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474B1 -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474B1
KR102288474B1 KR1020200143695A KR20200143695A KR102288474B1 KR 102288474 B1 KR102288474 B1 KR 102288474B1 KR 1020200143695 A KR1020200143695 A KR 1020200143695A KR 20200143695 A KR20200143695 A KR 20200143695A KR 102288474 B1 KR102288474 B1 KR 102288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ebris
tank
unit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스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스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스글로벌
Priority to KR1020200143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474B1/ko
Priority to TW110139262A priority patent/TWI817219B/zh
Priority to PCT/KR2021/015219 priority patent/WO202209280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6Cleaning devices for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는, 선박 청소 장치를 이용하여 선체의 외벽을 청소 중 발생되는 잔해물을 흡입하는 잔해물 흡입부; 잔해물 흡입부에서 공급되는 잔해물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1 필터부; 및 제1 필터부에서 공급되는 잔해물을 2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2 필터부를 포함하고, 제2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해수는 제1 필터부로 공급되어 제1 필터부에 마련된 제1 필터 부재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FILTERING SYSTEM FOR SHIP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필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청소 로봇을 포함하는 선박 청소 장치로 선박을 청소 시 발생되는 잔해물을 필터링할 수 있는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장기간 운항하면 선저에 물이끼, 따개비 등의 부착생물과 물때와 같은 이물질이 부착되기 마련이며, 선저에 부착되는 부착생물과 이물질은 선박의 운항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선박의 선저에 부착생물과 이물질(이하, "이물질"이라 칭함)이 많이 부착되면 선박의 최대속도가 40%까지 저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의 소모량이 대폭 증가되어 매우 비효율적으로 선박이 운항된다.
그러므로, 선박의 선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작업이 주기적으로 수행되는데, 일예로 잠수부가 물속에 들어가 고압수를 분사하는 건 형태의 분사기로 선저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선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선박 청소 로봇을 이용하여 청소를 한다.
이때 선저에 부착되는 부착생물과 이물질은 수중에 그대로 버려져 해수의 오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므로 이를 필터링해 버리거나 별도의 보관 장소에 보관할 필요가 있다.
특히, 선박의 청소 중에 발생되는 잔해물로 인해 필터 부재가 막히게 되면 필터 효율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청소 효율도 낮아지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88051호(주식회사 태평양해양산업) 2020. 03. 0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박의 청소 중에 발생되는 잔해물로 인해 필터 부재가 막히는 문제를 해결하여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 청소 장치를 이용하여 선체의 외벽을 청소 중 발생되는 잔해물을 흡입하는 잔해물 흡입부; 상기 잔해물 흡입부에서 공급되는 잔해물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1 필터부에서 공급되는 잔해물을 2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2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해수는 상기 제1 필터부로 공급되어 상기 제1 필터부에 마련된 제1 필터 부재를 세척하는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잔해물 흡입부에서 공급되는 잔해물을 상기 제1 필터 부재로 공급시키는 제1 삼방 밸브; 상기 제1 삼방 밸브의 후방 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잔해물을 필터링시키는 상기 제1 필터 부재; 및 상기 제1 필터 부재의 후방 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제1 필터 부재에서 필터링 된 잔해물을 상기 제2 필터부로 공급시키는 제2 삼방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 부재의 세척 시 상기 제2 필터부에서 공급되는 해수는 상기 제2 삼방 밸브, 상기 제1 필터 부재 및 상기 제1 삼방 밸브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는 병렬로 복수로 마련되어 복수의 제1 필터부 중 하나의 제1 필터부의 상기 제1 필터 부재의 세척 시 나머지 제1 필터부로 중단없이 잔해물을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제1 필터 부재의 세척 시 상기 제1 필터 부재와 상기 제1 삼방 밸브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상기 제1 필터 부재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포함한 해수가 저장되는 제1 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잔해물 흡입부와 상기 제1 삼방 밸브를 연결하는 