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884B1 -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 Google Patents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884B1
KR101334884B1 KR1020130089626A KR20130089626A KR101334884B1 KR 101334884 B1 KR101334884 B1 KR 101334884B1 KR 1020130089626 A KR1020130089626 A KR 1020130089626A KR 20130089626 A KR20130089626 A KR 20130089626A KR 101334884 B1 KR101334884 B1 KR 101334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rainwater
filter
bypass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지엘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엘이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엘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9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미세공극을 갖는 경량 기포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여 비점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하면서 침전물의 배출 및 세척이 용이하고 지속적 강우시 필터링보다는 바이패스되도록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은 어느 일측으로 우수가 들어오도록 유입구가 형성되면서 유입된 우수가 처리되어 배출되도록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함체 형상의 본체하우징과; 본체하우징내에 복수개의 칸막이가 형성되어 유입구측에서부터 배출구쪽으로 분할된 공간을 형성하는 침전조, 분리조 및 여과조와; 침전조는 다시 격벽이 형성되어 분할된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조와; 격벽과 칸막이들에 형성되어 차례로 물이 흘러 월류하도록 하는 제1월류로, 제2월류로 및 제3월류로와; 필터조내에 설치되어 유입된 유수가 통과하도록 하여 1차여과시키는 투수성/흡수성 여재를 갖는 필터부와; 분리조내에서 우수에 뜨도록 배치되어 우수에 포함된 유분을 분리하는 유분흡착포와; 여과조내에서 우수가 지그재그로 우회하도록 복수개의 우회벽이 형성되면서 이 우회벽들의 사이에 우수를 2차여과시키도록 설치되는 여과필터와; 침전조측 칸막이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우수의 수위가 제1월류로보다 높을 경우 배출구로 바로 연결되는 바이패스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An apparatus for decreasing non-point source pollutant}
본 발명은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멘트에 인위적으로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도록 한 경량 투수성/흡수성 시멘트 여재와 우수에 포함된 유분을 분리하는 유분흡착포를 이용하여 비점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하면서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비점오염이란 생활하수, 공장폐수, 축산폐수 등 오염원의 배출지점이 고정된 오염원과 달리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 물질을 배출하는 말한다. 이러한 비점오염은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광산, 벌채지, 폐기물 처리장, 쓰레기 매립장, 도심지, 도로, 및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배출지역이 광범위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로 나눌 수 있다.
이처럼 비점오염원은 오염물질이 주로 빗물 또는 눈녹은 물과 함께 특별한 정화시설이 없이 하천이나 호소로 흘러 들어와 물을 오염시키고 있지만 이에 대한 오염방지에 대한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특히, 비점오염물질은 중금속, 병원성 미생물, 유기화합물, 방사성물질, 유독성물질, 및 기타 협잡물이나 부유물질과 기름띠 등 다양한 물질들이 우천시 빗물에 쓸려 하천, 강, 호수,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흘러 들어가 수질을 오염시키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생태계의 파괴는 물론 최종적으로 인간에게 매우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비점오염물질은 우천시 초기 우수 유출수에서 비교적 높은 오염농도를 나타내고 있다. 약 20mm의 강우에 대한 우수 유출수 처리시설 용량만으로 전체 강우의 80% 이상을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연구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강우시의 특성을 고려하여 초기우수를 집중적으로 정화하는 것이 중요하고 효율적이며, 처리시설의 규모도 작게 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일반적으로 비점오염원의 제거를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저류형, 침투형, 식재형, 장치형 등이 있는데, 저류형은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서 초기 우수내의 입자성 오염물질을 침전에 의해 제거하는 방법이다.
또한, 침투형은 강우 유출수의 지하 침투능력을 증대시켜 우수유출 저감과 아울러 지하 침투과정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고, 식재형은 주로 전처리방법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식생수로와 식생여과대 등이 있으며, 장치형은 관거에 설치하는 시설로서 주로 관거를 통해 우수가 유출되는 도시지역에 적용 가능하며, 부유성 고형물질의 제거가 주된 목적이고, 여과형, 침전형, 수류형 등으로 구분되어 진다.
