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1100B1 -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1100B1
KR100571100B1 KR1020030079092A KR20030079092A KR100571100B1 KR 100571100 B1 KR100571100 B1 KR 100571100B1 KR 1020030079092 A KR1020030079092 A KR 1020030079092A KR 20030079092 A KR20030079092 A KR 20030079092A KR 100571100 B1 KR100571100 B1 KR 100571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loth
raw water
filtration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2933A (ko
Inventor
임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려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려산업
Priority to KR1020030079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1100B1/ko
Publication of KR20040082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양질의 여과수를 얻을수 있게 함과 아울러 여과포의 세척을 여과 효율을 향상 시킨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변형량이 적은 가요성(Flexible)의 줄이나 끈을 규칙 혹은 불규칙적으로 밀집 배치하여 미세한 공극을 갖게 만든 여과포를, 탱크 내에 여과실과 원수실를 연락되게 설치된 중공(中空)상의 관체 주위를 감싸게 설치하여, 상기 관체를 통해 유동하는 원수 중에 함유된 혼탁물질 및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하였고, 또한 탱크에 구비된 역세척 장치에 의해서는 여과포를 이동 시켜 공극을 확대하여 줌으로써 여과포에 부착된 이물질들을 속히 탈리(脫離)시켜 배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과재,줄,끈,역세척

Description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Filtration Plate for using Line and Filtration Appartus for use in such Filtration Pl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A부분 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2에서 여과포 만을 생략하고 표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여과장치에 사용된 여과포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여과장치에 사용된 여과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여과장치 101 : 원수 유출관
102 : 여과수 배출관 110 : 저수 탱크
120a,120b : 구획판체 130 : 고정관체
150 : 여과포 역세척수단 152 : 가동판
154 : 역세척용 원수 공급관 156 : 역세척용 공기 공급관
158 : 역세척수 배출관 160 : 바이 패스관
170 : 압력게이지 V1~V6 : 개폐밸브
본 발명은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줄이나 끈을 밀집 배치하여 미세한 공극을 이루게 만든 여과포에 의해 여과 효율 향상과 아울러 세척 작업을 쉽게 할 수 있게 한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가정에서 식수로 이용하기 까지의 정수 과정을 요약하여 보면 하천,호수,강물 등에서 표류수, 복류수, 지하수 등을 취수하여 펌프로 물을 퍼 올려 정수장 까지 송수하고, 약품을 투입시켜 혼화, 응집, 침전 등의 처리 과정을 거쳐 여과후, 여과된 물은 배수지에 저장해 소독공정을 거쳐 배수관을 통해 각 가정에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여과 과정에서 여과 단계의 기존 방식은 완속여과 방법과 급속여과 방법이 있는데, 최근에는 원수 수질의 오염이 우려돼 원수에 약품을 투입하여 후록(Flock)을 형성시켜 가라 앉히고 상등수를 여과 시키는 후자의 급속여과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여과재로는 규사, 안스라싸이트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근자에는 수직 관체의 표면에 다수의 통공을 설치한 곳에 끈이나 줄을 수겹으로 감아 고정시킨 봉상의 휠터나, 섬유사, 스폰지, 부직포 등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이를 압착하여 미세한 공극을 갖는 구조를 이루게 한 휠터의 사이로 물을 통과 시키면서 여과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현재 여과재로 사용하고 있는 규사, 안스라싸이트는 역 세척시 물 소비량이 많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안스라싸이트는 가격이 고가일 뿐 아니라 규사와 같이 많은 양이 소요되므로 취급이 불편하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봉 휠타는 역 세척을 할 수 없어서 수시로 휠타를 교환해주어야만 되는 불편함과 경제성이 떨어지는 면이 있고, 또 섬유사, 스폰지 및 부직포 등을 압착시켜 여과하는 방식은 복잡한 여과 공정을 거쳐야만 하며, 또한 여과된 처리수로 역세척을 해야만 하므로 별도의 역세척 수조를 구비해야 만하고, 아니면배수지를 크게 해야 만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고, 양질의 여과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세척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한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는 