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365B1 - 계곡수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계곡수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365B1
KR101010365B1 KR1020080038991A KR20080038991A KR101010365B1 KR 101010365 B1 KR101010365 B1 KR 101010365B1 KR 1020080038991 A KR1020080038991 A KR 1020080038991A KR 20080038991 A KR20080038991 A KR 20080038991A KR 101010365 B1 KR101010365 B1 KR 101010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valley water
filter medium
valle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3104A (ko
Inventor
정형태
김진술
Original Assignee
제천시
홍해옥
청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천시, 홍해옥, 청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천시
Priority to KR1020080038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365B1/ko
Publication of KR20090113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44Cartridge ty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Abstract

본 발명은 계곡수를 상수로 사용하기 위하여, 계곡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계곡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계곡수 여과장치는; 내부는 비어 있으며, 앞면판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챔버; 상기 각 출입구를 통해 상기 챔버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계곡수의 여과를 위한 여과재가 수납되어 있는 복수의 여과재 수납용기; 상기 챔버 내로 계곡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챔버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한 면에 접속된 계곡수 유입관; 상기 챔버 내의 계곡수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챔버의 상면과 하면 중 다른 한 면에 접속된 계곡수 유출관; 및 상기 챔버 내로 유입된 계곡수가 상기 각 출입구를 통해 챔버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계곡수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계곡수 유출관으로 향하는 계곡수가 상기 각 여과재 수납용기 내의 여과재를 거쳐가도록, 상기 각 여과재 수납용기에는, 계곡수가 통과하는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계곡수 여과장치{Filtering apparatus for valley water}
본 발명은 계곡수를 상수로 사용하기 위하여, 계곡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계곡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과재의 교환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계곡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상수도가 공급되지 않는 산간 마을에서는, 산속 계곡에 흐르는 계곡수를 상수원으로 하여, 그 계곡수를 취수하고 정화 및 소독한 후 각 가정에 식수로서 공급하는 간이 상수 시스템이 적용된다. 이러한 간이 상수 시스템에는, 계곡수에 부유하는 낙엽, 쓰레기 등의 부유물질이나, 계곡수 주위에 서식하는 파충류, 어류, 곤충 등과 같은 수생 생물 및 그 수생 생물의 알이나 유충 등과 같이, 크기가 비교적 큰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걸러내는 계곡수 여과장치가 구비된다.
상술한 계곡수 여과장치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계곡수 여과장치(9)는,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된 챔버(1)와, 그 챔버(1) 내에 여러층으로 적층된 여과재(2)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여과재(2)들은 예컨대, 숯, 활성탄, 자갈, 모래 등과 같은 여과재 중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계곡수는, 챔버(1)의 하부의 유입관(1a)를 통해 챔버(1) 내로 유입되어 상방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여러층의 여과재(2)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챔버(1)의 상부의 유출관(1b)를 통해 별도의 물탱크나 소독·정화시설 측으로 유출된다. 상기 챔버(1)의 상부의 개방부는 평상시에는 덮개(3)로 덮여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계곡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여과재들이 오염되어 그 여과재들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혹은 상기 여과재들에 의해 걸러져서 챔버 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챔버 내로 들어가서, 그 챔버 내에 적층되어 있는 여과재들을 모두 챔버의 상부의 개방부를 통해 들어내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챔버 내의 여러층의 여과재들 중 맨 하층의 여과재만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챔버 내의 모든 여과재들을 걷어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여과재의 교환 등을 위해 챔버로부터 여과재를 꺼내는 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계곡수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계곡수 여과장치는, 계곡수를 상수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계곡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계곡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내부는 비어 있으며, 앞면판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챔버; 상기 각 출입구를 통해 상기 챔버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계곡수의 여과를 위한 여과재가 수납되어 있는 