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7525A - 오수정화용 여과시스템 - Google Patents

오수정화용 여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7525A
KR20090087525A KR1020080012802A KR20080012802A KR20090087525A KR 20090087525 A KR20090087525 A KR 20090087525A KR 1020080012802 A KR1020080012802 A KR 1020080012802A KR 20080012802 A KR20080012802 A KR 20080012802A KR 20090087525 A KR20090087525 A KR 20090087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filter
filtration
filtering
filt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9945B1 (ko
Inventor
김원주
Original Assignee
(주)이알코리아개발
김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알코리아개발, 김원주 filed Critical (주)이알코리아개발
Priority to KR1020080012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945B1/ko
Publication of KR20090087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를 여과시키는 오수정화용 여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분료나 쓰레기등이 섞여 있는 오물을 순차적으로 여과시켜 정화된 오수를 하천이나 공공수역으로 배출토록 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오수정화용 여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던 여과장치는 단순히 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물을 유수분리통에 수집하여 제거하는 목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유수분리통의 착탈의 번거러움과, 유수분리통의 크기에 한정으로 장마철과 같은 많은 양의 오수를 제대로 여과시키지 못하였던 바, 본 발명은 여과장치의 여과부를 다수로 분할하고, 여과통을 다수개로 형성시킴으로써, 장마철과 같이 많은 양의 오수가 유입되어 오물이 증착되더라도 다른 여과부와 여과통이 오수를 여과, 정화시켜 원활히 배수가 되도록 수행하며, 또한, 다수개로 구성된 여과통으로 여과장치를 사용처에 따라 부피를 크거나 작게 형성할 수 있으며, 여과장치의 오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오수정화용 여과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오수정화, 여과부, 여과통, 여과부재, 격벽, 수용부, 하부배수로

Description

오수정화용 여과시스템 {Filtration system for sewage purification}
본 발명은 오수를 여과시키는 오수정화용 여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료나 쓰레기등이 섞여 있는 오물을 순차적으로 여과시켜 정화된 오수를 하천이나 공공수역으로 배출토록 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오수정화용 여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에는 일반가정이나 음식점, 숙바업소등에서 발생되는 유기물, 질소, 인등이 함유된 생활오수와 도로상 특히, 교량등에서 집수되는 담배꽁초등의 쓰레기가 섞여서 하천이나 공공수역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각종의 유기물, 질소, 인등을 정화하고, 도로상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등을 여과시킨 오수를 하천이나 공공수역으로 배출하여 자연훼손 및 수질오염을 방지하는데 많은 여과장치들이 개발되는 실정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오수 여과장치는 실용신안등록 제225625호에 소개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측 상부에 유입구(110a)가 마련되고, 타측 하부에는 상기 유입관측에 연결 설치되기 위한 배출구(110b)가 구비된 소정체적의 본체(110)와, 본체(11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대(120)와, 받침대(120)상에 탈착 가능하게 손잡이(130a)가 구비되고 있다.
