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164B1 -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164B1
KR100993164B1 KR1020090091746A KR20090091746A KR100993164B1 KR 100993164 B1 KR100993164 B1 KR 100993164B1 KR 1020090091746 A KR1020090091746 A KR 1020090091746A KR 20090091746 A KR20090091746 A KR 20090091746A KR 100993164 B1 KR100993164 B1 KR 100993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hamber
filtration
sterilization
precip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씨엔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씨엔에스(주) filed Critical 삼성씨엔에스(주)
Priority to KR1020090091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164B1/ko
Priority to CN201080043179.9A priority patent/CN102574701B/zh
Priority to PCT/KR2010/006523 priority patent/WO2011037422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4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large scale industrial siz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2Hydrocarbons, e.g. oi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2F2101/345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 강, 저수지 및 댐을 포함하는 수역의 바닥면으로부터 지하로 일정깊이 천공되어 형성되는 취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취수구와 연통되도록 수중에 형성되어 상기 수역의 수압에 의해 상기 취수구를 통해 취수된 물을 정수시키는 정수부와; 상기 정수부를 통해 정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하천, 강, 저수지 및 댐을 포함하는 상기 수역의 바닥면으로부터 지하로 일정깊이 천공되어 형성되는 상기 취수구와 연통되도록 수중에 형성되는 상기 정수부가 상기 수역의 수압에 의해 상기 취수구를 통해 취수된 물을 정수시키기 때문에 물을 정수하는 과정 중에 황사 및 페놀 등의 오염물질에 의해 물이 오염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물을 정수하기 위한 별도의 에너지와 약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운영 및 관리개선으로 인해 탄소저감, 자원절약, 생태계보호 및 수질개선을 할 수 있으며, 계절에 상관없이 15℃ 온도의 물을 항시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물을 정수하기 위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정수부, 펌프부재

Description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UNDERWATER BELOW CLEAN WATER CONTROL EQUIPMENT}
본 발명은 하천, 강, 저수지 및 댐을 포함하는 수역의 바닥면의 지하에 구비되기 때문에 물을 정수하는 과정 중에 황사 및 페놀 등의 오염물질에 의해 물이 오염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물을 정수하기 위한 별도의 약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물을 정수하기 위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원수 정수처리장치는 취수장으로부터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된느 상수원수를 넓은 침전지에 수용한 후 약품을 투입하여 이물질을 하부로 침전시키는 침전방법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상수원수 정수처리장치는 광활한 면적의 침전지가 요구되고, 하절기 갈수기때 침전지에 수용된 상수원수에 녹조류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약품의 사용이 과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침전지에 약품을 사용한 이후에도 일정시간의 침전시간을 수동적으로 기다려야만 하고, 특히 홍수기때에는 상수원수가 흙탕물로 변하여 탁도가 상승하게 됨으로써, 보다 많은 약품을 투여하여야 함은 물론, 상수원수의 정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수원수 침전지의 상부에 떠다니는 부유물은 하부로 침전되지 않음으로써, 다시 2차, 3차 침전조로 이송시켜 정수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침전지에 녹조류나 흙탕물이 침전되게 되면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보다 많은 약품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상수원수를 폭기시키기 위한 상수원수 폭기실; 상기 상수원수 폭기실에서 폭기처리된 상수원수를 여과처리하기 위한 다수의 여과필터가 충전되고, 수직유입관을 통해 하강 유입된 상수원수를 저어주는 날개부를 구비하여 상수원수에 함유된 이물질의 중력에 의한 침전을 유도하기 위한 침전실과, 상기 침전실의 상부에 상수원수를 정수처리하기 위한 정수처리실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정수처리조; 상기 상수원수 폭기실에서 폭기처리된 상수원수를 상기 정수처리조로 공급급하기 위한 상수원수 공급관; 상기 정수처리조에서 정수처리된 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정수배출관;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원수 정수처리장치(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699551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상수원수 정수처리장치(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699551호)는 상수원수 폭기실이 외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상수원수를 폭기하는 과정 중에 황사 및 페놀 등에 의해 상기 상수원수가 오염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다량의 상수원수를 정수하기 위한 공간의 제약이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하천, 강, 저수지 및 댐을 포함하는 수역의 바닥면의 지하에 구비되기 때문에 물을 정수하는 과정 중에 황사 및 페놀 등의 오염물질에 의해 물이 오염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물을 정수하기 위한 별도의 약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물을 정수하기 위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천, 강, 저수지 및 댐을 포함하는 수역의 바닥면으로부터 지하로 일정깊이 천공되어 형성되는 취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취수구와 연통되도록 수중에 형성되어 상기 수역의 수압에 의해 상기 취수구를 통해 취수된 물을 정수시키는 정수부와; 상기 정수부를 통해 정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정수부는, 상기 수역의 바닥면으로부터 지하로 일정깊이 천공되어 형성되는 취수구와, 상기 취수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취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전처리여과시키는 전처리여과부로 이루어지는 취수실과; 상기 취수실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처리여과부를 통해 전처리여과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침전시키는 침전실과; 하부에 상기 침전실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된 물이 유입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유입된 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층이 상측에 구비되는 여과실과; 상부에 상기 여과실의 필터층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된 물이 유입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유입된 물을 살균처리하는 살균부재가 구비된 살균실과; 