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943B1 - 수처리시설 - Google Patents

수처리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943B1
KR102152943B1 KR1020180167478A KR20180167478A KR102152943B1 KR 102152943 B1 KR102152943 B1 KR 102152943B1 KR 1020180167478 A KR1020180167478 A KR 1020180167478A KR 20180167478 A KR20180167478 A KR 20180167478A KR 102152943 B1 KR102152943 B1 KR 102152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filter
fine mesh
filter unit
water
wat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7997A (ko
Inventor
홍봉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167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943B1/ko
Priority to CN201811607554.2A priority patent/CN111346429A/zh
Publication of KR20200077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2Combinations of filters of different k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7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01D29/7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involving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7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gas bubbles, e.g. air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은, 물이 진입하여 방사방향으로 흘러나가도록 하는 중심부, 제1 미세메쉬필터부, 제2 미세메쉬필터부 및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과 상기 제2 미세메쉬필터부 사이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어 물을 진동시키는 환형의 제1 진동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시설은 물을 진동시킴으로써 물 내의 오염물질이 필터에 닿는 순간 다시 떼어지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처리시설의 필터에 오염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수처리시설{WATER TREATMENT FACILITY}
본 발명은 수처리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처리 시에 물 내의 오염물질을 필터링 하는 메쉬필터에 오염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수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우리 주변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오염물질은 점오염물질과 비점오염물질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점오염물질은 가령 일반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나 산업폐수 등과 같이 발생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이른바 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이다. 또한 비점오염물질은 농경지나 목초지 또는 산림지나 도로(道路)와 같이 오염지역이 정해지지 않고 광범위한 지역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다.
상기 비점오염물질에는, 예컨대 농지에 살포된 비료나 농약, 축사유출물, 먼지와 중금속, 병원성미생물, 유기화합물, 방사성물질 등이 있으며, 먼지와 쓰레기 등으로 머물러 있다가, 비가 올 때 초기 우수(雨水)에 씻겨 주변의 하천이나 지하수로 흘러 들어간다. 따라서, 초기 우수가 하천이나 지하수로 바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비점오염물질을 초기우수에서 제거하기 위해서 우수침투시설, 이중목적 저류지, 연못, 인공습지, 여과시설, 유수분리장치, 필터장치 등을 설치하여 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초기우수로 인한 자연하천 및 인근해역 등의 수질오염을 예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대부분의 시설물은 초기우수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량이 한정되어 있어 초기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미처 제거하지 못하고, 자연하천 및 인근해역 등에 그대로 월류시켜고 있어 환경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수처리시설와 같은 시설을 통해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빗물에는 비점오염원 등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기 때문에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에 오염물질이 달라붙거나 파울링현상이 발생하여 빗물의 이동속도가 저하되거나 필터의 필터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필터에 오염물질이 달라붙어 빗물의 이동경로를 방해하거나 필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처리시설가 필요하다.
KR 10-0823236 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수처리시설의 필터에 오염물질이 달라붙지 않도록 물에 진동을 가하거나 물에 기포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빗물 속의 오염물질이 필터에 증착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은, 물이 중심부로 진입하여 방사방향으로 흘러나가고,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방향 둘레에 설치되어 물 내의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제1 미세메쉬필터부,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의 방사방향 외곽에 설치되어 물 내의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제거하는 제2 미세메쉬필터부 및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과 상기 제2 미세메쉬필터부 사이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어 물을 진동시키는 환형의 제1 진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진동부재의 진동을 통해 오염물질이 상기 제2 미세메쉬필터부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에서, 상기 제1 진동부재는, 상기 중심부에 설치되며, 일정두께를 갖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고 섬유상 여재가 충전된 커튼여과필터부 및 상기 커튼여과필터부와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 사이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어 물을 진동시키는 환형의 제2 진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진동부재의 진동을 통해 상기 중심부의 오염물질이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설은,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는 