원수중의 이물질 및 혼탁물질을 여과하도록 된 여과 장치에 있어서, 원수의 유입 및 배출에 사용하는 입출관들을 갖는 분할 통체들을 조립하여 된 저수탱크; 상기 저수 탱크의 내경에 상응하는 크기를 이루며, 상기 탱크 내의 상하부에 이격 배치되어 그 탱크 내부를 원수 저류실과 여과실 등으로 구획 형성하는 복수개의 구획판체; 양단이 개구된 기둥 모양의 중공체를 이루며, 상기 원수 저류실과 여과실을 연락하는 유로 형성을 위해 상기 구획판체들을 관통하는 상태로 지지되어 일측 개구는 여과 실에 개방되고 타측 개구는 개방가능한 수단으로 폐쇄함과 아울러 주벽에는 내부와 연락되는 다수의 통공들이 설치된 고정관체; 상기 원수 저류실에 위치되는 상기 고정관체의 주벽부를 감싸게 설치하여 상기 원수 저류실로부터 여과실 쪽으로 유동하는 원수내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가요성(Flexible)의 줄이나 끈을 소정 두께를 이루게 밀집 배치하여 그 양단 부위들만을 일체로 고정하여 된 여과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 상기 저수 탱크에는 상기 여과부재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탈리(脫離)하기 위한 역 세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역 세척수단은 상기 저수 탱크의 내경과 동일의 외경을 이루는 판체를 이루며 중앙에는 상기 고정관체에 슬라이딩 되게 삽입할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삽입공의 주연부에는 상기 여과포의 일단을 고정하여 상기 여과포와 같이 고정관체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한 원통부가 형성된 가동판; 상기 원수 유입관으로부터 상기 저수 탱크의 상기 가동판의 하부측으로 개구되게 연통 설치되어, 상기 여과포를 이동 시킴에 필요한 역 세척수를 상기 가동판에 공급하기 위한 역 세척수 공급관; 상기 역 세척수 공급관과는 이격된 상기 저수 탱크의 상부에서 상기 여과실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여과포 쪽으로 가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관; 상기 공기 공급관과는 이격된 상기 원수 유입관과 상기 역세척수 공급관과의 사이에서 상기 저수탱크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 공급관을 통한 가압공기와 아울러 역 세척수 공급관을 통한 세척수에 의해 발생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세척수 배출관으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관체와 가동판에는 상기 여과포를 고정하기위한 고정턱이, 상기 고정관체의 상기 가동관체와의 인접된 위치에는 여과수의 누출을 억제하기 위한 환형의 걸림턱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수 탱크의 상기 세척수 배출관과의 대향 위치에는 상기 역 세척수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바이 패스(by-Pass)시키기위한 바이 패스관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저수 탱크에는 원수 저류실의 압력을 체크 하기 위한 압력 게이지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수 탱크의 저부에는 배출수 관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A부분 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2에서 여과포 만을 생략하고 표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100)은 원수의 유입 및 배출에 사용하는 입출관들(101,102)을 갖는 분할 통체들(111~113)을 일체로 조립하여 된 저수탱크(1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저수 탱크(110)은 상기 분할 통체들(111~ 113)을 수밀적으로 조합함에 의해 그 내부에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저수탱크(110)을 상기 분할 통체들(111~113)으로 분리되게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은, 상기 저수 탱크(110)내부의 청소와 정비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분할 통체들 (111~113)의 조립은 도면에는 표시 하지 않았으나, 분리를 쉽게 하고자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수 탱크(110)에는 도면에는 표시 하지 않았으나, 적어도 1개 이상의 점검용 투시창을 설치하여 내부를 점검하거나 감시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저수 탱크(110)은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그 저면에 지지각(114)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수 탱크(110)의 형상은 원주상의 통체를 이루게 한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 하였으나, 사각 형 구조를 이루게 할수도 있다.또 상기 저수 탱크(110)의 크기는 임의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저수탱크(110)의 재질은 내산성과 내수성이 양호한 스테인레스 스틸, 플라스틱, FRP, PE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수 유입관(101)을 통해서는 원수가 상기 탱크(1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탱크(110)의 내부에서 후술하는 여과포에 의해 여과된 물은 상기 여과수 배출관(102)를 통하여 배출된 후 소정 목적지로 공급된다.
