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124B1 -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124B1
KR101794124B1 KR1020170013754A KR20170013754A KR101794124B1 KR 101794124 B1 KR101794124 B1 KR 101794124B1 KR 1020170013754 A KR1020170013754 A KR 1020170013754A KR 20170013754 A KR20170013754 A KR 20170013754A KR 101794124 B1 KR101794124 B1 KR 101794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in body
filter
inflow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규
장석환
Original Assignee
황성규
(주)티스페이스
장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규, (주)티스페이스, 장석환 filed Critical 황성규
Priority to KR1020170013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1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도로 및 교량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배수구에 설치하여 초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배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로부터 오물을 분리시키는 유입분리부와, 상기 유입분리부에 의해 오물이 제거된 우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시키는 여과부와, 상기 유입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오물이 투입되는 수용부 및, 상기 유입분리부와 여과부 및 수용부가 설치되는 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본 발명은 도로 및 교량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배수구에 설치하여 초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천시 교량에 설치된 배수구를 통해 우수와 함께 오염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시켜 수자원의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대체적으로 하수, 폐수, 가축분뇨와 같이 오염원의 발생 및 추적이 용이한 점오염원에 대한 처리를 통해 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주된 수질관리의 정책방향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화의 진행에 따라 토지 이용이 다양화되고 고도화되면서 비점오염원이 증가되면서, 상기와 같은 점오염원을 중심으로 하는 수질관리만으로는 수자원의 오염을 방지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비점오염원이라 함은 다양한 토지이용 형태를 통해 강우 시 유출되는 유출수에 의하여 하천 등의 공공수역에 유입되는 오염원을 말하는 것으로서, 관리 및 처리가 용이하지 아니하며, 이러한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이 하천이나 호수에 직접 유입되는 경우 상수원수의 수질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도로나 교량의 포장면에 쌓이는 오염물은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중금속, 예컨대 아연과 납 등의 오염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비점오염물이 하천등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및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예의 하나로 '교량용 초기우수 비점오염 정화 장치'라는 발명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39617호를 통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비점오염 정화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슬래브(10)의 집수구(12)의 하방에서 분기되어 연결되어 있는 초기우수 집수관(20) 및 후속강우 배수관(22)과; 상기 초기우수 집수관(20) 통하여 배출되는 초기우수를 일정 높이까지 집수할 수 있는 비점오염정화조(26)와; 비점오염정화조(26)의 내부에 설치되어 초기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킨 후 교량 배수관(14)으로 배출시키는 비점오염필터장치(30)와; 상기 집수구(12)에서 유입된 강우의 배출 유로를 결정하여 초기우수 집수관(20)과 후속강우 배수관(22)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흐르도록 하는 우수 방향밸브(52)와; 비점오염정화조(26)내에 유입된 초기우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40)과; 수위감지수단(40)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우수 방향밸브(52)를 동작시켜 초기우수와 후속강우의 배출 유로 를 결정하는 밸브 모터(50);로 이루어져 있다.
