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857A - 섬유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섬유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857A
KR20190097857A KR1020180017790A KR20180017790A KR20190097857A KR 20190097857 A KR20190097857 A KR 20190097857A KR 1020180017790 A KR1020180017790 A KR 1020180017790A KR 20180017790 A KR20180017790 A KR 20180017790A KR 20190097857 A KR20190097857 A KR 20190097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ing
movable body
buoyancy chamber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9503B1 (ko
Inventor
김군수
Original Assignee
김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군수 filed Critical 김군수
Priority to KR1020180017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503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9/0027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부상식 섬유여과장치에 있어서, 섬유여재를 고정하기 용이하도록 링 형태의 고리를 구비하며, 상기 고리에 공기 관로를 포함하여 역세공정에 섬유여재의 세척효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섬유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섬유여재(110)와 상판(120)을 체결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섬유여재를 링 형태로 결합하며,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고리(301)와; 상기 링과 연결되며, 상기 상판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샤프트부(302)와; 상기 샤프트부와 연결되며, 상기 상판에 형성된 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단턱부를 형성하는 걸림턱(303);을 구비한 상부 고정고리(300)와, 상기 섬유여재(110)와 하부 이동체(200)을 체결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섬유여재를 링 형태로 결합하며, 탄성력을 가지며, 공기 배출관(311)을 구비한 고리(301)와; 상기 링과 연결되며, 상기 하부 이동체(200)의 공기 분사공(221)을 관통하는 샤프트부(302)와; 상기 샤프트부(302)와 연결되며, 상기 하부 이동체의 공기 분사공(2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단턱부를 형성하는 걸림턱(303)을 구비한 하부 고정고리(310)를 포함하여, 공기분사공(221)과 공기 배출관(311)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섬유여과장치{Fiber filter Apparatus}
본 발명은 섬유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부상식 섬유여과장치에 있어서, 섬유여재를 고정하기 용이하도록 링 형태의 고리를 구비하며, 상기 고리에 공기 관로를 포함하여 역세공정에 섬유여재의 세척효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용 여과기는 원수를 여과시키는 여과공정과, 필터의 기능이 약화되거나 필터의 막힘으로 유체 흐름이 줄어드는 경우에는 관로의 흐름을 역순환시키는 역세 공정으로 구분된다.
수처리용 여과기에 있어서, 기술적 요구조건은 여과 공정과 역세 공정의 효율성과 순조로운 전환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공정의 전환이 주기적이고 지속적으로 계속되어도 고장이 없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지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섬유여재와 상기 섬유여재 공극 제어를 부력과 부력실 자체 중량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본 출원인도 국내 등록특허 제 1211369호와 제 1769354호에서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섬유여재는 실을 감아서 실타래 형태로 형성한 후, 양끝단부를 고정용 상판과 하부 이동체에 각각 체결한다.
종래의 섬유여재 체결방법은 철사나 플라스틱 재질의 케이블 타이로 고정하는 방법인데, 상기 방법은 섬유여재를 조립하거나 교체하는 작업에 있어서, 분리와 재활용 측면에서 불리한 단점이 많이 발생한다.
또한, 역세공정은 섬유여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거시키는 것이 주목적이며, 보다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섬유여재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투입한다. 그러나 실타래 형태로 형성된 섬유여재 내부에는 공기를 공급할 수 없는 구조로 인하여 이물질 이탈 효율이 그다지 높지는 않다.
