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867B1 -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867B1
KR102228867B1 KR1020200086200A KR20200086200A KR102228867B1 KR 102228867 B1 KR102228867 B1 KR 102228867B1 KR 1020200086200 A KR1020200086200 A KR 1020200086200A KR 20200086200 A KR20200086200 A KR 20200086200A KR 102228867 B1 KR102228867 B1 KR 102228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 tray
rooftop
steel plate
steel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도연
원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자인루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자인루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자인루프
Priority to KR1020200086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8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45Drainage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은, 바닥과 측벽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옥상에 시공되는 시스템 구조체; 및 상기 시스템 구조체 상에 마련되는 S골을 구비하는 강판을 포함하되 상기 강판이 상기 시스템 구조체의 상부를 일체로 덮어 방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Rooftop steel waterproofing system}
본 발명은,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콤팩트하면서도 효과적인 구조와 방식으로 옥상 방수를 진행할 수 있어서 누수로 인한 다양한 로스(loss)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강도가 우수해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건축물은 시간이 지날수록 균열로 인한 누수, 결로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내구성이 약화하고 이로 인해, 노후가 촉진된다. 특히, 최근에는 건물이 대형화되면서 평면형 옥상이 다수 시공되고 있는데, 평면형 옥상의 경우 구조적으로 빗물이 고이기 쉬워서 누수 가능성이 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건물 옥상 슬라브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방수 시공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수 시공방법으로는 아스팔트 시트를 이용한 방법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아스팔트 시트는 단섬유부직포, 연신필름, 미연신필름 등의 심재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APP(Atactic Polypropylene) 또는 SBS(Styrene Butadiene styrene)를 함침하거나 피복한 건축자재이다.
아스팔트 시트를 이용한 종래의 방수 시공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1)의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2)을 형성하고, 프라이머층(2)의 상부에 액상 아스팔트를 도포하여 아스팔트층(3)을 형성한 후 아스팔트층(3)의 상부에 규사가 일체로 형성된 방수시트(4)를 다수 마련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부설하고, 방수시트(4)와 인접한 방수시트 사이에 액상 아스팔트를 충진하여 충진층(5)을 형성한다.
이후, 충진층(5)의 상부면 전체와 방수시트(4)의 일측 모서리가 덥히도록 아스팔트 테이프(6)를 부착하고, 아스팔트 테이프(6)의 상부에 방수시트(4)의 규사층과 동일한 높이로 규사를 살포하여 규사층(7)을 형성한 다음 규사층(7)의 상부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층(8)을 형성하면 시공이 완료된다.
하지만, 도 1과 같은 종래의 방수 시공방법은 공정이 복잡하여 시간과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고, 아스팔트의 가열시 기름 사용으로 가열 비용이 발생할 뿐 아니라 탄산가스나 유해가스를 방출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야기하고 가열장비의 가동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옥상 슬라브의 방수 시공에 있어 파라펫 부위를 처리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직각부에 삼각형 단면을 가진 부재(cant strip)를 넣고, 방수시트를 연장하여 파라펫 부위에 접착한 후 상부는 물 끓기 처리(flashing) 후 보호벽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방식의 경우 공정이 복잡하고 하자 발생이 잦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 도 2에 개시된 바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슬라브(1)에 파라펫(9)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10)를 설치하고, 파라펫(9)과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10) 사이에 용융 아스팔트(11)를 충진한 후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10), 용융 아스팔트(11) 및 파라펫(9)의 하부를 감싸도록 고무화 아스팔트 테이프(12)를 접착하고, 고무화 아스팔트 테이프(12)와 파라펫(9) 위에 도막방수층(13)을 형성하는 파라펫 처리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파라펫 처리 방법은 방수층 형성을 위해 용융 아스팔트(11)를 사용해야 하므로,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고 취급에 불편함이 따르며, 고무화 아스팔트 테이프(12)의 사전 제작이 필요하므로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시간과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종합해볼 때, 아스팔트 시트와 같은 현존하는 종래기술의 경우,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강도가 낮고 방수 성능이 떨어지는데, 특히 낮은 방수 성능으로 인해 내구성이 현저하게 