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151B1 -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151B1
KR101630151B1 KR1020150189416A KR20150189416A KR101630151B1 KR 101630151 B1 KR101630151 B1 KR 101630151B1 KR 1020150189416 A KR1020150189416 A KR 1020150189416A KR 20150189416 A KR20150189416 A KR 20150189416A KR 101630151 B1 KR101630151 B1 KR 101630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lab
rooftop
railing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인
서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이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이스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이스틸
Priority to KR1020150189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45Drainage cha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4Junctions of roof sheathings to chimneys or other parts extending above the roof
    • E04D2013/1422Parapet building elements for retaining the roof fla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건물의 상부를 커버하는 것으로 일 측에 배수구를 형성한 슬라브와 상기 슬라브의 둘레면에서 높이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난간을 갖는 옥상에 적용되는 스틸 방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의 상면을 상기 난간 일 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중심선을 바탕으로 두 개의 바닥으로 구획하여 각각의 바닥 상부를 커버하되 상기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난간까지 높이가 점차 높아지도록 형성되고, 서로 소폭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 1, 2 지붕; 상기 제 1, 2 지붕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 1, 2 지붕과 함께 상기 슬라브의 상면을 둘러싸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고, 상기 배수구와 연동된 배수공을 포함하는 물받이; 양 측부가 상기 제 1,2 지붕의 상부에 각각 거치 고정됨으로써 상기 물받이의 상측 개방 부위를 덮도록 형성되어, 물을 제외한 이물질이 상기 물받이로 유입되지 않도록 걸러내는 이물질커버; 상기 난간의 내측면과 상기 제 1,2 지붕이 각각 맞닿는 부위 상면의 경계부위를 덮는 내벽커버; 상기 난간의 상면을 덮되, 상기 내벽커버와 맞닿는 부분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내벽커버의 상면 일부를 덮는 난간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Description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STEEL BASED ROOF WATERPROOF SYSTEM}
본 발명은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옥상 슬라브의 노출된 부분 전체를 스틸재질의 판재로 덮어 지붕을 형성하되 내측에는 충전재를 설치하여 차음, 단열, 결로방지 능력을 강화하고 슬라브의 상측 중앙부에는 물받이를 설치하여 지붕으로부터 흘러내린 물을 받아 배수구로 유도하도록 하는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슬라브 형태로 옥상을 시공할 경우 옥상 슬라브 바닥을 통하여 빗물이나 눈이 녹아 생성된 물이 건물 내부로 누수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누수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옥상 슬라브 바닥에 방수시공을 하게 된다.
이러한 옥상 슬라브 방수시공은 누수차단은 물론 옥상슬라브를 보호하여 건물의 수명을 연장할 목적으로 시공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방수시공공법은 도막방수, 시트방수, 도막방수와 시트방수의 혼용인 복합방수 등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옥상 방수 시공방식은 일정 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기온의 변화에 의하여 팽창과 수축을 반복함에 따라 방수층의 균열에 의한 누수문제가 다시 발생하게 되고 주기적으로 보수가 필요하게 되어 건물의 보수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수 시스템과 방법이 공개되어 있는 상태이다.
국내 등록특허 제 10-0887020호‘옥상 방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참조하면, 옥상 위로 노출되는 슬라브 전체를 지붕과 물받이에 의하여 모두 덮여져 별도로 옥상슬라브에 대하여 별도로 방수시공을 하지 않고 단열층이나 기타 적층구조물의시공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존의 방수시공에 비하여 시공시간 및 시공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기존의 방수시공과는 달리 주기적으로 유지 보수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며, 빗물이나 눈이 녹아내리는 물이 옥상 슬라브나 난간벽체를 통하여 건물 내부로 스며들어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해소하여 방수 성능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경사지붕을 타고 흘러내리게 되는 빗물, 눈 녹은 물 등을 포함하는 물을 물받이와 배수구를 통하여 그대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는 관계로 재활용할 수 있는 물을 그대로 버리게 되어 아까운 자원낭비가 발생되며, 결국 생활용수를 생산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에너지 측면에서 볼 때,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녹색성장에 저해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사지붕과 옥상슬라브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빈 공간을 별도로 활용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게 됨은 공간활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또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20-0343195호‘조립식 건물의 단열 물받이 패널’에는 물받이 패널을 지붕 패널과 벽체 패널 사이에 횡설하여 결합시키는 작업에 의해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물받이 패널에 착설되는 발포 시이트에 의해 외부 및 내부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현상 및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건물의 단열 물받이 패널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 20-0343195호는 종래에 벽체 패널의 상단 외측면에 브라켓을 사용하여 물받이 패널을 고정시키는 경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립식 건물을 구성하는 지붕 패널과 벽체 패널 사이에 물받이 패널을 횡설시킴에 의해 신공상의 안전사고와 결로현상을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지붕 패널과 벽체 패널 사이에 물받이 패널을 횡설시키는 구조는, 소규모의 조립식 건물의 빗물을 정리하는 데에는 효과적이나, 주변을 따라 난간벽체가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옥상 슬라브를 포함하는 대형 콘크리트 슬라브 구조물, 즉 아파트의 옥상 방수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구조는 자체적으로 지붕 하부패널이 경사진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물받이 패널의 설치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통상적인 아파트 옥상은 이러한 