복수의 여과재 수납용기; 상기 챔버 내로 계곡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챔버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한 면에 접속된 계곡수 유입관; 상기 챔버 내의 계곡수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챔버의 상면과 하면 중 다른 한 면에 접속된 계곡수 유출관; 및 상기 챔버 내로 유입된 계곡수가 상기 각 출입구를 통해 챔버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계곡수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계곡수 유출관으로 향하는 계곡수가 상기 각 여과재 수납용기 내의 여과재를 거쳐가도록, 상기 각 여과재 수납용기에는, 계곡수가 통과하는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챔버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혹은 여과재를 교환하기 위하여 챔버 내의 여과재를 꺼낼 때, 그 여과재를 쉽고 간편하게 꺼낼 수 있는 계곡수 여과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곡수 여과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곡수 여과장치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여과재 수납용기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계곡수 여과장치의 Ⅳ-Ⅳ선의 단면도로서, 도 4는 각 여과재 수납용기가 챔버로 삽입되고 있는 상태, 도 5는 여과재 수납용기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계곡수 여과장치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계곡수 여과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의 계곡수 여과장치(9)와 마찬가지로, 계곡수를 상수로 사용하기 위하여 그 계곡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계곡수 여과장치(100)는, 챔버(10)와, 4개의 여과재 수납용기(20)와, 실링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챔버(10)는, 예컨대 스테인리스강판 등과 같은 금속강판 소재에 의해 제조되며, 전체적으로 볼 때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챔버(10)의 앞부분에 해당되는 앞면판(11)에는, 챔버(10)의 내부공간과 통하는 4개의 출입 구(12)가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챔버(10)의 하면(12)에는 계곡수 유입관(31)과 세척수 유출관(42)이 접속되어 있고, 챔버(10)의 상면(13)에는 계곡수 유출관(32)과 세척수 유입관(41)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계곡수 유입관(31)과 계곡수 유출관(32)은 각각, 챔버(10) 내로의 계곡수의 유입 및 챔버(10) 내의 계곡수의 배출을 위해 마련된 것이며, 상기 세척수 유입관(41)과 세척수 유출관(42)은 각각, 챔버(10) 내로의 세척수의 유입 및 챔버(10) 내의 세척수의 배출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각 출입구(111) 둘레에는, 각각 복수의 나사구멍(15)이 마련되어 있다. 챔버(10)의 내면에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레일(16)이 4쌍 구비되어 있으며, 각 쌍의 레일(16)은, 각 출입구(111)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레일(16)의 후단부에는, 뒤쪽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경사진 경사부(161)가 마련되어 있다. 챔버(10)의 내면에는 또한,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지지플랜지부(17)가 4쌍 구비되어 있으며, 각 쌍의 지지플랜지부(17)는 각 출입구(111)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여과재 수납용기(20)들 각각은, 챔버(10)의 각 출입구(111)를 통해 챔버(10) 내로 삽입된다. 각 여과재 수납용기(20)에는 활성탄이나, 숯, 자갈, 모래 등과 같은 적절한 여과재(2)가 수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여과재 수납용기(20)가, 용기본체(21)와 덮개판(2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본체(21)는 여과재(2)를 수용하는 부분이며, 이 용기본체(21)에는 상기 출입구의 바깥쪽에서 상기 챔버의 앞면판과 마주하는 앞판부(21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덮개판(22)은, 상기 용기본체(21)에 수용된 여 과재(2)가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본체(21)에 덮어 씌워지는 것으로서, 예컨대 나사(29)에 의해, 용기본체(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용기본체(21)의 바닥부와 상기 덮개판(22)에는 각각, 다수의 통과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과구멍(25)들은, 계곡수 유입관(31)을 통해 챔버(10) 내로 유입되어 계곡수 유출관(32)으로 향하는 계곡수가 여과재 수납용기(20) 내의 여과재(20)를 거쳐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각 여과재 수납용기(20)의 좌우 양측에는 바퀴(2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바퀴(26)들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재 수납용기(20)가 챔버(10)의 출입구(111)를 통해 그 챔버(10) 내로 삽입되거나 또는 챔버(10)로부터 빼내는 과정에서, 그 바퀴(26)와 대응되는 레일(16)에 구름접촉하면서(즉, 레일(16) 위를 구르면서) 그 여과재 수납용기(20)의 삽입 또는 인출이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여과재 수납용기(20)는, 용기본체(21)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플랜지부(27)를 구비하고 있다. 각 여과재 수납용기(20)가 챔버(10)의 출입구(111)를 통해 챔버(10) 내로 삽입 완료되었을 때, 그 여과재 수납용기(20)의 돌출플랜지부(27)는 그에 대응되는 지지플랜지부(17)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받쳐지게 된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여과재 수납용기(20)를 그에 대응되는 출입구(111)를 통해 챔버(10) 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26)들이 레일(16) 위를 구르면서 여과재 수납용기(2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며, 여과재 수납용기(20)가 챔버(10) 내에 삽입완료되기 직전에는 바퀴(26)들이, 레일(16) 후단 부의 경사부(161) 위를 구르게 된다. 