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385B1 -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385B1
KR101551385B1 KR1020130103572A KR20130103572A KR101551385B1 KR 101551385 B1 KR101551385 B1 KR 101551385B1 KR 1020130103572 A KR1020130103572 A KR 1020130103572A KR 20130103572 A KR20130103572 A KR 20130103572A KR 101551385 B1 KR101551385 B1 KR 101551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eatment tank
casing
air injec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5664A (ko
Inventor
김억조
Original Assignee
(주) 영동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영동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영동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103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385B1/ko
Publication of KR20150025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학적 혹은 생물학적으로 처리된 오염수가 유입되는 방류조와 소독조 등을 포함하는 처리조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내부에 투입되는 여과부재를 통해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수로부터 제거되어 여과부재에 부착된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을 하부에 설치되는 공기공급관에서 상향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통해 간편하게 역세할 수 있도록 하는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화학적 혹은 생물학적으로 처리된 오염수가 유입되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처리조에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처리조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처리조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여과부재가 수용되며, 하부에 복수 개의 공기분사공이 상측에 뚫린 공기분사관이 설치되고, 상기 오염수가 자유롭게 통과하도록 망 구조로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처리조의 일측 하부에 상기 공기분사관과 연결되게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분사관으로 공급하는 공기공급관; 및 상기 처리조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는 역세수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오염수가 상기 처리조로 유입된 후 외부로 유출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여과부재에 의해 상기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오염수를 여과하고, 상기 처리조의 이전 단계에서 설치되어 상기 오염수를 상기 처리조로 유출하는 수조의 수위가 기설정된 높이보다 높은 경우 혹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상기 역세수배출관이 개방되고 상기 공기공급관으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공기분사관을 거쳐 상기 공기분사공을 통해 상방으로 분사되면서 상기 오염수가 역세수로 작용하여 상기 여과부재에 부착된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을 분리하여 상기 여과부재를 역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Easy to install waste water processing filtration device}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학적 혹은 생물학적으로 처리된 오염수가 유입되는 방류조와 소독조 등을 포함하는 처리조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내부에 투입되는 여과부재를 통해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수로부터 제거되어 여과부재에 부착된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을 하부에 설치되는 공기공급관에서 상향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통해 간편하게 역세할 수 있도록 하는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 여과장치는 여과조의 일측에서 유입되어 타측으로 유출되는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을 여과조의 내측에 구비된 여과부재를 통해 여과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처리 여과장치에는 여과성능이 유지되도록 여과부재에 부착된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을 역세하여 분리시키는 역세수의 공급을 위하여 역세조와 역세펌프가 더 구비되어 있다.
즉, 수처리 여과장치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여과조, 여과부재, 역세조, 및 역세펌프 등과 같은 구성 요소들을 갖추어야 한다. 여기서 수처리 여과장치는 화학적 혹은 생물학적으로 처리를 마친 오염수가 유입되는 방류조 혹은 소독조 등에 부가적으로 설치하기도 한다.
그러나 수처리 여과장치를 방류조 혹은 소독조 등에 부가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구성 요소들을 모두 갖춰야 하므로,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공간 확보가 용이하지 못하고 설치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설치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방류조 혹은 소독조 등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을 여과하여 오염수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수처리 여과장치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54836호, 2002.09.17.자 등록.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50675호, 2012.05.21.