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115B1 -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 Google Patents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115B1
KR101056115B1 KR1020110015040A KR20110015040A KR101056115B1 KR 101056115 B1 KR101056115 B1 KR 101056115B1 KR 1020110015040 A KR1020110015040 A KR 1020110015040A KR 20110015040 A KR20110015040 A KR 20110015040A KR 101056115 B1 KR101056115 B1 KR 101056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hamber
filter medium
delete delete
cylindrica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환
정관호
박태규
Original Assignee
(주) 젠폴
한일환경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젠폴, 한일환경기술(주) filed Critical (주) 젠폴
Priority to KR1020110015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10Dividing the first rain flush out of the stormwater flow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는 오염된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우수 속의 고형물을 1차적으로 걸러 분리하기 위한 원통형 스크린이 챔버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원통형 스크린을 통해 1차적으로 걸러진 우수를 2차적으로 걸러 분리하기 위한 빗살형 스크린이 설치되고, 상기 원통형 스크린과 상기 빗살형 스크린에 의하여 오염물질이 분리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수구이 타측에 설치되는 스크린챔버와, 일측벽에 유출구가 형성된 여과챔버와, 상기 스크린 챔버와 상기 여과챔버를 상기 배수구에 의해 서로 연통시키는 제2격벽과, 상기 여과챔버에 마련되어 상기 배수구와 상기 유출구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여과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유입수가 접선방향으로 유입되어 와류형성 시 보다 한층 증대된 와류의 형성이 가능하여, 2차로 고형물을 분리함으로써 오일류 및 그리스, 부유협잡물 등의 고형물의 완벽한 분리 및 제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NON-POINT CONTAMINANTS PURIFICATION SYSTEM FOR TREATING FIRST RAIN}
본 발명은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류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플레이트가 내장된 원통형 스크린을 통해 오일류 및 부유물을 분리·제거하고, 빗살형태를 가진 빗살형 스크린에 의해 상향류 방식의 흐름을 가지며 미세 고형물을 효율적으로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스크린챔버와, 상기 스크린챔버의 저부에 형성되며 상기 웨지스크린의 배수 통공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챔버와 상하 연통되는 버퍼챔버로서, 일측벽에 경사 배수판이 형성된 제2 여과챔버와, 상기 제2 여과챔버와 경사 배수판에 의하여 연통되는 연속 수로챔버로서, 수로 중심에 여과판이 형성된 여과챔버로 구성되는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이라 함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으로서 불특정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을 말한다. 이에 비하여 점오염원(點汚染源)은 오염물질의 유출경로가 명확하여 수집이 쉬운 오염물질 배출원을 의미하며, 상기 점오염원이 계절에 따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만큼 연중 발생량 예측이 가능하여 처리장 등 처리시설의 설계와 관리하기가 용이한데 비하여,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은 오염물질의 유출 및 배출 경로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아 수집이 어렵고 발생량이 강수량 등의 기상조건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처리시설의 설계 및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비점오염원은 농작물에 흡수되지 않고 농경지에 남아있는 비료와 농약, 초지에 방목된 가축의 배설물, 가축사육농가에서 배출되는 미처리 축산폐수, 빗물에 섞인 대기오염물질, 도로 노면의 퇴적물 등으로서 강우시 빗물과 함께 하천으로 흘러내리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비점오염원들은 강우와 더불어 특별한 처리 없이 바로 하천으로 유입됨으로써 수질을 오염시키고, 이에 따라 물고기가 집단폐사하거나 저서생물의 서식처를 파괴되어 수생태계가 교란되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최근에는 토지개발로 인해 불투수층이 증가하면서 강우시 토양으로 흡수되거나 증발되지 않고 하천으로 배출되는 빗물의 양이 증가하여 홍수의 위험이 높아지고 지하수 함양이 줄어들어 평시에 하천의 건천화(乾川化)를 유발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도시지역의 비점오염 발생에 있어서는, 도시에서는 녹지 및 투수층 면적은 줄어들고 대신 택지개발 등으로 인한 불투수층 면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교통량의 증가, 인구 팽창 등으로 인해 건기 시 지표에 쌓이거나 공기 중의 먼지 등에 흡착하여 이동하던 오염물질이 우기시 함께 강하하여 불투수성 표면을 통과하지 못하고 빗물과 같이 흘러 한꺼번에 하천으로 유입되며, 지하로 스며드는 빗물의 양이 줄어듦에 따라 불투수층을 거쳐 일시에 하천에 흘러든 빗물로 홍수의 위험이 커지는 한편, 건기에는 하천 유지용수가 부족하여 하천이 건천(乾川)화 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택가, 도로 등에서는 일반적으로 부유물질(SS), 영양염류뿐만 아니라 박테리아 및 금속성 물질과 일부 유기 독성물질도 배출된다.
