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020B1 - 비점오염 저감시설용 역세척 여과모듈 - Google Patents

비점오염 저감시설용 역세척 여과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020B1
KR101818020B1 KR1020170109480A KR20170109480A KR101818020B1 KR 101818020 B1 KR101818020 B1 KR 101818020B1 KR 1020170109480 A KR1020170109480 A KR 1020170109480A KR 20170109480 A KR20170109480 A KR 20170109480A KR 101818020 B1 KR101818020 B1 KR 101818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
housing
pipe
filtration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근
Original Assignee
스톰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톰코리아(주) filed Critical 스톰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70109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오염 저감시설용 역세척 여과모듈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비점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다공성 여과재와, 상기 여과재를 저장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여과재를 역세척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입체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압분사관으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하판 저면에 설치되는 요철 형태의 스크린 철망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정되는 여과재 팽창존을 포함할 수도 있어서, 역세척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과 효과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역세척 여과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점오염 저감시설용 역세척 여과모듈{Back-washable filtering module for non-point pollution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비점오염 저감시설용 역세척 여과모듈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비점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다공성 여과재와, 상기 여과재를 저장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여과재를 역세척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입체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압분사관으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하판 저면에 설치되는 요철 형태의 스크린 철망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정되는 여과재 팽창존을 포함할 수도 있어서, 역세척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과 효과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역세척 여과모듈에 관한 것이다.
수질오염 물질은 오염원에 따라 점오염(point pollution) 물질과 비점오염(non-point pollution) 물질로 구분된다. 먼저 점오염물질은 주로 일반 가정이나 영업지역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 공장에서 배출하는 산업폐수, 대단위 축산시설에서 발생하는 축산폐수 등과 같이 특정 장소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로서, 배출경로에 대한 추적이 용이하기 때문에 대부분 소정의 하수처리 절차를 거쳐서 하천 등을 방류된다.
반면, 비점오염물질은 도시의 도로면이나 농경지 등과 같이 광범위한 지역에서 불특정한 배출경로를 통해 배출되는 오염물질로서, 차량의 주행으로 인해 발생하는 중금속류, 오일류, 타이어 분진 등을 비롯하여 농지에 살포된 비료나 농약, 토양 침식물, 축사 유출물, 그리고 각종 생활 쓰레기나 가로수 낙엽 등이 다량 포함되어 있고, 계절별 및 지역간 배출량의 차이가 많아서 예측과 정량화가 어려운 특성이 있다. 그래서 비점오염 물질들은 대부분 우천시에 초기 빗물에 의해서 그대로 하천이나 호수, 특히 식수원이나 지하수맥으로 유입되어 수질을 오염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종래에도 비점오염물질로 인한 수질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0-0943022호(2010년 02월 10일), 특허 제10-1494296호(2015년 02월 11일), 특허등록 제10-1743712호(2017년 05월 30일), 특허등록 제10-1764721호(2017년 07월 28일) 등에는 여러가지 비점오염 저감시설들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비점오염 저감시설들은 대체로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빗물, 즉 비점오염수를 모아서 처리하는 ‘전처리조’와 ‘여과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처리조에서는 비점오염수 속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 자갈 등을 침전시키고, 이어서 상기 여과조에서는 비점오염수 속에 분산 또는 용해되어 있는 중금속이나 오일, 농약 성분 등을 여과한다. 이때, 상기 여과조에는 비점오염수를 여과처리하는 여과장치(이하, 본 발명에서는‘여과모듈’이라 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여과모듈(filtering module)은 하우징 속에 다공성 여과재(filter media)가 채워진 구조로서, 강우시에 비점오염수를 여과처리하고 나면, 상기 여과재가 각종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하우징 표면에 낙엽이나 과자봉지 등과 같은 협잡물이 들러붙게 된다. 그래서 종래의 비점오염 저감시설에는 비가 그치면 정수된 빗물을 역류 시키면서 상기 하우징과 여과재를 세척하는 역세척 장치들이 구비되어 있다.
