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6462A -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 - Google Patents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6462A
KR20140066462A KR1020120133718A KR20120133718A KR20140066462A KR 20140066462 A KR20140066462 A KR 20140066462A KR 1020120133718 A KR1020120133718 A KR 1020120133718A KR 20120133718 A KR20120133718 A KR 20120133718A KR 20140066462 A KR20140066462 A KR 20140066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roof
collecting tank
water collecting
roof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갑
Original Assignee
이영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갑 filed Critical 이영갑
Priority to KR1020120133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6462A/ko
Publication of KR20140066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4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E04D2013/0413Strainers for drainage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2013/0495Drainage on the roof surface to storage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E04D2013/0833Elbow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는 건물의 옥상을 덮어주도록 설치되고 경사지게 형성되어 옥상의 방수기능을 함과 아울러 빗물을 수집하는 빗물 수집부와, 상기 빗물 수집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옥상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빗물이 저장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에 연결되어 집수조에 저장된 빗물을 사용하기 위해 배출시키는 배수 배관과, 상기 집수조에 연결되어 집수조의 바닥에 가라앉은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용 배관과, 상기 집수조에 연결되어 집수조에 저장된 빗물이 설정치 이상이 되면 파이패스시켜 빗물이 집수조에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바이패스 배관으로 구성되어, 빗물 수집부가 옥상을 덮어주어 빗물을 수집하는 기능과 빗물이 옥상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빗물 수집부의 배수구에 이물질이나 먼지 등을 걸러주는 필터를 설치하여 빗물을 정화시킨 후 집수조에 저장하여 깨끗한 빗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RAINWATER COLLECTING SYSTEM FOR ROOFTOP}
본 발명은 건물 옥상에 설치되어 건물의 옥상을 방수하여 건물 내부로 빗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빗물을 집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옥상은 가장자리에 안전 난간이 형성되고, 옥상의 한쪽 모서리 부분에는 옥상으로 유입된 빗물을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이 설치된다.
종래의 빗물받이 장치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909940(2009년 07월 22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바닥과 이격되는 받침대에 지지하는 물탱크에 설치되어 빗물을 활용하기 위하여 유입하는 것으로, 물탱크에 형성된 수집 경사면의 한 부분에 설치하며 하측으로 다수의 유입공을 설치하고 파이프의 내경에 연결하는 연결축을 형성한 머리와, 상기 연결축을 연결하며 상측에 다수의 배수공을 갖고 하측으로 캡을 설치하여 협잡이 물질은 남고 깨끗한 빗물만 물탱크에 공급되는 파이프로 이루어진 빗물 유입장치를 설치하며, 상기 파이프는 상측으로 고정대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대의 하측 외주면은 물탱크에 형성된 나사공에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의 외부에 노출되게 위치하고, 상기 빗물 유입장치는 파이프의 한 부분으로 배수밸브와, 부력통 및 자동배수밸브가 내장된 배수 제어부를 설치하여, 상기 배수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초기의 협잡이 물질이 혼합된 빗물을 유입시킨 다음, 배수 제어부 내의 수위가 가변됨에 따라 부력통에 의해 자동배수밸브를 자동으로 개폐시켜 깨끗한 빗물만 물탱크와 연결된 유입구를 통하여 자연적으로 물탱크 내부로 들어가게 하는 유입구의 한 부분에 확장부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빗물받이 장치는 옥상 등에 설치되어 옥상으로 유입된 빗물을 정화하여 물탱크에 저장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종래의 빗물받이 장치는 옥상으로 유입된 빗물을 정화하여 저장할 수 있지만 옥상을 방수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옥상으로 빗물이 유입되고, 옥상으로 유입된 빗물이 건물의 내벽으로 침투하여 건물을 침식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건물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909940(2009년 07월 22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옥상에 빗물 수집부가 덮이도록 설치하여 빗물을 수집함과 아울러 빗물이 옥상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빗물 수집부의 배출구에 이물질이나 먼지 등을 걸러주는 필터를 설치하여 빗물을 정화시킨 후 집수조에 저장하도록 한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수조 