수공간을 이루도록 양측으로 분할되게 시공하되, 분할된 각재 프레임은 배수공간으로부터 벽체에 이르게 상향 경사를 이루게 시공하는 기초 시공단계;
폭방향 양측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함몰형 배수로가 형성된 상부 개방형 배수부재를 배수공간에 내입 및 플랜지부가 양측의 각재 프레임에 거치된 상태에서 피스로 고정 설치하며, 배수부재에는 일단이 배수로와 연통되고 타단이 벽체에 천공된 천공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드레인관을 설치하는 배수부 시공단계;
폭방향으로 파형 산(410)과 골(420)을 이루는 주름형 강판시트로 된 다수의 바닥부재를 이용하여 각재 프레임의 상부를 덮되, 그 바닥부재의 길이방향 일단이 배수부재에 거치 및 배수로로 진입된 상태를 이루고 타단이 옥상의 벽체에 접한 상태에서 각재 프레임에 피스로 고정되며 배수부재의 길이를 따라 폭방으로 연속하여 중첩되게 설치하며, 배수부재의 상부에는 양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하부 개방형 배수로 덮개를 이용하여 플랜지부가 바닥부재에 고정되도록 배수부재를 덮는 바닥 방수단계; 및
옥상의 벽체를 마감하는 벽체 방수단계를 수행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은, 각재와 코팅된 강판시트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를 이루어 그 구조가 매우 간소화 되면서도 시공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방수성능이 우수한 강판시트로된 바닥부재와 측면부재와 덮개부재 이용하여 바닥면은 물론 측벽 까지 감싸는 구조를 이루어 그 방수 성능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바닥부재가 중앙의 배수부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상향 경사 구조를 이루고 있어, 수분의 원활한 유도 및 배출이 가능하게 되는 등 배수성능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재 플레임을 통해 옥상의 바닥면과 강판시트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단열성능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의 요부도.
도 3은 본 발명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의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시공방법의 전체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시공방법의 기초 시공단계 간략도.
도 6은 본 발명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시공방법의 배수부 시공단계 간략도.
도 7은 본 발명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시공방법의 바닥 방수단계 간략도.
도 8은 본 발명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시공방법의 벽체 방수단계 간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를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의 요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의 요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는, 각재 프레임(100)과, 배수부재(200)와, 드레인관(300)과, 바닥부재(400)와, 배수로 덮개(500)와, 간격 유지구(600)와, 경사부재(700)와, 측면부재(800)와, 덮개부재(9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재 프레임(100)은, 다수의 목재로 된 수직각재(110)와 수평각재(120)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으로, 먼저 수직각재(110)가 옥상의 바닥면(10)으로부터 수직으로 전,후,좌,우로 연속하여 입설되는 형태를 이루고, 그 각각의 수직각재(110)는 그 상단에서 수평각재(120)를 통해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재 프레임(100)은, 옥상의 폭방향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이격되는 분할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그 이격부에는 배수공간(130)을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양측으로 분할된 각각의 각재 프레임(100)은, 배수공간(130)을 중심으로 하여 벽체(20)를 향하게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를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배수부재(200)는, 중앙에 상부 개방형 함몰형 배수로(210)가 형성되고, 상단 양측에는 플랜지부(220)가 직각 절곡 형성된 절곡형 강판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양측 각재 프레임(100)의 사이에 형성된 배수공간(130)에 설치되게 구성된 것으로, 배수공간(130)에 내입된 상태에서 그 상단의 플랜지부(220)가 각재 프레임(100)의 수평각재(120)에 거치 및 피스(도면중 미도시함)로 고정되게 구성된다.
상기 드레인관(300)은, 상기 배수부재(200)의 배수로(210)와 건축물의 옥상 외측을 연결하게 구성된 것으로, PVC 또는 금속재 관체 형태로 구성되며, 그 일단이 배수부재(200)를 관통 및 배수로(210)와 연통되게 구성되고, 타단이 옥상의 벽체(20)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게 구성되며, 배수부재(20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된다.
상기 바닥부재(400)는, 상기 각재 프레임(100)의 상부를 덮어 마감하게 구성된 것으로, 통상의 강판시트로 구성되되, 폭방향으로 파형 산(410)과 골(420)이 연속 형성된 주름판 형태로 구성되며, 다수개로 구성된다.