그러나 위와 같은 비점오염원의 제거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저류형의 경우에는 초기우수내의 입자성 오염물질을 침전에 의해 제거하기 때문에 입자성 물질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대규모의 토지가 필요하므로 이미 개발된 지역에 적용하기에는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있고, 또한 저류된 수질의 악화로 인한 해충이 발생하므로 보건상의 문제점을 유발한다.
침투형의 경우에는 토사, 부유물 및 오염물의 지속적인 유입으로 인한 공극 막힘 현상이 발생하여 유지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식재형의 경우에는 일정규모 이상의 토지가 필요하고 식생이 유지될 수 있는 이상적인 환경조건이 필요한 한계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도시나 소규모 개발지역에 적용할 수 있고, 적은 부지면적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청소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그 처리효율이 높은 비점오염원에 대한 정화시설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미세공극을 갖는 경량 기포 투수성/흡수성 시멘트 여재와 우수에 포함된 유분을 분리하는 유분흡착포를 이용하여 비점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하면서 침전물의 배출 및 세척이 용이하고 지속적 강우시 필터링보다는 바이패스되도록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어느 일측으로 우수가 들어오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된 우수가 처리되어 배출되도록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함체 형상의 본체하우징; 본체하우징내에 복수개의 칸막이가 형성되어 유입구측에서부터 배출구쪽으로 분할된 공간을 형성하는 침전조, 분리조 및 여과조; 침전조는 다시 격벽이 형성되어 분할된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조; 격벽과 칸막이들에 형성되어 차례로 물이 흘러 월류하도록 하는 제1월류로, 제2월류로 및 제3월류로; 필터조내에 설치되어 유입된 유수가 통과하도록 하여 1차여과시키는 투수성/흡수성 여재를 갖는 필터부; 분리조내에서 우수에 뜨도록 배치되어 우수에 포함된 유분을 분리하는 유분흡착포; 여과조내에서 우수가 지그재그로 우회하도록 복수개의 우회벽이 형성되며, 이 우회벽들의 사이에 우수를 2차여과시키도록 설치되는 여과필터; 및 침전조측 칸막이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우수의 수위가 제1월류로보다 높을 경우 분리조 및 여과조의 뒤쪽에 형성된 유도로를 따라 배출구로 바로 연결되는 바이패스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을 제공한다.
이때, 침전조에는 유입된 우수가 바이패스될때에 제1월류로를 폐쇄하도록 수문을 갖는 유량조절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유량조절장치는 수문에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어 와이어의 타단이 복수개의 롤러를 통해 침전조에 배치된 부력재로 연결되며, 부력재에는 수문을 들어올릴 수 있을 정도의 무게추가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는 필터조의 제1월류로 하측에서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상판과, 상판의 중앙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이중벽 구조를 갖는 다공통과, 다공통의 하부를 밀폐시키는 하판과, 다공통의 이중벽 사이로 삽입되는 경량 투수성/흡수성 여재와, 다공통의 내측에 삽입되는 걸름망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분리조내에는 우수가 역류됨을 방지하는 월류벽이 형성되며, 유분흡착포는 월류벽의 상측에 배치되고, 월류벽과 같은 높이의 분리조 내면상에는 유분흡착포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침전조 및 필터조의 바닥면은 격벽측으로 경사지게 구배가 형성되어 이물질들이 퇴적되도록 하여 퇴출구를 통하여 흡입 준설토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은 미세기공을 갖는 투수성의 다공성필터를 사용하여 비점오염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필터링해주는 이점이 있고, 이 다공성필터가 교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어 시설물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은 침전물이 발생되는 곳에 외부로 연장되는 침전물퇴출구를 설치하여 침전된 오물들을 외부에서 흡입하여 반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은 별도의 기름제거필터를 여과부보다 우선되게 그리고 유입되는 우수가 항상 거쳐가도록 구성하여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기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필터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5는 침전조내에 설치되는 유량조절장치의 상세도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하여 본 발명 저감시설을 정면측에서 바라본 내부구조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100)은 어느 일측에 우수가 들어오도록 유입구(111)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반대쪽 타측에 유입된 우수를 처리하여 배출시키는 배수구(112)가 형성되도록 커다란 함체 형상을 갖는 본체하우징(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체하우징(110)은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우수의 흐름방향(본체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두 개의 칸막이(113, 114)가 본체하우징(11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유입구(111)쪽에서부터 침전조(120), 분리조(150) 및 여과조(160)를 형성한다.
