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534B1 -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 - Google Patents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534B1
KR102580534B1 KR1020230038776A KR20230038776A KR102580534B1 KR 102580534 B1 KR102580534 B1 KR 102580534B1 KR 1020230038776 A KR1020230038776 A KR 1020230038776A KR 20230038776 A KR20230038776 A KR 20230038776A KR 102580534 B1 KR102580534 B1 KR 102580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sludge
filter
diffuser
fil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8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스타
Priority to KR1020230038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5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01D35/303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the housings being modular, e.g. standard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61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by using gas-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여과 구조체로서, 상기 여과 구조체의 측면부를 구성하며, 처리대상수를 물리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한 복수 개의 측면 필터, 및 상기 복수 개의 측면 필터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여과 구조체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여과 구조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측면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여과 구조체는 상기 복수 개의 측면 필터들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크기와 구조로 모듈화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필터는, 상기 여과 구조체의 내부 공간에 대향하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의 반대편에 배치된 외측면에 각각 설치된 메쉬 구조의 스크린부, 상기 한 쌍의 스크린부 사이에서 여재가 내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여재부, 및 상기 여재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역세척을 수행하기 위해 공기가 공급되는 산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Filtering structure capable of modularization and Water treatment facilit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쉬 구조의 스크린과 경사판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측벽부로 이루어져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에 관한 것이다.
비점 오염원 오염은 식별 가능한 단일 지점이 아닌 확산 오염원에서 발생하는 오염을 의미하며, 공장이나 폐수 처리장과 같은 특정 배출 지점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점 오염원 오염과 달리, 비점 오염원 오염은 다양한 오염원에서 발생하며 제어 및 처리가 더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비점 오염원에는 농경지, 도시 지역 및 건설 현장의 유출수와 자연 경관의 침식 및 퇴적물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유형의 오염은 침전물, 영양분, 살충제 및 박테리아와 같은 오염 물질을 인근 수로로 운반하여 수생 생태계에 해를 끼치고 잠재적으로 공중 보건을 위협할 수 있다.
이러한 비점 오염원 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수처리 시설은 다양한 출처에서 나오는 빗물 유출수를 포집하여 처리하도록 설계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처리 시설은 물이 인근 수로로 방류되기 전에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 물리적, 생물학적 및 화학적 처리 공정을 조합하여 사용되고 있다.
수처리 시설은 단순한 집수조 및 저수조에서 필터, 습지 및 기타 처리 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보다 복잡한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데, 종래의 규모가 큰 수처리 시설은 그 내부 구조가 비효율적으로 설계되어 유지 관리를 함에 있어 공간 효율이 떨어지고, 불필요하게 유지관리공간을 위한 부분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수처리 시설은 통상적으로 초기강우에 의한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시설로서 그 이후 강우는 대체로 깨끗하므로 수처리 시설로 유입시키지 않고 바로 방류하고 강우가 종료되면 일정시간 내에 여재를 물이나 공기 등에 의해 역세하고, 역세척수는 인근지역의 하수관으로 이송시켜 하수종말처리장등으로 연계처리하거나 준설장비 등에 의하여 인발하여 외부로 이송시켜 처리하여 다음번 강우를 대비하여 시설내부는 건조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수처리 시설의 내부(보다 구체적으로는 여과조의 여과재)를 역세척하는 과정에서 중대형의 수처리 시설은 상기 여과재가 다시 오염되거나 역세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중대형의 수처리 시설의 경우 역세 시의 상기 여과조 내의 역흐름의 유속이 늦어서 여과재의 역세척이 잘 되지 않거나, 오히려 다시 오염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침사지를 별도로 청소하거나 준설하여 관리에 비효율적이라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복수 개의 측면 필터들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크기와 구조로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메쉬 구조의 스크린부와 경사판의 구조를 통해 처리대상수의 여과 시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오염물질을 침전시키고 여과 필터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는 여과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공기가 공급되는 산기관을 이용하여 측면 필터 내부를 용이하게 역세척할 수 있는 여과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모듈화가 가능하고, 슬러지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산기관을 이용한 역세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여과 구조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여과 구조체로서, 상기 여과 구조체의 측면부를 구성하며, 처리대상수를 물리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한 복수 개의 측면 필터; 및 상기 복수 개의 측면 필터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여과 구조체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여과 구조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측면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여과 구조체는 상기 복수 개의 측면 필터들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크기와 구조로 모듈화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필터는, 상기 여과 구조체의 내부 공간에 대향하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의 