이때 바닥부재(400)는, 그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배수부재(200)의 상부에 거치되는 상태에서 배수로(210)로 진입된 상태를 이루고, 타단은 벽체(20)의 내측면에 접하는 상태를 이루며, 폭방향으로 산(410)과 골(420)이 중첩되는 형태를 이루며, 각재 프레임(100)의 경사를 따라 배수부재(200)의 양측에서 상향 경사를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배수로 덮개(500)는, 하부가 개방되고 하단 양측에는 플랜지부(510)가 형성된 절곡형 강판시트로 구성된 것으로, 플랜지부(510)를 통해 배수부재(200) 양측의 바닥부재(400)에 거치되는 한편 배수부재(200)의 배수로(210)를 덮어 마감하게 구성된다.
상기 간격 유지구(600)는, 옥상의 벽체(20)를 마감하기 위해 벽체(20)에 형성되어 기초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목재로 된 제1 각재(610)가 구성되되, 제1 각재(610)는 벽체(20)의 내측면 하부 즉, 바닥부재(400)의 상부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목재로 된 양측 쌍의 제2 각재(620)(620')가 구성된 것으로, 먼저 일측의 제2 각재(620)는 벽체(20)의 내측면 상부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타측의 제2 각재(620')는, 제2 각재(620)와 대항되게 벽체(2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목재로 된 제3 각재(620)가 구성된 것으로, 제3 각재(630)는 벽체(20)의 상단면에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재(700)는, 상기 바닥부재(400)와 벽체(20)의 하부를 연결하게 구성된 것으로, 통상의 강판시트로 구성되되, 그 폭방향 양측에 경사상으로 절곡 형성된 경사 날개부(710)(710')가 구성된다.
이때 경사부재(700)는, 그 일측의 경사 날개부(710)가 제1 각재(610)에 고정되고, 타측의 경사 날개부(710')가 바닥부재(400)의 상부에 중첩되게 구성되어 바닥부재(400)와 벽체(20)를 경사상으로 연결하게 구성된다.
상기 측면부재(800)는, 벽체(20)의 내측면을 마감하게 구성된 것으로, 통상의 강판시트로 구성되며, 다수개로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측면부재(800)는, 그 하단이 경사부재(700)의 경사 날개부(710)와 중첩된 상태에서 제1 각재(610)에 고정되고, 그 상단이 벽체(20)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 각재(620)에 고정되게 구성되며, 폭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열되되, 단부가 중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덮개부재(900)는, 양단에 하방으로 직각 절곡되는 측판(910)(910')이 형성된 절곡형 강판시트로 구성된 것으로, 벽체(20)의 상부를 덮어 마감되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의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시공방법의 전체 공정도이다.
도 1 내 도 3을 참조하여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옥상 방수구조 시공방법은, 기초 시공단계(S100)와, 배수부 시공단계(S200)와, 바닥 방수단계(S300)와, 벽체 방수단계(S400)를 수행하여 된다.
먼저 기초 시공단계(S100)는,
본 발명 옥상 방수구조의 기초를 이루는 각재 프레임(100)을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다수의 수직각재(110)와 수평각재(120)를 이용하되, 옥상의 바닥면(10)에 다수의 수직각재(110)가 입설되는 형태를 이루게 한 상태에서 그 각각의 수직각재(110)의 상단은 수평각재(120)를 이용하여 연결하여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시공되는 각재 프레임(100)은, 옥상 바닥면(10)의 폭방향 양측으로 분할되는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분할된 양측의 사이에는 배수공간(130)을 이루게 된다.
또한 양측으로 분할된 각재 프레임(100)은, 배수공간(130)으로부터 벽체(20)에 이르게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경사는 수직각재(110)의 높이의 조절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후, 배수부 시공단계(S200)는,
상기와 같이 분할된 각재 프레임(100)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수공간(130)에 배수 수단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배수부재(200)를 이용하되, 그 배수부재(200)가 배수공간(130)에 수용된 상태에서 그 양측의 플랜지부(220)가 양측 각재 프레임(100)의 상부에 거치되게 하며, 그 플랜지부(220)를 통해 각재 프레임(100)에 피스로 고정하면 된다.
