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980Y1 -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 - Google Patents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980Y1
KR200289980Y1 KR2020020018434U KR20020018434U KR200289980Y1 KR 200289980 Y1 KR200289980 Y1 KR 200289980Y1 KR 2020020018434 U KR2020020018434 U KR 2020020018434U KR 20020018434 U KR20020018434 U KR 20020018434U KR 200289980 Y1 KR200289980 Y1 KR 2002899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filtration
reservoir
road
heav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인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인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인기술단
Priority to KR2020020018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9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9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980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시의 도로 바닥이나 건물 지붕에서 흐르는 빗물을 별도로 모아 중수도 시설에 집중하여 도로변의 가로수 청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로에 있어서, 도로의 보도에는 하부로 빗물 여과 집수맨홀이 설치되고, 상기의 빗물 여과 집수맨홀에는 측면에 빗물 받이에서 발생되는 우수를 이송하는 빗물 이송관과 건물의 지붕에서 발생되는 빗물 이송관이 연결되며, 상기의 빗물 여과 집수맨홀에는 다른 측면에 우수 이송관이 연결되어 우수를 집수하고 저장하는 빗물 여과 집수장치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의 빗물 여과 집수장치는 저수조1,2로 형성되고 저수조2에 중수 이송관이 설치되며, 상기의 중수 이송관에는 길이방향의 일측에 물 이송밸브가 설치되어 여과된 우수를 이송하거나 차단하는 경우에 사용되고 상기의 중수 이송관에는 말단에 인접하게 다수개의 분기관이 설치되어 그 분기관에 설치된 살수 꼭지의 작동에 따라 여과된 우수를 도로에 식재된 가로수, 잔디 및 화분에 물공급을 실시하거나 도로를 청소하는데 사용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WASTEWATER RECLAMATION AND REUSING SYSTEM APPARATUS STRUCTURE OF ROAD}
본 고안은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시의 도로 바닥이나 건물 지붕에서 흐르는 빗물을 별도로 모아 중수도 시설에 집중하여 도로변의 가로수 청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도로에는 도로 양측에 가로수가 식재되거나 중앙 분리대에 잔디 등이 식재되는데, 이때 가로수 또는 잔디에 일정한 기간마다 물을 공급하여 원활하게 가로수 또는 잔디가 자라도록 한다.
또한, 상기의 도로에는 양측에 화분을 설치하여 도시의 삭막함을 감소시키고, 매일같이 살수차 등을 이용하여 화분에 대한 물공급을 실시한다.
상술한 살수차를 이용한 도로 가로수 또는 잔디,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경우 사용되는 물이 상수도를 이용하는 관계로 도로를 관리하는 부서에서는 상수도 요금이 증가하는 추세로 국민들의 세금이 빠져나가는 단점을 갖고, 또한 큰 가뭄이 오는 경우에는 상수도 부족에 따른 도시환경에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시의 도로 바닥이나 건물 지붕에서 흐르는 빗물을 별도로 모아 중수도 시설에 집중하여 도로변의 가로수 청소용 및 물공급용으로 사용하여 친환경적인 도시환경을 형성함과 아울러 중수도에 모인 우수를 이용하여 가로수, 잔디 및 화분에 물공급을 하는 관계로 도로를 관리하는 부서에서 상수도 요금을 최대한 삭감할 수 있는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빗물 여과 집수맨홀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빗물 여과 집수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도로 110 : 빗물 받이
120 : 빗물 이송관1 130 : 건물
140 : 빗물 이송관2 200 : 빗물 여과 집수맨홀
210 : 오버 플로우관 230 : 우수 이송관
240 : 고밀도 폴리에틸렌 여과막 250,370 : 여과 필터
270 : 고정 앵커 300 : 빗물 여과 집수장치
310 : 저수조1 315 : 간막이벽
320 : 저수조2 330 : 오버 플로우홀
340 : 오버플로우 방류 측구벽 350 : 여과막
360 : 여과막 지지대 380 : 집수관
390 : 수중 펌프 400 : 중수 이송관
410 : 물 이송밸브 430 : 분기관
450 : 살수 꼭지 500 : 가로수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로에 있어서, 도로의 보도에는 하부로 빗물 여과 집수맨홀이 설치되고, 상기의 빗물 여과 집수맨홀에는 측면에 빗물 받이에서 발생되는 우수를 이송하는 빗물 이송관과 건물의 지붕에서 발생되는 빗물 이송관이 연결되며, 상기의 빗물 여과 집수맨홀에는 다른 측면에 우수 이송관이 연결되어 우수를 집수하고 저장하는 빗물 여과 집수장치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의 빗물 여과 집수장치는 저수조1,2로 형성되고 저수조2에 중수 이송관이 설치되며, 상기의 중수 이송관에는 길이방향의 일측에 물 이송밸브가 설치되어 여과된 우수를 이송하거나 차단하는 경우에 사용되고 상기의 중수 이송관에는 말단에 인접하게 다수개의 분기관이 설치되어 그 분기관에 설치된 살수 꼭지의 작동에 따라 여과된 우수를 도로에 식재된 가로수, 잔디 및 화분에 물공급을 실시하거나 도로를 청소하는데 사용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도로(100)에는 양측 빗물 받이(110)에 빗물 이송관1(120)을 연결하여 보도 하부에 설치된 빗물 여과 집수맨홀(200)과 연결하고, 상기의 빗물 여과 집수맨홀(200)에는 측면에 오버 플로우관(210)을 설치하여 도시의 외곽으로 처리되며, 또한 상기의 빗물 여과 집수맨홀(200)에는 우수 이송관(230)을 설치하여 빗물 여과 집수장치(300)에 연결시킨다.
