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581B1 - 처리 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처리 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581B1
KR102163581B1 KR1020180161015A KR20180161015A KR102163581B1 KR 102163581 B1 KR102163581 B1 KR 102163581B1 KR 1020180161015 A KR1020180161015 A KR 1020180161015A KR 20180161015 A KR20180161015 A KR 20180161015A KR 102163581 B1 KR102163581 B1 KR 102163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ed water
sludge
water
water storag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2913A (ko
Inventor
편기열
편정인
김관호
문성용
오원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류
Priority to KR1020180161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5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72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3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33/7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fil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01D33/804Accessories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3/807Accessories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리 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슬러지를 한 번 더 필터링하고 처리수 일부를 세척수로 사용함으로써 처리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수처리 시스템을 연속적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하고자 미처리수가 공급되는 제1 미처리수 공급라인, 상기 미처리수 공급 라인과 연결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 상기 하우징의 일단을 관통하며, 상기 필터와 연통된 미처리수 공급구,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관통하며, 상기 필터 외주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노즐, 상기 필터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 내주면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슬러지 흡입노즐,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며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 흡입노즐과 연통된 슬러지 배출구,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필터를 통과한 처리수가 배출되는 제1 처리수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1 필터링부, 상기 슬러지 배출구와 연결되는 슬러지 공급라인, 상기 슬러지 공급 라인에 설치된 슬러지 공급펌프, 상기 슬러지 공급 라인과 연결된 슬러지 필터링 모듈과 상기 슬러지 필터링 모듈이 설치되며, 하단에 제2 처리수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싱을 포함하는 제2 필터링부, 상기 제1 처리수 배출구와 연결된 제1 처리수 저장라인, 상기 제2 처리수 배출구와 연결된 제2 처리수 저장라인, 상기 제1 처리수 저장 라인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는 제1 세척수 저장라인, 상기 제2 처리수 저장라인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는 제2 세척수 저장라인, 상기 제1 처리수 저장라인 및 상기 제2 처리수 저장라인과 연결되어 처리수를 세척수로 저장하는 세척수 저장 탱크, 상기 세척수 저장 탱크와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세척수 공급 라인, 상기 제1 처리수 저장라인 및 상기 제2 처리수 저장라인과 연결되며, 처리된 상기 처리수가 저장 및 사용되는 처리수 활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처리 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A water treatment system that is excellent in processing efficiency and can be operated continuously}
본 발명은 처리 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슬러지를 한 번 더 필터링하여 슬러지의 함수율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필터링된 처리수의 일부를 필터 세척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생산 공정이나 각종 산업시설에는 기체나 액체와 같은 유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체 내에 이물질이 포함되면, 생산 공정 및 산업시설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으며, 공정 및 장치의 효율성 및 내구성이 저하되므로 유체 내에 부유하는 불순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가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선박에서도 선박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평형수(ballast water)가 사용되고 있으며, 환경오염 및 선박 유지관리를 위해 평형수를 필터링하는 필터장치가 선박 내에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필터를 사용하여 유체를 필터링 하는 경우 필터를 지속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필터의 막힘 현상 및 필터링 성능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일정주기마다 필터를 교체해야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필터 장치 내의 압력을 이용하여 세척수를 역류시켜 필터에 부착된 오염물을 세척하는 역세척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409968호가 개시된 적이 있었다. 