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삼방 밸브로 잔해물을 공급시키는 제1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탱크에 저장된 해수는 상기 잔해물 흡입부의 흡입부 탱크로 공급되어 상기 흡입부 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제1 필터부에서 공급되는 잔해물을 필터링 시키는 제2 필터 부재; 상기 제2 필터 부재에서 필터링된 잔해물인 해수가 저장되는 제2 탱크; 및 상기 제2 탱크에 저장된 해수를 상기 제1 필터부로 공급시키는 제2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탱크에는 만수 배출 라인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제1 필터부에서 공급되는 잔해물을 필터링 시키는 제2 필터 부재;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 부재를 연결하는 라인에 마련되는 입수 밸브; 및 상기 제2 필터 부재에서 필터링된 해수가 배출되는 라인에 마련되는 출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해물 흡입부는, 상기 선박 청소 장치의 청소 시 발생되는 잔해물을 흡입하는 흡입부 펌프; 및 상기 흡입부 펌프의 후방 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흡입부 펌프에서 공급되는 잔해물이 저장되는 흡입부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잔해물 흡입부는 흡입부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부는 제1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부는 제2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 탱크, 상기 제1 탱크 및 상기 제2 탱크 중 적어도 하나는, 잔해물 또는 해수가 저장되는 탱크 바디; 상기 탱크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어 공급되는 잔해물 또는 해수를 필터링시키는 제1 탱크 필터; 및 상기 제1 필터의 외벽을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 필터에 앞서 잔해물 또는 해수를 필터링시키는 제2 탱크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탱크 필터는 타공망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탱크 필터는 여과 기능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해물 흡입부, 상기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는 지상 또는 선박의 갑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중 청소 장치의 흡입구에 흡입 압력을 증가시키는 수중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부는 병렬로 복수로 마련되고, 어느 하나의 상기 제2 필터부의 막힘이 발생하면 해당하는 상기 제 2필터부의 상기 입수 밸브와 상기 출수 밸브를 잠궈 상기 제2 필터 부재를 신품으로 교체한 후 상기 입수 밸브와 상기 출수 밸브를 개방하는 것으로 운영 중단없이 잔해물을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선박 청소 장치의 청소 시 발생되는 잔해물을 흡입하는 흡입부 펌프; 및 상기 선박 청소 장치의 흡입구에 흡입 압력을 증가시키는 수중 펌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의 청소 시 제2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해수를 제1 필터부로 공급하여 제1 필터부에 마련된 제1 필터 부재를 세척함으로써 선박의 청소 중에 발생되는 잔해물로 인해 필터 부재가 막히는 문제를 해결하여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부가 병렬로 복수로 마련되어 어느 하나의 제1 필터부의 고장 시 나머지 제1 필터부로 잔해물을 필터링할 수 있어 중단없이 잔해물을 필터링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필터부가 병렬로 복수로 마련되어 어느 하나의 제2 필터부의 고장 시 나머지 제2 필터부로 잔해물을 필터링할 수 있어 중단없이 잔해물을 필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필터 바디의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필터 부재를 역세척하는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흡입부 탱크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흡입부 탱크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 필터 바디의 영역을 병렬로 복수로 마련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2 필터 바디의 영역을 병렬로 복수로 마련하고 입수 밸브와 출수 밸브를 부가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필터 바디의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필터 부재를 역세척하는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흡입부 탱크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흡입부 탱크의 작동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 필터 바디의 영역을 병렬로 복수로 마련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2 필터 바디의 영역을 병렬로 복수로 마련하고 입수 밸브와 출수 밸브를 부가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 선박 청소 장치(10)는 자력으로 선박에 부착되어 선박을 청소하는 청소 로봇을 포함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1)은, 선박 청소 장치(10)를 이용하여 선체의 외벽을 청소 중 발생되는 잔해물을 흡입하는 잔해물 흡입부(100)와, 잔해물 흡입부(100)에서 공급되는 잔해물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1 필터부(200)와, 제1 필터부(200)에서 공급되는 잔해물을 2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2 필터부(300)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잔해물은 선저에 부착되는 부착생물과 이물질은 물론 해수를 포함할 수 있다.