상기 저수 탱크(110)의 내부는 그 저수 탱크(110)의 상하부로 설치된 구획판체들(120a,120b)에 의하여 적어도 3개의 실(室)들(121~123)로 구획되어 있다. 하나는 원수 저류실(121)이고, 다른 하나는 여과실(122)이고, 또 다른 하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실(123)이다. 상기 구획판체들(120a,120b)는 거의 밀폐된 상기 실들(121~123)을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저수 탱크(110)의 내경에 상응하는 크기의 원판을 이루어 상기 저수 탱크(11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원수 유입관(101)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는 상기 원수 저류실(121)에, 상기 원수 저류실(121)의 여과포를 통과한 여과수는 상기 여과실(122)에 그리고 상기 원수 저류실(121)로부터 상기 구획판체(120b)와 탱크(110)의 주벽면과의 작은 틈새를 통과하여 누수되는 물은 상기 배출실(123)에 각각 수용된다.
상기 저수 탱크(110)의 내부로는 양단이 개구된 기둥 모양의 중공(中空)구조를 이루는 관체(130)이 상기 구획판체들(120a,120b)를 관통하는 상태로 입설되어, 일측 개구는 상기 여과실(122)로 개방되고 그 반대측의 개구는 캡 너트(131)로 개방가능하게 폐쇄되어 있다. 또한 관체(130)의 주벽에는 다수의 통공(132)들이 설치되어 상기 관체(130)으로 하여금 원수 저류실(121)과 여과실(122)를 연락되게 하는 유로를 형성하게 한다. 상기 관체(130)의 양단 외주에는 나사부들(133a,133b)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구획판체들(120a,120b)를 그 구멍들(122a,122b)을 통하여 상기 관체(130)의 양단에 일체로 결합하기 위 함이다. 상기 관체(130)의 양단으로 나사 결합된 상기 구획판체들(120a,120b)는 이탈됨을 없도록 하고자 너트들(131,135)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구획판체들(120a,120b)중 상기 저수 탱크 (1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기 구획판체(120a)는 상기 탱크(110)의 내주면에 일체로 용접 고정되는 반면, 상기 구획판체(120b)는 상기 캡 너트(131)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탱크(110)의 내주면과 단지 수밀적으로 접촉된 상태로만 있는다. 따라서 상기 관체(130)은 유동됨이 없이 상기 저수 탱크(110)의 내부에 입설된 상태로 고정 지지되어 있게 된다. 상기 구획판체(120b)는 상기 구획판체(120a)과는 달리 상기 저수탱크(110)에 단지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게 한 이유는 후술하는 여과포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관체(110)의 재질은 내산성과 내수성이 양호한 스테인레스 스틸, 플라스틱, FRP, PE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관체(130)에는 통공(132)가 설치된 주벽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원수 저류실(121)로부터 상기 관체(130)의 통공(132)을 통하여 상기 여과실 (122)쪽으로 유동하는 원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한 여과포(200)이 위치되어 있다. 상기 여과포(200)은 변형이 적은 가요성(Flexible) 줄이나 끈을 소정 두께를 이루게 밀집 배치하여 그 양단 부위들 만을 일체로 고정하여 된 것이다.
상기 여과포(200)의 상 하단은 상기 관체(130)에 고정 밴드 혹은 결속 끈 들 (141,142)와 같은 결속수단에 의하여 상기 관체(130)에 고정되는데, 상기 여과포(200)의 상단은 그 여과포(200)의 이동됨을 없도록 고정하기 위해 상기 관체(130)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턱(134)에 상기 결속 밴드(141)에 의해서 걸리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반면, 그 하단은 상기 관체(130)의 외주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된 후술하는 역세척 수단(150)의 하나인 가동판(152)의 외주에 상기 결속밴드(142)에 의해서 결속된다.
