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287B1 -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287B1
KR100904287B1 KR1020070049861A KR20070049861A KR100904287B1 KR 100904287 B1 KR100904287 B1 KR 100904287B1 KR 1020070049861 A KR1020070049861 A KR 1020070049861A KR 20070049861 A KR20070049861 A KR 20070049861A KR 100904287 B1 KR100904287 B1 KR 100904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space
pipe
scree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2867A (ko
Inventor
최승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송원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송원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070049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287B1/ko
Publication of KR20080102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7Active flow control devices, i.e. moving during flow reg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우수에 함유된 각종 오염물질과 하수관내에 퇴적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하천 등의 수질오염을 크게 방지하며 희석된 하수 유입을 차단하여 하수처리장의 정상적인 운영이 되도록 하기 위한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수관거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하수관거를 따라 유동하는 하수 오염물(초기우수 및 관거내 퇴적물)를 차집하기 위한 하수 차집수단과, 상기 하수관거와 연결되어 서로 연락하는 입배수관을 상기 하수 차집수단의 전후에 두면서 상기 하수 차집수단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수 차집수단이 차집한 하수를 상기 입수관을 통해서 유입하여 정화 처리한 후 상기 배수관을 통해서 상기 하수관거로 배출하기 위한 하수처리수단과, 상기 하수처리수단에 설치되어 하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오염물질 처리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하수관거, 초기우수, 하수 차집수단, 하수처리수단, 오염물질 처리수단

Description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Combined Sewer Overflow System}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에서 하수차집수단을 나타낸 평면도,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4는 도2에서 B-B선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에서 하수처리수단 및 오염물질 처리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6 및 도7은 도5에서 도면부호 290이 지시하는 유량 차단밸브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8a∼도8c는 유량 차단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9는 도5에서 도면부호 220이 지시하는 제1스크린수단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사도,
도10은 도11에서 도면부호 229를 나타낸 사시도,
도11은 도9의 제1스크린수단의 초기우수시의 사용 상태도,
도12는 도9의 제1스크린수단의 우수증가시 사용 상태도,
도13은 도5에서 도면부호 240을 지시하는 제2스크린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14는 도13에서 표시 Ⅰ부분의 확대도,
도15는 도13에서 도면부호 285를 나타낸 사시도,
도16a 및 도16b는 도5에서 도면부호 263이 지시하는 유동상 스크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17a, 도17b, 도18a 및 도18b는 도5에서 도면부호 267이 지시하는 끈상 스크린의 구조 및 그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하수관거 3:오수 및 하수 차집관
100:하수 차집수단 111:몸체
115:웨어부재 117:수문부재
119:월류수 방류구 121:포집망
123:침전물 배출구멍 131:조목 스크린
133:타공 스크린 200:하수처리수단
201:입수관 203:배수관
210:몸체 211:제1분리벽
212:제1공간 213:연락공
214:제2공간 215:제2분리벽
216:상부공간 217:하부공간
217a:제3공간 217b:제4공간
218:제3분리벽 220:제1스크린수단
221:안내부재 221a:관통공
223:관부재 225:스크린망체
227:초과우수 배출망 229:제2침전성 물질 배출구
229a:배출공 229b:통체
229c:연결관부 231:유도관
240:제2스크린수단 241:케이싱
241a:구멍 242:타공 스크린부재
243:부유물질 배출구 244:회전축
245:날개부재 246:브러시부재
246a:장공 247:오염물질 이동관
251:연결관 260:제3스크린수단
263:유동상 스크린 263a:담체
263b:케이스 267:끈상 스크린
267a:여과재 267b:케이스
267c:볼부재 270:유출수단
271:관부 273:세공
275:구멍 281:호퍼부재
281a:배출공 283:오염물질 배출관
285:막힘방지수단 285a:배출공
285b:몸체 285c:제1입수공
285d:지지관부 285e:제2입수곤
287:제1침전성 물질 배출구 289:침전성 물질 이동구멍
290:유량 차단밸브 300:오염물질 처리수단
311:제5공간 313:이송펌프
315:이송관
본 발명은 하수관의 중간에 설치되는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기우수에 함유된 각종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도록 한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기우수는 대기중의 오염물질과 상업, 공업, 주택단지 및 도로면의 오물, 먼지, 오일 또는 그리스(Grease), 흙, 모래 등을 포함한 상태로 하수관거를 통해서 호소(湖沼)나 하천 등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음이 주지된 사실이고, 이 오염물질로 인해 하천 등의 수질이 오염되고 있음이 자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기존의 하수처리시설은 초기우수 처리에 있어 다소 미흡했기 때문에 하천 등의 수질오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데는 다소 무리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초기우수에 함유된 각종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하천 등의 수질오염 을 크게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수관거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하수관거를 따라 유동하는 하수를 차집하기 위한 하수 차집수단; 상기 하수관거와 연결되어 서로 연락하는 입배수관을 상기 하수 차집수단의 전후에 두면서 상기 하수 차집수단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수 차집수단이 차집한 하수를 상기 입수관을 통해서 유입하여 정화 처리한 후 상기 배수관을 통해서 상기 하수관거로 배출하기 위한 하수처리수단; 및 상기 하수처리수단에 설치되어 하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오염물질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하수 차집수단은 상기 하수관거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입수관을 