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833B1 - 여과기 - Google Patents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833B1
KR101736833B1 KR1020160146550A KR20160146550A KR101736833B1 KR 101736833 B1 KR101736833 B1 KR 101736833B1 KR 1020160146550 A KR1020160146550 A KR 1020160146550A KR 20160146550 A KR20160146550 A KR 20160146550A KR 101736833 B1 KR101736833 B1 KR 101736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ration
fiber filter
coupled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달준
Original Assignee
박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달준 filed Critical 박달준
Priority to KR1020160146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7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2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with cartridges made from a mass of loose granular or fibrous material
    • B01D29/00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7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여재를 사용하여 원수를 정화시키고, 역세 가동되어 원수 또는 처리수 및 공기를 유입시켜 섬유여재에 쌓인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여과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측에는 원수 유입 파이프와 역세수 배수 파이프에 연결되고, 하측에는 처리수 배수 파이프 및 공기 유입 파이프와 연결되는 여과통; 여과통의 내측 상부에 결합된 상부 고정부와, 상부 고정부에 대향되어 여과통의 내측 하부 중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유입 파이프 보다 상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고정수단; 상부 고정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하부 고정부에 타측이 결합되며 여과통의 내부에서 통 형상의 여과공간이 형성되도록 다수개의 섬유여재가 구비된 여과수단; 및 여과통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고, 여과시 탄성력에 의해 하부 고정부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섬유여재가 잡아당겨지며 여과공간을 밀폐시키도록 하고, 역세가동시 공기 유입 파이프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부력에 의해 탄성력을 상쇄시켜 섬유여재가 이완되며 여과공간을 개방시키도록 하는 탄성가동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여과기{Filter}
본 발명은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여재를 통해서 원수가 정화되고, 역세 가동에 의해 섬유여재에 쌓인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과기는 여과를 하는 장치로서, 다수개의 작은 홀을 가진 장치에 액체를 통과시켜 액체 속에 고형물(固形物)을 분리시키는 장치이다.
또한, 여과기는 흡수 장치나 거칠기가 다른 여과망에 의해 혼합물 속에서 화학적 또는 물리적 성질이 서로 다른 물질을 분리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여과기에 대해 여러 산업군에서 다양한 형태로 이미 많이 개발 되어지고 있다.
그 중 종래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9081호는 쿨런트 탱크 상판에 형성된 구멍; 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고정된 여과기 여과통;과 여과기 여과통에 내설되는 흡입필터;와 여과기 여과통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덮개;와 일단은 덮개에 관통 삽입되며 타단은 흡입필터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덮개를 여과기 여과통으로부터 탈착시 흡입필터와 파이프도 일체로 여과기 여과통으로부터 분리되게, 여과통 내부에서 베어링으로 연결된 파이프가 덮개 상부로 인출되어 엘보로 연결되고, 엘보 단에 구비된 베어링이 펌프와 연결되는 호스와 착탈되게 설치되고, 여과기 여과통은 그 상단 둘레에 제 1플랜지를 형성하여, 제 1플랜지와 체결구로 착탈되게 덮개 사이 개스킷을 개재하여 고정되고, 여과기 여과통의 소정위치 둘레에 제 2플랜지를 형성하여 쿨런트 탱크 상판과 체결 고정된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구성이 복잡하고, 여과수단인 거름방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나 효과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908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섬유여재를 사용하여 원수를 정화시키고, 역세 가동되어 원수 또는 처리수 및 공기를 유입시켜 섬유여재에 쌓인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여과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과기는, 상측에는 원수 유입 파이프와 역세수 배수 파이프에 연결되고, 하측에는 처리수 배수 파이프 및 공기 유입 파이프와 연결되는 여과통; 여과통의 내측 상부에 결합된 상부 고정부와, 상부 고정부에 대향되어 여과통의 내측 하부 중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유입 파이프 보다 상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고정수단; 상부 고정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하부 고정부에 타측이 결합되며 여과통의 내부에서 통 형상의 여과공간이 형성되도록 다수개의 섬유여재가 구비된 여과수단; 및 여과통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고, 여과시 탄성력에 의해 하부 고정부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섬유여재가 잡아당겨지며 여과공간을 밀폐시키도록 하고, 역세가동시 공기 유입 파이프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부력에 의해 탄성력을 상쇄시켜 섬유여재가 이완되며 여과공간을 개방시키도록 하는 탄성가동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가동수단은, 하부 고정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여과통의 내측 하부에 타측이 결합되어 하부 고정부를 여과통의 하부로 잡아당겨 섬유여재에 장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인장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여과통의 내주면에는, 섬유여재가 고정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지지부는, 섬유여재가 일부 수용되는 수용부재와, 수용부재의 외주면과 