상기 가동판(152)는 상기 관체(130)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여과포(200)의 공극을 넓게하는 작용을 하면서 역 세척시 상기 여과포(200)에 부착된 이물질 이나 혼탁물질 등을 쉽게 탈리되게 한다. 상기 관체(130)에서 도면부호(136)은 상기 가동판(152)의 상부 이동을 억제함과 아울러 그 가동판(152)와 관체(130)과의 사이로 여과포(200)을 통과한 여과수가 원수와 혼입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걸림턱이다. 상기 가동판(152)와 여과포(2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추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저수 탱크(110)에는 상기 여과포(200)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쉽게 탈리 (脫離)하기 위한 역 세척수단(150)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역세척수단(150)은 가동판(152), 그 가동판(152)를 상기 관체(130)으로부터 이동함에 필요한 세척수를 부여하는 역 세척용 원수 공급관(154), 그 역세척용 원수 공급관(154)로부터 공급되는 원수(原水)에 의한 압력으로 윗쪽으로 이동되면서 공극이 넓어진 상태(도1의 가상선 위치)를 유지하는 상기 여과포(200)쪽으로 가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공급관(156) 및 상기 여과포(200)을 세척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세척수 배출관(158)로 이루어 져 있다.
먼저, 상기 가동판(152)는 상기 저수 탱크(110)의 내경과 동일의 외경을 이루는 판체를 이루며 중앙에는 상기 고정관체(130)에 슬라이딩 되게 삽입할 수 있도 록 상기 관체(130)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 삽입공(15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문에 상기 가동판(152)는 상기 저수 탱크(110)의 내주면에 거의 밀착되는 상태로 위치된다. 또한 상기 삽입공(152a)의 주연부로부터는 상기 삽입공(152a)와 같은 직경의 구멍을 형성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원통부(152b)가 설치되어 있다.상기 원통부(152b)는 상기 세척포(200)의 일단을 감아서 결속밴드(142)로 고정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한다. 상기 원통부(152b)의 주위에는 상기 세척포(200)을 고정하는 결속밴드(142)를 이탈됨이 없도록 결속하기 위한 고정턱(152c)가 설치되어 있다(도1,도3참조).
이렇게 구성된 상기 가동판(152)는 상기 고정관체(130)의 하단으로부터 삽입한후, 상기 세척포(200)을 결속함에 의해, 상기 세척포(200)과 같이 관체(130)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가동판(152)는 원수를 여과처리하는 경우, 즉 상기 저수 탱크(110)의 원수 유입관(101)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는 상기 저수탱크(110)의 원수 저류실(121)의 내부로 일시적으로 수용된다. 상기 원수 저류실 (121)은 상기 구획판체들(120a,120b)로 거의 수밀적으로 구획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수는 상기 원수 저류실(121)의 내부로 만 수용되는데, 특히 상기 원수저류실(121)로 저류되는 원수는 상기 가동판(152)를 도1에서 보아 관체(130)의 하방을 따라 이동되게 하는 수압을 미치게 하여, 상기 가동판(152)를 관체(130)의 최하단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 때문에 상기 가동판(152)에 일체로 연결된 여과포 (200)은 도 1의 실선 표시와 같이 수압이 미치는 만큼의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여과포(200)을 구성하는 줄 혹은 끈 등의 여과부재들의 사이를 평상시보 다 더 좁게되는 아주 미세한 공극으로 좁혀지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상기 원수 저류실(121)내로 유입되는 원수가 여과포(200)을 통과하는 순간, 그 원수 중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혼탁물질 등은 상기 여과포(200)을 구성하는 줄 혹은 끈 등의 여과부재에 걸려서 부착되고, 이물질 등이 제거된 여과된 물은 관체(130)의 통공(132)과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저수탱크(110)의 여과실(122)측으로 유동되어 저류되고, 이어서 개방된 상기 여과수 배출관(102)를 통해 원하는 목적지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여과 과정이 반복되는 경우, 상기 여과포(200)은 그 여과포(200)에 걸리게 되는 이물질이나 혼탁물질로 인해 자체 여과 능력이 약화된다. 이때에는 여과포(200)을 필히 세척하지 않으면 안된다. 상기 여과포(200)을 세척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수 유입관(101)과 여과수 배출관(102)를 밸브들(V1,V2)를 통하여 잠그는 대신, 그동안 여과 작업 과정에서는 폐쇄되어 있던 상기 역 세척수 공급관 (154), 공기 공급관(156) 및 배출관(158)의 밸브들(V3~V5)는 개방하여, 상기 역 세척수 공급관(154)을 통해서는 역 세척용 원수가 공급되게 하고, 상기 공기 공급관 (156)을 통해서는 역 세척용 가압 공기가 공급되게 한다.