잔해물 흡입부(100)는, 선박의 청소 중 발생되는 잔해물을 흡입하는 것으로, 육상 또는 선박의 갑판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잔해물 흡입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청소 장치(10)에 호스를 포함하는 연결 부재로 연결되어 청소 중 발생되는 잔해물을 흡입하는 흡입부 펌프(110)와, 흡입부 펌프(110)와 연결 부재로 연결되어 흡입부 펌프(110)에 의해 공급되는 잔해물이 저장되는 흡입부 탱크(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선박 청소 장치(10)의 흡입구와 흡입부 펌프(110) 사이의 연결 부재에 흡입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중 펌프를 마련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흡입부 펌프(110)는 본 실시 예의 초기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고, 이후 선박 청소 장치(10)에 연결된 수중 펌프와 흡입부 펌프(110)가 사용될 수 있고, 최종 단계에서 선박 청소 장치(10)에 연결된 수중 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잔해물 흡입부(100)의 흡입부 펌프(110)와 흡입부 탱크(120)는 지상 또는 선박의 갑판에 배치될 수 있다.
잔해물 흡입부(100)의 흡입부 탱크(1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구(121a)를 통해 잔해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탱크 바디(121)와, 탱크 바디(121)의 상부에 결합되며 입수구(121a)가 마련되는 덮개(122)와, 탱크 바디(121)의 내부에 마련되어 공급되는 잔해물을 필터링시키는 제1 탱크 필터(123)와, 상기 제1 탱크 필터(123)의 외벽을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제1 탱크 필터(123)에 앞서 잔해물을 필터링시키는 제2 탱크 필터(124)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탱크 필터(123)는 타공망 필터를 포함하고, 제2 탱크 필터(124)는 여과 기능의 필터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탱크 필터(124)는 부직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탱크 필터(123)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 주변을 제2 탱크 필터(124)가 원형으로 감쌀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탱크 필터(123)의 구멍 크기는 수 mm일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제1 탱크 필터(123)는 제2 탱크 필터(124)를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되지만, 본 실시 예는 제2 탱크 필터(124) 없이 제1 탱크 필터(123)만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흡입부 탱크(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잔해물의 필터링 작동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입수구(121a)를 통해 탱크 바디(121)의 내부로 유입되는 잔해물은 탱크 바디(121)의 내부에 저장된다. 탱크 바디(121)에 저장된 잔해물은 제2 탱크 필터(124)와 제1 탱크 필터(123)를 차례로 통과한 후 탱크 바디(121)에 마련된 출수구(121b)를 통해 탱크 바디(12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잔해물 중 해수보다 비중이 큰 이물질은 탱크 바디(121)의 바닥부로 가라앉고, 해수보다 비중이 작은 이물질은 제2 탱크 필터(124)에 의해 필터링되며, 제2 탱크 필터(124)의 틈새보다 작은 크기의 이물질은 제2 탱크 필터(124)를 통과한다. 제2 탱크 필터(124)를 통과한 이물질은 제1 탱크 필터(123)의 내부로 유입된 후 출수구(121b)를 통해 탱크 바디(12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필터부(200)는, 흡입부 탱크(120)에서 배출되는 잔해물 중 예를 들어 고체 덩어리나 해양 생물을 필터링할 수 있고, 제2 필터부(300)에 앞서 잔해물을 필터링함으로써 제2 필터부(300)의 수명을 늘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필터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해물 흡입부(100)와 연결되는 라인에 마련되어 잔해물을 공급시키는 제1 펌프(210)와, 제1 펌프(210)의 후방 라인에 마련되는 제1 필터 바디(220)와, 제1 필터 바디(220)에 마련되어 제1 펌프(210)에 의해 공급되는 잔해물을 공급시키는 제1 삼방 밸브(230)와, 제1 필터 바디(220)에 마련되어 제1 삼방 밸브(230)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1 삼방 밸브(230)를 통해 공급되는 잔해물을 필터링하는 제1 필터 부재(240)와, 제1 필터 부재(24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제1 필터 바디(220)에 마련되어 제2 필터부(300)로 잔해물을 공급시키거나 제1 필터 부재(240)의 역세척 시 제2 필터부(300)에서 공급되는 해수를 제1 필터 부재(240)로 공급시키는 제2 삼방 밸브(250)와, 제1 삼방 밸브(230)와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제1 필터 부재(240)의 역세척 시 사용된 해수를 저장하는 제1 탱크(260)를 포함한다.
