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372B1 - 초기 우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초기 우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372B1
KR102005372B1 KR1020180078467A KR20180078467A KR102005372B1 KR 102005372 B1 KR102005372 B1 KR 102005372B1 KR 1020180078467 A KR1020180078467 A KR 1020180078467A KR 20180078467 A KR20180078467 A KR 20180078467A KR 102005372 B1 KR102005372 B1 KR 102005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tank
filter
mesh filter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송휴
Original Assignee
씨케이에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케이에코(주) filed Critical 씨케이에코(주)
Priority to KR1020180078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에서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부유물을 걸러내고 가운데에는 필터설치공이 형성된 고정식메시필터와 상기 필터설치공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높낮이가 조절되어 상기 고정식메시필터에 부유물이 적층되어 우수의 유입 통로가 막히더라도 장치를 가동하는데 요구되는 우수량을 항상성 있게 유입시킬 수 있는 높낮이조절필터장치가 설치된 부유물제거조, 상기 부유물제거조를 거쳐 유입된 우수로부터 협잡물을 제거하고, 일정량의 우수를 공급하는 유량조정조, 상기 유량조정조로부터 우수를 공급받고, 유입된 우수내 용존 유기물을 미생물에 의해 제거하기 위한 폭기조, 상기 폭기조로부터 우수와 미생물의 혼합액을 공급받고, 유입된 혼합액내 존재하는 잔류 유기오염물질이 미생물의 먹이로서 소비되어 제거되는 막분리조; 상기 막분리조에 고정된 분리막유니트, 상기 분리막유니트를 통해 유출되는 처리수가 저장되고, 조내 수위가 높아져 고수위스위치에 도달할 경우 처리수이송펌프를 통해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처리수저장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기 우수 처리장치{FIRST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가 내린 직후 부우물이 많아져서 필터가 막혀 부유물제거조로 우수의 유입이 잘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오염도가 높아진 초기 우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수에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이 포함되긴 하지만, 스모그나 산성비 등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농업용수나 생활용수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적당한 청정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우수를 모아서 농업용수로 사용하거나 생활용수인 화장실 변기, 화초 물주기, 의복의 세탁 등 식수를 제외한 상수도 대용으로 사용하여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수를 모아서 사용하면 경제적으로나 환경적으로 여러 가지 장점이 있지만 초기우수는 농업용수나 생활용수로 사용하는데 인체의 건강이나 환경적으로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초기우수는 사전적으로 정의되진 않았지만 비가 오기 시작한 후 수분 이내를 의미하는 것이 통념이다.
초기우수라 해도 그 자체의 빗물에는 농업용수나 생활용수로 사용하는데 별 문제가 없지만, 초기우수가 지면에 떨어져 흐른 뒤 집수구에 모이면, 흐르는 과정에서 지면의 오염물질들이 빗물에 혼합되어 오염도가 높아진다. 즉, 지면에는 비오기전에 발생된 여러가지 오염물질이 산재해 있고, 대부분의 오염물질이 초기우수와 혼합되면서 집수구로 모이게 된다.
따라서, 우수를 사용할 때 초기우수만 제대로 정화하면 후속되는 별도의 정화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농업용수나 생활용수로 사용하는데 별다른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초기우수의 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초기우수를 아예 배제하거나 또는 정화하는 처리장치나 구조들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처리장치나 구조들이 전기에너지나 화석에너지를 이용한 기계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초기우수를 우회시켜 배제하거나 정화한다.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빗물이 흘러들어오거나 지붕의 빗물이 떨어지는 곳 등 실외에 설치되므로 지속적인 관리를 요하는 전기장치나 기계장치가 추가로 사용되면 에너지 소비 문제도 있지만 설치비용과 관리비용도 많이 들어가고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도 그만큼 높아진다.