상기 선행문헌의 경우, 필터를 역세척함과 동시에 필터에 부착되는 이물질과 역세척수를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필터를 세척하기 위한 깨끗한 역세척수를 항상 구비해야하며, 역세척수의 저장용량의 한계에 따라 역세척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없음에 따라, 필터의 막힘 현상이 발생하며 필터를 연속적으로 운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역세척하여 배출되는 역세척수 및 슬러지는 버려짐에 따라, 유체의 처리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슬러지의 수분 함수율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연속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처리 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처리 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은 미처리수가 공급되는 제1 미처리수 공급라인, 상기 미처리수 공급 라인과 연결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 상기 하우징의 일단을 관통하며, 상기 필터와 연통된 미처리수 공급구,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관통하며, 상기 필터 외주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노즐, 상기 필터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 내주면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슬러지 흡입노즐,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며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 흡입노즐과 연통된 슬러지 배출구,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필터를 통과한 처리수가 배출되는 제1 처리수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1 필터링부, 상기 슬러지 배출구와 연결되는 슬러지 공급라인, 상기 슬러지 공급 라인에 설치된 슬러지 공급펌프, 상기 슬러지 공급 라인과 연결된 슬러지 필터링 모듈과 상기 슬러지 필터링 모듈이 설치되며, 하단에 제2 처리수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싱을 포함하는 제2 필터링부, 상기 제1 처리수 배출구와 연결된 제1 처리수 저장라인, 상기 제2 처리수 배출구와 연결된 제2 처리수 저장라인, 상기 제1 처리수 저장 라인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는 제1 세척수 저장라인, 상기 제2 처리수 저장라인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는 제2 세척수 저장라인, 상기 제1 세척수 저장라인 및 상기 제2 세척수 저장라인과 연결되어 처리수를 세척수로 저장하는 세척수 저장 탱크, 상기 세척수 저장 탱크와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세척수 공급 라인, 상기 제1 처리수 저장라인 및 상기 제2 처리수 저장라인과 연결되며, 처리된 상기 처리수가 저장 및 사용되는 처리수 활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필터링부는,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제1 보조 필터링 모듈,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제2 보조 필터링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미처리수 공급구와 상기 제1 보조 필터링 모듈 및 제2 보조 필터링 모듈을 각각 연결하는 제2 미처리수 공급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슬러지 필터링 모듈, 상기 제1 보조 필터링 모듈, 상기 제2 보조 필터링 모듈은, 측면 및 하면이 타공판으로 형성된 필터 컨테이너와 상기 필터 컨테이너에 수용되는 필터백과 상기 필터 컨테이너의 하단과 결합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미처리수 공급 라인에 설치되는 미처리수 컨트롤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수 저장 탱크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미처리수 컨트롤 밸브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 세척수 저장라인이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제1 처리수 컨트롤 밸브 및 제2 세척수 저장라인이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제2 처리수 컨트롤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수 저장 탱크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1 처리수 컨트롤 밸브 및 제2 처리수 컨트롤 밸브는 상기 제1세척수 저장라인 및 상기 제2 세척수 저장라인만 개방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처리 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은 슬러지를 흡입한 후 슬러지 필터링 모듈을 활용하여 한 번 더 필터링하므로 수처리 시스템의 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필터링된 처리수 일부를 세척수 저장탱크로 공급하므로 세척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수처리 시스템을 연속적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미처리수 일부를 보조 필터링 모듈로 공급하여 필터링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보조 필터링 모듈에 의해 처리된 처리수를 세척수 저장탱크로 공급하므로 필터의 막힘 및 세척수 부족 시에도 세척수를 확보하여 수처리 장치를 연속적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의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필터링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필터링부의 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처리 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은 제1 미처리수 공급라인(100), 제1 필터링부(200), 슬러지 공급 라인(300), 슬러지 공급펌프(400), 제2 필터링부(500), 제1 처리수 저장라인(600), 제2 처리수 저장라인(700), 제1 세척수 저장라인(800), 제2 세척수 저장라인(900), 세척수 저장 탱크(1000), 세척수 공급 라인, 처리수 활용부(1200)를 포함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처리수는 제1 미처리수 공급라인(100)을 통해 제1 필터링부(200)로 공급되며, 제1 필터링부(200)를 통해 처리된 1차 처리수는 제1 처리수 저장라인(600)을 통해 처리수 활용부(1200)로 공급된다. 