경사진 지붕 하부패널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적용이 불가능하며, 아파트의 옥상 바닥 방수에 대한 어떤 제안도 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에 부족한 기술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슬라브 형태로 옥상을 시공할 경우 옥상 슬라브 바닥을 통하여 빗물이나 눈이 녹아 생성된 물이 건물 내부로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며, 차음, 단열, 결로방지 능력을 강화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옥상 방수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옥상 슬라브의 상면을 덮어 수분이 슬라브에 닿지 않도록 한 쌍의 지붕을 형성한 방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쌍의 지붕 사이에서 슬라브의 중앙부위로 수분을 모아 슬라브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난간의 둘레면과 슬라브의 하면을 덮어 수분이 난간과 슬라브에 닿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기존 방수 시스템 보다 향상된 방수. 단열, 결로방지 성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상부를 커버하는 것으로 일 측에 배수구를 형성한 슬라브와 상기 슬라브의 둘레면에서 높이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난간을 갖는 옥상에 적용되는 스틸 방수 시스템은, 상기 슬라브의 상면을 상기 난간 일 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중심선을 바탕으로 두 개의 바닥으로 구획하여 각각의 바닥 상부를 커버하되 상기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난간까지 높이가 점차 높아지도록 형성되고, 서로 소폭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 1, 2 지붕; 기 제 1, 2 지붕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 1, 2 지붕과 함께 상기 슬라브의 상면을 둘러싸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고, 상기 배수구와 연동된 배수공을 포함하는 물받이; 양 측부가 상기 제 1,2 지붕의 상부에 각각 거치 고정됨으로써 상기 물받이의 상측 개방 부위를 덮도록 형성되어, 물을 제외한 이물질이 상기 물받이로 유입되지 않도록 걸러내는 이물질커버; 상기 난간의 내측면과 상기 제 1,2 지붕이 각각 맞닿는 부위 상면의 경계부위를 덮는 내벽커버; 상기 난간의 상면을 덮되, 상기 내벽커버와 맞닿는 부분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내벽커버의 상면 일부를 덮는 난간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은, 상기 내벽커버 및 상기 지지커버를 잇도록 형성된 것으로, 중앙 부위가 절곡형성되되 일 단이 상기 내벽커버와 상기 난간 사이에 삽입되고 타 단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는 미시샤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미시샤시의 타 단은 챔퍼 처리되어 빗물이 상기 미시샤시에 의해 용이하게 상기 지지커버로 안내됨으로써 상기 제 1, 2 지붕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은, 상기 난간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현되어 상기 난간의 외면을 덮는 외벽커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난간커버는, 상기 외벽커버와 맞닿는 부분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벽커버의 상면 일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은, 상기 슬라브의 하면 노출 부위를 덮는 슬라브커버와, 건물에 측벽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브커버의 일 단이 삽입 고정되는 찬넬, 상기 외벽커버 및 상기 슬라브커버를 잇도록 형성되되, 중앙부위가 절곡되며 일 단이 상기 외벽커버와 상기 난간 사이에 삽입되고 타 단은 상기 슬라브커버의 상부에 거치되는 빗물커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이물질커버는, 중앙부위를 따라 일정 깊이로 단턱지게 함입된 이물질수집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 1,2 지붕의 내부와 상기 외벽커버와 상기 난간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슬라브커버와 상기 슬라브 하면 사이의 공간 중 하나에는, 복수 개의 육각기둥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허니콤 구조의 충전재가 적층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커버와 상기 미시샤시를 포함하는 각 부재의 접촉 부위에는, 일 부재의 끝단이 삽입되는 상부 함입공간과, 상부 함입공간에서와 대치되는 방향으로 타 부재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하부 함입공간을 포함하는 탄성재질의 결합캡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결합캡의 상기 상부 함입공간과 상기 하부 함입공간의 내측에는, 소프트폼 재질로 적층된 완충층이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부재에 가해지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에 의하면,
1) 슬라브의 상면을 덮는 한 쌍의 지붕을 형성하여 수분이 슬라브에 닿지 않도록 하여 방수 효과를 갖도록 하고,
2) 한 쌍의 지붕 사이에서 슬라브의 중앙부위를 일직선으로 관통하는 물받이가 배치되어 수분을 모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효과적인 수분의 배출이 가능하며,
3) 난간의 둘레면과 슬라브의 하면을 덮는 내벽커버, 외벽커버, 난간커버, 슬라브커버를 추가로 포함하여 난간과 슬라브의 노출면 전체를 방수할 수 있는 효과를 갖고,
4) 스틸 방수 시스템의 연결부위에 결합캡을 부착하여 내부공간으로 수분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틸 방수 시스템과 난간 및 슬라브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충전재를 삽입하여 보다 나은 차음, 단열, 결로방지 성능을 제공한다.
도 1은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난간 외측 측벽과 슬라브 하면까지 방수범위를 확장한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은 건물의 옥상(1)부위에 생성된 슬라브(10) 및 슬라브(10)의 둘레면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난간(20)에 빗물이나 눈 녹은 물 등 수분이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별도의 부재를 설치하여 밀폐시킴으로써 수분이 별도의 부재에 닿은 채로 외부로 배출되므로 방수재 도포, 도막방수, 시트방수 등의 지속시간이 짧고 번거로운 방수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슬라브(10) 및 난간(20)에 수분이 닿지 않도록 방수 시스템을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은 슬라브(10)의 상면의 중심부를 가로질러 2등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직선으로 가로질러 나누었을 때, 중심선과 마주보는 난간(20) 중 하나로부터 중심선방향으로 연장되되, 난간(20)과 가까운 부분에서부터 연장될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된 지지부재(100)과 지지부재(100)의 상측면을 금속재질의 지지커버(104)로 덮어 형성되는 제1 지붕(30(a)), 슬라브(10)의 중심선과 마주보는 난간(20) 중 다른 하나로부터 중심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제1 지붕(30(a))과 대향하는 형태로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지붕(30(b)), 상기 제1 지붕(30(a)) 및 제2 지붕(30(b))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따라 형성되는 물받이(110)와, 상기 물받이(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이물질커버(112), 상기 난간(20)의 내측 측면을 덮는 내벽커버(120)과, 상기 난간(20)의 상면을 덮는 난간커버(140)로 구성된다.
