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051B1 -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051B1
KR102088051B1 KR1020190115708A KR20190115708A KR102088051B1 KR 102088051 B1 KR102088051 B1 KR 102088051B1 KR 1020190115708 A KR1020190115708 A KR 1020190115708A KR 20190115708 A KR20190115708 A KR 20190115708A KR 102088051 B1 KR102088051 B1 KR 102088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chamber
ship
filte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효 진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해양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해양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해양산업
Priority to KR1020190115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6Cleaning devices for hulls
    • B63B59/08Cleaning devices for hulls of underwater surfaces while aflo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8B1/002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6Cleaning devices for hulls
    • B63B59/08Cleaning devices for hulls of underwater surfaces while afloat
    • B63B2059/085Cleaning devices for hulls of underwater surfaces while afloat the devices being adapted for operation by div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이물질이 들러붙은 선박의 선저 표면에 접촉 마찰되어 선저로부터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청소수단;과, 상기 청소수단을 통해 분리된 이물질을 해수와 함께 흡입하여 육상으로 안내 배출하는 안내호스;와, 상기 안내호스 상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호스를 통해 이물질과 함께 해수가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와, 상기 안내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안내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해수를 정제하고, 그 정제된 해수는 외부로 배출하는 정제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청소부재의 브러쉬가 선저 표면에 직접 접촉 마찰되면서 선저에 들러붙은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방식의 청소수단을 통해 선저 표면의 효과적인 청소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분사기에서 고압수를 분사하여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해 작업자가 뒤로 밀려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잠수부가 매우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저 표면에서 분리 제거되는 이물질은 해수와 함께 안내호스를 통해 정제수단으로 공급 정화되는 특성상, 이물질이 바다에 버려져 발생할 수 있는 바다의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바다에 배출 부유하여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작업자의 용이한 작업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탈착수단을 통해 정제필터의 편리한 세척이 유도되는 특성상 정제필터를 효율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어 정제필터의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Cleaning and refining equipment for the bottom of a ship}
본 발명은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청소부재의 브러쉬가 선저 표면에 직접 접촉 마찰되면서 선저에 들러붙은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방식의 청소수단을 통해 선저 표면의 효과적인 청소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분사기에서 고압수를 분사하여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해 작업자가 뒤로 밀려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잠수부가 매우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장기간 운항하면 선저에 물이끼, 따개비 등의 부착생물과 물때와 같은 이물질이 부착되기 마련이며, 선저에 부착되는 부착생물과 이물질은 선박의 운항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선박의 선저에 부착생물과 이물질(이하, "이물질"이라 칭함)이 많이 부착되면 선박의 최대속도가 40% 까지 저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의 소모량이 대폭 증가되어 매우 비효율적으로 선박이 운항된다.
그러므로, 선박의 선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작업이 주기적으로 수행되는데, 종래에는 잠수부가 물속에 들어가 고압수를 분사하는 건 형태의 분사기로 선저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선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여기서, 건 형태의 종래의 분사기를 통해 선박을 향해 고압수를 분사하면, 분사되는 고압수의 반작용으로 분사기를 소지한 잠수부가 뒤로 밀려나 선박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는데, 잠수부와 선박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분사기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수와 선저의 마찰력이 저감되어 이물질의 효과적인 제거가 곤란함으로 잠수부는 연속적으로 선박으로 다가가는 작업을 수행하는 동시에 분사기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분사기를 통해서 선박의 선저에 들러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잠수부)는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므로, 작업을 장시간 수행할 수 없어 작업의 능률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건 형태의 종래 분사기는 고압수가 한점에 집중되는 구조로 인해 넓은 면적은 선저에 들러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분사기를 통해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해 제거되는 이물질이 수중에 떨어지면서 수중에 부유물 발생을 유발하고, 이러한 부유물은 잠수부의 시야를 방해하여 원활한 작업을 방해함으로, 선저의 이물질 제거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선저에 부착되는 부착생물과 이물질은 수중에 그대로 버려져 해수의 오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종래의 분사기는 물의 수압에 의지하여 선저 표면에 들러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선저 표면의 효율적인 청소가 곤란하다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청소부재의 브러쉬가 선저 표면에 직접 접촉 마찰되면서 선저에 들러붙은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방식의 청소수단을 통해 선저 표면의 효과적인 청소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분사기에서 고압수를 분사하여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해 작업자가 뒤로 밀려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잠수부가 매우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선저 표면에서 분리 제거되는 이물질은 해수와 함께 안내호스를 통해 정제수단으로 공급 정화되는 특성상, 이물질이 바다에 버려져 발생할 수 있는 바다의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바다에 배출 부유하여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작업자의 용이한 작업을 유도할 수 있는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탈착수단을 통해 정제필터의 편리한 세척이 유도되는 특성상 정제필터를 효율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어 정제필터의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는 이물질이 들러붙은 선박의 선저 표면에 접촉 마찰되어 선저로부터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청소수단;과, 상기 청소수단을 통해 분리된 이물질을 해수와 함께 흡입하여 육상으로 안내 배출하는 안내호스;와, 상기 안내호스 상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호스를 통해 이물질과 함께 해수가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와, 상기 