첨부 도 1은 특허등록 제10-1743712호(2017년 05월 30일)에 소개된 역세척 기능이 구비된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예시한 것으로, 상기 전처리조에 해당하는 저류조(200)와, 상기 여과조에 해당하는 여과처리조(300), 그리고 정수 처리된 빗물을 방류하는 방류조(40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여과처리조(300)에는 상기 여과모듈에 해당하는 다수개의 여과수단(30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 1의 비점오염 저감시설은 상기 저류조(200)에서 1차 정화된 비점오염수가 우수공급홀(204)을 통해서 상기 여과처리조(300) 상부로 유입된 다음, 상기 여과수단(304)을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하여 흘러내는 하향식 여과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또한 첨부 도 2는 상기 도 1의 여과수단(304)과 여기에 각각 설치된 역세척 장치인 에어분사부재(330)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에어분사부재(330)는 제어수단(500)의 제어에 따라 압축공기를 생산하여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335)과, 상기 에어공급수단(335)으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여과수단(304) 내부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본체부(33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본체부(332)는 다공성 필터부재(310)의 하단 내주면과 필터 카트리지(320)의 하단 외주면 사이에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홀(334)을 갖는다.
그래서 비가 그치고 나면, 상기 여과수단(304)의 하단에 각각 연결된 유출수 분사수단(410)을 통해서 정화된 빗물을 상기 여과수단(304)의 하부에서 상부로 역순환 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에어분사부재(330)의 분사홀(334)을 통해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역세척 공정을 실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역세척 공정에서 발생하는 세척오염수는 따로 수거하여 별도의 하수처리절차를 거친 다음, 하천 등으로 방류한다.
특허등록 제10-0943022호(2010년 02월 10일) 특허 제10-1494296호(2015년 02월 11일) 특허등록 제10-1743712호(2017년 05월 30일) 특허등록 제10-1764721호(2017년 07월 28일)
상기 도 1의 비점오염 저감시설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역세척 장치는, 상기 여과수단(304), 즉 여과모듈의 하단(또는 상단)에서 압축공기를 분사하기 때문에 상기 압축공기가 여과모듈 내에 채워져 있는 여과재 전체에 골고루 전달되지 못하고, 따라서 역세척 시간이 지연되거나 세척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설치되는 여과모듈에 있어서 역세척 공정을 실시할 때 상기 여과모듈 내에 채워진 여과재 전체에 압축공기를 입체적으로 골고루 전달 할 수 있고, 따라서 역세척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역세척 효과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역세척 수단이 구비된 역세척 여과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점오염수가 하우징의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하는 상향식 여과구조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하단 입구 부분에 낙엽이나 과자봉지와 같은 협잡물이 들러붙어서 비점오염수의 유입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세척 여과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역세척 여과모듈이 설치된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시설용 역세척 여과모듈은, 비점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다공성 여과재와; 상기 여과재를 저장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 형상으로서, 상기 비점오염수가 유입되는 하판과 상기 비점오염수가 배출되는 상판이 각각 타공망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여과재를 역세척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입체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압분사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압분사관은, 상기 하우징의 하판 중심부를 관통하며, 하단부가 외부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압공급관에 상하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압연결관과; 상기 공압연결관의 상단에서 방사형으로 분기되어 각각 상기 하우징의 상판에 인접하는 부위까지 확장되어 있는 공압분기관과; 상기 공압분기관에 관통되어 있는 다수개의 공압분출공;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판 저면에는, 상기 비점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이 상기 하우징의 하판에 직접 들러붙지 않도록 막아주는 요철 형태의 스크린 철망이 이격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재는 펄라이트(pearlite) 재질의 여과재로서, 상기 하우징에는 높이(H)의 80~95% 까지만 상기 여과재가 채워져 있고, 그 나머지 공간은 역세척 공정시에 상기 여과재가 팽창 및 교란되는 여과재 팽창존으로 남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 여과모듈은, 역세척용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압분사관이 하우징 내부에 입체적으로 분포되어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채워진 여과재 전체에 압축공기를 골고루 전달 할 수 있고, 따라서 역세척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역세척 효과를 증진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점오염수가 하우징의 하판으로 유입되어 상판으로 배출되는 상향식 여과구조로서, 상기 하우징의 하판 저면에 낙엽이나 과자봉지와 같은 협잡물이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는 요철 형태의 스크린 철망이 설치되어 있어서, 비점오염수의 유입이 원활하게 하여 여과작용이 잘 이루어지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여과수단(304)과 에어분사부재(330)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모듈의 평면도(A)와 단면도(B),