통해서 상기 하수처리수단과 연락하는 내부가 빈 구조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바닥으로부터 입설되어 상기 하수관거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차집하기 위한 웨어부재와, 상기 웨어부재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유량 증가시 그 수압에 의해 개방되어 하수를 상기 하수관거로 방류하기 위한 수문부재와, 상기 웨어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웨어부재를 월류하는 상기 수문부재의 방류량을 초과하는 하수로부터 오염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망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입수관과 연락하는 상기 몸체에는 상기 입수관으로 유입되는 하수로부터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다수개의 바(bar)들로 이루어진 조목 스크린과 다수개의 구멍들을 갖는 타공 스크린이 순차로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하수처리수단은 내부가 빈 구조로서 그 내부는 상하를 가로지르는 제1분리벽을 통해서 상기 입수관과 연락하는 제1공간과 상기 제1분리벽에 형성되는 연락공을 통해서 상기 제1공간과 연락하는 제2공간으로 분리되되 상기 제2공간은 상기 연락공의 아래에서 상기 제2공간을 좌우로 가로지르는 제2분리벽을 통해서 상기 연락공 및 배수관과 각각 연락하는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공간은 상하로 가로지르는 제3분리벽을 통해서 제3및 제4공간으로 분리되는 몸체와, 상기 제1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입수관으로 유입되는 하수를 1차 스크린하기 위한 제1스크린수단과, 상기 상부공간과 제3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상기 연락공과 연결되는 유도관을 통해서 상기 제1공간과 연락하여 상기 유도관을 통해서 유입되는 상기 제1공간으로부터의 하수를 2차 스크린하기 위한 제2스크린수단과, 상기 제3분리벽에 설치되어 상기 제2스크린수단에 의해서 2차 스크린된 상기 제3공간의 하수를 수두차로 상기 제4공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L자형의 연결관과, 상기 제4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관을 통해서 유입되는 상기 제3공간으로부터의 하수를 3차 스크린하기 위한 제3스크린수단과, 상기 상부공간과 제4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됨으로서 상기 배수관과 연락하여 3차 스크린된 상기 제4공간의 하수를 상기 배수관으로 유출하기 위한 유출수단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공간은 상기 입수관과 연락하는 좌측 공간과 그 좌측 공간과는 월류수 유입공을 통해서 연락하고 상기 연락공을 통해서는 상기 상부공간과 연락하는 우측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좌측 공간에는 상기 입수관으로부터의 하수를 상기 몸체의 외부로 배출하되 유량 증가시 폐쇄되는 유량 차단밸브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1스크린수단은 상기 우측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유량 차단밸브의 폐쇄로 인해서 상기 월류수 유입공을 월류하는 하수를 받아 스크린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스크린수단은 일측 및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사각형상을 이루어 그 개구된 일측이 상기 월류수 유입공과 마주하게 상기 우측 공간에 설치되되 벽면과는 소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스크린 망체에 의해서 스크린된 하수가 상기 벽면과의 틈사이를 통해서 상기 연락공으로 배출되게 한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과 연락하는 관부재와, 상기 관부재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부재의 관통공과 관부재를 통해서 유입되는 하수를 스크린하기 위한 원통형상의 스크린 망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안내부재의 측벽들에는 상기 틈사이와 연락하는 초과우수 배출망이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2스크린수단은 상기 상부공간과 제3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됨으로서 상기 유도관과 연결되어 상기 유도관으로부터의 하수를 와류하면서 유입하며 상기 제3공간에 위치하는 부위의 외주연에는 타공 스크린부재로부터의 하수를 스크린하며 상기 제3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구멍들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으로 유입되는 하수를 스크린하기 위한 원추형의 타공 스크린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타공 스크린부재의 하부에 까지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을 따라 다수개로 설치되어 와류하는 하수를 따라 회전하는 날개부재들과, 상기 날개부재들에 설치되어 상기 타공 스크린부재의 구멍들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브러시부재들로 이루어짐이 바람 직하다.
또,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는 배출공을 갖는 호퍼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호퍼부재의 배출공에는 상기 케이싱을 관통하여 상기 오염물질 처리수단까지 이어지는 오염물질 배출관이 더 연결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타공 스크린부재의 하부와 오염물질 배출관과의 사이에는 필터링된 오염물질을 상기 오염물질 배출관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오염물질 이동관이 더 연결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오염물질 이동관과 타공 스크린부재의 하부와의 사이 및 상기 호퍼부재의 배출공에는 깔대기 모양으로 테이퍼진 배출공을 갖는 하부를 형성한 내부가 빈 구조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와 연락하는 제1입수공과, 상기 몸체의 상부로부터 상기 몸체의 내부와 연락하게 돌출 설치되어 상기 오염물질 이동관과 타공 스크린부재의 하부와의 사이에 설치될 시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관부와, 상기 지지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관부를 통해서 상기 몸체의 내부와 연락하는 제2입수공으로 이루어진 막힘방지수단이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구멍들의 윗쪽으로 상기 제3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싱의 부위에는 상기 제3공간과 연락하는 부유물질 배출구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브러시부재들은 오염물질의 크기에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상기 날개부들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3스크린수단은 유동상 스크린과, 커튼식으로 상하 연결되어 차단벽을 형성하며 좌우유동하면서 폐색을 방지하는 끈상 스크린인 것임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끈상 스크린에는 수위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끈상 스크린에 부착된 부착성 오염물질을 탈리하기 위한 볼부재가 더 충전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유출수단은 상기 상부공간과 