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864B1 -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6864B1 KR101666864B1 KR1020150171993A KR20150171993A KR101666864B1 KR 101666864 B1 KR101666864 B1 KR 101666864B1 KR 1020150171993 A KR1020150171993 A KR 1020150171993A KR 20150171993 A KR20150171993 A KR 20150171993A KR 101666864 B1 KR101666864 B1 KR 1016668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filtration
- foreign matter
- pipe
- filter unit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0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11505 plaste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2910 soli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ZSJDYOACSA-N Heavy water Chemical compound [2H]O[2H] XLYOFNOQVPJJNP-ZSJDYOAC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13 substance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03 water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4—Controlling the feed distribution; Controlling the liquid level ; Control of process parame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69—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조에 구비된 여과 필터부를 정화된 처리수를 이용하여 세척함에 따라 여과 필터부의 흡착된 비점오염물질인 이물질과 오일을 대부분 제거하면서 여과 필터부를 세척할 수 있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이 연통되고, 내부에는 상부에 우수가 통과되는 제1 유로가 형성되는 구획 침전벽이 형성되며, 우수의 배출측의 하부에는 제2 유로가 형성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제2 유로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여과 필터부가 하부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며, 우수의 배출측의 상부에는 제3 유로가 형성되는 여과조와; 상기 제3 유로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1 펌프가 구비되는 필터부 세척수조와; 상기 여과조나 필터부 세척수조의 배출측의 상부에 연통되게 구비되는 배수관과;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여과조의 제3 유로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필터부 세척수조에 채워진 정화된 처리수를 상기 여과 필터부의 상부로 분사하여 여과 필터부를 청소하며 단부에 분사노즐이 장착된 세척관과; 상기 본체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펌프를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초기강우 우수나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CSO : Combined Sewer Overflows)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나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이하, 총칭하여 "우수"라 한다.)를 유입 받아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여과조에 설치된 여과 필터부를 정화된 처리수로 세척함에 따라 여과 필터부의 흡착된 비점오염물질인 이물질과 오일을 강우종료 시 자동으로 제거하면서 여과 필터부를 세척할 수 있고, 한 본체의 내부에 침전조, 여과조, 필터부 세척수조, 기계실을 함께 형성함에 따라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의 부피를 최소로 줄이면서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간결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점오염물질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의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으로 부터 광범위하게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말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비점오염물질은 배출지역이 불분명하고 광범위한 지표면에 잔존해 있다가 우천 시 빗물과 함께 하천이나 호수 등의 공공 수역이나 지하수로 유입되어 수질오염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초기 강우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자연형시설, 장치형시설, 저영향 개발기법 시설(LID)이 있으며, 장치형 비점오염물질 저감 장치는 여과형, 와류형, 스크린형 시설 등이 있다.
종래의 비점오염 저감시설 중 여과형 우수처리 장치는 장치 구성에 있어 협잡물의 전처리 수행이 미흡하였고, 역세척 자동화 설비의 미비로 비점오염물질을 충분하게 제거할 수 없었으며, 강우종료 시 48시간 내 정체수의 배제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51242호의 "우수 처리 장치"(이하, "종래의 우수 처리장치"라 한다.)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우수 처리장치는 일측의 상부에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 상부에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판에는 맨홀뚜껑이 덮이는 다수의 개방홀이 형성되며, 내부의 일측에는 상판과 전,후판과 연결되고 하부에는 물 통과공간이 형성되게 수직격벽이 구비된 처리탱크와; 상기 수직격벽의 일측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내부의 상,하부가 개방되게 구비된 필터 스크린부와; 상기 수직격벽의 타측 하부에서 수평으로 구비된 유수 분리 필터부와; 상기 배수구가 구비된 타측벽의 일측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내부의 상부가 개방되게 구비된 섬유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스크린부의 내부와 상기 유수 분리 필터부의 내부에는 공기 유입배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공기 유입 배관부에는 입구가 상기 상판의 각 개방홀의 둘레에 고정된 공기 공급관이 연결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우수 처리장치는 유수 분리 필터부를 청소할 경우에는, 처리탱크의 내부에 채워진 우수를 이용하여 유수 분리필터부를 청소함으로써, 유수 분리필터부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인 이물질이나 오일이 유수 분리필터부에 더 흡착되어 오히려 유수 분리필터부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우수 처리장치는 유수 분리 필터부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할 경우에는, 별도의 공기 투입장비를 통해 공기 유입배관부에 공기를 주입해야 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우수 처리장치에서 유수 분리 필터부를 청소할 경우에는 별도의 공기 투입장비를 이동시켜 공기 유입배관부에 연결해야 함으로써, 유수 분리 필터부의 청소시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과조에 구비된 여과 필터부를 세척하여 청소할 경우에는 필터부 세척수조에 채워진 정화된 물을 이용하여 여과 필터부를 청소함으로써 여과 필터부의 흡착된 비점오염물질인 이물질과 오일을 거의 제거하면서 여과 필터부의 세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하나의 본체의 내부에 침전조와 여과조 및 필터부 세척수조를 형성함으로써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의 부피를 최소로 줄이면서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간결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기계실에 역세 공기펌프를 구비하여 여과 필터부의 하부에 역세척용 공기를 조작 제어부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하나의 본체에 침전조, 여과조, 필터부 세척수조, 및 기계실도 함께 형성함으로써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좀 더 간결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계실의 내부에 여과 필터부의 하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보조 역세 공기펌프를 구비함에 따라, 주 역세 공기펌프가 고장 날 경우에 보조 역세 공기펌프를 사용함으로써, 주 역세 공기펌프가 고장 날 경우에도 여과 필터부의 청소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전조의 전방에 형성된 수 취합실의 하부에 고형물 취합조를 형성하고, 고형물 취합조에 취합된 수분이 포함된 고형물을 바로 하수관거로 배출시켜 제거함으로써, 고형물의 쌓임으로 인한 우수의 오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전실의 하부에 쌓인 고형물을 고형물 이송관의 개방을 통해 고형물 취합조로 이송시켜 고형물 취합조에서 신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형물 이송관이 막힐 경우에 우회되는 별도의 보조 고형물 이송관을 개방시킴으로써, 침전실에 쌓인 고형물을 배출 처리하는 청소시 청소가 중단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 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입관의 내부 하부, 제1 유로의 하부, 제3 유로의 하부, 및 배출관의 내부 하부의 높이를 동일한 높이로 형성함으로써, 여과조에서 정화된 상등수가 처리수조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여 필터부 세척수조에는 항상 정화된 물만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전조와 여과조 및 필터부에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들을 구비함으로써, 수위센서들의 감지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하면서 내부의 청소작업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과 필터부를 하부에 적층되는 다공성 스톤들로 구성되는 다공성 포집층과 상부에 적층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탄성여재들로 구성되는 탄성 여재층으로 구성함에 따라, 다공성 스톤에서 다공부를 통해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인 이물질을 흡착하고, 고밀도 폴리에틸렌 탄성여재에서는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인 이물질을 내부에 포집하고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인 기름성분을 흡착함으로써, 여과 필터부를 통해 우수의 유수를 분리하여 우수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탄성여재를 둘레에 나선형 개방부가 형성되며 전방이 좁고 후방이 넓게 띠가 원뿔 형상으로 꼬아진 원뿔형 꼬임체로 구성함에 따라, 하부에서 상승되는 우수의 방향에 따라 원뿔형 꼬임체가 우수의 이동방향으로 신축되거나 휘어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우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변형된 원뿔형 꼬임체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어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 여재층을 원뿔형 꼬임체들이 서로 꼬아지면서 원뿔형 꼬임체들을 구성하는 띠들이 고리형으로 연결되게 구성함으로써, 매트리스 형상으로 구성되는 탄성 여재층이 해체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입관의 전방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인 큰 입자를 걸러내어 처리하는 부력 스크린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유입되는 우수의 포함되는 큰 입자로 인하여 우수의 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력 스크린수단을 구성하는 이물질 스크린부에 취합되는 입자가 큰 이물질을 별도의 이물질 취합챔버에 취합함으로써, 입자가 큰 이물질이 침전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물질 스크린부에 취합되는 입자가 큰 이물질이 침전조에 채워진 우수의 수위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이물질 취합챔버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는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이 연통되고, 내부에는 상부에 우수가 통과되는 제1 유로가 형성되는 구획 침전벽이 형성되며, 우수의 배출측의 하부에는 제2 유로가 형성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제2 유로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여과 필터부가 하부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며, 우수의 배출측의 상부에는 제3 유로가 형성되는 여과조와; 상기 제3 유로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1 펌프가 구비되는 필터부 세척수조와; 상기 여과조나 필터부 세척수조의 배출측의 상부에 연통되게 구비되는 배수관과;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여과조의 제3 