도 4는 본 발명의 여과모듈이 설치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평면도(A) 및 단면도(B)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종래기술에 소개되어 있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시설용 역세척 여과모듈은, 첨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점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다공성 여과재(10)와, 상기 여과재(10)를 저장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 형상의 하우징(20)과, 그리고 상기 여과재(10)를 역세척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20) 내부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압분사관(30)으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20)의 하판(21) 저면에 설치되는 요철 형태의 스크린 철망(4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먼저 상기 여과재(10)는 비점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을 사용해도 좋으나, 특히 펄라이트(pearlite)를 포함하는 세라믹 재질의 여과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여과재(10)를 저장하는 것으로, 비점오염수가 상기 하우징(20)의 하판(21)으로 유입되어 상판(22)으로 배출되는 상향식 여과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0)의 하판(21)과 상판(22)은 각각 비점오염수가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타공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압분사관(30)은, 상기 하우징(20)의 하판(21) 중심부를 관통하는 공압연결관(31)과, 상기 공압연결관(31)의 상단에서 분기되는 공압분기관(32), 그리고 상기 공압분기관(32)에 관통되어 있는 다수개의 공압분출공(33)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공압연결관(31)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하단부가 외부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압공급관(62)에 상하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여과모듈(1)은 각각 공압연결관(31)에 의해서 상기 공압공급관(62)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공압공급관(62)에다 공압연결관(31)만 결합하면 설치가 완료되고, 반대로 상기 공압공급관(62)으로부터 공압연결관(31)만 빼내면 본 발명의 여과모듈(1) 전체가 각각 용이하게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공압분기관(32)은 상기 공압연결관(31)의 상단에서 방사형으로 분기되어 각각 상기 하우징(20)의 상판(22)에 인접하는 부위까지 입체적으로 확장되어 있다. 첨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하우징(20)이 사각함체 형상이고, 4개의 공압분기관(32)이 상기 하우징(20)의 네 모서리 부분을 향하여 사방으로 확장되어 있는 구조를 보여준다.
이때, 상기 공압분기관(32)은 각각 상기 공압연결관(31)의 상단에서 사방으로 분기되어 상기 하우징(20)의 하판(21)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확장된 다음, 상기 하우징(20)의 측벽(23)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20)의 상판(22)에 인접하는 부위까지 수직으로 확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여과모듈(1)은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20)의 하판(21) 저면에 설치되는 요철 형태의 스크린 철망(4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크린 철망(40)은 비점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낙엽이나 과자봉지 등과 같은 협잡물이 상기 하우징(20)의 하판(21)에 직접 들러붙지 않도록 막아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스크린 철망(40)은 요철 형태로 굴곡이 져 있어서 그 저면에 협잡물이 다소 들러붙어도 비점오염수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과모듈(1)에 대하여 역세척 공정을 실시할 때는 비점오염수를 여과할 때와는 반대로 상기 하우징(20)의 상판(22)에서부터 하면(21)으로 정수처리된 우수를 통과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여과재(10)에 붙어있는 오염물질이 보다 효과적으로 세척되도록 공압분사관(30)을 통해서 압축공기를 분사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20) 내에서 여과재(10)가 교란 및 팽창하면서 보다 효과적인 세척이 일어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0) 내에는 높이(H)의 80~95% 까지만 여과재(10)를 채우고, 그 나머지 공간은 여과재 팽창존(11)으로 남겨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공압분사관(30)을 통해서 압축공기를 분사할 때, 상기 하우징(20)의 나머지 5~20%의 여유공간, 즉 여과재 팽창존(11) 내에서 상기 여과재(10)들이 교반, 부유, 회전하면서 서로 마찰을 일으키기 때문에 상기 여과재(10)의 세척 효과를 훨씬 향상시킬 수 있다.