또한, 초기 우수에는 낙엽이나 건초, 과자 봉지, 동물의 변 등 입자가 큰 부유물이 우수와 함께 밀려 들어와 도 1 및 도 2와 같이, 초기 우수를 최초로 받아들이는 우수저장조 입구나 위에 적층되므로 필터가 부유물에 막히어 우수 공급이 제대로 안돼 장치의 정상가동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0707호(2013.01.31)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1938호(2018.04.19)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5556호(2017.09.29)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5083호(2015.07.02) 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562168호(2006.03.11) 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55909호(2010.04.26)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부유물이 많고 오염도가 높은 초기 우수를 저에너지만 사용하여 처리하고, 특히 초기 우수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입자가 큰 부유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초기 우수가 가장먼저 유입되는 부유물제거조에 부유물이 과도하게 적층 되더라도 장치를 가동하는데 최소한의 유량을 부유물제거조로 공급받을 수 있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입되는 우수에서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부유물을 걸러내고 가운데에는 필터설치공이 형성된 고정식메시필터와 상기 필터설치공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높낮이가 조절되어 상기 고정식메시필터에 부유물이 적층되어 우수의 유입 통로가 막히더라도 장치를 가동하는데 요구되는 우수량을 항상성 있게 유입시킬 수 있는 높낮이조절필터장치가 설치된 부유물제거조(100); 상기 부유물제거조를 거쳐 유입된 우수로부터 협잡물을 제거하고, 일정량의 우수를 공급하는 유량조정조(310); 상기 유량조정조로부터 우수를 공급받고, 유입된 우수내 용존 유기물을 미생물에 의해 제거하기 위한 폭기조(320); 상기 폭기조로부터 우수와 미생물의 혼합액을 공급받고, 유입된 혼합액내 존재하는 잔류 유기오염물질이 미생물의 먹이로서 소비되어 제거되는 막분리조; 상기 막분리조에 고정된 분리막유니트(340); 상기 분리막유니트를 통해 유출되는 처리수가 저장되고, 조내 수위가 높아져 고수위스위치에 도달할 경우 처리수이송펌프를 통해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처리수저장조(3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기 우수가 부유물제거조에 밀려 들어올 때 부유물에 의해 고정식메시필터가 막히더라도 이동식메시필터를 통해 장치에서 요구되는 최소한의 우수량은 부유물제거조에 항상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식메시필터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강우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식메시필터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게다가 이동식메시필터의 착탈이 가능하고, 이동식메시필터의 크기가 격자 크기가 다른 것을 구비하여 놓았다고 장치가 설치되는 현장 상황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유물제거조의 고정식필터가 부유물에 막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부유물제거조의 고정식필터가 적층된 부유물에 의해 막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장치와 그 장치의 우수 처리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우물제거조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메시필터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프레임이 가이드바에 조립되어 상하로 이동하는에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구형볼과 스프링으로서 둘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메시필터의 단면도로서 조정홀에 반구형볼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제거조에 부유물이 적층되어 고정식메시필터가 막혀도 우수가 이동식메시필터의 측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10은 상대적으로 이동식메시필터의 크기가 크고 격자의 크기도 큰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상대적으로 이동식메시필터의 크기는 크지만 격자의 크기는 작은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상대적으로 이동식메시필터의 크기가 작고 격자의 크기는 큰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상대적으로 이동식메시필터의 크기가 작고 격자의 크기도 작은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장치는 부유물제거조(100)→ 유량조정조(310)→ 폭기조(320) → 막분리조(330)→ 분리막유니트(340)→ 처리수저장조(380)로 이루어진다.
초기 우수는 가장 먼저 부유물제거조(100)로 유입된다. 부유물제거조(100)는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세로×높이(200cm×200cm×200cm) 정도이고, 크기는 필요에 따라 가감할 수 있다.
초기 우수에는 낙엽이나 나뭇가지, 건초, 동물의 사체, 과자 봉지 등 입자가 큰 부유물이 대량으로 밀려들어 온다. 이러한 큰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해서 부유물제거조(100)의 상부에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를 덮는 고정식메시필터(110)가 설치된다. 고정식메시필터(110)가 조밀할수록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부유물 까지도 걸러낼 수 있지만, 부유물이 빠르게 적층되어 고정식메시필터(110)가 금방 막히므로 너무 조밀하지 않은 100 ~ 200 메시가 일반적이다.
고정식메시필터(110)의 가운데에는 사각형의 빈 공간인 필터설치공(120)이 형성된다. 필터설치공(120)에는 랩프레임, 지지프레임, 가이드바, 이동식메시필터, 수직프레임을 주 구성요소로 하는 높낮이조절필터장치가 구비된다.
높낮이조절필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필터설치공(120)에는 내주를 따라 테두리 형태로 구조를 강화시키는 랩프레임(130))이 형성되고, 랩프레임(130))의 모서리는 고정식메시필터(110)의 외곽 모서리와 연결 시켜 구조를 강화시키는 지지프레임(140)이 각각 형성된다.