여과통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수용부재가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여과수단은, 상부 고정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1 내통 형성판과, 제1 내통 형성판에 대향되어 하부 고정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2 내통 형성판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내통 형성판 주위에 섬유여재가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여과수단은, 하부 고정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 고정부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섬유여재들을 지지하며 다수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가동수단은, 하부 고정부의 상부와 섬유 여재 고정통의 하부에 결합되어 하부 고정부를 여과통의 하부로 밀어내어 섬유여재에 장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여과수단은, 섬유여재 고정통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충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여과수단은, 섬유여재 고정통의 하부에 삽입 결합되는 필터 엘리먼트(Filter element)를 더 포함하고, 필터 엘리먼트(Filter element)에 통과된 입자의 크기는 섬유여재에 통과된 입자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가동수단은, 하나 이상의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기에 의하면, 섬유여재를 사용하여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고형물인 이물질을 분리시키고, 역세 가동을 통해 섬유여재에 쌓인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화시, 외부 동력에 의해 가동되는 것이 아니라 탄성력을 갖는 탄성가동수단에 의해 가동되기 때문에 전기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섬유여재 내측에 지지부 또는 섬유여재 고정통이 구비되어 압력에 의해 섬유여재가 틀어지거나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충전재를 사용하여 원수를 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섬유여재에 의해 정화된 원수를 다시 한번 더 정화시키기 위해 필터 엘리먼트(Filter element)를 사용하여 원수를 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여과기의 역세 가동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에 따른 여과기 중 지지부에 결합되는 섬유여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여과기 중 섬유여재 고정통에 결합되는 필터 엘리먼트(Filter element)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구성요소에 대해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종래의 여과기는 섬유여재에 해당하는 여과체를 교체하여 사용하였고, 상기 여과체를 교체하기 위해, 원수 밸브와 처리수 밸브와, 역세수 파이프 및 공기 밸브를 모두 닫고(Close), 여과통에 수용된 원수를 드레인(Drain)시켜 상기 여과체를 교체하였다.
종래의 방법은 교체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의 여과기(100)는 역세 가동을 통해, 후술할 섬유여재(131)에 쌓인 이물질을 청소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기(100)는, 여과통(110)과, 고정수단(120)과, 여과수단(130) 및 탄성가동수단(140)을 포함한다.
상기 여과기(100)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원수 유입 파이프(10)와, 상기 처리수 배수 파이프(30)에는 압력게이지(미도시)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원수 유입 파이프(10)와, 상기 역세수 배수 파이프(20)와, 상기 처리수 배수 파이프(30) 및 상기 공기 유입 파이프(40)는 각각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여과통(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여과통(110)의 상부에는 원수 유입 파이프(10)과, 역세수 배수 파이프(20)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여과통(110)의 하부에는 처리수 배수 파이프(30) 및 공기 유입 파이프(40)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고정수단(120)은, 상기 여과통(110)의 내측 상부에 결합된 상부 고정부(121)와, 상기 상부 고정부(121)에 대향되어 상기 여과통(110)의 내측 하부 중 공기(A)가 배출되는 상기 공기 유입 파이프(40) 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하부 고정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수단(130)은, 상기 상부 고정부(121)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 고정부(122)에 타측이 결합되며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여과통(110)의 내부에 여과공간을 갖는 통 형상의 섬유여재(13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여과수단(130)은, 상기 원수 유입 파이프(10)를 통해 이동되는 원수(W)에 의해 상기 섬유여재(131)가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섬유여재(131)가 통의 형상을 가이드하도록 제1 및 제2 내통 형성판(132,13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내통 형성판(132)은, 상기 상부 고정부(121)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내통 형성판(133)은 상기 제1 내통 형성판(132)에 대향되어 상기 하부 고정부(122)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섬유여재(131)는 상기 제1 및 제2 내통 형성판(132,133)의 외주면을 덮는 형상으로 결합되고, 결합될 시 상기 섬유여재(131)의 통 형상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상기 탄성가동수단(140)은, 상기 하부 고정부(122)를 이동시켜 상기 섬유여재(131)에 장력이 발생되도록 탄성력을 갖고,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여과통(1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고, 여과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부 고정부(122)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섬유여재(131)가 잡아당겨지며 상기 여과공간을 밀폐시키고, 역세가동시 상기 공기 유입 파이프(40)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공기(A)의 부력에 의해 상기 탄성력을 상쇄시켜 상기 섬유여재(131)가 이완되며 상기 여과공간을 개방시킨다.
