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880B1 -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880B1
KR101546880B1 KR1020150027424A KR20150027424A KR101546880B1 KR 101546880 B1 KR101546880 B1 KR 101546880B1 KR 1020150027424 A KR1020150027424 A KR 1020150027424A KR 20150027424 A KR20150027424 A KR 20150027424A KR 101546880 B1 KR101546880 B1 KR 101546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
pipe
supplied
backw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석현
Original Assignee
이랜드체육조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랜드체육조경(주) filed Critical 이랜드체육조경(주)
Priority to KR1020150027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4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large scale industrial siz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07Amusement arrangements involving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4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bathing facilities, e.g. swimming po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이 구비되며 물이 공급 및 수용되는 제1저장조; 제1저장조와 유로에 의하여 연결되어 제1저장조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는 제2저장조; 제1저장조에 위치된 상태에서 유로에 연통 구성되어 제1저장조에 저장된 물이 제1저장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수면까지의 수위별로 균등하게 취수된 후 제2저장조로 유입되도록 하는 취수부; 제2저장조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저장조의 물이 제1저장조로 공급시 물의 정화를 가능하게 하는 정화부; 제2저장조에 수용된 물이 정화부에 의해 정화된 상태에서 제1저장조로 정화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2저장조에 수용된 물이 정화부에 의해 정화되지 않고 제1저장조로 바이패스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2저장조에 수용된 물이 정화부를 역세척한 상태에서 외부로 드레인 배출되도록 하는 배관분배부; 및 제2저장조의 수위 조절을 통한 제1저장조의 수위 조절과 배관분배부의 정화, 바이패스 및 드레인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Water treating system for fountain and water play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에 있어서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취수가 취수부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수면까지의 수위별로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오염물질의 집진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고 배관분기부에 의해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정화부의 역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질이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이 뛰어 노는 놀이터, 공원, 학교 운동장 등과 같은 놀이터에는 어린이들의 체력 및 지각 능력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놀이 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놀이 시설물을 변형하여 어린이들이 보다 호기심을 가지면서도 체력 및 지작 능력을 다양하게 키울 수 있도록 하는 놀이 시설물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특히, 놀이 시설물 자체에 물이 분사되거나 소형의 풀장 형태를 이루도록 풀장 내측에 조합놀이대와 기타 물놀이 시설물 및 분수 시설과 같이 병행 설치되어 여름철 등에 보다 흥미를 가지고 놀 수 있도록 하는 분수 및 물놀이 시설이 많이 개발되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수 및 물놀이 시설의 경우 일단 물이 담수된 후 장시간에 걸쳐 사용되는데 수온이 높은 여름철에 주로 사용하게 되어 물 속의 세균 번식 등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이 오염되어 위생상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청수가 공급되고 오염된 물이 배수되는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등록특허 10-0942843호와 10-1259698호 등과 같은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 등의 수처리 시스템이 안출된 바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에 대한 수처리 시스템은, 놀이 시설물이 구비되며 물이 수용되는 제1저장조, 상기 제1저장조와 유로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2저장조 및 상기 제1저장조와 제2저장조 사이의 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제2저장조로부터 제1저장조로 물을 공급시 물을 정화시키는 클린유닛 또는 필터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에 대한 수처리 시스템은, 제1저장조에 수용된 물의 수위에 관계없이 바닥면 또는 수면 부위에 위치된 취수구와 이에 연결된 취수배관 등을 포함하는 취수부에 의해 제1저장조에 저장된 물 또는 오염된 물이 제2저장조로 취수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제1저장조에는 물속의 세균 이외에도 음식물이나 외부로부터 유입된 나뭇잎 등과 같은 각종 오염성 부유물이 존재하게 되고, 이때, 상기 부유물들의 경우 자체의 비중 차이에 의해 물의 바닥면으로부터 수면까지 다양한 수위에 위치하게 된다. 즉, 비중이 큰 부유물의 경우에는 물의 바닥면에 가라앉은 상태를 가지고 비중이 아주 작은 부유물의 경우에는 물의 수면에 뜬 상태를 가지게 되며 그 사이의 비중을 가지는 부유물의 경우에는 물의 바닥면과 수면 사이의 중간 부위에 소정 부력을 유지하면서 잠긴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에, 제1저장조에 수용된 물의 취수가 바닥면으로부터 수면까지의 수위별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즉, 종래와 같이, 제1저장조의 바닥면 또는 수면 부위에 취수구가 위치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지면서 서로 다른 수위에 위치된 부유물의 집진이 이루어지지 않고 취수구가 위치된 해당 수위에 위치된 부유물에 대한 집진만이 이루어지게 되어 물 속에 다른 수위를 가지면서 존재하는 오염물질의 수집 능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결국 수처리 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에 대한 수처리 시스템은, 제1저장조에 수용된 물이 제2저장조로 취수시 제1저장조와 제2저장조 사이에 구성된 클린유닛 또는 필터수단을 통하여 오염된 물이 정화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제1저장조에는 