우선, 침전조(120)는 유입구(111)를 통해 들어온 우수가 침전되어 이물질들을 가라 앉히면서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들을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우수를 분리조(150)로 보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침전조(120)는 침전된 우수를 1차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조(130)가 형성되며, 이 필터조(130)는 침전조(120)내에서 칸막이(113, 114)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격벽(125)에 의해 분리되어 구성된다.
도 3은 침전조를 폭방향으로 단면하여 내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필터조내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침전조(120)를 양쪽으로 분리한 격벽(125)에는 우수가 서로 유통되도록 제1월류로(126)가 형성된다. 이때, 제1월류로(126)는 유입구(111)보다는 낮게 형성됨이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필터조(130)에는 유입된 우수를 1차로 필터링하는 필터부(140)가 설치된다.
필터부(14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1월류로(126)의 하측에서 수평하게 설치되는 상판(141)과, 이 상판(141)의 중앙부에 하측으로 내려가도록 연장되는 다공통(142)과, 다공통(142)의 하부를 막는 하판(143)과, 다공통(142)에 끼워져 우수를 필터링하는 여재(144)와, 다공통(142)의 안쪽으로 삽입되는 걸름망(14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판(141)의 상부로 유입된 우수는 걸름망(145)과 여재(144)와 다공통(142)을 통과하여 필터조(130)내에 머무르다가 필터조(130)와 분리조(150)를 등분하고 있는 제1칸막이(113)에 형성되어 있는 제2월류로(136)를 타고 분리조(150)로 넘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2월류로(136)는 제1월류로(126)보다 더 낮으면서 필터조(130)의 바닥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필터조(130)에는 퇴적물이 쌓일 수 있으므로 바닥면보다는 조금 더 높게 형성됨이 좋을 것이다.
여기에서, 다공통(142)은 다수의 통공들이 천공되어 있는 원형이나 사각형의 통이며, 이 다공통(142)은 안쪽과 바깥쪽에 이중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 이중의 다공통(142)내에 여재(144)가 담기게 되는 것이다. 여재(144)는 시멘트 및 세골재에 기포가 발생되는 약품을 혼합하여 양생한 것으로, 경량이면서 투수성과 흡수성을 가지며 이물질이 여재(144)의 벽면에 들러 붙는 것이 억제되도록 제작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여재(144)는 본 출원인 및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2626호(2013.06.03. 등록)에 개시된 것이 사용된다. 기존의 다른 투수성 여재는 골재들의 밀도에 따라 그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도록 한 것인 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여재는 거품이 나는 약품을 시멘트 및 세골재와 섞어 내부에 임의의 기공을 형성한 것으로, 미세한 기공에 의해 물이 흡수되도록 함으로서, 여재의 표면상에 이물질이 들러붙지 않게 된다.
그리고 여재(144)의 내측면상에는 걸름망(145)을 더 배치하여 보다 큰 이물질 및 섬유질 등이 걸름망(145)에 걸려 주기적으로 걸름망(145)을 외부로 반출시켜 관리할 수도 있게 된다. 걸름망(145)에는 걸이구(146)를 달아 인출이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120) 및 필터조(130)의 바닥면은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격벽(125)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구배(128, 138)를 주어 이 경사부에 침전된 이물질들이 퇴적되도록 하면서, 일정한 주기를 두어 퇴적된 이물질들을 퇴출구(129)를 통해 외부로 흡입 준설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분리조(150)는 필터조(130)를 통해 들어온 우수에서 기름 등과 같은 유분을 제거하는 곳으로, 분리조(150)내에는 부력에 의해 물에 뜨는 유분흡착포(152)가 내장된다. 이러한 분리조(150)에는 유입된 우수가 월류될 수 있도록 월류벽(151)이 형성되고, 이 월류벽(151)의 상측으로 유분흡착포(152)가 배치된다. 유분흡착포(152)는 분리조(150)의 평면과 거의 일치하는 크기로 제작되어 분리조(150)내에 우수가 없더라도 월류벽(151)위에 걸쳐지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분리조(150)의 내측벽면상에는 월류벽(151)과 동일한 높이에 걸림턱(153)이 형성되어 유분흡착포(152)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내려 앉거나 올라가도록 해준다.