즉,상기 역 세척수 공급관(154)는 상기 원수 공급관(101)과 연락되는 상태를 이루어 상기 저수 탱크(110)의 상기 가동판(152)의 하부쪽으로 개구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문에 상기 역 세척수 공급관(154)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는 상기 가동판(152)의 하부쪽으로 공급되는데, 특히 가동판(152)의 하부쪽은 구획판체(120b)에 의하여 거의 수밀적으로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수의 양과 압력은 상기 가동판(152)를 도1 표시의 화살표 방향인 위쪽으로 밀어 올리게 되므로,상기 가동판(152)는 서서히 상기 관체(130)을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동판(152)의 이동은 그동안 긴장 상태를 이루고 있던 상기 여과포(200)도 같이 밀어 올리게 되므로, 상기 여과포(200)은 도 1의 가상선 표시와 같이 수축되면서, 상기 여과포(200)을 구성하는 줄 혹은 끈 등의 여과부재들의 공극을 넓게 한다. 이때 상기 공기 공급관(156)으로부터 공급되는 역 세척용 가압 공기는 도 1의 화살표 표시와 같이, 여과실(122) 및 관체(130)의 통공(132)를 통하여 공극이 넓혀진 상기 여과포(200)측으로 강하게 작용되기 때문에 상기 여과포 (200)에 부착되어 있던 이물질이나 혼탁물질 등은 상기 가압공기의 압력에 의해 신속히 제거 된다. 상기 공기 공급관(156)은 여과실(122)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공기 공급관(156)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밀폐된 여과실(122)로부터 그 여과실(122)과 연락되게 개방된 상기 관체(130)을 통하여 상기 여과포(200)측으로 가해지게 된다. 상기 여과포(200)으로부터 제거되는 이물질이나 혼탁물질 등은 상기 가동판(152)의 상면에 떨어져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원수 즉, 상기 저수 탱크 (110)의 원수 저류실(121)에서 상기 역세척수 배출관(158)과 대향 설치된 바이 패스(by-pass)관(160)을 통하여 유입되는 세척용 원수의해 세척되어 개방된 상기 세척수 배출관(15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바이 패스관(160)의 하단은 도 1에서 보아, 상기 세척수 배출관(158)보다 하방으로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용 원수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가동판(152)가 상기 바이 패스관(160)의 하단을 지나는 순간 세척용 원수는 개방되는 상기 바이 패스관(160)을 통해 바이 패스되어 상기 가동판(152)의 위쪽으로 유입된다. 상기 바이 패스관(160)을 통해 바이 패스되는 원수는 상기 가동판(152)을 밀어 올리게 되는 세척용 원수의 압력을 저하시켜 상기 가동판(152)가 상기 세척수 배출관(158)의 위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여과포(200)으로부터 제거되어 상기 가동판(152)의 상면으로 떨어진 이물질이나 혼탁물질 등은 상기 바이 패스관(160)을 통해 유입되는 세척용 원수의해 세척되어 세척수 배출관(158)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바이 패스관 (160)의 직경은 상기 가동판(152)을 밀어 올리는 세척용 원수의 량과 수압을 고려하여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포(200)의 세척 작업은 반복하여 수회 실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세척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여과포(200)은 상기 가동판 (152)와 같이 원상태로 복귀되어 다음의 여과 작업을 실시할수 있게 한다.