제4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됨으로서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는 관부와, 상기 제4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관부의 부위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세공들과 구멍들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오염물질 배출관은 상기 제3공간의 바닥에 침전된 침전성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1침전성 물질 배출구를 설치한 채로 상기 제1공간을 거쳐 상기 오염물질 처리수단으로 이어지며, 상기 제1공간에 위치한 부위에는 상기 제1공간의 침전성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2침전성 물질 배출구가 더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3분리벽의 하부에는 제4공간의 침전성 물질을 상기 제3공간을 통해서 상기 제1침전성 물질 배출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침전성 물질 이동구멍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오염물질 처리수단은 상기 제1공간과 이웃하게 구획되어 상기 오염물질 배출관과 연락하는 제5공간과, 상기 제5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물질 배출관으로부터의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송펌프와 이송관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는 하수관거(1)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하수관거(1)를 따라 유동하는 하수를 차집하기 위한 하수 차집수단(100)과, 상기 하수관거(1)와 연결되어 서로 연락하는 입배수관(201,203)을 상기 하수 차집수단(100)의 전.후에 두면서 상기 하수 차집수단(100)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수 차집수단(100)이 차집한 하수를 상기 입수관(201)을 통해서 유입하여 정화 처리한 후 상기 배수관(203)을 통해서 상기 하수관거(1)로 다시 배출하기 위한 하수처리수단(200)과, 상기 하수처리수단(200)에 설치되어 하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오염물질 처리수단(300)으로 대별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에서 하수차집수단을 나타낸 평면도,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4는 도2에서 B-B선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하수차집수단(100)은 상기 하수관거(1)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입수관(201)을 통해서 상기 하수처리수단(200)과 연락하는 내부가 빈 구조의 몸체(1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몸체(111)는 그 내부에 설치되는 하기 구성요소들의 유지보수를 위해서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부가 지면에 노출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몸체(111)의 내부에는 상기 하수관거(1)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차집하기 위한 웨어부재(115)가 상기 몸체(111)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입설되어 있다. 상기 웨어부재(115)가 차집한 하수 즉, 초기우수는 상기 입수관(201)을 통해서 상기 하수처리수단(200)으로 흘러 들어간다.
상기 웨어부재(115)에는 1개이상의 수문부재(1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문부재(117)와 대면하는 상기 웨어부재(115)의 후면은 상기 수문부재(117)가 수압에 의해서 쉽게 개방되거나 닫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어부재(115)가 초기우수를 차집하여 상기 하수처리수단(200)으로 보낸 후에 강수량의 증가로 유량이 증가되면 상기 수문부재(117)는 그 수압에 의해 열려 하수를 방류한다. 이 때문에 상기 웨어부재(115)로 인한 상류부의 침수가 발생하지 않으며, 유량 소통에 지장을 주지 않아 상기 하수차집수단(100)의 유지관리가 유리해진다. 즉, 상기 웨어부재(115)의 설치로 초기우수를 차집하면 기존 수로 즉, 하수관거(1)의 통수 단면의 축소로 상류부에 배수위(Back water)로 인하여 우수 유출에 장애가 발생되며 이 때문에 상류부에 침수현상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상기 수문부재(117)는 이와 같은 상기 웨어부재(115)의 문제를 해소하게 한다. 이러한 수문부재(117)는 그 회전점을 상기 웨어부재(115) 상에 두거나 상기 웨어부재(115)의 윗쪽으로 상기 몸체(111)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별도의 지지대 상에 둘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웨어부재(115)에는 1개이상의 포집망(12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문부재(117)의 방류구 보다는 높게 상기 웨어부재(115)에 형성된 월류수 방류구(119)에 상기 포집망(121)이 설치된다. 상기 포집망(121)은 상기 웨어부재(115)를 월류하는 상기 수문부재(117)의 방류량을 초과하는 하수로부터 오염물질을 포집 한다. 즉, 유량의 증가로 상기 웨어부재(115)의 월류수 방류구(119)로 월류하는 하수로부터 상기 포집망(121)은 부유성 협잡물인 스티로폼, 나무, 비닐, 기타 협잡물 등을 차집함으로서 하천이나 호소 등으로의 유출을 차단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포집망(121)은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되어 고가의 초기우수처리시설의 효과를 극대화 한다.
한편, 상기 입수관(201)과 연락하는 상기 몸체(111)에는 상기 입수관(201)으로 유입되는 하수 즉, 초기우수나 그 이후의 우수(강우량의 증가로 오염도가 많이 희석된 우수)로부터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다수개의 바(bar)들로 이루어진 조목 스크린(131)과 다수개의 구멍들을 갖는 타공 스크린(133)이 순차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목 스크린(131)은 바들의 간격을 예컨대, 30㎜로 하고, 상기 타공 스크린(133)은 그 구멍의 지름을 예컨대, 20㎜이하로 형성하여 그 크기 이상의 협잡물을 순차로 스크린 함으로서 상기 하수처리수단(200)의 처리 효율을 높이고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에서 하수처리수단 및 오염물질 처리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하수처리수단(200)은 내부가 빈 구조의 맨홀형 몸체(2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맨홀형 몸체(210)는 그 내부에 설치되는 하기 구성요소들의 유지보수를 위해서 출입이 가능하도록 출입덮개를 갖는 상부가 지면에 노출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맨홀형 몸체(210)의 내부는 상하를 가로지르는 제1분리벽(211)을 통해서 상기 입수관(201)과 연락하는 제1공간(212)과 상기 제1분리벽(211)에 형성되는 연락공(213)을 통해서 상기 제1공간(212)과 연락하는 제2공간(214)으로 분리되고, 또한 상기 제2공간(214)은 상기 연락공(213)의 아래에서 상기 제2공간(214)을 좌우로 가로지르는 제2분리벽(215)을 통해서 상기 연락공(213) 및 배수관(203)과 각각 연락하는 상부공간(216)과 하부공간(217)으로 분리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공간(217)은 상하로 가로지르는 제3분리벽(218)을 통해서 제3및 제4공간(217a,217b)으로 분리된다.