안내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안내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해수를 정제하고, 그 정제된 해수는 외부로 배출하는 정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청소수단은 판 형상을 가지되, 상부 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위치되되, 하부 면에는 선박의 선저에 들러붙은 이물질과 접촉 마찰되어 선저로부터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브러쉬가 형성되는 청소부재와, 상기 몸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청소부재로 회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청소부재를 회전시키는 유압모터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상기 몸체의 하부 면 둘레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청소부재로 인해 분리된 이물질이 바다 속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 솔과, 상기 몸체의 하부 면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구를 통해 상기 청소부재를 통해 분리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안내 배출하는 흡입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흡입부재는 상기 안내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이물질과 해수가 상기 안내호스를 통해 육지로 이송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청소부재의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브러쉬에 대비하여 이물질과 더 강하게 접촉 마찰되는 다수의 마찰편과, 상기 청소부재 하부 면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청소부재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브러쉬와 마찰편으로 와류를 공급할 수 있는 와류날개가 다수 형성된 와류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정제수단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되, 상부에는 선박 선저에 들러붙어 있던 이물질이 포함되는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정제된 해수가 배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해수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걸러 집진하는 집진망이 형성되는 정제필터가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이 이격 위치되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정제필터의 집진망은 상부에 위치되는 상기 정제필터의 집진망보다 구멍이 조밀하게 형성되어 상기 챔버로 유입된 해수가 상기 정제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제되도록 유도하는 정제부재와, 상기 챔버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정제필터를 상기 챔버의 내부로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구멍과, 상기 챔버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내구멍을 통해 상기 챔버 내부로 내입된 상기 정제필터를 지지 고정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에 내입된 상기 정제필터를 결속 고정하는 결속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챔버 상에 형성되되, 상기 안내구멍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결속구멍과, 상기 정제필터의 끝단에서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결속구멍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결속고리와, 상기 결속고리를 관통하여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챔버에 의지하여 상기 결속고리와 함께 상기 정제필터의 이탈을 방지하되, 상부에는 절곡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속고리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결속핀을 포함하며,
상기 챔버로 해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정제필터의 청소가 요구되는 경우에 임시적으로 상기 정제필터를 대신하는 보조필터를 이용하여 해수의 정제과정을 연속하여 수행하면서 상기 정제필터의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정제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조 정제부재는 상기 챔버의 측면에 상기 안내구멍의 하부에 위치되는 보조 안내구멍과, 상기 보조 안내구멍을 통해 상기 챔버 내부로 내입되는 것으로, 내부에 해수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걸러 집진하는 보조 집진망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 정제필터와, 상기 챔버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 안내구멍을 통해 상기 챔버 내부로 내입된 상기 보조 정제필터를 지지 고정하는 보조 지지대와, 상기 보조 안내구멍을 탄성적으로 폐쇄하는 것으로, 상기 보조 정제필터가 상기 보조 안내구멍으로 유입되면 상기 보조 정제필터에 의해 밀려 개방되며 상기 보조 정제필터가 이탈되면 상기 보조 안내구멍을 탄성 폐쇄하는 보조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에 의하면,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청소부재의 브러쉬가 선저 표면에 직접 접촉 마찰되면서 선저에 들러붙은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방식의 청소수단을 통해 선저 표면의 효과적인 청소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분사기에서 고압수를 분사하여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해 작업자가 뒤로 밀려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잠수부가 매우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저 표면에서 분리 제거되는 이물질은 해수와 함께 안내호스를 통해 정제수단으로 공급 정화되는 특성상, 이물질이 바다에 버려져 발생할 수 있는 바다의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바다에 배출 부유하여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작업자의 용이한 작업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탈착수단을 통해 정제필터의 편리한 세척이 유도되는 특성상 정제필터를 효율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어 정제필터의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의 청소수단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의 청소수단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의 청소수단의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의 정제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의 정제수단의 B-B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의 정제수단의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의 청소수단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의 청소수단의 A-A 단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의 청소수단의 사시도를,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의 정제수단의 분리 사시도를,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의 정제수단의 B-B 단면도를,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의 정제수단의 사시도를,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100)는 청소수단(10)과, 안내호스(20)와, 흡입펌프(30)와, 정제수단(4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소수단(10)은 이물질이 들러붙은 선박의 선저 표면에 접촉 마찰되어 선저로부터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것으로, 몸체(11)와, 청소부재(12)와, 유압모터(13)와, 차단 솔(14)과, 흡입부재(15)로 구성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는 판 형상을 가지되, 상부 면에는 손잡이(11a)가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11)는 후설될 상기 청소부재(12), 유압모터(13), 차단 솔(14) 및 흡입부재(15)를 위치를 결속 고정하는 베이스로 사용되는 동시에, 바닷물에 잠액 사용되는 특성상 우수한 내구성 및 내부식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소부재(12)는 상기 몸체(11)의 하부에 위치되되, 하부 면에는 선박의 선저에 들러붙은 이물질과 접촉 마찰되어 선저로부터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브러쉬(12a)가 형성되도록 한다.