또한 배수부재(200)에는 옥상의 외부로 연결되는 드레인관(300)이 시공되는 것으로, 이때 드레인관(300)은, 그 일단이 배수부재(200)를 관통하여 배수로(210)와 연통되게 하며, 타단이 벽체(20)에 천공된 천공홀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게 하면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드레인관(300)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바닥 방수단계(S300)는,
옥상의 바닥면(10)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다수의 바닥부재(400)를 이용하여 된다.
즉, 바닥부재(400)는, 상기 각재 프레임(100)의 경사를 따라 그 각재 프레임(100)의 상부를 덮어 마감하게 구성된 것으로, 그 길이방향 일단이 배수부재(200)의 상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배수로(210)로 소정 진입되게 하고, 그 타단이 옥상의 벽체(20)에 접하게 하면 되며, 각재 프레임(100)에 피스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된다.
이때 바닥부재(400)는, 폭방향으로 이웃하여 연속 형성되는 것으로, 바닥부재(400)는 폭방향으로 파형 산(410)과 골(420)이 형성된 주름형 강판시트로 구성된 것인바, 이웃하여 연속하여 형성시 단부가 산(410)과 골(420)을 통해 중첩되는 형태를 이루게 시공하면 된다.
또한 바닥부재(400)가 시공된 상태에서 배수로 덮개(500)가 시공되는 것으로, 배수로 덮개(500)는 플랜지부(510)를 통해 바닥부재(400)의 상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배수부재(200) 상부를 덮어 배수로(210)를 마감하게 된다.
한편, 배수로 덮개(500)는, 플랜지부(510)를 통해 각재 프레임(100)에 피스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때 배수로 덮개(500)의 하단과 바닥부재(400)의 골(420)을 통해 바닥부재(400)의 수분이 배수로(210)로 유입되게 된다.
이후, 벽체 방수단계(S400)는,
옥상의 벽체(20)를 타고 수분이 옥상 바닥면(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벽체(20)를 마감하게 된다.
즉, 벽체 방수단계(S400)는, 먼저 각재 시공단계(S410)가 수행되는 것으로, 각재 시공단계(S410)는 상기 제1 각재(610)와, 한 쌍의 제2 각재(620)(620')와, 제3 각재(630)를 이용하여 된다.
이때 제1 각재(610)는, 바닥부재(400)의 상부에서 벽체(2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그 벽체(20)에 시공하면 된다.
그리고 제2 각재(620)(620')를 시공하되, 제2 각재(620)(620')는, 먼저 벽체(20)의 상부 내측면에서 그 둘레를 따라 한 측의 제2 각재(620)를 시공하고, 벽체(20)의 상부 외측면에서 그 둘레를 따라 다른 한 측의 제2 각재(620')를 시공하면 된다.
그리고 제3 각재(630)를 시공하되, 제3 각재(630)는 벽체(20)의 상부면에 그 상부면을 따라 전체에 시공하면 된다.
한편, 상기 제1 각재(610)와, 제2 각재(620)(620')과, 제3 각재(630)를 벽체(20)에 시공시에는 통상의 콘크리트용 타카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된다.
이후, 벽체 마감단계(S420)를 수행하면 된느 것으로, 벽체 마감단계(S420)는, 먼저 경사부재(700)를 시공하되, 경사부재(700)는 일측의 경사 날개부(710)를 통해 제1 각재(610)에 피스로 고정하면 되고, 그 타측의 경사 날개부(710')는 바닥부재(400)의 상부에 중첩되게 하면 되는 것으로, 벽체(20)와 바닥부재(400)는 경사부재(700)를 통해 경사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다수의 측면부재(800)를 시공하되, 측면부재(800)는 그 하단을 경사부재(700)와 중첩된 상태에서 제1 각재(610)에 피스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그 상단을 벽체(20)의 내측에 위치된 제2 각재(620)에 피스로 고정하면 된다.
이때 측면부재(800)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폭방향으로 연속하여 시공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그 폭방향 단부가 연속하여 중첩되게 시공하면 된다.
