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313B1 - 수처리시설 - Google Patents

수처리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313B1
KR101400313B1 KR1020130083085A KR20130083085A KR101400313B1 KR 101400313 B1 KR101400313 B1 KR 101400313B1 KR 1020130083085 A KR1020130083085 A KR 1020130083085A KR 20130083085 A KR20130083085 A KR 20130083085A KR 101400313 B1 KR101400313 B1 KR 101400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filter module
unit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Priority to KR1020130083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313B1/ko
Priority to CN201410333207.0A priority patent/CN104289029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2Combinations of filters of different k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elf-supporting
    • B01D29/03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elf-supporting with corrugated, folded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31Self-supporting filtering elements
    • B01D29/35Self-supporting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 B01D29/5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1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nozzles or suction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시설용 필터 세척장치 및 이를 갖는 수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세척장치는, 원통형 필터모듈부의 상부에 고정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그 내부로 받아들여 통과시키는 지지홀더와; 상기 지지홀더의 하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지지홀더를 통과한 세척수를 그 내부로 받아들이는 급수허브와; 상기 급수허브에 그 후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각 필터모듈부의 외주부 측으로 연장된 중공형 세척수분출관과; 상기 세척수분출관에 설치되며 급수허브로부터 세척수분출관으로 압입된 물을 상기 필터모듈부를 향해 분출하는 다수의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필터의 주변을 선회하며 필터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역세용 노즐을 구비하므로 필터의 구석구석에 세척수가 도달할 수 있어 그만큼 필터의 세척효율이 뛰어나며, 그로인해 필터가 항상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여 오염수로부터의 오염물질의 제거 능력이 뛰어나고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처리시설{Water treatment facility}
본 발명은 수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우리 주변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오염물질은 점오염물질과 비점오염물질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점오염물질은 가령 일반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나 산업폐수 등과 같이 발생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이른바 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이다. 또한 비점오염물질은 농경지나 목초지 또는 산림지나 도로(道路)와 같이 오염지역이 정해지지 않고 광범위한 지역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다.
상기 비점오염물질에는, 예컨대 농지에 살포된 비료나 농약, 축사유출물, 먼지와 중금속, 병원성미생물, 유기화합물, 방사성물질 등이 있으며, 먼지와 쓰레기 등으로 머물러 있다가, 비가 올 때 초기 우수(雨水)에 씻겨 주변의 하천이나 지하수로 흘러 들어간다. 따라서, 초기 우수가 하천이나 지하수로 바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최근에 조성되는 신도시나 택지지구 또는 오염이 심한 지역에는 상기한 비점오염물질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비점오염 저감시설이 적용된다. 상기 비점오염 저감시설은 수처리시설의 하나로서 비점오염물질이 섞여 있는 초기우수 및 합류식 하수 월류수(CSOs)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빗물속의 오염물질을 걸러내어 어느 정도 정화된 상태로 내보는 역할을 한다.
한편, 초기우수 및 합류식 하수 월류수(CSOs)를 처리하기 위한 수처리시설의 성능을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내장되어 있는 스크린필터나 여재에 의해 걸러진 각종 오염물질, 이를테면 포획슬러지나 협잡물 또는 토사류 등을 수시로 제거하여 필터나 여재가 처음 설계된 대로의 기능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수처리시설 내부의 필터나 여재 등을 청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안된 국내등록특허 제0823240호에는, 커튼여과필터부의 내외측부에 다수의 노즐을 고정 배치하여 노즐로 하여금 커튼여과필터부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커튼여과필터부를 세척하게 하는 필터세척장치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노즐은, 커튼여과필터부의 내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배관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된 상태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상기 각 노즐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는 커튼여과필터부에 부딪혀 커튼여과필터부에 침착(沈着)되거나 끼어 있는 오염물질을 떼어내어 제거한다.
그런데, 상기한 필터세척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종래 수처리시설은, 필터의 세척 효율이 생각만큼 높지 않아 전체적인 수처리 능력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그 이유는 필터세척장치의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세척수의 유효분사범위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유효분사범위라 함은, (오염물질을 떼어낼 수 있을 만큼의 운동에너지를 갖는) 분출류의 필터에의 도착영역 범위를 의미한다. 즉 필터를 때리는 세척수 중, 필터로부터 오염물질을 떼어 낼 수 있는 운동에너지를 갖는 세척수가 필터에 부딪히는 범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는 노즐을 필터의 세척 대상면 앞에 최대한 조밀하게 채우거나, 아니면 노즐의 분출압력을 크게 높이고 세척수의 분사각도를 최대한 넓혀야 해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필터의 주위에 적용되는 노즐의 개수를 많이 하면 할수록 필터의 세척능력 자체는 좋아질 수 있겠으나, 수처리장치의 제작비용이 상승하고 필터 주변이 복잡해지며 그에 따라 유지보수가 불편해진다. 또한 수처리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노즐과 세척수공급관이 오염수의 유동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도 있다.