먼저, 제1 지붕(30(a)) 및 제2 지붕(30(b))은 슬라브(10)의 상면을 덮는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슬라브(10)의 상면을 난간(20)의 일 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중심선을 바탕으로 두 개의 바닥으로 구획하여 각각의 바닥 상부를 커버하되 중심선으로부터 난간(20)까지 높이가 점차 높아지도록 형성되고 서로 소폭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이격된 공간에는 배수구(11)과 연동된 배수공(111)을 포함하는 물받이(110)이 형성되어 수분이 물받이(110)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1 지붕(30(a))은 슬라브(10)을 중앙부를 따라 가로지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측 면으로 나눌 때에 좌/우측면 중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것이며, 제2 지붕(30(b))은 제1 지붕(30(a))의 반대측 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둘의 세부적인 구성은 동일하되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설명은 제1 지붕(30(a))을 중심으로 진행하도록 하되, 해당 구성은 제2 지붕(30(b))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다.
제1 지붕(30(a))은 슬라브(10)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부착된 복수의 지지대(101)과 상기 지지대(101)의 상단에서 지지대(10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부착되는 복수의 가로덧대(102), 상기 가로덧대(102)의 상단에서 다시 가로덧대(10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부착되는 복수의 세로덧대(103)로 구성되는 지지부재(100)과 상기 지지부재(100)의 상면을 덮어 수분이 슬라브(10)에 닿지 못하도록 하는 지지커버(104)로 구성된다.
지지대(101)은 슬라브(10)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부착된 것으로서, 제1 지붕(30(a))의 뼈대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대(101)는 금속, 합금 등 공지된 다양한 재료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대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상부와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된 바 형상의 상, 하틀과 높이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각 틀 사이에 지지대를 삽입하여 마치 사다리 형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는 지붕의 시공 후 필요한 강도나 내구성에 따라 시공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대(101)중 적어도 하나는 난간의 측면과 맞닿는 위치에 부착되며, 1개 이상의 복수의 지지대(101)을 더욱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고, 지지대(101)간의 이격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지지대(101)은 상기한대로 제1 지붕(30(a))의 뼈대가 되는 부분으로서, 향후 지지커버(104)를 덮었을 때 수분이 지지커버(104)의 상면에서 물받이(110)로 쉽게 이동하도록 기울기를 달리하기 위해 지지대(101)의 높이는 중심선과 가까워질수록 점차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로덧대(102)는 상기 복수의 지지대(101)의 상단에 지지대(10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부착된 부재를 의미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 된 바 형상으로서 재질은 지지대(101)과 동일하다. 가로덧대(102)도 마찬가지로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지지대(101)의 상단에 부착되고, 이 때 이격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로덧대(103)은 상기 복수의 가로덧대(102)의 상단에 가로덧대(10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시 말해 지지대(101)이 배열된 것과 동일한 방향으로 부착된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된 부재를 의미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으로서 재질은 지지대(101)과 동일하다. 세로덧대(103) 또한 마찬가지로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가로덧대(102)의 상단에 부착되고, 이 때 이격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지지대(101), 가로덧대(102), 세로덧대(103)이 각각 직교하여 부착됨으로서 제1 지붕의 뼈대 역할을 하는 지지부재(100)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2는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를 통해 지지부재(100)의 구성요소인 지지대(101). 가로덧대(102), 세로덧대(103)을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면, 2개 이상의 복수의 지지대(101)이 가장 아래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되, 그 높이는 난간쪽으로 향할수록 점차 증가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101)의 상단에는 지지대(10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가로덧대(102)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부착되고, 다시 상기 복수의 가로덧대(102)의 상단에 가로덧대(10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세로덧대(103)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부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뼈대 구조는 힘을 분산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사면을 밀폐시킨 후에는 내부에 공기가 보관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이를 통해 일정 수준의 보온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는 기능성 구조이다.
다시 도 1로 돌아와 세부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지지부재(100)의 상면에는 지지커버(104)를 덮어 수분이 지지부재(100)의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한다.
지지커버(104)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수분이 이동할 방향으로 유도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S골판이 주로 사용되나, 필요성에 따라 평판 또는 굴곡진 골판 등 다양한 형상의 커버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커버(104)의 재질 또한 일반적으로 내구성이 강하고 수분과 반응하지 않는 스테인리스 강이 주로 사용되나, 필요성에 따라 공지된 수분과 반응하지 않는 금속, 합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커버(104)는 일 단이 난간과 맞닿게 되는데, 이 부분에 방수가 가능한 실리콘이나 퍼티 등의 실링재를 사용하여 틈새를 통해 수분이 지지부재(100)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타 단은 물받이(110)과 맞닿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물받이와 맞닿는 부분에 상기의 실링재를 사용하여 지지부재(100)의 내부로 수분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지지커버(104) 타 단의 길이를 보다 연장하여 물받이의 상부 개방 부위의 일부를 가리는 형태로 부착된다면, 지지커버(104)의 상면을 따라 흘러 내려온 수분이 바로 물받이(110)내부로 들어가게 되므로 더욱 효과적인 수분 유도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물받이(110)과의 연동 구성은 하기할 물받이(110)의 설명에서 더욱 상세하게 다루도록 한다.