유로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필터부 세척수조에 채워진 정화된 처리수를 상기 여과 필터부의 상부로 분사하여 여과 필터부를 청소하며 단부에 분사노즐이 장착된 세척관과; 본체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펌프를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의 상기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는, 후방벽의 일측 상부에 상기 유입관이 구비되고, 타측벽의 전방 상부에 상기 배수관이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침전조는 본체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맨홀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 침전벽은 침전조의 내부 전방에 형성되어 그 상부에는 상기 제1 유로가 형성되고 그 전방에는 수 취합실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는 구획 침전벽의 전방인 타측의 하부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여과조는 본체의 내부 전방인 상기 침전조의 타측에 상기 제2 유로와 배수관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3 유로는 여과조 후방의 타측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 세척수조는 상기 본체의 내부 후방의 타측인 상기 여과조의 후방에 상기 제3 유로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상부에는 맨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의 상기 본체의 내부 후방의 중앙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역세 공기펌프가 구비되는 기계실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역세 공기펌프에는 상기 여과조의 후방을 관통하여 상기 여과 필터부의 하부로 공기를 불어주어 여과 필터부를 역세척하는 역세척 공기투입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역세척 공기투입부는 상기 여과조의 후방을 관통하여 단부가 상기 여과 필터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중간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는 수동밸브가 구비되는 주 공기 공급관과, 상기 주 공기 공급관의 단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여과 필터부의 하부로 공기를 전체적으로 상향되게 공급하는 다수의 분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는 후방벽의 일측 상부에 상기 유입관이 구비되고, 타측벽의 전방 상부에 상기 배수관이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침전조는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맨홀(M)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 침전벽은 침전조의 내부 전방에 형성되어 그 상부에는 상기 제1 유로가 형성되고 그 전방에는 수 취합실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는 구획 침전벽의 전방인 타측의 하부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여과조는 본체의 내부인 상기 침전조의 타측에 상기 제2 유로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3 유로는 여과조의 타측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 세척수조는 상기 본체의 내부인 상기 여과조의 타측에 상기 제3 유로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상부에는 맨홀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관은 필터부 세척수조와 연통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의 상기 본체(1)의 내부인 침전조의 일측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역세 공기펌프가 구비되는 기계실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역세 공기펌프에는 상기 여과조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여과 필터부의 하부로 공기를 불어주어 여과 필터부를 역세척하는 역세척 공기투입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역세척 공기투입부는 상기 여과조의 일측을 관통하여 단부가 상기 여과 필터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중간에는 수동밸브가 구비되는 주 공기 공급관과, 상기 주 공기 공급관의 단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여과 필터부의 하부로 공기를 전체적으로 상향되게 공급하는 다수의 분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의 상기 기계실에는 보조 역세 공기펌프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 역세 공기펌프와 주 공기 공급관의 사이에는 중간에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는 수동밸브가 구비되는 보조 공기공급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의 상기 수 취합실의 하부에는 고형물 취합조가 하부로 함몰되게 더 형성되고, 상기 수 취합실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어 고형물을 펌핑하여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제2 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펌프에는 하수관거와 연결되고 중간에 수동밸브가 구비된 고형물 배출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의 상기 기계실에는 침전실의 하부에 쌓인 수분이 포함되는 고형물을 상기 고형물 취합조로 투입하고 중간에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1 전동밸브가 구비되는 고형물 이송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의 상기 고형물 이송관의 제1 전동밸브의 고형물 인입측과 고형물 배출측의 사이에는 중간에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2 전동밸브가 구비되는 보조 고형물 이송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여과조에 구비된 여과 필터부를 정화된 처리수를 이용하여 세척함에 따라 여과 필터부의 흡착된 비점오염물질인 이물질과 오일을 거의 제거하면서 여과 필터부를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하나의 본체의 내부에 침전조와 여과조 및 필터부 세척수조를 형성함에 따라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의 부피를 최소로 줄이면서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간결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 필터부의 하부에 역세척용 공기를 조작 제어부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과 필터부의 역세척시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고, 하나의 본체에 침전조, 여과조, 필터부 세척수조, 및 기계실도 함께 형성함으로써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좀 더 간결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 역세 공기펌프가 고장 날 경우에 보조 역세 공기펌프를 사용함에 따라, 주 역세 공기펌프가 고장 날 경우에도 여과 필터부의 청소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침전조의 전방에 형성된 수 취합실의 하부에 고형물 취합조를 형성하고, 고형물 취합조에 취합된 수분이 포함된 고형물을 바로 하수관거로 배출시켜 제거함으로써, 고형물의 쌓임으로 인한 우수의 오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침전실의 하부에 쌓인 고형물을 고형물 이송관의 개방을 통해 고형물 취합조로 이송시켜 고형물 취합조에서 신속히 처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침전실 하부에 쌓인 고형물의 청소를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형물 이송관이 막힐 경우에 우회되는 별도의 보조 고형물 이송관을 개방시킴으로써, 침전실에 쌓인 고형물을 배출 처리하는 청소시 청소가 중단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관의 내부 하부, 제1 유로의 하부, 제3 유로의 하부, 및 배출관의 내부 하부의 높이를 동일한 높이로 형성함에 따라, 여과조에서 정화된 상등수가 처리수조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여 필터부 세척수조에는 항상 정화된 처리수만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과 필터부를 항상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침전조와 여과조 및 필터부에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들을 구비함에 따라, 수위센서들의 감지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하면서 내부의 청소작업을 정밀하게 수행함으로써, 청소 작업시 장치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 필터부를 하부에 적층되는 다공성 스톤들로 구성되는 다공성 포집층과 상부에 적층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탄성여재들로 구성되는 탄성 여재층으로 구성함에 따라, 다공성 스톤에서 다공부를 통해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인 이물질을 흡착하고, 고밀도 폴리에틸렌 탄성여재에서는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인 이물질을 내부에 포집하고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인 기름성분을 흡착함으로써, 여과 필터부를 통해 우수의 유수를 분리하여 우수를 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탄성여재를 둘레에 나선형 개방부가 형성되며 전방이 좁고 후방이 넓게 띠가 원뿔 형상으로 꼬아진 원뿔형 꼬임체로 구성함에 따라, 하부에서 상승되는 우수의 방향에 따라 원뿔형 꼬임체가 우수의 이동방향으로 신축되거나 휘어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인 이물질이 변형된 원뿔형 꼬임체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어 포집될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 여재층을 원뿔형 꼬임체들이 서로 꼬아지면서 원뿔형 꼬임체들을 구성하는 띠들이 고리형으로 연결되게 구성함으로써, 매트리스 형상으로 구성되는 탄성 여재층이 해체되는 고장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관의 전방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되는 큰 입자를 걸러내어 처리하는 부력 스크린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유입되는 우수의 포함되는 큰 입자로 인하여 우수의 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력 스크린수단을 구성하는 이물질 스크린부에 취합되는 입자가 큰 이물질을 별도의 이물질 취합챔버에 취합함에 따라, 입자가 큰 이물질이 침전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 스크린부에 취합되는 입자가 큰 이물질이 침전조에 채워진 우수의 수위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이물질 취합챔버로 배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입자가 큰 이물질의 처리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D-D선 단면도.
도 7은 도 3의 E-E선 단면도.
도 8은 도 3의 F-F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탄성여재를 나타낸 것으로,
도 9a는 정면도이고,
도 9b는 측면도이며,
도 9c는 축소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탄성 여재층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여과 필터부를 나타낸 개략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2a는 평 단면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G-G선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부력 스크린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13a는 내부 구성도로 우수가 유입되지 않는 평상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b는 강우가 중수위로 내릴 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c는 강우가 만수위로 내릴 때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d는 강우가 종료된 순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e는 강우가 종료되어 입자가 큰 이물질을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3f는 강우가 종료되어 침전조에 채워진 우수가 배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이물질 회수 배출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14a는 이물질 취합통을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14b는 이물질 취합통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c는 이물질 취합통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D-D선 단면도.
도 7은 도 3의 E-E선 단면도.