감소한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14659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6-008490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6-012825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1-001743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팩트하면서도 효과적인 구조와 방식으로 옥상 방수를 진행할 수 있어서 누수로 인한 다양한 로스(loss)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강도가 우수해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바닥과 측벽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옥상에 시공되는 시스템 구조체; 및 상기 시스템 구조체 상에 마련되는 S골을 구비하는 강판을 포함하되 상기 강판이 상기 시스템 구조체의 상부를 일체로 덮어 방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시스템 구조체는, 통풍이 가능한 구조로써 상기 옥상의 바닥에 시공되되 상기 강판을 지지하는 강판 지지유닛; 및 상기 강판 지지유닛에 형성되고 배수를 담당하되 메인 물받이를 구비하는 배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유닛은 상기 메인 물받이에 교차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서브 물받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물받이를 통해 나오는 물이 상기 측벽의 외측에 시설되는 배수관을 통해 건물 바깥으로 배수되며, 상기 메인 물받이와 상기 복수 개의 서브 물받이로 이루어진 상기 배수유닛이 상기 옥상의 바닥에서 양측에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벽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두겁 지지대; 및 상기 두겁 지지대를 매개로 상기 측벽의 상단부에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형 두겁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형 두겁은 그 중앙에 대하여 양 사이드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물이 고이지 않고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강판이 상기 측벽과 접촉하는 영역에 누수 방지를 위한 측벽 누수 방지재가 마련되며, 상기 측벽 누수 방지재는 가로부와 세로부를 포함하는 L자형 절곡판 구조를 취하되, 상기 가로부는 상기 강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세로부는 상기 측벽과 파라펫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물받이 및 상기 서브 물받이 영역에 상기 메인 물받이 및 상기 서브 물받이 내로 이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물받이 크랭크가 배치되며, 상기 강판이 서로 맞대어 겹쳐지는 부위에 한 쌍의 L자형 절곡 판체가 배치되되 상기 한 쌍의 L자형 절곡 판체 상에 용마루 크랭크가 마련되며, 상기 메인 물받이 및 상기 서브 물받이의 바닥 중앙에 배수 기능을 배가시키기 위한 V형 절곡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콤팩트하면서도 효과적인 구조와 방식으로 옥상 방수를 진행할 수 있어서 누수로 인한 다양한 로스(loss)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강도가 우수해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옥상 슬라브의 방수 시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의 이미지이다.
도 4는 도 3에서 강판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내부 투영도이다.
도 6은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부분에 대한 상세 이미지이다.
도 8은 도 6의 B 부분에 대한 상세 이미지이다.
도 9는 도 6의 C 부분에 대한 상세 이미지이다.
도 10은 도 6의 D 부분에 대한 상세 이미지이다.
도 11은 도 6의 E 부분에 대한 상세 이미지이다.
도 12는 도 6의 F 부분에 대한 상세 이미지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의 이미지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강판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의 이미지이다.
도 17은 도 16에서 강판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의 이미지이다.
도 20은 도 19에서 강판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1은 도 19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G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의 이미지이다.
도 24는 도 23의 요부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제1 및 제2 마감캡 영역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의 이미지이다.
도 27은 도 26의 브릿지 서포트겸용 방수부의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의 이미지, 도 4는 도 3에서 강판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4의 내부 투영도, 도 6은 도 4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A 부분에 대한 상세 이미지, 도 8은 도 6의 B 부분에 대한 상세 이미지, 도 9는 도 6의 C 부분에 대한 상세 이미지, 도 10은 도 6의 D 부분에 대한 상세 이미지, 도 11은 도 6의 E 부분에 대한 상세 이미지, 도 12는 도 6의 F 부분에 대한 상세 이미지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100)에 의하면 콤팩트하면서도 효과적인 구조와 방식으로 옥상 방수를 진행할 수 있어서 누수로 인한 다양한 로스(loss)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강도가 우수해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100)은 옥상의 바닥(111)과 측벽(112)에 시공되어 옥상에 대한 강성을 부여하는 한편 방수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옥상의 바닥(111)에 시공되는 시스템 구조체(120)와, 시스템 구조체(120) 상에 마련되는 강판(150)을 포함한다.