특히 세척수의 전체적인 분출압력과 분출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세척수와 고압의 펌프를 운용하여야 하는데, 고압의 펌프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각 노즐이 의미있는 분출압력을 출력하게 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필터의 주변을 선회하며 필터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역세용 노즐을 구비하므로 필터의 구석구석에 세척수가 도달할 수 있어 그만큼 필터의 세척효율이 뛰어나며, 그로인해 필터가 항상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여 오염수로부터의 오염물질의 제거 능력이 뛰어나고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수처리시설용 필터 세척장치 및 이를 갖는 수처리시설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처리시설은,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박스형 구조물과; 상기 구조물의 내부 일측에 배치된 상태로, 입수관을 통해 컨네이너 내부로 유입된 오염수를 통과시키며 오염수내의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전처리부와; 격벽에 의해 상기 전처리부와 구획된 주처리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전처리부를 통과한 오염수를 유도관을 통해 그 하부로 받아들이는 유입가이드부와; 상기 유입가이드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유입가이드부를 상향 통과하여 차오르는 오염수를 그 반지름방향으로 통과시켜 정화처리하는 것으로서, 직경이 상이하며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다수의 필터로 구성된 필터모듈부와; 상기 필터모듈부를 받쳐 지지하며 필터모듈부를 통과하는 물이 하부로 빠지는 것을 차단하는 지지판과; 상기 필터모듈부를 반지름방향으로 통과한 후, 주처리공간에 채워져 있는 처리수를 주처리공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수단과; 상기 필터모듈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 작동시켜 필터모듈부를 역세하는 것으로서, 상기 필터모듈부의 중앙 상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그 내부로 받아들여 통과시키는 급수허브와, 상기 급수허브에 그 후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각 필터의 외주부 측으로 연장된 세척수분출관과, 상기 세척수분출관에 설치되며 세척수분출관으로 압입된 물을 각 필터를 향해 분출하는 다수의 노즐을 구비한 필터세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세척장치의 노즐은, 노즐에서 분출되는 세척수의 분출압력에 대한 반작용력으로 세척수분출관과 급수허브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목표하는 회전방향의 후방으로 편향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수분출관은; 상기 급수허브에 그 후단부가 인입 고정되고 상기 필터모듈부의 상부에서 필터모듈부의 반지름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수평연장부와, 상기 각 수평연장부에 연통한 상태로 하부로 연장되며, 각 필터의 외주면에 대해 평행하게 이격된 수직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은; 상기 수평연장부 및 수직연장부 모두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전처리부는; 상기 입수관을 통해 유입한 오염수를 하향 통과시켜 오염수내의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조목스크린을 구비한 1차처리부와, 상기 1차처리부를 통과한 오염수를 그 하부로 받아들이며, 수위가 상승하는 오염수를 상향 통과시켜 오염수내의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다수의 스크린을 구비한 2차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은; 일정두께를 갖는 플레이트형 부재를 절곡형성하여 주름을 가지도록 제작한 것으로서, 절곡에 의해 형성된 절곡부에 오염수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모듈부는; 일정두께를 갖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고 섬유상 여재가 충전되며, 상기 유입가이드부를 통해 올라온 오염수를 받아들인 후 반지름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커튼여과필터부과, 상기 커튼여과필터부를 그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커튼여과필터부를 통과한 오염수를 반지름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미세메쉬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필터모듈부의 역세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지지판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는, 상기 주처리공간 내부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일 때 하강하여 상기 배수구멍을 개방하거나, 일정수위보다 높을 때 상승하여 배수구멍을 차단하는 개폐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배수구멍의 연직 하부에 구비되는 마개와,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마개와 연결되며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양통과, 상기 부양통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수단은; 상기 주처리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며, 주처리공간에 채워진 처리수를 넘겨받아 구조물 외부의 배수관으로 유도하는 배수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처리공간의 바닥에는 피트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피트의 내부에는, 상기 배수위어 보다 낮은 수위의 물을 구조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펌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처리시설용 필터 세척장치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그 내부로 유입한 오염수를 반지름방향으로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모듈부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상기 필터모듈부로 분사하여 필터모듈부를 역세하는 것으로서, 상기 필터모듈부의 중앙 상부에 고정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그 내부로 받아들여 통과시키는 지지홀더와; 상기 지지홀더의 하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지지홀더를 통과한 세척수를 그 내부로 받아들이는 급수허브와; 상기 급수허브에 그 후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각 필터모듈부의 외주부 측으로 연장된 중공형 세척수분출관과; 상기 세척수분출관에 설치되며 급수허브로부터 세척수분출관으로 압입된 물을 상기 필터모듈부를 향해 분출하는 다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은; 노즐에서 분출되는 세척수의 분출압에 대한 반작용력으로 세척수분출관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목표하는 회전방향의 후방으로 지향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홀더와 급수허브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동일한 중심축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홀더의 하단부에는 지지홀더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링형태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허브에는 상기 걸림부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 지지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수처리시설용 필터 세척장치 및 이를 갖는 수처리시설은, 필터의 주변을 선회하며 필터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역세용 노즐을 구비하므로 필터의 구석구석에 세척수가 도달할 수 있어 그만큼 필터의 세척효율이 뛰어나며, 그로인해 필터가 항상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여 오염수로부터의 오염물질의 제거 능력이 뛰어나고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 보인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1,2차처리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에서의 주처리공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용 필터 세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필터 세척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필터 세척장치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11)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11)은 비점오염지역에 설치되어 특히 초기우수시 빗물에 섞여 있는 비점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걸러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그 규모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아울러 지표면을 흐르는 우수를 받아 정화하는 것이므로 우수를 받을 수 있도록 지표면보다 고도가 낮은 지중에 매립 설치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11)은 대략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3)과, 상기 구조물(13)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며 입수관(17)을 통해 구조물(13) 내부로 유입된 오염수를 통과시키며 처리하는 전처리부와, 격벽(27)을 통해 상기 전처리부로부터 격리된 주처리공간(67)에 설치되며 상기 전처리부를 통과한 오염수를 그 하부로 받아들인 후 반지름방향으로 통과시켜 2차처리하는 필터모듈부(39)와, 상기 필터모듈부(39)를 통과한 물을 배수관(19)을 통해 구조물(13)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위어(53)와, 상기 필터모듈부(39)를 가동하지 않을 때 필터모듈부(39)를 세척하는 필터세척장치(51)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물(13)은, 굴착 공간의 바닥에 시공되며 수평의 지지면을 제공하는 바닥부(13b)와, 상기 바닥부(13b)의 테두리에 고정되며 수직의 벽을 이루는 벽부(13a)와, 상기 벽부(13a)의 상부에 시공되는 천장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상기 천장부의 상부에는 굴착토가 덮일 수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13b)의 양측에는 피트(13c,13d)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각 피트(13c,13d) 내에는 펌프(15a,15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펌프(15a,15b)에 대한 설명은 후술된다.