도 8은 도 3의 F-F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탄성여재를 나타낸 것으로,
도 9a는 정면도이고,
도 9b는 측면도이며,
도 9c는 축소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탄성 여재층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여과 필터부를 나타낸 개략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2a는 평 단면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G-G선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부력 스크린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13a는 내부 구성도로 우수가 유입되지 않는 평상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b는 강우가 중수위로 내릴 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c는 강우가 만수위로 내릴 때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d는 강우가 종료된 순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e는 강우가 종료되어 입자가 큰 이물질을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3f는 강우가 종료되어 침전조에 채워진 우수가 배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이물질 회수 배출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14a는 이물질 취합통을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14b는 이물질 취합통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c는 이물질 취합통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D-D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E-E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F-F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탄성여재를 나타낸 것으로, 도 9a는 정면도이고, 도 9b는 측면도이며, 도 9c는 축소된 상태를 나타낸다. 아울러, 도 1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탄성 여재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여과 필터부를 나타낸 개략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는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이 연통되고 내부에는 상부에 우수가 통과되는 제1 유로(22)가 형성되는 구획 침전벽(21)이 형성되며 우수의 배출측의 하부에는 제2 유로(25)가 형성되는 침전조(2)와, 상기 침전조(2)의 제2 유로(25)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여과 필터부(31)가 하부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며 우수의 배출측의 상부에는 제3 유로(36)가 형성되는 여과조(3)와, 상기 제3 유로(36)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1 펌프(41)가 구비되는 필터부 세척수조(4)와, 상기 여과조(3)의 배출측의 상부에 연통되게 구비되는 배수관(12)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는 상기 제1 펌프(41)와 연결되어 필터부 세척수조(4)에 채워진 정화된 처리수를 상기 여과 필터부(31)의 상부로 분사하여 여과 필터부(31)를 청소하는 세척관(5)과, 본체(1)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펌프(41)를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6)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1)는 수압을 견디기 위하여 철근 콘트리크로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침전조(2)와 여과조(3) 및 필터부 세척수조(4)를 연통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침전조(2)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내부 일측에 연통되어 침전을 통해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인 침전 고형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침전조(2)는 상기 유입관(11)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전방에는 상부에 상기 제1 유로(22)가 형성되는 상기 구획 침전벽(21)이 형성되어 그 후방에는 침전실(23)이 형성되고 그 전방에는 수 취합실(24)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획 침전벽(21)의 전방인 타측의 하부 전방에는 상기 제2 유로(25)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맨홀(M)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 취합실(24)의 하부에는 침전되는 고형물을 취합할 수 있도록 고형물 취합조(26)가 하부로 함몰되게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형물 취합조(26)에는 고형물 취합조(26)에 취합된 수분이 포함된 고형물을 바로 하수관거(10)로 배출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 제어부(6)와 연결되어 고형물을 펌핑하여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제2 펌프(261)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펌프(261)에는 하수관거(10)와 연결되고 중간에 수동밸브(263)가 구비된 고형물 배출관(262)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2 펌프(261)의 작동을 통해 고형물 취합조(26)에 취합된 수분이 포함된 고형물을 바로 하수관거(10)로 배출시켜 제거함으로써 고형물의 쌓임으로 인한 우수의 오염을 사전에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여과조(3)는 도 3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내부 전방인 상기 침전조(2)의 타측에 상기 제2 유로(25)와 배수관(12)이 연통되게 형성되어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의 기름성분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여과조(3)의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우수를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시켜 여과시키는 여과 필터부(31)가 하부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여과조(3)의 후방의 타측 상부에는 상기 필터부 세적수조와 연통되는 제3 유로(3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 필터부(31)는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인 기름성분과 이물질을 분리하여 우수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여과조(3)의 내부에 하부와 이격되게 수평으로 배치되어 고정되고 하부와 둘레가 매쉬판(321)으로 구성되고 상부에는 커버 매쉬판(322)이 구비되는 여과챔버(32)와, 상기 여과챔버(32)의 내부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탄성여재(341)들이 매트리스 형상으로 상호 연결되게 구성되는 탄성 여재층(34)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여과챔버(32) 내부의 중간에는 상기 탄성 여재층(34)이 상부에 구비되게 구획 매쉬판(323)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획 매쉬판(323)의 하부에는 다공성 스톤(331)들로 구성되어 적층되는 다공성 포집층(33)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여과 필터부(31)의 하부에 적층되는 다공성 스톤(331)들의 다공부를 통해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인 이물질을 흡착함으로써 우수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여과 필터부(31)의 상부에 적층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탄성여재(341)들에서는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인 이물질을 내부에 포집하고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인 기름성분을 흡착함으로써, 여과 필터부(31)를 통해 우수의 유수를 분리하여 우수를 정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탄성여재(341)는 전,후방이 개방되고 둘레에는 나선형 개방부가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탄성 신축이 가능하고 상,하,좌,우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전방이 좁고 후방이 넓게 띠(341a)가 원뿔 형상으로 꼬아진 원뿔형 꼬임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탄성여재(341)를 둘레에 나선형 개방부가 형성되며 전방이 좁고 후방이 넓게 띠(341a)가 원뿔 형상으로 꼬아진 원뿔형 꼬임체로 구성함으로써, 하부에서 상승되는 우수의 방향에 따라 원뿔형 꼬임체가 우수의 이동방향으로 신축되거나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하부에서 상승되는 우수의 방향에 따라 원뿔형 꼬임체가 우수의 이동방향으로 신축되거나 휘어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함으로써, 우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변형된 원뿔형 꼬임체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어 포집될 수 있게 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상기 탄성 여재층(34)은 매트리스 형상으로 구성되는 탄성 여재층(34)이 해체되는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원뿔형 꼬임체들이 서로 꼬아지면서 원뿔형 꼬임체들을 구성하는 띠(341a)들이 고리형으로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필터부 세척수조(4)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내부 후방의 타측인 상기 여과조(3)의 후방에 상기 제3 유로(36)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내부에 채워진 정수된 처리수를 이용하여 상기 여과 필터부(31)를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필터부 세척수조(4)는 내부에 상기 세척관(5)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1 펌프(4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에는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도록 맨홀(M)이 구비되는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관(5)은 하나 이상의 제1 펌프(41)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여과조(3) 후방의 제3 유로(36)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필터부 세척수조(4)에 채워진 정화된 처리수를 상기 여과 필터부(31)의 상부로 분사하여 여과 필터부(31)를 세척 청소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세척관(5)의 단부에는 정화된 처리수를 여과 필터부(31)의 상부 전체에 분사시킬 수 있도록 분사노즐(51)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분사노즐(51)은 수압으로 통해 회전되면서 여과 필터부(31)의 상부의 사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스프링클러 방식의 노즐로 구성되어 여과필터부 전방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상기 스프링클러 방식의 노즐은 이미 공지된 것임에 따라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과 필터부(31)를 세척하여 청소할 경우에는 필터부 세척수조(4)에 채워진 정화된 처리수를 이용하여 여과 필터부(31)를 청소함에 따라 여과 필터부(31)의 흡착된 이물질을 거의 제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필터부 세척수조(4)에 채워진 정화된 처리수를 이용하여 여과 필터부(31)의 세척수 공급과 동시에 수세척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수세척과 공기세척을 혼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처리장치는 도 1 내지 도 3과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내부 후방의 중앙에 기계실(7)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7)은 상기 본체(1)의 내부 후방의 중앙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기계실(7)의 내부에는 상기 여과 필터부(31)에 공기를 주입하여 여과 필터부(31)를 역세척 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 제어부(6)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역세 공기펌프(7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역세 공기펌프(71)에는 상기 여과조(3)의 후방을 관통하여 상기 여과 필터부(31)의 하부로 공기를 불어주어 여과 필터부(31)를 역세척하는 역세척 공기투입부(72)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역세척 공기투입부(72)는 여과 필터부(31)의 하부에 역세척용 공기를 조작 제어부(6)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공급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여과조(3)의 후방을 관통하여 단부가 상기 여과 필터부(31)의 하부에 위치되며 중간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6)와 연결되는 전동밸브(721a)가 구비되는 주 공기 공급관(721)과, 상기 주 공기 공급관(721)의 단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여과 필터부(31)의 하부로 공기를 전체적으로 상향되게 공급하는 다수의 분기관(72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기펌프(71)를 작동시켜 공기만의 공급을 통해 여과 필터부(31)를 역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필터부 세척수조의 제1펌프를 이용하여(71) 정화된 처리수를 세척수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수세척의 기능도 가능한 장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계실(7)에는 주 역세 공기펌프(71)가 고장 날 경우에도 여과 필터부(31)의 청소 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조 역세 공기펌프(73)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보조 역세 공기펌프(73)와 주 공기 공급관(721)의 사이에는 중간에 조작 제어부(6)와 연결되는 전동밸브(732)가 구비되는 보조 공기공급관(731)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계실(7)에는 침전조(2)를 구성하는 침전실(23)의 하부에 쌓인 고형물을 고형물 취합조(26)로 이송시켜 고형물 취합조(26)에서 신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침전실(23)의 하부에 쌓인 수분이 포함되는 고형물을 상기 고형물 취합조(26)로 투입하고 중간에 상기 조작 제어부(6)와 연결되는 제1 전동밸브(271)가 구비되는 고형물 이송관(27)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형물 이송관(27)의 제1 전동밸브(271)의 고형물 인입측과 고형물 배출측의 사이에는 상기 고형물 이송관(27)이 막힐 경우에 고형물을 계속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중간에 상기 조작 제어부(6)와 연결되는 제2 전동밸브(281)가 구비되는 보조 고형물 이송관(28)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조작 제어부(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펌프(41)는 물론, 다른 펌프들과 전동밸브들을 조작을 통해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침전조(2)와 여과조(3) 및 필터부 세척수조(4)의 내부 상부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6)와 연결되고 유입관(11)의 내부 하부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제1 수위센서(S1)가 구비되고, 상기 침전조(2)와 여과조(3) 및 필터부 세척수조(4)의 내부 하부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6)와 연결되고 수위가 내려갔을 때 수위를 감지하는 제2 수위센서(S2)가 구비되며, 상기 여과조(3)의 여과 필터부(31)의 상부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6)와 연결되는 제3 수위센서(S3)가 구비되고, 상기 여과조(3)에 구비된 제1 수위센서(S)의 상부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6)와 연결되어 여과조(3)의 초과된 수위를 감지하는 제4 수위센서(S4)가 더 구비되고, 상기 조작 제어부(6)는 각 수위센서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램프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침전조(2)와 여과조(3) 및 필터부 세척수조(4)에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S)들을 구비함에 따라, 수위센서(S)들의 감지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하면서 내부의 청소작업을 정밀하게 수행함으로써 청소 작업시 장치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유입관(11)의 내부 하부, 제1 유로(22)의 하부, 제3 유로(36)의 하부, 및 배수관(12)의 내부 하부의 높이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조(3)의 상등수를 상기 필터부 세척수조(4)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유입관(11)의 내부 하부, 제1 유로(22)의 하부, 제3 유로(36)의 하부, 및 배수관(12)의 내부 하부의 높이를 동일한 높이로 형성함에 따라, 여과조(3)에서 정화된 상등수가 필터부 세척수조(4)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여 필터부 세척수조(4)에는 항상 정화된 처리수만이 유입될 수 있게 함으로써, 여과 필터부(31)를 항상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통해 우수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통해 우수에 포합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처리할 경우에는, 먼저, 본체(1)의 후방 일측의 상부에 구비된 유입관(11)으로 우수가 유입되면, 유입된 우수는 침전조(2)의 침전실(23)로 채워지면서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의 침수 고형물이 하부로 침수된다.