위 선행기술의 비점오염 정화 장치는, 우천이 없는 경우에는 모터 제어장치에 의해 밸브모터(50)는 정회전하여 우수 방향 밸브(52)는 전진 위치상태로 후속 강우 배수관은 전진 위치상태로 후속 강우 배수관(22)은 상부 입구가 우수방향 밸브(52)로 닫아져 있게 되고, 초기우수 집수관(20)은 집수구(12)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강우가 발생되면 초기우수는 초기우수 집수관(20)만을 통과하여 비점오염정화조(26)로 유입되어 비점오염필터장치(30)를 통해 정화된 후 교량 배수관(14)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비점오염정화조(26)에 만수위에 도달하였음이 감지되면 수위감지수단(40)의 부구 상승에 따라 감지스위치(42)가 온 동작되고, 온 동작된 신호가 모터 제어장치(60)로 전달되어 밸브 모터(50)가 역회전하고 우수 방향 밸브(52)가 후퇴 이동하여 후속강우 배수관(22)이 집수구(12)와 일직선 방향으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후속 강우는 비점오염정화조(26)를 거지치 않고 직접 후속강우 배수관(22)을 통해 교량배수관(14)으로 배출된다. 이때 우수 방향밸브(52)의 작동상태는 비가 계속적으로 내리는 시간을 예상하여 설정한 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유지되므로 우수 방향밸브(52)는 후속강우 배수관(22)을 설정된 시간 동안 열려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선행기술의 비점오염 정화 장치는, 우천시 오염농도가 비교적 높은 초기 우수만을 정화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초기집수 배수관(20)과 후속강우 배수관(22)의 선택적 개폐가 밸브 모터(50)의 작동에 의해 전후 이동하는 우수 방향밸브(52)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정전 또는 유지관리의 잘못으로 인해 밸브 모터(50) 또는 우수 방향밸브(52)가 오작동 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오작동은 오염농도가 높은 초기우수를 초기집수 배수관(20)이 아닌 후속강우 배수관(22)으로 흘려 보낼 수 있음을 배제할 수 없으며, 초기집수 배수관(20)과 비점오염정화조(26)의 바닥에 침전된 쓰레기 등의 오물을 수거하는 작업 및 비점오염필터장치(30)의 청소가 용이하지 않을 뿐더러, 밸브 모터(50)의 가동을 위한 전기에너지의 사용은 유지관리비용을 증가시키고 내구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내구성이 증대되며, 오작동에 의해 오염물질이 그대로 방류될 수 있는 여지가 없도록 하는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배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로부터 오물을 분리시키는 유입분리부와, 상기 유입분리부에 의해 오물이 제거된 우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시키는 여과부와, 상기 유입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오물이 투입되는 수용부 및, 상기 유입분리부와 여과부 및 수용부가 설치되는 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유입분리부는 우수가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우수유입구와, 상기 우수유입구에서 유입된 우수로부터 오물을 분리시키는 스크린필터와, 상기 우수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우수를 스크린필터로 유도하는 우수유도판 및, 상기 우수유도판을 지지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여과부는 스크린필터를 통과한 우수가 유입되는 여과통과, 상기 여과통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스크린필터를 통과한 우수를 여과통으로 모아주는 가이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여과통은 측면판 상단 및 하면판에는 우수유동공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판 상부 끝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걸림판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걸림판 상면에 놓여지는 걸침판과 상기 걸침판의 끝단에서 하향 경사진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판 끝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연장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부는 오염물이 투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오물수거자루가 내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이나 작동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없으며, 여과부의 필터나 수용부에 대한 청소 및 관리가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러진 오물이나 슬러지가 폭우에 의한 우수의 넘침이 발생하더라도 외부로 쉽게 방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신속한 배수를 가능하게 하여 수자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로나 교량의 노면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비점 오염물 처리 장치를 나타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에 부가되는 부착방지날개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에 내장되는 바이오볼 및 그의 이탈방지방이 설치되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제2실시예의 비점오염물 저감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는 각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의 유지관리방법을 설명하는 각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다.
배수구(D)를 통해 유입된 우수로부터 오물을 분리하는 유입분리부(200)와, 상기 유입분리부(200)에 의해 오물이 제거된 우수로부터 슬러지는 분리시키는 여과부(300)와, 상기 유입분리부(200)에 의해 분리된 오물이 투입되는 수용부(400) 및, 상기 유입분리부(200)와 여과부(300) 및 수용부(400)가 설치되는 본체(100)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는 배수구(D)를 통해 유입된 우수로부터 유입분리부(200)에서 비닐등 큰 부피 쓰레기의 오물이 분리되고, 상기 오물이 1차적으로 제거된 우수는 여과부(300)로 보내지며, 이때 분리된 오물은 수용부(400)로 투입된다.
오물과 함께 우수의 일부가 수용부(400)로 유입될 수 있는데, 이러한 우수는 후술하는 우수유동공(411)을 통해 하부배출구(130)으로 배출된다.