따라서, 분리와 재조립이 용이한 클립 방식의 섬유여재 체결부재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역세공정시, 섬유여재 내부로 공기를 공급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1. KR 10-1211369, '부상식 섬유여과장치', 등록일자: 2012.12.06. 2. KR 10-1769354, '지그재그형 부상식 섬유여과장치', 등록일자: 2017.08.11. 3. KR 10-1736833, '여과기', 등록일자: 2017.05.11.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부상식 섬유여과장치에 있어서, 섬유여재를 상판과 하부 이동체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링 형태의 고리를 개시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리에 공기 관로를 포함하여 역세공정에 섬유 여재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섬유여재의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개시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실타래 형태의 섬유여재를 상판(120)과 하부 이동체(200)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섬유여재를 링 형태로 결합하며,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고리(301)와; 상기 링과 연결되며, 상기 상판과 하부 이동체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샤프트부(302)와; 상기 샤프트부(302)와 연결되며, 상기 상판과 하부 이동체에 형성된 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단턱부를 형성하는 걸림턱(303);을 구비한 상부 고정고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여과장치를 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섬유여재(110)를 상판(120)과는 단순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 고정고리(300)를 사용하고, 섬유여재를 하부 이동체(200)와 연결시킬 경우에는 고정고리를 하부 이동체(200)의 공기 분사공(221)과 연결시키며, 상부 고정고리에 공기배출관(311)을 더 포함한 하부 고정고리(310)로 공기가 섬유여재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고정고리(310)에 공기 연결부재(320)을 더 포함하여,섬유여재 결합 작업의 편리성과 하부 고정고리(310)로 공기가 섬유여재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개시하고자 한다.
상기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탄성력을 구비한 링 형태의 고리를 구비한 상부 고정고리는 섬유여재를 용이하게 상판과 하부 이동체에 탈부착이 용이하며, 종래의 철사나 케이블 타이에 비하여 작업속도가 2~3배 이상 빨라지게 된다.
둘째, 상부 고정고리를 사용할 경우, 원터치로 섬유여재를 분리할 수 있고 재사용 및 재활용이 가능하다.
셋째, 공기 배출관을 구비한 하부 고정고리는 섬유여재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서 역세공정에서 섬유여재 세척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도 1은 섬유여재가 여과공극을 형성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섬유여재가 세척공극을 형성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섬유여재가 여과공정의 확대도(A)와 세척공정의 확대도(B)이다.
도 4는 상부 고정고리(A)와 하부 고정고리(B)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하부 고정고리의 평면 사시도(A), 배면 사시도(B) 및 구성도(C)이다.
도 6은 하부 고정고리의 작업 상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섬유여재를 고정하는 모습이다.
도 8은 상부 고정고리의 샤프트부(302)의 다양한 형상 변화의 일실시 예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섬유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부상식 섬유여과장치에 있어서, 섬유여재를 고정하기 용이하도록 링 형태의 고리를 구비하며, 상기 고리에 공기 관로를 포함하여 역세공정에 섬유여재의 세척효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종래의 섬유여재를 고정하는 모습이다.
도 7에서 나타난 것처럼, 통상적으로 섬유여재(110)를 상판(120) 내지 하부 이동체(200)에 체결하는 방법으로는 철사나 케이브 타일를 많이 사용한다.
상기 방법으로 체결할 경우, 체결하는데 있어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섬유여재를 교체할 경우에는 철사나 케이블 타이를 제거하고, 재조립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재활용이나 재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과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서, 3가지 방법을 개시하고자 한다.
첫째, 단순 고정형 고리를 개시하는 것이다. 탄성력을 가지며 링 형태의 고리를 구비하며 걸림턱을 구비하여 상판 내지 하부 이동체에 형성된 홀에 원터치 바향으로 체결하는 단순 고정형 고리이다.
상기 방법은 실타래 형태의 섬유 여재를 링 형상의 고리에 결합한 후, 상판 내지 하부 이동체에 결합용으로 형성될 홀을 관통하면 상부 고정고리(300)의 탄성력과 걸림턱으로 체결되는 구조이다.
청구항 1이 상기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상판과의 체결은 단순 고정형 고리를, 하부 이동체와의 체결은 공기 배출관(311)을 구비한 하부 고정고리(310)를 적용하되, 하부 이동체의 공기분사공(221)과 연결하는 방법이다.
상기의 방법은 공기 배출관(311)이 길게 형성되어 공기 분사공(221)과 직접 연결되는 방법인데, 공기 분사공과 직접 연결되어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는 반면, 공기 배출관(311)이 길어서 섬유여재를 고정시키거나 섬유여재를 교체할 경우 작업자의 주의를 요하게 되고, 작업속도가 낮아지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두번째 방법을 요약한 것이 청구항 2이다.
