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299B1 -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 및 역세 방법 - Google Patents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 및 역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299B1
KR101291299B1 KR1020110079040A KR20110079040A KR101291299B1 KR 101291299 B1 KR101291299 B1 KR 101291299B1 KR 1020110079040 A KR1020110079040 A KR 1020110079040A KR 20110079040 A KR20110079040 A KR 20110079040A KR 101291299 B1 KR101291299 B1 KR 101291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ackwashing
opening
pip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6865A (ko
Inventor
최준호
Original Assignee
삼건세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건세기(주) filed Critical 삼건세기(주)
Priority to KR1020110079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299B1/ko
Publication of KR20130016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수를 여과하는 필터부, 필터부와 유체적으로 연결되며 필터부로 상기 오염수를 공급하는 공급관, 필터부와 유체적으로 연결되며 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를 배출하는 배출관, 오염수의 여과 방향과 역방향으로 공기 및 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체를 공급하여 필터부의 내부에 쌓인 찌꺼기를 제거하는 역세부, 공급관과 상기 필터부를 연결하며 역세부의 동작시에 공급관과 필터부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1 밸브, 및 배출관과 필터부를 연결하며 역세부의 동작시에 배출관과 필터부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2 밸브를 포함하는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 및 역세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 및 역세 방법{Back-washable water management filter system and backwash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체에 함유된 세균, 동식물의 잔해 등과 같은 찌꺼기의 여과 기능 및 필터의 역세 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 및 역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외 산업 현장이나 선박 등에서 발생하는 폐수는 물 뿐만 아니라 각종부유물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오염수의 처리가 문제된다.
특히 선박에 사용되는 물은 육지로부터 고립되었다는 특성 상 오염수를 정화하여 활용하는 문제가 중요하며, 오염수의 여과를 위한 다양한 필터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해양 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는 밸러스트 수처리 장치를 설치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밸러스트 수처리 장치는 자동 세척 가능한 필터 시스템을 요구하고 있다.
필터는 주기적으로 청소해주어야 그 사용연한이 증가하고, 오염수의 여과 효율도 증대되는 바, 필터에 쌓인 퇴적물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공개특허 10-2005-0020520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유체에 함유된 찌꺼기를 여과하는 필터의 역 세정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화된 수처리 필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역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오염수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와 유체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필터부로 상기 오염수를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필터부와 유체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를 배출하는 배출관; 상기 오염수의 여과 방향과 역방향으로 공기 및 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역세용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필터부의 내부에 쌓인 찌꺼기를 제거하는 역세부; 상기 공급관과 상기 필터부를 연결하며, 상기 역세부의 동작시에 상기 공급관과 상기 필터부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1 밸브; 및 상기 배출관과 상기 필터부를 연결하며, 상기 역세부의 동작시에 상기 배출관과 상기 필터부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2 밸브;를 포함하는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역세부는, 상기 필터부와 유체적으로 연결되며, 역세를 위한 상기 역세용 유체를 상기 필터부로 공급하는 제1 역세관; 및 상기 필터부와 유체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유체를 배출하는 제2 역세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는 동기화되어 상기 필터부의 여과 동작 및 상기 필터부의 역세 동작시에 함께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공급관, 상기 필터부, 및 상기 제2 역세관과 연결되는 개폐공들 및 상기 개폐공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개폐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배출관, 상기 필터부, 및 상기 제1 역세관과 연결되는 개폐공들 및 상기 개폐공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 개폐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개폐판과 상기 제2 개폐판은 동축선상에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함으로써 상기 개폐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동일한 구동부에 의해 함께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역세관은 공기 주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의 내부를 흐르는 여과수의 일부를 상기 제1 역세관으로 공급하는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역세관은 역세용 유체인 공기 및 물을 상기 필터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여과수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며, 상기 제1 역세관과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장된 여과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역세용 유체로 공급하는 여과수 저장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터부는 오염수를 여과하는 필터 엘리먼트 및 상기 필터 엘리먼트의 주변에 배치되는 초음파 세척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터부는 복수개로서 상기 공급관, 상기 배출관, 및 상기 역세부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터부는, 하우징 본체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부를 밀폐하는 하우징 덮개를 포함하고, 투명한 소재로 내부가 들여다 보이는 확인창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요철면을 포함하는 필터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오염수를 여과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로 상기 오염수를 공급하는 공급관 및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여과수를 배출하는 배출관을 구비하는 수처리 필터 시스템의 역세 방법으로서, 상기 필터부와 연결된 제2 밸브를 구동하여 상기 배출관과 상기 필터부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필터부와 연결된 제1 밸브를 구동하여 상기 공급관과 상기 필터부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필터부와 유체적으로 연결된 제1 역세관을 통해 상기 오염수의 여과 방향과 역방향으로 공기 및 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부와 유체적으로 연결된 제2 역세관을 통해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유체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처리 필터 시스템의 역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밸브를 구동하여 상기 배출관과 상기 필터부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밸브를 구동하여 상기 공급관과 상기 필터부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되며, 상기 제2 밸브를 구동하여 상기 배출관과 상기 필터부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역세관과 상기 필터부를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밸브를 구동하여 상기 공급관과 상기 필터부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역세관과 상기 필터부를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밸브를 구동하여 상기 배출관과 상기 필터부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밸브를 구동하여 상기 공급관과 상기 필터부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를 동시에 수행하는 단계는, 동일한 구동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밸브의 개폐공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개폐판과, 상기 제1 개폐판과 동축선상에 구비되며 밸브의 개폐공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 개폐판을 동시에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역세관을 통해 상기 필터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차 역세 단계; 펌프를 이용해 상기 배출관의 내부를 흐르는 여과수의 일부를 상기 제1 역세관으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역세관을 통해 상기 필터부로 상기 여과수의 일부를 공급하는 제2차 역세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필터부 내부에 구비된 초음파 세척부를 구동하여 상기 필터부에 퇴적된 찌꺼기를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차 및 제2차 역세를 수행함으로써 필터부에 퇴적된 찌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공기나 여과수의 일부를 사용하여 역세를 수행하므로 별도의 장비 및 역세용 유체를 따로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역세를 위한 비용 및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그리고, 초음파 세척부를 이용하여 필터부에 퇴적된 찌꺼기를 어느 정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역세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에서 필터부와, 제1,2 밸브를 나타낸다.
