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112Y1 - 집수통용 트랩관 - Google Patents

집수통용 트랩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112Y1
KR200431112Y1 KR2020060024016U KR20060024016U KR200431112Y1 KR 200431112 Y1 KR200431112 Y1 KR 200431112Y1 KR 2020060024016 U KR2020060024016 U KR 2020060024016U KR 20060024016 U KR20060024016 U KR 20060024016U KR 200431112 Y1 KR200431112 Y1 KR 2004311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sump
trap
pipe
trap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0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중
Original Assignee
권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중 filed Critical 권혁중
Priority to KR20200600240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1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1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1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집수통용 트랩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수통으로 유입되는 하수가 오버플로우 되면서 집수통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하수 내에 함유된 이물질 등이 걸러지도록 하는 집수통용 트랩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구성은 집수통(1) 내에 설치되는 트랩관(10)에 있어서, 상기 트랩관(10)은 하수가 배출되는 말단에 거름통(20)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배출부에 설치된 거름통에 의해 하수의 이물질이 걸러짐으로써 정화된 하수를 배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거름통의 수거와 장착이 손쉽게 이루어지므로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트랩관에 거름통을 설치할 수 있는 안착부를 형성함으로써, 일차적으로 이물질을 거른 후 배출부에서 이차적으로 이물질을 걸러 냄으로써, 더욱 정화된 하수를 배수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집수통, 오수, 우수, 하수, 거름, 안착, 고리

Description

집수통용 트랩관{Water traps}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용 트랩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용 트랩관에 단열재가 부착된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수통용 트랩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2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수통용 트랩관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집수통 2 - 하수관
10 - 트랩관 11 - 연결부
12 - 수직부 13 - 배출부
14 - 걸고리 15 - 안착부
20, 40 - 거름통 30 - 덮개
본 고안은 집수통용 트랩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수통으로 유입되는 하수가 오버플로우 되면서 집수통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하수 내에 함유된 이물질 등이 걸러지도록 하는 집수통용 트랩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수통은 일측에 설치된 유입관을 통해 하수가 유입되었다가 그 타측에 설치된 유출관을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관은 집수통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이 유입관에는 상향 절곡된 트랩관이 설치되어 하수가 오버플로우 되면서 집수통으로 유입되었다가 유출관을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트랩관에는 항상 하수의 일부가 담겨진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집수통 내의 악취가 하수관을 통해 가정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트랩관은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그대로 유입하였다가 그대로 배출함으로써 수질 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트랩관의 말단에 간편하게 장탈착 할 수 있는 거름통을 설치하여 집수통으로 유입되는 하수의 이물질을 손쉽게 걸러낼 수 있는 집수통용 트랩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트랩관의 하수 경로 상에서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거를 수 있도록 하는 트랩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집수통 내에 설치되는 트랩관에 있어서, 상기 트랩관은 하수가 배출되는 말단에 거름통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랩관은 하수가 배출되는 말단에 걸고리가 형성되고, 거름통의 손잡이가 상기 걸고리에 걸려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랩관은 함몰되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거름통이 안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은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용 트랩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용 트랩관은 집수통(1) 내에 설치되는 트랩관(10)에 있어서, 상기 트랩관(10)은 하수가 배출되는 말단에 거름통(20)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트랩관(10)은 하수관(2)과 연결되면서 하수가 유입되는 연결부(11)와, 상기 연결부(11)를 통해 유입된 하수를 상부로 오버플로우 되도록 안내하는 수직부(12)와, 상기 수직부(12)에 의해 오버플로우 되는 하수를 일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13)로 이루어진다. 즉, 수직부(12)를 중심으로 수직부(12)의 하부 일측에는 연결부(11)가 형성되고, 수직부(12)의 상부 일측으로 배출부(13)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11)를 통해 유입된 하수가 수직부(12)를 통해 오버플로우 되면서 배출부(13)를 통해 집수통(1) 내로 낙하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13)는 그 말단에 거름통(20)이 설치되는데, 상기 배출부(13)는 그 말단의 양측에 상향 절곡된 걸고리(14)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름통(20)은 상부가 개구된 함체로써 그 둘레에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구조를 갖으며, 그 상부에 손잡이(21)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거름통(20)의 손잡이(21)가 배출부(13)의 걸고리(14)에 끼워짐으로써 설치가 완료되고, 이와 반대로 손잡 이(21)를 들어올리는 방법에 의해 거름통(20)의 탈착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트랩관(10)의 수직부(12)는 그 상부에 보온 덮개(30)가 설치되어 하수 및 이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를 차단하고, 이에 따라 보온력이 증가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하수관(1)을 통해 하수가 유입되면, 하수관(1)과 연결된 트랩관(10)의 연결부(11)로 하수가 유입되고, 경사진 하수관(2)에 의해 수압이 발생되면, 수직부(12)를 통해 하수가 상승하면서 오버플로우 된다. 이때, 오버플로우 되는 하수는 배출부(13)를 통해 낙하 되는데, 배출부(13)의 말단에 설치된 거름통(20)으로 하수가 낙하 된다. 따라서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들은 거름통(20) 내에 걸러지게 되고, 하수는 집수통(20)의 배수공을 통과하여 낙하 됨과 동시에 집수통의 일측에 설치된 유출관을(3) 통해 배수된다.
그리고, 거름통(20)에 걸러져 담겨진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단순히 손잡이(21)를 들어올려 탈착한 후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다시 손잡이(21)를 배출부(13)의 걸고리(14)에 안착시켜 장착을 완료한다.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용 트랩관에 단열재가 부착된 단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랩관(10)의 둘레에 단열재(16)가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단열재(16)는 한 쌍의 대향되는 단열재(16)를 양측에서 부착하여 일체화된다. 이와 같이 단열재(16)가 부착된 트랩관(10)은 동절기에 트랩관(10) 내에 고인 하수가 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2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수통용 트랩관을 도시한 단면도이 고, 도 2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수통용 트랩관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랩관(10)은 하수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함몰되는 안착부(15)가 더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15)는 수직부(12)의 하부가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으로, 이 안착부(15)에 또 다른 거름통(40)이 추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하수관(1)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가 연결부(11)를 통과하여 수직부(12)를 거쳐 배출부(13)로 오버플로우 되는 과정에서 수직부(12)를 통해 이동되는 이물질이 자중에 의해 안착부(15)의 거름통(40)으로 침전된다. 즉, 유입되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안착부(15)의 거름통(40)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걸러지고, 배출부(13)에 설치된 거름통(20)에 의해서 이차적으로 걸러지기 때문에 더욱 정화된 하수를 배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거름통(40) 또한 단순히 안착부(15)에 안착되는 방법에 의해 설치된 것이기 때문에 손잡이(31)를 들어올리는 방법에 의해 탈착됨으로 매우 손쉽게 장탈착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용 트랩관은 배출부에 설치된 거름통에 의해 하수의 이물질이 걸러짐으로써 정화된 하수를 배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거름통의 수거와 장착이 손쉽게 이루어지므로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트랩관에 거름통을 설치할 수 있는 안착부를 형성함으로써, 일차적으 로 이물질을 거른 후 배출부에서 이차적으로 이물질을 걸러 냄으로써, 더욱 정화된 하수를 배수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집수통(1) 내에 하수관(2)과 연결되어 설치되는 트랩관(10)에 있어서,
    상기 트랩관(10)은 하수가 배출되는 말단에 거름통(2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통용 트랩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관(10)은 하수가 배출되는 말단에 걸고리(14)가 형성되고, 거름통(20)의 손잡이(21)가 상기 걸고리(14)에 걸려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통용 트랩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관(10)은 하수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함몰되는 안착부(15)가 형성되어 거름통(40)이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통용 트랩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관(10)은 그 둘레에 단열재(16)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통용 트랩관.
KR2020060024016U 2006-09-06 2006-09-06 집수통용 트랩관 KR2004311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016U KR200431112Y1 (ko) 2006-09-06 2006-09-06 집수통용 트랩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016U KR200431112Y1 (ko) 2006-09-06 2006-09-06 집수통용 트랩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112Y1 true KR200431112Y1 (ko) 2006-11-14