먼저, 상기 구조물(13)의 일측 벽부(13a)를 통해 구조물(13) 내부로 인입 고정되어 있는 입수관(17)은, 외부의 오염수를 구조물(13) 내부로 유도하는 도관이다. 상기 오염수라 함은,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한 초기우수나 하수 또는 오수 등과 같은 모든 오염된 물을 포괄한다.
상기 전처리부는, 격벽(25)에 의해 격리된 1차처리부(21)와 2차처리부(29)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처리부는 오염수에 섞여 있는 오염물질 중 어느 이상크기를 갖는 오염물질을 먼저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1차처리부(21)의 내부에는 조목스크린(23)이 구비된다. 상기 조목스크린(23)은 스크린망으로 제작된 속이 빈 바스켓형 부재로서 입수관(17)을 통해 오염수와 함께 흘러들어온 각종 협잡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협잡물에는 가령 물에 부유하는 담배꽁초나 낙엽 또는 기타 일반 쓰레기 등이 포함된다.
상기 조목스크린(23)이 설치되는 내부공간은 수직형 통로로서 하부의 피트(13c)로 열려 있고, 상기 조목스크린(23)은 1차처리부의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가령 조목스크린(23)을 미처 비우지 못해 오염물질에 의해 조목스크린(23)의 배수가 원활치 않더라도, 오염수는 조목스크린(23)의 외부와 상기 내벽면의 사이로 빠질 수 있어, 입수관(17)을 통한 역류가 발생할 염려가 없다.
상기 조목스크린(23)을 통과한 물은 격벽(25)의 하부를 통과한 후 2차처리부(29)로 유입한다.
상기 2차처리부(29)는 조목스크린(23)을 통과한 오염수를 상부로 유도하며, 오염수 내의 보다 작은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부분으로서, 세 개의 스크린(31)을 갖는다. 상기 스크린(31)은 다수의 관통구멍(도 3의 31a)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부재로서 세 개가 위아래로 배치된다.
상기 스크린(31)은 가령 스텐레스판재를 프레싱 가공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상호 평행한 절곡선에 의한 주름을 갖는다. 상기 주름에 의해 형성된 각 절곡부에는 다수의 관통구멍(3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31a)의 크기는 세 개의 스크린(31)에서 모두 다르다.
가령 가장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스크린(31)의 관통구멍(31a)의 크기가 제일 크고 최상층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린(31)의 관통구멍(31a)의 크기가 제일 작다.
상기와 같이 스크린(31)에 주름을 형성한 것은, 주름에 의해 요철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관통구멍(31a)의 막힘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스크린(31)에 있어서 각 관통구멍(31a)의 직경이나 관통구멍의 개수, 또는 스크린(31)의 설치갯수는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크린(31)은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할 수 도 있다.
상기 제 1,2차처리부(21,29) 하부의 피트(13c)에 설치되어 있는 펌프(15)는, 이를테면 비가 그쳤을 때, 1,2차처리부(21,29) 내부에 갇혀 있게 된 오염수를, 오수배출파이프(16b)를 통해 구조물(13)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거나, 제1,2차처리부(21,29)의 내부를 세척하고 피트(13c)에 고여 있게 된 청소수를 배출한다.
여하튼, 상기 2차처리부(29)의 내부에서 처리된 오염수는, 격벽(27)에 형성되어 있는 위어(27a)를 통해 유도관(33)을 거쳐 주처리공간(67)으로 넘어간다.
상기 유도관(33)은 위어(27a)를 넘은 오염수를 그 내부로 받아들여 수직하부로 유도한 후 유입파이프(35)로 전달하는 수직의 도관이다.
상기 주처리공간(67)은 후술할 필터모듈부(39)를 통과함으로써 정화처리를 마친 처리수가 일단 모이는 수조이다. 상기 주처리공간(67)에 모여 있는 처리수는 배수위어(53)를 넘어 배수관(1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수위어(53)는 주처리공간(67)에서 처리를 마친 처리수를 넘겨 받아 배수관(19)으로 유도하는 부재로서, 주처리공간(67)의 사방 벽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배수위어(53)의 바닥부(13b)에 대한 높이는, 후술할 제 2미세메쉬필터(45)의 상단부의 높이보다 낮다. 즉 제 2미세메쉬필터(45)의 상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가상의 수평선이, 상기 배수위어(53)의 상단부의 높이보다 H만큼 높은 것이다. 이와같이 설계해야 필터모듈부(39)를 통과한 물이 배수위어(53)로 원활히 넘어가 배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높이 H는 수처리시설의 크기나 요구 수처리능력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주처리공간(67)의 내부에는, 유도관(33)을 통해 전달받은 오염수를 수평으로 유도하며 연장단부가 상부로 벤딩되어 있는 유입파이프(35)와, 상기 유입파이프(35)의 연장단부에 고정되는 유도디퓨져(37)와, 상기 유도디퓨져(37)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지지판(49)과, 상기 지지판(49)에 지지되는 필터모듈부(39)와, 상기 필터모듈부(39)의 상부에 설치되며 필터모듈부(39)를 역세하기 위한 필터세척장치(51)가 설치된다.