상기 제1 실시예의 상기 여과기(100)에서 상기 탄성가동수단(140)은, 상기 하부 고정부(122)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여과통(110)의 내측 하부에 타측이 결합되어 상기 하부 고정부(122)를 상기 여과통(110)의 하부로 잡아당겨 상기 섬유여재(131)에 장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인장스프링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탄성가동수단(140)은 하나 이상의 스프링이 구비된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여과기(100)는, 원수(W)의 이물질을 차단하여 상기 원수(W)를 처리수(W')로 정화시킨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여과기(100)의 상부는 상기 원수유입 파이프(10)가 연결되고 상기 원수 유입 파이프(10)에는 원수 밸브(11)가 결합되며 상기 원수 밸브(11)는 노멀 오픈(Normal open) 상태로 둔다.
상기 원수 밸브(11)를 닫음(Close)로 할 경우에는 상기 여과기(100)나 상기 여과기(100)의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교체할 때 닫음 상태로 할 수 있다.
상기 원수(W)는 상기 원수 유입 파이프(10)를 거쳐 상기 여과통(110)의 상부에 유입되고, 이어 상기 여과통(110)의 내주면를 거쳐, 상기 섬유여재(131)로 이동된다.
상기 원수(W)는 상기 여과수단(130) 중 상기 섬유여재(131)를 거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원수(W)에 함유된 이물질이 상기 섬유여재(131)에 쌓이게 된다.
위의 과정을 마친 상기 원수(W)는 처리수(W')로 되어 상기 처리수 배수 파이프(30)로 유입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여과기의 역세 가동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섬유여재(131)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역세 가동을 통해 상기 섬유여재(131)에 쌓인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우선, 상기 원수 유입 파이프(10)에 결합된 상기 압력게이지(미도시)와, 상기 처리수 배수 파이프(30)에 결합된 상기 압력게이지(미도시)를 확인하여 상기 여과수단(120)에서 발생되는 차압을 고려하여 역세 가동한다.
상기 여과기(100)의 역세 가동은 우선, 상기 원수 밸브(11)를 닫고, 상기 처리수 밸브(21)와, 상기 역세수 밸브(31) 및 상기 공기 밸브(41)를 연다.
이어, 상기 처리수 배수 파이프(30)에 결합된 펌프(미도시)의 가동에 의해 상기 원수(W) 또는 상기 처리수(W')와 같은 유체를 밀어내어 상기 처리수 배수 파이프(30)에서 상기 여과수단(130)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 파이프(40)에는 공기(A)가 상기 여과통(110)의 내부로 이동되도록 펌프(미도시)와 같은 가동장치가 결합된다.
상기 공기(A)는 상기 공기 유입 파이프(40)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하부 고정부(122)의 하면에 접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 고정부(122)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고, 와류에 의해 상기 탄성가동수단(140)이 간섭이 일어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하부 고정부(122)는 상기 제2 내통 형성판(133)으로 이격된다.
상기 탄성가동수단(140)은 간섭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고 이에 의해 상기 하부 고정부(122)에 결합된 상기 섬유여재(131)가 떨리거나 이완되어 상기 이물질을 털어낸다.