이렇게 형성된 분리조(150)는 월류벽(151)을 넘으면서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분들이 유분흡착포(152)에 흡수되고, 유분이 분리된 우수들은 제2칸막이(114)에 형성되어 있는 제3월류로(156)를 통해 여과조(160)로 유입된다.
여과조(160)는 시설(100)내로 유입된 우수를 최종적으로 여과시켜 배출시키는 곳으로, 여과조(160)의 폭방향으로 2개의 우회벽(161)이 형성되고, 이 우회벽(161)들이 지그재그로 연통되도록 하며, 이 우회벽(161)들의 사이에 여과필터(162)가 내장된다. 따라서 제3월류로(156)를 통해 유입된 우수는 지그재그 형태로 돌면서 다수의 여과필터(162)를 거치면서 여과되어 최종적으로 배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침전조(120), 필터조(130), 분리조(150) 및 여과조(160)는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비점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한 시설인 것인바, 지속적인 우수가 유입될때에는 비점오염원이 이미 제거된 우수라는 조건이 발생되므로, 굳이 필터조(130), 분리조(150) 및 여과조(160)를 거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5는 우수가 지속적으로 유입될때에 바이패스되는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따라서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침전조(120)측의 제1칸막이(113)에 바이패스로(180)를 형성하고, 이 바이패스로(180)를 통해 배출구(112)측으로 다이랙트 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바이패스로(180)는 제1칸막이(113)에 제1월류로(126)보다 더 높게(물론, 유입구보다는 낮게) 형성하고, 분리조(150) 및 여과조(160)의 뒤쪽으로 유도로(181)를 형성하여 배출구(112)와 통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비점오염원이 높은 초기 우수는 제1월류로(126)를 넘나 들 정도의 중, 소량일 경우만 필터조(130) 및 여과조(160)를 통해 처리하여 배출시키고, 필터조(130) 및 여과조(160)를 통해 처리되는 양보다 더 많은 양의 우수가 유입되어 제1월류로(126)보다 더 높은 수위를 갖게 되면, 바이패스로(180)를 통해 직접 배출구(112)로 향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하지만, 필터조(130)내의 우수에는 필터부(140)에 의해 아직 필터링 되지 않은 이물질들이 포함되어 있게 되는데, 침전조(120)에서 바이패스로(180)를 통해 우수가 배출되면, 그 배수압에 의해 필터조(140)내의 우수가 역류하여 이물질이 포함된 우수가 그대로 배수될 수도 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월류로(126)에 침전조(120)의 수위에 따라 수문이 열고 닫히는 장치를 마련하여 침전조(120)의 수위가 높아 바이패스될때에는 제1월류로(126)가 닫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도 6은 침전조내에 설치된 유량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 및 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월류로(126)의 침전조(120)측 벽면상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문(171)을 설치하고, 이 수문(171)이 와이어(174)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와이어(174)는 이웃한 2개의 롤러(175)를 통해 침전조(120)측에서 잡아당기면 수문이 올라가 열리고, 침전조(120)측에서 와이어(174)를 놓으면 수문이 내려가 닫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수문(171) 작동을 위해 침전조(120)측에 부력재(176)를 띄우고, 부력재(176)에는 수문보다 더 무거워질 수 있도록 무게추(177)를 달아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침전조(120)에 우수가 없을때에는 도 6의 (a)도면과 같이, 부력재(176)가 무게추(177)에 의해 하강하면서 수문(171)을 들어올려 제1월류로(126)가 열려지도록 하고, 침전조(120)에 일정수위 이상의 우수가 차이면 도 6의 (b)도면과 같이, 부력재(176)가 떠 오르면서 수문(171)이 점차 하강하여 제1월류로(126)를 닫아주게 하는 것이다. 이처럼 부력재(176)가 올라가 수문(171)을 닫는 시점이 바이패스로(180)를 통해 우수가 배출되는 시점과 일치될 정도일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문(171)은 격벽(125)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슬라이딩샤프트(172)를 통해 승하강이 이루어지는데, 이 슬라이딩샤프트(172)의 상단측 및 하단측에는 수문(171)의 최저하향위치 및 최대상향위치를 결정하는 스토퍼(173)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 예들은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110 : 본체하우징 111 : 유입구
112 : 배출구 113, 114 : 칸막이
120 : 침전조 125 : 격벽
126 : 제1월류로 130 : 필터조
135 : 격벽 136 : 제2월류로
128, 138 : 구배 129 : 퇴출구
140 : 필터부 141 : 상판
142 : 다공판 143 : 하판
144 : 여재 145 : 걸름망
146 : 걸이구 150 : 분리조
151 : 월류벽 152 : 유분흡착포
153 : 걸림턱 156 : 제3월류로