제1 필터부(200)의 제1 펌프(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 탱크(120)와 제1 필터 바디(220)의 제1 유입구(221)를 연결하는 라인에 마련되어 흡입부 탱크(120)에서 공급되는 잔해물을 가압시켜 제1 유입구(221)로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펌프(210)는 가압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부(200)의 제1 필터 바디(220)는, 제1 삼방 밸브(230)와 제1 필터 부재(240)와 제2 삼방 밸브(250)의 설치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필터 바디(22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삼방 밸브(230)와 연결되는 제1 유입구(221)가 마련되어 제1 펌프(210)를 통해 공급되는 잔해물은 제1 유입구(221)를 통해 제1 삼방 밸브(230)로 공급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제1 필터 바디(22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출구(222)가 마련되고, 제1 유입구(221)를 통해 유입되어 제1 삼방 밸브(230), 제1 필터 부재(240) 및 제2 삼방 밸브(250)를 순차적으로 거친 잔해물은 제1 배출구(222)를 통해 제2 필터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 필터 바디(22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삼방 밸브(250)와 연결되는 제2 유입구(223)와, 제1 삼방 밸브(230)와 연결되는 제2 배출구(224)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유입구(223)와 제2 배출구(224)는 제1 필터 부재(240)의 역세척 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필터 부재(240)의 역세척 시 제2 필터부(300)에서 필터링 된 해수는 제2 유입구(223), 제2 삼방 밸브(250), 제1 필터 부재(240) 및 제1 삼방 밸브(2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2 배출구(224)를 통해서 제1 탱크(260)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필터부(200)의 제1 삼방 밸브(2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터 바디(2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 펌프(210)를 통해 공급되는 잔해물을 제1 필터 부재(240)로 공급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삼방 밸브(230)와 제2 배출구(224)를 연결하는 라인에는 제1 삼방 밸브(230)의 해당 밸브가 닫혀져 있어 잔해물이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필터 부재(240)의 역세척 시 제1 삼방 밸브(230)와 제2 배출구(224)를 연결하는 라인은 개방되어 해수가 흐를 수 있다. 이때 이때 제1 삼방 밸브(230)와 제1 유입구(221)를 연결하는 라인에는 제1 삼방 밸브(230)의 해당 밸브가 닫혀져 있어 잔해물이 공급되지 않는다.
제1 필터부(200)의 제1 필터 부재(2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삼방 밸브(230)와 제2 삼방 밸브(250)를 연결하는 라인에 마련되어 제1 펌프(210)를 통해 공급되는 잔유물에 있는 고체 덩어리나 해양 생물을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필터 부재(240)가 이물질로 막혀서 필터 효율이 떨어지면 제2 필터부(300)에서 정수된 해수를 제2 유입구(223)와 제2 삼방 밸브(250)를 통해 차례대로 공급하여 제1 필터 부재(240)에 쌓인 이물질을 제1 삼방 밸브(230)와 제2 배출구(224)를 통해 차례대로 배출할 수 있다.
제2 필터부(300)의 제2 삼방 밸브(2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터 바디(2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 필터 부재(240)에서 필터링된 잔해물을 제1 배출구(222)를 통해 제2 필터부(30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2 삼방 밸브(250)와 제2 유입구(223)를 연결하는 라인에는 제2 삼방 밸브(250)의 해당 밸브가 닫혀져 있어 잔해물이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필터 부재(240)의 역세척 시 제2 삼방 밸브(250)와 제2 유입구(223)를 연결하는 라인은 개방되어 해수가 흐를 수 있다. 이때 이때 제2 삼방 밸브(250)와 제1 배출구(222)를 연결하는 라인에는 제2 삼방 밸브(250)의 해당 밸브가 닫혀져 있어 해수는 제1 배출구(222)로 공급되지 않는다.