또한, 상기 하부 고정부(122)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미도시)을 통해 상기 공기(A)가 통과하게 되고, 상기 공기(A)는 상기 유체에 자유이동되어 상기 섬유여재(131)에 쌓여있는 상기 이물질을 털어내어 상기 역세수 배수 파이프(20)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처리수 배수 파이프(30)를 통해 이동된 상기 유체는 상기 여과수단(130)으로 이동되어 상기 섬유여재(131)에 쌓여있는 상기 이물질을 밀어내고, 상기 이물질은 상기 유체를 따라 상기 역세수 배수 파이프(30)로 배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기(200)는, 도 1 및 도 2의 상기 여과기(100)와 비교하여, 상기 섬유여재(131)가 상기 상부 고정부(132)에 결합되는 형상만이 상이하다.
상기 여과기(200)는, 여과통(210)과, 고정수단(220)과, 여과수단(230) 및 탄성가동수단(240)을 포함한다.
상기 여과수단(230) 중 섬유여재(231)의 일단은 상기 고정수단(220) 중 상기 여과통(200)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된 위치에 결합된다.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200)에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100)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내통 형성판(232,233)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내통 형성판(232,233)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섬유여재(231)는 다수개가 모여 통의 형상을 이루는 것과 같다.
상기 섬유여재(231)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섬유여재(131) 보다 상기 제1 내통 형성판(232)에 결합되는 각도가 낮기 때문에, 상기 섬유여재(231)가 상기 원수 유입파이프(10)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원수(W)의 압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도 3의 상기 여과기(200)는 도 1 및 도 2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여과기(100)와 비교하여, 기술구성 및 이들의 유기적인 결합에 대해 이미 전술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기(300) 중 여과통(310)에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여과기(100)와 비교하여, 지지부(311)가 형성된다.
상기 여과기(300)는, 여과통(310)과, 고정수단(320)과, 여과수단(330) 및 탄성가동수단(340)을 포함한다.
상기 여과통(310)의 내주면에는 여과수단(330) 중 섬유여재(331)가 고정되는 상기 지지부(311)가 형성된다.
도 4b는 도 4a에 따른 여과기 중 지지부에 결합되는 섬유여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11)는 상기 섬유여재(331)가 일부 수용되는 수용부재(311a)와, 상기 수용부재(311a)의 외주면과 상기 여과통(31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재(311a)가 고정되는 지지부재(311b)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여과기(300)는 상기 여과통(310)의 외주면에 상기 지지부(311)가 형성되어 상기 섬유여재(331)를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유체의 유속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나, 여과시 상기 섬유여재(331)가 상기 고정수단(3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도 4a 와 도 4b의 상기 여과기(300)는 도 1 및 도 2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여과기(100)와 비교하여, 기술구성 및 이들의 유기적인 결합에 대해 이미 전술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여과기(400)는, 도 1 및 도 2의 상기 여과기(100)와 비교하여, 상기 탄성가동수단(140)의 형상만이 상이하다.
상기 여과기(400)는 여과통(410)과, 고정수단(420)과, 여과수단(430) 및 탄성가동수단(440)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가동수단(440)은 다수개의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수단(420) 중 하부 고정부(422)의 하면에 결합된다.
상기 탄성가동수단(440)은 다수개의 스프링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여과수단(430)을 구성하는 섬유여재(431)의 잡아당기는 장력을 스프링의 개수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가동수단(440)은 역세 가동시, 공기에 의해 와류가 발생할 때, 제1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100)의 탄성가동수단(140)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하부 고정부(422)를 고정하고, 그에 따라 상기 섬유여재(431)가 꼬이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 5의 상기 여과기(400)는 도 1 및 도 2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100)에서 기술구성 및 이들의 유기적인 결합에 대해 이미 전술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여과기(500)는, 도 1 및 도 2의 상기 여과기(100)와 비교하여, 여과수단(530)에서 섬유여재 고정통(53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여과기(500)는 여과통(510)과, 고정수단(520)과, 여과수단(530) 및 탄성가동수단(540)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수단(530)은, 섬유여재(531)와, 다수개의 홀(532a)이 형성된 섬유여재 고정통(53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섬유여재 고정통(532)은 상기 고정수단(520) 중 하부 고정부(522)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고정부(521)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섬유여재(531)들을 지지하며 다수개의 홀(532a)이 형성된다.