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방류조 혹은 소독조 등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을 여과부재를 통해 제거하고 여과부재에 부착되는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을 압축공기에 의한 처리수의 흐름을 통해 역세하는 구조를 가지는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는, 화학적 혹은 생물학적으로 처리된 오염수가 유입되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처리조에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처리조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처리조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여과부재가 수용되며, 하부에 복수 개의 공기분사공이 상측에 뚫린 공기분사관이 설치되고, 상기 오염수가 자유롭게 통과하도록 망 구조로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처리조의 일측 하부에 상기 공기분사관과 연결되게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분사관으로 공급하는 공기공급관; 및 상기 처리조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는 역세수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오염수가 상기 처리조로 유입된 후 외부로 유출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여과부재에 의해 상기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오염수를 여과하고, 상기 처리조의 이전 단계에서 설치되어 상기 오염수를 상기 처리조로 유출하는 수조의 수위가 기설정된 높이보다 높은 경우 혹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상기 역세수배출관이 개방되고 상기 공기공급관으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공기분사관을 거쳐 상기 공기분사공을 통해 상방으로 분사되면서 상기 오염수가 역세수로 작용하여 상기 여과부재에 부착된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을 분리하여 상기 여과부재를 역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처리조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가 좌우 다단으로 연결 설치되도록, 이웃하여 연결되는 두 케이싱의 공기분사관이 상호 연결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의 상면부는, 상기 여과부재의 투입 및 교체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처리조의 내측에 설치된 지지대의 상면에 안착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대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부재는, 상기 오염수의 수질에 따라 생물부착링, 스펀지, 활성탄 중의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오염수를 화학적 혹은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오염수 처리장치의 방류조나 소독조 등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여과부재의 종류에 따라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과부재에 부착된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을 압축공기를 통해 간편하게 역세할 수 있으므로 오염수에 대한 수처리를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의 케이싱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는, 화학적 혹은 생물학적으로 처리된 상태의 오염수가 유입되는 방류조나 소독조 등을 포함하는 처리조에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는, 오염수의 유입과 유출에 따른 상향류 흐름과 함께 압축공기에 의한 오염수의 상향류 흐름을 이용하는 간단한 구조를 채용하여 유입펌프, 여과조, 역세펌프, 및 역세조 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오염수에 대한 수처리와 여과부재에 대한 역세를 가능하게 한 것이 큰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처리조, 처리조 내측에 설치되고 내측에 여과부재가 수용되고 하부에 공기분사공이 상측에 뚫린 공기분사관이 관통 설치되는 케이싱, 상기 처리조의 일측에 케이싱의 통기관과 연결되게 설치되는 공기공급관, 및 상기 처리조에 오염수유입관과 오염수유출관과 함께 설치되는 역세수배출관을 포함한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오염수유입관을 통해 처리조 내부로 유입된 후 오염수유출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오염수의 상향류 흐름에 의해 오염수에 대한 수처리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달리 오염수를 처리조로 유출하는 이전 단계의 수조의 수위가 수위센서에 의해 기설정된 높이보다 높게 감지되는 경우(여과부재에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이 많이 부착되어 이전 단계의 수조로부터 처리조로 오염수가 원활하게 유출되지 않음을 의미함) 혹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오염수유출관이 닫히고 역세수배출관을 열리고 공기공급관으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공기분사관의 공기분사공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한 오염수의 상향류 흐름에 의해 여과부재에 대한 역세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케이싱은 처리조의 크기에 맞도록 복수 개로 구성하여 좌우 다단으로 연속해서 상호 연결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이웃하게 연결되는 두 케이싱의 공기분사관은 상호 접속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케이싱은 오염수의 상향류 흐름에 의해 상부로 부상하지 않도록 처리조의 내측에 설치된 지지대에 안착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지지대와 일체로 고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의 케이싱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처리조(P)에 설치되는 것으로, 케이싱(20), 공기공급관(30), 및 역세수배출관(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처리조(P)는 하부 타측에 오염수가 유입되는 오염수유입관(I)이 설치되고, 상부 타측에 오염수가 유출되는 오염수유출관(O)이 설치되며, 오염수유입관(I)에는 오염수의 유입을 단속하는 밸브(Iv)가 설치되고, 오염수유출관(O)에는 오염수의 유출을 단속하는 밸브(Ov)가 설치된다.
단, 오염수유출관(O)은 평상시에 열려 있다가 처리조(P)의 전단에 설치된 수조(미도시)의 수위가 수위센서(미도시)에 의해 기설정 높이보다 높은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혹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여과부재(10)의 역세를 위해 밸브(Ov)가 작동하여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먼저, 상기 케이싱(20)은 처리조(P)의 내측에 하부에 공간을 두고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처리조(P)의 형태와 대응되는 통체 형상을 가지면서 내부에 여과부재(10)가 수용되고 오염수가 자유롭게 통과하도록 망 형태로 구성된다.
즉, 케이싱(20)은 내부에 여과부재(10)를 수용하여 처리조(P)로 오염수가 유입된 후 외부로 유출되는 상향류 흐름에 의해 오염수를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시켜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을 여과부재(10)를 통해 여과하는 것이다.