즉,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소부재(12)의 브러쉬(12a)는 선박의 선저에 접촉 마찰되어 선저에 들러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이러한 상기 청소부재(12)는 상기 유압모터(13)를 통해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되면서 선박의 선저를 매우 효과적으로 청소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청소부재(12)의 브러쉬(12a)는 선저에 들러붙은 이물질과 효과적으로 접촉 마찰되어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금속의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모터(13)는 상기 몸체(1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청소부재(12)로 회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청소부재(12)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청소수단(10)이 바닷물에 잠액되어 사용되는 특성상, 전기적인 모터의 사용이 곤란함으로 장치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유압을 이용한 모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 솔(14)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상기 몸체(11)의 하부 면 둘레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청소부재(12)로 인해 분리된 이물질이 바다 속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청소부재(12)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선저에 들러붙은 이물질을 분리시키면 상기 청소부재(12)가 회전하여 발생하는 와류로 인해 분리된 이물질이 주변으로 넓게 이탈될 수 있고, 이러한 이물질의 이탈은 해수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므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이 선저에 밀착되면서 상기 몸체(11) 내부로 독립된 공간을 구축하는 상기 차단 솔(14)을 통해 분리된 이물질이 주변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그 구축된 공간으로 이물질이 안정적으로 집진되게 한다.
이렇게 상기 차단 솔(14)을 통해 집진된 이물질은 상기 흡입부재(15)를 통해 외부로 흡입 배출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부재(15)는 상기 몸체(11)의 하부 면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구(15a)를 통해 상기 청소부재(12)를 통해 분리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안내 배출하도록 한다.
즉,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부재(15)는 상기 차단 솔(14)에 내부에 집진된 이물질을 상기 흡입구(15a)를 통해 바닷물(해수)과 함께 흡입하여 후설될 상기 안내호스(20)를 통해 후설될 상기 정제수단(40)으로 이송 배출하여 이물질로 인한 바다의 환경오염을 안정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구(15a)는 상기 차단 솔(1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위치되어 이물질의 효과적인 흡입을 유도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100)에서는 총 3개의 흡입구(15a)가 형성 사용되나, 이러한 개수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호스(20)는 상기 청소수단(10)을 통해 분리된 이물질을 해수와 함께 흡입하여 육상으로 안내 배출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호스(20)의 일단은 상기 흡입부재(15)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정제수단(40)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재(15)를 통해 흡입된 해수를 상기 정제수단(40)으로 안내하는 매개체로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펌프(30)는 상기 안내호스(2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호스(20)를 통해 이물질과 함께 해수가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제수단(40)은 상기 안내호스(20)와 연결되어 상기 안내호스(20)를 통해 공급되는 해수를 정제하고, 그 정제된 해수는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챔버(41)와, 정제부재(42)와, 안내구멍(43)과, 지지대(44)로 구성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41)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되, 상부에는 선박 선저에 들러붙어 있던 이물질이 포함되는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구(41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정제된 해수가 배출되는 유출구(41b)가 형성되도록 한다.
즉,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41)는 후설될 상기 정제부재(42)를 통해 해수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집진되도록 해수를 안내하는 매개체로 사용되는 구성으로, 상기 챔버(41)의 유입구(41a)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의 용량에 기반으로 적합한 크기로 설계 제작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챔버(41)의 하부에 바퀴(1)를 형성하여 상기 챔버(41)의 용이한 이동을 유도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41a)와 유출구(41b) 상에는 통상의 밸브(2)를 형성하여 상기 유입구(41a)와 유출구(41b)의 용이한 개폐를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제부재(42)는 상기 챔버(41)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챔버(41)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해수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걸러 집진하는 집진망(42a')이 형성되는 정제필터(42a)가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이 이격 위치되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정제필터(42a)의 집진망(42a')은 상부에 위치되는 상기 정제필터(42a)의 집진망(42a')보다 구멍이 조밀하게 형성되어 상기 챔버(41)로 유입된 해수가 상기 정제필터(42a)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제되도록 유도한다.