필터설치공(120)의 각각의 모서리에는 부유물제거조(100)의 바닥까지 이어지는 가이드바(150)가 형성된다. 가이드바(150)에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10cm 간격으로 10여개의 조절홀(160)이 형성된다. 마지막 조절홀(160)의 일측에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필터설치공(120)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메시필터(210)가 설치된다. 이동식메시필터(210)는 필터설치공(120)에 설치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단면이 필터설치공(120)과 대응되게 사각형이고 4개의 수직프레임(220)과 수직프레임(220)을 둘러 감싸면서 연결하는 메시망(222)으로 이루어진다. 메시망(222)은 4개의 수직프레임(220)의 측면은 모두 감싸고 상하는 개방되어 있다. 이동식메시필터(210)는 가로×세로×높이(100cm×100cm×150cm) 정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220)에는 조절홀(160)에 대응되는 볼공(240)이 형성되어 있고, 볼공에는 스프링(250)이 삽입된 상태에서 특정한 힘 이상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볼공(240) 안으로 밀려 들어갔다가 그 외력이 제거되면 복귀되는 반구형볼(260)이 형성된다. 반구형볼(260)의 기저부는 볼공(240) 보다 직경이 크게 하여 스프링(250)에 탄지된 상태에서도 기저부가 볼공(240)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된다.
이동식메시필터(210)는 가이드바(150)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가능한데, 수직프레임(220)에 형성된 반구형볼(260)과 가이드바(150)에 형성된 조절홀(160)이 맞물려 이동식메시필터(210)의 조절된 위치가 고정된다. 이동식메시필터(210)를 특정한 힘 이상으로 누르거나 잡아당기면 반구형볼(260)이 볼홀 안으로 밀려 들어가서 위로 올라오거나 내려가다가 반구형볼(260)이 그 위나 아래의 조절홀(160)을 만나면 조절홀 안으로 삽입되면서 맞물려 고정된다.
이동식메시필터(210)의 상단에는 외주를 따라 이동식메시필터가 뒤틀리거나 휘어지지 않도록 구조를 강화시키는 바프레임(270)이 형성되고, 바프레임에는 대향되어 한쌍의 바걸이(280)가 형성된다. 바걸이에는 긴 바를 끼워 넣어나 줄을 매달아 들어 올리거나 내리면서 이동식메시필터(21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위와 같이 이동식메시필터(210)는 잡아 올리거나 잡아 눌러서 이동시켜 설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홀(160)은 10cm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식메시필터는 10cm 간격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동식메시필터(210)의 높이가 150cm 이므로 이론적으로 고정식메시필터와 동일한 상태에서 부터 150cm 더 높게 할 수 있지만, 필터설치공(120)에 이동식메시필터(210)의 아래쪽 끝이 걸려 있으면 구조적으로 약해지므로 실질적으로 대략 120cm 까지 더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이동식메시필터(210)의 상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고 닫을 수 있는 덮개(290)를 설치한다. 덮개(290)가 열려 있으면 부유물이 걸러지지 않고 부유물제거조로 바로 유입될 수 있지만, 부유물이 너무 많아서 이동식메시필터 까지 막힐 것으로 예상이 되면 덮개를 열어서 최소한의 유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초기 우수가 부유물제거조(100)에 흘러 들어올 때 강우량의 정도에 따라 부유물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유입되기도 하고 더 적게 유입되기도 하지만, 시간의 문제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식메시필터(110)가 입자가 큰 부유물에 의해서 결국 막힌다.
고정식메시필터(110) 위에 부유물이 적층 되어도 그 아래로 우수가 침수하여 부유물제거조(100)에 우수가 조금씩 저장되기는 하지만, 너무 천천히 유입되면 다음 단계에서 필요한 양만큼 얻을 수 없으므로 설정된 최소 유량 이상의 우수는 항상 확보되어야 한다.
주간에는 우수 처리 장치를 관리하는 요원이 상주하여 고정식메시필터(110)에 쌓이는 부유물을 수시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지만, 야간에는 관리 요원을 상주시키는 것이 안전사고나 비용 측면에서 어려움이 많다. 또한, 초기에 많은 양의 비가 내리면 단시간에 많은 양의 부유물이 다량의 우수와 함께 흘러들어오기 때문에 더 많은 우수가 유입되어도 고정식메시필터(110)가 역설적으로 더 빨리 막혀서 장치의 정상 가동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고정식메시필터(110)가 막혔을 때에도 적정량의 우수가 부유물제거조(100)로 유입되어야 하는데, 이동식메시필터(210)가 고정식메시필터(110) 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으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식메시필터(110)가 부유물이 쌓여서 막혀도 이동식메시필터(210)의 사방 측면은 열려 있으므로 우수는 지속적으로 유입된다.