도 2b는 도 2a의 필터부에 구비된 필터 엘리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c 및 도 2d는 필터 엘리먼트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에서 필터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상태도로서, 오염수 여과 동작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에서 필터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상태도로서, 필터부의 역세 동작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으로서 공기를 이용하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으로서, 도 5의 또 따른 실시 형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으로서, 여과수를 이용하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으로서, 도 7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이하, 수처리 필터 시스템이라 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로서 복수의 필터부가 병렬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에서 필터부와 제1,2 밸브를 나타내고 도 2b는 도 2a의 필터부에 구비된 필터 엘리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c 및 도 2d는 필터 엘리먼트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처리 필터 시스템(10)은 오염수를 여과하는 필터부(100), 필터부(100)와 유체적으로 연결된 공급관(210) 및 배출관(220), 필터부(100)의 여과 방향과 역방향으로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필터부(100)를 세척하는 역세부, 제1,2 밸브(300, 400)를 포함하며, 역세부는 필터부(100)와 유체적으로 연결된 제1 역세관(510) 및 제2 역세관(520), 공기 공급부(610) 및 펌프(62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100)는 오염수를 여과하는 것으로, 선박에서 발생하는 생활 용수 또는 해수에 포함된 세균, 동식물의 잔해와 같은 오염된 부유물 등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필터부(100)의 양단에는 제1,2 밸브(300, 40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1,2 밸브(300, 400)를 통해 공급관(210)과 배출관(220)이 필터부(100)와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필터부(100)는 하우징(110)과 확인창(115), 필터 엘리먼트(120) 및 초음파 세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필터 엘리먼트(120)을 수용하며, 작업자가 필터 엘리먼트(120)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일측에 확인창(115)를 구비할 수 있다. 확인창(115)은 유리 또는 수지와 같은 재질을 포함하는 투명한 소재로 제작되어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필터 엘리먼트(12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110)은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개방된 하우징 본체(111)와, 하우징 본체(111)를 덮는 하우징 덮개(112)를 포함하며, 하우징 본체(111)와 하우징 덮개(112)는 고정부재(113)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부를 밀폐한다. 하우징 본체(111)의 타측에는 제1 밸브(300)와 제2 밸브(400)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관(111a, 111b)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우징 덮개(112)에 확인창(115)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a에서는 하우징(110)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하우징(110)의 하부, 또는 측부가 개방되며, 개방된 측에 하우징 덮개(112)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부재(113)으로는 볼트와 너트가 사용될 수 있다.
필터 엘리먼트(120)은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을 거르는 역할을 수행한다. 필터 엘리먼트(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된 고정부재(F)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교체 가능하다. 예컨대, 고정부재(113)의 결합을 해제하여 하우징 덮개(112)를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한 후 필터 엘리먼트(120)을 고정부재(F)로부터 분리함으로써 교체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필터 엘리먼트(12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대략 원통형의 형상으로, 측면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메쉬 구조가 포함되어 필터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수에서 부유물과 같은 이물질을 거를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필터 엘리먼트(120')는 오염수의 부유물을 거를 수 있도록 메쉬형이면서 전체적으로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 때, 필터 엘리먼트(120')의 측벽은 전체적으로 주름진 형상일 수 있다. 주름형으로 구성된 필터 엘리먼트(120')는 여과 면적을 증가시켜 많은 오염수가 여과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 엘리먼트(120')의 측벽이 주름진 형상으로 요철이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엘리먼트(120")가 전체적으로 그루브진 형상이거나, 혹은 엠보가 구비된 요철 형상으로 여과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초음파 세척부(130)는 수처리 필터 시스템의 역세 과정에서 필터에 퇴적된 찌꺼기의 배출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필터 엘리먼트(120)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1차적으로 초음파 세척부(130)를 구동하여 필터 엘리먼트(120)에 흡착된 찌꺼기를 필터 엘리먼트(120)로부터 어느 정도 분리시킨 후, 2차적으로 역세부를 동작시킴으로써 찌꺼기를 필터부(100)로부터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오염수의 여과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해 필터부(100)는 복수개가 병렬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때, 복수의 필터부(100)의 일단은 공급관(210)과 연결되며 타단은 배출관(220)과 연결되어 하나의 공급관(210)을 통해 유입된 오염수를 동일한 시간에 많이 처리할 수 있다.