통상적으로 선박이 장기간 운행하다 보면 선저의 표면에 물이끼, 따개비 등의 부착생물과 물때와 같은 이물질이 부착되고, 이러한 이물질은 선박의 효율적인 항해를 위해 주기적으로 제거되는데, 이때 제거되는 이물질이 바다로 곧바로 배출되면 바다(해수)가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선저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이 포함된 해수는 회수하여 상기 정제부재(42)를 통해 정제하게 되는데, 상기 정제부재(42)는 다수의 정제필터(42a)가 수직으로 이격 배치되는 특성상, 상기 챔버(41)의 유입구(41a)로 유입된 해수가 다수의 상기 정제필터(42a)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제되어 상기 유출구(41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제부재(42)를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정제필터(42a)는 하부에 위치될수록 점차 구멍이 조밀한 집진망(42a')이 형성되므로 상기 정제필터(42a)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해수에 잔존하는 이물질 중에서 크기가 다소 큰 이물질은 상부에 위치되는 상기 정제필터(42a)를 통해 집집될 것이고, 크기가 다소 작은 이물질은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정제필터(42a)를 통해 집진되어 해수의 효과적인 정제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100)의 정제부재(42)는 총 4개의 정제필터(42a)로 구성되어 해수가 4개의 상기 정제필터(42a)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정밀하게 정제되도록 유도하나, 이러한 개수로 정제필터(42a)를 한정하여 상기 정제부재(42)를 구현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구멍(43)은 상기 챔버(41)의 측면에 다수 형성되어 상기 정제필터(42a)를 상기 챔버(41)의 내부로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정제필터(42a)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구멍(43)은 상기 챔버(41) 내측에 설치된 후설될 상기 지지대(44)로 상기 정제필터(42a)를 안내하여 상기 챔버(41) 내부에 상기 정제필터(42a)가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구멍(43)은 상기 정체필터(42a)가 내입되면 상기 정체필터(42a)의 끝단에 의해 폐쇄되어 상기 챔버(41)로 유통되는 해수가 상기 안내구멍(4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44)는 상기 챔버(41)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내구멍(43)을 통해 상기 챔버(41) 내부로 내입된 상기 정제필터(42a)를 지지 고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44)는 상기 챔버(41)의 양 내측에 상기 안내구멍(43)을 통해 상기 정제필터(42a)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구멍(43)을 통해 내입되는 상기 정제필터(42a)를 슬라이드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안내구멍(43)을 통해 내입 완료된 상기 정제필터(42a)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정제필터(42a)의 안정적인 고정을 유도하게 된다.
한편,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소부재(12)의 브러쉬(12a1)의 마모나 선저의 굴곡을 보상하여 상기 청소부재(12)의 브러쉬(12a1)를 선저에 탄성 밀착시키는 밀착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밀착수단(50)은 상기 유압모터(13)와 연결되어 상기 유압모터(13)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밀착패널(51)과, 상부는 상기 밀착패널(51)에 결합 고정되고, 하부는 상기 청소부재(12)를 관통하여 상기 청소부재(12)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봉(52)과, 상기 안내봉(52)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밀착패널(51)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밀착패널(51)을 지지하는 스토퍼(53)와, 상기 안내봉(52) 상에 형성되어 상기 청소부재(12)를 하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밀착스프링(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청소부재(12)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상기 브러쉬(12a)가 마모되면 상기 밀착수단(50)의 밀착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브러쉬(12a)가 마모된 만큼 상기 청소부재(12)가 하강 밀착되므로 상기 청소부재(12)를 통한 선저의 용이한 청소를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청소부재(12)의 브러쉬(12a) 마모를 보상하여 상기 청소부재(12)의 사용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저에 굴곡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밀착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청소부재(12)가 굴곡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청소부재(12)를 통한 효과적인 청소를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청소부재(12)는 상기 안내봉(52)의 안내에 의해 안정적으로 수직 승·하강됨은 물론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소부재(12)의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브러쉬(12a1)에 대비하여 이물질과 더 강하게 접촉 마찰되는 다수의 마찰편(61);과,
상기 청소부재(12) 하부 면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청소부재(12)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브러쉬(12a1)와 마찰편(61)으로 와류를 공급할 수 있는 와류날개(62a)가 다수 형성된 와류부재(6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선박이 장기간 운항하다 보면 선저에 물이끼, 물때, 따개비 등과 같은 이물질이 부착되는데, 따개비와 같은 이물질의 경우에는 강한 흡착력으로 부착되어 있어 상기 청소부재(12)의 브러쉬(12a)로 제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선저에 부착된 따개비와 같은 이물질은 강한 마찰력을 갖는 상기 마찰편(61)을 통해 효과적으로 분리 제거하는 방식으로 상기 청소부재(12)를 통해 선저가 매우 효과적으로 청소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소부재(12)를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선저에서 분리되는 이물질이 상기 브러쉬(12a)나 마찰편(61)에 부착되면서 상기 브러쉬(12a)나 마찰편(61)을 통한 청소효율이 점차 저감될 수 있는데, 상기 청소부재(12)와 함께 회전되는 상기 와류부재(62)의 와류를 통해 상기 브러쉬(12a)나 마찰편(61)에 부착된 이물질을 털어내어 상기 브러쉬(12a)와 마찰편(61)이 항상 최적의 상태로 유지함으로 상기 청소부재(12)를 통한 청소효율을 극대화되도록 한다.