상기의 빗물 여과 집수맨홀(200)에는 빗물 받이(110)에서 연결되는 빗물 이송관1(120)과 건물(130)의 지붕에서 연결되는 빗물 이송관2(140)가 연결되어 우수를 집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빗물 여과 집수장치(300)는 2개의 저수조1,2(310)(320)가 형성된 구조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의 빗물 여과 집수장치(300)에는 측면에 중수 이송관(400)이 설치되고 저수조1(310)의 측벽에 오버 플로우홀(330)이 형성되어 저수조1(310)의 측면에 설치된 오버플로우 방류 측구벽(340)을 통해 방류되는 구조이다.
상기의 중수 이송관(400)에는 중간부에 중수를 공급하고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물 이송밸브(410)가 설치되고 상기의 중수 이송관(400)에는 배관의 말단에 근접하게 다수개의 분기관(430)이 설치되며, 상기의 분기관(430)에는 중수를 공급하고 차단할 수 있도록 살수 꼭지(450)가 설치되어 가로수(500)에 물을 공급하고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빗물 여과 집수맨홀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의 빗물 여과 집수맨홀(200)의 내부 구조는 우수가 집수된 중간부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여과막(240)이 설치되고 상기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여과막(240)의 하부에 여과 필터(250)가 설치되며, 상기의 빗물 여과 집수맨홀(200)의 제일 하부에는 우수 이송관(230)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여과막(240)는 고정 앵커(270)로 고정되어 유동이 없도록 설치된다.
상기의 빗물 여과 집수맨홀(200)에 우수가 집수되는 경우, 고밀도 폴리에틸렌 여과막(240)과 여과 필터(250)를 통해 우수에 포함된 오물이 제거되는 1차적 여과가 실시되고 제일 하부에 설치된 우수 이송관(230)을 통해 빗물 여과 집수장치로 이송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빗물 여과 집수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의 빗물 여과 집수장치(300)는 저수조1(310)과 저수조2(320)가 간막이벽(315)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의 저수조1(310)에는 내측에 여과막(350), 여과 필터(370) 및 집수관(380)이 상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상기의 저수조1(310)의 여과막(350)은 상부에 저수조1(310)의 주위를 둘러싸는 여과막 지지대(360)가 설치되고, 상기의 집수관(380)은 다수개가 설치되어 정화처리된 우수를 최종으로 저수하는 저수조2(320)에 집수된다.
상기의 저수조2(320)에는 수중 펌프(390)와 중수 이송관(400)이 설치되어 가로수에 물을 공급하여 녹화하거나 거리를 청소하는 경우에 사용하게 된다.