셋째, 둘째 방법과 비슷한 경우로서, 상판과의 체결은 단순 고정형 고리를, 하부 이동체와의 체결은 공기 배출관(311)을 구비한 하부 고정고리(310)를 적용하되, 하부 이동체의 공기분사공(221)과 연결하는 방법이다. 다만, 하부 고정고리(310)에 공기연결 부재(320)를 더 포함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두번째 방법의 문제점은 공기 배출관(311)의 길이가 길어서 섬유여재의 결합 작업성과 섬유여재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공기 배출관(311)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배출관(311)의 길이를 단축시키고, 상기 공기 배출관(311)의 길이가 단축되는 만큼 공기 연결 부재(320)의 공기 유입관(321)을 확보함으로서 공기관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세번째 방법을 요약한 것이 청구항 3이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자 하는 3가지 방법 중에서, 첫번째는 섬유여재의 조립 및 분리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며, 두번째와 세번째 방법은 섬유여재의 탈부착의 편리성과 아울러 섬유여재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세척공정시 섬유여재의 세척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다.
이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국내 등록특허 제1211369호의 '부상식 섬유여과장치'의 공지 기술을 바탕으로 양산되는 여과장치를 제조, 판매 및 유지보수 과정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시한 내용이다.
따라서, 부상식 섬유여과장치의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에서는 제외한다.
도 1은 섬유여재가 여과공극을 형성한 상태의 개념도이며, 도 2는 섬유여재가 세척공극을 형성한 상태의 개념도이며, 도 3은 섬유여재가 여과공정의 확대도(A)와 세척공정의 확대도(B)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 공정시 하부 이동체의 공기 분사공(221)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섬유여재 근처에서 공급되어 섬유여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실타래 형태로 체결된 섬유여재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실타래 형태의 섬유여재 내부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관(311)과 공기유입관(321)을 하부 고정고리(310)과 공기 연결부재(320)에 각각 포함시키고자 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도 4는 상부 고정고리(A)와 하부 고정고리(B)의 사시도이며, 도 5는 하부 고정고리의 평면 사시도(A), 배면 사시도(B) 및 구성도(C)이다.
도 5A는 윗쪽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5B는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섬유여재를 단순 고정형 고리로 고정할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는 섬유여재 고정용 상판; 상단이 상기 여재 고정용 상판에 고정되는 섬유여재; 상기 섬유여재의 하단이 고정되며, 부력실이 형성되며, 상기 부력실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섬유여재를 향하여 분사될 수 있도록 복수의 공기 분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부력실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공기 분사공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공기 안내 통로가 형성되는 하부 이동체; 공기 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력실이 공기로 채워지도록 상기 부력실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 상기 부력실의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부력실에 물을 채우는 공기 배출 및 물 채움 수단;을 포함하여 여과공극과 세척공극을 형성하는 섬유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섬유여재(110)를 상판(120)과 하부 이동체(200)에 각각 체결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섬유여재를 링 형태로 결합하며,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고리(301)와; 상기 링과 연결되며, 상기 상판과 하부 이동체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샤프트부(302)와; 상기 샤프트부(302)와 연결되며, 상기 상판과 하부 이동체에 형성된 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단턱부를 형성하는 걸림턱(303);을 구비한 상부 고정고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섬유여재(110)는 실로 형성되며, 다수회로 감겨져 실타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여재(110)는 상판(120)과 하부 이동체(200)에 각각 체결되며, 여과공정에서는 하부 이동체(200)의 자중으로 팽팽한 상태가 되며, 역세공정에서는 하부 이동체의 부력실의 부력으로 상승하게 됨에 따라서 느슨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으로 섬유여재는 여과공정에서는 필터의 기능을, 역세공정에서는 이물질을 탈거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상부 고정고리(300)의 고리(301)는 실타래 형태의 섬유여재를 고정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참조한 도면에서는 원형으로 구현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마름모 꼴, 사각형 형태 및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고리(301)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탄성력의 방향은 고리가 팽창되는 방향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고정고리(300)의 샤프트부(302)는 상기 상판과 하부 이동체에 형성된 홀 내지 하부 이동체(200)의 공기 분사공(221)을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샤프트부(302)의 길이는 상판과 하부 이동체에 형성된 홀 내지 하부 이동체(200)의 공기 분사공(221)의 두께에 따라 변경되며, 체결 견고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걸림턱 및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샤프트부(302)는 맞은 편 샤프트부와의 사이에 일정한 갭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갭은 상판과 하부 이동체에 형성된 홀 내지 하부 이동체(200)의 공기 분사공(221)을 관통하는데 여유분을 제공한다.