160 : 여과조 161 : 우회벽
162 : 여과필터 170 : 유량조절장치
171 : 수문 172 : 슬라이딩샤프트
173 : 스토퍼 174 : 와이어
175 : 롤러 176 : 부력재
177 : 무게추 180 : 바이패스로
181 : 유도로

Claims (6)

  1. 어느 일측으로 우수가 들어오도록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유입된 우수가 처리되어 배출되도록 타측에 배출구(112)가 형성된 함체 형상의 본체하우징(110);
    상기 본체하우징(110)내에 복수개의 칸막이(113, 114)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11)측에서부터 배출구(112)쪽으로 분할된 공간을 형성하는 침전조(120), 분리조(150) 및 여과조(160);
    상기 침전조(120)는 다시 격벽(125)이 형성되어 분할된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조(130);
    상기 격벽(125)과 칸막이들(113, 114)에 형성되어 차례로 물이 흘러 월류하도록 하는 제1월류로(126), 제2월류로(136) 및 제3월류로(156);
    상기 필터조(130)내에 설치되어 유입된 유수가 통과하도록 하여 1차여과시키는 투수성/흡수성 여재를 갖는 필터부(140);
    상기 분리조(150)내에서 우수에 뜨도록 배치되어 우수에 포함된 유분을 분리하는 유분흡착포(152);
    상기 여과조(160)내에서 우수가 지그재그로 우회하도록 복수개의 우회벽(161)이 형성되며, 이 우회벽(161)들의 사이에 우수를 2차여과시키도록 설치되는 여과필터(162); 및
    상기 침전조(120)측 칸막이(113)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우수의 수위가 상기 제1월류로(126)보다 높을 경우 상기 분리조(150) 및 여과조(160)의 뒤쪽에 형성된 유도로(181)를 따라 상기 배출구(112)로 바로 연결되는 바이패스로(18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120)에는 유입된 우수가 바이패스될때에 상기 제1월류로(126)를 폐쇄하도록 수문(171)을 갖는 유량조절장치(17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장치(170)는 상기 수문(171)에 와이어(174)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174)의 타단이 복수개의 롤러(175)를 통해 상기 침전조(120)에 배치된 부력재(176)로 연결되며, 상기 부력재(176)에는 상기 수문(171)을 들어올릴 수 있을 정도의 무게추(177)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140)는 상기 필터조(130)의 제1월류로(126) 하측에서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상판(141)과, 상기 상판(141)의 중앙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이중벽 구조를 갖는 다공통(142)과, 상기 다공통(142)의 하부를 밀폐시키는 하판(143)과, 상기 다공통(142)의 이중벽 사이로 삽입되는 경량 투수성/흡수성 여재(144)와, 상기 다공통(142)의 내측에 삽입되는 걸름망(14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조(150)내에는 우수가 역류됨을 방지하는 월류벽(151)이 형성되며, 상기 유분흡착포(152)는 상기 월류벽(151)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월류벽(151)과 같은 높이의 분리조(150)내면상에는 상기 유분흡착포(152)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턱(15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120) 및 필터조(130)의 바닥면은 상기 격벽(125)측으로 경사지게 구배(128, 138)가 형성되어 이물질들이 퇴적되도록 하여 퇴출구(129)를 통하여 흡입 준설토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KR1020130089626A 2013-07-29 2013-07-29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KR101334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626A KR101334884B1 (ko) 2013-07-29 2013-07-29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626A KR101334884B1 (ko) 2013-07-29 2013-07-29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4884B1 true KR101334884B1 (ko) 2013-11-29

Family

ID=4985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626A KR101334884B1 (ko) 2013-07-29 2013-07-29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88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664B1 (ko) * 2015-12-18 2016-09-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카트리지 모듈식 침투도랑 전처리조, 이를 이용한 카트리지 모듈식 침투도랑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수의 여과 방법
KR101700931B1 (ko) * 2015-12-15 2017-01-31 조성범 스크린과 섬유볼 여재의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2124414B1 (ko) * 2019-01-22 2020-06-18 (주)선진테크산업 비점 오염 저감 장치