반대편에 배치된 외측면에 각각 설치된 메쉬 구조의 스크린부; 상기 한 쌍의 스크린부 사이에서 여재가 내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여재부; 및 상기 여재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역세척을 수행하기 위해 공기가 공급되는 산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필터는, 상기 측면 필터의 내측면에 설치된 스크린부로부터 상기 여과 구조체의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경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필터의 내측면에 설치된 스크린부와 상기 측면 필터의 외측면에 설치된 스크린부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측면 필터의 내측면과 상기 측면 필터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상기 측면 필터의 하부면은 경사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경사판과 상기 측면 필터의 하부면은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여과 구조체가 설치된 지면과 상기 경사판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여과 구조체가 설치된 지면과 상기 측면 필터의 하부면이 이루는 각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측면 필터는, 상기 측면 필터의 하부면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슬러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슬러지 가이드부; 및 상기 측면 필터의 하부면의 다른 일부에 형성되어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 배출부로 유동시키는 슬러지 유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슬러지 가이드부와 상기 슬러지 유출부는 함께 단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산기관은, 상기 측면 필터의 양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여재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는 제1 산기관; 및 상기 제1 산기관으로부터 돌출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산기관의 연장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산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산기관 및 상기 제2 산기관은 각각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산기관은 상기 제1 산기관보다 많은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처리 시설은 처리대상수가 저장되어 전처리 과정이 수행되는 전처리조; 상기 전처리조로부터 유입된 상기 처리대상수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조; 상기 처리대상수를 상기 전처리조로부터 상기 여과조로 유동시키기 위한 월류관; 및 상기 여과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조로부터 발생한 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여과조는 복수 개의 측면 필터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며, 다각 기둥 형상을 가지는 여과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월류관은 상기 전처리조와 상기 여과조를 구획하는 격벽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처리대상수는 상기 월류관에 의해 상기 여과 구조체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을 관통하여 유입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여과 구조체는 복수 개의 측면 필터들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크기와 구조로 모듈화가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메쉬 구조의 스크린부와 경사판의 구조를 통해 슬러지의 역류가 방지될 수 있고, 공기가 공급되는 산기관을 이용하여 측면 필터 내부를 용이하게 역세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 구조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은 설치 공간에 맞춘 모듈화가 가능하므로 내부 구조가 효율적으로 설계되어 유지 관리를 함에 있어 공간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슬러지의 역류가 방지될 수 있어 여과재가 다시 오염되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고, 산기관을 이용한 역세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처리 시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측면 필터와 산기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측면 필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메쉬 구조의 스크린부와 경사판에 의한 오염 입자들의 침전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슬러지 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처리 시설의 여과 공정 및 역세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처리 시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상기 수처리 시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2는 상기 수처리 시설을 상부에서 바라본 상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처리 시설(1)은 처리대상수가 저장되어 전처리 과정이 수행되는 전처리조(10), 상기 전처리조(10)로부터 유입된 상기 처리대상수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조(20), 상기 처리대상수를 상기 전처리조(10)로부터 상기 여과조(20)로 유동시키기 위한 월류관(15), 및 상기 여과조(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조(20)로부터 발생한 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처리 시설(1)은 강우 시 발생하는 초기우수에 의해 발생하는 비점 오염원 내지 비점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시설(또는 장치)로서, 본 발명의 개념 중 일부는 상기 비점 오염물질의 처리 후에 발생하는 정체수를 여과하여 방류하는 기술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전처리조(10)의 전방 벽면에는 상기 처리대상수가 최초로 유입되는 최초 유입관(11)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처리조(10)에 상기 처리대상수가 특정 수위 이상으로 차오르면 월류관(15)을 통해 여과조(20)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처리조(10)의 전방 벽면에는 부피가 큰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스크린 패널(12)이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린 패널(12)은 상기 전처리조(10)의 전방 벽면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패널(12)은 2개의 패널이 용접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처리조(10)의 전방 벽면의 가운데 부분을 기점으로 좌우 대칭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과조(20)는 복수 개의 측면 필터들(25a, 25b, 25c, 25d)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며, 다각 기둥 형상을 가지는 여과 구조체(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여과조(20)의 상부면은 상부 패널(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커버될 수 있으며, 월류관(15)은 상기 상부 