한편,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제필터(42a)의 집진망(42a')의 용이한 탈착을 유도하는 탈착수단(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탈착수단(70)은 상기 정제필터(42a)의 내측 둘레를 경유하여 상기 정제필터(42a)에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상기 집진망(42a')의 가장자리 끝단이 내입 고정될 수 있도록 탈착홈(71a)이 형성되는 탈착프레임(71)과, 상기 정제필터(42a)의 내측에 결합 고정되어 결속볼트(73)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다수의 결속너트(72)와, 상기 결속너트(72)에 체결되어 상기 결속너트(72)의 안내를 받아 수직 승강 또는 하강하되, 하부는 상기 탈착프레임(71)을 관통하여 상기 탈착홈(71a)에 내입 고정된 상기 집진망(42a')의 가장자리 부분을 압착하여 상기 집진망(42a')을 결속 고정하는 결속볼트(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100)를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상기 정제필터(42a)의 집진망(42a')에 다수의 이물질이 집진되기 마련이며, 이렇게 많은 이물질이 상기 집진망(42a')에 집진되면 상기 정제필터(42a)의 정제 기능이 상실되므로 상기 정제필터(42a)의 청소가 요구된다.
즉,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제필터(42a)의 청소가 요구되면 상기 챔버(41)로부터 상기 정제필터(42a)를 회수한 후, 상기 결속너트(72)에 체결된 상기 결속볼트(73)를 회전 승강시켜 상기 결속볼트(73)에 가압 결속된 상기 집진망(42a')의 결속을 해제한다.
그런 후, 도 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프레임(71)의 탈착홈(71a)으로부터 상기 집진망(42a')을 분리 이탈시켜 상기 집진망(42a')을 간편히 청소하거나, 다른 집진망(42a')으로 교체한 후에 다시 상기 탈착프레임(71)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상기 정제필터(42a)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집진망(42a')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금속망으로 상기 탈착홈(71a)에 내입하거나 분리 이탈시키는 경우에 상기 집진망(42a')을 가볍게 수축한(오므린) 상태로 간편히 내입 또는 분리 이탈시키도록 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41)에 내입된 상기 정제필터(42a)를 결속 고정하는 결속수단(8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결속수단(80)은 상기 챔버(41) 상에 형성되되, 상기 안내구멍(43)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결속구멍(81)과, 상기 정제필터(42a)의 끝단에서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결속구멍(8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결속고리(82)와, 상기 결속고리(82)를 관통하여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챔버(41)에 의지하여 상기 결속고리(82)와 함께 상기 정제필터(42a)의 이탈을 방지하되, 상부에는 절곡 돌출되는 걸림부(83a)가 형성되어 상기 결속고리(82)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결속핀(8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챔버(41)의 유입구(41a)로 해수가 유입 공급되어 다수의 상기 정제필터(42a)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해수와 충돌되는 상기 정제필터(42a)에 충격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충격은 상기 정제필터(42a)가 상기 안내구멍(43)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원인이 되므로, 상기 정제필터(42a)가 상기 챔버(41)에 견고히 결속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해수 정제과정을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다.