다음 상기 침전실(23)의 상등수는 구획 침전벽(21)의 상부에 형성된 제1 유로(22)를 통과하여 수 취합실(24)에 채워지면서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인 침수 고형물이 침전실(23)의 하부에 형성된 고형물 취합조(26)로 취합된다.
다음 상기 수 취합실(24)에 채워지는 우수는 제2 유로(25)를 통과하여 여과조(3)의 하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여과조(3)의 하부로 유입된 우수는 상승되어 여과 필터부(31)의 다공성 포집부(33)를 통과하면서 다공성 스톤(331)들의 다공부로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인 이물질이 흡착되어 제거된다.
다음 다공성 포집부(33)를 통과한 우수는 상승되어 여과 필터부(31)의 탄성 여재층(34)을 통과하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탄성여재(341)들의 내부로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인 이물질이 포집되고,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인 기름성분이 고밀도 폴리에틸렌 탄성여재(341)들의 표면에 흡착되어 포집됨으로서,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인 이물질이 재차 제거되고 기름성분이 제거되어 정화된 우수가 여과조(3)의 상부로 이동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여과조(3)에서 처리된 상등수는 배수관(12)을 통과하여 하천으로 유입되고, 일부의 상등수는 상기 필터부 세척수조(4)에 채워지는 과정을 통해 우수의 정화처리를 완료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여과 필터부(31)를 청소할 경우에는, 먼저, 우수의 배수를 완료한 상태에서 조작 제어부(6)의 조작을 통해 필터부 세척수조(4)에 구비되는 제1 펌프(41)를 가동시켜 정화된 처리수를 여과 필터부(31)의 상부로 분사시켜 여과 필터부(31)를 세척함으로써, 여과 필터부(31)를 정화된 세척수로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과조(3)에 구비된 여과 필터부(31)를 세척하여 청소할 경우에 필터부 세척수조(4)에 채워진 정화된 처리수를 이용하여 여과 필터부(31)를 청소함에 따라 여과 필터부(31)의 흡착된 이물질을 거의 제거하면서 여과 필터부(31)를 깨끗이 세척할 수 장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정화된 처리수를 통해 여과 필터부(31)를 청소하는 과정에서, 조작 제어부(6)의 조작을 통해 기계실(7)의 역세 공기펌프(71)를 더 가동시켜 여과 필터부(31)의 하부로 여과 필터부(31)를 통과하는 공기를 더 공급함으로써 여과 필터부(31)를 역세척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기계실(7)에 역세 공기펌프(71)를 구비하여 여과 필터부(31)의 하부에 역세척용 공기를 조작 제어부(6)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과 필터부(31)의 역세척시 편리성을 제공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본체(1)에 침전조(2), 여과조(3), 필터부 세척수조(4) 및 기계실(7)을 함께 형성함에 따라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좀 더 컴팩트하게 제작함으로써, 부피를 작게 하면서도 우수의 처리 기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조(2), 여과조(3), 필터부 세척수조(4) 및 기계실(7)의 배치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는 우수 유입되는 유입관(11)이 연통되고 내부에는 상부에 우수가 통과되는 제1 유로(22)가 형성되는 구획 침전벽(21)이 형성되며 우수의 배출측의 하부에는 제2 유로(25)가 형성되는 침전조(2)와, 상기 침전조(2)의 제2 유로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여과 필터부(31)가 하부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며 우수의 배출측의 상부에는 제3 유로(36)가 형성되는 여과조(3)와, 상기 제3 유로(36)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1 펌프(41)가 구비되는 필터부 세척수조(4)와, 상기 여과조(3)나 필터부 세척수조(4)의 배출측의 상부에 연통되게 구비되는 배수관(12)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펌프(41)와 연결되고 상기 여과조(3) 후방의 제3 유로(36)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필터부 세척수조(4)에 채워진 정화된 처리수를 상기 여과 필터부(31)의 상부로 분사하여 여과 필터부(31)를 청소하며 단부에 분사노즐(51)이 장착된 세척관(5)과, 상기 본체(1)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펌프(41)를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미도시됨)을 포함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는 후방벽의 일측 상부에 상기 유입관(11)이 구비되고, 타측벽의 전방 상부에 상기 배수관(12)이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1)를 포함하고, 상기 침전조(2)는 본체(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11)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맨홀(M)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획 침전벽(21)은 침전조(2)의 내부 전방에 형성되어 그 상부에는 상기 제1 유로(22)가 형성되고 그 전방에는 수 취합실(24)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25)는 구획 침전벽(21)의 전방인 타측의 하부 전방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여과조(3)는 본체(1)의 내부인 상기 침전조(2)의 타측에 상기 제2 유로(25)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3 유로(36)는 여과조(3)의 타측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필터부 세척수조(4)는 상기 본체(1)의 내부인 상기 여과조(2)의 타측에 상기 제3 유로(36)와 연통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12)은 필터부 세척수조(4)와 연통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의 내부인 침전조(1)의 일측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6)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역세 공기펌프(71)가 구비되는 기계실(7)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역세 공기펌프(71)에는 상기 여과조(3)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여과 필터부(31)의 하부로 공기를 불어주어 여과 필터부(31)를 역세척하는 역세척 공기투입부(72)가 더 형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역세척 공기투입부(72)는 상기 여과조(3)의 일측을 관통하여 단부가 상기 여과 필터부(31)의 하부에 위치되며 중간에는 수동밸브(721a)가 구비되는 주 공기 공급관(721)과, 상기 주 공기 공급관(721)의 단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여과 필터부(31)의 하부로 공기를 전체적으로 상향되게 공급하는 다수의 분기관(72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7)에는 보조 역세 공기펌프(73)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 역세 공기펌프(73)와 주 공기 공급관(721)의 사이에는 중간에 수동밸브(732)가 구비되는 보조 공기공급관(731)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 취합실(24)의 하부에는 고형물 취합조(26)가 하부로 함몰되게 더 형성되고, 상기 수 취합실(24)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어 고형물을 펌핑하여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제2 펌프(26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펌프(261)에는 하수관거(10)와 연결되고 중간에 수동밸브(263)가 구비된 고형물 배출관(262)이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7)에는 침전실(23)의 하부에 쌓인 수분이 포함되는 고형물을 상기 고형물 취합조(26)로 투입하고 중간에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1 전동밸브(271)가 구비되는 고형물 이송관(27)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물 배출관의 제1 전동밸브의 고형물 인입측과 고형물 배출측의 사이에는 중간에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2 전동밸브(281)가 구비되는 보조 고형물 이송관(28)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입관(11)의 내부 하부, 제1 유로(22)의 하부, 제3 유로(36)의 하부, 및 배수관(12)의 내부 하부의 높이는 상기 여과조(3)의 상등수를 상기 필터부 세척수조(4)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의 작동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의 작동과 동일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의 구체적인 작동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부력 스크린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13a는 내부 구성도로 우수가 유입되지 않는 평상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b는 강우가 중수위로 내릴 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c는 강우가 만수위도 내릴 때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d는 강우가 종료된 순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e는 강우가 종료되어 입자가 큰 이물질을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3f는 강우가 종료되어 침전조에 채워진 우수가 배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는 도 2와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전조(2)의 후방인 상기 유입관(11)의 전방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되는 큰 입자를 걸러내어 처리하는 부력 스크린수단(8)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부력 스크린수단(8)은 유입관(11)의 전방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되는 큰 입자를 걸러내어 우수의 포함되는 큰 입자로 인하여 우수의 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부력 스크린수단(8)은 상기 유입관(11)의 전방인 