상기 유도디퓨져(37)는 그 하단부가 유입파이프(35)에 고정된 깔때기형 부재로서, 유입파이프(35)를 통과한 오염수를 받아 필터모듈부(39)로 유도하는 가이드수단이다. 특히 상기 유도디퓨져(37)는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므로, 유도디퓨져(37)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수는 상승할수록 유속이 작아져 고요한 흐름패턴을 가지며 필터모듈부(39)에 의한 필터링에 대비한다.
상기 유도디퓨져(37)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판(49)은 필터모듈부(39)를 수평으로 받쳐 지지하는 지지부재로서, 필터모듈부(39)의 하부를 차단하여, 필터모듈부(39)를 반지름방향으로 통과하는 오염수가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유도디퓨져(37)와 지지판(49)의 상부와, 제 2미세메쉬필터(45)의 내부가 이루는 내측영역과, 상기 내측영역 이외의 외부영역은, 오염구역과 청수구역이다. 상기 오염구역은 오염물질의 제거가 진행되기 전의 오염수와 오염물질이 수용되는 공간이고, 외부영역은 처리를 마친 청수가 채워지는 공간이다.
또한 상기 지지판(49)에는 배수밸브(도 4의 57)가 설치되고, 또한 두 개의 배수구멍(도 4의 49a)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멍(49a)은 후술할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구멍으로서, 필터모듈부(39)의 역세시 개방된다. 상기 밸브(57)와 배수구멍(49a)에 관한 설명은 도 4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필터모듈부(39)는 지지판(49)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유도디퓨져(37)를 거쳐 상부로 차오르는 오염수를 그 반지름방향으로 통과시키며 정화처리한다.
상기 필터모듈부(39)는, 일정두께를 가지며 원통의 형태를 취하는 커튼여과필터부(41)와, 상기 커튼여과필터부(41)의 내측부에 구비되며 프레임의 역할을 하는 원통형 스크린필터(47)와, 상기 커튼여과필터부(41)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1미세메쉬필터(43)와, 상기 제 1미세메쉬필터(43)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 2미세메쉬필터(45)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린필터(47)와 커튼여과필터부(41)와 제 1,2미세메쉬필터(43,45)는 직경이 서로 다르지만 모두 동일한 중심을 갖는다. 이를테면 상부에서 바라봤을 때 동심원의 패턴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미세메쉬필터(43)의 높이는 커튼여과필터부(41)보다 작고, 제 2미세메쉬필터(45)의 높이는 제 1미세메쉬필터(43)의 높이보다 작다.
이와 같이 커튼여과필터부(41)와 제 1미세메쉬필터(43)와 제 2미세메쉬필터(45)의 높이를 단차지도록 제작한 것은, 각 필터의 막힘에 대비한 것이다. 즉, 각 필터(41,43,45)가 비정상적인 이유로 막힐 경우, 커튼여과필터부(41)를 넘은 물이, 제 1미세메쉬필터(43)를 넘고, 제 2메쉬필터(45)를 넘어 배출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상기 커튼여과필터부(41)는 그 내부에 섬유상 여재(濾材)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섬유상 여재는 섬유로 제작된 여재로서, 오염수 내부의 오염물질을 걸러낸다. 특히 상기 섬유상여재는, 내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저밀도섬유상여재, 중밀도섬유상여재, 고밀도섬유상여재가 상호 이격되도록 다수 겹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커튼여과필터부(41)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울수록 여과효율이 좋아짐은 물론이다.
상기 제 1미세메쉬필터(43)는 커튼여과필터부(41)보다 작은 공극을 갖는 필터부재이다. 상기 제 1미세메쉬필터(43)는 커튼여과필터부(41)를 통과한 오염물질을 걸러내고 물은 통과시킨다.
상기 제 1미세메쉬필터(43)를 통과한 오염물질은 제 2미세메쉬필터(45)에 걸려 제거된다. 제 2미세메쉬필터(45)는 당연히 제 1미세메쉬필터(43)보다 촘촘한 구조를 가지며, 오염물질을 최종적으로 걸러낸다. 상기 제 2미세메쉬필터(45)를 통과한 물은 오염물질이 허용치 이하로 처리된 처리수로서, 필터모듈부(39) 외부의 주처리공간(67)을 채우며, 상기 배수위어(53)를 넘어 배수관(19)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오염수의 처리가 진행되는 동안, 가령 비가 그쳐 더 이상의 오염수가 들어오지 않는다면, 상기 주처리공간(67) 내의 처리수는 더 이상 배수위어(53)를 넘지 못하고 주처리공간(67)에 머물게 된다.
