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629Y1 -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629Y1
KR200377629Y1 KR20-2004-0036800U KR20040036800U KR200377629Y1 KR 200377629 Y1 KR200377629 Y1 KR 200377629Y1 KR 20040036800 U KR20040036800 U KR 20040036800U KR 200377629 Y1 KR200377629 Y1 KR 2003776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ludge
wastewater
water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성언
Original Assignee
진성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언 filed Critical 진성언
Priority to KR20-2004-0036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6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6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6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2Baffles or guide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소량의 폐수를 배출하는 기업체나 업소에서 저렴한 설치비용으로 설치함은 물론이고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용이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도모하여 정화효과를 높일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구성된 여러단계의 폐수정화처리장치를 하나의 폐수처리장치에 집약적으로 형성한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최초 폐수를 저장하는 폐수집수조와 펌프 및 폐수공급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폐수집수조에서 유입된 폐수가 반응조 및 응집조에서 반응제 및 응집제의 투입으로 인해 슬러지의 응집을 발생시켜 침전조를 통해 침전방식으로 슬러지를 분리시키고 폐수는 필터방식으로 정화처리되어 배출되는 것으로 구성된 일체형의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침전조에서 슬러지의 침전과 분리를 극대화하기 위해 침전조로 유입되는 폐수의 유량의 흐름을 조절시키는 갈매기형상의 갈매기형 바플(baffle)을 설치하여 폐수가 침전조 내부로 자유낙하 대신 안정적인 낙하를 유도하는 갈매기형 바플을 설치하여 폐수와 슬러지의 상분리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Description

집약적 폐수처리장치{Compact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일반적으로 산업시설을 이용하여 각종 제품등을 생산하는데 있어 필히 생산제품을 제조하는 재료의 세척, 도금, 냉각, 도색, 피막, 유리가공 등의 작업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필요한 제품들이 만들어 지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거치는 동안에 여러가지 오염물이 뒤섞인 폐수가 발생이 된다.
일반적으로 폐수란 유기물 및 무기물이 혼입되어 그대로 사용할 수 없는 물을 일컫는 것으로 산업화로 인한 각종 설비나 제조과정에서 폐수가 발생되고 있다. 이때, 발생되는 폐수는 통상 자연이 자연 정화할 수 있는 한계를 넘고, 또한 그 폐수량이 상대적으로 많고 이를 무단방류를 하게 되면 하천과 강 및 바다로 흘러들어 이 모두를 오염시키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폐수는 일정수준으로 정화시킨 상태에서 방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폐수 정화를 위한 각종 장치와 화학처리제 또는 생물학 처리제가 사용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폐수처리시설에 각종 장치를 사용하여 폐수를 정화하게 되면 정화된 폐수중에 부유되어 있는 응집된 슬러지를 침전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비되는 등 그 효율이 저하되어 응집제를 투여한 후 침전을 유도하기 위한 반응조, 응집조, 침전조, 여과조의 4가지 이상의 대단위 폐수저장조를 갖추어 폐수를 정화시키는 시설을 준비하고 있다. 처리조로 모인 폐수를 펌프를 이용하여 상부에 있는 여과조로 보내져 분리되며 이때 침전을 가속화하기 위해 여과조 내의 압력을 일정압력으로 가압을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슬러지들은 분류도관에 축척이 되고 배출구에 매달린 여과포에 의해 걸러지게 되며 이때 여과포에 의해 걸러지게 되는 슬러지를 강하게 뭉쳐서 외부로 배출하여 폐수를 정화하는 것이나 여과포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물이 하부로 자연 낙하되어 주위로 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여과포에 채워진 슬러지 등을 수시로 교체를 해주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 사용되는 대부분의 폐수처리장치는 장치설비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으며 