침전조(2)의 후방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하부가 개방되는 물 유입통로가 구비되며 전방판과 양 측판 및 상판을 포함하고 전방판의 상부에는 이물질 배출홀이 형성되는 우수 유입챔버(81)와, 상기 이물질 배출홀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이물질 취합챔버(82)와, 상기 물 유입통로의 내부에 구비되어 우수에 포함되는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어 걸러낸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취합챔버(82)로 배출하는 이물질 스크린부(8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스크린부(83)는 입자가 큰 이물질을 별도의 이물질 취합챔버(82)에 취합할 수 있도록, 상기 물 유입통로에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이 가능하게 둘레에 배수공간을 가지면서 구비되고 하부에는 부력체(841)가 구비되며 부력체(841)의 상부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전방에 상부 힌지부(843)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도어(844)가 구비된 메쉬박스(842)가 구비되고 상부 힌지부(843)에는 도어 개방대(845)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부력 스크린부(84)와, 상기 우수 유입챔버(81)의 내부 상부에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부력 스크린부(84)가 상승되면 상기 도어 개방대(845)를 하부로 눌러주어 도어(844)를 개방하여 메쉬박스(842)에 취합된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취합챔버(82)로 배출시키는 돌출 개방누름대(8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력 스크린수단(8)는 취합되는 입자가 큰 이물질이 침전조(2)에 채워진 우수의 수위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이물질 취합챔버(82)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부력체(841)의 전방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승강 걸림턱(86)과, 상기 우수 유입챔버(81)의 전방판의 상부인 상기 이물질 배출홀의 바로 하부의 전방판에 관통되게 구비되는 관통 힌지부(87)와, 상기 관통 힌지부(87)의 전방에 구비되어 관통 힌지부(87)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전방 돌출판(88)과, 상기 관통 힌지부(87)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 돌출판(88)과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어 수평으로 위치가 변경될 때 상기 승강 걸림턱(86)의 상승을 단속하는 후방 돌출판(89)과, 상기 전방 돌출판(88)의 전방에 우수 유입챔버(81)의 전방에 구비된 가이드관(P)에 삽입되어 승강되게 구비되고 후방에는 부력으로 상승시 상기 전방 돌출판(88)의 하부를 상부로 눌러주어 이물질 스크린부(83)의 상승을 단속하고 수위가 낮아져 부력이 상실되어 하강시 상기 전방 돌출판(88)의 상면을 하부로 눌러주어 이물질 스크린부(83)의 상승 단속을 해제하는 후방 돌출판(V1)이 구비되는 작동 부력체(V)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메쉬박스(842)의 하부에는 외측 하부로 하향 경사져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경사 배출판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력체(841)는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전조(2)의 수위가 중수위에서 만수위가 되면 상승되어 전방 돌출판(88)의 하부를 눌러줌에 따라, 후방 돌출판(89)을 수평으로 변화되게 하여 후방 돌출판(89)으로 상기 승강 걸림턱(86)을 눌러줌으로써 스크린부의 상승을 단속하게 작동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작동부력체(841)는 도 12d 내지 도 1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전조(2)의 수위가 만수위에서 배수가 이루어지면 하강되면서 전방 돌출판(88)의 상면을 눌러주어 후방 돌출판(89)을 경사지게 하여 승강 걸림턱(86)의 단속을 해제함에 따라, 부력 스크린부(84)를 부력으로 상승시켜 도어(844)를 개방시킴으로써 이물질을 배출되게 한 다음, 수위가 낮아져 부력이 상실되면 이물질이 배출된 부력 스크린부(84)를 다시 하강시키게 작동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 스크린부(83)에 취합되는 입자가 큰 이물질이 침전조(2)에 채워진 우수의 수위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이물질 취합챔버(82)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의 사용 중 입자가 큰 이물질의 처리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이물질 회수 배출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14a는 이물질 취합통을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14b는 이물질 취합통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4c는 이물질 취합통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전조(2)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11)으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되는 큰 입자를 걸러내어 걸러진 이물질을 회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이물질 회수 배출수단(9)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회수 배출수단(9)은 유입되는 우수를 감압시키면서 우수에 포함되는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어 회수할 수 있도록, 상기 침전조(2)의 후방인 유입관(11)의 전방에 구비되고 유입관(11)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어 우수는 배수시키고 입자가 큰 이물질은 일측으로 배출시키는 감압 덕트(91)와, 상기 감압 덕트(91)의 일측의 하부에 설치되고 우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골조로 구성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둘레와 하부가 막혀 있는 통 삽입골조부(92)와, 상기 통 삽입골조부(92)에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고 일측의 상부에는 상기 감압덕트(91)와 연통되는 이물질 유입부(931)가 형성되며 둘레와 하부가 망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록킹수단(934)에 의해 상부를 막으며 고정되고 손잡이(933)를 가지는 커버(932)가 구비되는 이물질 취합통(93)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감압덕트(91)는 우수를 감압시키면서 우수에 포함되는 입자가 큰 이물질을 이물질 취합통(93)으로 배출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침전조(2)의 후방벽에 고정되고 상기 유입관(11)이 관통되는 후방판(911)과, 상기 후방판(911)의 하부에 연장되게 구비되고 타측에서 일측의 방향으로 하향지게 경사진 반원통(912)과, 상기 반원통(912)과의 전방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방판(913)과, 상기 후방판(911)과 전방판(913)의 사이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우수를 통과시키는 상부망(914)과, 타측을 커버하면서 우수를 통과시키는 측부망(915)과,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물질 취합통(93)의 이물질 유입부(931)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이물질 배출부(916)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이물질 취합통(93)을 통 삽입골조부(92)에서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상기 이물질 취합통(93)의 전,후방에는 수직의 승강 레일(935)이 더 구비되고, 상기 통 삽입골조부의 전,후방의 양측에는 상기 승강 레일(935)이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는 다수의 가이드 롤러(921)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회수 배출수단(9)은 우수에 포함되는 큰 입자를 걸러내어 걸러진 이물질을 회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회수 배출수단(9)을 장착한 상태에서는, 우수가 감압덕트에 유입되는 순간에 우수가 감압되고, 감압된 우수는 1차적으로 감압덕트의 상부망(914)과 측부망(915)을 통과하면서 입자가 큰 이물질이 걸러지고, 1차적으로 걸러진 이물질과 우수는 감압덕트(91)의 반원통(912)을 따라 이물질 취합통(93)으로 유입된 다음, 2차적으로 걸러져 우수는 이물질 취합통(93)의 망을 통과하여 침전조(2)로 유입되고, 2차적으로 걸러진 이물질은 이물질 취합통(93)에 잔류되어 회수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맨홀(M)을 개방하여 이물질 취합통(93)을 침전조(2)의 외부로 들어 올리고, 이물질 취합통(93)에 채워진 이물질을 정해진 장소에 버릴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회수 배출수단(9)은 이물질이 채워진 이물질 취합통(93)을 작업자 용이하게 외부로 이탈시킬 수 있음에 따라, 이물질 취합통(93)에 채워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본체
11 : 유입관
12 : 배수관
2 : 침전조
21 : 구획 침전벽
22 : 제1 유로
23 : 침전실
24 : 수 취합실
25 : 제2 유로
26 : 고형물 취합조
261 : 제2 펌프, 262 : 고형물 배출관, 263 : 수동밸브
27 : 고형물 이송관
271 : 제1 전동밸브
28 : 보조 고형물 이송관
281 : 제2 전동밸브
3 : 여과조
31 : 여과 필터부
32 : 여과챔버
321 : 매쉬판, 322: 커버 매쉬판, 323 : 구획 매쉬판
33 : 다공성 포집층
331 : 다공성 스톤
34 : 탄성 여재층
341 : 고밀도 폴리에틸렌 탄성여재, 341a : 띠
36 : 제3 유로
4 : 필터부 세척수조
41 : 제1 펌프
5 : 세척관
51 : 분사노즐
6 : 조작 제어부
7 : 기계실
71 : 역세 공기펌프
72 : 역세척 공기투입부
721 : 주 공기 공급관, 721a : 수동밸브 722 : 분기관
73 : 보조 역세 공기펌프
731 : 보조 공기공급관, 732 : 수동밸브
8 : 부력 스크린수단
81 : 우수 유입챔버
82 : 이물질 취합챔버
83 : 이물질 스크린부
84 : 부력 스크린부
841 : 부력체, 842 ; 메쉬박스, 843 : 상부 힌지부,
844 : 도어, 845 : 도어 개방대
85 : 돌출 개방누름대
86 : 승강 걸림턱
87 : 관통 힌지부
88 : 전방 돌출판
89 : 후방 돌출판
P : 가이드관
V : 작동 부력체
V1 : 후방 돌출판
9 : 이물질 회수 배출수단
91 : 감압덕트
911 : 후방판, 912 : 반원통, 913 : 전방판,
914 : 상부망, 915 : 측부망, 916 : 이물질 배출부
92 : 통 삽입골조부
921 : 가이드 롤러
93 : 이물질 취합통