한편, 우천시 상기 비점오염원의 이동 동태를 살펴보면, 지표면에 퇴적된 입자성 오염물질이 빗물에 쓸려 한꺼번에 하천에 유입됨에 따라 초기 강우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가장 높은 초기세척 효과(first-flush effect)가 나타나고 강우가 지속되면서 농도가 낮아진다. 즉, 강우유출수에는 고농도의 유기물질과 각종 독성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물고기 집단폐사 등 하천 생태계 파괴와 수질오염의 주요원인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점오염원은 넓은 지역에 분산되어 있고, 강우시에만 집중적으로 유출되기 때문에 그동안 오염원으로서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하지 못하였으나, 오늘날에는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우수의 산성화와 함께 비점오염원의 독성이 부각되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며, 특히 강우초기에 발생하는 초기우수(first-flush)로 인한 유출수는 오염물질의 유출농도가 높고 중금속 등의 독성물질을 함유할 개연성이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통상, 비점오염원 처리시설로 적용되고 있는 시설은 크게 자연형과 장치형으로 구분하는데, 자연형 처리시설로서는 인공습지, 저류시설, 침투시설, 식생형시설 등이있으며, 장치형 처리시설로서는 여과조를 이용한 여과형, 와류를 이용한 와류형, 스크린형 등이 있다.
상기 저류형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은 우수에 대한 대용량의 처리가 가능하나, 처리설비면적을 크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간이 부족한 도심지역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장치형 처리시설 중 여과형 방식의 경우 부유성 고형물과 고형물에 부착된 오염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나 대규모 배수지역에는 부적합하고, 정기적인 여과재의 교체에 따른 유지관리가 어렵고 유지관리비가 많이 들뿐만 아니라 토사 등이 다량 배출되는 공사현장, 농촌, 산지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와류형은 대규모 유량처리가 가능하고, 침전물과 부유물을 분리처리가 가능하지만 미세입자(50~100㎛) 및 용존성 물질제거가 곤란하고 유량변동 시 제거효과가 미흡하여 유량조절장치 등 부대시설이 필요한 단점이 있는 반면, 스크린형 방식은 소용량 및 대용량 적용이 가능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협작물 제거가 가능하지만, 용존성 물질제거가 곤란하므로 처리항목이 제한적이고, 수처리 효과가 미흡하며 정기적인 고형물 제거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초기우수 및 하수 월류수(CSOs)는 토사외에 다량의 협잡물 등을 포함하고 있어, 최초 유입 될 시에 조대 고형물들을 원활히 제거하지 못하면 후속 공정에서 필터류 막힘 등의 현상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초기우수 및 하수 월류수의 최초 유입시 조대 고형물의 원활한 제거를 위해 와류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빗살형태를 가진 스크린에 의해 상향류 방식의 흐름을 가지며 미세 고형물 또한 효율적으로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하부에 적재된 고형물들을 외부로 손쉽게 반출할 수 있는 인양장치가 구비되어, 유지관리가 용이한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무동력 방식의 운전으로 경제적이며, 일체형의 구조로 설치 후 관리가 용이하고, 편의성이 증대되는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의 하천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초기 강우유출수의 관리가 매우 효율적인 것에 주목하여 초기 우천시 비점오염원의 하천 유입을 차단하는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오염된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우수 속의 고형물을 1차적으로 걸러 분리하기 위한 원통형 스크린이 챔버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원통형 스크린을 통해 1차적으로 걸러진 우수를 2차적으로 걸러 분리하기 위한 빗살형 스크린이 설치되고, 상기 원통형 스크린과 상기 빗살형 스크린에 의하여 오염물질이 분리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수구이 타측에 설치되는 스크린챔버와, 일측벽에 유출구가 형성된 여과챔버와, 상기 스크린 챔버와 상기 여과챔버를 상기 배수구에 의해 서로 연통시키는 제2격벽과, 상기 여과챔버에 마련되어 상기 배수구와 상기 유출구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여과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가 제공된다.