이동식메시필터(210)의 높이는 10cm 단위로 120cm 까지 조정할 수 있으므로 고정식메시필터(110)에 부유물이 최대 120cm 까지 쌓여도 이동식메시필터(210)의 열린 측면을 통해 우수가 유입된다.
따라서 예상되는 우수량에 따라 이동식메시필터(210)를 더 높거나 낮게 미리 조정해 둠으로써 부유물제거조(100)로 유입되는 최소한의 우수량을 항상 확보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설치공(120)의 크기가 다른 다양한 종류의 고정식메시필터(110)를 구비하고, 필터설치공(120)에 맞는 이동식메시필터(210)를 구비하였다가 초기 우수 처리장치가 설치되는 주변 환경조건이나 강우량이 많아지는 여름철 등 계절에 따른 강우량 조건에 맞게 고정식메시필터(110)와 이동식메시필터(210)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동식메시필터(210)가 교체 가능하므로 이동식메시필터(110)의 메시망(230) 격자 크기를 전후좌우면이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는데, 우수가 밀려 들어올 때 우수를 맞이하는 면은 부유물이 밀어내는 압력이 커서 격자 보다 큰 부유물도 격자 사이로 통과 하지만, 반대면은 격자의 입자가 상대적으로 커도 부유물의 침투가 잘 안된다.
이와 같이 우수의 수압 특성을 이용하여 이동식메시필터(210)의 사면 격자 크기를 다르게 함으로써 이동식메시필터(210)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이동식메시필터(210)가 교체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초기 우수 처리장치가 설치되는 곳의 현장 상황에 따라 이동식메시필터를 교체하면서 적용할 수 있다.
부유물제거조(100)에 유입된 우수는 자연유하구를 통해 유량조정조(310)로 유입된다.
부유물제거조(100)로 유입된 우수는 유량조정조에 저류되었다가 유량조정조내에 설치된 원수이송펌프(312)에 의해 드럼스크린(315)을 거쳐 폭기조(320)로 이송된다.
원수이송펌프(312)는 수중펌프로서 그 가동 및 정지는 유량조정조내 설치된 레벨스위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유량조정조내 레벨스위치는 저수위스위치(311a)와 고수위스위치(311b)로 나뉘는데 유량조정조내 수위가 고수위스위치(311b)까지 도달하게 되면 고수위스위치는 이를 감지,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신호를 보내고 컨트롤러에서 원수이송펌프(312)로 다시 신호를 보내게 되어 원수이송펌프(312)가 가동되게 된다.
수위가 낮아져 저수위스위치(311a)까지 도달하게 되면 원수이송펌프(312)는 다시 신호를 받아 가동을 멈추게 된다. 유량조정조(310)에 유입된 원수 내 함유되어 있는 고형물질이 가라앉아 유량조정조(310)내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폭기조(320)와 막분리조(330)에 공급되는 공기가 유량조정조내 산기관(A1)을 통해 공급되거나 별도의 브로아를 통해 폭기조(320)와 막분리조(330)와는 별도로 공급된다.
원수이송펌프(312)에 의해 이송되는 원수는 드럼스크린(315)을 거치게 되는데 이것을 우수 내에 함유된 머리카락이나 휴지조각 등의 미세한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0.1 ~ 1mm 크기의 메쉬망을 장착하고 있다.
드럼스크린(315)은 유량조정조(310)내 원수이송펌프(312)가 작동될 때 같이 작동할 수 있도록 연동 되어 있다. 드럼스크린(315)의 메쉬망을 통과한 우수는 폭기조(320)로 유입된다.
폭기조(320) 내에선 폭기조(320)내 미생물에 의해 용존유기물이 미생물의 먹이로 제거된다. 미생물의 호흡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막분리장치 외부에 설치된 브로아(A)로부터 폭기조(320)내 설치된 산기관(A1)을 통해 공기가 유입된다. 폭기조(320)내 혼합액은 후단의 막분리조(330)로 자연유입되게 되는데 폭기조(320)와 막분리조(330) 사이에는 격벽이 존재하여 두 조를 구분하고 있고 격벽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어 이 개방된 부분을 통해 폭기조(320)내 혼합액이 막분리조(330)로 자연유입되게 된다.