이때 우수유동공(411)에 필터수단(미도시)을 더 부착시키거나 오물의 수거를 위하여 수용부(400) 내부에 놓여지는 오물수거자루(420) 자체에 필터링 기능을 구비시켜 작은 입자의 슬러지가 하부배출구(130)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여과부(300)로 유입된 우수는 큰 부피 쓰레기 등의 오물이 제거되기는 하나, 폐타이어 가루 등 각종 중금속이 포함되어 있는 작은 입자의 슬러지들을 여전히 포함하고 있는 바, 여과부(300)의 필터링 작용에 의해 상기한 슬러지들이 제거된 정화 우수만이 하부배출구(130)를 통해 하천등으로 방류된다.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의 구성을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의 본체(100)는, 배수구(D)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유입분리부(200)과 여과부(300) 및 수용부(400)를 둘러 감싸는 외측벽(110)과, 바닥체(120)와, 상기 여과부(300)와 수용부(400)를 경계짓는 내측벽(410) 및, 상기 바닥체(120)에 형성되어 여과부(300)와 수용부(400)를 각각 통과한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하부배출구(13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체(100)는 배수관에서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본체(100)의 착탈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측벽(110)에 손잡이(미도시)를 더 구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착탈 가능한 본체(100)의 구성은 내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여 경제적인 유지관리를 도모하게 할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사용연한을 늘려주어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함께 발휘하게 한다.
유입분리부(200)는 상부가 개방되어 배수구(D)로부터 유입된 우수가 통과하는 우수유입구(210)와, 상기 우수유입구(210)를 통해 유입된 우수로부터 오물을 분리시키는 스크린필터(220)와, 상기 우수유입구(210)를 통해 유입된 우수를 스크린필터(220)로 유도하는 우수유도판(230) 및, 상기 우수유도판(230)을 지지하는 지지판(2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린필터(220)는, 우수로부터 비닐 등 큰 부피의 오물을 분리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타공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개구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프레임(221)과, 상기 개구에 설치되는 격자형상의 철망(22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크린필터(220)는 본체(100)의 외측벽(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여과부(30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우수유입구(210)를 통해 유입된 초기 우수는 스크린필터(220)로 떨어지게 되고, 상기 우수와 함께 유입된 큰 부피의 오물들은 스크린필터(220)에 의해 걸러져 수용부(400)쪽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며, 상기 스크린필터(220)를 통과한 우수는 여과부(300)로 유입된다.
이때 본체(100)의 외측벽(110)에 대한 스크린필터(220)의 설치는 힌지(500) 결합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500) 결합은 스크린필터(200)의 상하 회동을 가능하게 하여, 그 하부에 위치한 여과통(310)을 본체(100)로부터 분리시켜 그 내부에 대한 슬러지 청소를 용이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필터(220)는 우수로부터 큰 부피의 오물을 분리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오물이 보다 용이하게 수용부(400)로 보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한 스크린필터(220)의 기능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착방지날개(223)가 상기 스크린필터(220)의 상면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착방지날개(223)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예의 하나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경사진 쐐기단면 형상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상기 부착방지날개(223)는 오물이 스크린필터(220)의 철망(222)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오물이 쉽게 미끄러져 내려가 수용부(400)에 보다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게 한다.
우수유도판(230)은 초기 우수가 직접 수용부(4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스크린필터(220) 쪽으로 유도함으로써 작은 입자의 슬러지가 포함된 초기 우수가 그대로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우수유도판(230)은 우수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민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우수유도판(230)의 하면에는 지지판(240)이 걸림 고정될 수 있는 걸림돌기(231)가 구비된다.
즉 상기 우수유도판(230)은 지지판(240)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일단부가 스크린필터(220)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우수유도판(230)으로 낙하된 초기 우수는 스크린필터(220)로 흘러 내려가 1차적으로 오물과의 분리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우수유도판(230)은 수용부(400)의 상부에서 본체(100)의 외측벽(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반대쪽에 위치한 스크린필터(22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해야 한다.