첨부 도 4는 본 발명의 여과모듈(1)이 설치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A)와 단면도(B)이다. 본 발명의 비점오염 저감시설은 통상적인 비점오염 저감시설과 마찬가지로 비점오염수를 일시 저류 시키는 전처리조(50)와, 상기 비점오염수를 여과시키는 여과조(60)를 갖는다.
상기 전처리조(50)에는 일측 상단에 비점오염수를 유입시키는 우수유입관(51)이 설치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정체수 배출펌프(5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조(60)에는 상기 우수유입관(51) 보다 낮은 위치에 우수방류관(6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우수방류관(61)과 바닥면 사이의 중간 위치에는 본 발명의 여과모듈(1)이 수평방향으로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여과조(60)의 바닥면과 상기 여과모듈(1) 사이의 공간에는 외부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압공급관(62)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여과모듈(1)의 공압연결관(31)이 공압공급관(62)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여과조(60)의 바닥면에는 역세척 펌프(63)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의 (B)에서 미설명 부호 ‘M’은 ‘맨홀’이다.
상기 전처리조(50)와 상기 여과조(60)는 격벽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우수유입관(51)과 같거나 그보다 낮은 위치에 우수월류공(53)이 관통되어 있다. 상기 우수월류공(53)을 통해서 전처리조(50)로부터 여과조(60)로 비점오염수가 흘러들어온다. 상기 우수월류공(53)에는 비점오염수 속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이나 이물질 덩어리를 걸러주는 배플(5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처리조(50)와 여과조(60) 사이에는 수위조절벽(70)이 설치되어있고, 상기 수위조절벽(70)의 하단에는 전처리조(50)로부터 유입되는 비점오염수를 여과모듈(1)의 하단으로 공급하는 하단우수통로(71)가 관통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우수월류공(53)을 통해서 여과조(60)로 유입된 비점오염수는 수위조절벽(70)에 의해서 흐름이 차단되고, 그 하단에 형성된 하단우수통로(71)를 통해서만 상기 여과모듈(1)의 하단으로 유입된다.
상기 수위조절벽(70)에 의해서 흐름이 차단된 비점오염수의 수위가 점차 높아지면, 여과모듈(1)의 하단으로 유입된 비점오염수가 수위차로 인한 수압에 의해서 상기 여과모듈(1)을 밑에서 위로 통과하면서 정수처리 된 다음, 우수방류관(61)을 통해서 하천 등으로 방류된다. 이때, 상기 여과조(60)의 우수방류관(61)은 전처리조(50)의 우수유입관(51)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4의 (B)와 같이 전처리조(50)와 여과조(60) 사이에는 상기 우수유입관(51)와 우수방류관(61)의 높이차이 만큼 수위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수위차로 인해서 비가 오는 동안에는 비점오염수에 대한 여과 및 정수과정이 무동력으로 계속 진행된다.
한편, 상기 여과모듈(1)에 대한 역세척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역세척 펌프(63)를 가동하여 상기 여과조(60)의 여과모듈(1) 아래쪽에서 비점오염수를 밖으로 강제배출 시키면서 동시에 공압분사관(30)을 통해서 상기 여과모듈(1)의 하우징(20) 내부로 압축공기를 분사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여과조(60) 내에 채워진 우수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상기 여과모듈(1)의 위쪽에 채워져 있던 정수처리된 우수가 상기 여과모듈(1)을 위에서 아래로 통과하면서 여과재(10)에 붙어있는 오염물질을 세척하고, 스크린 철망(40) 저면에 붙어있는 협잡물을 분리 시킨다.