즉, 상기 챔버(41)의 안내구멍(43)으로 상기 정제필터(42a)가 내입되면 상기 정제필터(42a)의 끝단에 형성되는 상기 결속고리(82)가 상기 결속구멍(8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그 노출된 상기 결속고리(82)로 상기 결속핀(83)을 관통 위치시켜 상기 결속핀(83)에 의해 상기 결속고리(83)와 함께 상기 정제필터(42a)의 이탈을 방지하여 상기 정제필터(42a)에 충격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정제필터(42a)의 위치가 견고히 고정되어 상기 정제필터(42a)의 정제기능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41)로 해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정제필터(42a)의 청소가 요구되는 경우에 임시적으로 상기 정제필터(42a)를 대신하는 보조필터(72)를 이용하여 해수의 정제과정을 연속하여 수행하면서 상기 정제필터(42a)의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정제부재(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조 정제부재(90)는 상기 챔버(41)의 측면에 상기 안내구멍(43)의 하부에 위치되는 보조 안내구멍(91)과, 상기 보조 안내구멍(91)을 통해 상기 챔버(41) 내부로 내입되는 것으로, 내부에 해수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걸러 집진하는 보조 집진망(92a)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 정제필터(92)와, 상기 챔버(41)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 안내구멍(91)을 통해 상기 챔버(41) 내부로 내입된 상기 보조 정제필터(92)를 지지 고정하는 보조 지지대(93)와, 상기 보조 안내구멍(91)을 탄성적으로 폐쇄하는 것으로, 상기 보조 정제필터(92)가 상기 보조 안내구멍(91)으로 유입되면 상기 보조 정제필터(92)에 의해 밀려 개방되며 상기 보조 정제필터(92)가 이탈되면 상기 보조 안내구멍(91)을 탄성 폐쇄하는 보조 덮개(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100)는 유압모터(13)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청소부재(12)의 브러쉬(12a)가 선저 표면에 직접 접촉 마찰되면서 선저에 들러붙은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방식의 청소수단을 통해 선저 표면의 효과적인 청소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분사기에서 고압수를 분사하여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해 작업자가 뒤로 밀려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잠수부가 매우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저 표면에서 분리 제거되는 이물질은 해수와 함께 안내호스(20)를 통해 상기 정제수단(40)으로 공급 정화되는 특성상, 이물질이 바다에 버려져 발생할 수 있는 바다의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바다에 배출 부유하여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작업자의 용이한 작업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탈착수단(70)을 통해 상기 정제필터(42a)의 편리한 세척이 유도되는 특성상 상기 정제필터(42a)를 효율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어 상기 정제필터(42a)의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먼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지에 배치된 정제수단(40)의 챔버(41)에 형성되는 각각의 안내구멍(43)으로 정제부재(42)의 정제필터(42a)를 각각 내입 배치하고, 상기 챔버(41)의 유입구(41a)에 청소수단(10)을 안내호스(20)를 통해 상호 연통되게 연결한다.
그런 후,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소수단(10)을 이용하여 선저를 청소하기 위해 잠수부는 상기 청소수단(10)의 몸체(11) 하부를 청소하고자 하는 선저에 밀착시킨다.
그런 후,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모터(13)에 의해 청소부재(12)가 회전되면 상기 청소부재(12)의 브러쉬(12a)가 선저에 들러붙은 이물질과 접촉 마찰되면서 자연스럽게 선저의 이물질이 분리 제거되도록 한다.
이때, 선저 표면에 굴곡이 형성되더라도 밀착수단(50)에 의해 상기 청소부재(12)의 브러쉬(12a)가 선저 표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므로 상기 청소부재(12)를 통한 효과적인 청소가 유도된다.
그런 후,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제거된 이물질은 차단 솔(14)에 의해 외부로 이탈이 방지되고, 그 상태에서 흡입부재(15)의 흡입구(15a)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은 해수와 함께 안내호스(20)를 통해 외부(육지)에 배치된 정제수단(40)으로 안내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부재(15)는 흡입펌프(30)의 흡입력으로 이물질을 흡입 배출함은 물론이다.
그런 후,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호스(20)를 통해 상기 챔버(41)의 유입구(41a)로 안내 배출되어 낙하하는 해수는 상기 정제필터(42a)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해수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상기 정제필터(42a)의 집진망(42a')에 집진되면서 정화되고, 그 정화된 해수는 상기 유출구(41b)를 통해 배출처로 배출된다.
여기서, 다수의 상기 정제필터(42a)의 집진망(42a')은 하부에 위치될수록 점차 구멍이 조밀하게 형성되는 특성상, 상기 정제필터(42a)를 통과하는 해수에 잔존하는 이물질 중에서 다소 큰 이물질은 상부의 상기 정제필터(42a)를 통해 집진되고 다소 작은 이물질은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정제필터(42a)를 통해 집진되면서 정밀하게 정화된다.