제1 필터부(200)의 제1 탱크(2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출구(224)와 연결되어 제1 필터 부재(240)의 역세척 시 사용된 해수와 역세척에 의해 발생된 이물질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탱크(2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 탱크(12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탱크(260)는 전술한 흡입부 탱크(120)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탱크(260)에서 제1 필터 부재(240)의 역세척 시 발생된 이물질은 필터링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해수는 흡입부 탱크(1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필터부(200)의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잔해물 흡입부(100)에서 공급되는 잔해물의 필터링 과정을 설명하고, 다음에 제1 필터 부재(240)의 역세척 과정을 설명한다.
잔해물 흡입부(100)에서 공급되는 잔해물의 필터링 과정(도 2 참고)
제1 펌프(210)에 의해 공급되는 잔해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입구(221)를 통해 제1 삼방 밸브(230)로 공급되고, 제1 삼방 밸브(230)로 공급된 잔해물은 제1 필터 부재(240)에서 필터링된 후 제2 삼방 밸브(250)를 통해 제1 배출구(222)로 공급된다. 제1 배출구(222)를 통해 배출되는 잔해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터부(300)로 공급되어 다시 필터링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제1 필터 부재(240)의 역세척 과정(도 3 참고)
제1 필터 부재(240)가 이물질로 막혀서 필터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 제2 필터부(300)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입구(223)로 해수를 공급한다. 제2 유입구(223)로 유입된 해수는 제2 삼방 밸브(250)를 거쳐 제1 필터 부재(240)로 공급되어 제1 필터 부재(240)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1 필터 부재(250320)에서 제거된 이물질과 해수는 제1 삼방 밸브(230)를 통해 제2 배출구(224)로 공급되고, 제2 배출구(224)에서 배출되는 이물질과 해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탱크(26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터 바디(220)와 제1 삼방 밸브(230)와 제1 필터 부재(240)와 제2 삼방 밸브(250)를 하나의 유닛으로 하고, 이 유닛을 병렬로 복수로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유닛 중 하나의 유닛이 제1 필터 부재(240)의 세척 시 나머지 유닛으로 중단없이 잔해물을 필터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기준으로 가장 좌측에 배치되는 제1 필터부(200)의 전술한 유닛의 제1 필터 부재(240)가 막혀 역세척 시 우측에 배치되는 2개의 제1 필터부(200)의 유닛으로 중단없이 잔해물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때, 가장 좌측에 배치되는 제1 필터부(200)의 제1 유입구(221)와 제1 삼방 밸브(230)를 연결하는 라인은 제1 삼방 밸브(230)에 의해 막혀져 있어 잔해물은 제1 필터 부재(240)로 공급되지 않는다. 대신 제2 유입구(223)와 제2 삼방 밸브(250)와 제1 필터 부재(240)와 제1 삼방 밸브(230)와 제2 배출구(224)를 연결하는 라인은 개방되어 있어 제1 필터 부재(240)를 역세척할 수 있다.
제2 필터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터부(200)에서 필터링된 잔해물을 공급받아 필터링하여 깨끗한 해수만을 남길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필터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출구(222)에 연결되어 제1 배출구(222)에서 배출되는 잔해물을 공급받는 제2 필터 바디(310)와, 제2 필터 바디(310)에 마련되어 제1 배출구(222)에서 공급되는 잔해물을 필터링하는 제2 필터 부재(320)와, 제2 필터 부재(320)에서 정수된 해수가 저장되는 제2 탱크(330)와, 제2 탱크(330)에 저장된 해수를 제2 유입구(223)로 펌핑하는 제2 펌프(340)를 포함한다.