또한 상기 전처리조(50)에 남아있는 슬러지 상태의 침전물은 정체수 배출펌프(52)를 이용하여 밖으로 강제 배출되고, 상기 역세척 펌프(63)를 통해서 배출되는 세척 오염수와 함께 별도의 하수처리 공정을 거친 다음, 하천 등으로 방류된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상기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면과 이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하기 청구범위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여과모듈 10; 여과재
11; 여과제 팽창존 20; 하우징
21; 하판 22; 상판
23; 측벽 30; 공압분사관
31; 공압연결관 32; 공압분기관
33; 공압분출공 40; 스크린 철망
50; 전처리조 51; 우수유입관
52; 정체수 배출펌프 53; 우수월류공
54; 배플(baffle) 60; 여과조
61; 우수방류관 62; 공압공급관
63; 역세척 펌프 70; 수위조절벽
71; 하단우수통로

Claims (5)

  1. 비점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펄라이트(pearlite) 재질의 다공성 여과재(10)와;
    상기 여과재(10)를 저장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 형상으로서, 상기 비점오염수가 유입되는 하판(21)과 상기 비점오염수가 배출되는 상판(22)이 각각 타공망으로 이루어지며, 높이(H)의 80~95% 까지만 상기 여과재(10)가 채워져 있고, 그 나머지 공간은 역세척 공정시에 상기 여과재(10)가 팽창 및 교란되는 여과재 팽창존(11)으로 남겨져 있는 하우징(20)과;
    상기 여과재(10)를 역세척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20) 내부로 입체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압분사관(30); 을 포함하고,
    상기 공압분사관(30)은,
    상기 하우징(20)의 하판(21) 중심부를 관통하며, 하단부가 외부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압공급관에 상하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압연결관(31)과;
    상기 공압연결관(31)의 상단에서 방사형으로 분기되어 각각 상기 하우징(20)의 상판(22)에 인접하는 부위까지 확장되어 있는 공압분기관(32)과;
    상기 공압분기관(32)에 관통되어 있는 다수개의 공압분출공(33);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용 역세척 여과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하판(21) 저면에는, 상기 비점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이 상기 하우징(20)의 하판(21)에 직접 들러붙지 않도록 막아주는 요철 형태의 스크린 철망(40)이 이격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용 역세척 여과모듈.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하판(21)과 상판(22)이 모두 정사각형인 사각함체 형상으로서 상기 하우징(20)의 네 모서리 부분을 향하여 4개의 공압분기관(32)이 사방으로 확장되어 있고, 상기 공압분기관(32)은 각각 상기 공압연결관(31)의 상단에서 사방으로 분기되어 상기 하우징(20)의 하판(21)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확장된 다음, 상기 하우징(20)의 측벽(23)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20)의 상판(22)에 인접하는 부위까지 수직으로 확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용 역세척 여과모듈.