이 때 상기 피트(13d)에 설치되어 있는 펌프(도 4의 15b)를 가동하여 주처리공간(67) 내의 청수를 청수배출파이프(16a)를 통해 구조물(13)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펌프(15b)에 의한 배수는 바닥부(13b)가 완전히 드러날 때 까지 계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모듈부(39)의 상부에는 필터모듈부(39)를 역세하기 위한 필터세척장치(51)가 설치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필터세척장치(51)는 주처리공간(67)이 비어 있을 때 가동되는 것이다. 가령 강수가 종료되었을 때나 아니면 갈수기때 동작하여 필터모듈부(39)를 청소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필터세척장치(51)는, 노즐(51d,51e)을 통해 분출되는 세척수의 분출압력에 대응하는 반작용력으로 회전하면서, 필터모듈부(39)를 선회하여 필터모듈부(39)의 전 부분에 걸쳐 세척수를 분사하는 동작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용 필터 세척장치(51)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필터 세척장치(51)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7은 상기 필터 세척장치(51)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11)에 적용되는 필터세척장치(51)는, 상기 필터모듈부(39)의 중앙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세척수공급파이프(51a)에 연통하는 원통형 지지홀더(51m)와, 상기 지지홀더(51m)의 하단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급수허브(51f)와, 상기 급수허브(51f)에 그 후단부가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연장단부가 상기 필터모듈부(39)의 내부로 연장된 다수의 세척수분출관(51n)과, 상기 세척수분출관(51n)에 설치되는 다수의 노즐(51e,51d)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홀더(51m)는 별도의 지지프레임(미도시)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세척수공급파이프(51a)를 통해 공급된 물을 받아들여 연통로(51p)를 통해 하향 통과시킴과 아울러 급수허브(51f)를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로서, 상기 세척수공급파이프(51a)의 하단부에 고정너트(51k)를 통해 고정된다.
상기 급수허브(51f)는 그 하단부가 막혀 있는 컵형 부재로서, 상기 지지홀더(51m)를 통과한 물을 세척수분출관(51n)으로 유도한다.
특히 상기 급수허브(51f)는 지지홀더(51m)에 지지된 상태로 외력에 의해 축회전 가능하다. 상기 외력은 후술할 노즐의 분출압에 따른 반작용력에 기인하는 힘이다. 필요에 따라 상기 지지홀더(51m)와 급수허브(51f)의 사이에 별도의 습동 수단을 추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홀더(51m)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링형태의 걸림부(51t)가 다수 형성되어 있고, 급수허브(51f)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부(51t)를 수용하는 지지홈(51v)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51t)는 일정직경 및 두께를 갖는 돌출부로서, 상기 지지홈(51v)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운동 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지지홈(51v)의 내부에 베어링 등의 습동수단을 얼마든지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세척수분출관(51n)은, 그 후단부가 상기 급수허브(51f)에 연통 고정되며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부(51b)와, 상기 수평연장부(51b)에 연통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수직연장부(51c)와, 상기 수평연장부(51b) 및 수직연장부(51c)에 배치된 다수의 노즐(51e,51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연장부(51b)는 그 후단부가 급수허브(51f)에 고정된 중공파이프로서 두 개가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두 개의 수평연장부(51b) 중 일측 수평연장부(51b)가 반대편 수평연장부(51b)보다 길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 수평연장부(51b)는 상기 제 2미세메쉬필터(45)를 역세하기 위한 것이고, 짧은 수평연장부는 커튼여과필터부(41)와 제 1미세메쉬필터(43)를 세척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연장부(51c)는 수도배관에 많이 사용되는 연결부속인 T 나 엘보우를 통해 수평연장부(51b)에 접속되는 중공파이프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49) 측으로 연장된다.
특히 상기 급수허브(51f)를 중심에 두고, 일측 수평연장부 및 수직연장부와, 타측 수평연장부 및 수직연장부의 무게는 동일하여, 수평연장부(51b)가 한쪽으로 기울지 않는다. 상기 급수허브(51f)가 무게중심인 것이다.
상기 노즐(51e,51d)은, 수평연장부(51b)에 설치되는 상부노즐(51e)과, 각 수직연장부(51c)에 설치되는 다수의 측부노즐(51d)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노즐(51e)은, 세척수분출관(51n)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커튼여과필터부(41)의 상부를 선회하면서 커튼여과필터부(41)의 상단면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수가 섬유상 여재의 표면에 붙어 있는 오염물질을 하부로 쓸어내리게 한다.
또한 상기 측부노즐(51d)은 각각의 수직연장부(51c)에 배치되며 세척수를 측방향으로 분출한다. 상기 수직연장부(51c)에 대한 측부노즐(51d)의 적용 개수는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필터세척장치(51)는, 상기 상부노즐(51e)과 측부노즐(51d)로부터 분출되는 세척수의 분출압력에 대응한 반작용력으로 회전하는 것이니만큼, 그렇게 되도록 상기 노즐(51e,51d)의 분사방향이 특별하게 조정되어 있다.
즉 필터세척장치(51)가 가령 도 6의 화살표 s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노즐의 세척수 분출방향이, 세척수분출관(51n)의 회전방향의 후방으로 편향되어 있는 것이다.
가령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수분출관(51n)에 구비되어 있는 노즐(51e,51d)이 세척수를 화살표 f 방향으로 분출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화살표 f방향으로 분출되는 세척수는, 분출력에 대응하는 반작용력을 일으켜 세척수분출관(51n)을 화살표 s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각 노즐로부터 분출된 세척수가 필터모듈부(39)에 부딪힘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세척수분출관(51n)이 회전함에 따라, 상부노즐(51e)은 커튼여과필터부(41)의 상부에서 커튼여과필터부의 원주방향으로 선회하며 세척수를 하향 분사한다. 커튼여과필터부(41) 상단부의 모든 부분에 세척수가 도달하게 되어 그만큼 세척효율이 좋아질 수 있는 것이다.