이때 상기 우수유도판(230)은 본체(100)의 외측벽(110)에 힌지(500) 결합되어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우수의 부력에 의해 쉽게 일단부가 상부로 떠오르면서 상부로 회전할 수 있는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하 회동 가능한 힌지(500) 결합구성은 지지판(240)과의 유기적인 작용을 통해 후기 강우나 폭우에 의해 수용부(400)에 수거되어 있던 오물들이 외부로 무단 방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관하여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지지판(240)은 일단부가 우수유도판(230)의 하부에서 본체(100)의 외측벽(110)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단부는 상기 우수유도판(230)의 하면에 구비된 걸림돌기(231)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상기 우수유도판(230)으로 하여금 일단부가 스크린필터(220)의 직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경사진 설치 형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지지판(240)은 우수유도판(230)과 마찬가지로 민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타공판으로 구성된다.
본체(100)의 외측벽(110)에 대한 지지판(240)의 고정 설치방식도 스크린필터(200)나 우수유도판(230)과 마찬가지로 힌지(500) 결합의 방식으로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힌지(500) 결합된 지지판(24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기 강우 또는 폭우로 인하여 유입분리부(200)에까지 우수가 차 오르더라도 수용부(400)의 입구를 폐쇄시켜 상기 수용부(400)에 수거되어 있던 오물들이 외부로 무단 방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판(240)의 길이는 수용부(400)의 폭보다 길게 구성되어, 하부로 회동한 지지판(240)의 단부가 수용부(400)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한다.
따라서 힌지(500) 결합된 지지판(240)은 우수의 부력에 의해서도 뜨지 않고 하부로 하강할 수 있을 정도의 자중을 가져야 하며, 타공판으로 구성된 지지판(240)은 이에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의 일 구성인 여과부(300)를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여과부(300)는 스크린필터(220)를 통과한 우수에 여전히 포함되어 있는 작은 입자의 슬러지를 2차적으로 걸러줌으로써 정화된 우수만이 하부배출구(130)를 통해 방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여과부(300)는 우수가 유입되는 여과통(310)과, 상기 여과통(31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스크린필터(220)를 통과한 초기 우수가 여과통(310)으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가이드부(320)로 이루어진다.
여과통(310)은 측면판(311)이 본체(100)의 외측벽(110)과 내측벽(410)의 각 사이에서 우수통과로(330)가 형성되도록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외측벽(110)과 내측벽(410)에는 서로 대항하도록 내향 돌출된 거치대(111)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우수통과로(330)는 여과통(310)과 수거통(400)에 의해 정화된 초기 우수와 오염농도가 매우 낮은 후기 우수를 신속하게 배출하도록 하는 통로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하부배출구(130)와 연통된다.
여과통(310)은 상부로 개방되는 우수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측면판(311)과 하면판(312)로 이루어지되, 상기 거치대(111)에 걸쳐지는 방식으로 여과통(3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판(313)이 상기 측면판(31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여과통(310)의 측면판(311) 상단,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필터(315)의 상부쪽에는 오염농도가 매우 낮은 후기 우수의 빠른 배수를 위한 우수유동공(314)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311)의 하단과 하면판(312)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후술하는 필터(315)에 의해 정화된 우수의 배수를 위한 우수유동공(314)이 형성된다.
또 상기 여과통(310)의 내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걸러내기 위한 필터(315)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315)에 의해 슬러지가 제거된 우수는 여과통(310)의 측면판(311) 하단과 하면판(312)에 형성된 우수유동공(314)을 통해 본체(100)의 하부배출구(130)로 배출된다.
상기 여과통(310)에는 다수 개의 바이오볼(316)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바이오볼(316)은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세라믹이나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자체 정화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바이오볼(316)은 상부로부터 낙하되는 우수에 의해 여과통(310)내에서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필터(315)에 의해 걸러져 쌓여 있던 슬러지들이 부유하여 후기 우수를 위해 구성된 측면판(311) 상단의 우수유동공(314)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바이오볼(316)은 상하로 유동하면서 필터(315)를 청소하는 기능까지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바이오볼(316)이 여과통(310)에 내장되는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바이오볼(316)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더 구비되어야 한다.