또한 대규모적인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소규모 사업단지와 같은 기업체에서는 오염도가 심한 소규모사업장에서 설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소규모 기업체등의 발생되는 폐수는 오염도가 높은 농축된 체로 그대로 방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것을 처리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폐수를 정화하기 위해 대규모적인 공간을 차지하는 등 폐수처리에 대한 환경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상기 종래의 대규모 폐수처리장치에는 배출되는 폐수를 저장하는 집수조가 있으며, 상기 집수조에 모인 폐수를 일정량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유기 및 무기물질 등의 반응제 및 응집제로 폐수에 함유된 슬러지로 침전시켜 분리되는 반응조와 응집조가 있으며, 상기 폐수와 침전된 슬러지로 분리시키는 침전조로 구성되는 연속식의 폐수처리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대규모 폐수처리장치에서 규모가 큰 집수조, 반응조, 응집조, 침전조, 여과조 등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폐수처리시설을 설치되는 공간에 제약을 받고 있으며, 설비비용이 고가인점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폐수처리장치에서 침전조에 유입되는 폐수와 슬러지가 자유낙하식의 일정 유량으로 침전조로 흘러들어와 침전조내부에 폐수와 슬러지가 분리되지 않고 혼합된 상태로 있어 정상적인 분리가 어려우며 침전조의 폐수배출구에 응집된 슬러지가 그대로 흘러 침전조에서 실질적인 폐수와 슬러지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그대로 폐수속에 함유된 슬러지가 일반하천에 유입되어 치명적이고 높은 환경적인 문제점을 일으키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소량의 폐수를 배출하는 기업체나 업소에서 저렴한 설치비용으로 설치함은 물론이고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용이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도모하여 정화효과를 높일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구성된 여러단계의 폐수정화처리장치를 하나의 폐수처리장치에 집약적으로 형성한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최초 폐수를 저장하는 폐수집수조와 펌프 및 폐수공급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폐수집수조에서 유입된 폐수가 반응조 및 응집조에서 반응제 및 응집제의 투입으로 인해 슬러지의 응집을 발생시켜 침전조를 통해 침전방식으로 슬러지를 분리시키고 폐수는 필터방식으로 정화처리되어 배출되는 것으로 구성된 일체형의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침전조에서 슬러지의 침전과 분리를 극대화하기 위해 침전조로 유입되는 폐수의 유량의 흐름을 조절시키는 갈매기형상의 갈매기형 바플(baffle)을 설치하여 폐수가 침전조 내부로 자유낙하 대신 안정적인 낙하를 유도하는 갈매기형 바플을 설치하여 폐수와 슬러지의 상분리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본 고안의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폐수처리장치는 캐비넷형상을 가지고있는 하우징(900)내부에 폐수처리시설이 집약적인 구비되는 집약적 폐수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폐수의 원수를 저장하는 집수조(200)와,
상기 집수조(200)에서 원수펌프(210)가 설치된 원수공급관(220)을 통해 폐수를 공급받는 반응응집조(300)와,
상기 반응응집조(300)에 공급된 폐수를 처리수와 슬러지의 분리 및 응집을 위해 혼합되는 반응제와 응집제는 각각 정량펌프(370)가 설치된 반응제공급탱크(350)와 응집제공급탱크(360)에 의해 반응응집조(300)에 유입되고 폐수와의 고른 혼합을 위해 반응응집조(300)에 구비된 교반기(310)에 의해 혼합되고,
상기 반응응집조(300)에서 처리수와 슬러지로 혼합된 혼합수가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 및 침전되기 위해 상부의 일측에 혼합수를 공급받는 혼합수공급관(410)과 상부의 다른일측에는 처리수가 배출되는 제1배출관(420)이 있으며 하부의 일측에는 슬러지를 배출하는 제2배출관(430)이 연결되어 있는 침전조(400)와,
상기 침천조(400)의 내부 공간에는 혼합수가 혼합수공급관(410)을 통해 유입되는 유량의 흐름을 조절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혼합수가 낙하하도록 하는 수직방향으로 다수 구획하며 양측면이 침전조(400)의 내부양측면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구비된 갈매기형상의 갈매기형 바플(baffle)(440)과, 상기 갈매기형 바플(baffle)(440)의 상·하부에 일정길이만큼 수직면(440a)을 가지고 있으며 상·하부사이에는 일정길이의 예각면(440b)과 예각면(440b)과 같은 길이의 둔각면(440c)이 "〉"형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침전조(400)에 처리수가 배출되는 제1배출관(420)이 연결되어 있는 공간주위에 "ㄴ"형태로 제1배출관(420) 연결주위에 용접처리되어 부착되며 전체적인 형상이 1-2mm의 타공(510)으로 이루어진 판상결합체며 상단부는 톱니(5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처리수에 함유된 미처리된 슬러지와 부유물을 처리하기 위한 타공차단막(500)과,