하부에 상기 살균실에 의해 살균된 물이 유입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취수실이 복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실이 복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여과실, 상기 살균실 및 상기 저장실에 각각 형성된 통로에는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수부로 출입이 가능한 이동통로부가 수중에 형성되고, 상기 수역의 인근 지면에 상기 이동통로부와 연통되는 출입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침전실, 상기 여과실, 상기 살균실 및 상기 저장실과 상기 이 동통로부사이에는 각각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과, 상기 침전실, 상기 여과실, 상기 살균실 및 상기 저장실 내에는 각각 공기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침전실, 상기 여과실, 상기 살균실 및 상기 저장실에 저장된 물을 상기 수역으로 강제 배출시키는 배출펌프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살균실과 상기 이동통로부 사이의 벽의 일부는 강화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펌프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를 조작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펌프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살균실에는 수질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수질감지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살균실과 상기 저장실 사이에 구비된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천, 강, 저수지 및 댐을 포함하는 수역의 바닥면으로부터 지하로 일정깊이 천공되어 형성되는 취수구와 연통되도록 수중에 형성되는 정수부가 상기 수역의 수압에 의해 상기 취수구를 통해 취수된 물을 정수시키기 때문에 물을 정수하는 과정 중에 황사 및 페놀 등의 오염물질에 의해 물이 오염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물을 정수하기 위한 별도의 에너지와 약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운영 및 관리개선으로 인해 탄소저감, 자원절약, 생태계보호 및 수질개선을 할 수 있으며, 계절에 상관없이 15℃ 온도의 물을 항시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물을 정수하기 위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부가 취수실, 침전실, 여과실, 살균실 및 저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수역의 수압에 의해 상기 취수실로 취수된 물을 보다 용이하게 정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보다 깨끗한 식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취수실이 복수 구비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양의 상기 수역의 물을 취수함과 동시에 정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저장실이 복수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취수실, 상기 침전실, 상기 여과실 및 상기 살균실을 통해 여과 및 살균처리된 많은 양의 물을 보다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실, 상기 살균실 및 상기 저장실에 각각 형성된 통로에 개폐부재가 구비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청소 및 필터층, 살균부재 등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정수부로 출입이 가능한 이동통로부가 수중에 형성되고, 상기 수역의 인근 지면에 상기 이동통로부가 연통되는 출입구가 구비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정수부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관리, 감시 및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침전실, 상기 여과실, 상기 살균실 및 상기 저장실과 상기 이동통로부 사이에 각각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이 구비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보다 더욱 용이하게 상기 침전실, 상기 여과실, 상기 살균실 및 상기 저장실의 관리, 감시 및 점검을 할 수 있고, 상기 침전실, 상기 여과실, 상기 살균실 및 상기 저장실 내에는 각각 공기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침전실, 상기 여과실, 상기 살균실 및 상기 저장실에 저장된 물을 상기 수역으로 강제 배출시키는 배출펌프부재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배출펌프부재가 상기 침전실, 상기 여과실, 상기 살균실 및 상기 저장실에 저장된 물을 상기 수역으로 보다 원활하게 강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살균실과 상기 이동통로부 사이의 벽의 일부가 강화유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살균실로 보다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살균실을 통해 살균처리된 물의 수질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를 조작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펌프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상기 수역의 물을 보다 안전하게 정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살균실에 수질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수질감지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살균실과 상기 저장실 사이에 구비된 개폐부재를 제어하기 때문에 보다 완벽하게 여과 및 살균처리된 상기 수역의 물을 공공기관 등의 외부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정수부(10) 및 펌프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정수부(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천, 강 저수지 및 댐을 포함하는 수역(7)의 바닥면(7a)으로부터 지하로 일정깊이 천공되어 형성되는 취수구(112)가 구비되고, 상기 취수구(112)와 연통되도록 수중에 형성되어 상기 수역(7)의 수압에 의해 상기 취수구(112)를 통해 취수된 물(W)을 정수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정수부(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역(7)의 바닥면(7a)으로부터 지하로 일정깊이 천공되어 형성되는 취수구(112)와, 상기 취수 구(11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취수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물(W)을 전처리여과시키는 전처리여과부(114)로 이루어지는 취수실(110)과;
상기 취수실(1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처리여과부(114)를 통해 전처리여과된 물(W)에 포함된 이물질(8)을 침전시키는 침전실(130)과;
하부에 상기 침전실(130)로부터 이물질(8)이 제거된 물(W)이 유입되는 통로(152)가 형성되고, 유입된 물(W)에 함유된 이물질(8)을 여과시키는 필터층(154)이 상측에 구비되는 여과실(150)과;
상부에 상기 여과실(150)의 필터층(154)에 의해 이물질(8)이 여과된 물(W)이유입되는 통로(172)가 형성되고, 유입된 물(W)을 살균처리하는 살균부재(176)가 구비된 살균실(170)과;
하부에 상기 살균실(170)에 의해 살균된 물(W)이 유입되는 통로(192)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192)를 통해 유입되는 물(W)을 저장하는 저장실(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도 2는 수역(7)의 물(W)이 정수부(10)를 통해 정수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역(7)의 물(W)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역(7)의 수압에 의해 상기 수역(7)의 바닥면(7a)으로부터 일정깊이 천공되어 형성되는 상기 취수구(112)를 통해 취수된다.