제1 밸브(300)는 필터부(100)와 공급관(210) 사이에 배치되어 필터부(100)와 공급관(210)을 유체적으로 연결시켜주며, 제2 밸브(400)는 필터부(100)와 배출관(220) 사이에 배치되어 필터부(100)와 배출관(220)을 유체적으로 연결시켜준다.
제1 밸브(300)와 제2 밸브(400)는 예컨대, 3방향으로 개방된 개폐공(301, 302, 303)을 구비하는 삼방 밸브(3-way valve)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밸브(300)의 개폐공들(301, 302, 303)은 각각 공급관(210), 필터부(100) 및 제2 역세관(520)과 연결되고, 제2 밸브(400)의 개폐공들(401, 402, 403)은 각각 배출관(220), 필터부(100) 및 제1 역세관(510)과 연결된다.
제1 밸브(300)는 동작 모드에 따라 개폐공(301, 302, 303)의 개폐여부가 달라진다. 예컨대, 오염수의 여과 동작시에는 공급관(210) 및 필터부(100)와 연결된 개폐공(301, 302)이 열린 상태가 되고 제2 역세관(520)과 연결된 개폐공(303)은 닫힌 상태가 되고, 역세 동작시에는 공급관(210)과 연결된 개폐공(301)이 닫힌 상태가 되고 제2 역세관(520)과 필터부(100)와 연결된 개폐공(302, 303)이 열린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제2 밸브(400)도 동작 모드에 따라 개폐공(401, 402, 403)의 개폐여부가 달라진다. 예컨대, 오염수의 여과 동작시에는 배출관(220) 및 필터부(100)와 연결된 개폐공(401, 402)이 열린 상태가 되고 제1 역세관(510)과 연결된 개폐공(403)은 닫힌 상태가 되고, 역세 동작시에는 배출관(220)과 연결된 개폐공(401)이 닫힌 상태가 되고 제1 역세관(510)과 필터부(100)와 연결된 개폐공(402, 403)이 열린 상태가 된다.
역세부는 필터부(100)에 축적된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동작한다. 역세부는 제1,2 역세관(510, 420)과 공기 공급부(610), 및 펌프(620)을 포함한다.
제1 역세관(510)은 공기 및/또는 물과 같은 역세용 유체를 필터부(100)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제1 역세관(510)의 일측에는 공기 공급부(6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역세관(510)은 펌프(620)를 통해 배출관(220)과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공기 공급부(610)는 제1 역세관(510)으로 제1차 역세용 유체로서 공기를 공급한다. 공기 공급부(610)에서 공급된 공기는 제1차 역세를 위해 사용되며, 공기 공급부(610)는 압축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제1차 역세의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펌프(620)는 배출관(220)을 흐르는 물, 즉 여과수의 일부를 제2차 역세용 유체로서 제1 역세관(510)으로 공급한다. 펌프(620)에 의해 배출관(220)으로부터 제1 역세관(510)으로 흐른 물은 제2차 역세용 유체를 위해 사용되며, 이 때 펌프(620)는 제1 역세관(510)으로 흐르는 여과수의 일부의 유체 압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제2차 역세의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제1 역세관(510)을 통해서 필터부(100)로 공급된 제1,2차 역세용 유체는 필터부(100)를 지나면서 필터부(100)에 축적된 찌꺼기를 필터부(100)에서 분리시킨다. 시간차를 두고 공급된 제1차 역세용 유체와 제2차 역세용 유체를 통해 필터부(100)로부터 분리된 찌꺼기는 제2 역세관(5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역세용 유체는 필터부(100)에 퇴적된 찌꺼기를 분리시키기에 충분한 정도의 압력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이는 찌꺼기의 퇴적 정도, 역세의 주기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제1,2 밸브(300, 400)의 개폐는 동작 모드에 따라 달라지며, 이 때 제1,2 밸브(300, 400)는 동기화되어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동작 모드는 오염수의 여과 동작 모드, 역세 동작 모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오염수의 여과 동작 모드에서는, 제1 밸브(300)의 제2 역세관(520) 측 개폐공(303)을 차단하며 공급관(210)과 필터부(100) 측의 개폐공(301, 302)을 개방하는 동작, 및 제2 밸브(400)의 제1 역세관(510) 측 개폐공(403)을 차단하며 배출관(220)과 필터부(100) 측의 개폐공(401, 402)을 개방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한편, 필터부(100)의 역세 동작 모드에서는, 제1 밸브(300)의 공급관(210) 측 개폐공(301)을 차단하며 제2 역세관(520)과 필터부(100) 측의 개폐공(302, 303)을 개방하는 동작, 및 제2 밸브(400)의 배출관(220) 측 개폐공(403)을 차단하며 제1 역세관(510)과 필터부(100) 측의 개폐공(401, 402)을 개방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1,2 밸브(300, 400)의 개폐 동작은 제어 장치(7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동기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서, 제어 장치(700)는 제1,2 밸브(300, 40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700)는 공급관(210)과 배출관(220)의 압력차 및 타이머에 의해 수처리 필터 시스템을 통제한다. 제어 장치(700)는 제1 밸브(300)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와 제2 밸브(400)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가 동기화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2 밸브(300, 400)의 개폐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오염수의 여과 과정을 설명한다. 