예컨대 필터(315)가 설치된 여과통(310)의 상부쪽에 격자 형상의 철망으로 이루어진 이탈방지망(317)을 설치함으로써, 여과부(300)에서 배출하는 우수의 양보다 유입되는 우수의 양이 많아 상기 필터(315)의 상부로 우수가 넘치게 되더라도 상기 이탈방지망(317)에 의해 바이오볼(316)이 필터(315)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망(317)은 측면판(311) 상단의 우수유동공(314)과 여과통(320)의 내면에 설치된 필터(315) 상단의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320)는 여과통(310)의 걸림판(313) 상면에 놓여지는 걸침판(321)과 상기 걸침판(321) 내측으로부터 하향 경사진 가이드판(322) 및, 상기 가이드판(322)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연장판(32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이드부(320)는 스크린필터(220)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여과통(310)의 필터(315) 내부로 원활히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초기 우수가 여과통(310)의 필터(315)에 의해 필터링 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측면판(311) 상단의 우수유동공(314)을 통해 곧 바로 우수통과로(330)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이와 반대로, 계속되는 후기 우수에 의해 여과통(310)이 만수위가 되면 이들 후기 우수가 측면판(311) 상단의 우수유동공(314)을 통해 곧바로 우수통과로(330)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안내판의 역할을 한다.
본체(100)의 내측벽(410)에 의해 여과부(300)와 구획되는 수용부(4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입분리부(200)의 스크린필터(220)에 의해 분리된 오물이 투입되는 부분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오물수거자루(420)가 놓여진다.
이때 상기 오물수거자루(420)는 스크린필터(220)로부터 걸러져 투입된 오물을 수거하기 위한 것이나, 상기 오물과 함께 흘러 들어온 초기 우수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슬러지에 대한 필터링 기능을 함께 겸할 수 있는 구성 및 재질로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내측벽의 하단에는 여과통(310)에서와 마찬가지로, 우수유동공(411)을 구비시켜 비닐 등의 큰 부피의 오물 등을 따라 함께 수용부(400)로 흘러 들어온 우수가 우수통과로(330) 및 하부배출구(13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내측벽의 상단에도 후기 우수가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우수유동공(411)이 구비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의한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였는 바, 다음으로는 상기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바이오볼(316)이 내장된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를 예로 하여 상기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가 작동하는 관계를 설명하는 각 단면도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D)를 통해 유입된 초기 우수는 우수유입구(210)를 통과하고 스크린필터(220)에 의해 부피가 큰 오물이 우수로부터 분리되어 수용부(400)에 투입되고, 상기 오물이 제거된 초기 우수는 스크린필터(220)로부터 낙하되어 여과부(300)로 보내어 진다.
상기 여과부(300)에서는 스크린필터(220)를 통해 유입된 우수로부터 슬러지를 걸러내고, 상기 슬러지가 제거되어 정화된 우수는 여과통(310)의 측면판(311) 하단에 형성된 우수유동공(314)를 통해 본체(100)의 하부배출구(130)로 배출된다.
또 상기 스크린필터(220)에 의해 분리된 오물은 수용부(400)에 놓여진 오물수거자루(420)를 통해 수거되며, 상기 오물과 함께 흘러들어온 우수 역시 오물수거자루(420)에 의한 필터링이 이루어진 후 내측벽(410) 하단에 형성된 우수유동공(411)을 통해 하부배출구(130)로 배출된다.
강우량이 점차 증가하여 하부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되는 우수의 양보다 배구수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의 양이 많게 되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300) 및 수용부(400)의 수면이 점차 상승하게 되고 나중에는 유입분리부(200)까지 차오르게 되는데, 이즈음이면 오염농도가 높은 초기 우수의 상태는 종료되고 오염농도가 매우 낮은 후기 강우가 지속되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때에는 우수의 신속한 배수가 요구되는 바, 상기의 후기 강우는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통(310)의 필터(315)를 거치지 않고 측면판(311) 상단과 내측벽(410) 상단의 각 우수유동공(314,411)을 통해 곧바로 하부배출구(130)와 연통된 우수통과로(330)로 흘러들어 갈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여과부(300)에서는 바이오볼(316)들이 이탈방지망(317)의 하면에서 우수 분리막을 형성하여 상부에서의 요동치는 우수의 큰 흐름에 의한 영향을 배제시킴으로써 필터(315)에 의한 정화작용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걸러진 슬러지가 부유하지 않도록 한다.