  5. 일측 상단에 우수유입관(5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우수유입관(51)을 통해 유입되는 비점오염수를 일시적으로 저류 시키는 전처리조(50)와;
    상기 우수유입관(51) 보다 낮은 위치에 우수방류관(6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우수방류관(61)과 바닥면 사이에는 상기 전처리조(50)로부터 유입되는 비점오염수를 여과하는 다수개의 여과모듈(1)이 수평방향으로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모듈(1)의 하방에는 외부로부터 역세척용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압공급관(62)이 배치되어 있는 여과조(60)와;
    상기 전처리조(50)와 상기 여과조(6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처리조(50)로부터 유입되는 비점오염수를 상기 여과모듈(1)의 하단으로 공급하는 수위조절벽(7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여과모듈(1)에는, 하우징(20) 속에 저장되어 있는 여과재(10)를 역세척 하기 위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압분사관(30)과, 상기 하우징(20)의 하판(21)에 협잡물이 직접 들러붙지 않도록 막아주는 요철 형태의 스크린 철망(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압분사관(30)은,
    상기 하우징(20)의 하판(21) 중심부를 관통하며, 하단부가 상기 공압공급관(62)에 상하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공압연결관(31)과;
    상기 공압연결관(31)의 상단에서 방사형으로 분기되어 각각 상기 하우징(20)의 상판(22)에 인접하는 부위까지 확장되어 있는 공압분기관(32)과;
    상기 공압분기관(32)에 관통되어 있는 다수개의 공압분출공(33);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 여과모듈이 설치된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20170109480A 2017-08-29 2017-08-29 비점오염 저감시설용 역세척 여과모듈 KR101818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480A KR101818020B1 (ko) 2017-08-29 2017-08-29 비점오염 저감시설용 역세척 여과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480A KR101818020B1 (ko) 2017-08-29 2017-08-29 비점오염 저감시설용 역세척 여과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8020B1 true KR101818020B1 (ko) 2018-01-12

Family

ID=61001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480A KR101818020B1 (ko) 2017-08-29 2017-08-29 비점오염 저감시설용 역세척 여과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0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758B1 (ko) * 2019-09-27 2020-05-29 주식회사 수엔테크 빗물 전처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빗물 재이용 장치
KR102580534B1 (ko) * 2023-03-24 2023-09-20 주식회사 에코스타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6702B2 (ja) * 2006-07-28 2011-12-14 三機工業株式会社 エアワッシャ
KR101556183B1 (ko) * 2015-01-30 2015-09-30 주식회사 빈텍코리아 비점오염 처리시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6702B2 (ja) * 2006-07-28 2011-12-14 三機工業株式会社 エアワッシャ
KR101556183B1 (ko) * 2015-01-30 2015-09-30 주식회사 빈텍코리아 비점오염 처리시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758B1 (ko) * 2019-09-27 2020-05-29 주식회사 수엔테크 빗물 전처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빗물 재이용 장치
KR102580534B1 (ko) * 2023-03-24 2023-09-20 주식회사 에코스타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275B1 (ko)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911819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400313B1 (ko) 수처리시설
KR101741449B1 (ko) 유량 조정 및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초기 강우 유출수의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1565593B1 (ko) 비점오염 처리장치
KR101732378B1 (ko) 사이폰과 세척볼을 활용한 역세 기능이 있는 비점오염저감장치
KR101725047B1 (ko) 비점오염원 처리 장치
KR100546061B1 (ko) 다면적 여과시설을 이용한 초기우수 전량 여과방법 및 장치
KR20120102378A (ko)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812917B1 (ko) 정체수 여과조가 추가된 동력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906937B1 (ko) 비점 오염 저감 장치 및 방법
KR101942685B1 (ko) 비점 오염 저감 시설
KR101656664B1 (ko) 카트리지 모듈식 침투도랑 전처리조, 이를 이용한 카트리지 모듈식 침투도랑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수의 여과 방법
KR100951098B1 (ko)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여과처리장치
KR101580859B1 (ko) 우·오수 및 빗물 재이용 여과형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와 역세 방법
KR101818020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용 역세척 여과모듈
KR101493478B1 (ko) 스크린 배열을 이용한 비점 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0767754B1 (ko) 정화시설 내부 저장수를 이용하여 물청소하는 오염수다중정화시설 및 오염수 정화방법
KR101738952B1 (ko) 고분자pe필터를 이용한 빗물 처리장치
KR100904287B1 (ko)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KR100798949B1 (ko)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KR101560158B1 (ko) 역세척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208694B1 (ko) 우수의 여과장치
US20130087509A1 (en)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suspended solids and affiliated pollutants from stormwater runoff using a geosynthetic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