물속의 세균 이외에도 음식물이나 외부로부터 유입된 나뭇잎 등과 같은 각종 오염성 부유물이 존재하게 되어 상기 클린유닛 또는 필터수단의 주기적인 청소 또는 교체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이에 주기적인 유지 보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결국 수처리 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에 있어서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취수가 취수부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수면까지의 수위별로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오염물질의 집진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고 배관분기부에 의해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정화부의 역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질이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이 구비되며 물이 공급 및 수용되는 제1저장조; 제1저장조와 유로에 의하여 연결되어 제1저장조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는 제2저장조; 제1저장조에 위치된 상태에서 유로에 연통 구성되어 제1저장조에 저장된 물이 제1저장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수면까지의 수위별로 균등하게 취수된 후 제2저장조로 유입되도록 하는 취수부; 제2저장조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저장조의 물이 제1저장조로 공급시 물의 정화를 가능하게 하는 정화부; 제2저장조에 수용된 물이 정화부에 의해 정화된 상태에서 제1저장조로 정화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2저장조에 수용된 물이 정화부에 의해 정화되지 않고 제1저장조로 바이패스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2저장조에 수용된 물이 정화부를 역세척한 상태에서 외부로 드레인 배출되도록 하는 배관분배부; 및 제2저장조의 수위 조절을 통한 제1저장조의 수위 조절과 배관분배부의 정화, 바이패스 및 드레인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취수부는, 제1저장조의 깊이에 대응된 높이를 가지고 소정 체적의 취수공간을 제공하는 취수구; 취수구의 일측면에 바닥면으로부터 상측면까지 상하 비대칭 구조로 일정 간격 형성되거나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저장조에 저장된 물이 수위별로 균등하게 취수구 내부로 유입 및 취수되도록 하는 취수유입공; 및 취수구의 타측면 하부에 형성된 상태에서 연통배관에 연결되어 취수유입공을 통해 취수구 내부에 유입된 물이 제2저수조로 유입되도록 하는 취수배출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화부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 외측에 구성되어 물의 1차 정화를 가능하게 하는 매크로필터; 및 하우징의 내부 내측에 구성되어 매크로에 의해 1차 정화된 물의 2차 정화를 가능하게 하는 마이크로필터를 포함하며,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오염물질이 순차적으로 여과되도록 매크로필터와 마이크로필터가 속이 빈 원통 형상의 하우징의 내부에 속이 빈 원통 형상 가지면서 소정 간격 이격 구성되어 물의 방향에 따라 역세척이 가능한 이중 또는 다중 또는 다단 판형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관분배부는, 정화부에 연장 구성되어 여과펌프의 구동시 정화부의 내부에 제2저장조의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여과유입관과 정화부와 제1저장조 사이에 연장 구성되어 정화부에 의해 여과 정화된 물이 제1저장조로 공급되도록 하는 여과유출관로 구성된 정화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관분배부는, 제2저장조로부터 제1저장조 사이에 연장 구성되며 바이패스펌프의 구동시 제2저장조의 물이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제1저장조로 공급되도록 하는 바이패스관으로 구성된 바이패스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관분배부는, 정화부에 연장 구성되어 역세펌프의 구동시 제2저장조의 물이 정화부로 역류하여 역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세인렛과 정화부로부터 드레인관에 연통 구성되어 정화부에 역류된 역세수가 외부로 드레인되도록 하는 역세아웃렛으로 구성된 역세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제2저장조의 수위 조절을 통해 제1저장조의 수위가 연동 조절되도록 하는 수위제어단계; 배관분배부의 정화수단 제어를 통하여 제2저장조의 물이 정화부에 의해 여과 정화된 상태로 제1저장조로 공급되도록 하는 정화제어단계와; 배관분배부의 바이패스수단 제어를 통하여 제2저장조의 물이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제1저장조로 공급되도록 하는 바이패스제어단계와; 배관분배부의 역세척수단 제어를 통하여 제2저장조의 물이 정화부로 역류하여 정화부의 역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세척제어단계를 포함하는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에 있어서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취수가 취수부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수면까지의 수위별로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오염물질의 집진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고 배관분기부에 의해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정화부의 역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질이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제1저수조와 제2저소조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과 도 4는 도 1의 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취수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및
도 5와 도 6은 도 1의 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배관분기부와 정화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제1저수조와 제2저소조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과 도 4는 도 1의 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취수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와 도 6은 도 1의 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배관분기부와 정화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은,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이 구비되며 물이 공급 및 수용되는 제1저장조(10), 제1저장조(10)와 유로에 의하여 연결되어 제1저장조(10)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는 제2저장조(20), 제1저장조(10)에 위치된 상태에서 유로에 연통 구성되어 제1저장조(10)에 저장된 물이 제1저장조(10)의 바닥면으로부터 수면까지의 수위별로 균등하게 