그리고 일측 하부 모퉁이에 지지 돌축턱이 형성되며, 바닥면과 측면이 망 형태로 고형물을 수집하는 유수분리통(130)과, 상기 유수분리통(130)상부 일단에 일단이 탄력 지지되도록 걸림턱(140a)을 갖고, 타단은 본체(110)의 내측 유입구(110a) 하측에 부착 설치되어 호형상을 이루어 오물을 유수분리통(130)으로 안내시키기 위한 제 1여과판(140)과, 상기 유수분리통(130)으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최종적으로 오수에 포함된 유분을 걸러주는 제 2여과판(1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오수 여과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유입된 오수는 제 1여과판에 걸쳐 물은 아래로 흐르고 오물은 유수분리통으로 수집된다. 계속해서 제 1여과판과 유수분리통해 빠져나온 오수는 제 2여과판에서 다시 한번 오물을 여과시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오물 특히 낙엽이나 휴지등과 같이 넓은 면적을 포함하는 오물이 다량으로 유입되면 제 1여과판과 유수분리통에 증착되어 오수를 하측으로 배출이 되지않아 제 2여과판으로 넘쳐 흐르게 되고 제 2여과판 역시 상기와 같이 오물이 증착되면 오수가 여과장치를 통과되지 못하고 여과장치에서 넘쳐 흐르게 되거나 역류 되어 배수가 원할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과, 상기 제 1여과판의 걸림턱과 받침대에 설치되는 유수분리통의 착탈이 번거러운 문제점과, 교량과 같이 부피가 큰 시설물에 설치되는 여과장치는 한 개소로 설치되는 유수분리통은 많은 양을 수집하기 위해서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지는 문제로 설치공간에 제악을 받을 수 있으며, 크기 에 비례하여 무게 또한 무거워져 수집된 오물을 제거하기가 곤란한 문제로 인해 다른 크레인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유수분리통을 분리하여야 하는 문제가 추가로 발생 되며 그에 따른 시설관리 비용도 또한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정이나, 교량등의 도로상에서 발생 되는 오물을 포함하는 오수를 1차로 분리시켜 오물을 수집하고, 2차로 유기물, 질소, 인등을 여과, 정화된 오수를 하천이나 공공수역으로 배출시켜 수질오염 및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여과장치의 여과부를 다수로 분할하고, 여과통을 다수개로 형성시킴으로써, 장마철과 같이 많은 양의 오수가 유입되어 오물이 여과부에 증착되더라도 다른 여과부와 여과통이 오수를 여과, 정화시켜 원활히 배수가 되도록 수행하며, 또한, 다수개로 구성된 여과통으로 여과장치를 사용처에 따라 부피를 크거나 작게 형성할 수 있으며, 여과장치의 오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오수정화용 여과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내부에 오수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 유입관이 설치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측 하부에는 배출관이 설치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개구된 상부에는 개폐가능하게 덮개가 설치되며, 수용부에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설치공이 형성된 상판과, 상판의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고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하부 배수로로 오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하판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 유입구에는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오수를 1차로 여과하는 제1여과부와, 상기 수용부를 분할되게 수직으로 설치되어 오수가 2차로 여과되는 제2여과부와 제3여과부로 분할시키되, 측면 상부에는 제2여과부로부터 수용된 오수가 넘쳐 제3여과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3여과부의 일측에도 상기 하부배수로와 합류되는 측면배수로와 연통 되는 배수공이 측면 상부에 형성된 격벽과, 상기 상판의 다수로 형성된 설치공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오수를 정화하는 여과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오수정화용 여과시스템에 따르면, 가정이나 업소 및 교량 등의 도로상에서 발생되는 오수의 오물을 단계적으로 즉, 오물을 수집하는 제1여과부와, 오수를 여과, 정화하는 제2여과부를 거쳐 하부배수로로 유입되어 배출되도록 하고, 많은 양의 오수가 유입되면 상기 제1여과부와, 제2여과부에서 수용하지 못한 오수는 제3여과부로 이동되어 여과, 정화가 되고, 본체의 수용부에서 수용할 수 없을 정도의 과다한 양의 오수는 여과하지 않고 흘러보낼 수 있도록 하부배수로와 측면배수로를 구성시켜 홍수 등에 의해 여과장치가 오물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하여 제2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여과통을 다수개로 구성시킴으로써, 오물이 가득채워 졌거나 교체시기가 된 정화부재가 수납 적층된 여과통만 꺼내어 용이하게 오물제거 및 정화부재를 교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시설 관리비용도 적게 소요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가 여과부를 통과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을 분리 도시한 반단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을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반단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가정 등에서의 생활오수나 교량등의 도로상에서 집수구를 통해 집수된 오수가 유입되도록 내부에 오수를 수용하는 수용부(2)가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 유입관(110a)이 설치되는 유입구(4)가 형성되며, 타측 하부에는 배출관(110b)이 설치되는 배출구(5)가 형성되고, 개구된 상부에는 각각의 힌지를 중심으로 양문이 여닫이 형태로 개폐되는 손잡이가 형성된 덮개(3)가 설치된다.
