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714Y1 - 하수용 침전조 - Google Patents

하수용 침전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714Y1
KR200385714Y1 KR20-2005-0003964U KR20050003964U KR200385714Y1 KR 200385714 Y1 KR200385714 Y1 KR 200385714Y1 KR 20050003964 U KR20050003964 U KR 20050003964U KR 200385714 Y1 KR200385714 Y1 KR 2003857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ipe
main body
filter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9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김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영 filed Critical 김태영
Priority to KR20-2005-00039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7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7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7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하수용 침전조는 양쪽에 구멍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상부를 닫게 되는 덮개, 상기 본체의 한쪽 구멍에 설치되는 하수배출관,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다른쪽 구멍에 설치되는 하수유입관, 상기 하수유입관의 수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에 하수유입관을 고정하는 너트체, 표면에 다수의 그릴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여과체, 상기 하수유입관과 너트체 중의 어느 하나에 착탈석으로 설치되어 상기 여과체의 내부 아래로 하수를 안내하는 파이프, 상기 하수유입관과 너트체 중의 어느 하나와 파이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를 착탈시키는 착탈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하수를 안내하는 파이프를 간편하게 분리하기 때문에 파이프에 의해 분리될 수 없는 여과체를 본체로부터 꺼낼 수 있어 여과체 내의 잔존물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제1여과체와 제2여과체를 이용하여 하수를 단계적으로 여과하기 때문에, 하수의 여과기능과 잔존물을 분리 기능이 용이하게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하수용 침전조{SETTLING TANK FOR SEWER}
본 고안은 하수구에 설치되는 하수용 침전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포집함과 더불어 내부에 충전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수기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용 침전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전조는 가정의 하수구에 설치되거나 하수구의 하수구뚜껑 아래에 설치되며, 가정의 생활하수, 외부에서 유입되는 빗물 등에 혼합된 토사나 쓰레기 등을 침전 또는 여과하게 된다.
그래서 종래에는 용기 형상의 본체의 양쪽에 형성된 구멍에 ㄱ자 형상의 파이프를 고정 설치하게 되며, 여과 기능을 향상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여과체를 배치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침전조는 파이프를 통하여 본체의 내부에 하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하수에 있는 잔존물 즉 토사, 쓰레기, 부유물 등이 여과체에 의하여 본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잔존물이 여과된 하수가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하나의 여과체가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여과 기능을 실현하기 때문에 여과체의 표면에 걸려진 부유성 잔존물에 의해 하수의 흐름이 쉽게 방해받아서 하수의 막힘이 쉽게 발생하게 되며, ㄱ자 형상의 파이프의 단부가 여과체 내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여과체 내의 잔존물의 외부로 분리할 때에 작업자가 여과체 만을 본체로부터 들어올릴 수 없어서 작업자가 직접 여과체 내의 잔존물을 외부로 꺼내므로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 내부의 여과체를 쉽게 들어올리도록 함으로써 여과기능과 잔존물의 분리 기능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용 침전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쪽에 구멍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상부를 닫게 되는 덮개, 상기 본체의 한쪽 구멍에 설치되는 하수배출관,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다른쪽 구멍에 설치되는 하수유입관, 상기 하수유입관의 수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에 하수유입관을 고정하는 너트체, 표면에 다수의 그릴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여과체, 상기 하수유입관과 너트체 중의 어느 하나에 착탈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여과체의 내부 아래로 하수를 안내하는 파이프, 상기 하수유입관과 너트체 중의 어느 하나와 파이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를 착탈시키는 착탈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용 침전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하수용 침전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침전조는 양쪽에 구멍(1a,1b)을 각각 구비한 본체(1)의 상부 개구부를 덮개(2)가 개폐하는 공지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상기 본체(1)의 한쪽 구멍(1a)에 하수배출관(3)이 설치되고, 단부에 수나사부(4a)를 구비한 하수유입관(4)이 상기 본체(1)의 다른쪽 구멍(1b)에 설치된다.