상기 스크린챔버는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 원통형의 챔버본체의 하부에 고형물을 포집하는 포집부가 구비되고, 상기 포집부에 수납되며 우수에서 제거된 고형물을 포집하여 저장하는 고형물 포집박스가 구비되고, 상기 원통형 스크린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의 와류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와류형성 플레이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챔버 내부에는 상기 원통형 스크린을 감싸는 형태의 원통형 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격벽의 하부와 상기 챔버의 외통을 연결하도록 상기 빗살형 스크린이 설치되어, 상기 원통형 스크린을 통과한 처리수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빗살형 스크린을 재차 통과하게 되어 미세고형물을 침전시켜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빗살형 스크린은 상기 원통형 스크린을 통과한 미세고형물이 걸러지도록 상기 원통형 스크린보다 촘촘한 간격으로 빗살이 형성되는 것으로, '<<<' 형상의 빗살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빗살형 스크린은 이중의 스크린으로 형성되며, 하부의 스크린에 '\'방향의 빗살이 형성되고, 상부의 스크린에 '/'방향의 빗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은 상기 원통형 스크린의 접선방향으로 설치되어 우수를 유입할 수 있다.
상기 고형물 포집박스에 포집된 고형물을 쉽게 반출하기 위한 인양장치로, 지상 또는 지상에 근접한 위치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류형성 플레이트는 상기 유입구에서부터 원통형 스크린의 하부까지 나선형으로 연결되며, 상기 원통형 스크린의 내경에 맞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가 와류형성 플레이트를 따라 흘러내릴 수 있다.
상기 와류형성 플레이트에는 우수 또는 고형물이 하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여과 장치는 수평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여과챔버의 상하를 구획하되 다수의 장착구멍이 형성된 수평지지판과,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되 상부 가장자리가 상기 수평지지판의 장착구멍에 장착되는 여과재 형태 유지부재와, 상기 여과재 형태 유지부재에 장착되어 그 형태가 유지되는 여과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여과재 형태 유지부재는 적어도, 다수의 외측 통공이 형성되며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관 형태의 외측 지지부와, 상기 외측 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하부 연결부와, 다수의 내측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연결부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외측 지지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관 형태의 내측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여과재는 상기 외측 지지부의 외측과 상기 하부 연결부의 하측과 상기 내측 지지부의 내측을 덮는 구조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스크린챔버의 유입구가 원통형 스크린의 접선방향으로 설치되고 원통형 스크린의 내부에 와류형성 플레이트가 설치됨으로써, 유입수가 접선방향으로 유입되어 와류형성 시 보다 한층 증대된 와류의 형성이 가능하여, 오일류 및 그리스, 부유협잡물 등의 고형물의 완벽한 분리 및 제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1차적으로 원통형 스크린을 통과한 처리수가 하부에서 상부의 흐름으로 빗살형 스크린을 한번 더 통과하게 됨으로써 미세고형물의 제거가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무동력의 운전으로 동력비 등의 절감 효과가 있으며, 일체형 구조로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비가 저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초기 강우유출수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초기 우천시 비점오염원의 하천 유입을 차단하는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의 스크린챔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의 스크린챔버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크린챔버에서의 유입수 순환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크린챔버에서의 고형물이 고형물박스에 담기는 것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크린챔버에서 고형물을 반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여과 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여과 장치의 수평 지지판의 사시도,
도 12는 수평 지지판의 장착구멍에 장착된 여과재의 단면 구조도,
도 13은 여과재 형태 유지 부재의 사시도 및 개념 단면도,
도 14는 여과재의 사시도 및 개념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의 스크린챔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의 스크린챔버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스크린챔버(100)와 여과챔버(300)로 구분되는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이다.
상기 스크린챔버(100)와 여과챔버(300)는 연속되는 수로의 일부분으로서 각각 우천시 초기 낙수의 오염물을 종류에 따라 분리 여과시킨다.