그리고 수용부(2)에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설치공(6a)이 형성된 상판(6)과, 상판(6)의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고 다수의 배출공(7a)이 형성되어 하부배수로(8)로 오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하판(7)으로 이루어진 본체(1)와, 상기 수용부(2)의 상부 유입구(4)에는 유입관(110a)으로부터 유입된 오수를 1차로 여과하는 제1여과부(10)와, 상기 수용부(2)를 분할되게 수직으로 설치되어 오수가 2차로 여과되는 제2여과부(20)와 제3여과부(30)로 분할시키되, 측면 상부에는 제2여과 부(20)로부터 수용된 오수가 넘쳐(overflow) 제3여과부(30)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3여과부(30)의 일측에도 제3여과부(30)에서 처리할 수 없을 만큼의 오수가 유입되면 넘쳐(overflow)서 상기 하부배수로(8)와 합류되는 측면배수로(8a)와 연통 되는 배수공(42)이 측면 상부에 형성된 격벽(40)과, 상기 상판(6)의 다수로 형성된 설치공(6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오수를 정화하는 여과통(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여과부(10)는 유입관(110a)으로 유입되는 비교적 부피가 큰 오물이 걸러지도록 바닥에는 다수의 여과공(14)이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는 제1여과부(10)에서 처리하지 못한 오수가 넘쳐(overflow) 제2여과부(20)로 유입되도록 하는 배수공(12)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2)에 형성된 받침대(11a)에 안착 설치되는 함체(11)로 이루어져, 오물을 수집한 함체(11)를 본체(1)로부터 꺼내어 용이하게 오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1여과부(10)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수용부(2)의 제2여과부(20) 및 제3여과부(30)에 구성된 상판(6)의 설치공(6a)에 설치되는 여과통(50)은 개방된 상부에 제1여과부(10)에 걸러진 오물보다 비교적 작은 오물이 걸러지는 다수의 여과공(52a)이 형성되고, 운반가능하게 손잡이(52b)가 형성된 뚜껑(52)과 나사결합이나 볼트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몸체(51)의 하부측 둘레에는 망체(51a)를 형성시켜 몸체에서 한 번더 오물을 걸러 수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첨부된 도면 도 5에서와 같이, 여과통(50)의 내부에는 오수를 정화하는 여과부재(60) 즉, 필터, 활성탄, 숯, 모래 등등을 순차적으로 수납 적층시켜 정 화된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첨부된 도면 도 6에서와 같이, 여과통(50)의 망체(51a)를 통과한 오수를 한 번 더 걸러주는 여과필터(70)를 상기 여과통(50)의 몸체(51) 외주연에 설치하여 맑게 정화된 오수를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더 나아가, 제1여과부(10)의 바닥에 형성된 여과공(14)을 통과한 오수 및 제2여과부(20)를 넘쳐 제3여과부(30)에 유입되는 오수는 그 직하부에 먼저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그 직하부에 위치한 여과통(50)의 뚜껑(52)에는 오물이 다른 위치의 여과통(50)보다 그 많은 양이 쌓이게 되어 그 기능의 수행능력이 저하된다.
그리하여 첨부된 도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제1여과부(10)를 통과한 오수가 도달되는 제2여과부(20)의 상판(6)과 상기 제2여과부(20)에서 오수가 넘쳐 도달되는 제3여과부(30)의 상판(6)을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6b)를 형성시킴으로써, 상부측에 설치된는 여과통(50)의 뚜껑(52)에 쌓인 오물을 유속에 의해 하부측으로 이동되게 하여 다수의 여과통(50)의 뚜껑(52)과 몸체(51) 내부에 수집되는 오물이 포함된 오수가 고르게 분포되어 여과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정이나 교량과 같은 도로상의 집수구를 거쳐 유입관(110a)으로 오수가 이송되어 본체(1)의 수용부(2)에 형성된 제1여과부(10)에 유입된다. 상기 제1여과부(10)에 유입된 오수는 제1여과부(10)의 바닥에 형성된 여과공(14)을 통과하면서 비교적 부피가 큰 오물은 수집되고 오수는 제2여과부(20)로 유입된다.
