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709B1 -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709B1
KR101081709B1 KR1020090055787A KR20090055787A KR101081709B1 KR 101081709 B1 KR101081709 B1 KR 101081709B1 KR 1020090055787 A KR1020090055787 A KR 1020090055787A KR 20090055787 A KR20090055787 A KR 20090055787A KR 101081709 B1 KR101081709 B1 KR 101081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inner cylinder
cylinder portion
outer cylinder
was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7644A (ko
Inventor
김영찬
김시환
송재활
허용균
곽영세
이학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포스코신기술연구조합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포스코신기술연구조합,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055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709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는,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에 협잡물(挾雜物)을 함유하는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유입관이 연통된 외통부; 및 상기 외통부에 수납되며 상기 폐수중의 협잡물이 걸러진 처리수를 방출시키는 내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악취를 발생시키는 유독성 폐수를 밀폐된 상태에서 처리하면서 폐수중에 함유된 각종 협잡물의 분리 및 제거가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이동수단을 통해 폐수 차량 근방으로 이동하여 사용 가능하며, 내통부를 외통부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므로 유지, 보수가 쉽게 이루어지고, 부식의 예방이 가능하다.
폐수, 협잡물, 여과, 내통, 외통

Description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Apparatus for filtering foreign body in waste water with opening and closing type}
본 발명은 협잡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종류의 협잡물(挾雜物)을 함유하고 있는 유독성 폐수를 밀폐된 공간에서 처리하는 과정에서 악취의 발생을 줄이고, 상기 협잡물의 분리 및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협잡물(挾雜物)을 함유하는 유독성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에는 정치, 여과, 원심분리, 생물학적 처리등의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중 소량의 폐수를 공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방법으로서는 주로 여과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여과 방법은 여과에 따른 효율성이 저하되고, 여과장치의 재생등에 있어서 번거로운 작업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 예로, 특허출원(10-2000-0056845, 이하 인용문헌 1)의 경우 하,폐수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스크린과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하,폐수중에 포함 되어 유입되는 협잡물과 부유물 및 침사를 유입수로부터 분리,제거하여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펌프의 막힘으로 인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협잡물 및 침사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용문헌 1의 경우 스크린과 스크레이퍼의 이용에 주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본 발명처럼 많은 협잡물이 낮은 pH상태로 존재하는 경우 복잡한 구조의 스크린과 스크레이퍼가 제대로 협잡물을 제거하기 어려우며, 고장 및 부식의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20-2001-0034554, 이하 인용문헌 2)의 경우 급수라인으로 들어오는 수돗물을 급수전에서 깨끗한 물로 정화처리 한 후에 공급하는 상수도용 고도정수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용문헌 2의 경우 다층 구조를 만들어 물과 고형물을 중력을 이용하여 수돗물을 걸러내는 것에 주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많은 협잡물이 낮은 pH상태로 존재하는 경우 중력만으로는 제대로 협잡물을 제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출원(10-2002-0072010, 이하 인용문헌 3)의 경우 합류식 하수관거에서 우수토실 내의 하수 중 우수를 배제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자동세척회전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원심력으로 배제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으나, 인용문헌 3의 경우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많은 협잡물이 존재하는 경우 유지/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독성 폐수를 밀폐된 상태에서 처리하는 과정에서 폐수중에 함유된 각종 협잡물의 분리 및 제거가 용이한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이동수단을 통해 폐수 차량 근방으로 이동하여 사용 가능한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내통부를 외통부로부터 분리하여 유지, 보수가 쉽게 이루어지고, 부식의 예방이 가능한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에 협잡물(挾雜物)을 함유하는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유입관이 연통된 외통부; 및 상기 외통부에 수납되며 상기 폐수중의 협잡물이 걸러진 처리수를 방출시키는 내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내통부는, 상기 외통부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내통부는, 상기 처리수가 방출되는 내통과; 상기 내통의 일측을 막는 내통커버와; 상기 내통의 타측 외주면상에 구비되어 상기 외통에 연결되는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내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처리수가 유입되는 처리수 유입공이 다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내통의 외주면상에 상기 폐수중의 협잡물을 걸러 내는 망상(網狀)의 협잡물 여과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내통과, 상기 협잡물 여과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폐수중의 이물질을 걸러 내는 부직포(不織布)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협잡물 여과수단은, 산성폐수와의 접촉에 따른 내산성(耐酸性) 강화를 위해 표면이 합성수지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외통부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악취를 발생시키는 유독성 폐수를 밀폐된 상태에서 처리하면서 폐수중에 함유된 각종 협잡물의 분리 및 제거가 용이하다.
둘째, 필요에 따라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를 이동수단을 통해 폐수 차량 근방으로 이동하여 사용 가능하다.