931 : 이물질 유입부, 932 : 커버, 933 : 손잡이,
934 : 록킹수단, 935 : 승강 레일
94 : 무게추
M : 맨홀
S1 ~ S4 : 제1 ~ 제4 수위센서
10 : 하수관거
11 : 유입관
12 : 배수관
2 : 침전조
21 : 구획 침전벽
22 : 제1 유로
23 : 침전실
24 : 수 취합실
25 : 제2 유로
26 : 고형물 취합조
261 : 제2 펌프, 262 : 고형물 배출관, 263 : 수동밸브
27 : 고형물 이송관
271 : 제1 전동밸브
28 : 보조 고형물 이송관
281 : 제2 전동밸브
3 : 여과조
31 : 여과 필터부
32 : 여과챔버
321 : 매쉬판, 322: 커버 매쉬판, 323 : 구획 매쉬판
33 : 다공성 포집층
331 : 다공성 스톤
34 : 탄성 여재층
341 : 고밀도 폴리에틸렌 탄성여재, 341a : 띠
36 : 제3 유로
4 : 필터부 세척수조
41 : 제1 펌프
5 : 세척관
51 : 분사노즐
6 : 조작 제어부
7 : 기계실
71 : 역세 공기펌프
72 : 역세척 공기투입부
721 : 주 공기 공급관, 721a : 수동밸브 722 : 분기관
73 : 보조 역세 공기펌프
731 : 보조 공기공급관, 732 : 수동밸브
8 : 부력 스크린수단
81 : 우수 유입챔버
82 : 이물질 취합챔버
83 : 이물질 스크린부
84 : 부력 스크린부
841 : 부력체, 842 ; 메쉬박스, 843 : 상부 힌지부,
844 : 도어, 845 : 도어 개방대
85 : 돌출 개방누름대
86 : 승강 걸림턱
87 : 관통 힌지부
88 : 전방 돌출판
89 : 후방 돌출판
P : 가이드관
V : 작동 부력체
V1 : 후방 돌출판
9 : 이물질 회수 배출수단
91 : 감압덕트
911 : 후방판, 912 : 반원통, 913 : 전방판,
914 : 상부망, 915 : 측부망, 916 : 이물질 배출부
92 : 통 삽입골조부
921 : 가이드 롤러
93 : 이물질 취합통
931 : 이물질 유입부, 932 : 커버, 933 : 손잡이,
934 : 록킹수단, 935 : 승강 레일
94 : 무게추
M : 맨홀
S1 ~ S4 : 제1 ~ 제4 수위센서
10 : 하수관거
Claims (25)
-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이 연통되고, 내부에는 상부에 우수가 통과되는 제1 유로(22)가 형성되는 구획 침전벽(21)이 형성되며, 우수의 배출측의 하부에는 제2 유로(25)가 형성되는 침전조(2)와; 상기 침전조(2)의 제2 유로(25)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여과 필터부(31)가 하부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며, 우수의 배출측의 상부에는 제3 유로(36)가 형성되는 여과조(3)와; 상기 제3 유로(36)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1 펌프(41)가 구비되는 필터부 세척수조(4)와; 상기 여과조(3)나 필터부 세척수조(4)의 배출측의 상부에 연통되게 구비되는 배수관(12)과;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펌프(41)와 연결되고 상기 여과조(3)의 제3 유로(36)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필터부 세척수조(4)에 채워진 정화된 처리수를 상기 여과 필터부(31)의 상부로 분사하여 여과 필터부(31)를 청소하며 단부에 분사노즐(51)이 장착된 세척관(5)과; 본체(1)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펌프(41)를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6);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관(11)의 내부 하부, 제1 유로(22)의 하부, 제3 유로(36)의 하부, 및 배수관(12)의 내부 하부의 높이는 상기 여과조(3)의 상등수를 상기 필터부 세척수조(4)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침전조(2)와 여과조(3) 및 필터부 세척수조(4)의 내부 상부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6)와 연결되고 유입관(11)의 내부 하부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제1 수위센서(S1)가 구비되고, 상기 침전조(2)와 여과조(3) 및 필터부 세척수조(4)의 내부 하부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6)와 연결되고 수위가 내려갔을 때 수위를 감지하는 제2 수위센서(S2)가 구비되며, 상기 여과조(3)의 여과 필터부(31)의 상부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6)와 연결되는 제3 수위센서(S3)가 구비되고, 상기 여과조(3)에 구비된 제1 수위센서(S1)의 상부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6)와 연결되어 여과조(3)의 초과된 수위를 감지하는 제4 수위센서(S4)가 더 구비되고, 상기 조작 제어부(6)는 각 수위센서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램프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는,
후방벽의 일측 상부에 상기 유입관(11)이 구비되고, 타측벽의 전방 상부에 상기 배수관(12)이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1)를 포함하고,
상기 침전조(2)는 본체(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11)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맨홀(M)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 침전벽(21)은 침전조(2)의 내부 전방에 형성되어 그 상부에는 상기 제1 유로(22)가 형성되고 그 전방에는 수 취합실(24)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25)는 구획 침전벽(21)의 전방인 타측의 하부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여과조(3)는 본체(1)의 내부 전방인 상기 침전조(2)의 타측에 상기 제2 유로(25)와 배수관(12)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3 유로는 여과조(3) 후방의 타측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 세척수조(4)는 상기 본체(1)의 내부 후방의 타측인 상기 여과조(3)의 후방에 상기 제3 유로(36)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상부에는 맨홀(M)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내부 후방의 중앙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6)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역세 공기펌프(71)가 구비되는 기계실(7)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역세 공기펌프(71)에는 상기 여과조(3)의 후방을 관통하여 상기 여과 필터부(31)의 하부로 공기를 불어주어 여과 필터부(31)를 역세척하는 역세척 공기투입부(72)가 더 형성되며,
상기 역세척 공기투입부(72)는
상기 여과조(3)의 후방을 관통하여 단부가 상기 여과 필터부(31)의 하부에 위치되며 중간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6)와 연결되는 수동밸브(721a)가 구비되는 주 공기 공급관(721)과, 상기 주 공기 공급관(721)의 단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여과 필터부(31)의 하부로 공기를 전체적으로 상향되게 공급하는 다수의 분기관(7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는,
후방벽의 일측 상부에 상기 유입관(11)이 구비되고, 타측벽의 전방 상부에 상기 배수관(12)이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1)를 포함하고,
상기 침전조(2)는 본체(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11)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맨홀(M)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 침전벽(21)은 침전조(2)의 내부 전방에 형성되어 그 상부에는 상기 제1 유로(22)가 형성되고 그 전방에는 수 취합실(24)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25)는 구획 침전벽(21)의 전방인 타측의 하부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여과조(3)는 본체(1)의 내부인 상기 침전조(2)의 타측에 상기 제2 유로(25)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3 유로(36)는 여과조(3)의 타측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 세척수조(4)는 상기 본체(1)의 내부인 상기 여과조(3)의 타측에 상기 제3 유로(36)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상부에는 맨홀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관(12)은 필터부 세척수조(4)와 연통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내부인 침전조(1)의 일측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6)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역세 공기펌프(71)가 구비되는 기계실(7)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역세 공기펌프(71)에는 상기 여과조(3)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여과 필터부(31)의 하부로 공기를 불어주어 여과 필터부(31)를 역세척하는 역세척 공기투입부(72)가 더 형성되며,
상기 역세척 공기투입부(72)는
상기 여과조(3)의 일측을 관통하여 단부가 상기 여과 필터부(31)의 하부에 위치되며 중간에는 수동밸브(721a)가 구비되는 주 공기 공급관(721)과, 상기 주 공기 공급관(721)의 단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여과 필터부(31)의 하부로 공기를 전체적으로 상향되게 공급하는 다수의 분기관(7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7)에는 보조 역세 공기펌프(73)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 역세 공기펌프(73)와 주 공기 공급관(721)의 사이에는 중간에 조작 제어부(6)와 연결되는 수동밸브(732)가 구비되는 보조 공기공급관(73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 취합실(24)의 하부에는 고형물 취합조(26)가 하부로 함몰되게 더 형성되고,
상기 수 취합실(24)에는 상기 조작 제어부(6)와 연결되어 고형물을 펌핑하여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제2 펌프(26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펌프(261)에는 하수관거(10)와 연결되고 중간에 수동밸브(263)가 구비된 고형물 배출관(262)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7)에는 침전실(23)의 하부에 쌓인 수분이 포함되는 고형물을 상기 고형물 취합조(26)로 투입하고 중간에 상기 조작 제어부(6)와 연결되는 제1 전동밸브(271)가 구비되는 고형물 이송관(27)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 이송관(27)의 제1 전동밸브(271)의 고형물 인입측과 고형물 배출측의 사이에는 중간에 상기 조작 제어부(6)와 연결되는 제2 전동밸브(281)가 구비되는 보조 고형물 이송관(28)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필터부(31)는,