그리고 덮개부재(900)를 시공하되, 덮개부재(900)는 벽체(20)의 상단을 덮어 마감하는 것으로, 이때 양측의 측판(910)(910')을 이용하되, 먼저 벽체(20)의 내측에 위치되는 측판(910)은 측면부재(800)를 감싼 상태에서 제2 각재(620)에 피스로 고정하면 되고, 타측의 측판(910')은 벽체(20)의 외측에서 제2 각재(620')에 피스로 고정하면 되며, 상부면은 벽체(20)의 상단면에 형성된 제3 각재(630)에 피스로 고정하면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공정을 통해 본 발명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의 시공이 마무리 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시공된 본 발명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는, 조립식 구조를 이루되, 그 구조가 매우 간소하여 시공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되며, 특히 방수성능 및 배수성능이 한층 향상되는 것으로, 이는, 도 9를 참조하여 먼저 우천시 옥상에 내리는 빗물은 바닥부재(400)에 떨어지게 되는 것인바, 이때 빗물은 바닥부재(400)의 골을 통해 배수부재(200)의 배수로(210)로 유입되게 되며, 그 유입된 빗물은 배수로(210)와 연통된 드레인관(300)을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수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바닥부재(400)는 벽체(20)로부터 배수부재(200)를 향하게 하향 경사를 이루게 구성된 것인바, 빗물은 그 경사를 따라 배수로로 원활히 유도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배수구조는 다수의 배수로의 형성 없이 하나의 배수로만으로도 빗물의 용이한 집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옥상의 벽체(20)를 타격하는 빗물은, 그 벽체(20)를 따라 바닥부재(400)로 유도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벽체(20)는 그 상단에 덮개부재(900)로 마감되고, 그 내측면이 측면부재(800)로 마감되며, 바닥부재(400)와 측면부재(800)는 경사부재(700)로 연결되어 빗물이 벽체(20)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바닥부재(400)로의 원활한 유도 및 배수가 가능하게 된다.
100 : 각재 프레임 110 : 수직각재
120 : 수평각재 130 : 배수공간
200 : 배수부재 210 : 배수로
220 : 플랜지부 300 : 드레인관
400 : 바닥부재 410 : 산
420 : 골
500 : 배수로 덮개 510 : 플랜지부
600 : 간격 유지구 610 : 제1 각재
620,620' : 제2 각재 630 : 제3 각재
700 : 경사부재 710,710' : 경사 날개부
800 : 측면부재 900 : 덮개부재
910,910' : 측판
S100 : 기초 시공단계 S200 : 배수부 시공단계
S300 : 바닥 방수단계 S400 : 벽체 방수단계
S410 : 각재 시공단계 S420 : 벽체 마감단계

Claims (5)

  1. 옥상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부로 입설되는 다수의 수직각재(110)와, 그 수직각재(110)의 상단에서 수평 배열되는 다수의 수평각재(120)로 된 각재 프레임(100);
    각재 프레임(100)에 형성되며, 중앙에 함몰형 배수로(210)가 형성되고, 상단 양에는 외측으로 직각 절곡되는 플랜지부(220)가 형성되어 옥상의 중심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강판형 배수부재(200);
    일단이 배수부재(200)를 관통 및 배수로(210)와 연통되며, 타단이 옥상의 벽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드레인관(300);
    길이방향 일단이 배수부재(200)의 상부에 거치 및 배수로(210)로 진입되게 구성되고, 타단이 벽체에 접하도록 배수부재(200)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형성되되, 각각은 배수부재(200)로부터 벽체에 이르고, 양측으로 중첩되게 배열되는 상향 경사를 이루는 강판시트로 된 다수의 바닥부재(400);
    폭방향 양단에 플랜지부(510)가 형성되어, 그 플랜지부(510)를 통해 바닥부재(400)의 상부에서 배수부재(200)를 덮어 마감하는 절곡형 강판시트로 된 배수로 덮개(500);
    벽체에 형성되며, 바닥부재(400)의 상부에서 벽체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각재(610)와, 벽체의 상부 내주면 및 외둘레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각재(620)(620')와, 벽체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제3 각재(630)로 된 간격 유지구(600);