상기 침전조(400)에서 제2배출관(430)을 통해 흘러나온 슬러지를 저장하는 슬러지저장탱크(600)와,
상기 슬러지저장탱크(600)에서 저장된 슬러지를 탈수하기 위해 탈수기(650)를 거쳐 최종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배출관(660)가 구비되고,
상기 침전조(400)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는 유량계가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일정량을 1차적으로 필터작용을 하는 모래가 구비된 모래여과조(700)에 의해 여과되고,
상기 모래여과조(700)를 거친 처리수는 2차적인 필터작용을 위해 활성탄이 구비된 활성탄여과조(800)에 의해 여과되어 방류관(810)을 통해 방류수가 배출되는 것을 구비되어 캐비넷형상의 하우징(900)내부에 상기 모든 구조물이 집약적으로 구비되는 집약적 폐수처리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의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집약적 폐수처리장치의 폐수처리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집약적 폐수처리장치의 폐수처리공정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집약적 폐수처리장치중에 침전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집약적 폐수처리장치중에 침전조의 내부단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집약적 페수처리장치중에 침전조 내부에 처리수와 슬리지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집약적 폐수처리장치에서 침전조에 구비된 갈매기형 바플(baffle)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집약적 폐수처리장치에서 침전조에 구비된 타공차단막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집약적 폐수처리장치에서 폐수처리시설물이 집약된 캐비넷형상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도 2의 폐수처리공정의 구성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넷형상을 가지고 있는 하우징(900)내부에 폐수처리시설이 집약적인 구비되는 집약적 폐수처리장치(100)에 있어서,
폐수의 원수를 저장하는 집수조(200)와,
상기 집수조(200)에서 원수펌프(210)가 설치된 원수공급관(220)을 통해 폐수를 공급받는 반응응집조(300)와,
상기 반응응집조(300)에 공급된 폐수를 처리수와 슬러지의 분리 및 응집을 위해 혼합되는 반응제와 응집제는 각각 정량펌프(370)가 설치된 반응제공급탱크(350)와 응집제공급탱크(360)에 의해 반응응집조(300)에 유입되고 폐수와의 고른 혼합을 위해 반응응집조(300)에 구비된 교반기(310)에 의해 혼합되고,
상기 반응응집조(300)에서 처리수와 슬러지로 혼합된 혼합수가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 및 침전되기 위해 상부의 일측에 혼합수를 공급받는 혼합수공급관(410)과 상부의 다른일측에는 처리수가 배출되는 제1배출관(420)이 있으며 하부의 일측에는 슬러지를 배출하는 제2배출관(430)이 연결되어 있는 침전조(400)와,
상기 침전조(400)의 내부 공간에는 혼합수가 혼합수공급관(410)을 통해 유입되는 유량의 흐름을 조절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혼합수가 낙하하도록 하는 수직방향으로 다수 구획하며 양측면이 침전조(400)의 내부양측면에 용접에의해 접합되어 구비된 갈매기형상의 갈매기형 바플(baffle)(440)과,
상기 갈매기형 바플(baffle)(440)의 상·하부에 일정길이만큼 수직면(440a)을 가지고 있으며 상·하부사이에는 일정길이의 예각면(440b)과 예각면(440b)과 같은 길이의 둔각면(440c)이 "〉"형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침전조(400)에 처리수가 배출되는 제1배출관(420)이 연결되어 있는 공간주위에 "ㄴ"형태로 제1배출관(420) 연결주위에 용접처리되어 부착되며 전체적인 형상이 1-8mm의 타공(510)으로 이루어진 판상결합체며 상단부는 톱니(5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처리수에 함유된 미처리된 슬러지와 부유물을 처리하기 위한 타공차단막(500)과,
상기 침전조(400)에서 제2배출관(430)을 통해 흘러나온 슬러지를 저장하는 슬러지저장탱크(600)와,
상기 슬러지저장탱크(600)에서 저장된 슬러지를 탈수하기 위해 탈수기(650)를 거쳐 최종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배출관(660)가 구비되고,
상기 침전조(400)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는 유량계가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일정량을 1차적으로 필터작용을 하는 모래가 구비된 모래여과조(700)에 의해 여과되고,