또 수용부(400)의 경우에도 유입분리부(200)까지 수위가 상승하면서 민판으로 형성된 우수유도판(230)이 부력에 의해 상부로 회전하게 되는 바, 상기 우수유도판(230)을 그 하부에서 지지하던 지지판(240)은 우수유도판(230)과의 결합관계가 해지되고 자중에 의해 일단부가 하부로 회전되면서 수용부(400)의 상단을 덮어 수용부(400)에 수거되었던 오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 9는 강우가 멈춘 이후, 상기 도 8에서 설명한 과정을 통해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에 의해 걸러진 오물 및 슬러지를 청소하는 유지관리 방법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는 도 9의 (a)에서와 같이 배수구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어서 유지관리가 용이하나, 특히 스크린필터(220)와 우수유도판(230) 및 지지판(240)이 모두 힌지(500) 결합 방식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구조인 경우에는 여과통(310) 등의 구성을 본체(100)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더 그 내부에 대한 청소나 필터 교환 등의 관리를 더욱 손쉽게 할 수 있게 한다.
즉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필터(220)와 우수유도판(230) 및 지지판(240)를 상부로 회전시켜 제쳐둠으로써 슬러지와 오물이 수거된 여과통(310)과 오물수거자루(420)는 본체(100)의 내부에서 쉽게 끄집어 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외측벽
111 ; 거치대 120 ; 바닥체
130 ; 하부배출구 200 ; 유입분리부
210 ; 우수유입구 220 ; 스크린필터
221 ; 프레임 222 ; 철망
223 ; 부착방지날개 230 ; 우수유도판
231 ; 걸림돌기 240 ; 지지판
300 ; 여과부 310 ; 여과통
311 ; 측면판 312 ; 하면판
313 ; 걸림판 314 ; 우수유동공
315 ; 필터 316 ; 바이오볼
317 ; 이탈방지망 320 ; 가이드부
321 ; 걸침판 322 ; 가이드판
323 ; 연장판 330; 우수통과로
400 ; 수용부 410 ; 외측벽
411 ; 우수유동공 420 ; 오물수거자루
500 ; 힌지 D ; 배수구

Claims (10)

  1. 도로 또는 교량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배수구(D)에 설치하여 우천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D)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로부터 큰 부피의 오물을 분리시키는 유입분리부(200)와, 상기 유입분리부(200)에 의해 오물이 제거된 우수로부터 작은 입자의 슬러지를 분리시키는 여과통(310)이 내장되는 여과부(300)와, 상기 유입분리부(200)에 의해 분리된 오물이 투입되는 수용부(400) 및, 상기 유입분리부(200)와 여과부(300) 및 수용부(400)가 설치되는 본체(100)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00)는, 상기 유입분리부(200)와 여과부(300) 및 수용부(400)를 둘러 감싸는 외측벽(110)과, 바닥체(120)와, 여과부(300)와 수용부(400)를 경계짓는 내측벽(410) 및, 상기 바닥체(120)에 형성된 하부배출구(1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분리부(200)는 우수가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우수유입구(210)와, 상기 우수유입구(210)에서 유입된 우수로부터 오물을 분리시키는 스크린필터(220)와, 상기 우수유입구(210)로부터 유입된 우수를 스크린필터(220)로 유도하는 우수유도판(230) 및, 상기 우수유도판(230)을 지지하는 지지판(2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우수유도판(230)은 수용부(400)의 상부에서 본체(100)의 외측벽(110)에 힌지(500) 결합되어 일단부가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240)은, 우수유도판(230)의 하부에서 본체(100)의 외측벽(110)에 힌지(500) 결합되어 일단부가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판(240)의 길이는 수용부(400)의 폭보다 길게 구성되어, 하부로 회동한 지지판의 일단부는 수용부(400)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필터(220)는 개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개구에 설치되는 격자형상의 철망(2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필터(220)는 여과부(300)의 상부에서 본체(100)의 외측벽(110)에 힌지(500) 결합되어 일단부가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필터(220) 상면에는 쐐기단면 형상의 부착방지날개(22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40)은 타공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110)과 내측벽(410)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내향 돌출된 거치대(111)가 설치되고, 여과통(310)의 측면판(311) 상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걸림판(313)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판(313)이 거치대(111)에 걸쳐짐으로써 여과통(310)이 설치되면서 여과통(310)의 측면판(311)과 본체(100)의 외측벽(110) 및 내측벽(410)의 각 사이에 우수통과로(3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통(310)의 내면에는 필터(315)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315)가 설치된 여과통(310)의 내부 공간에는 바이오볼(316)이 내장되며, 상기 여과통(310) 중 필터(315)의 상부쪽에는 상기 바이오볼(316)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망(317)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1020170013754A 2017-01-31 2017-01-31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101794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754A KR101794124B1 (ko) 2017-01-31 2017-01-31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754A KR101794124B1 (ko) 2017-01-31 2017-01-31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124B1 true KR101794124B1 (ko) 2017-11-06