취수된 후 별도의 동력 사용 없이 제2저장조(20)로 유입되도록 하는 취수부(100), 제2저장조(20)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저장조(20)의 물이 제1저장조(10)로 공급시 오염물질의 필터링과 살균 작업이 진행되도록 하여 물의 정화를 가능하게 하는 정화부(200), 제2저장조(20)에 수용된 물이 정화부(200)에 의해 정화된 상태에서 제1저장조(10)로 정화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2저장조(20)에 수용된 물이 정화부(200)에 의해 정화되지 않고 제1저장조(10)로 바이패스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2저장조(20)에 수용된 물이 정화부(200)를 역세척한 상태에서 외부로 드레인 배출되도록 하는 배관분배부(300) 및 제2저장조(20)의 수위 조절을 통한 제1저장조(10)의 수위 조절과 배관분배부(300)의 정화, 바이패스 및 드레인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제1저장조(10)는,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이 구비되며 물이 공급 및 수용되어 물놀이가 가능한 저장공간으로, 소정의 형상과 체적을 가지는 풀장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은, 조합놀이대(1), 기타 물놀이 시설물(2) 및 분수 노즐(3) 등을 통하여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2저장조(20)는, 제1저장조(10)와 유로에 의하여 연결되어 제1저장조(10)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는 취수 및 저장공간으로, 소정의 형상과 체적을 가지는 물탱크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연통배관(30)에 의해 연결되어 별도의 동력 없이 제1저장조(10)의 물이 제2저장조(20)로 유입 및 저장되어 제1저장조(10)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2저장조(20)는, 제2저장조(20)의 수위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수위감지센서(21), 외부로부터 청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청수공급관(22) 및 외부로 제2저장조(20)의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드레인관(23) 등을 포함하며, 이를 통하여, 제1저장조(10)에 상기 수위감지센서(21), 청수공급관(22) 및 드레인관(23)을 구성하지 않고 제1저장조(10)의 수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저장조(20)는, 제2저장조(20)에 저장된 물의 탁도를 감지하기 위한 탁도센서가 더 구성되어 후술된 정화부(200)를 이용한 물의 정화 여부가 판단되도록 하거나 배관분배부(300)를 이용한 정화부(200)의 역세척 여부가 판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취수부(100)는, 제1저장조(10)에 위치된 상태에서 유로에 연통 구성되어 제1저장조(10)에 저장된 물이 제1저장조(10)의 바닥면으로부터 수면까지의 수위별로 균등하게 취수된 후 별도의 동력 사용 없이 제2저장조(20)로 유입되도록 하는 취수수단으로, 제1저장조(10)의 깊이에 대응된 높이를 가지고 소정 체적의 취수공간을 제공하는 취수구(110), 취수구(110)의 일측면에 바닥면으로부터 상측면까지 상하 비대칭 구조로 일정 간격 형성되거나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저장조(10)에 저장된 물이 수위별로 균등하게 취수구(110) 내부로 유입 및 취수되도록 하는 취수유입공(120) 및 취수구(110)의 타측면 하부에 형성된 상태에서 연통배관(30)에 연결되어 취수유입공(120)을 통해 취수구(110) 내부에 유입된 물이 제2저수조(20)로 유입되도록 하는 취수배출공(130) 등을 포함한다.
취수구(110)는, 제1저장조(10)의 깊이에 대응된 높이를 가지고 소정 체적의 취수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으로, 제1저장조(10)의 깊이에 대응된 높이를 가지는 다면체 형상을 가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면과 배면에서 바라볼 때는 역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좌우 양측면에서 바라볼 때는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가지거나 두께가 얇고 정면과 배면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취수유입공(120)은, 취수구(110)의 일측면 즉, 정면 부위에 취수구(110)의 높이 방향으로 바닥면으로부터 상측면까지 상하 비대칭 구조로 일정 간격 형성되거나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와 같이 취수구(110)가 정면에서 바라볼 때 역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는 역삼각형 형상을 가지면서 형성되고 취수구(110)가 정면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그 면적이 점차 좁아지면서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제1저장조(10)에 저장된 물의 수위별로 균등한 취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수배출공(130)은, 취수구(110)의 타측면 즉, 배면 부위 또는 바닥면 부위에 연통배관(30)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취수부(100)에 의하면, 제1저장조(10)에 위치된 상태에서 유로에 연통 구성되어 제1저장조(10)에 저장된 물이 제1저장조(10)의 바닥면으로부터 수면까지의 수위별로 균등하게 취수된 후 별도의 동력 사용 없이 제2저장조(20)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제1저장조(10)에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지면서 서로 다른 수위에 부유물 즉, 오염물질이 위치되더라도 오염물질이 취수를 통해 집진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오염물질의 수집 능력을 향상시켜 수처리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제1저장조(10)에도 간단하게 설치 구성될 수 있어 종래의 제1저장조(10)에 대하여 취수를 통한 오염물질의 수집 능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적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정화부(200)는, 제2저장조(20)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저장조(20)의 물이 제1저장조(10)로 공급되는 전에 오염물질의 필터링과 살균 작업이 진행되도록 하여 물의 정화를 가능하게 하는 여과수단으로, 소정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210), 하우징(210)의 내부 외측에 구성되어 물의 1차 정화를 가능하게 하는 매크로필터(220) 및 하우징(210)의 내부 내측에 구성되어 매크로(220)에 의해 1차 정화된 물의 2차 정화를 가능하게 하는 마이크로필터(23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정화부(200)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오염물질이 순차적으로 여과되도록 매크로필터(220)와 마이크로필터(230)가 속이 빈 원통 형상의 하우징(210)의 내부에 속이 빈 원통 형상 가지면서 소정 간격 이격 구성되고 상기 이격 공간에 구성되는 역세척용 파이프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물의 방향에 따라 역세척이 가능한 이중 또는 다중 및 다단 판형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진다.