스크린챔버(100)는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챔버본체(1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챔버본체(110)에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30)가 장착되며, 타측에는 오염물질이 분리된 처리수를 외부로 방류하는 배수구(140)가 장착된다.
상기 챔버본체(110)는 상측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2)을 포함하는데, 상기 뚜껑(2)은 챔버본체(110) 내부에 누적된 협잡물이나 부유물 등의 고형물을 청소하기 위하여 개폐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챔버본체(110)는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고형물을 포집하는 포집부(112)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챔버본체(110)의 내부에는 원통형 스크린(120)이 설치되는데, 상기 원통형 스크린(120)은 상기 챔버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130)을 통해 유입된 우수의 부유물이나 고형물을 1차적으로 걸러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원통형 스크린(120)의 하부에 고형물 포집부(112)가 위치한다.
상기 유입구(130)은 상기 챔버본체(1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오염된 우수를 상기 원통형 스크린(120)의 내부로 유도하는 것으로, 상기 유입구(130)의 단부가 원통형 스크린(120)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입구(130)이 상기 원통형 스크린(120)의 접선방향으로 설치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30)은 원통형 스크린(120)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우수를 원통형 스크린(120)의 내부로 유도하되, 상기 원통형 스크린(120)의 접선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유입구(130)으로부터 원통형 스크린(120)으로 유도된 오염된 우수는 스크린 내에 효율적인 와류를 형성한다.
이는 종래의 단순한 중앙회전통에 의한 유입으로 형성된 와류보다 한층 증대된 와류를 형성할 수 있어 오일류 및 그리스, 부유협잡물의 분리제거가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형 스크린(120)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구(130)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의 와류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와류형성 플레이트(170)가 설치된다.
상기 와류형성 플레이트(17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30)에서부터 원통형 스크린(120)의 하부까지 나선형으로 연결되는 플레이트로서, 상기 원통형 스크린(120)의 내경에 맞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30)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가 와류형성 플레이트(170)를 따라 흘러내리면서 극대화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와류형성 플레이트(170)가 평판으로 형성되고, 와류형성 플레이트(170)에 우수 또는 고형물이 하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통공(172)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172)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크기나 갯수는 본 발명에서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원통형 스크린(120)을 통해 1차적으로 걸러진 우수를 2차적으로 걸러지도록 상기 챔버본체(110) 내에는 빗살형 스크린(150)이 구비된다.
상기 빗살형 스크린(150)의 설치를 위한 구조로서, 챔버본체(110) 내부에는 상기 원통형 스크린(120)을 감싸는 형태의 원통형 격벽(114)이 설치된다.
상기 격벽(114)은 상기 원통형 스크린(120)과 동심원을 이루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통형 스크린(12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빗살형 스크린(150)은 상기 격벽(114)의 하부와 상기 챔버본체(110)의 외통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빗살형 스크린(150)은 '<<<' 형상의 빗살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형태의 스크린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빗살형 스크린(150)이 이중의 스크린(151, 152)으로 형성되며, 하부의 스크린(152)에 '\'방향의 빗살(154)이 형성되고, 상부의 스크린(151)에 '/'방향의 빗살(153)이 형성되어 부유물 등을 걸러주게 된다.
이와 같은 빗살형 스크린(150)은 상기 원통형 스크린(120)을 통과한 미세고형물이 걸러지도록 상기 원통형 스크린(120)보다 촘촘한 간격으로 빗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챔버본체(110)에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원통형 스크린(120)을 통과하면서 챔버본체(110) 아래로 흐르는 처리수가 챔버본체(1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빗살형 스크린(150)을 재차 통과하게 되어 미세고형물을 침전시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빗살형 스크린(150)을 통과하여 오염고형물이 분리된 처리수는 배수구(140)를 거쳐 배출되고, 상기 고형물(10)은 중력 및 와류에 의하여 그 하부에 위치한 고형물 포집부(112)로 포집된다.
상기 포집부(112)에는 우수에서 제거된 고형물(10)을 포집하여 저장하는 고형물 포집박스(160)가 수납된다.