바닥에 가라앉은 이물질은 배출시키고, 집수조의 깨끗한 물만 사용되도록 하고, 집수조에 빗물이 설정치 이상 차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여 집수조에 저장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옥상 빗물받이 장치는 건물의 옥상을 덮어주도록 설치되고 경사지게 형성되어 옥상의 방수기능을 함과 아울러 빗물을 수집하는 빗물 수집부와, 상기 빗물 수집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옥상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빗물이 저장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에 연결되어 집수조에 저장된 빗물을 사용하기 위해 배출시키는 배수 배관과, 상기 집수조에 연결되어 집수조의 바닥에 가라앉은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용 배관과, 상기 집수조에 연결되어 집수조에 저장된 빗물이 설정치 이상이 되면 파이패스시켜 빗물이 집수조에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바이패스 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빗물 수집부는 가장자리에 옥상의 난간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장착되고, 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지게 형성되며, 중앙부분에는 빗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에는 빗물을 정화시키는 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집수조는 그 상단이 상기 빗물 수집부의 하면에 고정되어 빗물 수집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집수조의 측면에는 바닥에 가까운 위치에 이물질 배출배관이 연결되는 제1통로가 형성되고, 제1통로의 상측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배수 배관이 연결되는 제2통로가 형성되며, 집수조의 상단과 가까운 위치에 바이패스 배관이 연결되는 제3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는 빗물 수집부의 가장자리가 옥상 난간 벽체에 고정되어 빗물 수집부가 옥상에 덮이도록 설치하여 빗물이 옥상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빗물을 수집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는 빗물 수집부의 배수구에 이물질이나 먼지 등을 걸러주는 필터를 설치하여 빗물을 정화시킨 후 집수조에 저장하도록 하여 깨끗한 빗물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는 집수조 바닥에 가라앉은 이물질은 배출시키고, 집수조의 깨끗한 물만 사용되도록 하고, 집수조에 빗물이 설정치 이상 차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여 집수조에 저장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옥상 빗물받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 빗물받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에 설치된 옥상 빗물받이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 빗물받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 빗물받이 장치는 건물(110)의 옥상(100)을 덮어주도록 설치되어 옥상(100)의 방수기능을 함과 아울러 빗물을 집수하는 빗물 수집부(10)와, 빗물 수집부(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옥상(100)에 설치되어 빗물이 저장되는 집수조(20)와, 집수조(20)에 연결되어 집수조(20)에 저장된 빗물을 사용하기 위해 배출시키는 배수 배관(30)과, 집수조(20)의 바닥에 가라앉은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용 배관(40)을 포함한다.
빗물 수집부(10)는 빗물이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에는 옥상(100)의 난간 벽체(12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2)가 장착된다.
여기에서, 고정부재(12)는 옥상(100)의 난간 벽체(120)의 상단에 걸림되도록 걸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재(12)는 난간 벽체(120)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구조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의 구조는 난간 벽체(120)에 고정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빗물 수집부(10)는 방수 가능한 천 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 등 옥상을 덮을 수 있으면서 방수 가능한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도 사용이 가능하다.
빗물 수집부(10)의 중앙에는 빗물 수집부에 의해 모아진 빗물이 집수조(20)로 유입시키는 배수구(14)가 형성되고, 이 배수구(14)에는 빗물에 섞인 각종 이물질 및 먼지 등을 걸러주는 필터(60)가 설치된다. 필터(60)는 거름망 등 빗물이 섞인 이물질이 걸러줄 수 있으면 어떠한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집수조(20)는 하면이 옥상(100)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단은 개방되어 가장자리가 빗물 수집부(10)의 하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집수조(20)는 상단이 빗물 수집부(10)의 중앙부분에 고정되어 빗물 수집부(10)의 중앙부분이 집수조(20)에 의해 지지된다.
집수조(20)의 바닥면과 가장 가까운 부분에는 이물질 배출용 배관(40)이 연결되는 제1통로(22)가 형성되고, 제1통로(22)의 상측에는 제1통로(22)와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배수 배관(30)이 연결되는 제2통로(24)가 형성되고, 집수조(20)의 상단과 가까운 부분에는 바이패스 배관(50)이 연결되는 제3통로(26)가 형성된다.