이에 따라, 여과재 수납용기(20)는 삽입완료지점을 향해 들어가면서 점진적으로 하강하게 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재 수납용기(20)의 삽입이 완료된 시점에서 그 여과재 수납용기(20)의 돌출플랜지부(27)가 챔버(10)의 지지플랜지부(17) 위에 놓이게 된다. 즉, 지지플랜지부(17)가 돌출플랜지부(27)를 하방으로부터 받쳐서 지지하게 되며, 그 결과, 여과재 수납용기(20)는 챔버(10) 내로의 삽입이 완료된 시점에서 챔버(10)의 지지플랜지부(17)에 걸쳐져서 지지되게 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돌출플랜지부(27)와 그에 대응되는 지지플랜지부(17) 사이에는, 그 돌출플랜지부(27)와 지지플랜지부(17) 사이로 계곡수가 통과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고무 등과 같은 고무소재에 의해 제조된 실링부재(37)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챔버(10)에 삽입 완료된 여과재 수납용기(20)는, 그 여과재 수납용기(20)의 앞판부(211)를 관통하여 챔버(10)의 나사구멍(15)에 체결되는 나사(19)에 의해, 챔버(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실링수단은, 계곡수 유입관(31)을 통해 챔버(10) 내로 유입된 계곡수가, 상기 출입구(111)를 통해 챔버(10)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이 실링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실리콘고무 등과 같은 고무소재에 의해 4각링형상으로 제조되어 여과재 수납용기(20)의 앞판부(211)와 챔버(10)의 앞면판(11) 사이에 배치되는, 4각링형상의 패킹부재(5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계곡수 여과장치(100)는, 예컨대, 도 7에 구조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계곡수 유입관(61)은 계곡수원(S)에 접속하고, 계곡수 유출관(32)과 세 척수 유입관(41)을 계곡수 저장용 물탱크(60)에 접속하고, 세척수 유출관(42)은 하수도관(P)에 접속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 참조번호 71, 72, 73, 74는 각각, 관로 내의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개방하기 위하여, 계곡수 유입관과 계곡수 유출관과 세척수 유입관과 세척수 유출관에 접속한 개폐밸브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설치된 계곡수 여과장치(100)를 이용하여 계곡수를 여과하는 과정 및 계곡수 여과장치(100) 내의 여과재를, 도 2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밸브(71)와 밸브(72)를 개방하고 밸브(73)와 밸브(74)를 폐쇄하여 두게 되면, 계곡수원(S)으로부터의 계곡수가 계곡수 유입관(31)을 통해 챔버(10) 내로 유입된다. 챔버(10) 내로 유입된 계곡수는, 상기 4개의 여과재 수납용기(20)들 중 맨 아래쪽의 여과재 수납용기의 용기본체(21) 바닥에 형성된 통과구멍(25)과, 여과재(2)와, 덮개판(22)에 형성된 통과구멍(25)을 통과하게 된다. 이처럼, 맨 아래쪽 여과재 수납용기를 통과한 계곡수는 계속해서, 상기 맨 아래쪽 여과재 수납용기를 통과하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나머지 여과재 수납용기를 아래쪽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계곡수가 여과재 수납용기(20)들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그 여과재 수납용기(20)들 내의 여과재(2)들에 의해, 계곡수에 포함되어 있던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여과된 계곡수는 계곡수 유출관(32)을 통해 배출되어 물탱크(60)에 저장된다.
그리고, 여과재(2)들을 역세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밸브들(71, 72)을 폐쇄하고 밸브들(73, 74)을 개방한다. 이와 같이 하면 계곡수 유입관(31)을 통한 챔 버(10) 내로의 계곡수 유입 및 계곡수 유출관(32)을 통한 챔버(10) 내의 계곡수의 유출이 방지됨과 아울러, 물탱크(60) 내의 수압에 의해, 물탱크(60) 내의 물이 챔버(10)의 세척수 유입관(41)을 통해 그 챔버(10) 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세척수 유입관(41)을 통해 그 챔버(10) 내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계곡수 여과시의 흐름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챔버 내의 여과재 수납용기들 중 맨 위쪽의 여과재 수납용기에 수납된 여과재부터 맨 아래쪽 여과재 수납용기에 수납된 여과재까지 차례로 세척한 후, 세척수 유출관(42)을 통해 하수도관(P)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계곡수 여과장치는, 챔버(10) 내의 여과재(2)들을 역세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여과재(2)들을 빈번히 교환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여과재(2)의 교환 등을 위하여, 여과재(2)를 챔버(10)로부터 꺼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여과재(2)가 수납된 여과재 수납용기(20)와 챔버(20)를 결합시키고 있는 나사(19)들을 풀어낸 후, 여과재 수납용기(20)를 전방으로 잡아당긴다. 이와 같이 하면 여과재(2)가 여과재 수납용기(20)와 함께 챔버(10)로부터 꺼내어지므로,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의 계곡수 여과장치(9)에 있어서 여과재(2)를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꺼내야 하는 것에 비하여,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특히, 예컨대 맨 아래층의 여과재만 교환하는 경우에,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계곡수 여과장치(9)에서는 여과재를 챔버(1) 상방의 개방부를 통해 꺼내도록 되어 있으므로 챔버(1) 내의 모든 층의 여과재를 다 꺼내야만 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계곡수 여과장치(100)의 경우는, 맨 아래쪽의 여과재 수납용기만 챔버(10)로부터 전방으로 꺼내어 여과재를 교환하면 되므로, 그 작업이 매우 효율적이다. 또한, 챔버(10)에 레 일(16)을 설치하고 여과재 수납용기(20)에는 그 레일(16)에 구름접촉하는 바퀴(26)를 설치하면, 여과재 수납용기(20)를 챔버(10)로부터 더욱 편리하게 꺼낼 수 있다. 챔버(10)로부터 분리된 여과재 수납용기(20) 내의 여과재(2)를 새것으로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나사(29)들을 풀어 그 여과재 수납용기(20)의 덮개판(22)을 용기본체(21)로부터 분리한 후, 여과재의 교환을 행하면 된다. 교환된 여과재를 수용한 여과재 수납용기는 다시 챔버(10)에 형성된 출입구(111)를 통해 챔버(10) 내로 삽입하고 나사(19)들을 이용하여 고정시켜 두면 된다.