이와 같은 상기 맨홀형 몸체(210)에서 상기 제1공간(212)에는 상기 입수관(201)으로 유입되는 하수를 1차 스크린하기 위한 제1스크린수단(220)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공간(216)과 제3공간(217a)을 가로질러서는 상기 연락공(213)과 연결되는 유도관(231)을 통해서 상기 제1공간(212)과 연락하여 상기 유도관(231)을 통해서 유입되는 상기 제1공간(212)으로부터의 하수를 2차 스크린하기 위한 제2스크린수단(240)이 설치되고, 상기 제3분리벽(218)에는 상기 제2스크린수단(240)에 의해서 2차 스크린된 상기 제3공간(217a)의 하수를 수두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4공간(217b)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L자형의 연결관(251)이 설치되고, 상기 제4공간(217b)에는 상기 연결관(251)을 통해서 유입되는 상기 제3공간(217a)으로부터의 하수를 3차 스크린하기 위한 제3스크린수단(260)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공간(216)과 제4공간(217b)을 가로질러서는 상기 배수관(203)과 연락하여 3차 스크린된 상기 제4공간(217b)의 하수를 상기 배수관(203)으로 유출하기 위한 유출수단(27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공간(212)은 상기 입수관(201)과 연락하는 좌측 공간(212a)과 그 좌측 공간(212b)과는 월류수 유입공(219)을 통해서 연락하고 상기 연락공(213)을 통해서는 상기 상부공간(216)과 연락하는 우측 공간(212b)으로 구획되며, 상기 좌측 공간(212a)에는 상기 입수관(201)으로부터의 하수를 상기 맨홀형 몸체(210)의 외부로 배출하되 유량 증가시 폐쇄되는 유량 차단밸브(290)가 설치되고, 상기 제1스크린수단(220)은 상기 우측 공간(212b)에 설치되어 상기 유량 차단밸브(290)의 폐쇄로 인해서 상기 월류수 유입공(219)을 월류하는 하수를 받아 스크린한다.
도6 및 도7은 도5에서 도면부호 290이 지시하는 유량 차단밸브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8a∼도8c는 유량 차단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유량 차단밸브(290)는 하기 이송관(315)을 통해서 오수 및 하수 차집관(3;도1참조)과 연결되거나 별도의 관을 사용하여 상기 오수 및 하수 차집관(3)과 연결되어 상기 입수관(201)을 통해서 유입되는 평소의 적은 유량의 하수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관(315)을 통해서 그대로 방류하다가(도8a 참조), 초기우수시 유입되는 소량의 우수와 하수는 그 수위의 증가로 약간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이송관(315)을 통해서 방류하다가(도8b 참조), 빗물의 증가로 수위가 더 상승하면 완전히 폐쇄되어(도8c 참조), 하수를 상기 월류수 유입공(219)으로 월류시킴으로서 초기우수 오염물과 관내 퇴적물이 상기 제1스크린수단(220)으로 흘러 들어가게 한다.
이러한 상기 유량 차단밸브(290)는 상기 월류수 유입공(219)의 아래에서 상기 좌측 공간(212a)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오수 및 하수 차집관(3)과 연락하는 경사단부를 갖는 원통형의 캡부재(291)와, 좌우 양측에 상기 캡부재(291)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축(293)을 갖고 상기 캡부재(291)의 경사단부에 회동되 게 설치되는 판부재(295)와,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축(293)과 연결되며 수위를 따라 상기 판부재(295)를 회동시켜 상기 캡부재(291)의 경사단부를 개폐하기 위한 부구(297)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9는 도5에서 도면부호 220이 지시하는 제1스크린수단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10은 도11에서 도면부호 229를 나타낸 사시도, 도11은 도9의 제1스크린수단의 초기 우수 시의 사용 상태도, 도 12는 도 9의 제1스크린수단의 우수증가시 사용 상태 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제1스크린수단(220)은 일측 및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에는 관통공(221a)이 형성된 사각형상을 이루어 그 개구된 일측이 상기 월류수 유입공(219)과 마주하게 상기 우측 공간(212b)에 설치되는 1개이상의 안내부재(22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안내부재(221)는 상기 우측 공간(212b)을 형성하는 벽면과는 소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스크린 망체(225)에 의해서 스크린된 하수가 상기 벽면과의 틈사이(S)를 통해서 상기 연락공(213)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안내부재(221)는 그 측벽들의 상단에 상기 벽면과 접하는 플랜지를 형성하여 상기 틈사이(S)의 상부를 폐쇄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안내부재(221)의 하단에는 상기 관통공(221a)과 연락하는 관부재(22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관부재(223)의 선단에는 상기 안내부재(221)의 관통공(221a)과 관부재(223)를 통해서 유입되는 하수를 스크린하기 위한 하단이 막힌 원통형상의 스크린 망체(2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관부재(223)는 수면 위의 부유물질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스크린 망체(225)는 하수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을 포집하여 스크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221)의 측벽들에는 상기 틈사이(S)와 연락하는 초과우수 배출망(22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망(227)은 상기 측벽들의 하단과는 소정 거리를 두고 상단 쪽으로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221a)의 배출 능력을 초과하는 하수가 유입될 경우 그 초과 하수를 상기 틈사이(S)로 바로 배출함으로서 유량 소통에 지장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그 하수로부터 협잡물을 스크린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이 비교적 적은 초기우수는 상기 관통공(221a)을 통하여 상기 스크린 망체(225)로 흘러 가지만, 도12와 같이 상기 관통공(221a)의 배출 능력을 초과하는 하수(초기우수 이후 강우량의 증가로 유입되는 오염도가 많이 희석된 하수)가 유입되면 상기 배출망(227)을 통해서 상기 틈사이(S)로 바로 배출함으로서 유량 소통에 지장이 없도록 하고 있다.