이물질 배출용 배관(40)은 하수구와 연결되어 집수조(20)의 바닥에 가라앉은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물질 배출용 배관(40)에는 제1밸브(42)가 설치되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1밸브(42)를 작동시켜면 이물질 배출용 배관(40)이 개방되어 집수조(20)의 바닥에 가라앉은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수 배관(30)은 건물 내부에서 빗물을 사용하기 위해 연결되는 배관으로 집수조(20)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만큼 위에 연결되므로 집수조(20)의 바닥에 가라앉은 이물질은 유입되지 않으므로 비교적 깨끗한 빗물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 배관(30)에는 제2밸브(32)가 설치되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2밸브(32)를 작동시키면 배수 배관(30)이 개방되어 집수조(20)에 저장된 물이 배수 배관(30)을 통해 배출된다.
바이패스 배관(50)은 빗물이 집수조(20)에 가득 차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집수조(20)의 상단과 가까운 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이물질 배출용 배관(40)에 연결되어 집수조(20)에 빗물이 일정 이상 차면 바이패스 배관(50)을 통해 바이패스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 빗물받이 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빗물 수집부(10)의 가장자리가 옥상(100)의 난간 벽체(120)에 고정되어 옥상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빗물이 옥상을 통해 건물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옥상의 실링 공상을 주기적으로 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빗물 침투로 인하여 건물이 노후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빗물 수집부(10)에 의해 빗물이 수집되고, 빗물 수집부(10)의 중앙에 형성된 배수구(14)를 통해 집수조(20)로 유입된다. 이때, 배수구(14)에는 필터(60)가 설치되어 빗물에 섞인 각종 이물질 및 먼지를 걸러준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집수조(20)에 빗물이 저장되면, 사용자가 빗물을 사용하기 위해 제2밸브(32)를 작동시키면 배수 배관(30)이 개방되어 집수조(20)에 저장된 물이 배수 배관(30)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집수조(20)의 바닥에 가라앉은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 제1밸브(42)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이물질 배출용 배관(40)이 개방되어 집수조(20)의 바닥에 가라앉은 이물질이 이물질 배출용 배관(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비가 많이 오거나 사용자가 빗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집수조(20)에 빗물이 설정치 이상 차게 되면 바이패스 배관(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집수조(20)에 저장된 빗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옥상 빗물받이 장치는 빗물 수집부가 옥상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옥상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빗물을 집수조에 모아서 사용할 수 있어 물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빗물 수집부 12: 고정부재
14: 배수구 20: 집수조
22: 제1통로 24: 제2통로
26: 제3통로 30: 배수 배관
32: 제1밸브 40: 이물질 배출용 배관
42: 제1밸브 50: 바이패스 배관
60: 필터 100: 옥상
120: 난간 벽체

Claims (4)

  1. 건물의 옥상을 덮어주도록 설치되고 경사지게 형성되어 옥상의 방수기능을 함과 아울러 빗물을 수집하는 빗물 수집부;
    상기 빗물 수집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옥상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빗물이 저장되는 집수조;
    상기 집수조에 연결되어 집수조에 저장된 빗물을 사용하기 위해 배출시키는 배수 배관;
    상기 집수조에 연결되어 집수조의 바닥에 가라앉은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용 배관; 및
    상기 집수조에 연결되어 집수조에 저장된 빗물이 설정치 이상이 되면 파이패스시켜 빗물이 집수조에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바이패스 배관을 포함하는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수집부는 가장자리에 옥상의 난간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장착되고, 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지게 형성되며, 중앙부분에는 빗물이 배출되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에는 빗물을 정화시키는 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는 그 상단이 상기 빗물 수집부의 하면에 고정되어 빗물 수집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의 측면에는 바닥에 가까운 위치에 이물질 배출배관이 연결되는 제1통로가 형성되고, 제1통로의 상측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배수 배관이 연결되는 제2통로가 형성되며, 집수조의 상단과 가까운 위치에 바이패스 배관이 연결되는 제3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