    폭방향 양측이 경사로 경사 날개부(710)(710')가 절곡 형성되어, 그 일측의 경사 날개부(710)가 제1 각재(610)에 고정되고 타측의 경사 날개부(710')가 바닥부재(400)의 상부에 중첩되는 절곡형 강판시트로 된 경사부재(700);
    제1 각재(610)와 그 제1 각재(6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각재(620)에 고정되고, 양측으로 중첩되게 배열되는 강판시트로 된 측면부재(800); 및
    양단에는 하방으로 직각 절곡되는 측판(910)(910')이 형성된 하부 개방형으로 구성되어 벽체의 상단을 덮어 마감하며, 제2 각재(620)(620')와 제3 각재(630)에 고정되는 절곡형 강판시트로 된 덮개부재(9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각재 프레임(100)은,
    옥상의 폭방향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이격되게 하여 배수공간(130)을 형성하되,
    양측이 배수공간(130)을 중심으로 하여 벽체에 이르게 상향 경사를 이루게 구성하며,
    상기 배수공간(130)에 배수부재(200)가 내입 및 그 배수부재(200)의 플랜지부(220)가 수평각재(120)에 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3. 제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바닥부재(400)는,
    폭방향으로 파형 산(410)과 골(420)이 연속하여 형성된 주름형 강판시트로 구성하되,
    이웃하는 바닥부재(400)와 측면부재(800)의 폭방향 단부가 서로 겹쳐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4. 옥상의 바닥에서 다수의 수직각재(110)와 수평각재(120)를 이용하여 수직 및 수평 배열하여 각재 프레임(100)을 형성하되, 각재 프레임(100)은 옥상의 폭방향 중앙에 배수공간(130)을 이루도록 양측으로 분할되게 시공하며, 분할된 각재 프레임(100)은 배수공간(130)으로부터 벽체에 이르게 상향 경사를 이루게 시공하는 기초 시공단계(S100);
    폭방향 양측에 플랜지부(220)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함몰형 배수로(210)가 형성된 상부 개방형 배수부재(200)를 배수공간(130)에 내입 및 플랜지부(220)가 양측의 각재 프레임(100)에 거치된 상태에서 피스로 고정 설치하며, 배수부재(200)에는 일단이 배수로(210)와 연통되고 타단이 벽체에 천공된 천공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드레인관(300)을 설치하는 배수부 시공단계(S200);
    폭방향으로 파형 산(410)과 골(420)을 이루는 주름형 강판시트로 된 다수의 바닥부재(400)를 이용하여 각재 프레임(100)의 상부를 덮되, 그 바닥부재(400)의 길이방향 일단이 배수부재(200)에 거치 및 배수로(210)로 진입된 상태를 이루고 타단이 옥상의 벽체에 접한 상태에서 각재 프레임(100)에 피스로 고정되며 배수부재(200)의 길이를 따라 폭방으로 연속하여 중첩되게 설치하며, 배수부재(200)의 상부에는 양단에 플랜지부(220)가 형성된 하부 개방형 배수로 덮개(500)를 이용하여 플랜지부(510)가 바닥부재(400)에 고정되도록 배수부재(200)를 덮는 바닥 방수단계(S300); 및
    옥상의 벽체를 마감하는 벽체 방수단계(S400)를 수행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방수구조 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벽체 방수단계(S400)는,
    바닥부재(400)의 상부에서 벽체의 내측면에 제1 각재(610)를 형성하고, 벽체의 상부 내측면 및 외둘레에는 제2 각재(620)(620')를 각각 형성하며, 벽체의 상단면에는 제3 각재(630)를 형성하는 각재 시공단계(S410); 및
    상기 제1 각재(610)와, 제2 각재(620)(620')와, 제3 각재(630)를 통해 벽체를 마감하는 벽체 마감단계(S420)를 수행하되,
    벽체 마감단계(S420)는,
    폭방향 양측이 경사로 경사 날개부(710)(710')가 절곡 형성된 경사부재(700)의 일측 경사 날개부(710)를 제1 각재(610)에 고정하고, 타측 경사 날개부(710')는 바닥부재(400)의 상부에 중첩되게 시공하며,
    측면부재(800)를 이용하되, 그 하단을 경사부재(700)의 경사 날개부(710)와 중첩되게 제1 각재(610)에 고정하고 상단을 벽체의 내측 제2 각재(620)에 고정하되, 측면부재(800)를 폭방향으로 연속하여 중첩되게 시공하며,
    양단에 하방으로 직각 절곡된 측판(910)(910')이 형성된 하부 개방형 덮개부재(900)를 이용하여 벽체의 상부를 덮되, 측판(910)(910')을 통해 양측의 제2 각재(620)(620')에 고정하고, 상부면은 제3 각재(630)에 고정 시공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시공방법.