상기 여과포(200)에 대한 세척 작업 시기는 상기 저수탱크(110)에 설치된 압력 게이지(170)의 설정치 이상을 넘는가의 여부를 확인하는 때이다. 상기 압력 게이지(170)의 압력 상승은 상기 원수 저류실(121)의 압력 상승에 기인되는데, 상기 원수 저류실(122)의 압력 상승은 상기 여과포(200)에 이물질이나 혼탁물질이 많이 부착되어 여과능력이 떨어지는 경우,즉 상기 여과포(200)에 이물질이나 혼탁물질이 많이 부착되어서 원수의 통과가 원활하게 실행되지 않게 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원수 저류실(122)의 압력이 상승되어 상기 압력 게이지(170)의 압력을 상승시키는데, 이때가 바로 역 세척수단(150)을 가동하는 시기이다.
도면부호(103)은 상기 저수탱크(110)내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실(123)에 고이 게 되는 이물질이나 혼탁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이고, 그 배출관(103)에는 개폐용 밸브(V6)가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배출관(103)을 폐쇄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여과장치(100)은 상기 저수 탱크(110)을 여러개 연락되게 연결함에의해, 보다 많은 량의 원수를 여과 처리할 수 있다. 또 상기 여과포(200)은 장기 사용으로 인한 손상 혹은 마모로 여과 능력이 약화되는 경우에는 교체할 수 있다. 교체방법은 상기의 설치방법과는 반대로 하면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여과장치에 사용된 여과포의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이물질 및 혼탁물질을 여과하도록 된 여과포(200)은 변형이 없는 가요성(Flexible)의 줄이나 끈으로 된 여과부재(2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요성의 줄이나 끈과 같은 여과부재(212)는 실(絲),전선줄, 낚싯줄, 고무줄, 로프, 금속세선(細線) 등의 단독이나 이들중 2가지 이상을 꼬아서 만든 것 중의 하나가 사용된다. 그 밖에 가요성을 갖는 줄이라고 하면 어느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여과부재(212)를 소정 두께를 이루게 규칙 혹은 불규칙적으로 밀집 배치함에 의해 여과체(210)를 구성한다. 상기 여과부재(212)와 여과부재(212)의 공극(孔隙)은 가능한 작게 밀집되게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여과부재(212)는 수지로 만든 낚싯줄과 같이 매끄러운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세척시 이물질이나 혼탁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여과체(210)은 그 양단의 일부분을 일체로 고정함에 의해, 상기와 같이 일체화된 하나의 여과포(200)을 만들수가 있게 된다. 상기 여과체(210)의 양단을 고정하는 수단(220)은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접착제이다.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접착제(220)은 밀집 배치된 여과체(210)의 양단을 고정후 골고루 뿌리게 되면, 상기 여과체(210)의 여과부재(212)들의 사이로 스며들어가서 상기 여과부재(212)의 양단을 고정하게 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여과장치에 사용된 여과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도 4A의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설 명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부호로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는 여과체(210)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222)을 가요성의 접착 밴드를 사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도 4A의 실시예와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항시 양질의 여과수를 얻을 수 있도록 여과 효율을 향상 시키고, 특히 여과포의 세척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원수로 여과포의 세척을 실시하여 종래와 같이 별도의 여과포 세척용 수조를 필요없게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게 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간단한 구조와 설비로서 여과장지를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원수의 유입 및 배출에 사용하는 입출관을 갖는 저수탱크의 내부에는 가요성(Flexible)의 줄을 밀집 배치하여 원수중의 이물질 및 혼탁물질을 여과하도록 된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 탱크는 분할 통체들로 조립되고, 상기 저수탱크의 내경에 상응하는 크기를 이루며, 상기 탱크 내의 상하부에 이격 배치되어 그 탱크 내부를 원수 저류실과 여과실 등으로 구획 형성하는 복수개의 구획판체;
    양단이 개구된 기둥 모양의 중공체 이며, 상기 원수 저류실과 여과실을 연락하는 유로 형성을 위해 상기 구획판체들을 관통하는 상태로 고정 지지되어 일측 개구는 여과실에 개방되고, 타측 개구는 개방가능한 수단으로 폐쇄되며, 주벽에는 내부와 연락되는 다수의 통공들이 설치된 고정관체;
    상기 고정관체에서 상기 원수 저류실에 위치되는 주벽부를 감싸게 설치하여 상기 원수 저류실로부터 여과실 쪽으로 유동하는 원수내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상기 가요성(Flexible)의 줄이나 끈을 두께를 이루게 밀집 배치하여 그 양단 부위들만을 일체로 고정하여 된 여과포;및