KR1020120133718A 2012-11-23 2012-11-23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 KR201400664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718A KR20140066462A (ko) 2012-11-23 2012-11-23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718A KR20140066462A (ko) 2012-11-23 2012-11-23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462A true KR20140066462A (ko) 2014-06-02

Family

ID=51123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718A KR20140066462A (ko) 2012-11-23 2012-11-23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6462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151B1 (ko) * 2015-12-30 2016-06-24 주식회사 코이스틸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CN109296025A (zh) * 2018-09-21 2019-02-01 浙江双林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智能环保移动卫生间的雨水处理装置
CN112814288A (zh) * 2020-12-30 2021-05-18 黄河水利委员会黄河水利科学研究院 一种节能环保城市屋面雨水调控装置
CN113789922A (zh) * 2021-09-08 2021-12-14 华能南京金陵发电有限公司 一种厂房防水排水设备
CN114108922A (zh) * 2021-12-08 2022-03-01 深圳市凯丰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装配方便的钢结构装配式建筑及其装配方法
CN115164318A (zh) * 2022-06-20 2022-10-11 深圳海油工程水下技术有限公司 一种屋内通风管道的集水装置
CN116145905A (zh) * 2023-02-15 2023-05-23 一鸣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绿色节能建筑及其施工方法
CN117230934A (zh) * 2023-10-13 2023-12-15 广州龙海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雨水收集功能的节能建筑材料构件屋顶结构
CN109296025B (zh) * 2018-09-21 2024-05-24 浙江双林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智能环保移动卫生间的雨水处理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151B1 (ko) * 2015-12-30 2016-06-24 주식회사 코이스틸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CN109296025A (zh) * 2018-09-21 2019-02-01 浙江双林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智能环保移动卫生间的雨水处理装置
CN109296025B (zh) * 2018-09-21 2024-05-24 浙江双林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智能环保移动卫生间的雨水处理装置
CN112814288A (zh) * 2020-12-30 2021-05-18 黄河水利委员会黄河水利科学研究院 一种节能环保城市屋面雨水调控装置
CN113789922A (zh) * 2021-09-08 2021-12-14 华能南京金陵发电有限公司 一种厂房防水排水设备
CN114108922A (zh) * 2021-12-08 2022-03-01 深圳市凯丰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装配方便的钢结构装配式建筑及其装配方法
CN115164318A (zh) * 2022-06-20 2022-10-11 深圳海油工程水下技术有限公司 一种屋内通风管道的集水装置
CN116145905A (zh) * 2023-02-15 2023-05-23 一鸣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绿色节能建筑及其施工方法
CN117230934A (zh) * 2023-10-13 2023-12-15 广州龙海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雨水收集功能的节能建筑材料构件屋顶结构
CN117230934B (zh) * 2023-10-13 2024-04-26 广州龙海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雨水收集功能的节能建筑材料构件屋顶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6462A (ko)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
US9518389B1 (en) Controlled flow roof drain
US10227781B2 (en) Drainage system and apparatus for treating runoff
JP2002371596A (ja) 雨水の有効利用システム
JP2010242372A (ja) 雨水貯留装置及びその集水筒
KR20130011103A (ko) 빗물관리시설장치
KR101415952B1 (ko) 배수트랩
KR20110029658A (ko) 오수받이
KR101576528B1 (ko) 베란다 우수관용 배수장치
EP2443291B1 (en) Drainage system having vortex brake
AU2009100093B4 (en) Self Flushing Leaf Filter
JP4948832B2 (ja) 側溝ブロック
JP2011038295A (ja) 雨水排水構造
JP2009062701A (ja) 樋配管システム
JP5713258B2 (ja) 洗濯機の洗濯水自動回収容器
JP4395019B2 (ja) 雨水利用システム
KR20120091683A (ko) 옥상 배수구 캡 및 이를 이용한 일시저류 가능한 옥상 구조물
JP2005330776A (ja) 雨水貯留装置及び該雨水貯留装置を用いた雨水貯留システム
JP5092689B2 (ja) 屋根排水装置
KR200431112Y1 (ko) 집수통용 트랩관
JP2012001949A (ja) 雨水貯溜及び流出抑制のためのタンク
JP3164667U (ja) 雨水取水継手
JPH072743Y2 (ja) 雨水貯留装置における取水濾過装置
KR200434871Y1 (ko) 하수도용 진공식 저류조 세척장치
KR101322306B1 (ko) 빗물 수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