상기 모래여과조(700)를 거친 처리수는 2차적인 필터작용을 위해 활성탄이 구비된 활성탄여과조(800)에 의해 여과되어 방류관(810)을 통해 방류수가 배출되는 것을 구비되어 캐비넷형상의 하우징(900)내부에 상기 모든 구조물이 집약적으로 구비되는 집약적 폐수처리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집수조(200)에서 공급되는 폐수가 반응응집조(300)에 유입되어 동시에 정량펌프(370)에 의해 유입되는 반응제공급탱크(350)의 반응제와 응집제공급탱크(360)의 응집제를 반응응집조(300)에 교반기(310)에 의해 혼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반응응집조(300)내부에 하단부의 일측에 공기공급장치인 블로워(320)를 설치하여 폐수, 반응제, 응집제를 혼합시켜 폐수와 반응제와의 반응을 활성화하기 위해 산소를 공급해주며 동시에 응집제의 투입으로 폐수와의 응결 및 응집이 원활히 반응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며 또한, 반응응집조(300)에서 폐수가 반응제와 응집제와의 반응하는 유용한 반응시간에 있어 오랜시간동안 폐수가 체류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악취를 반응응집조(300)내에 공기의 공급함에 있어 악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반응응집조(300)내부에 블로워를 설치하여 산소를 공급해주는 공기공급장치로 블러워(320)를 구비하는 것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반응응집조(300)에 구비된 블러워(320)는 공기공급라인(340)을 통해 반응제공급탱크(350)와 응집제공급탱크(360)로 공기를 유입시켜 반응제와 응집제의 장시간 탱크내에 존재시 무기침전물이 생길 수 있어 블러워(32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발생으로 반응제와 응집제 화합물의 침전물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는 공기발생의 공기공급라인(340)을 설치하여 구비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반응제공급탱크(350)와 응집제공급탱크(360)에 별도의 블러워(320)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반응응집조(300)에 설치한 블러워를 통해 공기공급라인(340)만 별도로 분리하여 각각의 반응제공급탱크(350)와 응집제공급탱크(360)로 공급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반응제공급탱크(350)와 응집제공급탱크(360)에는 반응제와 응집제의 유입되는 양을 제어하기 위해 정량펌프(3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정량펌프(310)는 반응응집조(300)에 설치된 PH제어기(330)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는 반응제와 응집제가 일정량을 제어하는 정량펌프(310)를 컨트롤하기 위한 것으로 반응제와 응집제가 반응응집조(300)에 투입되는 양을 결정하는 수단으로 PH제어기에 의해 그 투입양을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반응응집조(300)에서 폐수가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되어 있는 혼합수가 침전조(400)에 공급되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집약적 페수처리장치중에 침전조 내부에 처리수와 슬러지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침전조(400)에 공급된 혼합수는 침전조(400) 내부로 그대로 자유낙하하는 것이 아니라 혼합수의 유량에 흐름을 더욱 안정적으로 낙하를 유도하는 도 4에 나타낸 침전조의 내부단면도와 도 6에 나타낸 갈매기형 바플(baffle)의 확대사시도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다수 구획하며 양측면이 침전조(400)의 내부양측면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구비된 갈매기형상의 갈매기형 바플(baffle)(440)을 설치하고, 상기 갈매기형 바플(baffle)(440)의 형상은 상·하부에 일정길이만큼 수직면(440a)을 가지고 있으며 상·하부사이에는 일정길이의 예각면(440b)과 예각면(440b)과 같은 길이의 둔각면(440c)이 "〉"형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고, 전체 갈매기형 바플(baffle)(440)형상의 모양은 "" 형태이고, 상기 혼합수가 갈매기형 바플(baffle)(440)에 낙하되어 그 형상의 면적과 방향에 따라 혼합수가 안정적으로 침전조(400)의 하부로 낙하를 하게 되어 낙하된 혼합수가 서로 혼합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처리수와 슬러지의 상분리가 형성되어 슬러지는 바닥으로 가라앉게 되며 처리수는 슬러지상부로 뜨는 원리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갈매기형은 바플(baffle)(440)은 침전조(400) 내부에 하나이상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혼합수에 유입되는 유량의 흐름을 더욱 안정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또한, 갈매기형 바플(baffle)(440)을 침전조(400) 내부에 설치하여 혼합수에 함유된 슬러지의 침전시간을 증가시켜 침전효과를 높이고 혼합수에 함유된 미세한 슬러지까지 침전조(400) 하부에 침전되도록 유도하는 갈매기형 바플(baffle)(440)로서 폐수처리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온다.