상술한 빗물 여과 집수맨홀(200)과 빗물 여과 집수장치(300)를 이용하여 도로(100)의 가로수, 잔디 및 화분에 물 공급을 실시하고 도로를 청소하는 관계로 깨끗한 도시환경을 구축할 수 있고, 이때 상기의 빗물 여과 집수맨홀(200)과 빗물 여과 집수장치(300)의 저수조2(320)에는 여과 수단이 설치되는 관계로 최종으로 우수를 처리하여 집수하는 저수조2(320)에는 여과된 빗물이 최종 집수되어 가로수, 잔디 및 화분에 물 공급을 실시하거나 도로를 청소하는데 사용되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는, 도로상에서 발생되는 우수나 건물 지붕에서 발생되는 우수를 빗물 여과 집수맨홀에서 1차적으로 여과시킨 뒤 상기의 빗물 여과 집수맨홀과 빗물 여과 집수장치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여과 처리된 우수를 빗물 여과 집수장치의 저수조2에 최종 집수하여 가로수, 잔디 및 화분에 물 공급을 실시하거나 도로를 청소하는데 사용하는데 사용하는 관계로 상수도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도로를 관리하는 부서의 사용비를 절감할 수 있는 한편, 살수차의 사용없이 도로의 하부에 설치된 빗물 여과 집수장치의 최종우수 이송관에 호스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관계로 부대 비용을 절감하고 도시환경을 깨끗한 환경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도로에 있어서,
    도로(100)의 보도에는 하부로 빗물 여과 집수맨홀(200)이 설치되고, 상기의 빗물 여과 집수맨홀(200)에는 측면에 빗물 받이(110)에서 발생되는 우수를 이송하는 빗물 이송관1(120)과 건물(130)의 지붕에서 발생되는 빗물 이송관2(140)가 연결되며,
    상기의 빗물 여과 집수맨홀(200)에는 다른 측면에 우수 이송관(230)이 연결되어 우수를 집수하고 저장하는 빗물 여과 집수장치(300)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의 빗물 여과 집수장치(300)는 저수조1,2(310)(320)로 형성되고 저수조2(320)에 중수 이송관(400)이 설치되며,
    상기의 중수 이송관(400)에는 길이방향의 일측에 물 이송밸브(410)가 설치되어 여과된 우수를 이송하거나 차단하는 경우에 사용되고 상기의 중수 이송관(400)에는 말단에 인접하게 다수개의 분기관(430)이 설치되어 그 분기관(430)에 설치된 살수 꼭지(450)의 작동에 따라 여과된 우수를 도로(100)에 식재된 가로수, 잔디 및 화분에 물공급을 실시하거나 도로(100)를 청소하는데 사용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빗물 여과 집수맨홀(200)에는 내측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여과막(240)이 설치되고, 상기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여과막(240)의 하부에 여과 필터(250)가 설치되며, 상기의 빗물 여과 집수맨홀(200)의 하부에는 우수 이송관(230)이 설치되고, 상기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여과막(240)는 고정 앵커(270)로 고정되며, 상기의 빗물 여과 집수맨홀(200)에 우수가 집수시 고밀도 폴리에틸렌 여과막(240)과 여과 필터(250)를 통해 1차적으로 우수에 포함된 오물이 제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여과 집수장치(300)는 저수조1(310)과 저수조2(320)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의 저수조1(310)에는 내측에 여과막(350), 여과 필터(370) 및 집수관(380)이 상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의 저수조1(310)의 여과막(350)은 상부에 저수조1(310)의 주위를 둘러싸는 여과막 지지대(360)가 설치되며, 상기의 집수관(380)이 하부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정화처리된 우수를 최종으로 저수하는 저수조2(320)에 집수시키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
KR2020020018434U 2002-06-18 2002-06-18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 KR2002899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434U KR200289980Y1 (ko) 2002-06-18 2002-06-18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434U KR200289980Y1 (ko) 2002-06-18 2002-06-18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980Y1 true KR200289980Y1 (ko) 2002-09-19

Family

ID=73124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434U KR200289980Y1 (ko) 2002-06-18 2002-06-18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980Y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168B1 (ko) * 2005-02-25 2005-08-26 (주)공간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 내 저수 탱크와 파고라 겸용 복합 시설물
KR100753916B1 (ko) 2005-06-10 2007-08-31 박석순 잡배수 현장 재활용 살수시스템
KR100884805B1 (ko) 2007-05-02 2009-03-09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우수관거 시스템
KR100896695B1 (ko) 2007-05-02 2009-05-11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우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우수관거 시스템
KR101318856B1 (ko) 2012-06-11 2013-10-16 (주)이에이그룹건축사사무소 중수와 우수를 통합한 이용 시스템
KR101485001B1 (ko) 2013-08-21 2015-01-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와 보도 연계형 빗물관리 시스템