상기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층으로 적층되어 있는 여과재(2)들을 각각 챔버(10)로부터 전방으로 빼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여과재를 빼내는 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으며, 특히 여러층의 여과재들 중 어느 한 층의 여과재만 선택하여 빼낼 수도 있으므로, 필요한 여과재만 교환하는 작업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여과재 수납용기와, 그 4개의 여과재 수납용기에 대응하여 4개의 출입구, 4쌍의 지지플랜지부 및 4쌍의 레일이 마련되어 있으나, 여과재 수납용기는 경우에 따라, 2개 또는 3개가 마련되거나 또는 5개 이상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챔버의 출입구와, 레일과, 지지플랜지의 개수도 상기 여과재 수납용기의 수에 대응하여 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계곡수 유입관(31)과 세척수 유출관(42)이 각각 챔버(10)의 하면에 접속되고, 계곡수 유출관(32)과 세척수 유입관(41)이 각각 챔버(10)의 상면에 접속된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반대로, 계곡수 유입관과 세척수 유출관이 각각 챔버의 상면에 접속되고, 계곡수 유출관과 세척수 유입관이 각각 챔버의 하면에 접속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실링수단으로서, 예컨대, 여과재 수납용기(20)의 앞판부(211)와 챔버(10)의 앞면판(11) 사이의 틈새에, 공지의 액상의 실리콘을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계곡수가 상기 틈새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여과재 수납용기를 챔버로부터 빼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경화된 실리콘을 벗겨낸 후 빼내도록 하는 구성 등이 채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계곡수 여과장치의 일례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곡수 여과장치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여과재 수납용기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계곡수 여과장치의 Ⅳ-Ⅳ선의 단면도로서, 도 4는 각 여과재 수납용기가 챔버로 삽입되고 있는 상태, 도 5는 여과재 수납용기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계곡수 여과장치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계곡수 여과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구조를 간략화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챔버 111...출입구
16...레일 17...지지플렌지부
2....여과재 20...여과재 수납용기
21...용기본체 22...덮개판
26...바퀴 27...돌출플렌지부
31...계곡수 유입관 32...계곡수 유출관
37...실링부재 41...세척수 유입관
42...세척수 유출관 50...패킹부재

Claims (6)

  1. 계곡수를 상수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계곡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계곡수 여과장치에 있어서:
    내부는 비어 있으며, 앞면판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챔버;
    상기 각 출입구를 통해 상기 챔버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계곡수의 여과를 위한 여과재가 수납되어 있는 복수의 여과재 수납용기;
    상기 챔버 내로 계곡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챔버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한 면에 접속된 계곡수 유입관;
    상기 챔버 내의 계곡수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챔버의 상면과 하면 중 다른 한 면에 접속된 계곡수 유출관; 및
    상기 챔버 내로 유입된 계곡수가 상기 각 출입구를 통해 챔버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계곡수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계곡수 유출관으로 향하는 계곡수가 상기 각 여과재 수납용기 내의 여과재를 거쳐가도록, 상기 각 여과재 수납용기에는, 계곡수가 통과하는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여과재 수납용기는, 상기 출입구의 바깥쪽에서 상기 챔버의 앞면판과 마주하는 앞판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여과재 수납용기는, 상기 앞판부를 관통하여 상기 챔버의 앞면판에 체결되는 나사에 의해, 상기 챔버에 결합되며,
    상기 실링수단은, 상기 여과재 수납용기의 앞판부와 상기 챔버의 앞면판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곡수 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여과재 수납용기에 마련된 돌출플랜지부와,
    상기 각 여과재 수납용기의 후단부의 좌우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바퀴와,
    상기 각 여과재 수납용기가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챔버 내로 삽입될 때 상기 바퀴들이 구름접촉하도록, 상기 챔버에 마련되는 복수쌍의 레일과,
    상기 각 여과재 수납용기가 상기 챔버 내로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각 돌출플랜지부를 하방으로부터 받쳐서 지지하도록 상기 챔버에 마련된 복수의 지지플랜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곡수 여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돌출플랜지부와 그 돌출플랜지부를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플랜지부 사이로 계곡수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각 돌출플랜지부와 그 돌출플랜지부를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플랜지부 사이에 실링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각 레일의 후단부에는, 뒤쪽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경사진 경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곡수 여과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로 상기 여과재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챔버의 상면과 하면 중, 상기 계곡수 유입관이 접속된 면에 접속되는 세척수 유입관과,