한편, 도 8f와 도 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상기 정제필터(42a)에 많은 양의 이물질이 집진되어 상기 정제필터(42a)의 청소가 요구되면, 상기 정제필터(42a)를 회수한 후에 탈착수단(70)을 통해 상기 집진망(42a')을 간편히 분리 회수하여 청소를 수행한 후에 다시 상기 정제필터(42a)에 설치하여 재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바퀴 2. 밸브
10. 청소수단 11. 몸체
12. 청소부재 12a. 브러쉬
13. 유압모터 14. 차단 솔
15. 흡입부재 15a. 흡입구
20. 안내호스 30. 흡입펌프
40. 정제수단 41. 챔버
41a. 유입구 41b. 유출구
42. 정제부재 42a. 정제필터
42a'. 집진망 43. 안내구멍
44. 지지대 50. 밀착수단
51. 밀착패널 52. 안내봉
53. 스토퍼 54. 밀착스프링
61. 마찰편 62. 와류부재
62a. 와류날개 70. 탈착수단
71. 탈착프레임 71a. 탈착홈
72. 결속너트 73. 결속볼트
80. 결속수단 81. 결속구멍
82. 결속고리 83. 결속핀
83a. 걸림부 90. 보조 정제부재
91. 보조 안내구멍 92. 보조 정제필터
93. 보조 지지대 94. 보조 덮개
100.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

Claims (8)

  1. 이물질이 들러붙은 선박의 선저 표면에 접촉 마찰되어 선저로부터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청소수단(10);
    상기 청소수단(10)을 통해 분리된 이물질을 해수와 함께 흡입하여 육상으로 안내 배출하는 안내호스(20);
    상기 안내호스(2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호스(20)를 통해 이물질과 함께 해수가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30); 및
    상기 안내호스(20)와 연결되어 상기 안내호스(20)를 통해 공급되는 해수를 정제하고, 그 정제된 해수는 외부로 배출하는 정제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청소수단(10)은 판 형상을 가지되, 상부 면에는 손잡이(11a)가 형성되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하부에 위치되되, 하부 면에는 선박의 선저에 들러붙은 이물질과 접촉 마찰되어 선저로부터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브러쉬(12a)가 형성되는 청소부재(12)와, 상기 몸체(1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청소부재(12)로 회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청소부재(12)를 회전시키는 유압모터(13)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상기 몸체(11)의 하부 면 둘레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청소부재(12)로 인해 분리된 이물질이 바다 속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 솔(14)과, 상기 몸체(11)의 하부 면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구(15a)를 통해 상기 청소부재(12)를 통해 분리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안내 배출하는 흡입부재(15)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흡입부재(15)는 상기 안내호스(20)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15a)로 흡입된 이물질과 해수가 상기 안내호스(20)를 통해 육지로 이송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청소부재(12)의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브러쉬(12a)에 대비하여 이물질과 더 강하게 접촉 마찰되는 다수의 마찰편(61);과, 상기 청소부재(12) 하부 면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청소부재(12)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브러쉬(12a)와 마찰편으로 와류를 공급할 수 있는 와류날개(62a)가 다수 형성된 와류부재(6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단(40)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되, 상부에는 선박 선저에 들러붙어 있던 이물질이 포함되는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구(41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정제된 해수가 배출되는 유출구(41b)가 형성되는 챔버(41)와,
    상기 챔버(41)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챔버(41)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해수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걸러 집진하는 집진망(42a')이 형성되는 정제필터(42a)가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이 이격 위치되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정제필터(42a)의 집진망(42a')은 상부에 위치되는 상기 정제필터(42a)의 집진망(42a')보다 구멍이 조밀하게 형성되어 상기 챔버(41)로 유입된 해수가 상기 정제필터(42a)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제되도록 유도하는 정제부재(42)와,
    상기 챔버(41)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정제필터(42a)를 상기 챔버(41)의 내부로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구멍(43)과,
    상기 챔버(41)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내구멍(43)을 통해 상기 챔버(41) 내부로 내입된 상기 정제필터(42a)를 지지 고정하는 지지대(44)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41)에 내입된 상기 정제필터(42a)를 결속 고정하는 결속수단(8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결속수단(80)은 상기 챔버(41) 상에 형성되되, 상기 안내구멍(43)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결속구멍(81)과, 상기 정제필터(42a)의 끝단에서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결속구멍(8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결속고리(82)와, 상기 결속고리(82)를 관통하여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챔버(41)에 의지하여 상기 결속고리(82)와 함께 상기 정제필터(42a)의 이탈을 방지하되, 상부에는 절곡 돌출되는 걸림부(83a)가 형성되어 상기 결속고리(82)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결속핀(83)을 포함하며,