상기 하수유입관(4)의 수나사부(4a)에는 너트체(5)가 체결되어 상기 본체(1)에 하수유입관(4)을 고정하게 된다.
표면에 다수의 그릴부를 구비한 여과체(6)가 상기 본체(1)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여과체(6)의 내부 아래로 하수를 안내하는 파이프(7)가 상기 하수유입관(4)과 너트체(5) 중의 어느 하나에 착탈식으로 설치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상기 하수유입관(4)과 너트체(5) 중의 어느 하나와 파이프(7)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7)를 착탈시키는 착탈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파이프(7)에 의하여 방해되는 여과체(6)의 분리 작업을 간편하게 한다.
한편 상기 본체(1)의 크기에 따라 다수의 여과체(6)를 구비할 수 있으며, 특히 여과체(6)의 여과 기능과 잔존물의 분리 기능을 향상하기 위하여, 상기 여과체(6)는 제1여과체(61)와 제2여과체(62)로 분리 구성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여과체(61)는 둘레면에 그릴부(61a)를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7)의 단부가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하수유입관(4)을 통하여 파이프(7)로 유입되는 하수 내의 잔족물 중에 모래 등과 같이 무게가 큰 잔존물이 내장됨과 더불어 일차적으로 잔존물을 여과하게 된다.
상기 제2여과체(62)는 상기 제1여과체(61)의 상부에 위치하는 관통구(62a)를 형성함과 더불어 둘레면에 그릴부(62b)를 형성하여 상기 제1여과체(61)에서 월류하는 하수를 2차로 여과하게 되는 바, 상기 제1여과체(61)에서 월류하는 잔존물 즉 부유성 잔존물을 여과하게 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여과되는 잔존물의 양이 많기 때문에 상기 파이프(7)의 위치와 관련없이 외부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른 한편 일 예로서 상기 착탈수단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수유입관(4)의 단부에 제1설치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설치홈(11)에 착탈되는 삽입확장부(12a)를 구비한 착탈체(12)가 상기 파이프(7)의 단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른 예로서 상기 착탈수단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수유입관(4)에 체결되는 너트(5)의 한쪽 면에 제2설치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설치홈(11a)에 착탈되는 삽입확장부(12a)를 구비한 착탈체(12)가 상기 파이프(7)의 단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파이프(7)에 고정된 착탈체(12)의 삽입확장부(12a)가 상기 제1설치홈(11) 또는 제2설치홈(11a)에 착탈되기 때문에, 파이프(7)를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제1여과체(61)를 본체(1) 외부로 들어올려서 제1여과체(61) 내의 잔존물을 간편하게 비울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본 고안에서는 두 개의 여과체를 본체에 배치하는 구조이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다수의 여과체를 본체에 배치하여 여과기능을 향상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하수용 침전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가정에서 배출하는 하수, 식당에서 배출하는 하수, 목욕탕에서 배출하는 하수, 하수구를 통하여 흐르게 되는 하수 등이 하수유입구(4)와 파이프(7)를 통하여 본체(1) 내부로 유입되면, 제1여과체(61)에 의해 침전되는 잔존물이 여과되고, 상기 제1여과체(61)를 월류하는 하수가 제2여과체(62)의 관통구(62a)를 통하여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여과체(62)에 유입되는 하수는 침전성 잔존물이 어느 정도 제거된 상태이므로, 부유성 잔존물을 함유하고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여과체(62)에 의해 부유성 잔존물이 여과되고, 잔존물이 여과된 하수가 본체(1)에 설치된 하수배출구(3)를 통하여 유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통상적인 하수에는 부유성 잔존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므로, 제2여과체(62) 내부에 있는 잔존물을 분리할 때 제2여과체(62)를 본체(1)로부터 들어올려서 잔존물 내의 물기를 제거하여 쓰레기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특히 제1여과체(61) 내부에 있는 침전성 잔존물이 많이 존재하게 되면 작업자가 착탈체(12)를 잡고 위로 들어올려서 파이프(7)를 본체(1)의 내부로부터 분리한 뒤, 제1여과체(61)를 본체(1)로부터 들어올려서 제1여과체(61) 내의 잔존물을 비울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본 고안에 의한 하수용 침전조는 하수를 단계적으로 여과할 수 있고, 본체 내부에 위치한 여과체를 간편하게 들어올려서 여과체 내의 잔존물을 간편하게 분리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하수용 침전조는 하수를 안내하는 파이프를 간편하게 분리하기 때문에, 파이프에 의해 분리될 수 없는 여과체를 본체로부터 꺼낼 수 있어 여과체 내의 잔존물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여과체와 제3여과체를 이용하여 하수를 단계적으로 여과하기 때문에, 하수의 여과기능과 잔존물을 분리 기능이 용이하게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하수용 침전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하수용 침전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 2의 B부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하수용 침전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 2의 B부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덮개
3 : 하수배출관 4 : 하수유입관
4a : 수나사부 5 : 너트체
6 : 여과체 7 : 파이프
11,11a : 제1, 제2설치홈 12 : 착탈체
12a : 삽입확장부 61,62 : 제1,제2여과체