막분리조(330)에서는 막분리조내 미생물에 의해 혼합액내 용존유기물이 제거되고 미생물 및 부유협잡물은 막분리조내 설치된 분리막유니트(340)에 의해 여과되며 분리막유니트를 통해 걸러진 여과액이 처리수로써 막분리장치 외부에 설치된 흡인펌프(350)를 통해 막분리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분리막은 표면에 0.1 ~ 0.4㎛ 크기의 무수한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공극을 통해 분리막 외부의 혼합액중 처리수는 유입되고 미생물 등의 고형물은 여과되게 된다.
분리막유니트(340)는 막분리조(330)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흡인펌프(350)와 연결되어 있는데, 흡인펌프(350)가 가동되면 이와 연결된 분리막유니트(340)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고, 이 진공압이 드라이빙 포스(driving force)가 되어 분리막유니트(340) 외부의 혼합액 중 미생물 등의 고형물이 처리수의 흐름에 따라 분리막유니트 표면으로 같이 이동하여 공극을 막는 폐색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미생물의 호흡에 필요한 공급하는데 이용되는 브로아(A)를 분리막유니트(340) 하단의 산기관(A1)에 연결하여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산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승하면서 발생하는 공기방울의 교란작용과 수류의 형성으로 고형물이 분리막유니트 표면으로 이동하여 부착하려는 것을 방해하도록 한다.
이때 폭기조(320)내 산기관과 막분리조(330)내 산기관에 연결된 브로아(A)는 동일한 것일 수도 있고, 각각의 반응조가 대용량일 경우 별개의 브로아를 각각 이용할 수도 있다. 분리막 내부로 유입된 처리수는 처리수 라인을 따라 흡인펌프(35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분리막유니트(340)를 통해 유출되는 처리수 라인에는 산화제에 의해 중공사막을 역세할 수 있도록 역세펌프(345)를 설치하고 그 일측에 약품탱크를 설치하여 밸브 조작에 의해 처리수가 흘러가는 반대 방향으로 유체를 일시적으로 고압으로 흘러 보내주어 역세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역세는 1일 1 ~ 3회가 바람직하다.
흡인펌프(350)는 막분리조(330)내 설치된 레벨스위치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받고 작동하게 된다. 막분리조(330)내 레벨스위치는 고수위스위치(331b)와 저수위스위치(331a)로 구분되는데 수위가 낮아져 저수위스위치(331a)에 도달하게 되면 저수위스위치(331a)는 이를 감지, 컨트롤러에 신호를 보내고 이는 다시 흡인펌프(350)에 전달되어 흡인펌프가 가동되게 된다. 반대로 수위가 높아져 고수위스위치(331b)에 도달하게 되면 흡인펌프(350)는 정지되게 된다.
분리막유니트(340)의 폐색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인펌프(350)를 간헐운전한다. 즉 흡인펌프(350)를 수분간 가동, 다시 수분간 정지시킴으로써 분리막유니트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다. 막분리조(330)내 수위가 저수위일 경우 흡인펌프(350)가 정지하고 있는 동안 브로아(A)는 가동과 정지를 반복하는 간헐운전을 할 수 있다.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막분리조(330) 내부에 잔류하는 혼합액은 막분리조내 설치된 반송펌프(332)에 의해 전단의 폭기조(320)로 반송된다. 막분리조(330)내 혼합액이 폭기조(320)로 반송됨으로써 폭기조와 막분리조내 미생물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흡인펌프(350)를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는 처리수내 색도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후단의 오존접촉조(360)와 활성탄탱크(370)를 거치게 된다. 오존접촉조의 일측에 설치된 오존발생장치로부터 투입되어 오존성분이 존재하는 오존접촉조(160)에 처리수가 접촉하게 되면 색도성분이 제거되게 되고 색도성분이 제거된 처리수는 가압펌프(345)를 통해 활성탄탱크(370)를 거친후 바로 후단의 처리수저장조(380)로 이송될 수 있거나 또는 오존접촉조(360)를 거치지 않고 바로 활성탄탱크(370)만을 거치게 될 수 있다.