이때, 제1여과부(10)에 상기 제1여과부(10)의 함체(11)에 수용할 수 있는 양보다 많은 양의 오수가 유입되면 유입관(110a)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되어 오수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하여 많은 양의 오수가 제1여과부(10)로 유입되면 바닥의 여과공(14)을 통과하지 못한 오수는 측면 상부에 형성된 배출공(12)을 통해 넘쳐(overflow)서 바로 제2여과부(20)로 유입된다.
이렇게 제2여과부(20)로 유입된 오수는 상기 제2여과부(20)의 상판(6)에 설치된 다수의 여과통(50) 몸체(51)의 내부로 뚜껑(52)의 여과공(52a)을 통해 유입된다. 유입된 오수는 여과통(50)의 몸체(51)에 형성된 망체(51a)에 의해 오물을 수집하고 오수만 통과되거나, 다수로 적층된 여과부재(60)를 통과하여 정화된 오수가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여과통(50)의 망체(51a)를 통과한 오수는 다시 여과통(50)의 몸체(51) 외주연에 설치된 여과필터(70)를 통과함으로써, 여과부재(60)가 설치되지 않은 여과통(50)을 통과한 오수를 정화할 수 있으며, 여과부재(60)가 설치된 여과통(50)을 통과되는 오수는 한 번더 여과되어 그 정화상태가 우수해진다.
이때, 제2여과부(20)에서 오수를 처리하지 못하고 오수가 차게되면 격벽(40)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 배수공(42)을 통해 넘친(overflow) 오수가 제3여과부(30)로 유입되며, 제3여과부(30)에서 처리하지 못한 오수는 다시 일측에 형성된 격벽(40)의 배수공(42)과 연통된 측면배수로(8a)로 유입된다.
이렇게 통과된 오수는 제2여과부(20)와 제3여과부(30)의 하판(7)에 천공된 배출공(7a)을 통해 하부배수로(8)로 유입되고 측면배수로(8a)의 오수와 합류된 여 과, 정화된 오수는 배출구(5)에 설치된 배출관(110b)을 통해 유출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여과시스템에 수집된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본체(1)의 덮개(3)를 개방시키고, 제1여과부(10)를 수용부(2)로부터 꺼내어 오물을 제거하고, 그 하부에 위치한 제2여과부(20)와 제3여과부(30)의 여과통(50)을 꺼내어 뚜껑(52)을 열고 오물제거 및 여과부재를(60) 교체하며, 수용부(2)에 설치된 상판(6)과 하판(7)에 수집된 오물을 제거한 후, 상기 분리의 역순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여과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가 여과부를 통과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을 분리 도시한 반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을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반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본체.........1 수용부........2
덮개.........3 상판..........6
하판.........7
하부배수로...8 측면배수로....8a
제1,제2,제3여과부...10,20,30
격벽........40 여과통........50
여과부재....60

Claims (7)

  1. 내부에 오수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 유입관이 설치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측 하부에는 배출관이 설치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개구된 상부에는 개폐가능하게 덮개가 설치되며, 수용부에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설치공이 형성된 상판과, 상판의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고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하부배수로로 오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하판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 유입구에는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오수를 1차로 여과하는 제1여과부와;
    상기 수용부를 분할되게 수직으로 설치되어 오수가 2차로 여과되는 제2여과부와 제3여과부로 분할시키되, 측면 상부에는 제2여과부로부터 수용된 오수가 넘쳐 제3여과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3여과부의 일측에도 상기 하부배수로와 합류되는 측면배수로와 연통 되는 배수공이 측면 상부에 형성된 격벽과;
    상기 상판의 다수로 형성된 설치공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오수를 정화하는 여과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정화용 여과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부는 유입구로 유입되는 오물이 걸러지도록 바닥에는 다수의 여과공이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형성된 받침대에 안착 설치되는 함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정화용 여과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제2여과부 및 제3여과부에 구성된 상판의 설치공에 설치되는 여과통은 개방된 상부에 다수의 여과공이 형성되고, 손잡이가 형성된 뚜껑과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 몸체의 하부측 둘레에는 망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정화용 여과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여과통의 내부에는 오수를 정화하는 여과부재가 순차적으로 수납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정화용 여과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여과통의 망체를 통과한 오수를 한 번 더 걸러주는 여과필터가 상기 여과통의 몸체 외주연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정화용 여과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여과통의 망체를 통과한 오수를 한 번 더 걸러주는 필터가 외주연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정화용 여과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부를 통과한 오수가 도달되는 제2여과부의 상판과 상기 제2여과부에서 오수가 넘쳐 도달되는 제3여과부의 상판을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정화용 여과시스템.