셋째, 필요에 따라 내통부를 외통부로부터 분리하므로써 유지, 보수가 쉽게 이루어지고, 부식의 예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가 이동수단에 안착되는 분리된 상태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가 이동수단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가 이동수단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일측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가 이동수단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타측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내통부가 외통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 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는 크게, 협잡물을 함유하는 폐수가 유입되는 외통부와, 상기 외통부에 수납되어 상기 폐수중의 협잡물을 걸러내고, 폐수를 방출시키는 내통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내통부(10)는 도 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직경의 파이프 형상을 갖는 내통(12)의 일측에 폐수중의 협잡물이 걸러지지 않은 상태로 내통(12)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T'자형 단면을 갖는 내통커버(14)가 내통(12)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내통(12)의 타측은 원형 단면을 갖는 연결판(18)을 관통하며, 상기 연결판(18)의 내면 둘레를 따라 90°간격의 관통공(18a)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통(12), 내통커버(14), 연결판(18)은 분리형 구조는 물론, 서로 일체화된 구조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통(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협잡물이 걸러진 상태의 처리수가 유입되기 위한 소정 직경을 갖는 처리수 유입공(12a)이 다수개 관통되고, 상기 내통의 외주면상에는 폐수중의 협잡물을 걸러 내기 위한 망상(網狀)의 협잡물 여과수단(16)이 권취된 후, 결속밴드(16a)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협잡물 여과수단(16)은, 산성폐수와의 접촉에 따른 내산성(耐酸性) 강화를 위해 표면을 합성수지로 코팅할 수 있으며, 상기 내통(12)과, 협잡물 여과수단(16) 사이에 별도의 부직포(不織布)(미도시)를 권취시킬 경우, 폐수중에 함유된 모래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 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외통부(2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갖는 외통(22)의 타측에 폐수유입관(24)이 연통되고, 상기 외통(22)의 일측 외주면상에 플랜지(flange)(26)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26)의 외측 내면 둘레를 따라 90°간격으로 웰드 볼트(weld bolt)(28)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통부(10)는 상기 외통부(20)에 착탈 가능한 구성을 가지며, 착탈수단으로서는 상기 연결판(18)의 관통공(18a)을 상기 플랜지(26)의 웰드볼트(28)에 끼운 후, 너트(50)를 웰드볼트(28)에 체결한다. 이때, 상기 너트(50)의 양측에는 연결바(52)가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너트(50)와 연결바(52)는 전체적으로 나비너트(butterfly nut)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작업자가 별도의 스패너(spanner)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양손으로 상기 연결바(52)를 잡고 너트(50)를 회동시킴에 따라 너트(50)가 웰드볼트(28)에 체결 또는 해제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통(12)의 연결판(18)과, 상기 외통(22)의 플래지(26) 사이에 누수방지수단(40)을 설치할 경우, 폐수 처리에 따른 상기 폐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누수방지수단(40)은 소정 두께의 링 형태로서, 내면 둘레를 따라 90°간격의 관통공(40a)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관통공(40a)을 통해 상기 웰드볼트(28)에 삽입된 후, 상기 연결판(18) 및 착탈수단에 의해 내통부(10)와 외통부(20) 사이에 밀착되어 폐수의 처리에 따른 일부 폐수가 상기 내통부(10)와 외통부(20) 사이를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통부(10) 및 외통부(20) 는 일정 장소에 적치시켜서 사용 가능하나, 필요에 따라 별도의 이동수단(30)을 이용할 경우 작업자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켜서 사용 가능하다.
상기 이동수단(30)은 한쌍의 바(bar)(32)가 일(一)자 및 'ㄷ'자형 연결바(32a)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바(32)의 일측에 손잡이(34)가 부착되며, 상기 바(32)의 타측에는 외통(22)의 적치 및 이동에 따른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수직판(36)이 입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판(36)의 내면에는 상기 폐수유입관(24)이 삽입,지지되는 폐수유입관삽입공(36a)이 형성되어 있고, 바(32)의 타측 하단에는 바퀴(38)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폐수로부터 밀폐형으로 간편하게 협잡물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통부(10)의 내통(12)을 외통부(20)의 외통(22)에 삽입하고, 상기 연결판(18)의 관통공(18a)을 상기 플랜지(26)의 웰드볼트(28)에 삽입한 후, 양손으로 연결바(52)를 잡고 너트(50)를 회동시켜서 상기 너트를 웰드볼트(28)에 체결한다.
이후, 폐수 이송차량에 이송호스(미도시)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이송호스의 타단부를 상기 폐수 유입관(24)에 연결한 후, 폐수를 유입시킨다.
상기 폐수 이송차량에 의해 방출되는 낮은 pH상태의 협잡물을 함유하는 폐수는 상기 이송차량의 폐수 토출압에 의해 외통(22)에 유입되면서 상기 협잡물 여과 수단(16)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협잡물은 상기 내통(12) 외주면에 장착된 협잡물 여과수단(16)에 의해 걸러짐과 동시에 협잡물이 제거된 처리수는 상기 다수의 처리수 유입공(12a)을 통해 상기 내통(12)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내통커버(14)에 의해 상기 외통(22)으로 유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별도의 이송호스(미도시)를 통해 폐수 저장조(미도시)로 방출되며, 이와 같은 과정에서 유독성 폐수가 내통부(10)와 외통부(20)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처리되므로 악취의 발생이 크게 감소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 외통부(20)의 폐수유입관(24)을 상기 이동수단(30)의 수직판(36)에 형성된 폐수유입관삽입공(36a)에 삽입한 후, 내통부(10)가 연결된 외통부(20)를 상기 이동수단(30)에 안착시킨 후에, 손잡이(34)를 잡고 이동수단을 폐수 차량 근방으로 이동시켜서 폐수 처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일정 시간 동안 폐수에서 협잡물이 분리되면, 상기 내통부(10)를 외통부(20)에서 분리시킨 후, 상기 협잡물 여과수단(16)에 적층된 협잡물을 상기 협잡물 여과수단(16)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걸러진 각종 협잡물을 폐기 처리하며, 협잡물이 제거된 협잡물 여과수단(16)은 세척 후 상기 내통(12)에 권취시켜서 재사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폐수중에 많은 협잡물이 낮은 pH상태로서 존재하더라도 탈착식 구조를 갖는 상기 내통부(10), 외통부(20)에 의해 폐수중의 협잡물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고, 많은 협잡물이 존재하더라도 필요에 따라 상기 내통부(10) 를 외통부(2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므로 유지, 보수가 쉽게 이루어지며, 상기 협잡물 여과수단(16)이 합성수지에 의해 코팅되어 있으므로 부식의 예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가 이동수단에 안착되는 분리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가 이동수단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가 이동수단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일측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가 이동수단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타측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내통부가 외통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통부 12 : 내통
14 : 내통커버 16 : 협잡물 제거수단
20 : 외통부 22 : 외통
24 : 폐수유입관 26 : 플랜지
30 : 이동수단 32 : 손잡이
34 : 수직판 36 : 바퀴
40 : 누수방지수단