처리수저장조(380)로 이송된 처리수는 처리수저장조(380)내에 저장되면 조내 수위가 높아져 처리수저장조(380)내 설치된 고수위스위치(381b)에 도달하게 될 경우 처리수저장조(380)내 처리수이송펌프(38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처리수는 다양한 용도로 재이용되는데 화장실용수나 소방용수로 이용될 경우 중수는 현행 법령상의 중수수질기준에 따라 잔류염소를 함유하여야 하므로 후단의 소독조(385)를 거쳐 화장실용수 및 소방용수로 이용되게 된다.
나머지 조경용수 및 살수용수의 목적으로 재이용될 경우 소독조를 거치지 않고 다른 라인으로 배출되게 된다.
100 : 부유물제거조 110 : 고정메시필터
120 : 필터설치공 130 : 랩프레임
140 : 지지프레임 150 : 가이드바
160 : 조립홀
210 : 이동식메시필터 220 : 수지프레임
230 : 메시망 240 : 볼공
250 : 스프링 260 : 반구형볼
270 : 바프레임 280 : 바걸이
290 : 덮개 310 : 유량조정조
320 : 폭기조 330 : 막분리조
340 : 분리막유니트 345 : 역세펌프
350 : 흡입펌프 360 : 오존접촉조
370 : 활성탄탱크 380 : 처리수저장조

Claims (5)

  1. 유입되는 우수에서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부유물을 걸러내고 가운데에는 필터설치공이 형성된 고정식메시필터와 상기 필터설치공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높낮이가 조절되어 상기 고정식메시필터에 부유물이 적층되어 우수의 유입 통로가 막히더라도 장치를 가동하는데 요구되는 우수량을 항상성 있게 유입시킬 수 있는 높낮이조절필터장치가 설치된 부유물제거조(100);
    상기 부유물제거조를 거쳐 유입된 우수로부터 협잡물을 제거하고, 일정량의 우수를 공급하는 유량조정조(310);
    상기 유량조정조로부터 우수를 공급받고, 유입된 우수내 용존 유기물을 미생물에 의해 제거하기 위한 폭기조(320);
    상기 폭기조로부터 우수와 미생물의 혼합액을 공급받고, 유입된 혼합액내 존재하는 잔류 유기오염물질이 미생물의 먹이로서 소비되어 제거되는 막분리조;
    상기 막분리조에 고정된 분리막유니트(340);
    상기 분리막유니트를 통해 유출되는 처리수 라인에 산화제에 의해 중공사막을 역세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일측에 약품탱크를 설치하여 밸브 조작에 의해 역세를 실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역세펌프(345);
    상기 분리막유니트를 통해 유출되는 처리수가 저장되고, 조내 수위가 높아져 고수위스위치에 도달할 경우 처리수이송펌프를 통해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처리수저장조(38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필터장치는
    상기 필터설치공 내주에 형성되어 하중을 지지하고 구조를 강화하는 랩프레임(130);
    상기 랩프레임의 각각의 모서리에서 시작되어 부유물제거조 바닥 사이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조절홀이 형성된 가이드바(150);
    상기 가이드바(150)에 조립될 수 있도록 각각의 모서리에 해당되는 곳에 수직프레임(220)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에 상기 조절홀(160)에 대응되는 볼공(240)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프레임에 메시망(230)이 둘러쳐져 이루어져 상기 수직프레임(220)이 상기 가이드바(150)에 조립된 상태로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높이가 조절되는 이동식메시필터(210);
    상기 볼공(240)에는 스프링(25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특정한 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눌리면서 들어가고 그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에 의해 바로 복귀되도록 설치된 반구형볼(26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메시필터(110)는 필터설치공(120)의 크기가 다른 것을 여러개 구비할 수 있고, 필터설치공의 크기에 맞게 크기가 다른 이동식메시필터(210)를 여러개 구비하여 고정식메시필터(110)나 이동식메시필터(210)로 유입되는 우수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메시필터(210)의 메시망(230)의 격자의 크기는 전부 또는 일부를 고정식메시필터(110)의 격자 크기 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하여 상대적으로 큰 부유물이 일시에 다량 유입되어도 이동식메시필터(210)의 메시망(230) 격자가 막히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메시필터(210)의 상단에는 수직프레임과 일체로 결합되는 한 쌍의 바프레임(270)이 형성되고, 상기 바프레임(270)에는 상호 대향되어 바걸이(280)가 형성되어 이동식메시필터(210)를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바걸이(280)에 바를 끼워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20180078467A 2018-07-06 2018-07-06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2005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467A KR102005372B1 (ko) 2018-07-06 2018-07-06 초기 우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467A KR102005372B1 (ko) 2018-07-06 2018-07-06 초기 우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372B1 true KR102005372B1 (ko) 2019-08-09

Family