상기 여과조(3)의 내부에 하부와 이격되게 수평으로 배치되어 고정되고 하부와 둘레가 매쉬판(321)으로 구성되고 상부에는 커버 매쉬판(322)이 구비되는 여과챔버(32)와,
상기 여과챔버(32)의 내부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탄성여재(341)들이 매트리스 형상으로 상호 연결되게 구성되는 탄성 여재층(3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챔버(32) 내부의 중간에는 상기 탄성 여재층(34)이 상부에 구비되게 구획 매쉬판(323)이 더 구비되고,
상기 구획 매쉬판(323)의 하부에는 다공성 스톤(331)들로 구성되어 적층되는 다공성 포집층(3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이 연통되고, 내부에는 상부에 우수가 통과되는 제1 유로(22)가 형성되는 구획 침전벽(21)이 형성되며, 우수의 배출측의 하부에는 제2 유로(25)가 형성되는 침전조(2)와; 상기 침전조(2)의 제2 유로(25)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여과 필터부(31)가 하부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며, 우수의 배출측의 상부에는 제3 유로(36)가 형성되는 여과조(3)와; 상기 제3 유로(36)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1 펌프(41)가 구비되는 필터부 세척수조(4)와; 상기 여과조(3)나 필터부 세척수조(4)의 배출측의 상부에 연통되게 구비되는 배수관(12)과;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펌프(41)와 연결되고 상기 여과조(3)의 제3 유로(36)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필터부 세척수조(4)에 채워진 정화된 처리수를 상기 여과 필터부(31)의 상부로 분사하여 여과 필터부(31)를 청소하며 단부에 분사노즐(51)이 장착된 세척관(5)과; 본체(1)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펌프(41)를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6);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 필터부(31)는, 상기 여과조(3)의 내부에 하부와 이격되게 수평으로 배치되어 고정되고 하부와 둘레가 매쉬판(321)으로 구성되고 상부에는 커버 매쉬판(322)이 구비되는 여과챔버(32)와, 상기 여과챔버(32)의 내부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탄성여재(341)들이 매트리스 형상으로 상호 연결되게 구성되는 탄성 여재층(34),을 포함하며,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탄성여재(341)는, 전,후방이 개방되고 둘레에는 나선형 개방부가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탄성 신축이 가능하고 상,하,좌,우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전방이 좁고 후방이 넓게 띠(341a)가 원뿔 형상으로 꼬아진 원뿔형 꼬임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여재층(34)은 상기 원뿔형 꼬임체들이 서로 꼬아지면서 원뿔형 꼬임체들을 구성하는 띠(341a)들이 고리형으로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2)의 후방인 상기 유입관(11)의 전방에는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되는 큰 입자를 걸러내어 처리하는 부력 스크린수단(8)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스크린수단(8)은,
상기 유입관(11)의 전방인 침전조(2)의 후방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하부가 개방되는 물 유입통로가 구비되며, 전방판과 양 측판 및 상판을 포함하고, 전방판의 상부에는 이물질 배출홀이 형성되는 우수 유입챔버(81)와;
상기 이물질 배출홀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이물질 취합챔버(82)와;
상기 물 유입통로의 내부에 구비되어 우수에 포함되는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어 걸러낸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취합챔버(82)로 배출하는 이물질 스크린부(8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이 연통되고, 내부에는 상부에 우수가 통과되는 제1 유로(22)가 형성되는 구획 침전벽(21)이 형성되며, 우수의 배출측의 하부에는 제2 유로(25)가 형성되는 침전조(2)와; 상기 침전조(2)의 제2 유로(25)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여과 필터부(31)가 하부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며, 우수의 배출측의 상부에는 제3 유로(36)가 형성되는 여과조(3)와; 상기 제3 유로(36)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1 펌프(41)가 구비되는 필터부 세척수조(4)와; 상기 여과조(3)나 필터부 세척수조(4)의 배출측의 상부에 연통되게 구비되는 배수관(12)과;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펌프(41)와 연결되고 상기 여과조(3)의 제3 유로(36)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필터부 세척수조(4)에 채워진 정화된 처리수를 상기 여과 필터부(31)의 상부로 분사하여 여과 필터부(31)를 청소하며 단부에 분사노즐(51)이 장착된 세척관(5)과; 본체(1)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펌프(41)를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6);를 포함하고,
상기 침전조(2)의 후방인 상기 유입관(11)의 전방에는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되는 큰 입자를 걸러내어 처리하는 부력 스크린수단(8)이 더 구비되며,
상기 부력 스크린수단(8)은, 상기 유입관(11)의 전방인 침전조(2)의 후방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하부가 개방되는 물 유입통로가 구비되며, 전방판과 양 측판 및 상판을 포함하고, 전방판의 상부에는 이물질 배출홀이 형성되는 우수 유입챔버(81)와; 상기 이물질 배출홀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이물질 취합챔버(82)와; 상기 물 유입통로의 내부에 구비되어 우수에 포함되는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어 걸러낸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취합챔버(82)로 배출하는 이물질 스크린부(83);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스크린부(83)는, 상기 물 유입통로에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이 가능하게 둘레에 배수공간을 가지면서 구비되고, 하부에는 부력체(841)가 구비되며, 부력체(841)의 상부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전방에 상부 힌지부(843)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도어(844)가 구비되며 하부에 외측 하부로 하향 경사진 경사 배출판이 구비되는 메쉬박스(842)가 구비되고, 상부 힌지부(843)에는 도어 개방대(845)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부력 스크린부(84)와; 상기 우수 유입챔버(81)의 내부 상부에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부력 스크린부(84)가 상승되면 상기 도어 개방대(845)를 하부로 눌러주어 도어(844)를 개방하여 메쉬박스(842)에 취합된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취합챔버(82)로 배출시키는 돌출 개방누름대(8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스크린수단(8)은,
상기 부력체(841)의 전방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승강 걸림턱(86)과;
상기 우수 유입챔버(81)의 전방판의 상부인 상기 이물질 배출홀의 바로 하부의 전방판에 관통되게 구비되는 관통 힌지부(87)와;
상기 관통 힌지부(87)의 전방에 구비되어 관통 힌지부(87)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전방 돌출판(88)과;
상기 관통 힌지부(87)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 돌출판(88)과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어 수평으로 위치가 변경될 때 상기 승강 걸림턱(86)의 상승을 단속하는 후방 돌출판(89)과;
상기 전방 돌출판(88)의 전방에 우수 유입챔버(81)의 전방에 구비된 가이드관(P)에 삽입되어 승강되게 구비되고, 후방에는 부력으로 상승시 상기 전방 돌출판(88)의 하부를 상부로 눌러주어 이물질 스크린부(83)의 상승을 단속하고 수위가 낮아져 부력이 상실되어 하강시 상기 전방 돌출판(88)의 상면을 하부로 눌러주어 이물질 스크린부(83)의 상승 단속을 해제하는 후방 돌출판(V1)이 구비되는 작동 부력체(V);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2)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11)으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되는 큰 입자를 걸러내어 걸러진 이물질을 회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이물질 회수 배출수단(9)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이 연통되고, 내부에는 상부에 우수가 통과되는 제1 유로(22)가 형성되는 구획 침전벽(21)이 형성되며, 우수의 배출측의 하부에는 제2 유로(25)가 형성되는 침전조(2)와; 상기 침전조(2)의 제2 유로(25)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여과 필터부(31)가 하부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며, 우수의 배출측의 상부에는 제3 유로(36)가 형성되는 여과조(3)와; 상기 제3 유로(36)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1 펌프(41)가 구비되는 필터부 세척수조(4)와; 상기 여과조(3)나 필터부 세척수조(4)의 배출측의 상부에 연통되게 구비되는 배수관(12)과;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펌프(41)와 연결되고 상기 여과조(3)의 제3 유로(36)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필터부 세척수조(4)에 채워진 정화된 처리수를 상기 여과 필터부(31)의 상부로 분사하여 여과 필터부(31)를 청소하며 단부에 분사노즐(51)이 장착된 세척관(5)과; 본체(1)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펌프(41)를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6);를 포함하고,
상기 침전조(2)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관(11)으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되는 큰 입자를 걸러내어 걸러진 이물질을 회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이물질 회수 배출수단(9)이 더 구비되며,