이때, 제1 세척수 저장라인(800)이 제1 처리수 저장라인(600)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며, 제1 세척수 저장라인(800)을 통해 1차 처리수가 세척수 저장 탱크(1000)에 저장된다. 저장된 세척수는 세척수 공급라인(1100)을 통해 제1 필터링부(200)의 세척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슬러지 공급라인(300)이 제1 필터링부(200)와 제2 필터링부(500)를 연결하고 있으며, 제1 필터링부(200)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제2 필터링부(500)로 공급한다. 이때, 제1 필터링부(200)에서 필터링된 슬러지는 제2 필터링부(500)에서 한 번 더 필터링 되며, 슬러지가 필터링되어 생성된 처리수는 2차 처리수이다. 2차 처리수는 제2 처리수 저장라인(700)을 통해 처리수 활용부(1200)로 공급된다. 또한, 제1 처리수와 마찬가지로 제2 세척수 저장라인(900)이 제2 처리수 저장라인(700)에서 분기되어 형성되어 2차 처리수가 세척수 저장 탱크(10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처리수 활용부(1200)로 공급된 최종 처리수는 각종 산업환경에 사용된 후 다시 오염되어 제1 미처리수 공급라인(100)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의 공정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처리 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미처리수 공급라인(100)이 형성되어있으며, 제1 미처리수 공급라인(100)을 통해 미처리수가 제1 필터링부(200)로 공급된다. 이때, 제1 필터링부(200)는 하우징(210), 필터(220), 미처리수 공급구(230), 세척수 분사노즐(240), 슬러지 흡입노즐(250), 슬러지 배출구(260), 제1 처리수 배출구(27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필터링부(200)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제1 필터링부(200)를 설명하면, 먼저 제1 필터링부(200)는 하우징(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210) 내부에 필터(220)가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210)의 일단에는 미처리수 공급구(230)가 하우징(21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필터(220)와 연통되어 제1 미처리수 공급라인(100)과 필터(220)의 일단을 연결한다. 이에 따라, 필터(220) 내부로 미처리수가 공급되며, 필터(220)는 회전하며 미처리수를 필터링하여, 필터(220)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하우징(210)의 측면에는 필터(22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제1 필터링부(200)를 수평형 필터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제1 필터링부(200)는 수평형 및 수직형 필터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필터(220)의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세척수 분사노즐(240)이 하우징(210)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세척수 분사노즐(240)은 필터(220)의 외주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필터(220)를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슬러지 흡입노즐(250)은 필터(2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척수 및 필터(220) 내부의 이물질을 흡입한다. 이때, 슬러지 흡입노즐(250)은 세척수 및 슬러지 포집효율을 높이기 위해 세척수 분사노즐(240)과 대향되게 설치되며, 하우징(210)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러지 배출구(260)는 슬러지 흡입노줄과 연통되되, 하우징(2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미처리수 공급구(230) 측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적용형태에 따라, 하우징(210)의 일단, 타단, 측면 등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링된 1차 처리수가 하우징(210)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1 처리수 배출구(270)가 하우징(21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하우징(210)의 측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적용형태에 따라, 하우징(210)의 일단, 타단, 측면 등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220)가 회전하여 미처리수를 필터링하면, 미처리수는 필터(220)를 통과하여 하우징(210) 내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되는 처리수는 1차 처리수이며, 하우징(210)에 형성된 제1 처리수 배출구(2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제1 처리수 배출구(270)는 하우징(210)의 타단 또는 측면일 수도 있으며, 그 위치는 적용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필터링이 작업이 지속되는 경우, 필터(220) 내주면에 슬러지가 쌓이게 되어 필터링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 이때, 하우징(210)의 측면에 설치된 세척수 분사노즐(240)에서 필터(220) 외주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며, 필터(220) 내부에 설치된 슬러지 흡입노즐(250)이 세척수와, 필터(220) 내주면에 쌓인 슬러지를 흡입한다. 이와 같이 흡입된 슬러지는 슬러지 배출구(260)를 통해 하우징(21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슬러지 흡입노즐(250)은 세척수 및 슬러지의 포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세척수 분사노즐(240)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처리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을 설명하면, 슬러지 공급라인(300)이 제1 필터링부(200)의 슬러지 배출구(260)와 연결되어 있다. 즉, 제1 필터링부(200)에서 필터링된 후 필터(220) 내부에 잔여된 슬러지가 슬러지 공급라인(300)으로 배출된다. 이때, 슬러지 공급펌프(400)가 슬러지 공급라인(300)에 설치되어 슬러지를 흡입하도록 한다.