Claims (7)

  1.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에 협잡물(挾雜物)을 함유하는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유입관이 연통된 외통부; 및
    상기 외통부에 수납되며 상기 폐수중의 협잡물이 걸러진 처리수를 방출시키는 내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통부는,
    상기 처리수가 방출되는 내통과;
    상기 내통의 일측을 막는 내통커버와;
    상기 내통의 타측 외주면상에 구비되어 상기 외통에 연결되는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내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처리수가 유입되는 처리수 유입공이 다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는,
    상기 외통부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외주면상에 상기 폐수중의 협잡물을 걸러 내는 망상(網狀)의 협잡물 여과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과, 상기 협잡물 여과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폐수중의 이물질을 걸러 내는 부직포(不織布)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여과수단은,
    산성폐수와의 접촉에 따른 내산성(耐酸性) 강화를 위해 표면이 합성수지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
KR1020090055787A 2009-06-23 2009-06-23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 KR101081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787A KR101081709B1 (ko) 2009-06-23 2009-06-23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787A KR101081709B1 (ko) 2009-06-23 2009-06-23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644A KR20100137644A (ko) 2010-12-31
KR101081709B1 true KR101081709B1 (ko) 2011-11-09

Family

ID=43511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787A KR101081709B1 (ko) 2009-06-23 2009-06-23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7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924B1 (ko) * 2009-12-29 2012-03-23 주식회사 포스코 여과물 탈리식 폐수 정화 장치
KR101489204B1 (ko) * 2014-09-16 2015-02-04 최정원 수평 배관연결형 초기 우수배제 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644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89347B (zh) 具有用于防止旁路水用于反洗的旁路水控制的框架型盘式过滤器
KR101291299B1 (ko)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 및 역세 방법
KR100920689B1 (ko) 집수구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JPWO2014103854A1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およびバラスト水処理装置の逆洗浄方法
KR20160010952A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527005B1 (ko) 오염수 정화장치
KR100630372B1 (ko) 여과장치
KR101081709B1 (ko)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
JP2003284906A (ja) 濾過機及び濾過装置
JP4146462B2 (ja) ストレーナ
KR101390567B1 (ko) 하수 고액분리 집수정
KR101985292B1 (ko) 필터 자동 클리닝 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KR101560158B1 (ko) 역세척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0257861B1 (ko) 자동여과장치
KR101127924B1 (ko) 여과물 탈리식 폐수 정화 장치
JP2012055806A (ja) 逆洗式フィルタ装置
KR100762416B1 (ko) 침전상등수용 여과장치
JP2004305902A (ja) 濾過機
KR20220122906A (ko) 규조토를 이용한 정수처리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하는 정수처리방법
KR101860533B1 (ko) 고액 분리장치
JP2003225517A (ja) 固液分離装置の洗浄方法
JP3157177U (ja) ろ過装置
JP2606248Y2 (ja) 汚水処理装置
KR200257125Y1 (ko) 물탱크의 정수장치
KR101206904B1 (ko) 자동세척기능을 가지는 연속 회전식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