Claims (4)

  1. 양쪽에 구멍이 형성된 본체(1),
    상기 본체(1)의 상부 개구부에 상부를 닫게 되는 덮개(2),
    상기 본체(1)의 한쪽 구멍(1a)에 설치되는 하수배출관(3),
    단부에 수나사부(4a)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의 다른쪽 구멍(1b)에 설치되는 하수유입관(4),
    상기 하수유입관(4)의 수나사부(4a)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1)에 하수유입관(4)을 고정하는 너트체(5),
    표면에 다수의 그릴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의 내부에 배치되는 여과체(6),
    상기 하수유입관(4)과 너트체(5) 중의 어느 하나에 착탈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여과체(6)의 내부 아래로 하수를 안내하는 파이프(7),
    상기 하수유입관(4)과 너트체(5) 중의 어느 하나와 파이프(7)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7)를 착탈시키는 착탈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용 침전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체(6)는 둘레면에 그릴부(61a)를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7)의 단부가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제1여과체(61), 상기 제1여과체(61)의 상부와 나란하게 관통구(62a)를 형성함과 더불어 둘레면에 그릴부(62b)를 형성하여 상기 제1여과체(61)에서 월류하는 하수를 2차로 여과하는 제2여과체(62)로 이루어지는 하수용 침전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하수유입관(4)의 단부에 제1설치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설치홈(11)에 착탈되는 삽입확장부(12a)를 구비한 착탈체(12)가 상기 파이프(7)의 단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하수구용 침전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하수유입관(4)에 체결되는 너트(5)의 한쪽 면에 제2설치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설치홈(11a)에 착탈되는 삽입확장부(12a)를 구비한 착탈체(12)가 상기 파이프(7)의 단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하수구용 침전조.
KR20-2005-0003964U 2005-02-11 2005-02-11 하수용 침전조 KR2003857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964U KR200385714Y1 (ko) 2005-02-11 2005-02-11 하수용 침전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964U KR200385714Y1 (ko) 2005-02-11 2005-02-11 하수용 침전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714Y1 true KR200385714Y1 (ko) 2005-06-02

Family

ID=43687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964U KR200385714Y1 (ko) 2005-02-11 2005-02-11 하수용 침전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71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511B1 (ko) * 2016-04-28 2016-12-13 김태영 생활 하수 유수 분리 여과조
KR101796531B1 (ko) * 2017-04-11 2017-11-10 (주)오택 생활 하수 다단 유수 분리 여과조
KR20210070055A (ko) 2019-12-04 2021-06-14 (주)오택 생활 하수 다단 유수 분리 여과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511B1 (ko) * 2016-04-28 2016-12-13 김태영 생활 하수 유수 분리 여과조
KR101796531B1 (ko) * 2017-04-11 2017-11-10 (주)오택 생활 하수 다단 유수 분리 여과조
KR20210070055A (ko) 2019-12-04 2021-06-14 (주)오택 생활 하수 다단 유수 분리 여과조
KR20220050108A (ko) 2019-12-04 2022-04-22 (주)오택 생활 하수 다단 유수 분리 여과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7757B1 (en) Storm drain filter with vertical screens
KR101286960B1 (ko) 침전 및 여과 일체형 우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저류 시스템
KR20070098971A (ko) 도로의 강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시설(SH System)
KR102030363B1 (ko) 빗물 수집 시스템
KR200385714Y1 (ko) 하수용 침전조
KR20090087525A (ko) 오수정화용 여과시스템
KR100735056B1 (ko) 정화조
KR101129480B1 (ko) 다용도 맨홀용 침전조
KR100853253B1 (ko) 주방용 오폐수 수집 장치
KR100662520B1 (ko) 강우수 정화장치
KR101710061B1 (ko) 기름 및 음식찌꺼기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102118557B1 (ko) 우수의 처리를 위한 여과 장치
KR20100122373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CN201940076U (zh) 新型油水分离器
KR101158632B1 (ko)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20100122372A (ko) 협잡물 거름 원통형 스크린을 구비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457657B1 (ko) 슬러지 농축저류 장치
KR200167095Y1 (ko) 우수 및 오수받이 겸용 맨홀
KR101194025B1 (ko) 배수구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JP2005211809A (ja) 沈砂分離装置
KR101052546B1 (ko) 측구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883616B1 (ko) 협잡물 거름용 스크린을 구비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CN205557804U (zh) 外式管路污水提升装置
KR101822469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기 우수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