또한, 이 경우 단열, 결로방지 효과를 보다 강화하기 위하여 슬라브(10)의 상면과 지지커버(104)의 하면, 지지부재(100)의 내부공간에 충전재(105)를 추가할 수도 있다. 충전재(105)의 재료로는 고무, 함석, 스티로폼, 알루미늄, sus,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유리섬유 등 건축 시공에서 사용되는 공지된 다양한 단열재가 용도와 목적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슬라브(10)의 경우 상면에, 지지커버(104)의 경우 하면에 충전재(105)가 패드형식으로 얇게 부착되고, 지지부재(100)의 내부공간에는 충전재(105)가 채워지는 형식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충전재(105)의 부착 또는 채움 이후에 혹시 모를 수분의 유입이나 충전재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방수 및 산소차단 기능을 갖는 마감재를 추가로 도포하거나 부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충전재(105)는 흡음성능을 갖도록 복수 개의 육각 기둥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벌집 구조체 형상의 허니콤 구조 및 이의 적층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한 바, 상기 허니콤 구조의 각 셀에 의해 중공부위를 통한 방음용 공기층이 형성되어 소음 감소에도 크게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허니콤 구조체의 형상으로 인해 지지 역할을 수행 가능함으로써 상기 충전재(105)를 포함하는 제1 지붕(30(a)) 및 제2 지붕(30(b))의 굽힘 강도를 높여주어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강화하는 부과적인 효과도 있다.
물받이(110)은 제1 지붕(30(a)) 및 제2 지붕(30(b))의 사이에, 다시 말해 슬라브(10)의 중심부를 따라 일직선으로 가로질러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부에는 태풍이나 폭우 등의 상황에서도 시간당 수분의 배출가능량보다 유입량이 많을 경우 일정시간 이상 수분이 넘치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일정한 너비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판을 기준으로하여 양 측면에서 각각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측벽을 통해 배출량을 초과하여 배출되지 못한 수분이 임시로 보관될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각 측벽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거치부위를 형성하여 제1 지붕(30(a)) 및 제2 지붕(30(b))에서 슬라브(10)의 중심부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세로덧대(103)의 상면에 각각 얹혀지고 다시 거치부위의 상면이 지지커버(104)로 덮힘으로써 별도의 밀폐수단이나 추가 고정수단이 없이 제1 지붕(30(a)) 및 제2 지붕(30(b))의 사이에 물받이(110)이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물받이(11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널말뚝으로서, 판자형태와 유사한 형상으로 가공된 수로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지지커버(104)는 물받이(110)의 측벽 절곡 연장면만을 덮지 않고 추가로 연장되어 물받이(110)의 상부 개방 부위 일부를 더욱 덮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수분이 물받이(110)의 상부 개방 부위로 직접 떨어지는 경우나 심한 바람이 부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역류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물받이(110)은 슬라브(10)에 형성된 배수구(11)(물을 옥상(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슬라브(1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된 것)로 수분이 이동될 수 있도록 배수구(11)과 연동되는 위치에 동일한 크기로 관통된 배수공(111)이 형성된다. 물받이(110)은 수분에 가장 많이 노출되는 부위이기 때문에, 스테인리스 강 등 수분에 반응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그 외 내구성과 방수성을 갖는 금속 또는 합금 등 공지된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물질커버(112)는 상기 물받이(110)의 커버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수분은 통과할 수 있되 기타 이물질은 걸러지도록 메쉬 재질로 형성된다. 이물질커버(112)는 물받이(110)의 상부 개방 부위를 전부 둘러싸되, 이물질이 물받이(110)로 유입되지 않고 걸러질 수 있도록 이물질커버(112)의 폭은 물받이(110) 상부 개방 부위의 폭과 같거나 그 이상으로 형성되고, 양 측면은 각각 지지커버(104)에 얹혀지는 형태로 덮이게 된다. 이러한 경우 지지커버(104)로부터 이물질커버(112)가 이탈되지 않고 이물질이 쌓이더라도 수분이 계속해서 통과할 수 있도록 측면에서 보았을 때‘V’자 형태가 되도록 중앙부위를 가장자리보다 낮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물질이 과도하게 쌓여 이물질커버(112)의 표면을 뒤덮는 경우 더 이상 이물질커버(112)와 물받이(110)가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늦출 수 있도록 이물질커버(112)에 이물질수집홈(113)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이물질수집홈(113)은 이물질커버(112)의 중앙부위를 따라 일정 깊이로 단턱지게 함입된, 다시 말해 일정 깊이의 홈을 더욱 형성한 것으로서, 이물질이 메쉬에 의해 걸러지는 경우 이물질커버(112)의 표면에 우선 부착되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추가적인 수분이 유입된다면 이물질은 점차 이물질커버(112)의 중앙부위로 밀려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중앙부위에 이물질수집홈(113)이 형성되어 있다면,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수집홈(113)에 갇혀 보관됨으로써 이물질커버(112)의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수분이 물받이(110)로 이동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수집홈(113)을 관리하는 것만으로도 이물질의 제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조를 다시 한 번 정리하자면, 슬라브(10)의 상면에 제1 지붕(30(a)) 및 제2 지붕(30(b))이 설치되고 그 사이에 슬라브(10)의 상면 중앙부위를 가로지르는 물받이(110)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측면에서 본다면 마치 ‘V’형태로 슬라브(10)의 상면을 제1 지붕(30(a))과 제2 지붕(30(b))이 덮어 빗물이나 눈 녹은 물 등 수분이 물받이(110)로 흘러들어가 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슬라브(10)에 수분이 닿지 않는 방수효과를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난간(20) 또한 수분이 닿지 않고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방수 시스템을 적용하여 보호할 수 있으며, 난간(20)에는 즉 내측 측면, 즉 내면이 수분과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내벽커버(120)과 난간(20)의 상면이 수분과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난간커버(140)을 구성한다.