본 발명의 고형물 포집박스(160)는 상기 원통형 스크린(1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원통형 스크린(120)과 빗살형 스크린(150)에 의하여 제거된 고형물을 포집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통형 스크린(120)의 개구부보다 작은 고형물은 와류에 의하여 하부로 침전되어 고형물 포집박스(160)에 저장되고, 상기 원통형 스크린(120)의 개구부보다 큰 고형물은 와류와 중력에 의하여 하부로 침전되어 고형물 포집박스(160)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형물 포집박스(160)에 포집된 고형물(10)을 쉽게 반출하기 위한 인양장치로, 지상 또는 지상에 근접한 위치에 연결되는 와이어(162)를 설치하여 일정 주기적으로 포집박스(160)의 고형물(10)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배수구(140)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는 여과챔버(300)로 유입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비교적 큰 입자들은 스크린챔버(100)에서 여과시키고, 스크린챔버(100)를 통과한 처리수가 여과챔버(300)로 이동한다.
상기 스크린 챔버(100)와 상기 여과챔버(300)를 상기 배수구(140)에 의해 서로 연통시키는 제2격벽(310)이 마련된다.
상기 여과챔버(300)에는 상기 배수구(140)와 유출구(301)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여과 장치(320)가 마련된다.
따라서 배수구(140)를 통하여 유입된 우수는 반드시 여과 장치(320)에서 이물질이 여과된 후 유출구(301)를 통하여 유출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여과 장치(320)는 섬유막으로 형성된 여과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과 장치(320)는 미세 정화를 실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여과판은 선등록 기술(특허등록 10-0750461)에 공지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도 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이 사용되며, 아울러 상기 여과판의 정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과판을 지그 재그 형태로 설치된 것 역시 공지의 선등록 기술과 동일하다. 따라서 특허등록 제10-0750461호에 기재된 기술적 사항은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것으로 간주되며, 본 발명에 적절히 응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여과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여과 장치의 수평 지지판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수평 지지판의 장착구멍에 장착된 여과재의 단면 구조도이고, 도 13은 여과재 형태 유지 부재의 사시도 및 개념 단면도이고, 도 14는 여과재의 사시도 및 개념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상이한 부분만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여과 장치(320)의 구성이 제1실시예와 상이하다.
본 실시예의 여과 장치(320)는 수평 지지판(321), 여과재 형태 유지부재(322), 여과재(323) 등으로 구성된다.
수평 지지판(321)은 수평상으로 배치되어 여과챔버(300)의 상하를 구획하게 된다.
아울러 수평 지지판(321)에는 다수의 장착구멍(321a)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장착구멍(321a)마다 여과재 형태 유지부재(322), 여과재(323) 등이 장착된다.
여과재 형태 유지부재(322)는 여과재(323)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플라스틱이나 금속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여과재 형태 유지부재(322)는 그 상부 가장자리가 수평지지판(321)의 장착구멍(321a)에 장착된다.
아울러 여과재 형태 유지부재(322)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여과재(323)를 통과한 우수가 흘러나갈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여과재 형태 유지부재(322)는 특히 철망을 가공하거나 다공관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여과재(323)는 부직포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과재 형태 유지 부재(322)에 장착되어 그 형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은 여과재 형태 유지부재(322)는 여과재(323)의 여과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여과재 형태 유지부재(322)는 제1장착부(322a), 외측 지지부(322b), 하부 연결부(322c), 내측 지지부(322d), 제2장착부(322e)로 이루어진다.
외측 지지부(322b)는 다수의 외측 통공이 형성되며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관 형태이다.
외측 지지부(322b)의 상단에는 장착구멍(321a)에 장착되기 위한 제1장착부(322a)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하부 연결부(322c)는 외측 지지부(322b)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면서 형성된다. 하부 연결부(322c)는 외측 지지부(322b)와 내측 지지부(322d)를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부 연결부(322c)에는 비교적 큰 크기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연결부(322c)에 비교적 큰 크기의 통공이 형성된다면 청소 등을 위하여 여과재 형태 유지 부재(322)로부터 여과재(323)를 분리시킬 경우 하부 연결부(322c) 상부에 집적된 이물질이 하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다.