상기 섬유여재 고정통(532)은, 여과 또는 역세시 상기 섬유여재(531) 사이 사이에 틈이 발생되거나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제1 내지 제4 실시예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섬유여재(531)를 지지한다.
상기 도 6의 상기 여과기(500)는 도 1 및 도 2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100)에서 기술구성 및 이들의 유기적인 결합에 대해 이미 전술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여과기(600)는, 도 6의 제5 실시예의 상기 여과기(500)와 비교하여, 섬유여재 고정통(532)의 내부에 충전재(633)와, 스트레이너(634)가 삽입 결합되는 부분만이 상이하다.
상기 여과기(600)는 여과통(610)과, 고정수단(620)과, 여과수단(630) 및 탄성가동수단(640)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수단(630)은 섬유여재(631)와, 섬유여재 고정통(632)과, 충전재(633) 및 스트레이너(Strainer)(634)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재(633,633a)는 상기 섬유여재 고정통(632)의 내부에 개재되고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로 층을 이루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전재(633,633a)은 상기 섬유여재 고정통(632)에 형성된 홀(632a)에 끼이지 않도록 결합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633)는 원수의 수질오염물질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게 바뀔 수 있으며, 그 중, 유기물, 색도, 조류는 활성탄과 안트라사이트(anthracite)가 사용될 수 있고, 비소(Arsenic), 철(Fe), 망간(Mn)을 포함한 중금속은 범(Birm), 페록스(Ferox), 일렉트로메디아(Electromedia)와 같은 산화 흡착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불소(Fluorine)나 질산성질소(NO3)는 레진(Resin) 및 케미컬 메디아(Chemical media)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여재 고정통(632)의 내부에는 상기 충전재(633) 보다 하측에 상기 스트레이너(Strainer)(634)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스트레이너(Strainer)(634)는 상기 원수(W)가 상기 처리수 배수 파이프(30)로 집수 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6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여과기(600)의 역세 가동은, 상기 충전재(633)와, 상기 스트레이너(634)가 상기 섬유여재 고정통(632)에 삽입됨에 따라, 앞서 언급된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여과기(100,200,300,400,500)과 비교하여 상기 유체의 압력이 떨어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여과통(610)의 상단부에 상기 처리수 파이프(20)를 더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여과기(600)에서는 상기 처리수 배수 파이프(30)에 상기 공기 유입 파이프(40)가 더 결합되어, 역세 가동시 상기 원수(W) 또는 상기 처리수(W')가 상기 여과통(610)에 진입될 때, 상기 공기(A)가 동시에 투입되어 상기 충전재(633)와, 상기 섬유여재 고정통(632)을 지나 간섭이 발생되도록 함에 있다.
이는, 상기 공기(A) 즉, 기포가 상기 충전재(633) 및 상기 홀(632a)에 쌓인 상기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여과통(610)의 상단부는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충전재(633)나 상기 스트레이너(Strainer)(634)의 교체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 7의 상기 여과기(600)는 도 1 및 도 2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100)에서 기술구성 및 이들의 유기적인 결합에 대해 이미 전술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여과기 중 섬유여재 고정통에 결합되는 필터 엘리먼트(Filter element)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여과기(700)는, 도 7의 제6 실시예의 상기 여과기(600)와 비교하여, 섬유여재 고정통(632)의 내부에 필터 엘리먼트(Filter element)(733)가 삽입 결합되는 것만이 상이하다.