    상기 챔버(41)로 해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정제필터(42a)의 청소가 요구되는 경우에 임시적으로 상기 정제필터(42a)를 대신하는 보조필터(72)를 이용하여 해수의 정제과정을 연속하여 수행하면서 상기 정제필터(42a)의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정제부재(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조 정제부재(90)는 상기 챔버(41)의 측면에 상기 안내구멍(43)의 하부에 위치되는 보조 안내구멍(91)과, 상기 보조 안내구멍(91)을 통해 상기 챔버(41) 내부로 내입되는 것으로, 내부에 해수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걸러 집진하는 보조 집진망(92a)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 정제필터(92)와, 상기 챔버(41)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 안내구멍(91)을 통해 상기 챔버(41) 내부로 내입된 상기 보조 정제필터(92)를 지지 고정하는 보조 지지대(93)와, 상기 보조 안내구멍(91)을 탄성적으로 폐쇄하는 것으로, 상기 보조 정제필터(92)가 상기 보조 안내구멍(91)으로 유입되면 상기 보조 정제필터(92)에 의해 밀려 개방되며 상기 보조 정제필터(92)가 이탈되면 상기 보조 안내구멍(91)을 탄성 폐쇄하는 보조 덮개(9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115708A 2019-09-19 2019-09-19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 KR102088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708A KR102088051B1 (ko) 2019-09-19 2019-09-19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708A KR102088051B1 (ko) 2019-09-19 2019-09-19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051B1 true KR102088051B1 (ko) 2020-04-24

Family

ID=70466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708A KR102088051B1 (ko) 2019-09-19 2019-09-19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0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16806A (zh) * 2020-12-18 2021-04-09 南昌工程学院 一种园林青石路用青苔清除装置
KR102288474B1 (ko) 2020-10-30 2021-08-10 주식회사 타스글로벌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KR20220123879A (ko) * 2021-03-02 2022-09-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저 표면의 청소 또는 검사 시스템 및 선저 표면의 청소 또는 검사 방법
KR102464284B1 (ko) * 2022-02-08 2022-11-09 (주)에스엘엠 모듈형 정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4825A (ja) * 1997-10-22 1999-05-1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床面清掃車
KR20160029879A (ko) * 2014-09-05 2016-03-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중 청소로봇
KR20170080359A (ko) * 2015-12-31 2017-07-10 효 진 이 선박용 워터제트 클리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4825A (ja) * 1997-10-22 1999-05-1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床面清掃車
KR20160029879A (ko) * 2014-09-05 2016-03-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중 청소로봇
KR20170080359A (ko) * 2015-12-31 2017-07-10 효 진 이 선박용 워터제트 클리너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474B1 (ko) 2020-10-30 2021-08-10 주식회사 타스글로벌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WO2022092806A1 (ko) * 2020-10-30 2022-05-05 주식회사 타스글로벌 선박 청소 장치의 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
TWI817219B (zh) * 2020-10-30 2023-10-01 南韓商塔斯全球有限公司 船舶清掃裝置的過濾系統
CN112616806A (zh) * 2020-12-18 2021-04-09 南昌工程学院 一种园林青石路用青苔清除装置
CN112616806B (zh) * 2020-12-18 2022-05-20 南昌工程学院 一种园林青石路用青苔清除装置
KR20220123879A (ko) * 2021-03-02 2022-09-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저 표면의 청소 또는 검사 시스템 및 선저 표면의 청소 또는 검사 방법
KR102506800B1 (ko) * 2021-03-02 2023-03-0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저 표면의 청소 시스템 및 선저 표면의 청소 방법
KR102464284B1 (ko) * 2022-02-08 2022-11-09 (주)에스엘엠 모듈형 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051B1 (ko) 선박 선저용 청소 및 정제장치
US10914092B2 (en) Swimming pool cleaning device including a removable filter device
US4959146A (en) Remotely operated submersible underwater suction apparatus
US6315648B1 (en) Apparatus for pressure treating a surface
CN210280063U (zh) 一种水利施工管道外表面除污装置
EP2581526A3 (en) Pool cleaner base plate with high pressure cleaning jets
KR20170080359A (ko) 선박용 워터제트 클리너
KR102088050B1 (ko) 선박 선저용 청소장치
CN208960484U (zh) 一种带回收功能的空化射流清洗盘
CN115193130A (zh) 一种化学实验室用可固液分离的废液净化器
CN109201589A (zh) 一种带回收功能的空化射流清洗盘
CN210964484U (zh) 一种环保除尘过滤装置
CN201244566Y (zh) 金属滤芯专用超声波清洗机
CN204619510U (zh) 一种反冲洗系统
CN214732282U (zh) 一种输煤皮带用水洗清扫装置
CN207085547U (zh) 一种脉冲布袋除尘器
CN215305590U (zh) 回收桶和清洁设备
CN213439130U (zh) 一种无尘干磨设备
CN212330490U (zh) 过滤机构及具有其的机床
CA2452248C (en) Self-evacuating vacuum cleaner for cleaning ponds or swimming pools
CN208809715U (zh) 一种用于颗粒物处理的滤筒式除尘设备
CN202578974U (zh) 矿用重型汽车空气滤清器除尘机除尘净化装置
CN111941143A (zh) 过滤机构及具有其的机床
CN206202630U (zh) 船体清刷监测水下机器人用直角轴座
CN215507999U (zh) 一种阀座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