강판(150)은 S자의 S골을 구비하는 것이 적용될 수 있으며, 서로 겹쳐지면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강판(150)이 시스템 구조체(120)의 상부를 일체로 덮게 커버링함으로써 외관의 미를 높이는 한편, 방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경계 영역에는 역류 혹은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들이 적용되는데, 아래에서 하나씩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W 공법의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100)을 적용한다. 여기서, W 공법이란 스틸 방수 구조의 모양이 W 형상을 띄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비교적 큰 옥상 현장에 적용할 때 유리하다.
시스템 구조체(120)는 통풍이 가능한 구조로써 옥상의 바닥(111)에 시공되되 강판(150)을 지지하는 강판 지지유닛(130)과, 강판 지지유닛(130)에 형성되고 배수를 담당하는 배수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강판 지지유닛(130)은 복수 개의 각목(131)을 가로와 세로, 혹은 경사지게 연결함으로써 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유닛(140)은 메인 물받이(141)와, 메인 물받이(141)에 교차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서브 물받이(142)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옥상 면적이 넓은데도 V자 형태로 중앙에 물받이(미도시) 하나를 설계하면, 넓은 면적에서 모이는 물량이 중앙 한곳으로 모임으로 중앙에 있는 물받이 내에서 넘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비율로 물매의 경사를 주다 보면 난간이 급격히 낮아지는 단점이 생긴다.
이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A자로 설계를 해서 양쪽에 물받이(141,142)들을 배치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경우, 물량의 분배는 가능하고 좌우 난간 높이는 확보할 수 있으나 상,하 부분의 난간은 낮아지거나 센터 용마루가 난간 높이보다 더 높아지는 경우도 생길 수도 있다.
또한, 비가 떨어져 비교적 긴 거리의 슬로프를 내려오면서 빗물이 가속도가 붙어 (141,142)로 모이는 압력과 물량을 배수구에서 감당하지 못해 배수로 정체 및 넘치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양쪽 4/1 지점에 물받이(141,142)를 2개 넣되 W자 모양으로 설계하고 있다. 참고로, 물받이(141,142)는 현장 크기에 따라 늘려 설계할 수 있고, 또한, 배수로를 배치해 물량의 분배와 비교적 슬로프 비거리를 짧게 잡아 가속도 및 압력을 줄임과 동시에 난간 높이가 높아지는 문제를 본 공법으로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측벽(112)의 상단부에는 경사형 두겁(161)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사형 두겁(161)은 오징어를 닮았다 하여 오징어 두겁(161)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
통상의 일자 두겁(미도시)은 물 고임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며, 또한 물 고임에 따라 물때가 앉아 쉽게 오염되는 문제가 있는데, 특히 측벽(112)이 두꺼운 경우는 더더욱 그러하다.
이에, 본 실시예의 경우, 중앙에 두겁 지지대(162)를 배치하고 두겁 지지대(162)가 위치하는 중앙에 대하여 양 사이드가 하향 경사지게 경사형 두겁(161)을 적용함으로써 물이 고이지 않고 흐르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물 고임 문제와 물 때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도 6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S자의 S골을 구비하는 강판(150)이 적용되는데, 이러한 강판(150)이 측벽(112)과 접촉하는 영역에 측벽 누수 방지재(164)가 마련된다.
측벽 누수 방지재(164)는 강판(150)이 측벽(112)과 접촉하는 영역에서 물의 역류가 발생하여 실링 부분이 떨어지거나 미장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측벽 누수 방지재(164)는 가로부(164a)와 세로부(164b)를 포함하는 L자형 절곡판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때, 가로부(164a)는 강판(150)의 상부에 배치되고 세로부(164b)는 측벽(112)과 파라펫(1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과 도 9를 참조하면, 메인 물받이(141) 영역에 물받이 크랭크(145)가 배치된다. 물받이 크랭크(145)는 메인 물받이(141)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메인 물받이(141)로 낙엽이나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어 메인 물받이(141)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6과 도 10을 참조하면, 강판(150)이 서로 맞대어 겹쳐지는 부위에 한 쌍의 L자형 절곡 판체(166)가 배치되고, 한 쌍의 L자형 절곡 판체(166) 상에 용마루 크랭크(167)가 마련된다. 종전에는 이곳에 우레탄폼이나 실리콘 등으로 실링 처리를 했으나, 우레탄폼 등의 실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보니 누수가 발생하거나 시간이 지나면서 우레탄폼의 기능 상실 등으로 역류 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골 강판(150)이 서로 맞대어 겹쳐지는 부위에 한 쌍의 L자형 절곡 판체(166)가 배치되고, 한 쌍의 L자형 절곡 판체(166) 상에 용마루 크랭크(167)를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L자형 절곡 판체(166)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측벽 누수 방지재(164)의 주변에도 배치되어 해당 영역에서의 역류 현상을 방지한다.