상기 우측 공간(212b)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침전성 물질 배출구(229)는 하기 오염물질 배출관(283)과 연결되어 강우 종료시 상기 우측 공간(212b) 내의 하수를 배출함으로서 평시에 반 건조 상태의 협잡물만 잔류시켜 물고임으로 인한 부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침전성 물질 배출구(229)를 통해서 배출되는 하수를 따라서 상기 우측 공간(212b)의 바닥에 침전된 침전성 물질도 함께 배출된다. 이러한 상기 배출구(229)는 상기 우측 공간(212b) 쪽을 향하는 전면에 다수개의 배출공(229a)을 형성한 사각형상의 통체(229b)와, 그 통체(229b)와 상기 오염물질 배출관(283)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부(229c)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공(229a)은 그 크기보다 큰 협잡물의 통과를 차단한다.
도13은 도5에서 도면부호 240을 지시하는 제2스크린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14는 도13에서 표시 Ⅰ부분의 확대도, 도15는 도13에서 도면부호 285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제2스크린수단(240)은 상기 상부공간(216)과 제3공간(217a)을 가로질러 설치됨으로서 상기 유도관(231)과 연결되는 케이싱(24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도관(231)은 상기 상부공간(216)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싱(241)의 상단 외주연의 중앙과 비켜서 연결됨으로서, 상기 유도관(231)으로부터의 하수 즉, 상기 1차스크린수단(220)에 의해서 조대 협작물이 포집된 하수는 와류(맴돌이) 현상을 일으키면서 상기 케이싱(241) 안으로 흘러 들어간다. 또한 상기 제3공간(217a)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싱(241)의 부위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구멍들(24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들(241a)은 타공 스크린부재(242)로부터의 하수를 스크린하며 상기 제3공간(217a)으로 배출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구멍들(241a)은 상기 케이싱(241)의 윗쪽으로 갈수록 조밀도를 낮게 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구멍들(241a)은 상기 타공 스크린부재(242)로부터의 하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더 포집함과 아울러 상기 제3공간(217a)에 유량 유입을 균등 분포시켜 유속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멍들(241a)의 윗쪽으로 상기 제3공간(217a)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싱(241)의 부위에는 상기 제3공간(217a)과 연락하는 부유물질 배출구(243)를 형성하여 오일, 그리스, 부유물, 기타 부유성 물질을 상기 제3공간(217a)의 수면으로 배출하고 있다.
상기 케이싱(241)의 내부에는 상기 케이싱(241)으로 유입되는 하수로부터 오염물질 및 조대 협잡물만을 스크린하여 맴돌이 현상에 의해서 그 하부 중앙으로 모우기 위한 원추형의 타공 스크린부재(24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24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타공 스크린부재(242)의 하부 까지에는 회전축(244)이, 상기 회전축(244)의 외주연에는 와류하는 하수를 따라 회전하는 다수개의 날개부재들(245)이, 상기 날개부재들(245)에는 상기 타공 스크린부재(242)의 구멍들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브러시부재들(246)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러시부재들(246)은 맴돌이 현상의 회전력에 의해서 무동력으로 회전하는 상기 날개부재들(245)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타공 스크린부재(242)의 폐색 즉, 구멍들의 막힘을 방지하여 상기 타공 스크린부재(242)가 원활하게 하수를 스크린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브러시부재들(246)은 그 길이를 따라 형성되는 장공들(246a)을 통해서 상기 날개부재들(245)에 나사 결합되어 협잡물의 크기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타공 스크린부재(242)의 폐색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상기 케이싱(241)의 하부에는 배출공(281a)을 갖는 호퍼부재(281)가 설치되고, 상기 호퍼부재(281)의 배출공(281a)에는 상기 케이싱(241)을 관통하여 상기 오염물질 처리수단(300)까지 이어지는 오염물질 배출관(283)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오염물질 배출관(283)은 상기 배출공(281a)으로 배출되는 상기 호퍼부재(281)로 침전되는 침전성 물질과 상기 케이싱(241)으로부터 스크린된 협잡물을 상기 오염물질 처리수단(300) 까지 이동시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오염물질 배출관(283)에는 상기 타공 스크린부재(242)가 스 크린하여 모은 오염물질을 상기 오염물질 배출관(283)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오염물질 이동관(247)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관(247)은 상기 타공 스크린부재(242)의 하부 중앙과 연락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타공 스크린부재(242)가 모은 오염물질을 상기 오염물질 배출관(283)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오염물질 이동관(247)과 타공 스크린부재(242)의 하부와의 사이 및 상기 호퍼부재(281)의 배출공(281a)에는 일정량의 오염물질 유출과 그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막힘방지수단(28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호퍼부재(281)의 배출공(281a)에 설치되는 상기 막힘방지수단(285)은 상기 케이싱(241) 내의 하수를 소용돌이 치면서 빠져 나가게 하여 상기 오염물질 배출관(283)이 막히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막힘방지수단(285)은 깔대기 모양으로 테이퍼진 배출공(285a)을 갖는 하부를 형성한 내부가 빈 구조의 몸체(285b)와, 상기 몸체(285b)의 상부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285b)의 내부와 연락하는 제1입수공(285c)과, 상기 몸체(285b)의 상부로부터 상기 몸체(285b)의 내부와 연락하게 돌출 설치되어 상기 오염물질 이동관(247)과 타공 스크린부재(242)의 하부와의 사이에 설치될 시 상기 회전축(244)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관부(285d)와, 상기 지지관부(285d)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관부(285d)를 통해서 상기 몸체(285b)의 내부와 연락하는 제2입수공(285e)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오염물질 배출관(283)은 상기 제3공간(217a)의 바닥에 침전된 침전성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1침전성 물질 배출구(287)를 설치한 채로 상기 제1공 간(212)을 거쳐 상기 오염물질 처리수단(300)으로 이어진다. 상기 제1침전성 물질 배출구(287)은 상기 케이싱(241)의 하측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케이싱(241)의 하부에 형성되는 구멍(미도시)을 통해서 상기 제3공간(217a)과 연락한다. 상기 제1침전성 물질 배출구(287)는 상기 제2침전성 물질 배출구(229)와 동일한 구조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염물질 배출관(283)은 벽체를 따라 매설되어 상기 제1공간(212) 즉 우측 공간(212b)의 벽체에 매설된 상기 제2침전성 물질 배출구(229)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와 달리 상기 우측 공간(212b)을 가로 질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침전성 물질 배출구(229)는 상기 우측 공간(212b)의 내부에서 상기 오염물질 배출관(283)과 연결된다.