    상기 여과포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탈 리(脫離)하기 위해 설치된, 상기 저수탱크의 내경과 동일의 외경을 이루는 판체를 이루며 중앙에는 상기 고정관체에 슬라이딩 되게 삽입할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삽입공의 주연부에는 상기 세척포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장소를 마련하는 원통부가 형성된 가동판과, 상기 원수 유입관으로부터 상기 저수 탱크의 상기 가동판의 하부측으로 개구되게 연통 설치되어, 상기 여과포를 이동 시킴에 필요한 역 세척수를 상기 가동판에 공급하기 위한 역 세척수 공급관과, 상기 역 세척수 공급관과는 이격된 상기 저수 탱크의 상부에서 상기 여과실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여과포 쪽으로 가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관과,상기 공기 공급관과는 이격된 상기 원수 유입관과 상기 역세척수 공급관과의 사이에서 상기 저수탱크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 공급관을 통한 가압공기 및 역 세척수 공급관을 통한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세척수 배출관으로 이루어 진 역 세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체와 가동판에는 상기 여과포를 고정하기위한 고정턱이, 상기 고정관체의 상기 가동관체와의 인접된 위치에는 상기 가동판의 사이를 통해 원수의 유출됨을 억제하기 위한 환형턱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탱크의 상기 세척수 배출관과의 대향 위치에는 상기 역 세척수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바이 패스(by-Pass)시키기위한 바이 패스관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탱크에는 원수 저류실의 압력을 체크 하는 압력 게이지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탱크의 저부에는 배출수 관이 더 설치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30079092A 2003-11-10 2003-11-10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 KR100571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092A KR100571100B1 (ko) 2003-11-10 2003-11-10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092A KR100571100B1 (ko) 2003-11-10 2003-11-10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353U Division KR200321735Y1 (ko) 2003-03-20 2003-03-20 줄을 이용한 여과포 및 그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933A KR20040082933A (ko) 2004-09-30
KR100571100B1 true KR100571100B1 (ko) 2006-04-14

Family

ID=37366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092A KR100571100B1 (ko) 2003-11-10 2003-11-10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11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136B1 (ko) * 2005-08-30 2006-1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필터 지지구조
KR100875389B1 (ko) * 2008-05-22 2008-12-23 정수환 가변 필터형 여과장치
CN117982959B (zh) * 2024-04-07 2024-06-04 深圳市汉斯顿净水设备有限公司 一种快速更换滤芯的家用净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933A (ko) 200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6681B2 (ja) 水から堆積物を除去するためのフィルター
US8221618B2 (en) Filter for removing sediment from water
KR100679231B1 (ko) 3 fm 정밀여과장치
KR101666864B1 (ko)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0746507B1 (ko)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마을 상수도 여과장치
US20200122060A1 (en) Fiber filtering apparatus
KR100571100B1 (ko)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
KR101736833B1 (ko) 여과기
KR200321735Y1 (ko) 줄을 이용한 여과포 및 그 여과포를 이용한 여과장치
KR101541148B1 (ko) 가변형 스트레이너 섬유여과기
KR20020063332A (ko) 폐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1705299B1 (ko) 공기역세가 가능한 부상여재 여과처리장치
CN210993153U (zh) 一种清洁过滤装置
CN209378539U (zh) 一种设有布水器的过滤罐
KR101384333B1 (ko) 부유물질 처리장치
KR20180037393A (ko) 섬유여과장치
KR101884307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역세시스템이 구비된 침지형 여과장치
KR100900534B1 (ko) 정밀여과장치
KR101623039B1 (ko) 다중 여과 장치
KR101081709B1 (ko)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
KR200191877Y1 (ko) 폐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2496736B1 (ko) 규조토 여과기
KR200444629Y1 (ko) 정밀여과장치
KR200346468Y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규조토 여과시스템
KR0138580B1 (ko) 여과부재 동시세척 연속 여과방법 및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