이와 동시에 취수된 상기 수역(7)의 물(W)은 상기 취수구(112)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전처리여과부(114)에 의해 상기 수역(7)의 물(W)에 함유된 자갈 및 모래 등이 전처리여과되어 물(W)만 상기 취수실(110)로 취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처리여과부(114)는 상기 수역(7)의 물(W)이 보다 용이하게 전처리여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취수구(112)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고, 중앙에 관통구(114b)가 형성된 지지부재(114a)와, 상기 지지부재(114a)의 관통구(114b)에 구비되는 여과부재(미도시)와 상기 여과부재(미도시)의 상부에 적층되는 모래 및 자갈 등의 필터층(115)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좋다.
그리고, 상기 취수실(110)은 보다 많은 양의 상기 수역(7)의 물(W)을 취수함과 동시에 정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 구비되는 것이 좋다(도 3 참조).
더불어, 상기 취수실(110)은 냇가 등과 같이 적은 양의 물(W)이 흐르는 수역(7)에 독립적으로 구비됨으로써, 냇가 등과 같이 적은 양의 물(W)이 흐르는 수역(7)의 물(W) 또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취수실(110)의 전처리여과부(114)를 통해 모래 및 자갈 등이 전처리여과된 물(W)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역(7)의 수압에 의해 상기 취수실(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침전실(13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침전실(130)로 유입된 전처리여과된 물(W)은 상기 침전실(130)에 48시간 동안 침전되는데, 이는 전처리여과된 물(W)에 함유된 이물질(8)이 침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침전실(130)은 상기 취수실(110)이 복수 구비될 경우 각각의 상기 취수실(1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침전실(130)에는 개폐부재(미도시)가 내측에 구비된 통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침전실(130)과 후술되는 여과실(150) 사이에는 상기 각각의 침전실(130)을 통해 이물질(8)이 침전된 상태의 물(W)이 상기 수역(7)의 수압에 의해 상기 여과실(15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관(미도시)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처리여과부(114)를 통해 전처리여과된 물(W)이 상기 복수의 침전실(130) 중 하나의 침전실(130)로 유입될 경우 후술되는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전처리여과부(114)를 통해 전처리여과된 물(W)이 다른 침전실(1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폐부재(미도시)를 폐쇄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전처리여과부(114)를 통해 전처리여과된 물(W)이 상기 침전실(130) 중 하나의 침전실(130)로 유입됨과 동시에 전처리여과된 물(W)에 함유된 이물질(8)이 침전될 수 있도록 48시간 동안 침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침전실(130) 중 하나의 침전실(130)에서 상기 전처리여과부(114)를 통해 전처리여과된 물(W)이 48시간 동안 침전되고 있을 때,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개폐부재(미도시) 중 다른 개폐부재(미도시)를 개방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전처리여과부(114)를 통해 전처리여과된 물(W)이 상기 침전실(130) 중 또 다른 하나의 침전실(130)로 유입됨과 동시에 전처리여과된 물(W)에 함유된 이물질(8)이 침전될 수 있도록 48시간 동안 침전되게 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전처리여과부(114)를 통해 전처리여과된 물(W)이 첫번째로 유입되어 이물질(8)이 48시간 동안 침전된 상태의 상기 침전실(130) 중 하나의 침전실(130)과 상기 여과실(150) 사이에 형성된 유입구(미도시)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개폐부재(미도시)를 개방시켜 첫번째로 이물질(8)이 침전된 상태의 물(W)이 상기 여과실(15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취수실(110)이 복수 구비되고, 복수 구비되는 상기 취수실(110)의 하부에 상기 침전실(130)이 복수 구비될 경우 상기 전처리여과부(114)를 통해 전처리여과된 물(W)에 함유된 이물질(8)을 침전시키기 위해 48시간 동안 침전시키는 중에도 상기 전처리여과부(114)를 통해 전처리여과된 다량의 물(W)을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전처리여과부(114)를 통해 전처리여과된 일정량의 물(W)을 상기 여과실(150)로 순차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가뭄 등의 자연재해 등의 상황에도 일정량의 물(W)을 공공기관(9) 등의 외부로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취수실(110)과 상기 침전실(130)은 종래의 정수처리장의 지하에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취수실(110)과 상기 침전실(130)이 종래의 정수처리장의 지하에 복수 구비될 경우 보다 많은 양의 상기 수역(7)의 물(W)을 저장할 수 있고, 보다 빠른 시간에 상기 취수실(110)과 상기 침전실(130)에 저장된 상기 수역(7)의 물(W)을 여과 및 살균처리 할 수 있음은 물론, 보다 깨끗한 식수를 공공기관(9) 등 의 외부로 보다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침전실(130)에서 48시간 동안 침전되어 이물질(8)이 침전된 상태의 물(W)은 상기 수역(7)의 수압에 의해 상기 여과실(150)의 통로(152)를 통해 상기 여과실(150)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통로(152)와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상기 여과실(150)의 상측에 구비되는 필터층(154)에 의해 세균 및 플랑크톤 등의 이물질(8)이 여과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층(154)은 세균 및 플랑크톤 등의 이물질(8)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여과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층으로 구비되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 여과실(150)에 의해 세균 및 플랑크톤 등의 이물질(8)이 여과된 물(W)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역(7)의 수압에 의해 상기 살균실(170)의 통로(172)를 통해 상기 살균실(170)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살균실(170)의 내측벽에 복수 구비되는 자외선램프 등의 상기 살균부재(176)에 의해 살균처리된다.