즉, 정화부(200)는, 하우징(210)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하우징(210)의 내벽과 매크로필터(220)의 외벽 사이에 공급된 상태에서 매크로필터(220)를 통과하면서 매크로필터(220)의 내벽과 마이크로필터(230)의 내벽 사이로 이동되는 것을 통해 1차 정화가 이루어지고, 이 상태에서 마이크로필터(230)를 통과하면서 마이크로필터(230)의 내벽 사이로 이동되는 것을 통해 2차 정화가 이루어진 후, 이 상태에서 하우징(210)의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과정을 통하여 물의 정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정화부(200)는, 하우징(210)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마이크로필터(230)의 내벽 사이에 공급된 상태에서 마이크로필터(230)를 통과하면서 마이크로필터(230)의 외벽과 매크로필터(220)의 내벽 사이로 이동되는 것을 통해 1차 역세가 이루어지고, 이 상태에서 매크로필터(220)를 통과하면서 매크로필터(220)의 외벽과 하우징(210)의 내벽 사이로 이동되는 것을 통해 2차 역세가 이루어진 후, 이 상태에서 하우징(210)의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과정을 통하여 역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역세척은, 1차 역세와 2차 역세가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마이크로필터(230)만의 1차 역세 후 역세수가 외부로 유출된 상태에서 매크로필터(220)만의 2차 역세 후 역세수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마이크로필터(230)의 내부에는, 배압센서가 더 구성되어 매크로필터(220)와 마이크로필터(230)를 통과하는 물의 수압이 감지되도록 하여 역세척의 여부가 판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정화부(200)에 의하면, 제2저장조(20)에 저장된 물이 제1저장조(10)로 공급되는 경우 선택적으로 오염물질의 필터링과 살균 작업이 진행되도록 하여 물의 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역세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교체 주기가 길어지도록 하여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매크로필터(220)와 마이크로필터(230)의 내부에는 세균, 미생물, 박테리아 및 곰팡이 등을 살균하기 위하여 약품투입장치에 의해 클로린이 투입되도록 하는 클로린소독장치, 오존발생수단과 오존을 물에 빠르게 용해시키도록 하는 버블발생장치가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관분배부(300)는, 제2저장조(20)에 수용된 물이 정화부(200)에 의해 정화된 상태에서 제1저장조(10)로 정화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2저장조(20)에 수용된 물이 정화부(200)에 의해 정화되지 않고 제1저장조(10)로 바이패스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2저장조(20)에 수용된 물이 정화부(200)를 역세척한 상태에서 외부로 드레인 배출되도록 하는 배관분배수단으로, 정화부(200)에 연장 구성되어 여과펌프(P1)의 구동시 정화부(200)의 내부에 제2저장조(20)의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여과유입관(U)과 정화부(200)와 제1저장조(10) 사이에 연장 구성되어 정화부(200)에 의해 여과 정화된 물이 제1저장조(10)로 공급되도록 하는 여과유출관(D)으로 구성된 정화수단(310), 제2저장조(20)로부터 제1저장조(10) 사이에 연장 구성되며 바이패스펌프(P2)의 구동시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제1저장조(10)로 공급되도록 하는 바이패스관(B)으로 구성된 바이패스수단(320) 및 정화부(200)에 연장 구성되어 역세펌프(P3)의 구동시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부(200)로 역류하여 역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세인렛(I)과 정화부(200)로부터 드레인관(23)에 연통 구성되어 정화부(200)에 역류된 역세수가 외부로 드레인되도록 하는 역세아웃렛(O)으로 구성된 역세척수단(330) 등을 포함한다.
정화수단(310)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화부(200) 하우징(210)의 내벽과 매크로필터(220)의 외벽 사이의 공간에 여과유입관(U)의 일단이 위치되고 마이크로필터(230)의 내벽 사이의 공간에 여과유출관(D)의 일단이 위치된다.
이에, 여과유입관(U) 또는 여과유출관(D)에 구성된 여과펌프(P1)의 구동시 제2저장조(20)의 물이 여과유입관(U)을 통해 하우징(210)의 내벽과 매크로필터(220)의 외벽 사이에 공급된 상태에서 매크로필터(220)를 통과하면서 매크로필터(220)의 내벽과 마이크로필터(230)의 내벽 사이로 이동되는 것을 통해 1차 정화가 이루어지고, 이 상태에서 마이크로필터(230)를 통과하면서 마이크로필터(230)의 내벽 사이로 이동되는 것을 통해 2차 정화가 이루어진 후, 이 상태에서 여과유출관(D)을 통해 제1저수조(1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바이패스수단(320)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저장조(20)에 위치된 바이패스펌프(P2)에 제1저장조(10)까지 연장되는 바이패스관(B)이 연결된다.
이에, 정화수단(310)의 동작이 불가능하여 유지 보수 중이거나 역세척수단(330)이 동작 중이거나 또는 제1저수조(10)에 저장된 물 수질이 양호한 경우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제1저장조(10)로 바이패스되도록 할 수 있다.