측부노즐(51d)도 마찬가지로 커튼여과필터부(41)와 제 1,2미세메쉬필터(43,45)의 주연부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오염물질을 떼어낸다. 이와같이 다수의 측부노즐(51d)이 커튼여과필터부(41)와 제 1,2미세메쉬필터(43,45)의 외주부에서 원주방향으로 공전하며 세척수를 분출하므로, 커튼여과필터부(41)와 제 1,2미세메쉬필터(43,45)의 모든 부분이 세척수와 충돌하여 세척된다. 몇 개 되지 않는 노즐(51e,51d)을 이용하여 필터의 모든 부분을, 동일한 압력의 세척수와 충돌시켜 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필터세척장치(51)에 의해 필터모듈부(39)에서 떼어진 오염물질은 상기한 배수구멍(도 4의 49a)을 통해 하부로 배출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 보인 일부 절제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1,2차처리부의 측면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한 수처리시설(11)의 전처리부에는 피트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즉 전처리부의 바닥은 상기 주처리공간(67)의 바닥부(13b)와 같은 높이를 갖는 것이다.
상기 격벽(25)의 하단부에는 통수구멍(25a)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통수구멍(25a)은 1차처리부(21)와 2차처리부(29)를 연통시키는 통로로서, 상기 조목스크린(23)을 통과한 오염수를 2차처리부(29)로 유도한다.
또한 상기 주처리공간(67)을 구획하는 격벽(27)의 하측부에는 배수밸브(55)가 설치된다. 상기 배수밸브(55)는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자동밸브로서, 상기 1,2차처리부(21,29)의 내부공간과 주처리공간(67)을 연통시킨다.
상기 배수밸브(55)는, (주처리공간(67)이 비어 있는 상태에서) 1,2차처리부(21,29)에 남아 있는 오염수를 주처리공간(67)을 경유하여 반대편 피트(13d)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반대편 피트(13d)로 흘러간 오염수는 펌프(15b)에 의해 구조물(13) 외부로 배출 처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에서의 주처리공간(67)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주처리공간(67)의 내부에 처리수(w)가 채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처리수(w)는 필터모듈부(39)를 반지름 방향으로 통과하며 오염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물이다.
상기 유입파이프(35)를 통해 오염수가 화살표 e방향으로 유입하여 필터모듈부(39)를 통과하는 흐름이 계속적으로 진행되는 동안, 필터모듈부(39)를 통과한 처리수는 상기 배수위어(53)를 넘어 배수관(19)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지지판(49)의 일측부에는 두 개의 배수구멍(49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구멍(49a)은 지지판(49)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구멍으로서 마개(59)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마개(59)는 주처리공간(67)의 내부에 물이 어느 수위 이상 수용되어 있을 경우, 물에 대한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배수구멍(49a)을 막거나, 물이 빠졌을 때 하강하여 배수구멍(49a)을 개방하는 개폐수단의 일부이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각 배수구멍(49a)의 연직 하부에 구비되는 마개(59)와, 상기 마개(59)의 하부에 고정되며 수직 하부로 연장된 연결대(61)와, 상기 연결대(61)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부양통(63)과, 바닥부(13b)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대(61)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프레임(65)으로 구성된다.
상기 부양통(63)은 공기가 수용 되어있는 밀폐통으로서,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마개(59)를 상향 가압한다. 상기 배수구멍(49a)에 대한 마개(59)의 차단압력은 부양통(63)의 부력에 의한 것이다.
도면부호 49b는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이다.
상기 연결대(61)는 일정단면 형상을 가지며 수직으로 연장된 축으로서 하단부가 부양통(63)에 고정된 상태로 승강운동한다. 상기 연결대(61)의 길이는, 상기 부양통(63)이 하강하여 바닥부(13b)에 놓여진 상태에서 마개(59)가 배수구멍(49a)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길이이다.
상기 지지프레임(65)은 바닥부(13b)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연결대(61)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한다. 이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한, 지지프레임(65)의 형상은 매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마개(59)는, 주처리공간(67)내의 처리수가 어느 수위 이상으로 차 있을 때에 (부양통(63)의 작용에 의해) 배수구멍(49a)을 차단하다가, 주처리공간(67) 내의 처리수(w)의 수위가 점차 낮아짐에 따라 하강하여 배수구멍(49a)을 개방한다. 상기 마개(59)가 어떤 수위에서 배수구멍(49a)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지는, 개폐수단의 설계에 따라 결정된다.
여하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모듈부(39)를 계속적으로 통과하는 처리수(w)가 배수위어(53)를 넘어 배수관(19)으로 배출되는 동안, 상기 마개(59)는 배수구멍(49a)을 막아, 필터모듈부(39) 내부의 오염수가 처리수와 섞이지 않도록 차단한다.
마침내 비가 그치고 더 이상의 오염수가 유입되지 않으면, 상기 배수위어(53)보다 낮은 수위의 처리수를 펌프(15b)를 가동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펌프(15b)가 동작함에 따라 처리수의 수위가 점차 낮아지고 어느 수위에 도달하는 순간, 부양통(63)이 하강하기 시작한다. 부양통(63)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배수구멍(49a)이 개방됨은 물론이다.
배수를 더욱 진행하여, 마침내 바닥부(13b)가 노출되면 부양통(63)은 더 이상의 부력을 받지 않고 바닥부(13b)에 놓여지게 된다. 마개(59)가 최대한 하강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수구멍(49a)이 개방되면 배수밸브(57,58)도 개방하고 펌프(15b)를 멈춘 후, 상기 필터세척장치(51)를 가동하여 필터모듈부(39)를 세척한다. 이 때 필터모듈부(39)에서 떨어져 나온 오염물질은 상기 배수구멍(49a)을 통해 피트(13d)로 흘러들어간다.