그 후, 흡입된 슬러지는 제2 필터링부(500)로 공급되어 다시 필터링 된다. 이는 슬러지 내에 함유된 수분을 다시 필터링하기 위한 것이다. 제2 필터링 부는 슬러지 필터링 모듈(510)과 케이싱(520)을 포함한다. 슬러지 필터링 모듈(510)은 슬러지 공급라인(300)과 연결되어 슬러지를 공급받아 다시 필터링한다. 케이싱(520)은 슬러지 필터링 모듈(510)이 설치되는 하우징(210)이며, 하단에 제2 처리수 배출구(52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슬러지 필터링 모듈(510)에서 필터링되어 배출되는 처리수는 2차 처리수이며, 케이싱(520) 내부로 배출되어 제2 처리수 배출구(521)를 통해 케이싱(52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제1 처리수 저장라인(600) 및 제2 처리수 저장라인(700)은 제1 처리수 배출구(270) 및 제2 처리수 배출구(521)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처리수 저장라인(600) 및 제2 처리수 저장라인(700)은 처리수 활용부(1200)와 연결되어, 필터링된 처리수를 처리수 활용부(1200)에서 활용하도록 공급하고 있다. 이때, 처리수 활용부(1200)는 필터링된 처리수가 활용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적용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처리수 활용부(1200)는 평형수 저장탱크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기타 산업 공정에서 유체의 필터링이 필요한 곳이면 어디에든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처리수 활용부(1200)에서 사용된 처리수는 오염된 후 다시 제1 미처리수 공급라인(100)으로 공급되어 다시 필터링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세척수 저장라인(800)이 제1 처리수 저장라인(600)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며, 제2 세척수 저장라인(900)이 제2 처리수 저장라인(700)으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된다. 제1 세척수 저장라인(800) 및 제2 세척수 저장라인(900)은 세척수 저장 탱크(1000)와 연결되어, 처리수 일부를 세척수로 사용하기 위해 세척수 저장탱크(1000)로 공급한다. 이는 처리수 일부를 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세척수 저장탱크(1000)에 저장된 세척수는 세척수 공급라인(1100)을 통해 세척수 분사노즐(240)로 공급되고, 필터(220) 외주면을 향해 분사되어 필터(220)를 세척하게 된다. 또한, 세척수의 공급 분사압력을 높이기 위해 세척수 공급라인(1100)에 세척수 공급펌프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링된 처리수 일부를 세척수로 저장하고, 세척수를 활용하여 필터(220)를 세척하므로, 필터(220)의 막힘을 방지하여 필터(220)의 연속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처리수 컨트롤 밸브가 제1 세척수 저장라인(800)이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처리수 컨트롤 밸브가 제2 세척수 저장라인(900)이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처리수 컨트롤 밸브 및 제2 처리수 컨트롤 밸브는 상기 세척수 저장 탱크(1000)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제1 세척수 저장라인(800) 및 제2 세척수 저장라인(900)이 개방되도록 제어된다. 이는, 세척수 저장 탱크(1000) 내 세척수 부족 시, 필터(220)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처리수 활용부(1200) 대신, 세척수 저장탱크(1000)로 처리수 전부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미리 설정된 수위는 작업자가 시스템의 동작 전 미리 설정하며, 수처리 시스템의 적용처, 미처리수 내의 슬러지 입자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제2 필터링부(500)는 제1 보조 필터링 모듈(530) 및 제2 보조 필터링 모듈(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보조 필터링 모듈(530) 및 제2 보조 필터링 모듈(540)뿐만 아니라 제 n 보조 필터링 모듈까지 더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1, 2 보조 필터링 모듈만 설치되었다는 가정하에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보조 필터링 모듈(530) 및 제2 보조 필터링 모듈(540)은 케이싱(520) 내부에 설치되며, 제2 미처리수 공급라인(1300)을 통해 미처리수 공급구(230)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제2 미처리수 공급라인(1300)은 미처리수 공급구(230)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미처리수 공급라인(100)을 통해 공급되는 미처리수의 일부가 유입되는 라인이다.
제1 보조 필터링 모듈(530) 제2 보조필터링 모듈을 통해 미처리수를 필터링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동작함에 따라 제1 필터링부(200)의 필터(220)에 슬러지가 쌓이게 되며, 차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세척수를 분사하여 필터(220)를 세척하나, 세척수가 부족한 경우 필터(220)를 충분히 세척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필터링부(200)에 차압이 발생하게 되며, 제1 필터링부(200)로 공급되는 미처리수는 제1 필터링부(200)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제2 미처리수 공급라인(1300)으로 공급된다. 즉, 더 많은 양의 미처리수가 제1 보조 필터링 모듈(530) 제2 보조 필터링 모듈(540)로 공급되며, 제1 보조 필터링 모듈(530) 및 제2 보조 필터링 모듈(540)을 통해 필터링되어 제2 처리수 배출구(521)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된 처리수의 일부는 제2 세척수 저장라인(900)을 통해 세척수 저장탱크(1000)에 저장되며, 저장된 세척수는 필터(220)를 세척하는데 사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필터링부(200)의 차압을 낮출 수 있게 되어 막힘없이 연속적으로 필터링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미처리수 공급라인(1300)에는 미처리수 공급 제어 밸브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미처리수 공급 제어밸브는 세척수 저장탱크(1000)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로 낮아지면, 개방되어 미처리수가 제2 미처리수 공급라인(1300)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보조 필터링 모듈(530) 및 제2 보조 필터링 모듈(540)을 통해 필터링된 세척수는 세척수 저장탱크(1000)에 저장되어 세척수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수 부족 시 신속하게 세척수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 미처리수 공급 제어밸브는 제2 미처리수 공급라인(1300)을 차단 또는 일부만 개방하고 있다, 세척수 저장탱크(1000)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완전히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미리 설정된 수위는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수처리 시스템의 적용처, 미처리수 내의 슬러지 입자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세척수로 필터(220)를 세척하여 필터(220)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고, 처리수 부족 시 제2 필터링부(500)를 통해 신속하게 세척수를 확보함에 따라, 수처리 시스템을 필터(220)의 막힘없이 연속적으로 운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필터(220)에서 흡입된 슬러지를 한 번 더 필터링함으로써 슬러지의 함수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필터링부(500)의 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터링부(500)는 케이싱(520)과, 케이싱(520) 내부에 설치되는 슬러지 필터링 모듈(510), 제1 보조 필터링 모듈(530), 제2 보조 필터링 모듈(540)을 포함한다.