역세척수단(330)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화부(200) 하우징(210)의 내벽과 매크로필터(220)의 외벽 사이의 공간에 역세아웃렛(O)이 위치되고 마이크로필터(230)의 내벽 사이의 공간에 역세인렛(I)이 위치되거나 또는, 상기 구성 이외에, 매크로필터(220)의 내벽과 마이크로필터(230)의 외벽 사이의 공간에 각각 역세인렛(I)과 역세아웃렛(O)이 더 구성되어 각각 상기 역세아웃렛(O)과 역세인렛(I)에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역세인렛(I)에 구성된 역세펌프(P3)의 구동시 제2저장조(20)의 물이 마이크로필터(230)의 내벽 사이에 공급된 상태에서 마이크로필터(230)를 통과하면서 마이크로필터(230)의 외벽과 매크로필터(220)의 내벽 사이로 이동되는 것을 통해 1차 역세가 이루어지고, 이 상태에서 역세아웃렛(O)에 연통된 드레인관(23)을 통해 외부로 드레인되거나 또는, 매크로필터(220)를 통과하면서 매크로필터(220)의 외벽과 하우징(210)의 내벽 사이로 이동되는 것을 통해 2차 역세가 이루어진 후, 이 상태에서 역세아웃렛(O)에 연통된 드레인관(23)을 통해 외부로 드레인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역세인렛(I)과 역세아웃렛(O)의 연통은, 상기 개폐밸브의 개폐 여부에 따라 매크로필터(220)와 마이크로필터(230)의 역세척이 단일의 역세펌프(P3)만으로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정화수단(310)과 역세척수단(330)의 경우 각각 여과펌프(P1)와 역세펌프(P3)를 이용하여 물의 정화와 정화부(200)의 역세척이 가능하게 하고 있으나, 이 중 단일의 구동펌프만을 구성하고 그 구동펌프로부터 연장되는 단일의 분기관에 상기 여과유입관(U), 여과유출관(D), 역세인렛(I) 및 역세아웃렛(O)이 각각 개폐밸브를 통해서 연결되도록 하여 펌프의 개수를 줄이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배관분배부(300)에 의하면, 정기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제2저수조(20)의 물이 정화된 상태로 또는 바이패스 또는 역세척되도록 하여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2저장조(20)의 수위 조절을 통한 제1저장조(10)의 수위 조절과 배관분배부(300)의 정화, 바이패스 및 드레인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수단으로, 제2저장조(20)의 수위 조절을 통해 제1저장조(20)의 수위가 연동 조절되도록 하는 수위제어모드와, 배관분배부(300)의 정화수단(310) 제어를 통하여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부(200)에 의해 여과 정화된 상태로 제1저장조(10)로 공급되도록 하는 정화제어모드와, 배관분배부(300)의 바이패스수단(320) 제어를 통하여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제1저장조(10)로 공급되도록 하는 바이패스제어모드와, 배관분배부(300)의 역세척수단(330) 제어를 통하여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부(200)로 역류하여 정화부(200)의 역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세척제어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수위제어모드는, 제1 및 제2저장조(10,20)의 수위가 조절되도록 하는 동작 모드로, 제2저장조(20)의 수위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수위감지센서(21)를 토대로 감지한 후 이에 대응된 수위를 가지도록 외부로부터 청수공급관(22)을 통해 청수가 공급되도록 하거나 제2저장조(20)의 물이 드레인관(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동작을 통하여, 상호간 연통배관(30)을 통해 수위가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1저장조(10)의 수위가 조절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정화제어모드는,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된 상태로 제1저장조(10)로 공급되도록 하는 동작 모드로, 정기적 또는 선택적으로 배관분배부(300)의 정화수단(310)이 제어되도록 하여 제2저장조(20)에 수용된 물이 정화부(200)에 의해 정화된 상태에서 제1저장조(10)로 정화 공급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제1저장조(10)의 수질이 개선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제어모드는,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제1저장조(10)로 바이패스 되도록 하는 동작 모드로, 정기적 또는 선택적으로 배관분배부(300)의 바이패스수단(320)이 제어되도록 하여 제2저장조(20)에 수용된 물이 정화부(200)에 의해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제1저장조(10)로 바이패스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정화수단(310)과 정화부(200)의 유지 보수를 가능하게 하고 제1저수조(10)에 저장된 물 수질이 양호한 상태에서 정화제어모드에 따른 정화부(200)의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세척제어모드는, 정화부(200)의 역세척을 통하여 정화부(200)의 오염물질을 외부로 제거하여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는 동작 모드로, 정기적 또는 선택적으로 배관분배부(300)의 역세척수단(330)이 제어되도록 하여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부(200)로 역류하여 정화부(200)의 역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제2저장조(20)에 구성된 탁도센서나 정화부(200)에 구성된 배압센서에 의해 정화부(200)의 정화 효율이 저하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역세척이 진행되도록 하여 정화 효율 향상과 수명 연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방법은, 제2저장조(20)의 수위 조절을 통해 제1저장조(20)의 수위가 연동 조절되도록 하는 수위제어단계와, 배관분배부(300)의 정화수단(310) 제어를 통하여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부(200)에 의해 여과 정화된 상태로 제1저장조(10)로 공급되도록 하는 정화제어단계와, 배관분배부(300)의 바이패스수단(320) 제어를 통하여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제1저장조(10)로 공급되도록 하는 바이패스제어단계와, 배관분배부(300)의 역세척수단(330) 제어를 통하여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부(200)로 역류하여 정화부(200)의 역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세척제어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위제어단계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1 