패널의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처리대상수가 여과조(20)의 내부 공간으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연통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월류관(15)은 상기 전처리조(10)와 상기 여과조(20)를 구획하는 격벽(13)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처리대상수는 상기 월류관(15)에 의해 상기 여과 구조체(25)로 유입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는 월류관(15)이 여과 구조체(25)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의 높이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월류관(15)은 여과 구조체(25)의 상부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대상수가 상기 여과 구조체(25)의 개방된 상부면을 관통하여 유입되도록 가이드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월류관(15)은 여과 구조체(25)의 하부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대상수가 상기 여과 구조체(25)의 개방된 하부면을 관통하여 유입되도록 가이드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월류관(15)은 전처리조(10) 측에 배치된 전방 월류관(15a) 및 전처리조(10)로부터 여과조(20)를 연통하도록 배치된 후방 월류관(15b)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방 월류관(15a) 및 후방 월류관(15b)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월류관(15a)은 전처리조(10) 내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후방 월류관(15b)은 전처리조(10)로부터 여과조(20)를 연통하도록 평행하게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후방 월류관(15b)은 전방 월류관(15a)의 측면 일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월류관(15)은 처리대상수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파이프가 서로 연통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과조(20)의 후방 벽면에는 여과가 완료된 여과수를 배출하기 위한 여과수 배출홀(29)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측면 필터와 산기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측면 필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메쉬 구조의 스크린부와 경사판에 의한 오염 입자들의 침전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와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25)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여과 구조체로서, 상기 여과 구조체(25)의 측면부를 구성하며 처리대상수를 물리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한 복수 개의 측면 필터(25a, 25b, 25c, 25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여과 구조체(25)는 상기 복수 개의 측면 필터들(25a, 25b, 25c, 25d)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크기와 구조로 모듈화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여과 구조체(25)가 총 4개의 측면 필터(25a, 25b, 25c, 25d)로 구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과 구조체(25)는 3개의 측면 필터 또는 5개 이상의 측면 필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여과 구조체(25)가 4개의 측면 필터(25a, 25b, 25c, 25d)로 구성된 경우만을 기초로 설명하기로 한다.
측면 필터(25a, 25b, 25c, 25d)는, 상기 여과 구조체(25)의 내부 공간에 대향하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의 반대편에 배치된 외측면에 각각 설치된 메쉬 구조의 스크린부(258), 상기 측면 필터의 내측면에 설치된 스크린부(258)로부터 상기 여과 구조체(25)의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경사판(257), 상기 한 쌍의 스크린부(258) 사이에서 여재가 내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여재부, 및 상기 여재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역세척을 수행하기 위해 공기가 공급되는 산기관(253, 25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측면 필터(25a, 25b, 25c, 25d)는 경사판(257)과 스크린부(258)가 함께 설치된 상기 내측면과, 경사판(257)을 제외한 스크린부(258)만이 설치된 상기 외측면을 제외하면, 전체적인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바디 프레임(25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디 프레임(250)의 상부면, 하부면 및 양 측면은 함께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필터(25a, 25b, 25c, 25d)로 유입되는 처리대상수는 상기 내측면에 설치된 경사판(257)과 스크린부(258)를 통과하여 측면 필터(25a, 25b, 25c, 25d)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여재부를 통해 여과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외측면에 설치된 스크린부(258)을 통해 측면 필터(25a, 25b, 25c, 25d)의 위부로 유출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바디 프레임(250)이 양 측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바디 프레임(2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이 개방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처리대상수의 유동 경로가 수평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수직 방향 내지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어, 경사판(257)에 의한 와류가 형성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류에 의해 입자가 큰 슬러지가 측면 필터(25a, 25b, 25c, 25d)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침전되는 효과가 보다 증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측면 필터(25a, 25b, 25c, 25d)의 내측면에 설치된 스크린부(258)와 상기 측면 필터(25a, 25b, 25c, 25d)의 외측면에 설치된 스크린부(258)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측면 필터의 내측면과 상기 측면 필터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상기 측면 필터(25a, 25b, 25c, 25d)의 하부면 내지 바디 프레임(250)의 하부면은 경사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경사판(257)과 상기 측면 필터(25a, 25b, 25c, 25d)의 하부면 내지 바디 프레임(250)의 하부면은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여과 구조체(25)가 설치된 지면과 상기 경사판(257)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여과 구조체(25)가 설치된 지면과 상기 측면 필터의 하부면이 이루는 각도보다 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러지가 측면 필터(25a, 25b, 25c, 25d)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보다 증진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필터(25a, 25b, 25c, 25d)는, 상기 측면 필터의 