Family

ID=41779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016U KR200431112Y1 (ko) 2006-09-06 2006-09-06 집수통용 트랩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1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175B1 (ko) 이물질유입 방지용 맨홀
KR20140066462A (ko) 건물 옥상 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빗물받이 장치
KR20110006299A (ko) 교량 집수구의 오물 수거 장치
KR100683119B1 (ko)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KR200416118Y1 (ko) 우, 오수받이.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KR20210122428A (ko) 유지 및 침사 거름기능을 구비한 물받이
KR20080105855A (ko) 쓰레기 걸름 장치
KR200431112Y1 (ko) 집수통용 트랩관
KR100976853B1 (ko) 집수정
KR200385714Y1 (ko) 하수용 침전조
KR200255619Y1 (ko) 배수처리 집수조 구조
KR200327344Y1 (ko) 착탈식 배수트랩
JP5033406B2 (ja) 雨水流出抑制施設
KR20160121676A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07408U (ko) 스틸그레이팅 용 배수캡
JP4395019B2 (ja) 雨水利用システム
JP2005273354A (ja) 排水溝や排水桝のごみ受け籠
JP2011038241A (ja) 雨水分流枡
KR20110005094U (ko) 집수정
KR200364602Y1 (ko) 악취역류 차단 오수받이
KR200446872Y1 (ko) 하수구의 배출구조
CN203842376U (zh) 一种水箱内部的杂物过滤结构
KR101288605B1 (ko) 잔류수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RU13385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ема поверхностных вод на заиливаемых участках канализационной сети водоотвед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