상기 침전조(400)내부 하부에 가라앉은 슬러지는 침전조(400) 하부에 구비된 제2배출관(430)을 통해 배출되며, 배출된 슬러지는 임시저장하는 슬러지저장탱크(600)에 저장되며 이는 침전조(400)에서 배출되는 슬러지의 양은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침전조(400) 내부의 하부에 일정량의 슬러지가 쌓이게 되며 배출하는 방식으로 상기 배출된 슬러지는 임시로 슬러지저장탱크(600)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슬러지저장탱크(600)에서 저장된 슬러지를 탈수하기 위해 탈수기(650)를 거치며, 이는 슬러지에 수분이 함유되어 있어 대지중에 노출시 오염된 침출수가 다시 방출되어 토양 및 수질을 오염시킬 수 있으며 수분이 함유된 슬러지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탈수기(650)에 의해 수분을 제거한 다음 최종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배출관(660)를 통해 최종슬러지저장탱크로 이송하게 된다.
침전조(400)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의 정화공정은 상기 침전조(400)에 처리수가 배출되는 제1배출관(420)이 연결되어 있는 공간주위에 "ㄴ"형태로 제1배출관(420) 연결주위에 용접처리되어 부착되며 전체적인 형상이 1-2mm의 타공(510)으로 이루어진 판상결합체며 상단부는 톱니(5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처리수에 함유된 미처리된 슬러지와 부유물을 처리하기 위한 타공차단막(500)이다.
도 7은 타공차단막의 확대사시도로 상기 제1배출관(420) 주위에 구비된 타공차단막(500)을 통해 처리수가 제1배출관(420)을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는 유량계가 연결된 배출라인을 통해 일정량을 1차적으로 필터작용을 하는 모래가 구비된 모래여과조(700)에 의해 여과되고, 상기 모래여과조(700)를 거친 처리수는 2차적인 필터작용을 위해 활성탄이 구비된 활성탄여과조(800)에 의해 여과되어 방류관(810)을 통해 방류수가 배출되는 것으로 처리수가 필터에 의해 정화작용으로 방류수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반응응집조(300)에서 공급되는 혼합수가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되어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처리수를 배출하는 구조물인 침전조(400)는 하나이상이 설치되어 집약적 폐수처리장치(100)에 구비되는 것을 제공할 수 가 있다. 이는 폐수의 정화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으로 폐수처리 능력을 원활히 작용하여 폐수에 함유된 각종 슬러지와 처리수를 완벽하게 분리하기 위해 하나이상의 침전조를 구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개별적으로 구성된 여러단계의 폐수처리장치를 하나의 폐수처리시설에 집약적으로 형성하므로서, 세차장 및 유리가공과 같이 소량의 폐수를 배출하는 업소의 설치나 소규모 기업체에 배출되는 폐수의 처리장소에 설치하고 그 설치비용이 저렴하며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폐수처리를 장치에서 기존의 침전조의 효능을 더욱 향상시킨 것으로 폐수에 함유된 슬러지의 침전효과를 높여 미세한 슬러지까지 침전시킬 수 있는 갈매기형 바플(baffle)을 설치함으로서 슬러지의 침전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집약적 폐수처리장치의 폐수처리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집약적 폐수처리장치의 폐수처리공정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집약적 폐수처리장치중에 침전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집약적 폐수처리장치중에 침전조의 내부단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집약적 폐수처리장치중에 침전조 내부에 처리수와 슬러지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집약적 폐수처리장치에서 침전조에 구비된 갈매기형 바플(baffle)의 확대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집약적 폐수처리장치에서 침전조에 구비된 타공차단막의 확대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집약적 폐수처리장치에서 폐수처리시설물이 집약된 캐비넷형상의 하우징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 100 제2배출관 : 430
집수조 : 200 갈매기형 바플(baffle) : 440
원수펌프 : 210 수직면 : 440a
원수공급관 : 220 예각면 : 440b
반응응집조 : 300 둔각면 : 440c
교반기 : 310 타공차단막 : 500
블러워 : 320 타공 : 510
PH제어기 : 330 톱니 : 520
공기공급라인 : 340 슬러지저장탱크 : 600
반응제공급탱크 : 350 탈수기 : 650
응집제공급탱크 : 360 슬러지배출관 : 660
정량펌프 : 370 모래여과조 : 700