상기 살균실(170)의 살균부재(176)에 의해 살균처리된 물(W)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장실(190)의 통로(192)를 통해 상기 저장실(190)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저장실(190)은 상기 취수실(110),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및 상기 살균실(170)을 통해 여과 및 살균처리된 많은 양의 물(W)을 보다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2, 3저장실(193, 194, 195)등으로 복수 구비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취수구(112)를 통해 취수된 상기 수역(7)의 물(W)이 상기 취수실(110),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을 통과할 경우 항시 소량의 공기라도 상기 취수실(110),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의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취수구(112)를 통해 취수된 상기 수역(7)의 물(W)이 정수되는 과정 중에 세균 등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깨끗한 식수를 얻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정수부(10)가 상기 취수실(110),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수역(7)의 수압에 의해 상기 취수실(110)로 취수된 물(W)을 보다 용이하게 정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보다 깨끗한 식수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상기 저장실(190)에 각각 형성된 통로(152, 172, 192)에는 개폐부재(153, 173, 191)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에 각각 형성된 상기 통로(152, 172, 192)에 상기 개폐부재(153, 173, 191)가 구비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청소 및 필터층(115, 154), 살균부재(176) 등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펌프부재(3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정수부(10)를 통해 정수된 물(W)을 공공기관(9) 등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펌프부재(30) 및 상기 개폐부재(153, 173, 191)를 조작하는 예를 들어, /OFF 누름식버튼으로 이루어진 조작부(미도시)와 상기 조작부(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상기 펌프부재(30) 및 상기 개폐부재(153, 173, 191)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살균실(170)을 통해 살균처리된 물(W)이 상기 저장실(190)에 저장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조작부(미도시)의 ON 버튼을 누를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저장실(190)의 개폐부재(191)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펌프부재(30)가 상기 저장실(190)에 저장된 물(W)을 공공기관(9) 등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와 달리 황사, 페놀 및 기름유출 등에 의해 오염된 상기 수역(7)의 물(W)을 취수하기 어려울 경우 작업자가 상기 조작부(미도시)의 OFF 버튼을 누르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의 모든 개폐부재(153, 173, 191)를 폐쇄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로 인해 황사, 페놀 및 기름유출 등에 의해 오염된 상기 수역(7)의 물(W)이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펌프부재(30) 및 상기 개폐부재(153, 173, 191)를 조작하는 상기 조작부(미도시)와, 상기 조작부(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상기 펌프부재(30) 및 상기 개폐부재(153, 173, 191)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상기 수역(7)의 물(W)을 보다 안전하게 정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실(170)에는 수질감지센서(178)가 구비되고, 상기 수질감지센서(178)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살균실(170)과 상기 저장실(190) 사이에 구비된 상기 개폐부재(173, 191)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질감지센서(178)는 상기 살균부재(176)에 의해 살균처리된 물(W)의 수질을 측정하게 되는데, 상기 수질감지센서(178)에 의해 측정된 물(W)의 수질의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값 보다 미만일 경우 상기 수질감지센서(178)는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출력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수질감지센서(178)가 출력한 신호에 따라 상기 살균실(170)의 개폐부재(173)가 폐쇄되도록 제어하여 살균처리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물(W)이 상기 저장실(190)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와 달리 상기 수질감지센서(178)에 의해 측정된 물(W)의 수질의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값과 동일하거나 초과 될 경우 상기 수질감지센서(178)는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수질감지센서(178)가 출력한 신호에 따라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의 개폐부재(173, 191)가 개방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수역(7)의 수압에 의해 상기 취수실(110)의 취수구(112)를 통해 취수되는 물(W)이 연속적으로 상기 취수실(110),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및 상기 살균실(170)을 통해 여과 및 살균처리되어 