제2 필터부(300)의 제2 필터 바디(3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출구(222)와 연결되는 제2 필터 유입구(311)가 마련되어 제1 배출구(222)에서 배출되는 잔해물은 제2 필터 유입구(311)를 통해 제2 필터 부재(32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 필터 바디(3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터 배출구(312)가 마련되어 제2 필터 부재(320)에서 정수된 해수는 제2 필터 배출구(312)를 통해 제2 탱크(330)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필터부(300)의 제2 필터 부재(3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터 바디(3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2 필터 유입구(311)를 통해 유입되는 잔해물을 필터링 해 깨끗한 해수로 필터링할 수 있다.
제2 필터부(300)의 제2 탱크(330)에는, 제2 필터 부재(320)에서 필터링된 깨끗한 해수가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탱크(33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수 배출 라인(331)이 마련되어 제2 탱크(330)에 가득찬 해수는 만수 배출 라인(33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 탱크(330)에는 전술한 흡입부 탱크(120)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제2 펌프(3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탱크(330)와 제2 유입구(223)를 연결하는 라인에 마련되어 제1 필터 부재(240)의 역세척 시 제2 탱크(330)에 저장된 해수를 제2 유입구(223)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2 필터부(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터부(300)는 병렬로 복수로 마련되어 어느 하나의 제2 필터부(300)의 막힘 시 나머지 제2 필터부(300)로 중단없이 잔해물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제2 필터부(300)는 입수 밸브(350)와 출수 밸브(36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도 7에 도시된 3개의 제2 필터부(300) 중 가장 좌측에 배치된 제2 필터 부재(320)의 막힘 시 우측에 배치된 2개의 제2 필터부(300)로 잔해물을 중단없이 필터링할 수 있다. 이때, 가장 좌측에 배치되는 제2 필터부(300)의 입수 밸브(350)와 출수 밸브(360)는 잠그면 제2 필터 부재(320)로 잔해물은 공급되지 않으며, 막힌 제2 필터 부재(320)를 신품으로 교체하고 제2 필터부(300)의 입수 밸브(350)와 출수 밸브(360)을 개방하면 다시 정상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청소 장치(10)의 필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1a)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의 제1 탱크(260)를 구비하지 않은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 경우 잔해물 흡입부(100)에 마련된 흡입부 탱크(120)가 침전수조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선박의 청소 시 제2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해수를 제1 필터부로 공급하여 제1 필터부에 마련된 제1 필터 부재를 세척함으로써 선박의 청소 중에 발생되는 잔해물로 인해 필터 부재가 막히는 문제를 해결하여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부가 병렬로 복수로 마련되어 어느 하나의 제1 필터부의 고장 시 나머지 제1 필터부로 잔해물을 필터링할 수 있어 중단없이 잔해물을 필터링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필터부가 병렬로 복수로 마련되어 어느 하나의 제2 필터부의 고장 시 제2 필터부의 제2 필터 부재만을 교체할 수 있어서 운영 중단없이 잔해물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a :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100 : 잔해물 흡입부 110 : 흡입부 펌프
120 : 흡입부 탱크 121 : 탱크 바디
121a : 입수구 121b : 출수구
122 : 덮개 123 : 제1 탱크 필터
124 : 제2 탱크 필터 200 : 제1 필터부
210 : 제1 펌프 220 : 제1 필터 바디
221 : 제1 유입구 222 : 제1 배출구
223 : 제2 유입구 224 : 제2 배출구
230 : 제1 삼방 밸브 240 : 제1 필터 부재
250 : 제2 삼방 밸브 260 : 제1 탱크
300 : 제2 필터부 310 : 제2 필터 바디
311 : 제2 필터 유입구 312 : 제2 필터 배출구
320 : 제2 필터 부재 330 : 제2 탱크
331 : 만수 배출 라인 340 : 제2 펌프
350 : 입수 밸브 360 : 출수 밸브
10 : 선박 청소 장치

Claims (17)

  1. 선박 청소 장치를 이용하여 선체의 외벽을 청소 중 발생되는 잔해물을 흡입하는 잔해물 흡입부;