내측 지지부(322d)는 다수의 내측 통공이 형성되며 하부 연결부(322c)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로 길게 연장되는 관 형태로서, 외측 지지부(322b)의 내측에 마련된다.
제2장착부(322e)는 내측 지지부(322e)의 상단 가장자리가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면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여과재 형태 유지 부재(322)에 여과재(323)가 장착되면, 여과재(323)는 적어도 외측 지지부(322b)의 외측과, 하부 연결부(322c)의 하측과, 내측 지지부(322d)의 내측을 덮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여과재(323)는 외측 지지부(322b)와 내측 지지부(322d)에 접한 각각의 면에서 여과 기능을 발휘하게 되며, 하나의 장착 구멍(321a)에 2개의 관 형태의 여과면적이 존재하므로 그 여과효율이 배가된다.
여과재 형태 유지부재(322)와 여과재(323)를 장착구멍(321a)에 장착하기 위하여 여과재 형태 유지부재(322)의 상면에 십자 형태로 2개의 조립바(324)가 마련되며, 아울러 제2장착부(322e)의 하면에 원판 형태의 여과재 지지판(325)이 마련된다.
여과재 지지판(325)의 상면 중앙에는 고정용 볼트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과재 형태 유지부재(322)의 제1장착부(322a)와 여과재(323)의 상부 가장자리가 2개의 조립바(324)의 양단 및 장착구멍(321a)에 볼트 조립되며, 아울러 여과재 형태 유지부재(322)의 제2장착부(322e)와 여과재(323)의 상부 중앙부가 2개의 조립바(324)의 중앙부 및 여과재 지지판(325)에 볼트 조립된다.
이와 같은 조립 구조는 여과재 형태 유지부재(322) 및 여과재(323)의 조립 및 분해가 매우 간단하므로 이들의 유지 관리가 매우 편리하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여 본 장치는 유입수의 양이 비교적 적으면서 협잡물이 집중적으로 몰려오는 초기 우수시에, 스크린 챔버(100), 여과챔버(300)로 이루어지는 흐름 경로를 형성시키며, 초기 우수 정화 작업(협잡물 제거)을 실행시킨다.
즉, 상기 유입구(130)를 통해 원통형 스크린(120)에 유입된 우수는 와류형성 플레이트(170)를 통해 스크린 내에 효율적인 와류를 형성한다.
상기 원통형 스크린(120)을 통해 1차적으로 걸러진 우수는 챔버본체(1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빗살형 스크린(150)을 재차 통과하게 되어 미세고형물을 침전시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빗살형 스크린(150)을 통과하여 오염고형물이 분리된 처리수는 배수구(140)를 거쳐 배출되고, 상기 고형물(10)은 중력 및 와류에 의하여 그 하부에 위치한 고형물 포집부(112)로 포집된다.
상기 여과챔버(300)로 유입된 처리수는 여과챔버(300)에서 여과 장치(320)를 지나 유출구(301)로 유출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스크린챔버 110 : 챔버본체
112 : 고형물 포집부 114 : 격벽
120 : 원통형 스크린 130 : 유입구
140 : 배수구 150 : 빗살형 스크린
160 : 포집박스 170 : 와류형성 플레이트
300 : 여과챔버 320 : 여과장치
321 : 수평 지지판 322 : 여과재 형태 유지부재
323 : 여과재 325 : 여과재 지지판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오염된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우수 속의 고형물을 1차적으로 걸러 분리하기 위한 원통형 스크린이 챔버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원통형 스크린을 통해 1차적으로 걸러진 우수를 2차적으로 걸러 분리하기 위한 빗살형 스크린이 설치되고, 상기 원통형 스크린과 상기 빗살형 스크린에 의하여 오염물질이 분리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수구가 타측에 설치되는 스크린챔버;
    일측벽에 유출구가 형성된 여과챔버;
    상기 스크린 챔버와 상기 여과챔버를 상기 배수구에 의해 서로 연통시키는 제2격벽;
    상기 여과챔버에 마련되어 상기 배수구와 상기 유출구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여과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 장치는 수평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여과챔버의 상하를 구획하되 다수의 장착구멍이 형성된 수평지지판과,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되 상부 가장자리가 상기 수평지지판의 장착구멍에 장착되는 여과재 형태 유지부재와, 상기 여과재 형태 유지부재에 장착되어 그 형태가 유지되는 여과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 형태 유지부재는 적어도, 다수의 외측 통공이 형성되며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관 형태의 외측 지지부와, 상기 외측 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하부 연결부와, 다수의 내측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연결부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외측 지지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관 형태의 내측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여과재는 상기 외측 지지부의 외측과 상기 하부 연결부의 하측과 상기 내측 지지부의 내측을 덮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KR1020110015040A 2011-02-21 2011-02-21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KR101056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040A KR101056115B1 (ko) 2011-02-21 2011-02-21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040A KR101056115B1 (ko) 2011-02-21 2011-02-21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666A Division KR20120095767A (ko) 2011-04-08 2011-04-08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6115B1 true KR101056115B1 (ko) 2011-08-17