KR1020160163959A 2016-12-02 2016-12-02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637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959A KR20180063767A (ko) 2016-12-02 2016-12-02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959A KR20180063767A (ko) 2016-12-02 2016-12-02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767A true KR20180063767A (ko) 2018-06-12

Family

ID=62622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959A KR20180063767A (ko) 2016-12-02 2016-12-02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376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036B1 (ko) * 2018-07-20 2019-04-04 장재훈 옥상 스틸 방수공법 및 그 방수공법에 의해 시공된 옥상 스틸 방수구조
KR102095289B1 (ko) 2019-10-28 2020-03-31 박춘원 옥상 스틸 단열방수공법 및 그 공법에 의한 단열방수구조
KR102228867B1 (ko) * 2020-07-13 2021-03-17 주식회사 디자인루프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
KR102425155B1 (ko) * 2021-10-05 2022-07-25 설준영 칼라강판시트 방수 방법
CN116641514A (zh) * 2023-06-19 2023-08-25 北京市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集排烟、排水功能于一体的隐藏式屋面体系
KR102626783B1 (ko) 2022-10-21 2024-01-18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림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065B1 (ko) 2006-04-20 2007-03-16 최낙영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방수패널
KR100710432B1 (ko) 2006-01-25 2007-04-24 (주)제이스코리아 구조 개선된 옥상방수구조 및 그 시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432B1 (ko) 2006-01-25 2007-04-24 (주)제이스코리아 구조 개선된 옥상방수구조 및 그 시공법
KR100696065B1 (ko) 2006-04-20 2007-03-16 최낙영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방수패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036B1 (ko) * 2018-07-20 2019-04-04 장재훈 옥상 스틸 방수공법 및 그 방수공법에 의해 시공된 옥상 스틸 방수구조
KR102095289B1 (ko) 2019-10-28 2020-03-31 박춘원 옥상 스틸 단열방수공법 및 그 공법에 의한 단열방수구조
KR102228867B1 (ko) * 2020-07-13 2021-03-17 주식회사 디자인루프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
KR102425155B1 (ko) * 2021-10-05 2022-07-25 설준영 칼라강판시트 방수 방법
KR102626783B1 (ko) 2022-10-21 2024-01-18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림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6641514A (zh) * 2023-06-19 2023-08-25 北京市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集排烟、排水功能于一体的隐藏式屋面体系
CN116641514B (zh) * 2023-06-19 2023-12-01 北京市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集排烟、排水功能于一体的隐藏式屋面体系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3767A (ko)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A2914882C (en) Support for roof penetrating structures
US4635419A (en) Vented roof construction
US20050072072A1 (en) Baffled attic vent including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US4741132A (en) Multiple panel metal roofing system with overlapping panel edges
US9567747B2 (en) Construction system for releasing moisture from a hip, valley or gable roof
JPH11508339A (ja) 平らな板状の建築要素のための下張り要素
US8561359B2 (en) Baffle vent with integral drift blocker
EP0962606A1 (en) Pitched roof with rooflight and flashing piece
US3735596A (en) Valley closure for a roof construction
US9157244B1 (en) Construction device for releasing moisture from a building
US4711061A (en) Roof and a method of providing a building with a roof
JPS5826268Y2 (ja) 外壁材
US2054049A (en) Metal siding for masonry structures
JP7060222B2 (ja) 屋根構造
US20060037259A1 (en) Roof vent and method for installation
JP4246885B2 (ja) 換気棟
JP4087969B2 (ja) 傾斜屋根用屋根材及び屋根構造
JPH069175Y2 (ja) 外装用金属パネル
JP3667972B2 (ja) 外部床の防水方法
JPH0610026Y2 (ja) 屋根葺き用パネル
JPS6318660Y2 (ko)
US20170067246A1 (en) Vapour Barrier Pan
JP7060223B2 (ja) 屋根構造
JPS612554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