CN111359982A (zh) * 2020-03-17 2020-07-03 宁海县宏瑞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零件清理设备
CN116951142A (zh) * 2023-09-19 2023-10-27 成都市和谐环保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沉淀池进气管用泄气阀及其泄气方法
KR102617930B1 (ko) 2022-12-14 2023-12-26 김성중 순환골재를 포함하는 친환경 투수 콘크리트 조성물이 적용된 침투형 빗물받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269B1 (ko) 2005-07-12 2007-04-12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0904177B1 (ko) 2008-08-25 2009-07-24 (주)유성환경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1235008B1 (ko) 2012-05-04 2013-02-21 주식회사 그린텍 비점 오염 저감 시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269B1 (ko) 2005-07-12 2007-04-12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0904177B1 (ko) 2008-08-25 2009-07-24 (주)유성환경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1235008B1 (ko) 2012-05-04 2013-02-21 주식회사 그린텍 비점 오염 저감 시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931B1 (ko) * 2015-12-15 2017-01-31 조성범 스크린과 섬유볼 여재의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656664B1 (ko) * 2015-12-18 2016-09-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카트리지 모듈식 침투도랑 전처리조, 이를 이용한 카트리지 모듈식 침투도랑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수의 여과 방법
KR102124414B1 (ko) * 2019-01-22 2020-06-18 (주)선진테크산업 비점 오염 저감 장치
CN111359982A (zh) * 2020-03-17 2020-07-03 宁海县宏瑞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零件清理设备
KR102617930B1 (ko) 2022-12-14 2023-12-26 김성중 순환골재를 포함하는 친환경 투수 콘크리트 조성물이 적용된 침투형 빗물받이 시스템
CN116951142A (zh) * 2023-09-19 2023-10-27 成都市和谐环保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沉淀池进气管用泄气阀及其泄气方法
CN116951142B (zh) * 2023-09-19 2023-12-12 成都市和谐环保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沉淀池进气管用泄气阀及其泄气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022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0911819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242275B1 (ko)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49567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및 비점오염 물질 저감방법
KR101334884B1 (ko)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KR101741449B1 (ko) 유량 조정 및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초기 강우 유출수의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0904177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20100020867A (ko) 경사판 여과형을 이용한 도로의 친환경적 비점오염 제거장치
KR101781178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787625B1 (ko) 오염수정화장치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207293B1 (ko) 초기우수의 지하침투 처리시설
KR101186604B1 (ko) 활성바이오 담체를 이용한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1479462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0955098B1 (ko)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KR101262194B1 (ko) 합류식 하수 관거 월류수 처리 장치
KR20090033680A (ko) 우수처리시스템 및 우수처리방법
KR101353280B1 (ko) 여재카트리지를 결합한 모듈식 침투도랑
KR100605267B1 (ko) 우수처리장치
KR100927631B1 (ko) 생물막 여재를 이용한 비점 오염물 저감장치
KR101853617B1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모듈형 침투도랑
KR20080102867A (ko)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2139984B1 (ko) 비점오염 처리용 여재 교체형 침투도랑
KR100562168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