하부면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슬러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슬러지 가이드부(2591), 및 상기 측면 필터의 하부면의 다른 일부에 형성되어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 배출부(30)로 유동시키는 슬러지 유출부(259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슬러지 가이드부(2591)와 상기 슬러지 유출부(2592)는 함께 단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산기관(253, 254)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 필터(25a, 25b, 25c, 25d)의 양 측면 내지 바디 프레임(250)의 양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여재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는 제1 산기관(253, 254), 및 상기 제1 산기관(253, 254)으로부터 돌출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산기관(253, 254)의 연장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산기관(255, 256)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산기관(253, 254) 및 상기 제2 산기관(255, 256)은 각각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산기관(255, 256)은 상기 제1 산기관(253, 254)보다 많은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산기관(253, 254)의 양 단은 산기 밸브(251, 25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산기 밸브(251, 252)는 강우에 의한 처리대상수의 유입이 종료되면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슬러지 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슬러지 배출부(30)는 상기 복수 개의 측면 필터(25a, 25b, 25c, 25d)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여과 구조체(25)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여과 구조체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 필터(25a, 25b, 25c, 25d)에 의해 필터링된 슬러지가 저장되는 슬러지 저장부(310) 및 슬러지를 수처리 시설(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슬러지 저장부(310)와 슬러지 배출관(320) 사이에는 슬러지 배출 밸브(33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슬러지 배출 밸브(330)는 강우가 종료되거나 슬러지의 저장량이 특정량 이상인 경우 슬러지를 자동으로 배출하도록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러지 저장부(310)는 내부가 경사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러지가 경사진 구조의 이동면을 따라 슬러지 배출 밸브(330)를 향해 유동된 후 침전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여과 구조체(25)는 복수 개의 측면 필터들(25a, 25b, 25c, 25d)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크기와 구조로 모듈화가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메쉬 구조의 스크린부(258)와 경사판(257)의 구조를 통해 슬러지의 역류가 방지될 수 있고, 공기가 공급되는 산기관(253, 254)을 이용하여 측면 필터(25a, 25b, 25c, 25d) 내부를 용이하게 역세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 구조체(25)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1)은 설치 공간에 맞춘 모듈화가 가능하므로 내부 구조가 효율적으로 설계되어 유지 관리를 함에 있어 공간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슬러지의 역류가 방지될 수 있어 여과재가 다시 오염되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고, 산기관(253, 254)을 이용한 역세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침사지를 별도로 청소하거나 준설할 필요가 없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처리 시설의 여과 공정 및 역세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비점 오염 처리 방법은, 강우가 시작된 후 빗물이 최초 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되면 스크린 패널(12)을 통해 처리대상수가 필터링되고 전처리조(10)에 저장되는 제1 단계(S1), 상기 처리대상수가 특정 수위 이상으로 차오름에 따라 월류관(15)을 통해 여과조(20)로 유입되는 제2 단계(S2), 여과조(20)에 설치된 여과 구조체(25)를 통해 상기 처리대상수가 여과되는 제3 단계(S3), 상기 여과된 처리대상수가 특정 수위 이상으로 차오름에 따라 여과수 배출홀(2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4 단계(S4), 강우가 종료되면 산기관(253, 254)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여 잔류수에 대해 역세 공정을 수행하는 제5 단계(S5), 및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하고 펌프를 이용하여 잔류수를 배출하는 제6 단계(S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방법/시스템은 전술한 제품/기술분야 이외에도 다양한 제품/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다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여과 구조체로서,
    상기 여과 구조체의 측면부를 구성하며, 처리대상수를 물리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한 복수 개의 측면 필터; 및
    상기 복수 개의 측면 필터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여과 구조체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여과 구조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측면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 구조체는 상기 복수 개의 측면 필터들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크기와 구조로 모듈화가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측면 필터는,
    상기 여과 구조체의 내부 공간에 대향하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의 반대편에 배치된 외측면에 각각 설치된 메쉬 구조의 스크린부;
    상기 한 쌍의 스크린부 사이에서 여재가 내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여재부;
    상기 여재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역세척을 수행하기 위해 공기가 공급되는 산기관; 및
    상기 측면 필터의 내측면에 설치된 스크린부로부터 상기 여과 구조체의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경사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필터의 내측면에 설치된 스크린부와 상기 측면 필터의 외측면에 설치된 스크린부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측면 필터의 내측면과 상기 측면 필터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상기 측면 필터의 하부면은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과 상기 측면 필터의 하부면은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구조체가 설치된 지면과 상기 경사판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여과 구조체가 설치된 지면과 상기 측면 필터의 하부면이 이루는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필터는,