도 1의 실선은 오염수의 여과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제1,2 밸브(300, 400)를 동시에 구동시킴으로써, 제1,2 역세관(510, 520)과 제1,2 밸브(300, 400)의 연결을 차단한다. 제1,2 밸브(300, 400)의 구동은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 또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후, 공급관(210)으로 오염수를 공급하면 오염수는 제1 밸브(300)를 지나 필터부(100)로 유입된다. 필터부(100)를 통과한 오염수는 필터부(100)를 통과하면서 여과되며, 여과수는 제2 밸브(400)를 지나 배출관(2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필터부의 역세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세 과정은 2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의 점선은 제1차 역세 과정을 나타내고, 일점 쇄선은 제2차 역세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제1,2 밸브(300, 400)를 동시에 구동시킴으로써, 공급관(210)과 배출관(220) 및 제1,2 밸브(300, 400)의 연결을 차단한다. 제1,2 밸브(300, 400)의 구동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 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에 따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후, 공기 공급부(610)를 이용하여 제1 역세관(510)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면, 공기는 제2 밸브(400) 중 제1 역세관(510) 측 개폐공(403)과 필터측 개폐공(402)을 지나 필터부(100)로 유입된다. 공기는 소정의 압력을 구비하므로, 필터 엘리먼트(120)에 퇴적된 찌꺼기가 공압에 의해 필터 엘리먼트(120)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찌꺼기는 공기와 함께 제1 밸브(300)의 필터측 개폐공(302) 및 제2 역세관(520) 측 개폐공(303)을 지나 제2 역세관(520)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제1차 역세가 수행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역세관(510)에 물이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제1차 역세 과정에 있어서 공기는 제1 역세관(510)에 남아있는 물이 필터부(100)를 지나 제2차 역세관(520)으로 지나 간 후에 이동하거나,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그 다음, 펌프(620)의 구동에 의해 배출관(220)을 흐르던 여과수의 일부가 제1 역세관(510)으로 유입된다. 제1 역세관(510)으로 유입된 물도 소정의 압력을 구비하므로, 필터 엘리먼트(120)에 퇴적된 찌꺼기가 수압에 의해 필터 엘리먼트(120)로부터 분리된다. 제1차 역세 과정에 의해 분리되지 못한 찌꺼기는 물과 함께 제1 밸브(300)의 필터부(100) 측 개폐공(302) 및 제2 역세관(520) 측 개폐공(303)을 지나 제2 역세관(520)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제2 역세가 수행된다.
공기 및 물을 이용하여 2차 역세를 수행함으로써, 필터부(100)에 퇴적된 찌꺼기의 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복수의 필터부들(100)의 역세가 가능하므로 비용 및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동작 모드에 따른 필터부(100)와 제1,2 밸브(300, 400)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에서 필터부와 제1,2 밸브를 발췌하여 나타낸 상태도로서, 도 3은 오염수의 여과 동작의 상태를, 도 4는 필터부의 역세 동작의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제1,2 밸브(300, 400)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1 밸브(300)는 공급관(210), 필터부(100), 및 제2 역세관(520)과 연결되는 개폐공들(301, 302, 303) 및 개폐공들(301, 302, 30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개폐판(310)을 포함하며, 제2 밸브(400)는 배출관(220), 필터부(100), 및 제1 역세관(510)과 연결되는 개폐공들(401, 402, 403), 및 개폐공들(401, 402, 40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 개폐판(410)을 포함한다.
이 때, 제1,2 개폐판(310, 410)은 동축선상에 구비되며, 제1,2 개폐판(310, 410)의 축의 일단은 액추에이터와 같은 구동부(A)와 연결되어 있다. 구동부(A)는 제어 장치의 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제1,2 개폐판(310, 410)은 구동부(A)의 동작에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3 및 도 4를 기준으로 제1,2 개폐판(310, 410)이 상방 및 하방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방향으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예컨대, 제1,2 개폐판(310, 410)은 회전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개페공(301, 302, 303, 401, 402, 403)이 제1,2 개폐판(310, 410)의 회전 방향에 구비되어, 제1,2 개폐판(310, 410)의 회전에 따라 개폐공(301, 302, 303, 401, 402, 403)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오염수의 여과 동작 모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동부(A)의 동작에 의해 제1,2 개폐판(310, 410)이 하방에 놓인 상태가 되면, 제1 밸브(300)는 필터부(100)와 공급관(210), 필터부(100)와 배출관(220)을 유체적으로 연결한다.