상기 저장실(190)로 저장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펌프부재(30)가 상기 저장실(190)에 저장된 여과 및 살균처리가 완벽하게 이루어진 물(W)을 공공기관(9) 등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질감지센서(178)는 상기 취수실(110)의 취수구(112)를 통해 취수되는 상기 수역(7)의 물(W)의 수질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및 상기 저장실(190)에도 구비되는 것이 더욱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살균실(170)에 상기 수질감지센서(178)가 구비되고, 상기 수질감지센서(178)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살균실(170)과 상기 저장실(190) 사이에 구비된 상기 개폐부재(173, 191)를 제어하기 때문에 보다 완벽하게 여과 및 살균처리된 상기 수역(7)의 물(W)을 공공기관(9) 등의 외부로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정수부(10) 및 이동통로부(50)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정수부(10)로 출입이 가능한 이동통 로부(50)가 수중에 형성되고, 상기 수역(7)의 인근 지면에 상기 이동통로부(50)가 연통되는 출입구(51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정수부(10)로 출입이 가능한 상기 이동통로부(50)가 수중에 형성되고, 상기 수역(7)의 인근 지면에 상기 이동통로부(50)가 연통되는 상기 출입구(510)가 구비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정수부(10)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관리, 감시 및 점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실(170)과 상기 이동통로부(50) 사이의 벽의 일부는 작업자가 상기 살균실(170)로 보다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살균실(170)을 통해 살균처리된 물(W)의 수질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화유리(60)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살균실(170)과 상기 이동통로부(50) 사이의 벽의 일부만 반드시 상기 강화유리(60)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역(7)의 물(W)이 상기 취수실(110),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및 상기 살균실(170)을 통해 여과 및 살균처리됨으로써, 정수되는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관리, 감시 및 점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취수실(110),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및 상기 살균실(170)과 상기 이동통로부(50) 사이의 벽 전체가 상기 강화유리(60)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좋다.
아울러,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 장실(190)과 상기 이동통로부(50) 사이에는 도 2 및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132, 156, 179, 196)과,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 내에는 각각 공기주입구(130a, 150a, 170a, 190a)가 형성되고,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에 저장된 물(W)을 상기 수역(7)으로 강제 배출시키는 배출펌프부재(7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출입문(132, 156, 179, 196)은 선박 및 항공기 등의 출입구로 이용되는 해치(hatch)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공기주입구(130a, 150a, 170a, 190a)는 각각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에 개폐부재(미도시)가 구비된 상태로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주입구(130a, 150a, 170a, 190a)에는 공기주입관(135, 158, 171, 196)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주입관(135, 158, 171, 196)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가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의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역(7)의 수면 보다 높게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의 하부에는 각각 개폐부재(미도시)가 내측에 구비된 배출구(134, 157, 180, 197)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34, 157, 180, 197)에는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에 저장된 물(W)을 상기 수역(7)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136, 159, 181, 198)이 각각 연통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펌프부재(70)는 각각 연통된 상태로 구비된 상기 배출관(136, 159, 181, 198)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 중 한 곳을 청소하거나 또는 필터층(115, 154) 등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상기 조작부(미도시)의 ON 버튼을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작업자가 청소하거나 또는 필터층(115, 154) 등을 교체하고자하는 곳의 배출구(134, 157, 180, 197)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개폐부재(미도시)를 개방하여 작업자가 청소하거나 또는 필터층(115, 154) 등을 교체하고자하는 곳에 저장된 물(W)을 상기 배출펌프부재(70)가 상기 수역(7)으로 강제 배출시키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작업자가 청소하거나 또는 필터층(115, 154) 등을 교체하고자하는 곳의 공기주입구(130a, 150a, 170a, 190a)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개폐부재(미도시)를 개방하여 외부의 공기가 상기 수역(7)의 수면 보다 높게 구비되는 상기 공기주입관(135, 158, 171, 196)을 통해 작업자가 청소하거나 또는 필터층(115, 154) 등을 교체하고자하는 곳의 내부로 주입되게 한다.