상기 고정거리의 걸림턱(303)은 상판과 하부 이동체에 형성된 홀 내지 하부 이동체(200)의 공기 분사공(221)과 체결을 위한 걸림 고리 기능을 가진다.
상기 걸림턱(303)은 섬유여재의 하중과 하부 이동체의 자체 중량을 버틸 수 있는 두께와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에서와 같이, 공기배출관(311)을 구비한 고리를 개시하고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상기 섬유여재(110)와 상판(120)을 체결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섬유여재를 링 형태로 결합하며,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고리(301)와; 상기 링과 연결되며, 상기 상판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샤프트부(302)와; 상기 샤프트부와 연결되며, 상기 상판에 형성된 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단턱부를 형성하는 걸림턱(303);을 구비한 상부 고정고리(300)와, 상기 섬유여재(110)와 하부 이동체(200)을 체결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섬유여재를 링 형태로 결합하며, 탄성력을 가지며, 공기 배출관(311)을 구비한 고리(301)와; 상기 링과 연결되며, 상기 하부 이동체(200)의 공기 분사공(221)을 관통하는 샤프트부(302)와; 상기 샤프트부(302)와 연결되며, 상기 하부 이동체의 공기 분사공(2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단턱부를 형성하는 걸림턱(303)을 구비한 하부 고정고리(310)를 포함하여, 공기분사공(221)과 공기 배출관(311)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고정고리(300)는 상판과 섬유여재를 체결하기 위한 부재로서 단순형 고리의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하부 고정고리(310)는 공기 관로를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공기관로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첫째, 고정고리에 공기관로를 형성하는 것이고, 둘째, 하부 이동체(200)의 공기 분사공(221)과 연결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하부 고정고리(310)는 하부 이동체의 공기 분사공(221)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기 분사공(221)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관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공기 배출관(31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배출관(311)은 고리의 중앙부를 관통하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응용여부에 따라서는 고리(301)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 배출관(311)의 상단 일측부에는 한 개 이상의 공기 배출구(31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배출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부재 및 노즐관을 부착할 수도 있다.
도 5는 하부 고정고리의 평면 사시도(A), 배면 사시도(B) 및 구성도(C)이며, 도 6은 하부 고정고리의 작업 상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하부 고정고리(310)는, 상기 하부 이동체(200)의 공기 분사공(221)과 결합하기 위한 연결몸체(323)와 걸림턱(322)과; 상기 연결 몸체(323)와 연결되며, 상기 공기 분사공(221)과 연결되어 공기관로를 형성하는 공기유입관(321)를 포함하여, 상기 샤프트부(302) 내측에 결합되어 공기배출관(311)과 공기 유입관(321)이 연결되는 공기연결 부재(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연결 부재(320)는 공기 배출관(311)의 길이가 길어서 섬유여재의 결합 작업성과 섬유여재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공기 배출관(311)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배출관(311)의 길이를 단축시키고, 상기 공기 배출관(311)의 길이가 단축되는 만큼 공기 연결 부재(320)의 공기 유입관(321)을 확보함으로서 공기관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연결 부재(320)는 샤프트부(302)의 갭 사이에 고정되어 하부 고정고리(310)의 체결 견고성을 가져다 준다.
상기 샤프트부(302) 내측에 공기 유입관(321) 외주형상과 동일한 체결홈(312)를 구비하여 체결성을 향상시키고, 공기유입관(321)과 공기배출관(311)의 연결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공기유입관(321)과 공기배출관(311)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오링이나 패킹을 포함될 수도 있다.
도 6은 하부 고정고리의 작업 상태도이다.
도 6A는 섬유여재를 고리에 삽입하기 위하여 벌린 상태도이며, 도 6B는 섬유여재를 고정하기 직전의 상태도이며, 도 6C는 공기분사공(221)에 하부 고정고리(310)와 공기 연결부재(320)을 체결 직전의 상태도이며, 도 6D는 체결완료 이후의 상태도이다.
도 8은 상부 고정고리(300)의 샤프트부(302)의 다양한 형상 변화의 일실시 예이다.