도 6과 도 11을 참조하면,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적용된 메인 물받이(141)의 경우, 하단부 내측 중앙에 V형 절곡홈(143)이 형성된다. 도면에는 메인 물받이(141)에 V형 절곡홈(143)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했으나 서브 물받이(142)에도 동일한 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물받이(141,142)의 바닥이 일자면 물받이(141,142)를 따라 흐르는 물이 완벽하게 배수되지 못하고 고일 수 있고, 이로 인해 곰팡이, 악취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처럼 서브 물받이(142)를 포함한 메인 물받이(141)의 바닥 중앙에 V형 절곡홈(143)을 형성하면 완벽한 배수가 진행될 수 있어서 고인 물에 의한 곰팡이, 악취 등의 문제 발생을 해결할 수 있다.
도 6과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배수유닛(140)이 서브 물받이(142)를 더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서브 물받이(142)는 여러 개로 적용되고 메인 물받이(141)에 교차하게 연결되며, 메인 물받이(14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처럼 복수 개의 서브 물받이(142)를 더 적용하면 많은 양의 물이 메인 물받이(141)를 통해 원활하게 배수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장마철처럼 많은 양의 물이 배수될 때는 배수되는 물량을 메인 물받이(141)와 서브 물받이(142)가 나눌 수 있기 때문에 원활한 배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서브 물받이(142)를 통해 나오는 물이 배수관(147, 도 6 참조)을 통해 건물 바깥으로 배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콤팩트하면서도 효과적인 구조와 방식으로 옥상 방수를 진행할 수 있어서 누수로 인한 다양한 로스(loss)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강도가 우수해서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의 이미지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강판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며, 도 15는 도 13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200) 역시, 전술한 실시예의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100)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배수유닛(240)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편의상 도면 참조부호는 생략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배수유닛(240) 역시, 메인 물받이(241)와, 메인 물받이(241)에 교차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서브 물받이(24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메인 물받이(241)은 중앙에 길게 배치되고 서브 물받이(242)들이 바닥의 외곽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는 바닥의 사이즈가 전술한 실시예보다 작기 때문인데, 이를 소위 V 공법이라 부를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하면서도 효과적인 구조와 방식으로 옥상 방수를 진행할 수 있어서 누수로 인한 다양한 로스(loss)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강도가 우수해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의 이미지이고, 도 17은 도 16에서 강판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며, 도 18은 도 16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300) 역시, 전술한 실시예의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100)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배수유닛(340)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편의상 도면 참조부호는 생략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배수유닛(340)은 전술한 서브 물받이(142)가 없는 구조를 취한다. 즉 배수유닛(340)은 옥상 바닥의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된다. 이는 바닥의 사이즈가 전술한 실시예보다 훨씬 작기 때문인데, 이를 소위 A 공법이라 부를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하면서도 효과적인 구조와 방식으로 옥상 방수를 진행할 수 있어서 누수로 인한 다양한 로스(loss)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강도가 우수해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의 이미지이고, 도 20은 도 19에서 강판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며, 도 21은 도 19의 단면 구조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G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400) 역시, 전술한 실시예의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100)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증설 난간부(440)를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실시예의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100)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증설 난간부(440)가 형성되면 측벽 난간의 높이가 높아져서 옥상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안전에 기여할 수 있다. 증설 난간부(440)의 외측에 커버(444)가 커버링된다.
증설 난간부(440)의 하부 영역에도 L자 형태의 역류 방지판(450)이 마련될 수 있다. 역류 방지판(450)으로 인해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하면서도 효과적인 구조와 방식으로 옥상 방수를 진행할 수 있어서 누수로 인한 다양한 로스(loss)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강도가 우수해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2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의 이미지이고, 도 24는 도 23의 요부 측면도이며, 도 25는 도 24의 제1 및 제2 마감캡 영역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500)의 경우, 옥탑(510)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때, 옥탑(510)을 비롯하여 바닥, 두겁 등 모든 부분을 커버함으로써 외관의 미를 높이는 한편, 누수를 방지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커버(520)는 전술한 강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측벽(112)의 상단부에 두겁 지지대(162)가 마련되고, 두겁 지지대(162)를 매개로 해서 경사형 두겁(161)이 배치된다. 경사형 두겁(161)은 물 고임을 방지한다.