예컨대, 제1 개폐판(310)은 제2 역세관(520) 측의 개폐공(303)을 차단하고 동시에 필터부(100)와 공급관(210) 측의 개폐공(301, 302)을 개방하므로, 공급관(210)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수는 제1 밸브(300)를 지나 필터부(100)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개폐판(410)은 제1 역세관(510) 측의 개폐공(403)을 차단하고 동시에 필터부(100)와 배출관(220) 측의 개폐공(401, 402)을 개방하므로, 필터부(100)를 통과한 여과수는 제2 밸브(400)를 지나 배출관(2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역세 동작 모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동부(A)에 동작에 의해 제1,2 개폐판(310, 410)이 상방에 놓인 상태가 되면, 제1 밸브(300)는 필터부(100)와, 제1,2 역세관(510, 520)을 유체적으로 연결한다.
예컨대, 제2 밸브(400) 내에서 제2 개폐판(410)은 배출관(220) 측의 개폐공(401)을 차단하고 동시에 필터부(100)와 제1 역세관(510) 측의 개폐공(402, 403)을 개방하므로, 제1 역세관(510)을 통해 유입되는 역세용 유체가 제2 밸브(400)를 지나 필터부(100)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밸브(300) 내에서 제1 개폐판(310)은 공급관(210) 측의 개폐공(301)을 차단하고 동시에 필터부(100)와 제2 역세관(520) 측의 개폐공(302, 303)을 개방하므로, 역세용 유체에 의해 필터 엘리먼트(120)로부터 분리된 찌꺼기는 역세용 유체와 함께 제2 역세관(52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차 역세로 공기를 사용하고, 제2차 역세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제1차 역세로 물을 사용하고 제2차 역세로 공기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이하, 수처리 필터 시스템이라 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로서 복수의 필터부가 병렬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처리 필터 시스템(20)은 오염수를 여과하는 필터부(100), 필터부(100)와 유체적으로 연결된 공급관(210) 및 배출관(220), 필터부(100)의 여과 방향과 역방향으로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필터부(100)를 세척하는 역세부, 제1,2 밸브(300, 400)를 포함하며, 역세부는 필터부(100)와 유체적으로 연결된 제1 역세관(510) 및 제2 역세관(520)을 포함하는 점에서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부(100)의 역세를 위해 공급되는 역세용 유체가 공기만이라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도 1의 수처리 필터 시스템과 달리 펌프(620)가 구비되지 않는다. 수처리 필터 시스템(20)의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으로 갈음하며,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역세용 유체로 공기만 사용되므로, 공기의 압력은 필터부(100)에 퇴적된 찌꺼기를 제거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공급되어야 하며, 제1 역세관(510)과 배출관(220)은 유체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여 오염수의 여과 동작 모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실선은 오염수의 여과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제1,2 밸브(300, 400)를 동시에 구동시킴으로써, 제1,2 역세관(510, 520)과 제1,2 밸브(300, 400)의 연결을 차단한다. 제1,2 밸브(300, 400)의 구동은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 또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후, 공급관(210)로 오염수를 공급하면 오염수는 제1 밸브(300)를 지나 필터부(100)로 유입된다. 필터부(100)를 통과한 오염수는 필터부(100)를 통과하면서 여과되며, 여과수는 제2 밸브(400)를 지나 배출관(2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5를 참조하여 필터부의 역세 동작 모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세 과정은 공기를 이용한 역세 과정이다.
먼저, 제1,2 밸브(300, 400)를 동시에 구동시킴으로써, 공급관(210)과 배출관(220) 및 제1,2 밸브(300, 400)의 연결을 차단한다. 제1,2 밸브(300, 400)의 구동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구체적 방법은 예컨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이 후, 공기 공급부(610)를 이용하여 제1 역세관(510)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면, 공기는 제2 밸브(400) 중 제1 역세관(510) 측 개폐공(403)과 필터측 개폐공(402)을 지나 필터부(100)로 유입된다. 공기는 소정의 압력을 구비하므로, 필터부(100)에 퇴적된 찌꺼기가 공압에 의해 필터 엘리먼트(120)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찌꺼기는 공기와 함께 제1 밸브(300)의 필터부(100) 측 개폐공(302) 및 제2 역세관(520) 측 개폐공(303)을 지나 제2 역세관(520)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역세가 수행된다.