    상기 잔해물 흡입부에서 공급되는 잔해물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1 필터부에서 공급되는 잔해물을 2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2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해수는 상기 제1 필터부로 공급되어 상기 제1 필터부에 마련된 제1 필터 부재를 세척하고,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잔해물 흡입부에서 공급되는 잔해물을 상기 제1 필터 부재로 공급시키는 제1 삼방 밸브; 상기 제1 삼방 밸브의 후방 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잔해물을 필터링시키는 상기 제1 필터 부재; 및 상기 제1 필터 부재의 후방 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제1 필터 부재에서 필터링 된 잔해물을 상기 제2 필터부로 공급시키는 제2 삼방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 부재의 세척 시 상기 제2 필터부에서 공급되는 해수는 상기 제2 삼방 밸브, 상기 제1 필터 부재 및 상기 제1 삼방 밸브로 공급되는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는 병렬로 복수로 마련되어 복수의 제1 필터부 중 하나의 제1 필터부의 상기 제1 필터 부재의 세척 시 나머지 제1 필터부로 중단없이 잔해물을 필터링할 수 있는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제1 필터 부재의 세척 시 상기 제1 필터 부재와 상기 제1 삼방 밸브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상기 제1 필터 부재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포함한 해수가 저장되는 제1 탱크를 더 포함하는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잔해물 흡입부와 상기 제1 삼방 밸브를 연결하는 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삼방 밸브로 잔해물을 공급시키는 제1 펌프를 더 포함하는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에 저장된 해수는 상기 잔해물 흡입부의 흡입부 탱크로 공급되어 상기 흡입부 탱크에 저장되는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제1 필터부에서 공급되는 잔해물을 필터링 시키는 제2 필터 부재;
    상기 제2 필터 부재에서 필터링된 잔해물인 해수가 저장되는 제2 탱크; 및
    상기 제2 탱크에 저장된 해수를 상기 제1 필터부로 공급시키는 제2 펌프를 포함하는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탱크에는 만수 배출 라인이 마련되는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제1 필터부에서 공급되는 잔해물을 필터링 시키는 제2 필터 부재;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 부재를 연결하는 라인에 마련되는 입수 밸브; 및
    상기 제2 필터 부재에서 필터링된 해수가 배출되는 라인에 마련되는 출수 밸브를 포함하는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잔해물 흡입부는,
    상기 선박 청소 장치의 청소 시 발생되는 잔해물을 흡입하는 흡입부 펌프; 및
    상기 흡입부 펌프의 후방 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흡입부 펌프에서 공급되는 잔해물이 저장되는 흡입부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잔해물 흡입부는 흡입부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부는 제1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부는 제2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 탱크, 상기 제1 탱크 및 상기 제2 탱크 중 적어도 하나는,
    잔해물 또는 해수가 저장되는 탱크 바디;
    상기 탱크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어 공급되는 잔해물 또는 해수를 필터링시키는 제1 탱크 필터; 및
    상기 제1 필터의 외벽을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 필터에 앞서 잔해물 또는 해수를 필터링시키는 제2 탱크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탱크 필터는 타공망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탱크 필터는 여과 기능의 필터를 포함하는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잔해물 흡입부, 상기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는 지상 또는 선박의 갑판에 배치되는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선박 청소 장치의 흡입구에 흡입 압력을 증가시키는 수중 펌프를 더 포함하는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부는 병렬로 복수로 마련되고,
    어느 하나의 상기 제2 필터부의 막힘이 발생하면 해당하는 상기 제 2필터부의 상기 입수 밸브와 상기 출수 밸브를 잠궈 상기 제2 필터 부재를 신품으로 교체한 후 상기 입수 밸브와 상기 출수 밸브를 개방하는 것으로 운영 중단없이 잔해물을 필터링할 수 있는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박 청소 장치의 청소 시 발생되는 잔해물을 흡입하는 흡입부 펌프; 및
    상기 선박 청소 장치의 흡입구에 흡입 압력을 증가시키는 수중 펌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KR1020200143695A 2020-10-30 2020-10-30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KR102288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695A KR102288474B1 (ko) 2020-10-30 2020-10-30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TW110139262A TWI817219B (zh) 2020-10-30 2021-10-22 船舶清掃裝置的過濾系統