도 8은 상부 고정고리(300)의 샤프트부(302)에 적용될 수 있는 원기둥(A), 사각기둥(B) 및 육각기동(C)으로 도시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각기둥, 원추형 및 타원 기둥으로 다양하게 대체할 수도 있으며, 이들 형상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부(302)의 형상은 상부 고정고리(300)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하부 고정고리(3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밝히는 바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탄성력을 구비한 링 형태의 고리를 구비한 상부 고정고리는 섬유여재를 용이하게 상판과 하부 이동체에 탈부착이 용이하며, 종래의 철사나 케이블 타이에 비하여 작업속도가 2~3배 이상 빨라지게 된다.
둘째, 상부 고정고리를 사용할 경우, 원터치로 섬유여재를 분리할 수 있고 재사용 및 재활용이 가능하다.
셋째, 공기 배출관을 구비한 하부 고정고리는 섬유여재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서 역세공정에서 섬유여재 세척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100 : 챔버, 110 : 섬유여재, 101 : 원수 유입구,
102 : 처리수 유출구 및 역세수 유입구 103 : 역세수 유출구,
104,105,106 : 제1, 2, 3 개폐밸브 107,108 : 제1,2월류벽,
120 : 여재 고정용 상판, 121 : 통과홀,
130 : 공기 공급관, 140 : 공기 공급수단,
150 : 공기 배출 및 물 채움 수단, 160 : 다공관,
161 : 여과수 유입공, 170 : 이동 밸브, 171 : 공기 통과용 몸체,
171a : 공기통과공, 172 : 연통구 밀폐용 커버,
200 : 하부 이동체, 210 : 부력실, 220 : 공기 안내 통로,
221 : 공기 분사공, 230 : 연통구,
300: 상부 고정고리, 301: 고리, 302: 샤프트부,
303: 걸림턱,
310: 하부 고정고리, 311: 공기배출관, 312: 체결홈,
313: 공기 배출구,
320: 공기연결부재, 321: 공기유입관, 322: 걸림턱,
323: 연결 몸체, 324: 공기 유입구.

Claims (4)

  1. 섬유여재 고정용 상판; 상단이 상기 여재 고정용 상판에 고정되는 섬유여재; 상기 섬유여재의 하단이 고정되며, 부력실이 형성되며, 상기 부력실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섬유여재를 향하여 분사될 수 있도록 복수의 공기 분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부력실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공기 분사공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공기 안내 통로가 형성되는 하부 이동체; 공기 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력실이 공기로 채워지도록 상기 부력실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 상기 부력실의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부력실에 물을 채우는 공기 배출 및 물 채움 수단;을 포함하여 여과공극과 세척공극을 형성하는 섬유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섬유여재(110)를 상판(120)과 하부 이동체(200)에 각각 체결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섬유여재를 링 형태로 결합하며,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고리(301)와;
    상기 링과 연결되며, 상기 상판과 하부 이동체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샤프트부(302)와;
    상기 샤프트부(302)와 연결되며, 상기 상판과 하부 이동체에 형성된 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단턱부를 형성하는 걸림턱(303);을 구비한 상부 고정고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여과장치.
  2. 섬유여재 고정용 상판; 상단이 상기 여재 고정용 상판에 고정되는 섬유여재; 상기 섬유여재의 하단이 고정되며, 부력실이 형성되며, 상기 부력실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섬유여재를 향하여 분사될 수 있도록 복수의 공기 분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부력실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공기 분사공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공기 안내 통로가 형성되는 하부 이동체; 공기 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력실이 공기로 채워지도록 상기 부력실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 상기 부력실의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부력실에 물을 채우는 공기 배출 및 물 채움 수단;을 포함하여 여과공극과 세척공극을 형성하는 섬유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섬유여재(110)와 상판(120)을 체결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섬유여재를 링 형태로 결합하며,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고리(301)와; 상기 링과 연결되며, 상기 상판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샤프트부(302)와; 상기 샤프트부와 연결되며, 상기 상판에 형성된 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단턱부를 형성하는 걸림턱(303);을 구비한 상부 고정고리(300)와,
    상기 섬유여재(110)와 하부 이동체(200)을 체결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섬유여재를 링 형태로 결합하며, 탄성력을 가지며, 공기 배출관(311)을 구비한 고리(301)와; 상기 링과 연결되며, 상기 하부 이동체(200)의 공기 분사공(221)을 관통하는 샤프트부(302)와; 상기 샤프트부(302)와 연결되며, 상기 하부 이동체의 공기 분사공(2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단턱부를 형성하는 걸림턱(303)을 구비한 하부 고정고리(310)를 포함하여, 공기분사공(221)과 공기 배출관(311)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여과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고리(310)는,
    상기 하부 이동체(200)의 공기 분사공(221)과 결합하기 위한 연결몸체(323)와 걸림턱(322)과;
    상기 연결 몸체(323)와 연결되며, 상기 공기 분사공(221)과 연결되어 공기관로를 형성하는 공기유입관(321)를 포함하여,
    상기 샤프트부(302) 내측에 결합되어 공기배출관(311)과 공기 유입관(321)이 연결되는 공기연결 부재(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여과장치.