상기 제3분리벽(218)의 하부에는 상기 제4공간(217b)의 침전성 물질을 상기 제3공간(217a)을 통해서 상기 제1침전성 물질 배출구(287)로 이동시키기 위한 침전성 물질 이동구멍(289)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구멍(289) 대신 상기 제2침전성 물질 배출구(229)와 동일한 배출구를 상기 제3분리벽(218)의 하부에 매설하여 상기 제4공간(217b)의 침전성 물질을 상기 제1침전성 물질 배출구(287)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강우 종료시 상기 제1,제3및 제4공간(212,217a,217b) 내의 하수를 침전성 물질과 함께 배출하여 평시에 비움으로서 물고임으로 인한 부패가 방지되고, 특히 제4공간(217b)에 설치되는 상기 제3스크린수단(260)을 구성하는 유동상 스크린(263)과 끈상 스크린(267)의 효율을 상승시킨다.
도16a 및 도16b는 도5에서 도면부호 263이 지시하는 유동상 스크린의 사용상 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4공간(217b)에 1개이상으로 설치되는 상기 유동상 스크린(263)은 미생물 담체인 원통, 사각형, 내부가 나뉜 형태 중 어느하나의 유동상 튜브형 지지체에 활성 성분을 코팅한 담체(263a)를 다공성의 케이스(263b)에 충전하여 이루어진 형태로, 수위 상승을 활용하여 유동상 담체(263a)의 물에 뜨는 성질을 이용한 압착형 스크린이다. 상기 유동상 스크린(263)은 상기 연결관(251)으로 유입되는 하수로부터 재질의 밀착 및 정전기에 의해서 부착성 물질을 제거한다.
도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담체(263a)는 평시에 가라앉아 있다가, 도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서로 분리되면서 떠올라 서로의 폐색 즉, 엉겨붙임이 방지됨과 아울러 그때 일부 부착성 물질을 탈리시킨다. 수위에 따른 이와 같은 반복은 상기 담체(263a)의 폐색을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상기 담체(263a)의 재질은 반영구적 사용을 위해서 인장강도, 인열강도가 강화된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수지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도17a, 도17b, 도18a 및 도18b는 도5에서 도면부호 267이 지시하는 끈상 스크린의 구조 및 그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4공간(217b)에 1개이상으로 설치되는 상기 끈상 스크린(267)은 미생물 담체인 나이론사로 직조된 끈상의 여과재(267a)를 다공성의 케이스(267b)에 커튼식으로 상하로 연결하여 차단벽을 형성한 형태로, 하수가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정전기로 부착성 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여과재(267a)는 격자형이 아닌 양쪽 개방 형으로 배열됨으로서 서로의 폐색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도18a 및 도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편측 고정함으로서 하수가 통과할 때에 좌우로 유동하여 서로의 폐색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도17a 및 도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67b)의 내부에는 수위를 따라 이동하는 볼부재(267c)을 충전하여, 수위에 따른 상기 볼부재(267c)의 이동으로 상기 여과재(267a)에 부착된 부착성 물질을 탈리시킴으로서 상기 여과재(267a)의 지속적인 효율 유지와 그 유지관리 비용의 절감 및 유지 관리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있다.
상기 여과재(267a)를 형성하는 나일론사는 인장강도가 커 쉽게 절단되지 않으며, 내약품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좋아 상기 여과재(267a)를 교체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게 한다.
도5를 참조하여, 상기 유출수단(270)은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정화 처리된 상기 제4공간(271b) 내의 하수를 상기 배수관(203)으로 유출하여 상기 하수관거(1)로 배출하게 한다. 즉, 상기 유출수단(270)은 상기 상부공간(216)과 제4공간(217b)을 가로질러 설치됨으로서 상기 배수관(203)과 연결되는 관부(271)와, 상기 제4공간(217b)에 위치하는 상기 관부(271)의 부위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세공들(273)과 구멍들(275)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멍들(275)은 상기 관부(271)의 하부에 형성되어 침전되는 침전성 물질을 상기 제4공간(217b)으로 이동하게 한다. 상기 세공들(273)은 균등 유량 배출을 도모한다.