KR1020080012802A 2008-02-13 2008-02-13 오수정화용 여과처리장치 KR100959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802A KR100959945B1 (ko) 2008-02-13 2008-02-13 오수정화용 여과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802A KR100959945B1 (ko) 2008-02-13 2008-02-13 오수정화용 여과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525A true KR20090087525A (ko) 2009-08-18
KR100959945B1 KR100959945B1 (ko) 2010-05-26

Family

ID=41206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802A KR100959945B1 (ko) 2008-02-13 2008-02-13 오수정화용 여과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9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245B1 (ko) * 2010-08-23 2013-10-15 김영운 음식물오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종합오수처리장치
CN103570152A (zh) * 2013-10-23 2014-02-12 冯国亮 餐饮油水分离装置及其分离方法
CN112591814A (zh) * 2020-11-25 2021-04-02 湖南大有节能环保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维修的集装箱一体化污水处理设备
CN113198233A (zh) * 2021-05-07 2021-08-03 中节能兆盛环保有限公司 一种过滤管网板格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290B1 (ko) * 2014-08-11 2016-02-29 박성배 폐수 여과 장치
KR101710061B1 (ko) 2015-06-29 2017-02-24 세광건설 주식회사 기름 및 음식찌꺼기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20170002163A (ko) 2015-06-29 2017-01-06 세광건설 주식회사 기름 및 음식찌꺼기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102304411B1 (ko) * 2020-10-23 2021-10-01 (주)보선워터텍 섬유볼을 활용한 이동식 상수도관 세척폐수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3811B1 (en) 2002-04-10 2004-09-21 Charles R. Fleischmann Runoff drain filter with separately removable cartridges
KR100402625B1 (en) * 2003-02-18 2003-10-17 Bluegrenlink Co Ltd Apparatus for purifying runoff
US7799235B2 (en) * 2004-07-23 2010-09-21 Contech Stormwater Solutions, Inc. Fluid filter system and related method
KR100854314B1 (ko) 2008-01-02 2008-08-26 (주) 한길산업 초기우수 처리시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245B1 (ko) * 2010-08-23 2013-10-15 김영운 음식물오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종합오수처리장치
CN103570152A (zh) * 2013-10-23 2014-02-12 冯国亮 餐饮油水分离装置及其分离方法
CN112591814A (zh) * 2020-11-25 2021-04-02 湖南大有节能环保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维修的集装箱一体化污水处理设备
CN113198233A (zh) * 2021-05-07 2021-08-03 中节能兆盛环保有限公司 一种过滤管网板格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9945B1 (ko)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56133A1 (en) Partitioned separator water treatment system with upflow filter
KR100959945B1 (ko) 오수정화용 여과처리장치
KR100734578B1 (ko)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905693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100896015B1 (ko)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KR101002809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003477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344852B1 (ko) 다단의 교체형 필터 카트리지를 이용한 빗물 처리장치
KR20160071050A (ko) 빗물받이에 장착되어 비점오염원 제거 및 악취 및 침수예방이 가능한 여과형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794124B1 (ko)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10091331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842653B1 (ko) 유수통공이 형성된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RU254832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монтируемое в канализационном колодце
KR101754123B1 (ko) 오일성분의 포집이 가능한 교량용 다단계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20100122373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710061B1 (ko) 기름 및 음식찌꺼기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100662520B1 (ko) 강우수 정화장치
KR101799513B1 (ko)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1940779B1 (ko) 다기능 스크린모듈이 적용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2118557B1 (ko) 우수의 처리를 위한 여과 장치
KR101291606B1 (ko) 와류 챔버를 포함하는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177714B1 (ko)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RU13938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монтируемое в канализационном колодце
KR20100122372A (ko) 협잡물 거름 원통형 스크린을 구비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