이로 인해 상기 배출펌프부재(70)의 펌핑압과 작업자가 청소하거나 또는 필 터층(115, 154) 등을 교체하고자하는 곳의 내부의 공기압이 동일하게 됨으로써, 상기 배출펌프부재(70)가 물(W)을 강제 배출시킬 시 부하 등이 발생하지 않고, 보다 원활하게 상기 수역(7)으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작업자가 청소하거나 또는 필터층(115, 154) 등을 교체하고자하는 곳에 저장된 물(W)이 모두 상기 수역(7)으로 강제 배출된 경우 작업자는 상기 조작부(미도시)의 OFF 버튼을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작업자가 청소하거나 또는 필터층(115, 154) 등을 교체하고자하는 곳의 배출구(134, 157, 180, 197)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개폐부재(미도시)를 폐쇄하여 상기 배출펌프부재(70)가 상기 수역(7)으로 강제 배출시킨 물(W)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작업자가 청소하거나 또는 필터층(115, 154) 등을 교체하고자하는 곳의 출입문(132, 156, 179, 196)을 개방하여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청소하거나 또는 필터층(115, 154) 등을 교체하고자하는 곳의 공기주입구(130a, 150a, 170a, 190a)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개폐부재(미도시)를 개방하여 청소 또는 필터층(115, 154)의 교체가 완료될 때까지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공기주입구(130a, 150a, 170a, 190a)에는 에어콤프레셔 등과 같이 압축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별도의 압축공기주입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압축공기주입부재(미도시)에는 에어건 등과 같이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별도의 청소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보다 깨끗하고, 보다 원활하게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침전실(130)의 배출구(134)는 상기 침전실(130)의 하부에 복수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배출구(134)의 내측에는 상기 개페부재(미도시)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배출구(134)에는 각각 상기 배출관(136)이 연통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 전처리여과부재(114)를 통해 전처리여과된 상태의 물(W)에 함유된 이물질(8)이 상기 침전실(130)의 내부에 침전된 경우 상기 이물질(8)을 상기 수역(7)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상기 조작부(미도시)의 ON 버튼을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복수의 배출구(134)의 내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개폐부재(미도시)를 개방시켜 상기 배출펌프부재(70)가 상기 이물질(8)을 상기 수역(7)으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동시에 상기 전처리여과부재(114)를 통해 전처리 여과된 상태의 물(W)이 상기 수역(7)의 수압에 의해 다시 상기 침전실(1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침전실(130)의 수질감지센서(미도시), 상기 여과실(150)의 수질감지센서(미도시), 상기 살균실(170)의 수질감지센서(178) 및 상기 저장실(190)의 수질감지센서(미도시)가 측정한 수질의 측정값 중 미리 설정된 측정값 수질 값 보다 미만인 것으로 측정된 측정값의 물(W)이 저장된 곳의 배출구(134, 157, 180, 197)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개폐부재(미도시)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배출펌프부재(70)가 상기 수역(7)으로 강제 배출시키거나 상기 취수실(110)로 강제 유입시켜 재여과 및 재살균처리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과 상기 이동통로부(50) 사이에 각각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상기 출입문(510)이 구비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보다 더욱 용이하게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의 관리, 감시 및 점검을 할 수 있고,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 내에는 각각 상기 공기주입구(130a, 150a, 170a, 190a)가 형성되고,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에 저장된 물(W)을 상기 수역(7)으로 강제 배출시키는 상기 배출펌프부재(70)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배출펌프부재(70)가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에 저장된 물(W)을 상기 수역(7)으로 보다 원활하게 강제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의 내부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에 저장된 물(W)의 수질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부재(137, 160, 182, 199)가 구비되고,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과 상기 이동통로부(50) 사이에는 상기 카메라부재(137, 160, 182, 199)가 촬영한 영상을 전송받아 미리 설정된 물(W)의 수질 값과 비교하여 판독한 후 상기 카메라부재(137, 160, 182, 199)가 촬영한 물(W)의 수질 정도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컴퓨터부재(80)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전처리여과부(114)의 지지부재(114a)의 관통구(114b)에는 개폐부재(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취수실(1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수역(7)의 수중에는 상기 수역(7)의 수질을 측정하는 복수의 수질감지센서(미도시)와, 상기 수역(7)의 혼탁도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질감지센서(미도시)가 측정한 상기 수역(7)의 수질의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수질의 값 보다 미만일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수질감지센서(미도시)가 출력한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미도시)를 폐쇄시켜 상기 수역(7)의 물(W)이 상기 취수구(110)로 취수되지 못하게 한다.
이와 달리 상기 복수의 수질감지센서(미도시)가 측정한 상기 수역(7)의 수질의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수질의 값과 동일하거나 초과된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수질감지센서(미도시)가 출력한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미도시)를 개방시켜 상기 수역(7)의 물(W)이 상기 취수구(110)로 취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부재(미도시)가 상기 수역(7)의 혼탁도를 촬영한 영상이 미리 설정된 상기 수역(7)의 혼탁도 보다 더 탁할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개폐부재(미도시)를 폐쇄시켜 상기 수역(7)의 물(W)이 상기 취수구(110)로 취수되지 못하게 한다.