PCT/KR2021/015219 WO2022092806A1 (ko) 2020-10-30 2021-10-27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695A KR102288474B1 (ko) 2020-10-30 2020-10-30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474B1 true KR102288474B1 (ko) 2021-08-10

Family

ID=77316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695A KR102288474B1 (ko) 2020-10-30 2020-10-30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88474B1 (ko)
TW (1) TWI817219B (ko)
WO (1) WO202209280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806A1 (ko) * 2020-10-30 2022-05-05 주식회사 타스글로벌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407366B1 (ko) * 2022-02-08 2022-06-10 (주)에스엘엠 선체 청소 시스템
KR102464284B1 (ko) * 2022-02-08 2022-11-09 (주)에스엘엠 모듈형 정화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6865A (ko) * 2011-08-09 2013-02-19 삼건세기(주)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 및 역세 방법
KR102088051B1 (ko) 2019-09-19 2020-04-24 주식회사 태평양해양산업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4825A (ja) * 1997-10-22 1999-05-1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床面清掃車
JP2007309333A (ja) * 2004-12-03 2007-11-29 Koichi Kawakami 五方弁
CN111397971A (zh) * 2020-04-30 2020-07-10 中国极地研究中心(中国极地研究所) 一种海水采集系统及科考船
KR102288474B1 (ko) * 2020-10-30 2021-08-10 주식회사 타스글로벌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6865A (ko) * 2011-08-09 2013-02-19 삼건세기(주) 역세 가능한 수처리 필터 시스템 및 역세 방법
KR102088051B1 (ko) 2019-09-19 2020-04-24 주식회사 태평양해양산업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806A1 (ko) * 2020-10-30 2022-05-05 주식회사 타스글로벌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407366B1 (ko) * 2022-02-08 2022-06-10 (주)에스엘엠 선체 청소 시스템
KR102464284B1 (ko) * 2022-02-08 2022-11-09 (주)에스엘엠 모듈형 정화장치
WO2023153598A1 (ko) * 2022-02-08 2023-08-17 (주)에스엘엠 선체 청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17219B (zh) 2023-10-01
WO2022092806A1 (ko) 2022-05-05
TW202220901A (zh) 202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8474B1 (ko)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JP2008212852A (ja) フィルター装置とその洗浄方法及びこれを備えた液体の無害化処理装置
US200602729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water filter backflush
JP6129389B1 (ja) ろ過装置
KR102590332B1 (ko) 역세척 필터장치
CN106964256A (zh) 一种可连续运行的帘式膜污水处理系统及方法
JP2008012603A (ja) クーラント浄化装置
KR102195451B1 (ko) 수중 펌프
CN203090567U (zh) 自动止逆高压反冲洗过滤装置
JP2018065539A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JP2004025111A (ja) 加圧型浸漬膜濾過装置
CN107952271B (zh) 连续自洗式过滤器
KR101557954B1 (ko) 수중 이물질 제거장치
KR102637384B1 (ko) 역세척 타입의 여과장치, 이를 포함하는 여과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CN109331664B (zh) 一种超滤膜冲洗装置及方法
KR101516160B1 (ko) 선박용 침전탱크 시스템
JP6459608B2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JP2005341925A (ja) 食品洗浄装置
JP6645144B2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CN110117138A (zh) 一种养殖污水循环过滤处理装置
KR102163581B1 (ko) 처리 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
CN214735102U (zh) 用于环境修复的污水处理装置
US11078099B1 (en) Barge washing wastewater treatment system
JPH06285741A (ja) 吸引式循環液体清浄装置
CN109569090A (zh) 一种带锥底结构的净化水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