<제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이하, 수처리 필터 시스템이라 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로서 복수의 필터부가 병렬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처리 필터 시스템(30)은 오염수를 여과하는 필터부(100), 필터부(100)와 유체적으로 연결된 공급관(210) 및 배출관(220), 필터부(100)의 여과 방향과 역방향으로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필터부(100)를 세척하는 역세부, 제1,2 밸브(300, 400)를 포함하며, 역세부는 필터부(100)와 유체적으로 연결된 제1 역세관(510) 및 제2 역세관(520)을 포함하는 점에서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부(100)의 역세를 위해 공급되는 역세용 유체로 여과수의 일부, 즉 물만 사용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도 1의 수처리 필터 시스템(10)과 달리 공기 공급부(610)가 구비되지 않는다. 수처리 필터 시스템(30)의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으로 갈음하며,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역세용 유체로 물만 사용되므로, 수압은 필터부(100)에 퇴적된 찌꺼기를 제거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공급되어야 하며, 제1 역세관(510)과 배출관(220)은 펌프(620)를 통해 유체적으로 연결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6을 참조하여 오염수의 여과 동작 모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실선은 오염수의 여과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제1,2 밸브(300, 400)를 동시에 구동시킴으로써, 제1,2 역세관(510, 520)과 제1,2 밸브(300, 400)의 연결을 차단한다. 제1,2 밸브(300, 400)의 구동은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 또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후, 공급관(210)으로 오염수를 공급하면 오염수는 제1 밸브(300)를 지나 필터부(100)로 유입된다. 필터부(100)를 통과한 오염수는 필터부(100)를 통과하면서 여과되며, 여과수는 제2 밸브(400)를 지나 배출관(2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오염수의 역세 동작 모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세 과정은 물을 이용한 역세 과정이다.
먼저, 제1,2 밸브(300, 400)를 동시에 구동시킴으로써, 공급관(210)과 배출관(220) 및 제1,2 밸브(300, 400)의 연결을 차단한다. 제1,2 밸브(300, 400)의 구동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구체적 방법은 예컨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이 후, 펌프(620)의 구동에 의해 배출관(220)을 흐르던 여과수의 일부가 제1 역세관(510)으로 유입된다. 제1 역세관(510)으로 유입된 물의 수압에 의해 필터부에 퇴적된 찌꺼기가 필터로부터 분리되어, 제1 밸브(300)의 필터부(100) 측 개폐공(302) 및 제2 역세관(520) 측 개폐공(303)을 지나 제2 역세관(520)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역세가 수행된다.
<제4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이하, 수처리 필터 시스템이라 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로서 복수의 필터부가 병렬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처리 필터 시스템(40)은 오염수를 여과하는 필터부(100), 필터부(100)와 유체적으로 연결된 공급관(210) 및 배출관(220), 필터부(100)의 여과 방향과 역방향으로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필터부(100)를 세척하는 역세부, 제1,2 밸브(300, 400)를 포함하며, 역세부는 필터부(100)와 유체적으로 연결된 제1 역세관(510) 및 제2 역세관(520)을 포함하고, 필터부(100)의 역세를 위해 공급되는 역세용 유체가 여과수의 일부라는 점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역세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여과수 저장 공급부(800)를 더 구비하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하에서는, 수처리 필터 시스템(40)의 동일한 구성 및 여과 동작 모드에 대해서는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으로 갈음하며, 이하에서는 역세 동작 모드 및 그에 따른 구성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배출관(220)과 제1 역세관(510)은 지관(600)을 통해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지관(600)에 구비된 밸브(610)의 조작에 따라 배출관(220)을 흐르던 여과수의 일부가 제1 역세관(510)측으로 흐를 수 있다.
여과수 저장 공급부(800)는 여과수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며, 저장된 여과수를 필터부(100)의 역세에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여과수 저장 공급부(800)는 여과수가 저장되는 탱크(810)를 포함하며, 탱크(810)는 연결관(820)을 통해 제1 역세관(510)과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탱크(810)의 일 측에는 에어벤트밸브(830) 및 압축 공기 공급관(840)이 구비될 수 있다.
지관(600)에 구비된 밸브(610)와 에어벤트밸브(830)의 조작에 의해 탱크(810)에 여과수가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밸브(610)가 열린 상태에서 에어벤트밸브(830)가 구동되면, 탱크(810)의 내부에 압력차이가 발생하므로 배출관(220)을 흐르던 여과수가 지관(600)을 타고 연결관(820)을 지나 탱크(810)에 저장될 수 있다.
탱크(810)에 저장된 여과수는 필터의 역세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역세 동작 모드를 설명한다.
먼저, 제1,2 밸브(300, 400)를 동시에 구동시킴으로써, 공급관(210)과 배출관(220)의 필터부(100)와의 연결을 차단한다. 제1,2 밸브(300, 400)의 구동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구체적 방법은 예컨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에 따를 수 있다.
밸브(610)가 닫혀 지관(600)을 통한 배출관(220)과 제1 역세관(510)의 유체적 연결이 해제되고 밸브(845)가 열린 상태에서, 제어 장치(700: 도 1 참조)의 구동에 의해 다량의 압축 공기가 압축 공기 공급관(840)을 통해 탱크(81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탱크(810)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탱크(810)에 저장되어 있던 여과수가 제1 역세관(510)으로 유입되어 필터부(100)의 역세에 사용될 수 있다.