    상기 챔버 내의 세척수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챔버의 상면과 하면 중, 상기 계곡수 유출관이 접속된 면에 접속되는 세척수 유출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곡수 여과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 수납용기는, 상기 여과재를 수용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덮어씌워지는 덮개판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덮개판 각각에 상기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곡수 여과장치.
KR1020080038991A 2008-04-25 2008-04-25 계곡수 여과장치 KR101010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991A KR101010365B1 (ko) 2008-04-25 2008-04-25 계곡수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991A KR101010365B1 (ko) 2008-04-25 2008-04-25 계곡수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104A KR20090113104A (ko) 2009-10-29
KR101010365B1 true KR101010365B1 (ko) 2011-01-25

Family

ID=41554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991A KR101010365B1 (ko) 2008-04-25 2008-04-25 계곡수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3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960B1 (ko) * 2017-09-19 2018-09-28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정수 처리 장치
KR102445705B1 (ko) * 2021-08-20 2022-09-2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미세플라스틱 분석을 위한 액상 시료 운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041B1 (ko) * 2019-05-02 2020-02-04 주식회사 현진기업 서랍형 다용도 정수장치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
KR102101458B1 (ko) * 2019-08-09 2020-04-16 권승만 생활용수 및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이동식 공기청정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958A (ko) * 2002-07-26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풀업 기능을 가진 핀 검사 장치
KR200409958Y1 (ko) * 2005-12-06 2006-03-03 이금석 수질 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958A (ko) * 2002-07-26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풀업 기능을 가진 핀 검사 장치
KR200409958Y1 (ko) * 2005-12-06 2006-03-03 이금석 수질 정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960B1 (ko) * 2017-09-19 2018-09-28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정수 처리 장치
KR102445705B1 (ko) * 2021-08-20 2022-09-2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미세플라스틱 분석을 위한 액상 시료 운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104A (ko)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668B1 (ko) 살균 및 역세 기능이 향상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FI71068B (fi) Motskoeljbart ljusskoeljningsfilter
KR101291299B1 (ko)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 및 역세 방법
KR100675915B1 (ko) 수질 정화 장치
US5795472A (en) Multistage filter device including a housing with removable sidewalls having a filtering capacity
KR101546880B1 (ko)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10365B1 (ko) 계곡수 여과장치
US10335740B2 (en) Submerged-type filtration apparatus
US20110042311A1 (en) Membrane system
KR20140050430A (ko)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KR101546879B1 (ko)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용 정화장치
JP2021030176A (ja) 船体搭載用濾過装置
US7138054B2 (en) Cartridge filter system
KR101384333B1 (ko) 부유물질 처리장치
KR101551385B1 (ko)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KR100993164B1 (ko)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
KR101106546B1 (ko) 연못의 수질 정화장치
TW201808093A (zh) 景觀水族過濾系統
EP3406325A1 (en) Filter assembly with filler core
KR100661814B1 (ko) 콘테이너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연속 여과 시스템
KR200216477Y1 (ko) 물탱크 자동취수장치
JP2015123436A (ja) 水処理方法
KR101517724B1 (ko) 폐액 정화장치
KR102652172B1 (ko)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
CN214714963U (zh) 一种多层次深度净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