측벽(112)의 외측에는 경사 지지대(522)를 매개로 해서 경사형 지붕커버(521)가 배치된다. 경사형 지붕커버(521)의 하단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 마감캡(531,532)이 배치되어 경사형 지붕커버(521)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콤팩트하면서도 효과적인 구조와 방식으로 옥상 방수를 진행할 수 있어서 누수로 인한 다양한 로스(loss)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강도가 우수해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2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의 이미지이고, 도 27은 도 26의 브릿지 서포트겸용 방수부의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태양전지판(611)과 태양전지판(611)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브릿지(612)를 구비하는 태양광 장치(610)가 이미 옥상에 설치된 경우에는 태양광 장치(610)를 지지하면서 방수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브릿지 서포트겸용 방수부(620)가 적용될 수 있다.
브릿지 서포트겸용 방수부(620)는 제1 내지 제4 방수 판넬(621~624)이 서로 교차하면서 브릿지(612)를 지지하되 지지면은 실링처리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럴 경우, 빗물은 브릿지 서포트겸용 방수부(62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S골로 흘러나갈 수 있음은 물론, 여러 겹의 방수 구조로 인해 빗물로 인한 누수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제1 내지 제4 방수 판넬(621~624)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의 개수와 형태는 도시된 것을 벗어나 얼마든지 다양해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 111 : 바닥
112 : 측벽 114 : 파라펫
120 : 시스템 구조체 130 : 강판 지지유닛
131 : 각목 140 : 배수유닛
141 : 메인 물받이 142 : 서브 물받이
143 : V형 절곡홈 145 : 물받이 크랭크
150 : 강판 161 : 경사형 두겁
162 : 두겁 지지대 164 : 측벽 누수 방지재
164a : 가로부 164b : 세로부
166 : L자형 절곡 판체 167 : 용마루 크랭크

Claims (5)

  1. 바닥과 측벽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옥상에 시공되는 시스템 구조체; 및
    상기 시스템 구조체 상에 마련되는 S골을 구비하는 강판;을 포함하되,
    상기 강판이 상기 시스템 구조체의 상부를 일체로 덮어 방수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시스템 구조체는,
    통풍이 가능한 구조로써 상기 옥상의 바닥에 시공되되 상기 강판을 지지하는 강판 지지유닛; 및
    상기 강판 지지유닛에 형성되고 배수를 담당하되 메인 물받이를 구비하는 배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유닛은 상기 메인 물받이에 교차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서브 물받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물받이 및 상기 서브 물받이 영역에 상기 메인 물받이 및 상기 서브 물받이 내로 이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물받이 크랭크가 배치되며,
    상기 강판이 서로 맞대어 겹쳐지는 부위에 한 쌍의 L자형 절곡 판체가 배치되되 상기 한 쌍의 L자형 절곡 판체 상에 용마루 크랭크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 물받이 및 상기 서브 물받이의 바닥 중앙에 배수 기능을 배가시키기 위한 V형 절곡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구조체는,
    상기 서브 물받이를 통해 나오는 물이 상기 측벽의 외측에 시설되는 배수관을 통해 건물 바깥으로 배수되며,
    상기 메인 물받이와 상기 복수 개의 서브 물받이로 이루어진 상기 배수유닛이 상기 옥상의 바닥에서 양측에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두겁 지지대; 및
    상기 두겁 지지대를 매개로 상기 측벽의 상단부에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형 두겁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형 두겁은 그 중앙에 대하여 양 사이드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물이 고이지 않고 흐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이 상기 측벽과 접촉하는 영역에 누수 방지를 위한 측벽 누수 방지재가 마련되며,
    상기 측벽 누수 방지재는 가로부와 세로부를 포함하는 L자형 절곡판 구조를 취하되, 상기 가로부는 상기 강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세로부는 상기 측벽과 파라펫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
  5. 삭제