침전조 : 400 활성탄여과조 : 800
혼합수공급관 : 410 방류관 : 810
제1배출관 : 420 하우징 : 900

Claims (3)

  1. 캐비넷형상을 가지고 있는 하우징(900)내부에 폐수처리시설이 집약적인 구비되는 집약적 폐수처리장치(100)에 있어서,
    폐수의 원수를 저장하는 집수조(200)와,
    상기 집수조(200)에서 원수펌프(210)가 설치된 원수공급관(220)을 통해 폐수를 공급받는 반응응집조(300)와,
    상기 반응응집조(300)에 공급된 폐수를 처리수와 슬러지의 분리 및 응집을 위해 혼합되는 반응제와 응집제는 각각 정량펌프(370)가 설치된 반응제공급탱크(350)와 응집제공급탱크(360)에 의해 반응응집조(300)에 유입되고 폐수와의 고른 혼합을 위해 반응응집조(300)에 구비된 교반기(310)에 의해 혼합되고,
    상기 반응응집조(300)에서 처리수와 슬러지로 혼합된 혼합수가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 및 침전되기 위해 상부의 일측에 혼합수를 공급받는 혼합수공급관(410)과 상부의 다른일측에는 처리수가 배출되는 제1배출관(420)이 있으며 하부의 일측에는 슬러지를 배출하는 제2배출관(430)이 연결되어 있는 침전조(400)와,
    상기 침전조(400)의 내부 공간에는 혼합수가 혼합수공급관(410)을 통해 유입되는 유량의 흐름을 조절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혼합수가 낙하하도록 하는 수직방향으로 다수 구획하며 양측면이 침전조(400)의 내부양측면에 용접에의해 접합되어 구비된 갈매기형상의 갈매기형 바플(baffle)(440)과,
    상기 갈매기형 바플(baffle)(440)의 상·하부에 일정길이만큼 수직면(440a)을 가지고 있으며 상·하부사이에는 일정길이의 예각면(440b)과 예각면(440b)과 같은 길이의 둔각면(440c)이 "〉"형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침전조(400)에 처리수가 배출되는 제1배출관(420)이 연결되어 있는 공간주위에 "ㄴ"형태로 제1배출관(420) 연결주위에 용접처리되어 부착되며 전체적인 형상이 1-2mm의 타공(510)으로 이루어진 판상결합체며 상단부는 톱니(5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처리수에 함유된 미처리된 슬러지와 부유물을 처리하기 위한 타공차단막(500)과,
    상기 침전조(400)에서 제2배출관(430)을 통해 흘러나온 슬러지를 저장하는 슬러지저장탱크(600)와,
    상기 슬러지저장탱크(600)에서 저장된 슬러지를 탈수하기 위해 탈수기(650)를 거쳐 최종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배출관(660)가 구비되고,
    상기 침전조(400)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는 유량계가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일정량을 1차적으로 필터작용을 하는 모래가 구비된 모래여과조(700)에 의해 여과되고,
    상기 모래여과조(700)를 거친 처리수는 2차적인 필터작용을 위해 활성탄이 구비된 활성탄여과조(800)에 의해 여과되어 방류관(810)을 통해 방류수가 배출되는 것을 구비되어 캐비넷형상의 하우징(900)내부에 상기 모든 구조물이 집약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침전조(400)내부에 설치된 갈매기형은 바플(baffle)(440)은 침전조(400) 내부에 하나이상이 설치되어 있어 혼합수내의 미세한 슬러지까지 침전시키고 혼합수에 유입되는 유량의 흐름을 더욱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반응응집조(300)에서 공급되는 혼합수가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되어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처리수를 배출하는 구조물인 침전조(400)가 하나이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KR20-2004-0036800U 2004-12-22 2004-12-22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KR2003776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800U KR200377629Y1 (ko) 2004-12-22 2004-12-22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800U KR200377629Y1 (ko) 2004-12-22 2004-12-22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998A Division KR100628881B1 (ko) 2005-07-01 2005-07-01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629Y1 true KR200377629Y1 (ko) 2005-03-16

Family

ID=43679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800U KR200377629Y1 (ko) 2004-12-22 2004-12-22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629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978B1 (ko) 2005-06-30 2006-12-28 주식회사 피엔오 크린 엔지니어링 하수종말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간이하수종말처리장