상기 여과기(700)는, 여과통(710)과, 고정수단(720)과, 여과수단(730) 및 탄성가동수단(740)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수단(730)은 앞서, 도 7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섬유여재(731)와, 섬유여재 고정통(750)과, 상기 필터 엘리먼트(Filter element)(733)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필터 엘리먼트(Filter element)(733)에 통과된 입자의 크기는 상기 섬유여재(731)에 통과된 입자의 크기 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섬유여재(731)에서 1차적으로 상기 원수(W)를 정화하고, 상기 필터 엘리먼트(Filter element)(733)에서 2차적으로 상기 원수(W)를 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8 내지 도 9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여과기(700)는 상기 섬유여재 고정통(732)의 내부에 상기 필터 엘리먼트(Filter element)(733)이 삽입 결합되고, 이는, 상기 필터 엘리먼트(Filter element)(733)가 상기 원수(W) 또는 상기 처리수(W')의 압력에 의해 파손될 경우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 8 및 도 9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섬유 여과기(700)는 도 7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섬유 여과기(600)와 비교하여, 기술구성 및 이들의 유기적인 결합에 대해 이미 전술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8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여과기(800)는, 도 6의 제5 실시예의 상기 여과기(500)와 비교하여, 고정수단(540)이 결합되는 위치만이 상이하다.
상기 여과기(800)는, 여과통(810)과, 고정수단(820)과, 여과수단(830) 및 고정수단(840)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가동수단(840)은, 상기 하부 고정부(822)의 상부와 상기 섬유여재 고정통(832)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고정부(822)를 상기 여과통(810)의 하부로 밀어내어 상기 섬유여재(831)에 장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8 실시예의 상기 여과기(800)는, 제1 실시예의 상기 여과기(100)와 동일하게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가동수단(840)은, 외부 동력 없이 상기 섬유여재(831)에 장력을 발생시키고,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역세 가동시, 상기 공기(도 2 참조;A)에 의해 상기 섬유여재(831)를 이완시킨다.
상기 도 10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섬유 여과기(800)는 도 6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섬유 여과기(500)와 비교하여, 기술구성 및 이들의 유기적인 결합에 대해 이미 전술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A:공기 W:원수
W':처리수 10:원수 유입 파이프
11:원수 밸브 20:역세수 배수 파이프
21:역세수 밸브 30:처리수 배수 파이프
31:처리수 밸브 40:공기 유입 파이프
41:공기 유입 밸브
100,200,300,400,500,600,700,800:여과기
110,210,310,410,510,610,710,810:여과통
120,220,320,420,520,620,720,820:고정수단
121,221,321,421,521,621,721:상부 고정부
122,222,322,422,522,622,722:하부 고정부
130,230,330,430,530,630,730,830:여과수단
131,231,331,431,531,631,731,831:섬유여재
132,232,332,432:제1 내통 형성판
133,233,333,433:제2 내통 형성판
140,240,340,440,540,640,740,840:탄성가동수단
311:지지부 311a:수용부재
311b:지지부재 532,632,732,832:섬유여재 고정통
532a,632a,732a,832a:홀 633:충전재
634:스트레이너(Strainer) 733:필터 엘리먼트(Filter element)

Claims (9)

  1. 상측에는 원수 유입 파이프와 역세수 배수 파이프에 연결되고, 하측에는 처리수 배수 파이프 및 공기 유입 파이프와 연결되는 여과통;
    상기 여과통의 내측 상부에 결합된 상부 고정부와, 상기 상부 고정부에 대향되어 상기 여과통의 내측 하부 중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공기 유입 파이프 보다 상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고정수단;
    상기 상부 고정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 고정부에 타측이 결합되며 상기 여과통의 내부에서 통 형상의 여과공간이 형성되도록 다수개의 섬유여재가 구비된 여과수단; 및
    상기 여과통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고, 여과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부 고정부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섬유여재가 잡아당겨지며 상기 여과공간을 밀폐시키도록 하고,
    역세가동시 상기 공기 유입 파이프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공기의 부력에 의해 상기 탄성력을 상쇄시켜 상기 섬유여재가 이완되며 상기 여과공간을 개방시키도록 하는 탄성가동수단;을 포함하는 여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동수단은,
    상기 하부 고정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여과통의 내측 하부에 타측이 결합되어 상기 하부 고정부를 상기 여과통의 하부로 잡아당겨 상기 섬유여재에 장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통의 내주면에는,
    상기 섬유여재가 고정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섬유여재가 일부 수용되는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여과통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재가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은,