KR1020200086200A 2020-07-13 2020-07-13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 KR102228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200A KR102228867B1 (ko) 2020-07-13 2020-07-13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200A KR102228867B1 (ko) 2020-07-13 2020-07-13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867B1 true KR102228867B1 (ko) 2021-03-17

Family

ID=75243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200A KR102228867B1 (ko) 2020-07-13 2020-07-13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8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155B1 (ko) * 2021-10-05 2022-07-25 설준영 칼라강판시트 방수 방법
EP4299851A1 (de) * 2022-07-01 2024-01-03 ABS Safety GmbH Dachsystem für mindestens ein photovoltaikmodul und verwendung eines dachsystem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7438U (ko) 1990-03-20 1991-10-28 삼성전자 주식회사 Smps의 출력 전압 안정화 회로
JP2006322218A (ja) * 2005-05-19 2006-11-30 Sekisui Chem Co Ltd 棟換気装置
KR101630151B1 (ko) * 2015-12-30 2016-06-24 주식회사 코이스틸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KR20160084902A (ko) 2015-01-06 2016-07-15 시앤에스 주식회사 제어함을 포함하는 부하 개폐기
KR20160128256A (ko) 2016-10-14 2016-11-07 신성금형 주식회사 골프공 라이너
KR20180063767A (ko) * 2016-12-02 2018-06-12 설준영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79517B1 (ko) * 2019-07-22 2020-02-20 주식회사 일신건설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 및 옥상 스틸 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7438U (ko) 1990-03-20 1991-10-28 삼성전자 주식회사 Smps의 출력 전압 안정화 회로
JP2006322218A (ja) * 2005-05-19 2006-11-30 Sekisui Chem Co Ltd 棟換気装置
KR20160084902A (ko) 2015-01-06 2016-07-15 시앤에스 주식회사 제어함을 포함하는 부하 개폐기
KR101630151B1 (ko) * 2015-12-30 2016-06-24 주식회사 코이스틸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KR20160128256A (ko) 2016-10-14 2016-11-07 신성금형 주식회사 골프공 라이너
KR20180063767A (ko) * 2016-12-02 2018-06-12 설준영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79517B1 (ko) * 2019-07-22 2020-02-20 주식회사 일신건설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 및 옥상 스틸 방수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155B1 (ko) * 2021-10-05 2022-07-25 설준영 칼라강판시트 방수 방법
EP4299851A1 (de) * 2022-07-01 2024-01-03 ABS Safety GmbH Dachsystem für mindestens ein photovoltaikmodul und verwendung eines dachsys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7020B1 (ko) 옥상 방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630151B1 (ko)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KR102228867B1 (ko)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
CN209742102U (zh) 一种建筑屋面变形缝悬挑滑移式盖板结构
KR101966036B1 (ko) 옥상 스틸 방수공법 및 그 방수공법에 의해 시공된 옥상 스틸 방수구조
KR102226336B1 (ko) 옥상 스틸 방수 통풍시스템
CN218814830U (zh) 一种屋顶光伏支架系统
CN113123471B (zh) 一种站台屋面雨棚及其制造方法
CN207863322U (zh) 一种屋面防水结构
CN214884762U (zh) 一种站台屋面雨棚
JP5089527B2 (ja) 陸屋根又はベランダの排水構造及び溜まり幅規定部材
CN214834137U (zh) 一种女儿墙自防水
CN215829842U (zh) 一种屋面清水混凝土水沟及构筑工具
CN211447512U (zh) 一种可变形工字柱女儿墙结构
CN211257511U (zh) 一种具有排水系统的采光顶
CN211548422U (zh) 一种用于屋顶的防水结构
CN212078468U (zh) 一种建筑设计屋顶檐口防水结构
CN212802324U (zh) 一种高层建筑屋面防渗漏装置
CN220100227U (zh) 一种伸缩缝防水结构
CN217480636U (zh) 地铁车辆段上盖盖板屋面的变形缝结构
KR102345216B1 (ko) 비노출식 스틸 방수자재 및 그를 포함하는 옥상 방수 구조체
CN218643693U (zh) 一种屋面女儿墙高效防水结构
CN220928171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房屋
CN217759643U (zh) 一种建筑用屋面装饰层内部排水结构
CN212336547U (zh) 一种水泥屋面瓦体系天沟节点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