이때, 슬러지 필터링 모듈(510), 제1 보조 필터링 모듈(530), 제2 보조 필터링 모듈(540)은 필터 컨테이너(501)와, 필터백(502)과, 지지대(503)를 포함한다.
필터 컨테이너(501)는 필터를 수용하는 하우징(210)이며, 측면 및 하면이 타공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필터를 통과한 처리수를 케이싱(520)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필터 컨테이너(501)의 상면은 측면과 동일하게 타공판으로 형성될 수 도 있으며, 필터 교체를 위해 개구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그리고, 필터백(502)은 필터 컨테이너(501)에 수용되어 미처리수 및 슬러지를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필터백(502)은 부직포 소재로의 필터로 처리속도 및 용량이 매우 큰 것이 특징이다. 즉, 필터백(502)은 제1 필터링부(200)의 필터보다 처리 속도 및 처리용량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세척수 부족 시 제2 미처리수 공급라인(1300)을 통해 공급되는 미처리수를 빠른 속도로 필터링할 수 있어, 세척수를 빠르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대(503)는 필터 컨테이너(501)의 하단에 결합되어 필터 컨테이너(501)를 지지하며, 필터 컨테이너(501)가 케이싱(520) 바닥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한다. 이는 필터 컨테이너(501)에서 배출되는 처리수가 다시 필터 컨테이너(50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필터백(502)을 통과한 처리수를 필터 컨테이너(501)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케이싱(520)에 형성되는 제2 처리수 배출구(521)는 지지대(503)와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 처리수 배출구(521)를 통해 배출된 2차 처리수는 제2 처리수 저장라인(700) 및 제2 세척수 저장라인(900)을 통해 처리수 활용부(1200) 및 세척수 저장탱크(1000)에 각각 공급되게 된다.
100: 제1 미처리수 공급라인
200: 제1 필터링부
210: 하우징
220: 필터
230: 미처리수 공급구
240: 세척수 분사노즐
250: 슬러지 흡입노즐
260: 슬러지 배출구
270: 제1 처리수 배출구
300: 슬러지 공급라인
400: 슬러지 공급펌프
500: 제2 필터링부
501: 필터 컨테이너
502: 필터백
503: 지지대
510: 슬러지 필터링 모듈
520: 케이싱
521: 제2 처리수 배출구
530: 제1 보조 필터링 모듈
540: 제2 보조 필터링 모듈
600: 제1 처리수 저장라인
700: 제2 처리수 저장라인
800: 제1 세척수 저장라인
900: 제2 세척수 저장라인
1000: 세척수 저장 탱크
1100: 세척수 공급라인
1200: 처리수 활용부
1300: 제2 미처리수 공급라인

Claims (5)

  1. 미처리수가 공급되는 제1 미처리수 공급라인;
    상기 미처리수 공급 라인과 연결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 상기 하우징의 일단을 관통하며, 상기 필터와 연통된 미처리수 공급구,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관통하며, 상기 필터 외주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노즐, 상기 필터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 내주면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슬러지 흡입노즐,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며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 흡입노즐과 연통된 슬러지 배출구,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필터를 통과한 처리수가 배출되는 제1 처리수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1 필터링부;
    상기 슬러지 배출구와 연결되는 슬러지 공급라인;
    상기 슬러지 공급 라인에 설치된 슬러지 공급펌프;
    상기 슬러지 공급 라인과 연결된 슬러지 필터링 모듈과 상기 슬러지 필터링 모듈이 설치되며, 하단에 제2 처리수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싱을 포함하는 제2 필터링부;
    상기 제1 처리수 배출구와 연결된 제1 처리수 저장라인;
    상기 제2 처리수 배출구와 연결된 제2 처리수 저장라인;
    상기 제1 처리수 저장 라인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는 제1 세척수 저장라인;
    상기 제2 처리수 저장라인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는 제2 세척수 저장라인;
    상기 제1 세척수 저장라인 및 상기 제2 세척수 저장라인과 연결되어 처리수를 세척수로 저장하는 세척수 저장 탱크;
    상기 세척수 저장 탱크와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세척수 공급 라인;
    상기 제1 처리수 저장라인 및 상기 제2 처리수 저장라인과 연결되며, 처리된 상기 처리수가 저장 및 사용되는 처리수 활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링부는,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제1 보조 필터링 모듈,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제2 보조 필터링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미처리수 공급구와 상기 제1 보조 필터링 모듈 및 제2 보조 필터링 모듈을 각각 연결하는 제2 미처리수 공급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필터링 모듈, 상기 제1 보조 필터링 모듈, 상기 제2 보조 필터링 모듈은,
    측면 및 하면이 타공판으로 형성된 필터 컨테이너와
    상기 필터 컨테이너에 수용되는 필터백과