및 제2저장조(10,20)의 수위가 조절되도록 하는 단계로, 제2저장조(20)의 수위가 복수개의 수위감지센서(21)에 의해 감지되고 이를 토대로 미리 정해진 수위에 대응되는지 여부가 판단된 후 이에 대응되도록 청수공급관(22)을 통해 청수가 공급되도록 하거나 제2저장조(20)의 물이 드레인관(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화제어단계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된 상태로 제1저장조(10)로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로, 정해진 시간대별로 또는 임의적으로 배관분배부(300)의 정화수단(310)이 제어되고 제2저장조(20)에 수용된 물이 정화부(200)에 의해 정화된 상태에서 제1저장조(10)로 정화 공급되도록 하여 제1저장조(10)의 수질이 개선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즉, 상기 단계에 의하면, 여과유출관(D)에 구성된 여과펌프(P1)의 구동시 제2저장조(20)의 물이 여과유입관(U)을 통해 하우징(210)의 내벽과 매크로필터(220)의 외벽 사이에 공급된 상태에서 매크로필터(220)를 통과하면서 매크로필터(220)의 내벽과 마이크로필터(230)의 내벽 사이로 이동되는 것을 통해 1차 정화가 이루어지고, 이 상태에서 마이크로필터(230)를 통과하면서 마이크로필터(230)의 내벽 사이로 이동되는 것을 통해 2차 정화가 이루어진 후, 이 상태에서 여과유출관(D)을 통해 제1저수조(1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제어단계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제1저장조(10)로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로, 정해진 시간대별로 또는 임의적으로 즉, 상기 정화제어단계에 따른 정화부(200)의 부하 초과나 고장 발생시 또는 역세척시 배관분배부(300)의 바이패스수단(320)이 제어되고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제1저장조(10)로 공급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즉, 상기 단계에 의하면, 제2저장조(20)에 위치된 바이패스펌프(P2)에 의해 제1저장조(10)까지 연장되는 바이패스관(B)을 통해 제2저장조(20)의 물이 제1저장조(10)로 공급되어 정화수단(310)의 동작이 불가능하여 유지 보수 중이거나 역세척수단(330)이 동작 중이거나 또는 제1저수조(10)에 저장된 물 수질이 양호한 경우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제1저장조(10)로 바이패스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세척제어단계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부(200)로 역류하여 정화부(200)의 역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로, 정해진 시간대별로 또는 임의적으로 즉, 제2저장조(20)에 저장된 물의 탁도가 흐린 경우 또는 정화부(200)를 통과하는 물의 수압이 약한 경우와 같이 정화부(200)의 역세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관분배부(300)의 역세척수단(330)이 제어되고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부(200)로 역류하여 정화부(200)의 역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즉, 상기 단계에 의하면, 역세인렛(I)에 구성된 역세펌프(P3)의 구동시 제2저장조(20)의 물이 마이크로필터(230)의 내벽 사이에 공급된 상태에서 마이크로필터(230)를 통과하면서 마이크로필터(230)의 외벽과 매크로필터(220)의 내벽 사이로 이동되는 것을 통해 1차 역세가 이루어진 후, 이 상태에서 역세아웃렛(O)에 연통된 드레인관(23)을 통해 외부로 드레인되거나 또는, 매크로필터(220)를 통과하면서 매크로필터(220)의 외벽과 하우징(210)의 내벽 사이로 이동되는 것을 통해 2차 역세가 이루어진 후, 이 상태에서 역세아웃렛(O)에 연통된 드레인관(23)을 통해 외부로 드레인되도록 하여 정화 효율 향상과 정화부(200)의 수명 연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들의 수행시, 상기 제1저장조(10)와 제2저장조(20)의 경우 연통배관(30)에 의해 연결되어 별도의 동력 없이 제1저장조(10)의 물이 제2저장조(20)로 취수 및 유입되어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게 되며, 취수부(100)에 의해 제1저장조(10)에 저장된 물이 제1저장조(10)의 바닥면으로부터 수면까지의 수위별로 균등하게 취수된 후 별도의 동력 사용 없이 제2저장조(20)로 유입되는 것을 통하여, 제1저장조(10)에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지면서 서로 다른 수위에 부유물 즉, 오염물질이 위치되더라도 오염물질이 취수를 통해 집진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정화제어단계와 역세척제어단계에 의해 오염물질의 수집 능력을 향상시켜 수처리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에 있어서 제1저수조(10)에 저장된 물의 취수가 취수부(100)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수면까지의 수위별로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오염물질의 집진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고 배관분기부(300)에 의해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정화부(200)의 역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질이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4)

  1.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이 구비되며 물이 공급 및 수용되는 제1저장조(10);
    제1저장조(10)와 유로에 의하여 연결되어 제1저장조(10)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는 제2저장조(20);
    제1저장조(10)에 위치된 상태에서 유로에 연통 구성되어 제1저장조(10)에 저장된 물이 제1저장조(10)의 바닥면으로부터 수면까지의 수위별로 균등하게 취수된 후 제2저장조(20)로 유입되도록 하는 취수부(100);
    제2저장조(20)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저장조(20)의 물이 제1저장조(10)로 공급시 물의 정화를 가능하게 하는 정화부(200);
    제2저장조(20)에 수용된 물이 정화부(200)에 의해 정화된 상태에서 제1저장조(10)로 정화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2저장조(20)에 수용된 물이 정화부(200)에 의해 정화되지 않고 제1저장조(10)로 바이패스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2저장조(20)에 수용된 물이 정화부(200)를 역세척한 상태에서 외부로 드레인 배출되도록 하는 배관분배부(300); 및
    제2저장조(20)의 수위 조절을 통한 제1저장조(10)의 수위 조절과 배관분배부(300)의 정화, 바이패스 및 드레인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취수부(100)는,