한편, 상기 오염물질 처리수단(300)은 상기 제1공간(212)과 이웃하게 구획되 어 상기 오염물질 배출관(283)과 연락하는 제5공간(311)과, 상기 제5공간(311)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물질 배출관(283)로부터의 오염물질 즉, 침전성 물질과 협잡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송펌프(313)와 이송관(3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염물질 배출관(283)로부터의 오염물질은 가능하면 자연 유하로 상기 오수 및 하수 차집관(3)으로 배출함이 바람직하나, 자연유하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상기 오염물질 처리수단(300)을 설치하여 상기 오수 및 하수 차집관(3)으로 강제로 배출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초기우수에 함유된 각종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방류함으로서 하천 등의 수질오염을 크게 방지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하수관거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하수관거를 따라 유동하는 하수를 차집하기 위한 하수 차집 수단;
    상기 하수관거와 연결되어 서로 연락하는 입.배수관을 상기 하수 차집수단의 전후에 두면서 상기 하수 차집수단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수 차집수단이 차집한 하수를 상기 입수관을 통해서 유입하여 정화 처리한 후 상기 배수관을 통해서 상기 하수관거로 배출하며, 내부가 빈 구조로서 그 내부는 상하로 입설되는 제1분리벽을 통해서 상기 입수관과 연락하는 제1공간과 상기 제1분리벽에 형성되는 연락공을 통해서 상기 제1공간과 연락하는 제2공간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2공간은 상기 연락공의 아래에서 상기 제2공간을 좌우로 가로지르는 제2분리벽을 통해서 상기 연락공 및 배수관과 각각 연락하는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공간은 상하로 설치되는 제3분리벽을 통해서 제3및 제4공간으로 분리되는 맨홀형 몸체, 상기 제1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입수관으로 유입되는 하수를 1차 스크린하기 위한 제1스크린수단, 상기 제1스크린수단과 연락되는 상기 제3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스크린을 경유하는 상기 제1공간으로부터의 하수를 2차 스크린하기 위한 제2스크린수단, 상기 제2스크린수단과 연락되는 상기 제4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2스크린수단을 경유하는 상기 제3공간으로부터의 하수를 3차 스크린하기 위한 제3스크린수단, 상기 배수관 및 상기 제3스크린수단과 연락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3스크린수단을 경유하여 스크린 된 하수를 상기 배수관을 통하여 유출하기 위한 유출수단으로 이루어진 하수처리수단; 및
    상기 하수처리수단과 연락되게 설치되어 상기 하수 처리수단에 의한 하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오염물질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은 상기 입수관과 연락하는 좌측 공간과 그 좌측 공간과는 월류수 유입공을 통해서 연락하고 상기 연락공을 통해서는 상기 상부공간과 연락하는 우측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좌측 공간에는 상기 입수관으로부터의 하수를 상기 맨홀형 몸체의 외부로 배출하되 유량 증가시 폐쇄되는 유량 차단밸브가 더 설치되고, 상기 우측공간에는 제1스크린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유량 차단밸브의 폐쇄로 인해서 상기 월류수 유입공을 월류하는 하수를 받아 스크린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린수단은 일측 및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사각형상을 이루어 그 개구된 일측이 월류수 유입공과 마주하게 상기 제1공간의 우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우측공간을 형성하는 벽면과는 소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스크린 망체에 의해서 스크린된 하수가 벽면과의 틈 사이를 통해서 상기 연락공으로 배출되게 한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재의 하단에 설치되어 관통공과 연락하는 관부재, 상기 관부재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부재의 관통공과 관부재를 통해서 유입되는 하수를 스크린하기 위한 원통형상의 스크린 망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에는 상기 틈사이와 연락하는 초과 우수 배출망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크린수단은 상기 상부공간과 제3공간에 위치되게 입설되어 상기 상부공간으로 연장 설치된 유도관과 연결됨에 의해 상기 유도관으로부터의 하수를 와류하면서 유입하며 상기 제3공간에 위치하는 부위의 외주연에는 타공 스크린부재로부터의 하수를 스크린하고 상기 제3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구멍들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배출공을 갖는 호퍼부재가 설치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호퍼부재의 배출공으로부터 상기 오염물질 처리수단까지 이어지게 설치된 오염물질 배출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싱으로 유입되는 하수를 스크린하여 상기 오염물질 배출관으로 보내기 위한 원추형의 타공 스크린부재, 상기 타공 스크린부재의 하부와 상기 오염물질 배출관을 연락되게 설치되어 상기 타공 스크린부재에 의해 필터링된 오염물질을 상기 오염물질 배출관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오염물질 이동관, 상기 케이싱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타공 스크린부재의 상기 오염물질 이동관과의 근접 위치에까지 설치되며 외주에는 와류하는 하수를 따라 회전하는 다수개의 날개부재들이 설치된 회전축, 상기 날개부재들에 설치되어 상기 타공 스크린부재의 구멍들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브러시부재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질 이동관과 타공 스크린부재의 하부와의 사이 및 상기 호퍼부재의 배출공에는, 깔대기 모양으로 테이퍼진 배출공을 갖는 하부를 형성한 내부가 빈 구조의 몸체(285b)와, 상기 몸체(285b)의 상부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285b)의 내부와 연락하는 제1입수공과, 상기 몸체(285b)의 상부로부터 상기 몸체(285b)의 내부와 연락하게 돌출 설치되어 상기 오염물질 이동관과 타공 스크린부재의 하부와의 사이에 설치될시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관부와, 상기 지지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관부를 통해서 상기 몸체(285b)의 내부와 연락하는 제2입수공으로 이루어진 막힘방지수단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제3공간과 연락하는 부유물질 배출구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재들은 오염물질의 크기에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상기 날개부들에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크린수단은 유동상 스크린과, 커튼식으로 상하 연결되어 차단벽을 형성하며 좌우 유동하면서 폐색을 방지하는 끈상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끈상 스크린에는 수위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끈상 스크린에 부착된 부착성 오염물질을 탈리하기 위한 볼부재가 더 충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수단은 상기 상부공간과 제4공간에 위치하게 설치됨으로서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는 관부와, 상기 제4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관부의 부위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세공들과 구멍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질 배출관은 상기 제3공간의 바닥에 침전된 침전성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1침전성 물질 배출구를 설치한 채로 상기 제1공간을 거쳐 상기 오염물질 처리수단으로 이어지며, 상기 제1공간에 위치한 