이때 케이싱(20)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공기분사공(21a)이 상측에 뚫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분사관(21)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이는 압축공기를 상방으로 분사하여 발생하는 오염수의 강한 상향류 흐름을 통해 여과부재(10)를 역세할 때 사용된다.
단, 케이싱(20)의 상면부(20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형태로 구성되어 힌지(20b)를 매개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는 케이싱(20) 내부로의 여과부재(10)의 투입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여과부재(10)는 처리조(P)로 유입되는 오염수의 수질에 따라 다양한 여과부재(10)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하면 된다. 즉, 여과부재(10)는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을 물리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나일론 등의 화학합섬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실을 타래 묶음 형태의 섬유를 배열한 생물부착링, 스펀지, 활성탄 등 중의 하나로 구성하면 된다.
그리고, 케이싱(20)은 오염수의 상향류 흐름 등에 의해 유동하지 않도록 처리조(P)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케이싱(20)은 처리조(P)의 내측에 고정된 지지대(50)의 상측에 안착되고 고정수단(60)에 의해 지지대(50)에 고정된다.
따라서 케이싱(20)은 오염수의 상향류 흐름 등의 영향에도 처리조(P)의 상부로 부상하지 않게 됨에 따라 오염수에 대한 여과와 여과부재(10)에 대한 역세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케이싱(20)은 처리조(P)의 크기에 맞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어 좌우 다단으로 연결 설치된다. 단, 이웃하게 연결되는 두 케이싱(20)의 공기분사관(21)은 상호 연결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공기분사관(21)의 일단부가 케이싱(20)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그 타단부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공기분사관(21) 간의 연결시 압축공기의 누수를 발생하지 않도록 그 일단부의 외면 혹은 그 타단부의 내면에 오링 등의 기밀수단이 더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공급관(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조(P)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케이싱(20)의 공기분사관(21)과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기분사관(21)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때 공기공급관(30)에는 여과부재(10)를 역세할 때만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압축공기의 공급을 단속하는 밸브(30v)가 설치된다. 즉, 여과부재(10)의 역세시에만 상기 밸브(30v)를 열어 압축공기를 공기분사관(21)으로 공급하게 된다.
단, 공기공급관(30)은 평상시에는 닫혀 있다가 처리조(P)의 전단에 설치된 수조의 수위가 수위센서에 의해 기설정 높이보다 높은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혹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여과부재(10)의 역세를 위해 밸브(30v)가 작동하여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역세수배출관(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조(P)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여과부재(10)의 역세시 역세수로 작용하는 오염수와 함께 여과부재(10)에서 분리되는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이때 역세수배출관(40)에는 오염수를 여과할 때 여과된 오염수가 오염수유출구(O)로 유출되도록 밸브(40v)가 설치된다. 즉, 여과부재(10)의 역세시에만 상기 밸브(40v)를 열어 역세수로 작용하는 오염수가 역세수배출관(40)으로 배출되게 한다.
단, 역세수배출관(40)은 평상시에는 닫혀 있다가 처리조(P)의 전단에 설치된 수조의 수위가 수위센서에 의해 기설정 높이보다 높은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혹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여과부재(10)의 역세를 위해 밸브(40v)가 작동하면서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처리조에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을 여과부재로 여과하고 여과부재에 부착된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을 역세하는 기능을 간단한 구조를 통해 부여함으로써 오염수에 대한 수처리를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여과부재
20: 케이싱 20a: 상면부
20b: 힌지 21: 공기분사관
21a: 공기분사공
30: 공기공급관 30v: 밸브
40: 역세수배출관 40v: 밸브
50: 지지대
60: 고정수단
100: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P: 처리조
I: 오염수유입관 Iv: 밸브
O: 오염수유출관 Ov: 밸브

Claims (5)

  1. 화학적 혹은 생물학적으로 처리된 오염수가 유입되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처리조(P)에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처리조(P)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처리조(P)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여과부재(10)가 수용되며, 하부에 복수 개의 공기분사공(21a)이 상측에 뚫린 공기분사관(21)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오염수가 자유롭게 통과하도록 망 구조로 형성되는 케이싱(20);
    상기 처리조(P)의 일측 하부에 상기 공기분사관(21)과 연결되게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분사관(21)으로 공급하는 공기공급관(30); 및