Family

ID=44933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040A KR101056115B1 (ko) 2011-02-21 2011-02-21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11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604B1 (ko) 2012-03-13 2012-09-27 (주)지지산업 활성바이오 담체를 이용한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1273679B1 (ko) 2013-03-04 2013-06-12 주식회사 지이글로벌 초기빗물처리조를 포함한 친환경 하이브리드 빗물재이용시스템
CN106861281A (zh) * 2015-12-10 2017-06-20 俞扬池 一种雨水净化设备
CN107098488A (zh) * 2017-04-15 2017-08-29 江苏龙腾工程设计股份有限公司 旋流式过滤器及其净化污水的方法
CN109555206A (zh) * 2018-10-31 2019-04-02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敞开式地下立体通道的安全排水系统
KR102270271B1 (ko) * 2020-02-27 2021-06-28 조길남 미세다공망과 월류방식을 적용한 빗물재이용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846Y1 (ko) 2006-06-07 2006-08-25 (주) 일신네이쳐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KR100923632B1 (ko) * 2009-07-31 2009-10-23 이원선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101002809B1 (ko) 2010-03-19 2010-12-2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846Y1 (ko) 2006-06-07 2006-08-25 (주) 일신네이쳐 경사판 침전을 이용한 초기우수(비점오염원) 및 하수관거월류수 처리장치
KR100923632B1 (ko) * 2009-07-31 2009-10-23 이원선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101002809B1 (ko) 2010-03-19 2010-12-2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604B1 (ko) 2012-03-13 2012-09-27 (주)지지산업 활성바이오 담체를 이용한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1273679B1 (ko) 2013-03-04 2013-06-12 주식회사 지이글로벌 초기빗물처리조를 포함한 친환경 하이브리드 빗물재이용시스템
CN106861281A (zh) * 2015-12-10 2017-06-20 俞扬池 一种雨水净化设备
CN107098488A (zh) * 2017-04-15 2017-08-29 江苏龙腾工程设计股份有限公司 旋流式过滤器及其净化污水的方法
CN109555206A (zh) * 2018-10-31 2019-04-02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敞开式地下立体通道的安全排水系统
KR102270271B1 (ko) * 2020-02-27 2021-06-28 조길남 미세다공망과 월류방식을 적용한 빗물재이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5767A (ko)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KR100949325B1 (ko)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US6649048B2 (en) Filter cartridge with regulated surface cleaning mechanism
KR101013113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US8940170B2 (en) Triple-chambered wetland biofilter treatment system
KR101382006B1 (ko)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및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056115B1 (ko)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KR101294715B1 (ko)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235008B1 (ko) 비점 오염 저감 시설
KR100991492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KR101565593B1 (ko) 비점오염 처리장치
KR101781178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US20150176265A1 (en) Filter for polluted water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20150114224A (ko)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WO2006121268A1 (en) Non-point source pollution treatment apparatus
KR101538439B1 (ko) 교량용 비점오염물질 정화처리장치
KR100750495B1 (ko)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KR100904287B1 (ko)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KR100713591B1 (ko) 맨홀 장착용 정화장치
US11459255B2 (en) Two-sided horizontal flow bioretention stormwater system
KR100939325B1 (ko) 자연친화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931522B1 (ko) 미생물접촉재와 메쉬망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851938B1 (ko)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0343186Y1 (ko) 우수받이 기능을 가진 노면 배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