ID=67613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467A KR102005372B1 (ko) 2018-07-06 2018-07-06 초기 우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3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6330A (zh) * 2021-06-04 2021-09-07 千易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工程雨污分流系统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168B1 (ko) 2005-12-06 2006-03-21 (주)평화엔지니어링 초기우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0864806B1 (ko) * 2008-07-04 2008-10-23 김성종 처리효율을 극대화한 고도수처리시스템
KR100955909B1 (ko) 2009-10-26 2010-04-30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100099944A (ko) * 2009-03-04 2010-09-15 최송휴 강수 및 중수를 이용한 냉난방장치
KR101050707B1 (ko) 2011-03-23 2011-07-20 (주)한국융합아이티 유압식 수문을 이용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
KR101535083B1 (ko) 2015-01-23 2015-07-10 현빈개발 주식회사 개방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666864B1 (ko) * 2015-12-04 2016-10-24 그린로드(주)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785556B1 (ko) 2016-07-05 2017-10-17 제이에이치종합건설(주)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처리 기능을 갖는 우수처리장치
KR101851938B1 (ko) 2017-12-05 2018-04-25 주식회사 지이테크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168B1 (ko) 2005-12-06 2006-03-21 (주)평화엔지니어링 초기우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0864806B1 (ko) * 2008-07-04 2008-10-23 김성종 처리효율을 극대화한 고도수처리시스템
KR20100099944A (ko) * 2009-03-04 2010-09-15 최송휴 강수 및 중수를 이용한 냉난방장치
KR100955909B1 (ko) 2009-10-26 2010-04-30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050707B1 (ko) 2011-03-23 2011-07-20 (주)한국융합아이티 유압식 수문을 이용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
KR101535083B1 (ko) 2015-01-23 2015-07-10 현빈개발 주식회사 개방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666864B1 (ko) * 2015-12-04 2016-10-24 그린로드(주)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785556B1 (ko) 2016-07-05 2017-10-17 제이에이치종합건설(주)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처리 기능을 갖는 우수처리장치
KR101851938B1 (ko) 2017-12-05 2018-04-25 주식회사 지이테크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6330A (zh) * 2021-06-04 2021-09-07 千易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工程雨污分流系统
CN113356330B (zh) * 2021-06-04 2022-05-03 千易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工程雨污分流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4046B2 (ja) 油水ヘドロ分離装置
US20140014562A1 (en) Dissolved air flotation-type pretreatment apparatus
KR102005372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CN102596819A (zh) 用于游泳池的过滤系统
CN115108683A (zh) 一种生态环境治理用污水处理设备
EP2566821A1 (en) A method and plant for purifying raw water
KR101527912B1 (ko) 끈상 섬모상 복합 매트형 여재를 이용한 표층수의 조류를 차단하는 시설 및 이를 이용한 조류 제거 방법
CA2594799A1 (en) A membrane unit and equipment for wastewater clarification with a membrane unit and a method for the operation of such equipment
KR101527494B1 (ko) 물의 흐름을 이용한 수질정화 장치
JP5617009B1 (ja) 排水処理装置
HUE030155T2 (en)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with increased efficiency
KR101748772B1 (ko) 물의 흐름을 이용한 수질정화 개선장치
WO2015155726A1 (en) Filtering system for treatment of water
KR101289688B1 (ko) 탈부착형 여과기를 구비한 원심분리형 수처리 장치
CN210795928U (zh) 一种防堵塞水平潜流人工湿地
KR102318251B1 (ko) 축산폐수 처리시설의 침전여과장치
KR20210063692A (ko) 포말분리식 여과기
KR101146125B1 (ko)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
CN206521348U (zh) 一种循环水过滤器
CN205241323U (zh) 一种自动冲洗生物滤池反应器
KR20160042333A (ko) 수족관용 정수장치
KR101289689B1 (ko) 원심분리와 여과기술을 이용한 고효율 인공함양수 처리장치
US20110079555A1 (en) Aquarium Filter
JP2766881B2 (ja) 水処理装置
JP6709894B2 (ja) トイ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