제1 역세관(510)으로 유입된 물은 필터부(100)에 퇴적된 찌꺼기를 필터부(100)로부터 분리하며, 분리된 찌꺼기는 제1 밸브(300)의 필터부(100) 측 개폐공(302) 및 제2 역세관(520) 측 개폐공(303)을 지나 제2 역세관(520)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역세가 수행된다.
<제5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이하, 수처리 필터 시스템이라 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로서 복수의 필터부가 병렬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처리 필터 시스템(50)은 오염수를 여과하는 필터부(100), 필터부(100)와 유체적으로 연결된 공급관(210) 및 배출관(220), 필터부(100)의 여과 방향과 역방향으로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필터부(100)를 세척하는 역세부, 제1,2 밸브(300, 400)를 포함하며, 역세부는 필터부(100)와 유체적으로 연결된 제1 역세관(510) 및 제2 역세관(520)을 포함하고, 필터부(100)의 역세를 위해 공급되는 역세용 유체가 여과수의 일부라는 점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역세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여과수 저장 공급부(90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하에서는, 수처리 필터 시스템(50)의 동일한 구성 및 여과 동작 모드에 대해서는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으로 갈음하며, 이하에서는 역세 동작 모드 및 그에 따른 구성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배출관(220)과 제1 역세관(510)은 지관(600)을 통해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지관(600)에 구비된 밸브(610)의 조작에 따라 배출관(220)을 흐르던 여과수의 일부가 제1 역세관(510)측으로 흐를 수 있다.
여과수 저장 공급부(900)는 여과수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며, 저장된 여과수를 필터부(100)의 역세에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여과수가 저장되는 탱크(910)를 포함하며, 탱크(910)에 저장된 물을 연결관(920) 및 제1 역세관(510) 측으로 공급하는 실린더(915)를 포함하며, 실린더(915)의 일 측에는 에어퍼지밸브(930) 및 압축 공기 공급관(940)이 구비될 수 있다.
지관(600)에 구비된 밸브(610)와 에어퍼지밸브(930)의 조작에 의해 탱크(910)에 여과수가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밸브(610)가 열린 상태에서 에어퍼지밸브(930)가 구동되면, 실린더(915)의 내부에 압력차이가 발생하므로 배출관(220)을 흐르던 여과수가 지관(600)을 타고 연결관(920)을 지나 탱크(910)에 저장될 수 있다.
탱크(910)에 저장된 여과수는 필터의 역세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필터부의 역세 동작 모드를 설명한다.
먼저, 제1,2 밸브(300, 400)를 동시에 구동시킴으로써, 공급관(210)과 배출관(220)의 필터부(100)와의 연결을 차단한다. 제1,2 밸브(300, 400)의 구동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구체적 방법은 예컨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에 따를 수 있다.
밸브(610)가 닫히고 밸브(945)가 열린 상태에서, 제어 장치(700: 도 1 참조)의 구동에 의해 다량의 압축 공기가 압축 공기 공급관(940)을 통해 실린더(915)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실린더(915)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실린더 유니트(915a)가 이동하여 여과수가 제1 역세관(510)으로 유입된다.
제1 역세관(510)으로 유입된 물은 필터부(100)를 이동하면서 퇴적된 찌꺼기를 필터부(100)로부터 분리한다. 분리된 찌꺼기는 제1 밸브(300)의 필터부(100) 측 개폐공(302) 및 제2 역세관(520) 측 개폐공(303)을 지나 제2 역세관(520)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역세가 수행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여과수 저장 공급부(800, 900)를 통해 여과수를 저장하고 저장된 여과수 및 압축 공기를 이용하는 구성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20, 30: 수처리 필터 시스템 100: 필터부
120: 필터 엘리먼트 210: 공급관
220: 배출관 300: 제1 밸브
310: 제1 개폐판 400: 제2 밸브
410: 제2 개폐판 510: 제1 역세관
520: 제2 역세관 610: 공기 공급부
620: 펌프 700: 제어장치
800, 900: 여과수 저장 공급부 810: 탱크
820: 연결관 830: 에어벤트밸브
840: 압축 공기 공급관 910; 탱크
915: 실린더 930: 에어퍼지밸브

Claims (14)

  1. 오염수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와 유체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필터부로 상기 오염수를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필터부와 유체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를 배출하는 배출관;
    상기 오염수의 여과 방향과 역방향으로 공기 및 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역세용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필터부의 내부에 쌓인 찌꺼기를 제거하는 역세부;
    상기 공급관과 상기 필터부를 연결하며, 상기 역세부의 동작시에 상기 공급관과 상기 필터부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1 밸브;
    상기 배출관과 상기 필터부를 연결하며, 상기 역세부의 동작시에 상기 배출관과 상기 필터부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2 밸브; 및
    상기 제1 밸브와 제2 밸브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복수개로서 상기 공급관, 상기 배출관, 및 상기 역세부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역세부는,
    상기 필터부와 유체적으로 연결되며, 역세를 위한 상기 역세용 유체를 상기 필터부로 공급하는 제1 역세관; 및
    상기 필터부와 유체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유체를 배출하는 제2 역세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공급관, 상기 필터부, 및 상기 제2 역세관과 연결되는 개폐공들 및 상기 개폐공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개폐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배출관, 상기 필터부, 및 상기 제1 역세관과 연결되는 개폐공들 및 상기 개폐공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 개폐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개폐판과 상기 제2 개폐판은 동축선상에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함으로써 상기 개폐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되,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는 동기화되어 상기 제어 장치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서 상기 필터부의 여과 동작 및 상기 필터부의 역세 동작시에 함께 구동하며,