상기 이물질 회수 배출수단(9)은, 상기 침전조(2)의 후방인 유입관(11)의 전방에 구비되고, 유입관(11)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어 우수는 배수시키고 입자가 큰 이물질은 일측으로 배출시키는 감압 덕트(91)와; 상기 감압 덕트(91)의 일측의 하부에 설치되고, 우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골조로 구성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둘레와 하부가 막혀 있는 통 삽입골조부(92)와; 상기 통 삽입골조부(92)에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고, 일측의 상부에는 상기 감압덕트(91)와 연통되는 이물질 유입부(931)가 형성되며, 둘레와 하부가 망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록킹수단(934)에 의해 상부를 막으며 고정되고 손잡이(933)를 가지는 커버(932)가 구비되는 이물질 취합통(9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덕트(91)는,
상기 침전조(2)의 후방벽에 고정되고 상기 유입관(11)이 관통되는 후방판(911)과,
상기 후방판(911)의 하부에 연장되게 구비되고 타측에서 일측의 방향으로 하향지게 경사진 반원통(912)과,
상기 반원통(912)과의 전방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방판(913)과,
상기 후방판(911)과 전방판(913)의 사이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우수를 통과시키는 상부망(914)과,
타측을 커버하면서 우수를 통과시키는 측부망(915)과,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물질 취합통(93)의 이물질 유입부(931)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이물질 배출부(91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취합통의 내부에는 이물질 취합통의 부상을 방지하는 무게추(94)가 더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취합통(93)의 전,후방에는 수직의 승강 레일(935)이 더 구비되고,
상기 통 삽입골조부(92)의 전,후방의 양측에는 상기 승강 레일(935)이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는 다수의 가이드 롤러(92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51)은 수압으로 통해 회전되면서 여과 필터부(31)의 상부의 사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1993A KR101666864B1 (ko) | 2015-12-04 | 2015-12-04 |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1993A KR101666864B1 (ko) | 2015-12-04 | 2015-12-04 |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66864B1 true KR101666864B1 (ko) | 2016-10-24 |
KR101666864B9 KR101666864B9 (ko) | 2022-09-20 |
Family
ID=57256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1993A KR101666864B1 (ko) | 2015-12-04 | 2015-12-04 |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6864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6937B1 (ko) * | 2018-02-05 | 2018-12-05 | 조석현 | 비점 오염 저감 장치 및 방법 |
KR101942685B1 (ko) * | 2018-06-15 | 2019-01-25 | 조인구 | 비점 오염 저감 시설 |
KR101978143B1 (ko) | 2019-01-25 | 2019-05-14 | 그린로드(주) |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의 센서기반의 역세척 제어방법 |
KR102005372B1 (ko) * | 2018-07-06 | 2019-08-09 | 씨케이에코(주) | 초기 우수 처리장치 |
KR102198811B1 (ko) | 2020-09-28 | 2021-01-05 | 그린로드(주) |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CN113848296A (zh) * | 2021-08-25 | 2021-12-28 | 广西先得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一体化水质监测系统 |
CN114307509A (zh) * | 2022-01-24 | 2022-04-12 | 无锡市华天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废气处理用高效洗涤塔 |
CN117585781A (zh) * | 2024-01-18 | 2024-02-23 | 北京建筑大学 | 一种基于絮凝剂自动添加的污水处理设备及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9980Y1 (ko) * | 2002-06-18 | 2002-09-19 | 주식회사 정인기술단 |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 |
KR100978070B1 (ko) * | 2010-06-18 | 2010-08-26 |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 초고속 여과기능 및 역세기능을 구비한 여과장치 |
KR101151242B1 (ko) | 2011-10-28 | 2012-06-07 | 주식회사 동호엔지니어링 | 우수 처리장치 |
KR20130104793A (ko) * | 2012-03-15 | 2013-09-25 | (주) 한국엔피기술 | 자동 우수 처리 장치 |
KR101498072B1 (ko) * | 2014-06-09 | 2015-03-03 | 건화산기(주) | 빗물 처리 장치 |
-
2015
- 2015-12-04 KR KR1020150171993A patent/KR1016668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9980Y1 (ko) * | 2002-06-18 | 2002-09-19 | 주식회사 정인기술단 |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 |
KR100978070B1 (ko) * | 2010-06-18 | 2010-08-26 |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 초고속 여과기능 및 역세기능을 구비한 여과장치 |
KR101151242B1 (ko) | 2011-10-28 | 2012-06-07 | 주식회사 동호엔지니어링 | 우수 처리장치 |
KR20130104793A (ko) * | 2012-03-15 | 2013-09-25 | (주) 한국엔피기술 | 자동 우수 처리 장치 |
KR101498072B1 (ko) * | 2014-06-09 | 2015-03-03 | 건화산기(주) | 빗물 처리 장치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6937B1 (ko) * | 2018-02-05 | 2018-12-05 | 조석현 | 비점 오염 저감 장치 및 방법 |
KR101942685B1 (ko) * | 2018-06-15 | 2019-01-25 | 조인구 | 비점 오염 저감 시설 |
KR102005372B1 (ko) * | 2018-07-06 | 2019-08-09 | 씨케이에코(주) | 초기 우수 처리장치 |
KR101978143B1 (ko) | 2019-01-25 | 2019-05-14 | 그린로드(주) |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의 센서기반의 역세척 제어방법 |
KR102198811B1 (ko) | 2020-09-28 | 2021-01-05 | 그린로드(주) |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CN113848296A (zh) * | 2021-08-25 | 2021-12-28 | 广西先得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一体化水质监测系统 |
CN113848296B (zh) * | 2021-08-25 | 2023-10-31 | 广西先得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一体化水质监测系统 |
CN114307509A (zh) * | 2022-01-24 | 2022-04-12 | 无锡市华天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废气处理用高效洗涤塔 |
CN117585781A (zh) * | 2024-01-18 | 2024-02-23 | 北京建筑大学 | 一种基于絮凝剂自动添加的污水处理设备及方法 |
CN117585781B (zh) * | 2024-01-18 | 2024-04-05 | 北京建筑大学 | 一种基于絮凝剂自动添加的污水处理设备及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66864B9 (ko) | 2022-09-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6864B1 (ko) |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
KR101243415B1 (ko) | 빗물정화장치 | |
KR101495675B1 (ko) | 비점오염 저감장치 및 비점오염 물질 저감방법 | |
KR101400313B1 (ko) | 수처리시설 | |
KR101741449B1 (ko) | 유량 조정 및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초기 강우 유출수의 비점오염처리장치 | |
KR101033859B1 (ko) | 초기우수 분리형 저류조 | |
KR101160567B1 (ko) | 유동상 여재를 이용한 여과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우수 정화장치 | |
KR100896015B1 (ko) |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 |
KR101688845B1 (ko) | 침투 여과통 부착을 통한 투수성능 및 투수지속성 증대로 초기우수처리 및 지하수 함양효과를 극대화시킨 침투형 빗물받이 | |
KR101136385B1 (ko) |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초기 우수 처리방법 | |
KR102199644B1 (ko) | 유동상 필터층에서의 압밀 및 이완 기술을 구성한 비점오염원처리시스템 | |
KR102361496B1 (ko) | 비점오염 여과장치 | |
KR100767754B1 (ko) | 정화시설 내부 저장수를 이용하여 물청소하는 오염수다중정화시설 및 오염수 정화방법 | |
KR100562168B1 (ko) | 초기우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 |
KR100629151B1 (ko) | 초기우수 다중여과시설 | |
KR20150114224A (ko) |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 |
KR20050003330A (ko) | 초기 우수를 배제한 청정 우수 포집 장치 | |
KR101244122B1 (ko) |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 |
KR101842653B1 (ko) | 유수통공이 형성된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 |
KR101878395B1 (ko) | 강우수 정화장치 | |
KR101527005B1 (ko) | 오염수 정화장치 | |
KR101738952B1 (ko) | 고분자pe필터를 이용한 빗물 처리장치 | |
KR101151242B1 (ko) | 우수 처리장치 | |
KR101799513B1 (ko) |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 |
KR20070016638A (ko) |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