내벽커버(120)은 난간(20)의 내면이 수분과 닿지 않도록 덮는 것으로서, 측면이라는 특성 상 일반적으로 평판이 사용되고, 재질은 지지커버(104)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내구성이 강하고 수분과 반응하지 않는 스테인리스 강이 주로 사용되며, 필요성에 따라 공지된 수분과 반응하지 않는 금속, 합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내벽커버(120)은 난간(20)의 내면에 본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할 수도 있으나, 이는 접착제의 접착 수명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않으며, 피스 등 물리적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내면에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물리적 고정수단의 고정 용이성을 고려하여 내벽커버(120)이 부착될 상 하단에 바 형상의 지지목(21)을 대어 물리적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그 외에도 소켓을 삽입하는 등 물리적 고정수단의 고정 지속력을 연장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선택적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내벽커버(120)을 시공하더라도 여전히 지지커버(104)와 맞닿는 부분을 통해 수분이 지지부재(100)의 내부나 난간(20)로 이동될 수 있는 바, 내벽커버(120)과 지지커버(104) 사이에서 수분의 안정적인 이동경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미시샤시(130)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미시샤시(130)의 일 단은 내벽커버(120)과 난간(20) 사이에 삽입되고, 타 단은 외부로 노출되어 지지커버(104)의 상부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일 단이 내벽커버(120)의 후면에 밀착되고 타 단은 지지커버(104)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부착시킴으로써 수분이 안정적으로 내벽커버(120)에서 지지커버(104)로 이동되어 제1 지붕(30(a)) 또는 제2 지붕(30(b))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미시샤시(130)는, 일 단은 내벽커버(120)의 형상과 같은 평판형상이고, 타 단은 지지커버(104)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밀착이 용이할 것이다. 그러므로 일 단과 타 단의 형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중앙부를 1회 이상 절곡시켜 마치 계단과 같은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미시샤시(130)의 일 단과 타 단이 다른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타 단에 챔퍼처리를 수행하여 빗물이 미시샤시(130)에 의해 용이하게 지지커버(104)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부착 및 고정의 경우, 미시샤시(130)이 밀착된 부분에 물리적 고정수단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부착 및 고정할 수 있어 옥상 공사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구성으로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난간커버(140)은 난간의 상면이 수분과 닿지 않도록 덮는 것으로서, 지지커버(104)와 마찬가지로 형상은 일반적으로 수분이 이동할 방향으로 유도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S골판이 주로 사용되나, 필요성에 따라 평판 또는 굴곡진 골판 등 다양한 형상의 커버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재질 또한 일반적으로 내구성이 강하고 수분과 반응하지 않는 스테인리스 강이 주로 사용되나, 필요성에 따라 공지된 수분과 반응하지 않는 금속, 합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난간커버(140)은 난간(20)의 상면에 본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다만, 내벽커버(120)과 맞닿는 부분을 통해 수분이 난간(20)로 이동될 수 있는 바, 내벽커버(120)과 맞닿는 부분을 연장 형성하되 연장된 부분을 하단으로 절곡시켜 내벽커버(12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분이 내벽커버(120)을 통해 지지커버(104)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슬라브의 상면과 난간의 상면 및 내면에 수분이 닿거나 고이지 않도록 하는 방수효과를 적용함으로써 수분으로 인한 부식 등을 막아 옥상(1)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난간 외측 측벽과 슬라브 하면까지 방수범위를 확장한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3을 통해 방수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추가된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난간(20)의 외측 측벽이 수분과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외벽커버(150)과 슬라브(10)의 하면이 수분과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슬라브커버(160)을 구성한다.
외벽커버(150)은 난간(20)의 외측 측벽, 다시 말해 내벽커버(120)이 부착된 반대 면인 외면이 수분과 닿지 않도록 덮는 것으로서, 측면이라는 특성 상 일반적으로 평판이 사용되나, 재질은 지지커버(104)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내구성이 강하고 수분과 반응하지 않는 스테인리스 강이 주로 사용되며, 필요성에 따라 공지된 수분과 반응하지 않는 금속, 합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외벽커버(150) 또한 내벽커버(120)과 마찬가지로 난간(20)의 외벽에 본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할 수도 있으나, 이는 접착제의 접착 수명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않으며, 피스 등 물리적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물리적 고정수단의 고정 용이성을 고려하여 외벽커버(150)이 부착될 상 하단에 바 형상의 지지목(21)을 대어 물리적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그 외에도 소켓을 삽입하는 등 물리적 고정수단의 고정 지속력을 연장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선택적 적용이 가능하다.