이와 달리 상기 복수의 카메라부재(미도시)가 상기 수역(7)의 혼탁도를 촬영한 영상이 미리 설정된 상기 수역(7)의 혼탁도와 동일하거나 덜 탁할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개폐부재(미도시)를 개방시켜 상기 수역(7)의 물(W)이 상기 취수구(110)로 취수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천, 강, 저수지 및 댐을 포함하는 상기 수역(7)의 바닥면(7a)으로부터 지하로 일정깊이 천공되어 형성되는 상기 취수구(112)와 연통되도록 수중에 형성되는 상기 정수부(10)가 상기 수역(7)의 수압에 의해 상기 취수구(112)를 통해 취수된 물(W)을 정수시키기 때문에 물(W)을 정수하는 과정 중에 황사 및 페놀 등의 오염물질에 의해 물(W)이 오염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물(W)을 정수하기 위한 별도의 에너지와 약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운영 및 관리개선으로 인해 탄소저감, 자원절약, 생태계보호 및 수질개선을 할 수 있으며, 계절에 상관없이 15℃ 온도의 물(W)을 항시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물(W)을 정수하기 위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수역의 물이 정수부를 통해 정수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정수부 및 이동통로부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7; 수역, 7a; 바닥면,
8; 이물질, 9; 공공기관,
10; 정수부, 110; 취수실,
112; 취수구, 114; 전처리여과부,
114a; 지지부재, 114b; 관통구,
115,154; 필터층, 130; 침전실,
130a,150a,170a,190a; 공기주입구, 152,172,192; 통로,
132,156,179,196; 출입문, 153,173,191; 개폐부재,
134,157,180,197; 배출구, 135,158,171,196; 공기주입관,
136,159,181,198; 배출관, 137,160,182,199; 카메라부재,
150; 여과실, 170; 살균실,
176; 살균부재, 178; 수질감지센서,
190; 저장실, 193; 제 1저장실,
194; 제 2저장실, 195; 제 3저장실,
30; 펌프부재, 50; 이동통로부,
510; 출입구, 60; 강화유리,
70; 배출펌프부재, 80; 컴퓨터부재,
W; 물

Claims (10)

  1. 하천, 강, 저수지 및 댐을 포함하는 수역(7)의 바닥면(7a)으로부터 지하로 일정깊이 천공되어 형성되는 취수구(112)가 구비되고, 상기 취수구(112)와 연통되도록 수중에 형성되어 상기 수역(7)의 수압에 의해 상기 취수구(112)를 통해 취수된 물(W)을 정수시키는 정수부(10)와;
    상기 정수부(10)를 통해 정수된 물(W)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정수부(10)는,
    상기 수역(7)의 바닥면(7a)으로부터 지하로 일정깊이 천공되어 형성되는 취수구(112)와, 상기 취수구(11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취수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물(W)을 전처리여과시키는 전처리여과부(114)로 이루어지는 취수실(110)과;
    상기 취수실(1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처리여과부(114)를 통해 전처리여과된 물(W)에 포함된 이물질(8)을 침전시키는 침전실(130)과;
    하부에 상기 침전실(130)로부터 이물질(8)이 제거된 물(W)이 유입되는 통로(152)가 형성되고, 유입된 물(W)에 함유된 이물질(8)을 여과시키는 필터층(154)이 상측에 구비되는 여과실(150)과;
    상부에 상기 여과실(150)의 필터층(154)에 의해 이물질(8)이 여과된 물(W)이 유입되는 통로(172)가 형성되고, 유입된 물(W)을 살균처리하는 살균부재(176)가 구비된 살균실(170)과;
    하부에 상기 살균실(170)에 의해 살균된 물(W)이 유입되는 통로(192)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192)를 통해 유입되는 물(W)을 저장하는 저장실(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정수부(10)로 출입이 가능한 이동통로부(50)가 수중에 형성되고,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과 상기 이동통로부(50)사이에는 각각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132, 156, 179, 196)과,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 내에는 각각 공기주입구(130a, 150a, 170a, 190a)가 형성되고,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에 저장된 물(W)을 상기 수역(7)으로 강제 배출시키는 배출펌프부재(70)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주입구(130a, 150a, 170a, 190a)에는 내측에 개폐부재가 구비된 상태로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주입구(130a, 150a, 170a, 190a)에는 상기 수역(7)의 수면보다 높게 공기주입관(135, 158, 171, 196)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의 하부에는 각각 개폐부재가 내측에 구비된 배출구(134, 157, 180, 197)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34, 157, 180, 197)에는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에 저장된 물(W)을 상기 수역(7)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136, 159, 181, 198)이 각각 연통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에 각각 형성된 통로(152, 172, 192)에는 개폐부재(153, 173, 191)가 구비되고,
    상기 펌프부재(30) 및 상기 개폐부재(153, 173, 191)를 조작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펌프부재(30) 및 상기 개폐부재(153, 173, 191)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살균실(170)에는 수질감지센서(178)가 구비되고, 상기 수질감지센서(178)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살균실(170)과 상기 저장실(190) 사이에 구비된 개폐부재(173, 191)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실(110)이 복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190)이 복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역(7)의 인근 지면에 상기 이동통로부(50)와 연통되는 출입구(5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실(170)과 상기 이동통로부(50) 사이의 벽의 일부는 강화유리(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실(130), 상기 여과실(150), 상기 살균실(170) 및 상기 저장실(190)에 저장된 물(W)의 수질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재(137, 160, 182, 199)와;