  4. 제 1항과 제 2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고리(300) 내지 하부 고정고리(310)의 샤프트부(302)와 걸림턱(303)의 형상은 원기둥, 각기둥, 원추형 및 타원 기둥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여과장치.
KR1020180017790A 2018-02-13 2018-02-13 섬유여과장치 KR102079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790A KR102079503B1 (ko) 2018-02-13 2018-02-13 섬유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790A KR102079503B1 (ko) 2018-02-13 2018-02-13 섬유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857A true KR20190097857A (ko) 2019-08-21
KR102079503B1 KR102079503B1 (ko) 2020-02-20

Family

ID=67808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790A KR102079503B1 (ko) 2018-02-13 2018-02-13 섬유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5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369B1 (ko) 2012-04-02 2012-12-13 김군수 부상식 섬유여과장치
KR101253320B1 (ko) * 2012-07-17 2013-04-23 (주) 젠폴 섬유여과장치용 섬유여재 고정구 및 지그재그식 섬유여과장치
KR101736833B1 (ko) 2016-11-04 2017-05-17 박달준 여과기
KR101769354B1 (ko) 2016-02-17 2017-08-18 김군수 지그재그형 부상식 섬유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369B1 (ko) 2012-04-02 2012-12-13 김군수 부상식 섬유여과장치
KR101253320B1 (ko) * 2012-07-17 2013-04-23 (주) 젠폴 섬유여과장치용 섬유여재 고정구 및 지그재그식 섬유여과장치
KR101769354B1 (ko) 2016-02-17 2017-08-18 김군수 지그재그형 부상식 섬유여과장치
KR101736833B1 (ko) 2016-11-04 2017-05-17 박달준 여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503B1 (ko)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114B1 (ko) 당김형 공극제어 섬유여과기
JP3131190B2 (ja) 可変フィルター層を有する濾過装置
JP6467518B2 (ja) 膜ガス分離モジュール
KR102079503B1 (ko) 섬유여과장치
US11364469B2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filtering method
JP2010234200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5949834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及びその洗浄方法
CN108136286B (zh) 用于固定和密封滤芯上的过滤器织物和隔膜软管的装置
CN104703668B (zh) 过滤器罐组件
CN201586412U (zh) 可调长柄滤头
EP2872240B1 (en) Aeration diffuser for pressurized membrane module
US10532323B2 (en) Hollow-fiber membrane devic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TW201821241A (zh) 用於塑膠熔體之過濾的裝置
KR101461718B1 (ko) 섬유사 여과기를 구비하는 용존가압부상장치
CN203886257U (zh) 一种配水布气系统
JPH09262443A (ja) 膜分離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中空糸膜モジュール
KR100393274B1 (ko) 공극 조절 여과장치
KR100540262B1 (ko)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 및 보수방법
KR101790974B1 (ko) 팽창기구를 이용한 중공사 막의 포팅방법
JP2002113333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
KR100773510B1 (ko) 급속여과지의 유공블록 시공방법
CN214973106U (zh) 中空纤维膜组件
IT201900019758A1 (it) Dispositivo di trattamento di acqua mediante osmosi inversa
CN104056479B (zh) 一种列管式浓缩装置
JP2013158695A (ja) 樹脂注入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