외벽커버(150)이 부착되는 경우, 난간커버(140)은 외벽커버(150)과 맞닿는 부분을 연장 형성하되 연장된 부분을 하단으로 절곡시켜 외벽커버(15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벽커버(150)쪽으로 흐른 수분이 난간(20)에 직접 닿거나 흡수되지 않고 표면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려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외벽커버(150)은 미관을 고려하여 파라펫 강판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성에 따라 평판 또는 굴곡진 골판 등 다양한 형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재질 또한 일반적으로 내구성이 강하고 수분과 반응하지 않는 스테인리스 강이 주로 사용되나, 필요성에 따라 공지된 수분과 반응하지 않는 금속, 합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 경우 단열, 결로방지 효과를 보다 강화하기 위하여 외벽커버(150)의 하면에 충전재(105)가 패드형식으로 얇게 부착될 수 있다. 충전재(105)의 재료로는 고무, 함석, 스티로폼, 알루미늄, sus,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유리섬유 등 건축 시공에서 사용되는 공지된 다양한 단열재가 용도와 목적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충전재(105)의 부착 이후에 혹시 모를 수분의 유입이나 충전재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방수 및 산소차단 기능을 갖는 마감재를 추가로 부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충전재(105)는 흡음성능을 갖도록 복수 개의 육각 기둥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벌집 구조체 형상의 허니콤 구조 및 이의 적층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한 바, 상기 허니콤 구조의 각 셀에 의해 중공부위를 통한 방음용 공기층이 형성되어 소음 감소에도 크게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허니콤 구조체의 형상으로 인해 지지 역할을 수행 가능함으로써 상기 충전재(105)를 포함하는 외벽커버(150)의 굽힘 강도를 높여주어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강화하는 부과적인 효과도 있다.
슬라브커버(160)은 슬라브(10)의 하면이 빗물 등 수분과 닿지 않도록 덮는 것으로서, 슬라브(10)의 하면을 보호할 목적으로 부착하는 것이다. 형상은 S골판이 주로 사용되나, 필요성에 따라 평판 또는 굴곡진 골판 등 다양한 형상의 커버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재질 또한 일반적으로 내구성이 강하고 수분과 반응하지 않는 스테인리스 강이 주로 사용되나, 필요성에 따라 공지된 수분과 반응하지 않는 금속, 합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난간커버(140)과 마찬가지로 슬라브(10)의 하면에 본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다만, 하부로 향하는 만큼 슬라브(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확률이 높으므로, 건물의 측벽 상부에 ‘ㄷ’형상의 찬넬(161)을 부착하여 고정시키고 찬넬(161)에 슬라브커버(160)의 일 단을 삽입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경우에도 추가로 피스 등 물리적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물리적 고정수단의 고정 용이성을 고려하여 슬라브커버(160)이 부착될 부분 중 건물벽과 가까운 부위와 난간과 가까운 부위에 바 형상의 지지목(21)을 대어 물리적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그 외에도 소켓을 삽입하는 등 물리적 고정수단의 고정 지속력을 연장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선택적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에도 단열, 결로방지 효과를 보다 강화하기 위하여 슬라브커버(160)의 하면에 충전재(105)가 패드형식으로 얇게 부착될 수 있다. 충전재(105)의 재료로는 고무, 함석, 스티로폼, 알루미늄, sus,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유리섬유 등 건축 시공에서 사용되는 공지된 다양한 단열재가 용도와 목적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충전재(105)의 부착 이후에 혹시 모를 수분의 유입이나 충전재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방수 및 산소차단 기능을 갖는 마감재를 추가로 부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충전재(105)는 흡음성능을 갖도록 복수 개의 육각 기둥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벌집 구조체 형상의 허니콤 구조 및 이의 적층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한 바, 상기 허니콤 구조의 각 셀에 의해 중공부위를 통한 방음용 공기층이 형성되어 소음 감소에도 크게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허니콤 구조체의 형상으로 인해 지지 역할을 수행 가능함으로써 상기 충전재(105)를 포함하는 슬라브커버(160)의 굽힘 강도를 높여주어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강화하는 부과적인 효과도 있다.
상기한 외벽커버(150)과 슬라브커버(160)을 설치하는 경우, 난간커버(140)의 경우와 동일하게 외벽커버(150)과 슬라브커버(160)이 맞닿는 부분을 통해 수분이 슬라브커버(160)의 내부나 슬라브(10)의 하면으로 이동될 수 있는 바, 외벽커버(150)과 슬라브커버(160) 사이에서 수분의 안정적인 이동경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빗물커버(162)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빗물커버(162)는 미시샤시(130)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 단이 외벽커버(150)과 난간(20) 사이에 삽입되고, 타 단은 슬라브커버(16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일 단이 외벽커버(150)의 후면에 밀착되고 타 단은 슬라브커버(160)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부착시킴으로써 수분이 안정적으로 외벽커버(150)에서 슬라브커버(160) 또는 지상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슬라브에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빗물커버(162)의 일 단은 외벽커버(150)의 형상과 같은 평판형상이고, 타 단은 슬라브커버(16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밀착이 용이할 것이다. 