    상기 카메라부재(137, 160, 182, 199)가 촬영한 영상을 전송받아 미리 설정된 물(W)의 수질값과 비교하여 판독한 후 상기 카메라부재(137, 160, 182, 199)가 촬영한 물(W)의 수질정도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컴퓨터부재(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90091746A 2009-09-28 2009-09-28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 KR100993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746A KR100993164B1 (ko) 2009-09-28 2009-09-28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
CN201080043179.9A CN102574701B (zh) 2009-09-28 2010-09-25 水中地下净水处理装置
PCT/KR2010/006523 WO2011037422A2 (ko) 2009-09-28 2010-09-25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746A KR100993164B1 (ko) 2009-09-28 2009-09-28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3164B1 true KR100993164B1 (ko) 2010-11-09

Family

ID=43409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746A KR100993164B1 (ko) 2009-09-28 2009-09-28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93164B1 (ko)
CN (1) CN102574701B (ko)
WO (1) WO201103742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806B1 (ko) 2018-09-17 2019-12-02 (주)위 에너지 태양광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브러쉬로 청소가 가능한 코안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21268C1 (ru) * 2016-06-20 2017-06-0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б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запасов пресных во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1631A (ja) * 2001-08-02 2003-02-13 Shimizu Corp 貯水空洞システム
KR200304931Y1 (ko) * 2002-08-29 2003-02-19 정충혁 소규모 상수도용 정수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27141Y (zh) * 2004-09-27 2005-09-21 薛增亮 家用污水处理再用箱
US7344644B2 (en) * 2005-02-25 2008-03-18 Chris Haudenschild Method and system for purifying water
CN101239754A (zh) * 2007-08-27 2008-08-13 北京能拓高科技有限公司 生活污水分质处理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1631A (ja) * 2001-08-02 2003-02-13 Shimizu Corp 貯水空洞システム
KR200304931Y1 (ko) * 2002-08-29 2003-02-19 정충혁 소규모 상수도용 정수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806B1 (ko) 2018-09-17 2019-12-02 (주)위 에너지 태양광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브러쉬로 청소가 가능한 코안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74701A (zh) 2012-07-11
CN102574701B (zh) 2014-10-08
WO2011037422A2 (ko) 2011-03-31
WO2011037422A3 (ko)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608B1 (ko) 조류제거장치
SG188665A1 (en) Up-flow filtration device characterized by method for stacking filter materials
KR101546880B1 (ko)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60940B1 (ko) 다단계 빗물 저장탱크를 이용한 빗물 저장 및 수질 처리 시스템
CN102232133A (zh) 雨水处理设备
CN105813720A (zh) 浸渍式过滤装置
KR100993164B1 (ko)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
KR101309775B1 (ko) 건설용 폐수의 처리장치
KR101774866B1 (ko) 정수장 조류 유입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수장 조류 유입 방지 방법
KR100939559B1 (ko) 수족관용 정수 순환시스템
KR101010365B1 (ko) 계곡수 여과장치
KR20050116814A (ko) 염수 침입 방지 시스템
KR101028714B1 (ko) 교체 가능한 필터를 갖는 수족관 정수장치
CN207591439U (zh) 一种菌类加工清洗生产线废水处理系统
CN108164038A (zh) 一种给水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108083507A (zh) 一种集成式给水处理装置及处理方法
KR101152640B1 (ko) 수족관용여과장치
KR102046562B1 (ko) 초기 빗물이 배출 가능한 빗물 정화장치
KR100745121B1 (ko) 여과장치
KR101263353B1 (ko) 빗물처리장치
KR102046131B1 (ko) 초기우수 수질 처리 시스템
CN208561942U (zh) 一种给水处理装置
KR200344532Y1 (ko) 수족관 정화 시스템
KR101517724B1 (ko) 폐액 정화장치
KR102580534B1 (ko) 모듈화가 가능한 여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