    상기 필터 컨테이너의 하단과 결합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미처리수 공급 라인에 설치되는 미처리수 컨트롤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수 저장 탱크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미처리수 컨트롤 밸브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제1 세척수 저장라인이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제1 처리수 컨트롤 밸브; 및
    제2 세척수 저장라인이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제2 처리수 컨트롤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수 저장 탱크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1 처리수 컨트롤 밸브 및 제2 처리수 컨트롤 밸브는 상기 제1 세척수 저장라인 및 상기 제2 세척수 저장라인만 개방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
KR1020180161015A 2018-12-13 2018-12-13 처리 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 KR102163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015A KR102163581B1 (ko) 2018-12-13 2018-12-13 처리 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015A KR102163581B1 (ko) 2018-12-13 2018-12-13 처리 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913A KR20200072913A (ko) 2020-06-23
KR102163581B1 true KR102163581B1 (ko) 2020-10-07

Family

ID=71137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015A KR102163581B1 (ko) 2018-12-13 2018-12-13 처리 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5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1432A (ja) 2015-05-28 2016-12-28 三浦工業株式会社 バラスト水処理装置
KR101894876B1 (ko) 2018-03-02 2018-09-05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필터 프레스용 여과포 및 여과판 동시 세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444A (ko) * 1999-05-20 1999-09-06 임정남 폐수슬러지탈수시스템
KR100992828B1 (ko) * 2009-04-15 2010-11-09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여과필터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1432A (ja) 2015-05-28 2016-12-28 三浦工業株式会社 バラスト水処理装置
KR101894876B1 (ko) 2018-03-02 2018-09-05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필터 프레스용 여과포 및 여과판 동시 세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913A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12852A (ja) フィルター装置とその洗浄方法及びこれを備えた液体の無害化処理装置
EP4134147A1 (en) Multi-structure filter device for filtering out, isolating and dehydrating foreign matter in water
KR20150100667A (ko)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및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의 역세정 방법
US8277652B2 (en) Oil-sludge filtration system with aeration pump
JP2020114577A (ja) 水処理装置
KR101759548B1 (ko) 고압 세정수를 이용한 이동형 분리막 자동 세정장치
JP2008212851A (ja) フィルター装置の洗浄方法及びこのフィルター装置を備えた液体の浄化システム
JP2017094946A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KR102163581B1 (ko) 처리 효율이 우수하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
KR100241588B1 (ko)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2041612B1 (ko) 필터세척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
KR101616225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KR101634036B1 (ko) 여과기
JP2021030176A (ja) 船体搭載用濾過装置
JP2020049447A (ja) 固形薬剤供給装置
KR101672996B1 (ko) 유류정화와 탱크 세정기능을 갖는 유류저장시스템
KR101674853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JP5248938B2 (ja) 汚水処理装置
JP6459608B2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SU1101414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обработки сточных вод
JPH0761404B2 (ja) 液中の軽比重の浮遊物の除去装置
JP7466967B1 (ja) 洗浄汚水処理装置及び仮設機材洗浄装置
KR101106842B1 (ko) 물의 정화장치
KR200428879Y1 (ko) 침지형막여과시스템의 오염 방지 장치
CN210030128U (zh) 气水反清洗与化学药剂清洗相结合的平板膜过滤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