그러므로, 일 단과 타 단의 형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중앙부를 1회 이상 절곡시켜 마치 계단과 같은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빗물커버(162)의 일 단과 타 단이 다른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부착 및 고정의 경우, 빗물커버(162)가 밀착된 부분에 물리적 고정수단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부착 및 고정할 수 있어 옥상 공사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구성으로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4는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를 통해 방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된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한 구성을 통해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내벽커버(120), 난간커버(140), 외벽커버(150), 슬라브커버(160), 미시샤시(130), 빗물커버(162)간의 결합이 물리적 결합 구조로만 구성되어 여전히 빗물이나 눈 녹은 물 등의 수분이나 습기 등이 틈새로 유입될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내벽커버(120)과 미시샤시(130)사이, 난간커버(140)과 내벽커버(120)사이, 난간커버(140)과 외벽커버(150)사이, 외벽커버(150)과 빗물커버(162)사이, 빗물커버(162)와 슬라브커버(160)사이의 결합면에 고무 등의 탄력성과 밀착력을 갖는 재질의 결합캡(22)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결합캡(22)는 2개의 함입공간(상부 함입공간, 하부 함입공간)이 각각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삽입된 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내벽커버(120)과 미시샤시(130)사이에 부착되는 결합캡(22)의 경우, 상부 함입공간에는 내벽커버(120)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반대편에 위치하는 하부 함입공간에는 미시샤시(130)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결합캡(22)의 형상을 다시 한번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삽입될 부재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탄력성과 밀착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고, 2개의 함입공간이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것이며. 다시말해, 측면에서 보았을 때 마치 ‘S’자 형태로서 측면방향으로 연장된 것이다. 결합캡(22)의 적용은 기존의 결합구조를 크게 이동시키지 않으면서도 결합캡(22)의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과, 결합캡(22)을 사용한 밀폐성 강화에 따른 기존 물리적 결합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분 또는 습기가 스며드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다른 결합면에도 각각 결합캡(22)가 적용될 수 있으며, 각 입구는 일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삽입될 부재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모양이 형성된다면 더욱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결합캡(22)의 각 입구가 삽입될 부재의 형상에 대응하지 않더라도 각 함입공간에 소프트폼 재질로 적층된 완충층(23)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다. 소프트폼 재질은 평소에는 부풀어져 있다가 압력에 의해 줄어들고 다시 시간이 지나면 원래 형상으로 부풀어 오르는 재질로서, 부재가 함입공간에 삽입된 이후 원래 형상으로 부풀어 올라 고정에 도움이 될 수 있고 진동을 흡수하여 다른 부재로 전달하지 않아 소음 감소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옥상 10: 슬라브
11: 배수구 20: 난간
21: 지지목 22: 결합캡
23: 완충층 30(a): 제1 지붕
30(b): 제2 지붕 100: 지지부재
101: 지지대 102: 가로덧대
103: 세로덧대 104: 지지커버
105: 충전재 110: 물받이
111: 배수공 112: 이물질커버
113: 이물질수집홈 120: 내벽커버
130: 미시샤시 140: 난간커버
150: 외벽커버 160: 슬라브커버
161: 찬넬 162: 빗물커버

Claims (8)

  1. 건물의 상부를 커버하는 것으로 일 측에 배수구를 형성한 슬라브와 상기 슬라브의 둘레면에서 높이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난간을 갖는 옥상에 적용되는 스틸 방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의 상면을 상기 난간 일 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중심선을 바탕으로 두 개의 바닥으로 구획하여 각각의 바닥 상부를 커버하되 상기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난간까지 높이가 점차 높아지도록 형성되고, 서로 소폭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 1, 2 지붕;
    상기 제 1, 2 지붕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 1, 2 지붕과 함께 상기 슬라브의 상면을 둘러싸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고, 상기 배수구와 연동된 배수공을 포함하는 물받이;
    양 측부가 상기 제 1,2 지붕의 상부에 각각 거치 고정됨으로써 상기 물받이의 상측 개방 부위를 덮도록 형성되어, 물을 제외한 이물질이 상기 물받이로 유입되지 않도록 걸러내는 이물질커버;
    상기 난간의 내측면과 상기 제 1,2 지붕이 각각 맞닿는 부위 상면의 경계부위를 덮는 내벽커버;
    상기 난간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현되어 상기 난간의 외면을 덮는 외벽커버;
    상기 난간의 상면을 덮되, 상기 내벽커버와 맞닿는 부분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내벽커버의 상면 일부를 덮고, 상기 외벽커버와 맞닿는 부분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벽커버의 상면 일부를 덮는 난간커버;
    상기 슬라브의 하면 노출 부위를 덮는 슬라브커버;
    건물 측벽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브커버의 일 단이 삽입 고정되는 찬넬;
    상기 외벽커버 및 상기 슬라브커버를 잇도록 형성되되, 중앙부위가 절곡되며 일 단이 상기 외벽커버와 상기 난간 사이에 삽입되고 타 단은 상기 슬라브커버의 상부에 거치되는 빗물커버;
    상기 외벽 커버와 상기 빗물 커버의 접촉 부위 사이에 S자 형상으로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외벽 커버의 끝단이 삽입되는 상부 함입공간과, 상기 상부 함입공간에서와 대치되는 방향으로 상기 빗물커버의 끝단이 삽입되는 하부 함입공간을 포함하는 탄성재질의 결합캡;
    상기 결합캡의 상기 상부 함입공간과 상기 하부 함입공간의 내측에 소프트폼 재질로 적층된 완충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은,
    상기 내벽커버 및 지지커버를 잇도록 형성된 것으로, 중앙 부위가 절곡형성되되 일 단이 상기 내벽커버와 상기 난간 사이에 삽입되고 타 단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는 미시샤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미시샤시의 타 단은 챔퍼 처리되어 빗물이 상기 미시샤시에 의해 상기 지지커버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커버는,
    중앙부위를 따라 일정 깊이로 단턱지게 함입된 이물질수집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지붕의 내부와 상기 외벽커버와 상기 난간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슬라브커버와 상기 슬라브 하면 사이의 공간 중 하나에는,