    제1저장조(10)의 깊이에 대응된 높이를 가지고 소정 체적의 취수공간을 제공하는 취수구(110);
    취수구(110)의 일측면에 바닥면으로부터 상측면까지 상하 비대칭 구조로 일정 간격 형성되거나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저장조(10)에 저장된 물이 수위별로 균등하게 취수구(110) 내부로 유입 및 취수되도록 하는 취수유입공(120); 및
    취수구(110)의 타측면 하부에 형성된 상태에서 연통배관(30)에 연결되어 취수유입공(120)을 통해 취수구(110) 내부에 유입된 물이 제2저수조(20)로 유입되도록 하는 취수배출공(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취수구(110)는,
    정면과 배면에서 바라볼 때는 역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좌우 양측면에서 바라볼 때는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가지거나 두께가 얇고 정면과 배면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취수유입공(120)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그 면적이 점차 좁아지면서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정화부(200)는,
    하우징(210);
    하우징(210)의 내부 외측에 구성되어 물의 1차 정화를 가능하게 하는 매크로필터(220); 및
    하우징(210)의 내부 내측에 구성되어 매크로(220)에 의해 1차 정화된 물의 2차 정화를 가능하게 하는 마이크로필터(230)를 포함하며,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오염물질이 순차적으로 여과되도록 매크로필터(220)와 마이크로필터(230)가 속이 빈 원통 형상의 하우징(210)의 내부에 속이 빈 원통 형상 가지면서 소정 간격 이격 구성되어 물의 방향에 따라 역세척이 가능한 이중 또는 다중 또는 다단 판형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매크로필터(220)와 마이크로필터(230)는,
    내부에 오존발생수단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배관분배부(300)는,
    정화부(200)에 연장 구성되어 여과펌프(P1)의 구동시 정화부(200)의 내부에 제2저장조(20)의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여과유입관(U)과 정화부(200)와 제1저장조(10) 사이에 연장 구성되어 정화부(200)에 의해 여과 정화된 물이 제1저장조(10)로 공급되도록 하는 여과유출관(D)으로 구성된 정화수단(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배관분배부(300)는,
    제2저장조(20)로부터 제1저장조(10) 사이에 연장 구성되며 바이패스펌프(P2)의 구동시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제1저장조(10)로 공급되도록 하는 바이패스관(B)으로 구성된 바이패스수단(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배관분배부(300)는,
    정화부(200)에 연장 구성되어 역세펌프(P3)의 구동시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부(200)로 역류하여 역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세인렛(I)과 정화부(200)로부터 드레인관(23)에 연통 구성되어 정화부(200)에 역류된 역세수가 외부로 드레인되도록 하는 역세아웃렛(O)으로 구성된 역세척수단(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10. 제1항에 따른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제2저장조(20)의 수위 조절을 통해 제1저장조(20)의 수위가 연동 조절되도록 하는 수위제어단계;
    배관분배부(300)의 정화수단(310) 제어를 통하여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부(200)에 의해 여과 정화된 상태로 제1저장조(10)로 공급되도록 하는 정화제어단계와;
    배관분배부(300)의 바이패스수단(320) 제어를 통하여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제1저장조(10)로 공급되도록 하는 바이패스제어단계와;
    배관분배부(300)의 역세척수단(330) 제어를 통하여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부(200)로 역류하여 정화부(200)의 역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세척제어단계가,
    제어부에 의해 독립적으로 선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제어단계는,
    제2저장조(20)의 수위가 복수개의 수위감지센서(21)에 의해 감지되고 이를 토대로 미리 정해진 수위에 대응되는지 여부가 판단된 후 이에 대응되도록 청수공급관(22)을 통해 청수가 공급되도록 하거나 제2저장조(20)의 물이 드레인관(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제어단계는,
    정해진 시간대별로 또는 임의적으로 배관분배부(300)의 정화수단(310)이 제어되어,
    여과유출관(D)에 구성된 여과펌프(P1)의 구동시 제2저장조(20)의 물이 여과유입관(U)을 통해 하우징(210)의 내벽과 매크로필터(220)의 외벽 사이에 공급된 상태에서 매크로필터(220)를 통과하면서 매크로필터(220)의 내벽과 마이크로필터(230)의 내벽 사이로 이동되는 것을 통해 1차 정화가 이루어지고, 이 상태에서 마이크로필터(230)를 통과하면서 마이크로필터(230)의 내벽 사이로 이동되는 것을 통해 2차 정화가 이루어진 후, 이 상태에서 여과유출관(D)을 통해 제1저수조(10)로 공급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제어단계는,
    정해진 시간대별로 또는 임의적으로 배관분배부(300)의 바이패스수단(320)이 제어되어,
    제2저장조(20)에 위치된 바이패스펌프(P2)에 의해 제1저장조(10)까지 연장되는 바이패스관(B)을 통해 제2저장조(20)의 물이 제1저장조(10)로 공급되어 정화수단(310)의 동작이 불가능하여 유지 보수 중이거나 역세척수단(330)이 동작 중이거나 또는 제1저수조(10)에 저장된 물 수질이 양호한 경우 제2저장조(20)의 물이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제1저장조(10)로 바이패스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척제어단계는,
    정해진 시간대별로 또는 임의적으로 배관분배부(300)의 역세척수단(330)이 제어되어,
    역세인렛(I)에 구성된 역세펌프(P3)의 구동시 제2저장조(20)의 물이 마이크로필터(230)의 내벽 사이에 공급된 상태에서 마이크로필터(230)를 통과하면서 마이크로필터(230)의 외벽과 매크로필터(220)의 내벽 사이로 이동되는 것을 통해 1차 역세가 이루어진 후, 이 상태에서 역세아웃렛(O)에 연통된 드레인관(23)을 통해 외부로 드레인되거나 또는, 매크로필터(220)를 통과하면서 매크로필터(220)의 외벽과 하우징(210)의 내벽 사이로 이동되는 것을 통해 2차 역세가 이루어진 후, 이 상태에서 역세아웃렛(O)에 연통된 드레인관(23)을 통해 외부로 드레인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방법.