    상기 측면 필터의 하부면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슬러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슬러지 가이드부; 및
    상기 측면 필터의 하부면의 다른 일부에 형성되어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 배출부로 유동시키는 슬러지 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 가이드부와 상기 슬러지 유출부는 함께 단차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관은,
    상기 측면 필터의 양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여재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는 제1 산기관; 및
    상기 제1 산기관으로부터 돌출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산기관의 연장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산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산기관 및 상기 제2 산기관은 각각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산기관은 상기 제1 산기관보다 많은 개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
  9.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8항의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에 있어서,
    처리대상수가 저장되어 전처리 과정이 수행되는 전처리조;
    상기 전처리조로부터 유입된 상기 처리대상수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조;
    상기 처리대상수를 상기 전처리조로부터 상기 여과조로 유동시키기 위한 월류관; 및
    상기 여과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조로부터 발생한 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조는 상기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 구조체는 복수 개의 측면 필터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며, 다각 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관은 상기 전처리조와 상기 여과조를 구획하는 격벽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처리대상수는 상기 월류관에 의해 상기 여과 구조체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을 관통하여 유입되도록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
KR1020230038776A 2023-03-24 2023-03-24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 KR102580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776A KR102580534B1 (ko) 2023-03-24 2023-03-24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776A KR102580534B1 (ko) 2023-03-24 2023-03-24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534B1 true KR102580534B1 (ko) 2023-09-20

Family

ID=8819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776A KR102580534B1 (ko) 2023-03-24 2023-03-24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53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070B1 (ko) * 2013-01-29 2013-08-30 녹스 코리아(주) 비점오염저감시설
KR20140042529A (ko) * 2012-09-28 2014-04-07 장영숙 초기우수 내 오염물 및 합류식 하수관 내 오염물 처리장치
KR101818020B1 (ko) * 2017-08-29 2018-01-12 스톰코리아(주) 비점오염 저감시설용 역세척 여과모듈
KR102023867B1 (ko) * 2019-03-20 2019-09-20 임근혁 비점오염물 저감시설
KR20210022324A (ko) * 2019-08-20 2021-03-03 주식회사 씨에스엔텍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2398637B1 (ko) * 2022-02-03 2022-05-16 (주)대일이앤지 자동 운영 시스템을 구비한 컴팩트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2424680B1 (ko) * 2021-12-31 2022-07-27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수처리시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2529A (ko) * 2012-09-28 2014-04-07 장영숙 초기우수 내 오염물 및 합류식 하수관 내 오염물 처리장치
KR101300070B1 (ko) * 2013-01-29 2013-08-30 녹스 코리아(주)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818020B1 (ko) * 2017-08-29 2018-01-12 스톰코리아(주) 비점오염 저감시설용 역세척 여과모듈
KR102023867B1 (ko) * 2019-03-20 2019-09-20 임근혁 비점오염물 저감시설
KR20210022324A (ko) * 2019-08-20 2021-03-03 주식회사 씨에스엔텍 섬유사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2424680B1 (ko) * 2021-12-31 2022-07-27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수처리시설
KR102398637B1 (ko) * 2022-02-03 2022-05-16 (주)대일이앤지 자동 운영 시스템을 구비한 컴팩트 비점오염저감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2285B1 (en) Dual screen treatment system
KR101700931B1 (ko) 스크린과 섬유볼 여재의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US7674378B2 (en) Wetland water treatment system
US99088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KR101581241B1 (ko) 자연 친환경성과 자원 재활용성을 갖는 발포 인공부상 여재를 이용한 하수 월류수의 고속처리장치
KR100798949B1 (ko)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KR102009847B1 (ko) 비점오염 저감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78387B1 (ko) 섬유상 여과형 여재를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846421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US69268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particulate contaminants from commercial laundry wastewater
KR102580534B1 (ko)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
KR102060940B1 (ko) 다단계 빗물 저장탱크를 이용한 빗물 저장 및 수질 처리 시스템
KR102414675B1 (ko) 하수처리 시스템
KR102450237B1 (ko) 유충 여과시설을 갖춘 정수처리장치
KR101806838B1 (ko) 우수 처리 장치
KR101151908B1 (ko) 초기우수와 오염하천수를 동시에 처리 가능한 시설 및 그 처리방법
KR200377629Y1 (ko)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KR100628881B1 (ko)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CN209226784U (zh) 一种综合型污水处理系统
KR101775225B1 (ko) 초기 우수시의 하천 수질 개선을 위한 카트리지필터 여과장치
KR101795144B1 (ko) 하천의 둔치에 설치하는 초기 우수시의 하천 수질 개선을 위한 수처리 시스템
KR101403882B1 (ko) 수처리조 및 수처리시스템
KR101263353B1 (ko) 빗물처리장치
KR20100047032A (ko) 월류수 처리장치
KR100993164B1 (ko)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