    상기 상부 고정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1 내통 형성판과, 상기 제1 내통 형성판에 대향되어 상기 하부 고정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2 내통 형성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내통 형성판 주위에 상기 섬유여재가 둘러싸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은,
    상기 하부 고정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고정부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섬유여재들을 지지하며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섬유여재 고정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동수단은,
    상기 하부 고정부의 상부와 상기 섬유 여재 고정통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고정부를 상기 여과통의 하부로 밀어내어 상기 섬유여재에 장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은,
    상기 섬유여재 고정통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충전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은,
    상기 섬유여재 고정통의 하부에 삽입 결합되는 필터 엘리먼트(Filter element)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 엘리먼트(Filter element)에 통과된 입자의 크기는 상기 섬유여재에 통과된 입자의 크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9. 제2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동수단은,
    하나 이상의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KR1020160146550A 2016-11-04 2016-11-04 여과기 KR101736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550A KR101736833B1 (ko) 2016-11-04 2016-11-04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550A KR101736833B1 (ko) 2016-11-04 2016-11-04 여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833B1 true KR101736833B1 (ko) 2017-05-17

Family

ID=59048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550A KR101736833B1 (ko) 2016-11-04 2016-11-04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8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4200A (zh) * 2018-08-28 2018-11-23 高恒力 一种智能反冲洗刷洗前处理净水装置
KR20190097857A (ko) 2018-02-13 2019-08-21 김군수 섬유여과장치
CN115554746A (zh) * 2022-07-25 2023-01-03 陈晓彬 一种地热全流发电系统用的废水过滤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059B1 (ko) * 2005-03-22 2005-12-29 (주)성신엔지니어링 중력식 섬유여과기
KR101358921B1 (ko) * 2013-11-07 2014-02-05 (주) 젠폴 지그재그식 섬유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059B1 (ko) * 2005-03-22 2005-12-29 (주)성신엔지니어링 중력식 섬유여과기
KR101358921B1 (ko) * 2013-11-07 2014-02-05 (주) 젠폴 지그재그식 섬유여과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857A (ko) 2018-02-13 2019-08-21 김군수 섬유여과장치
CN108854200A (zh) * 2018-08-28 2018-11-23 高恒力 一种智能反冲洗刷洗前处理净水装置
CN108854200B (zh) * 2018-08-28 2023-10-31 高恒力 一种智能反冲洗刷洗前处理净水装置
CN115554746A (zh) * 2022-07-25 2023-01-03 陈晓彬 一种地热全流发电系统用的废水过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833B1 (ko) 여과기
US20120267295A1 (en) Horizontal rod-supported, pore-controllable fiber media filter, and horizontal rod-supported fiber filter system
KR20100059796A (ko) 필터 조립체 및 방법
KR20160050578A (ko)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
KR101622368B1 (ko) 여과 및 역세척 기능을 갖는 수 처리 장치
KR101649048B1 (ko) 카본 백필터
KR20080102340A (ko) 초음파를 이용한 산업용 섬유 여과기
KR100628891B1 (ko) 여과부와 침전부를 일체로 갖는 상향류식 여과장치
CN103052597A (zh) 包括重力给料过滤器的水净化装置
KR102327425B1 (ko) 부분 교체가 가능한 생활용수용 흡착형 복합 필터
KR101741775B1 (ko) 역삼투막 시트의 어셈블리 및 이를 수용하는 역삼투막 필터
KR100888647B1 (ko) 정수기용 필터 장치
KR101096864B1 (ko) 유수분리장치
KR101009654B1 (ko) 정수필터장치
KR101541148B1 (ko) 가변형 스트레이너 섬유여과기
JP2018149485A (ja) バネ式異物除去装置
RU240028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льтрования жидкостей
RU116372U1 (ru) Фильтр картриджный гидроциклонный
KR100900534B1 (ko) 정밀여과장치
KR102260152B1 (ko) 사이클론식 디스크 필터
KR101551385B1 (ko)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KR101345261B1 (ko) 무역세 여과장치
KR102632302B1 (ko) 간이 여과기
KR100899071B1 (ko) 탁도 제거기
KR100571100B1 (ko)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