Family

ID=60384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754A KR101794124B1 (ko) 2017-01-31 2017-01-31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12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496Y1 (ko) * 2018-12-13 2019-06-26 제트코리아 주식회사 진공 화장실 시스템
WO2020022587A1 (ko) * 2018-07-26 2020-01-30 (주)랜드로드 빗물 배수구 오염물질 여과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67348B1 (ko) * 2018-12-20 2020-02-11 박지운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협잡물 분리 저장기능을 갖는 점배수식 집수정
US11352280B2 (en) * 2018-07-26 2022-06-07 Landroad Inc Rainwater filter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therefor
WO2024043543A1 (ko) * 2022-08-23 2024-02-29 (주)랜드로드 교량 배수구용 비점오염 저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693B1 (ko) * 2008-12-30 2009-07-03 (주)낙동수환경방재기술원 초기 우수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693B1 (ko) * 2008-12-30 2009-07-03 (주)낙동수환경방재기술원 초기 우수 처리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2587A1 (ko) * 2018-07-26 2020-01-30 (주)랜드로드 빗물 배수구 오염물질 여과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CN110959057A (zh) * 2018-07-26 2020-04-03 兰德株式会社 雨水排水口污染物质过滤装置及其的监控系统
CN110959057B (zh) * 2018-07-26 2021-11-05 兰德株式会社 雨水排水口污染物质过滤装置及其的监控系统
US11346094B2 (en) 2018-07-26 2022-05-31 Landroad Inc Storm drain filters
US11352280B2 (en) * 2018-07-26 2022-06-07 Landroad Inc Rainwater filter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therefor
KR200489496Y1 (ko) * 2018-12-13 2019-06-26 제트코리아 주식회사 진공 화장실 시스템
KR102067348B1 (ko) * 2018-12-20 2020-02-11 박지운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협잡물 분리 저장기능을 갖는 점배수식 집수정
WO2024043543A1 (ko) * 2022-08-23 2024-02-29 (주)랜드로드 교량 배수구용 비점오염 저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124B1 (ko)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US6200484B1 (en) Surface water filtration apparatus
US8221632B2 (en) Surface water filtration device
KR100904177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US20090200216A1 (en) Storm drain filter
KR200431389Y1 (ko) 초기 우수 정화장치
US6083402A (en) Stormwater drain filter
WO2011031653A1 (en) Stormwater filt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20160071050A (ko) 빗물받이에 장착되어 비점오염원 제거 및 악취 및 침수예방이 가능한 여과형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091331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746524B1 (ko) 비점오염물 저감을 위한 도로 및 교량용 집수정
KR20150114224A (ko)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KR20050003330A (ko) 초기 우수를 배제한 청정 우수 포집 장치
KR101754123B1 (ko) 오일성분의 포집이 가능한 교량용 다단계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784496B1 (ko)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100656173B1 (ko) 비점오염원 초기 우수의 선택적 차집 시스템
KR101582931B1 (ko) 비점오염 저감 장치
KR101714397B1 (ko) 교량용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100904287B1 (ko)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KR20110041776A (ko) 교량용 비점오염물질 정화처리장치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20110131868A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US20080164190A1 (en) Curbside gross pollution trap
KR101777586B1 (ko) 관체형 교량용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