    상기 처리조(P)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는 역세수배출관(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오염수가 상기 처리조(P)로 유입된 후 외부로 유출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여과부재(10)에 의해 상기 오염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오염수를 여과하고,
    상기 처리조(P)의 이전 단계에서 설치되어 상기 오염수를 상기 처리조(P)로 유출하는 수조의 수위가 기설정된 높이보다 높은 경우 혹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상기 역세수배출관(40)이 개방되고 상기 공기공급관(30)으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공기분사관(21)을 거쳐 상기 공기분사공(21a)을 통해 상방으로 분사되면서 상기 오염수가 역세수로 작용하여 상기 여과부재(10)에 부착된 부유물질 혹은 용존물질을 분리하여 상기 여과부재(10)를 역세하되,
    상기 케이싱(20)은
    상기 처리조(P)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가 좌우 다단으로 연결 설치되도록 이웃하여 연결되는 일측과 타측의 케이싱(20)에서 일측의 케이싱(20)의 공기분사관(21)의 일단부가 타측의 케이싱(20)의 공기분사관(21)의 타단부 내측으로 기밀수단을 사이에 두고 삽입 체결되면서 상기 일측과 타측의 케이싱(20)의 공기분사관(21)이 상호 연결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20)의 상면부(20a)는
    상기 여과부재(10)의 투입 및 교체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0)은,
    상기 처리조(P)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처리조(P)의 내측에 설치된 지지대(50)의 상면에 안착되고, 고정수단(60)에 의해 상기 지지대(50)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10)는,
    상기 오염수의 수질에 따라 생물부착링, 스펀지, 활성탄 중의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KR1020130103572A 2013-08-30 2013-08-30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KR101551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572A KR101551385B1 (ko) 2013-08-30 2013-08-30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572A KR101551385B1 (ko) 2013-08-30 2013-08-30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664A KR20150025664A (ko) 2015-03-11
KR101551385B1 true KR101551385B1 (ko) 2015-09-08

Family

ID=53021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572A KR101551385B1 (ko) 2013-08-30 2013-08-30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3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9347B (zh) * 2019-01-28 2020-12-04 谢波林 一种集装箱式可移动的全自动洗车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7616A (ja) * 1999-11-15 2001-05-22 Japan Organo Co Ltd ろ過装置
KR100988316B1 (ko) * 2010-04-19 2010-10-18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역세척수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고속 여과처리장치
KR101301717B1 (ko) 2013-01-14 2013-08-30 코오롱워터텍 주식회사 초기 우수의 연속 세척 기능을 갖는 여과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7616A (ja) * 1999-11-15 2001-05-22 Japan Organo Co Ltd ろ過装置
KR100988316B1 (ko) * 2010-04-19 2010-10-18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역세척수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고속 여과처리장치
KR101301717B1 (ko) 2013-01-14 2013-08-30 코오롱워터텍 주식회사 초기 우수의 연속 세척 기능을 갖는 여과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664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9047B2 (en) Non-point polluta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KR20090024668A (ko) 다량의 유동 액체로부터 유기체와 입자를 분리하고 여과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70985B1 (ko) 역세가 용이한 복합 수처리 여과장치
KR20150105763A (ko) 수조용 여과기 및 이를 포함한 여과장치
KR100957173B1 (ko)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KR101551385B1 (ko)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NZ587435A (en) Treatment of contaminated liquid by drawing through filtration membranes with pump providing a backwash to membranes actuated by treatment tank level
KR101023138B1 (ko) 여과칼럼
KR101736833B1 (ko) 여과기
KR101010365B1 (ko) 계곡수 여과장치
JP5768391B2 (ja) 濾過装置
KR20190030258A (ko) 목욕탕 목욕수 여과장치
KR101108528B1 (ko) 저수 정화장치 및 그 세정방법
KR101546879B1 (ko)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용 정화장치
KR101361672B1 (ko)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KR101384333B1 (ko) 부유물질 처리장치
KR20100107153A (ko) 유수분리장치
KR20100013830A (ko) 멤브레인 모듈
CN209583812U (zh) 一种暂养池粗过滤后的蛋白质分离器的净化处理
JP7119887B2 (ja) 排水処理装置
JPH09276669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ユニット及び濾過装置
KR101216133B1 (ko) 여과장치
KR20170119706A (ko) 밸러스트수의 제조 방법 및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20150129422A (ko) 저장수 정화장치
KR200420112Y1 (ko) 수처리용 침지형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