KR101666864B1 (ko) * 2015-12-04 2016-10-24 그린로드(주)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874386B1 (ko) * 2017-07-19 2018-07-05 씨에스이(주) 도로변 빗물을 이용한 스마트 화분
KR20190059034A (ko) 2017-11-22 2019-05-30 김정곤 단계적 여과방식 빗물 저류 시스템
CN110158738A (zh) * 2019-05-29 2019-08-23 天津建岩岩土工程有限公司 海绵城市储水系统及其建造工艺
KR102018059B1 (ko) * 2018-12-27 2019-10-21 씨에스이(주) 도로 미세먼지 및 지면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KR20200001855U (ko) 2019-02-12 2020-08-21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
KR20200001854U (ko) 2019-02-12 2020-08-21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
KR102199768B1 (ko) * 2019-08-05 2021-01-07 블루그린링크(주) 물순환형 도로 세척시스템
KR102643602B1 (ko) * 2023-12-11 2024-03-06 어스그린코리아(주) 인공 지반 녹화용 빗물 재이용 IoT 저류 시스템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168B1 (ko) * 2005-02-25 2005-08-26 (주)공간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 내 저수 탱크와 파고라 겸용 복합 시설물
KR100753916B1 (ko) 2005-06-10 2007-08-31 박석순 잡배수 현장 재활용 살수시스템
KR100884805B1 (ko) 2007-05-02 2009-03-09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우수관거 시스템
KR100896695B1 (ko) 2007-05-02 2009-05-11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우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우수관거 시스템
KR101318856B1 (ko) 2012-06-11 2013-10-16 (주)이에이그룹건축사사무소 중수와 우수를 통합한 이용 시스템
KR101485001B1 (ko) 2013-08-21 2015-01-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와 보도 연계형 빗물관리 시스템
KR101666864B1 (ko) * 2015-12-04 2016-10-24 그린로드(주)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874386B1 (ko) * 2017-07-19 2018-07-05 씨에스이(주) 도로변 빗물을 이용한 스마트 화분
KR20190059034A (ko) 2017-11-22 2019-05-30 김정곤 단계적 여과방식 빗물 저류 시스템
KR102018059B1 (ko) * 2018-12-27 2019-10-21 씨에스이(주) 도로 미세먼지 및 지면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KR20200001855U (ko) 2019-02-12 2020-08-21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
KR20200001854U (ko) 2019-02-12 2020-08-21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조형물 기능을 갖는 빗물저수조
CN110158738A (zh) * 2019-05-29 2019-08-23 天津建岩岩土工程有限公司 海绵城市储水系统及其建造工艺
KR102199768B1 (ko) * 2019-08-05 2021-01-07 블루그린링크(주) 물순환형 도로 세척시스템
KR102643602B1 (ko) * 2023-12-11 2024-03-06 어스그린코리아(주) 인공 지반 녹화용 빗물 재이용 IoT 저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9980Y1 (ko) 도시환경을 위한 빗물 저수조 중수도 시설구조
KR20140109602A (ko) 초기우수 처리 가능한 빗물저장시스템
AU2019101161A4 (en) Multifunctional sunken green space
KR101078773B1 (ko)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CN211036614U (zh) 园林生态雨水给排系统
KR20200032438A (ko) 우수를 여과하고 저장 및 배출하는 벤치
CN106351308A (zh) 一种城市干道雨水收集利用系统
KR101070783B1 (ko) 도시열섬현상 저감 기능을 구비한 도로
CN109937747A (zh) 高架桥绿化带雨水收集及自动灌溉系统
CN210580202U (zh) 一种绿化带结构
CN211185126U (zh) 一种建筑的屋顶绿化系统
CN109183532B (zh) 一种依附于道路的北方城市雨水净化调蓄生态利用系统
CN215683634U (zh) 一种市政道路绿植用水循环装置
CN209837227U (zh) 一种小区雨水收集系统
CN207775977U (zh) 新型园林景观雨水收集装置及循环用水系统
CN210562581U (zh) 一种公园连廊雨水收集及净化回用系统
CN218126031U (zh) 一种海绵城市用节排水及灌溉系统
CN207760192U (zh) 高架桥下低维护持久景观水景及雨水自净化系统
KR101542347B1 (ko) 강우유출저감과 도시경관 조성을 위한 녹지 자동관수시스템
CN215367537U (zh) 适用于老旧小区改造的屋面雨水收集处理系统
CN110330112A (zh) 一种用于园林景观水体的水量平衡及水质提升系统
CN116716801A (zh) 一种用于铁路桥梁的海绵城市排水回用系统和方法
CN214126357U (zh) 一种城市道路绿化灌溉装置
KR102095244B1 (ko) 우수유출 저감시설을 이용한 도심지 미세먼지 저감시설
CN214363274U (zh) 一种园林设计绿化防护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61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9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6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15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30723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2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9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3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