KR1020150027424A 2015-02-26 2015-02-26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46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424A KR101546880B1 (ko) 2015-02-26 2015-02-26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424A KR101546880B1 (ko) 2015-02-26 2015-02-26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880B1 true KR101546880B1 (ko) 2015-08-25

Family

ID=54061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424A KR101546880B1 (ko) 2015-02-26 2015-02-26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88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195B1 (ko) * 2018-04-23 2019-05-02 (주)시티건설 인공 연못의 정화 처리 시설물 및 관리 방법
KR102092599B1 (ko) 2019-12-03 2020-03-24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프리코팅 여과기
KR102100701B1 (ko) 2020-01-09 2020-04-14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흡입식 프리코팅 여과기
KR102143508B1 (ko) 2020-02-05 2020-08-11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흡입식 프리코팅 여과기
KR102621052B1 (ko) 2023-09-07 2024-01-04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필터 정역회전에 의해 세척효율이 향상되는 프리코팅 여과기
KR102644335B1 (ko) 2023-07-18 2024-03-07 주식회사 원스케이프 수경 시설물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843B1 (ko) * 2009-10-14 2010-02-18 주식회사 소담이앤씨 놀이시설물이 구비된 물놀이 구조물
JP2014128803A (ja) * 2014-02-26 2014-07-10 Toray Ind Inc 蛇口直結型浄水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843B1 (ko) * 2009-10-14 2010-02-18 주식회사 소담이앤씨 놀이시설물이 구비된 물놀이 구조물
JP2014128803A (ja) * 2014-02-26 2014-07-10 Toray Ind Inc 蛇口直結型浄水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195B1 (ko) * 2018-04-23 2019-05-02 (주)시티건설 인공 연못의 정화 처리 시설물 및 관리 방법
KR102092599B1 (ko) 2019-12-03 2020-03-24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프리코팅 여과기
KR102100701B1 (ko) 2020-01-09 2020-04-14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흡입식 프리코팅 여과기
KR102143508B1 (ko) 2020-02-05 2020-08-11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흡입식 프리코팅 여과기
KR102644335B1 (ko) 2023-07-18 2024-03-07 주식회사 원스케이프 수경 시설물 구조체
KR102621052B1 (ko) 2023-09-07 2024-01-04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필터 정역회전에 의해 세척효율이 향상되는 프리코팅 여과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880B1 (ko)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7496B1 (ko) 정수처리장치가 구비된 물탱크
US20220145596A1 (en) Residential grey water recycling system
KR101705529B1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KR100932154B1 (ko) 무동력 정수처리장치
KR100971536B1 (ko) 마을상수도 정수장치
JP2008542008A (ja) モジュラ型水処理ユニット
US20180021734A1 (en)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water located in a water reservoir
KR20090028737A (ko) 유입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생물 반응조 및 막 여과 모듈을포함하는 장치
KR101546879B1 (ko)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용 정화장치
KR101743540B1 (ko) 우수처리 재활용 시스템
KR102532113B1 (ko) 물놀이장, 바닥분수, 계류에 적용되는 수처리용 정화시스템
KR20140023032A (ko) 용수의 고형물 제거 및 정화장치
KR101010365B1 (ko) 계곡수 여과장치
KR20120108585A (ko) 해수 정수장치
KR101346312B1 (ko) 중력의 낙차를 이용한 정수장치 및 정수방법
CN209307162U (zh) 一种小型景观水体生化处理系统
KR102250223B1 (ko) 음용수 정수방법
KR101082478B1 (ko) 정수장치
KR20160042333A (ko) 수족관용 정수장치
CN219556020U (zh) 养殖设备
KR101244286B1 (ko) 생태연못의 수질정화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수질정화필터장치
KR102183577B1 (ko) 여과와 세정을 동시에 수행 가능한 여과시스템
KR101146125B1 (ko)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
CN206380509U (zh) 一种模块化水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