상기 필터모듈부(39)의 역세가 충분히 이루어졌다면, 펌프(15b)를 다시 가동하여 피트(13d)에 모여진 농축오염수를 오수배출파이프(16b)를 통해 완전히 배출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주처리공간(67)이 완전히 비워진 상태가 된다.
이어서, 다음 강우시의 수처리에 대비하기 위하여 배수밸브(57)를 차단하고 배수구멍(49a)을 밀폐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주처리공간(67)에 상수를 공급하여 상기 부양통(63)을 바닥부(13b)로부터 띄운다. 부양통(63)이 상수에 의한 부력에 의해 상승함에 의해 마개(59)가 배수구멍(49a)을 차단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수처리시설 13:구조물 13a:벽부
13b:바닥부 13c,13d:피트 15a,15b:펌프
16a:청수배출파이프 16b:오수배출파이프 17:입수관
19:배수관 21:1차처리부 23:조목스크린
25,27:격벽 25a:통수구멍 27a:위어
29:2차처리부 31:스크린 31a:관통구멍
33:유도관 35:유입파이프 37:유도디퓨져
39:필터모듈부 41:커튼여과필터부 43:제 1미세메쉬필터
45:제 2미세메쉬필러 47:스크린필터 49:지지판
49a;배수구멍 49b:실링 51:필터세척장치
51a:세척수공급파이프 51b:수평연장부 51c:수직연장부
51d:측부노즐 51e:상부노즐 51f:급수허브
51k:고정너트 51m:지지홀더 51n:세척수분출관
51p:연통로 51r:집수공간 51s:수나사부
51t:걸림부 51v:지지홈 53:배수위어
55,57,58:배수밸브 59:마개 61:연결대
63:부양통 65:지지프레임 67:주처리공간

Claims (13)

  1.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박스형 구조물;
    상기 구조물의 내부 일측에 배치된 상태로, 입수관을 통해 구조물 내부로 유입된 오염수를 통과시키며 오염수내의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전처리부;
    격벽에 의해 상기 전처리부와 구획된 주처리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전처리부를 통과한 오염수를 유도관을 통해 그 하부로 받아들이는 유입파이프;
    상기 유입파이프의 상부에 설치된 유도디퓨져를 상향 통과하여 차오르는 오염수를 그 반지름방향으로 통과시켜 정화처리하는 것으로서, 직경이 상이하며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다수의 필터로 구성된 필터모듈부;
    상기 필터모듈부를 받쳐 지지하며 필터모듈부를 통과하는 물이 하부로 빠지는 것을 차단하는 지지판;
    상기 주처리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며, 필터모듈부를 반지름방향으로 통과한 후, 주처리공간에 채워져 있는 처리수를 배수관을 통해 구조물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위어; 및
    상기 필터모듈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 작동시켜 필터모듈부를 역세하는 것으로서, 상기 필터모듈부의 중앙 상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그 내부로 받아들여 통과시키는 급수허브와, 상기 급수허브에 그 후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각 필터의 외주부 측으로 연장된 세척수분출관과, 상기 세척수분출관에 설치되며 세척수분출관으로 압입된 물을 각 필터를 향해 분출하는 다수의 노즐을 구비한 필터세척장치;
    를 포함하는 수처리시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세척장치의 노즐은,
    노즐에서 분출되는 세척수의 분출압력에 대한 반작용력으로 세척수분출관과 급수허브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목표하는 회전방향의 후방으로 편향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분출관은;
    상기 급수허브에 그 후단부가 인입 고정되고 상기 필터모듈부의 상부에서 필터모듈부의 반지름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수평연장부와,
    상기 각 수평연장부에 연통한 상태로 하부로 연장되며, 각 필터의 외주면에 대해 평행하게 이격된 수직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은;
    상기 수평연장부 및 수직연장부 모두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
  4. 제 1항에 있어서,
    전처리부는;
    상기 입수관을 통해 유입한 오염수를 하향 통과시켜 오염수내의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조목스크린을 구비한 1차처리부와,
    상기 1차처리부를 통과한 오염수를 그 하부로 받아들이며, 수위가 상승하는 오염수를 상향 통과시켜 오염수내의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다수의 스크린을 구비한 2차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일정두께를 갖는 플레이트형 부재를 절곡형성하여 주름을 가지도록 제작한 것으로서, 절곡에 의해 형성된 절곡부에 오염수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부는;
    일정두께를 갖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고 섬유상 여재가 충전되며, 상기 유도디퓨져를 거쳐 상부로 차오르는 오염수를 받아들인 후 반지름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커튼여과필터부와,
    상기 커튼여과필터부를 그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커튼여과필터부를 통과한 오염수를 반지름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미세메쉬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필터모듈부의 역세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지지판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는, 상기 주처리공간 내부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일 때 하강하여 상기 배수구멍을 개방하거나, 일정수위보다 높을 때 상승하여 배수구멍을 차단하는 개폐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배수구멍의 연직 하부에 구비되는 마개와,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마개와 연결되며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양통과,
    상기 부양통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처리공간의 바닥에는 피트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피트의 내부에는, 상기 배수위어 보다 낮은 수위의 물을 구조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펌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30083085A 2013-07-15 2013-07-15 수처리시설 KR101400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085A KR101400313B1 (ko) 2013-07-15 2013-07-15 수처리시설
CN201410333207.0A CN104289029B (zh) 2013-07-15 2014-07-14 水处理设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085A KR101400313B1 (ko) 2013-07-15 2013-07-15 수처리시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927A Division KR101421139B1 (ko) 2014-02-12 2014-02-12 수처리 시설용 필터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313B1 true KR101400313B1 (ko) 2014-05-28

Family

ID=5089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085A KR101400313B1 (ko) 2013-07-15 2013-07-15 수처리시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00313B1 (ko)