부위에는 상기 제1공간의 침전성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2침전성 물질 배출구가 더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3분리벽의 하부에는 제4공간의 침전성 물질을 상기 제3공간을 통해서 상기 제1침전성 물질 배출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침전성 물질 이동구멍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1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질 처리수단은 상기 오염물질 배출관으로부터의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송펌프와 이송관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1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 차집수단은 상기 하수관거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입수관을 통해서 상기 하수처리수단과 연락하며, 상기 입수관과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하수관거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로부터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다수개의 바(bar)들로 이루어진 조목 스크린과 다수개의 구멍들을 갖는 타공 스크린이 순차로 설치된 내부가 빈 구조의 몸체(111), 상기 몸체(111)의 바닥으로부터 입설되어 상기 하수관거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차집하기 위한 웨어부재, 상기 웨어부재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유량 증가시 그 수압에 의해 개방되어 하수를 상기 하수관거로 방류하기 위한 수문부재, 및 상기 웨어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웨어부재를 월류하는 상기 수문부재의 방류량을 초과하는 하수로부터 오염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망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KR1020070049861A 2007-05-22 2007-05-22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KR100904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861A KR100904287B1 (ko) 2007-05-22 2007-05-22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861A KR100904287B1 (ko) 2007-05-22 2007-05-22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867A KR20080102867A (ko) 2008-11-26
KR100904287B1 true KR100904287B1 (ko) 2009-06-25

Family

ID=40288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861A KR100904287B1 (ko) 2007-05-22 2007-05-22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428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477B1 (ko) 2010-05-03 2010-12-30 주식회사 가원 초기우수 처리장치
CN102409750A (zh) * 2011-08-18 2012-04-11 杨欣 污水处理分流井
KR101327197B1 (ko) 2013-05-27 2013-11-07 (주) 삼정디씨피 빗물 여과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빗물 저류탱크
KR101367283B1 (ko) 2014-01-09 2014-02-25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청소기능이 구비된 부표식 자동차단밸브
KR102153821B1 (ko) 2019-04-11 2020-09-08 김현숙 웨어식 우수토실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908B1 (ko) * 2009-10-05 2012-03-28 최장환 초기우수 처리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270A (ko) * 2001-04-09 2002-10-18 (주) 상원이엔씨 우수토실 유출조
KR20030069345A (ko) * 2002-02-20 2003-08-27 유동훈 합류식 하수도의 우수토실
KR20060009564A (ko) * 2004-07-26 2006-02-01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하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270A (ko) * 2001-04-09 2002-10-18 (주) 상원이엔씨 우수토실 유출조
KR20030069345A (ko) * 2002-02-20 2003-08-27 유동훈 합류식 하수도의 우수토실
KR20060009564A (ko) * 2004-07-26 2006-02-01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하수처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477B1 (ko) 2010-05-03 2010-12-30 주식회사 가원 초기우수 처리장치
CN102409750A (zh) * 2011-08-18 2012-04-11 杨欣 污水处理分流井
CN102409750B (zh) * 2011-08-18 2013-10-23 杨欣 污水处理分流井
KR101327197B1 (ko) 2013-05-27 2013-11-07 (주) 삼정디씨피 빗물 여과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빗물 저류탱크
KR101367283B1 (ko) 2014-01-09 2014-02-25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청소기능이 구비된 부표식 자동차단밸브
KR102153821B1 (ko) 2019-04-11 2020-09-08 김현숙 웨어식 우수토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867A (ko)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325B1 (ko)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242275B1 (ko)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US20180087262A1 (en) Partitioned separator water treatment system with upflow filter
KR100605267B1 (ko) 우수처리장치
KR200459753Y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WO2008134435A1 (en) Purification and separation system for a fluid flow stream
KR200431389Y1 (ko)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100904287B1 (ko)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KR20120095767A (ko)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US20150176265A1 (en) Filter for polluted water
KR101003477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334884B1 (ko)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784496B1 (ko)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101056115B1 (ko)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KR100767754B1 (ko) 정화시설 내부 저장수를 이용하여 물청소하는 오염수다중정화시설 및 오염수 정화방법
KR101479462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WO2008094695A1 (en) Pollutant trap
KR100681933B1 (ko) 저류지에서의 수질 정화 증대 장치
KR101177714B1 (ko)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AU2005316557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KR101291606B1 (ko) 와류 챔버를 포함하는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818020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용 역세척 여과모듈
KR101714397B1 (ko) 교량용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101159474B1 (ko) 비점오염물질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