KR100941387B1 (ko) * 2009-09-17 2010-02-10 씨아이바이오텍(주) 하·폐수 총인(t-p) 및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는 일체형 연속회분식 응집침전장치
WO2011129493A1 (en) * 2010-04-13 2011-10-20 Essa Co., Ltd. Sewage treatment apparatus for buried type tank
KR101113079B1 (ko) 2011-09-02 2012-02-29 신영구 오탁수 고속처리 방법
KR101113075B1 (ko) * 2011-09-02 2012-02-29 신영구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
CN108479128A (zh) * 2018-05-18 2018-09-04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工程用具有排渣功能的二次沉淀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978B1 (ko) 2005-06-30 2006-12-28 주식회사 피엔오 크린 엔지니어링 하수종말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간이하수종말처리장
KR100941387B1 (ko) * 2009-09-17 2010-02-10 씨아이바이오텍(주) 하·폐수 총인(t-p) 및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는 일체형 연속회분식 응집침전장치
WO2011129493A1 (en) * 2010-04-13 2011-10-20 Essa Co., Ltd. Sewage treatment apparatus for buried type tank
KR101113079B1 (ko) 2011-09-02 2012-02-29 신영구 오탁수 고속처리 방법
KR101113075B1 (ko) * 2011-09-02 2012-02-29 신영구 오탁수 고속처리 장치
CN108479128A (zh) * 2018-05-18 2018-09-04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工程用具有排渣功能的二次沉淀池
CN108479128B (zh) * 2018-05-18 2024-02-06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工程用具有排渣功能的二次沉淀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62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treatment
KR100948553B1 (ko) 지하수 정화 시스템
KR101189912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200377629Y1 (ko)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CN105129969A (zh) 周边过滤出水生化沉淀池
JP4136877B2 (ja) 浮島型水質浄化処理装置
KR100628881B1 (ko)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KR100984167B1 (ko) 복합오염 지하수 정화처리방법 및 장치
KR100724778B1 (ko) 오폐수처리장치
KR200336701Y1 (ko) 직접 폭기식 오염하천 정화장치
KR100427774B1 (ko) 폐광산 폐수의 정화방법 및 그 장치
KR100960643B1 (ko) 오염수 처리장치
CN212222719U (zh) 一种清洗液自动过滤处理设备
CN108101274A (zh) 一种油类高cod废水预处理工艺和设备
KR20010016337A (ko) 오폐수 처리시스템
JPH09276606A (ja) 汚水の沈澱濾過方法及びその沈澱濾過漕
JP3148721B2 (ja) 濁水処理装置
KR101913415B1 (ko) 다단정화기
JP4382397B2 (ja) 土砂洗浄装置及び土砂洗浄方法
KR200225283Y1 (ko) 오폐수 처리장치
JP4396981B2 (ja) 汚水処理装置
KR20220014631A (ko)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KR102222156B1 (ko) 소형화된 폐수 처리 시스템
CN109179779A (zh) 一种物化净水器
JP5080734B2 (ja) 泥水処理方法、泥水処理装置及び泥水処理用海藻ペー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122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2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12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18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2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60117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EXTG Ip right invalidated
UC2102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