CN (1) CN104289029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214B1 (ko) 2017-02-01 2017-05-25 허우명 클리닝 장치를 구비한 모듈형 여과시스템
KR101893020B1 (ko) * 2018-03-21 2018-08-30 방재영 육류 조리 부산물의 처리장치
CN110743229A (zh) * 2019-09-12 2020-02-04 张忠 一种工业化学固废物环保型透水处理系统
CN111056592A (zh) * 2019-12-31 2020-04-24 重庆长江勘测设计院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脱泥机
KR20200077997A (ko)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수처리시설
CN113018948A (zh) * 2021-04-19 2021-06-25 上海奥格营养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美容祛斑食品加工用废液回收处理装置
KR20210086477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하수처리 시스템
KR102424680B1 (ko) * 2021-12-31 2022-07-27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수처리시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26374B (zh) * 2015-05-08 2017-03-15 新疆一源节水设备有限公司 自清洗微滤器、集成式渗透微滤机和微滤装置
KR101942995B1 (ko) * 2017-06-21 2019-01-2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유물질, 인 및 중금속의 동시 제거가 가능한 합류식하수도 월류수 및 비점오염원 처리시스템
CN107321026A (zh) * 2017-08-23 2017-11-07 梁杰锴 一种鱼池过滤系统
CN109999596A (zh) * 2019-05-06 2019-07-12 温州富华安全设备有限公司 一种干抛湿除一体机的垃圾自动清理装置
CN112789096B (zh) * 2019-09-11 2022-08-19 株式会社Lg化学 用于清洁金属过滤器的设备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0529B2 (ja) * 1997-12-22 2005-08-10 松下電工株式会社 浴槽湯浄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5189A (en) * 1988-12-09 1990-12-04 Liszka John A Cleaning sprays for disc filters
CN2063440U (zh) * 1990-02-19 1990-10-10 能源部电力建设研究所 反冲旋转自清洗网式过滤器
KR100988864B1 (ko) * 2009-10-01 2010-10-20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수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0529B2 (ja) * 1997-12-22 2005-08-10 松下電工株式会社 浴槽湯浄化装置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214B1 (ko) 2017-02-01 2017-05-25 허우명 클리닝 장치를 구비한 모듈형 여과시스템
KR101893020B1 (ko) * 2018-03-21 2018-08-30 방재영 육류 조리 부산물의 처리장치
KR20200077997A (ko)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수처리시설
KR102152943B1 (ko) * 2018-12-21 2020-09-07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수처리시설
CN110743229A (zh) * 2019-09-12 2020-02-04 张忠 一种工业化学固废物环保型透水处理系统
KR20220024340A (ko) * 2019-12-30 2022-03-03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하수처리 시스템
KR102414675B1 (ko) 2019-12-30 2022-07-01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하수처리 시스템
KR20210086477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하수처리 시스템
KR102364566B1 (ko) * 2019-12-30 2022-02-21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하수처리 시스템
CN111056592A (zh) * 2019-12-31 2020-04-24 重庆长江勘测设计院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脱泥机
CN113018948B (zh) * 2021-04-19 2022-04-26 上海奥格营养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美容祛斑食品加工用废液回收处理装置
CN113018948A (zh) * 2021-04-19 2021-06-25 上海奥格营养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美容祛斑食品加工用废液回收处理装置
KR102424680B1 (ko) * 2021-12-31 2022-07-27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수처리시설
WO2023128103A1 (ko) * 2021-12-31 2023-07-06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수처리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89029B (zh) 2016-05-25
CN104289029A (zh)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313B1 (ko) 수처리시설
KR101702836B1 (ko) 자체 세정기능을 갖는 스크린이 구비된 비점오염정화장치
KR100777516B1 (ko) 조정식 표면 세정 메카니즘을 가진 필터 카트리지
US6027639A (en) Self-cleaning siphon-actuated radial flow filter basket
KR101741449B1 (ko) 유량 조정 및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초기 강우 유출수의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1382006B1 (ko)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및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033859B1 (ko) 초기우수 분리형 저류조
US8512555B1 (en)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KR101666864B1 (ko)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266939B1 (ko) 초기우수배제, 역세척, 폭우 시 월류 기능이 있는 무동력 빗물여과 및 포집장치
KR20120081116A (ko) 우수 여과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622222B1 (ko) 가뭄과 수해대비와 싱크홀 예방을 위한 빗물이용장치
KR101906937B1 (ko) 비점 오염 저감 장치 및 방법
KR101564083B1 (ko) 비점오염원 오염물질 여과 설비
KR100767754B1 (ko) 정화시설 내부 저장수를 이용하여 물청소하는 오염수다중정화시설 및 오염수 정화방법
WO2015161339A1 (en) A filtration device for filtering polluted drainage water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720138B1 (ko) 교량용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555447B1 (ko) 빗물 처리 및 이용장치
KR101738952B1 (ko) 고분자pe필터를 이용한 빗물 처리장치
KR100904287B1 (ko)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KR100681933B1 (ko) 저류지에서의 수질 정화 증대 장치
KR101036018B1 (ko) 오수의 오염물질 여과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KR101421139B1 (ko) 수처리 시설용 필터 세척장치
KR20170117280A (ko) 강우수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