    상기 제1 역세관은 역세용 유체인 공기 및 물을 상기 필터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1 역세관은 공기 주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의 내부를 흐르는 여과수의 일부를 상기 제1 역세관으로 공급하는 펌프와 연결되는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10079040A 2011-08-09 2011-08-09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 및 역세 방법 KR101291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040A KR101291299B1 (ko) 2011-08-09 2011-08-09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 및 역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040A KR101291299B1 (ko) 2011-08-09 2011-08-09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 및 역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865A KR20130016865A (ko) 2013-02-19
KR101291299B1 true KR101291299B1 (ko) 2013-07-30

Family

ID=47896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040A KR101291299B1 (ko) 2011-08-09 2011-08-09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 및 역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2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308B1 (ko) * 2014-01-13 2015-07-21 블루그린링크(주)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841B1 (ko) * 2013-02-22 2015-02-1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단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질 여과방법
KR101328039B1 (ko) * 2013-05-23 2013-11-13 이태석 수영장 또는 목욕장용 여과기
KR101944514B1 (ko) 2013-06-10 2019-01-3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여과 시스템 및 여과 방법
WO2015152440A1 (ko) * 2014-04-01 2015-10-08 주식회사 에스엔에스에너지 역세정 필터시스템
KR101933894B1 (ko) * 2017-09-14 2019-04-05 주식회사 그린웰 수중 플라즈마 방전을 역세 공정에 이용한 멤브레인 여과 장치
CN110451588A (zh) * 2018-05-07 2019-11-15 福建金源泉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反冲洗功能的净水机
CN111701289A (zh) * 2020-06-28 2020-09-25 莱特莱德(北京)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物料原液精制过滤装置及其清洗工艺
KR102288474B1 (ko) * 2020-10-30 2021-08-10 주식회사 타스글로벌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4582U (ja) * 1991-04-04 1993-08-27 東邦瓦斯株式会社 切替用三方弁
JPH07299306A (ja) * 1994-05-10 1995-11-14 Wako Sangyo Kk 流体フィルタ用エレメント
KR20080107204A (ko) * 2007-06-05 2008-12-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필터의 역세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4582U (ja) * 1991-04-04 1993-08-27 東邦瓦斯株式会社 切替用三方弁
JPH07299306A (ja) * 1994-05-10 1995-11-14 Wako Sangyo Kk 流体フィルタ用エレメント
KR20080107204A (ko) * 2007-06-05 2008-12-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필터의 역세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308B1 (ko) * 2014-01-13 2015-07-21 블루그린링크(주)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865A (ko) 201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299B1 (ko)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 및 역세 방법
KR102388304B1 (ko) 여과 장치
JP2016073904A5 (ko)
WO201603453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and wastewater
CN111228866A (zh) 一种在线自清洗介质过滤装置
US8734641B2 (en) Tertiary wastewater filtration using inclined filter media and internal reverse flow backwashing of filter disks
US7648630B2 (en) Underwater filtration operator
JP5811162B2 (ja) プリーツフィルター、それを用いたバラスト水処理装置およびバラスト水の処理方法
KR101820959B1 (ko) 실시간 세척기능을 가진 필터시스템
JP2021030176A (ja) 船体搭載用濾過装置
KR101010365B1 (ko) 계곡수 여과장치
KR20170048252A (ko) 플리츠 필터, 플리츠 필터 카트리지, 그것을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및 밸러스트수의 처리 방법
JP3602349B2 (ja) 中空糸膜型分離装置及び移動式中空糸膜型分離装置
US20070080118A1 (en) Filter assembly
JP2012055806A (ja) 逆洗式フィルタ装置
JP6327628B2 (ja) 浄水装置、浄水カートリッジ、浄水装置の使用方法、及び、浄水カートリッジのリサイクル方法
US8574431B2 (en) Filter system with gas agitation
JP2010155196A (ja) 濾過装置
KR101081709B1 (ko)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
KR101517724B1 (ko) 폐액 정화장치
JP5716931B2 (ja) プリーツフィルター、それを用いたバラスト水処理装置およびバラスト水の処理方法
KR101130918B1 (ko) 맥반석을 이용한 무방류 자중수압여과식 수처리시스템
RU48513U1 (ru) Блок фильтров для очистки морской воды от взвешенных веществ и нефти на нефтебуровой платформе
JP3157177U (ja) ろ過装置
JP4744275B2 (ja) 横型ろ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