    복수 개의 육각기둥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허니콤 구조의 충전재가 적층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189416A 2015-12-30 2015-12-30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KR101630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416A KR101630151B1 (ko) 2015-12-30 2015-12-30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416A KR101630151B1 (ko) 2015-12-30 2015-12-30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151B1 true KR101630151B1 (ko) 2016-06-24

Family

ID=56343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416A KR101630151B1 (ko) 2015-12-30 2015-12-30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15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873B1 (ko) * 2016-12-16 2017-08-10 황대수 스틸옥상 방수 구조물
CN107524267A (zh) * 2017-09-29 2017-12-29 海南恒大建筑科技有限公司 屋顶排水系统
KR101922134B1 (ko) * 2017-01-17 2018-11-26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컨테이너형 하우스의 지붕구조
KR102074752B1 (ko) 2019-08-13 2020-02-07 여환욱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KR102095289B1 (ko) * 2019-10-28 2020-03-31 박춘원 옥상 스틸 단열방수공법 및 그 공법에 의한 단열방수구조
KR102222137B1 (ko) 2020-01-20 2021-03-02 여환욱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
KR102228867B1 (ko) * 2020-07-13 2021-03-17 주식회사 디자인루프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
KR102273068B1 (ko) * 2020-08-04 2021-07-02 조성범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건물 옥상의 방수 구조물과 이를 이용한 건물 옥상의 방수 시공방법
CN113638474A (zh) * 2021-09-22 2021-11-12 深圳华瑞达装饰集团有限公司 环保节能型建筑给排水系统
KR102327308B1 (ko) * 2021-05-21 2021-11-17 주식회사 코이스틸 배수 기능을 강화한 스틸 기반의 옥상 방수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2Y1 (ko) * 2000-05-31 2000-10-16 박광선 차음성을 향상한 칸막이용 구조물
KR20090006398A (ko) * 2007-07-11 2009-01-15 이영갑 옥상 방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130117199A (ko) * 2012-04-18 2013-10-25 임종팔 슬라브 방수를 위한 와이루프 공법
KR20140066462A (ko) * 2012-11-23 2014-06-02 이영갑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2Y1 (ko) * 2000-05-31 2000-10-16 박광선 차음성을 향상한 칸막이용 구조물
KR20090006398A (ko) * 2007-07-11 2009-01-15 이영갑 옥상 방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130117199A (ko) * 2012-04-18 2013-10-25 임종팔 슬라브 방수를 위한 와이루프 공법
KR20140066462A (ko) * 2012-11-23 2014-06-02 이영갑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873B1 (ko) * 2016-12-16 2017-08-10 황대수 스틸옥상 방수 구조물
KR101922134B1 (ko) * 2017-01-17 2018-11-26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컨테이너형 하우스의 지붕구조
CN107524267A (zh) * 2017-09-29 2017-12-29 海南恒大建筑科技有限公司 屋顶排水系统
KR102074752B1 (ko) 2019-08-13 2020-02-07 여환욱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KR102095289B1 (ko) * 2019-10-28 2020-03-31 박춘원 옥상 스틸 단열방수공법 및 그 공법에 의한 단열방수구조
KR102222137B1 (ko) 2020-01-20 2021-03-02 여환욱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
KR102228867B1 (ko) * 2020-07-13 2021-03-17 주식회사 디자인루프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
KR102273068B1 (ko) * 2020-08-04 2021-07-02 조성범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건물 옥상의 방수 구조물과 이를 이용한 건물 옥상의 방수 시공방법
KR102327308B1 (ko) * 2021-05-21 2021-11-17 주식회사 코이스틸 배수 기능을 강화한 스틸 기반의 옥상 방수 어셈블리
CN113638474A (zh) * 2021-09-22 2021-11-12 深圳华瑞达装饰集团有限公司 环保节能型建筑给排水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151B1 (ko)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KR100887020B1 (ko) 옥상 방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US4075800A (en) Foundation aquaduct and expansion joint
KR102228867B1 (ko) 다기능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
MX2010010736A (es) Sistema de drenaje, aparato y metodo.
KR101837093B1 (ko) 지하차도, 교량, 복개암거 또는 터널 등을 포함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차량 주행면 신축이음 구조 및 시공방법
JP5297718B2 (ja) 陸屋根又はベランダの排水構造及びカバー部材
KR20090016900A (ko) 지하주차장의 결로 방지용 벽체 구조
CN211058163U (zh) 一种轻钢结构装配装饰一体化建筑屋面系统
KR101036162B1 (ko) 옥상 개선 구조물 및 그 구조물의 시공방법
JP4280214B2 (ja) 屋上排水構造
JP5372441B2 (ja) シート防水構造物の改修構造及び改修方法
EP2704210A1 (en) Solar roof tile
JP5089527B2 (ja) 陸屋根又はベランダの排水構造及び溜まり幅規定部材
CN110725424B (zh) 被动式钢结构房屋
JP2012180716A (ja) 建物の構造
KR101654781B1 (ko) 구조물의 습기 배출 유도 방수 시스템 및 방법
CN219973471U (zh) 一种可种植植被的外立面围护结构及建筑外立面
CN215054681U (zh) 女儿墙防开裂泛水结构
CN220619676U (zh) 带排水系统的地垫
CN221255937U (zh) 一种新旧拼宽屋面防水结构
JP3089353B2 (ja) 雨垂れ防止樋及び雨垂れ防止ブロック
KR101254870B1 (ko)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벽체형 탈기장치
CN220848395U (zh) 一种适用于不同高度且相邻金属屋面的天沟排水结构
JP3059802U (ja) 低層建築物における床部の排水処理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