제1 메쉬필터와 상기 제1 메쉬필터를 둘러싸는 제1 외곽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미세메쉬필터부는 제2 메쉬필터와 상기 제2 메쉬필터를 둘러싸는 제2 외곽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처리시설은,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의 제1 외곽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를 진동시키는 제3 진동부재 및 상기 제2 미세메쉬필터부의 제2 외곽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미세메쉬필터부를 진동시키는 제4 진동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은, 물이 중심부로 진입하여 방사방향으로 흘러나가고,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방향 둘레에 설치되어 물 내의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제1 미세메쉬필터부,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의 방사방향 외곽에 설치되어 물 내의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제거하는 제2 미세메쉬필터부 및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과 상기 제2 미세메쉬필터부 사이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어 물 속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제1 기포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포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기포가 상승하면서 오염물질이 상기 제2 미세메쉬필터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은, 상기 중심부에 설치되며, 일정두께를 갖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고 섬유상 여재가 충전된 커튼여과필터부 및 상기 커튼여과필터부와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 사이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어 물 속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제2 기포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포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기포가 상승하면서 상기 중심부의 오염물질이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시설은 물을 진동시킴으로써 물 내의 오염물질이 필터에 닿는 순간 다시 떼어지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처리시설의 필터에 오염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시설은 기포 발생 장치를 통해 기포가 빗물 속에 발생하여 빗물 내의 오염물질의 이동을 촉진함으로써 오염물질이 필터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의 일부 절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의 일부 절제 사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 도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수처리시설(10)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10)은, 물이 진입하여 방사방향으로 흘러나가도록 하는 중심부(20), 상기 중심부(20)를 기준으로 방사방향 둘레에 설치되어 물 내의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제1 미세필터(21),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21)의 방사방향 외곽에 설치되어 물 내의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제거하는 제2 미세메쉬필터부(31) 및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21)과 상기 제2 미세메쉬필터부(31) 사이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어 물을 진동시키는 환형의 제1 진동부재(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진동부재(32)의 진동을 통해 오염물질이 상기 제2 미세메쉬필터부(31)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10)에서, 상기 제1 진동부재(32)는, 상기 중심부(20)에 설치되며, 일정두께를 갖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고 섬유상 여재가 충전된 커튼여과필터부(22) 및 상기 커튼여과필터부(22)와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21) 사이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어 물을 진동시키는 환형의 제2 진동부재(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진동부재(23)의 진동을 통해 상기 중심부(20)의 오염물질이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21)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오염물질이 있는 물(예를 들어, 비점오염원이 있는 빗물)을 수처리하는 시설이다. 수처리시설(10)는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수처리시설(10)의 중심부(20)로 빗물이 진입하여 방사방향으로 흘러나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수처리시설(10)은 중심부(20), 제1 미세메쉬필터부(21), 제2 미세메쉬필터부(31), 제1 진동부재(32), 커튼여과필터부(22), 제2 진동부재(23)를 포함한다. 도 2를 보면 수처리 대상이 되는 물은 유입파이프(11)를 따라 중심부(20)로 들어와 커튼여과필터부(22), 제1 미세메쉬필터부(21), 제2 미세메쉬필터부(31)를 순서대로 거치면서 방사방향으로 흘러나간다.
도 2를 보면, 본 발명은 제1 미세메쉬필터부(21)를 기준으로 방사방향 안쪽은 중심부(20), 방사방향 바깥쪽은 외곽부(30)로 지칭된다. 커튼여과필터부(22)는 중심부(20)에 설치된다. 커튼여과필터부(22)에서 수처리 대상의 물이 가장 먼저 필터링된다. 도 1을 보면, 커튼여과필터부(22)는 일정두께를 갖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고 섬유상 여재가 충전된다. 커튼여과필터부(22)의 섬유상여재는 내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저밀도섬유상여재, 중밀도 섬유상여재, 고밀도 섬유상여재가 상호 이격되도록 다수 겹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미세메쉬필터부(21)는 중심부(20)를 기준으로 방사방향 둘레에 설치된다. 제1 미세메쉬필터부(21)는 커튼여과필터부(22)보다 작은 공극을 갖는 필터부재이다. 제1 미세메쉬필터부(21)는 커튼여과필터부(22)를 통과한 오염물질을 걸러내고 물은 통과시킨다.
제2 미세메쉬필터부(31)는 제1 미세메쉬필터부(21)의 방사방향 외곽에 설치된다. 제2 미세메쉬필터부(31)는 제1 미세메쉬필터부(21)보다 촘촘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제2 미세메쉬필터부(31)는 커튼여과필터부(22)와 제1 미세메쉬필터부(21)보다 더 작은 입자의 오염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1과 도 2에서는 미세메쉬필터를 두 개만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더 많은 미세메쉬필터부가 외곽부(3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미세메쉬필터부(21)와 제2 미세메쉬필터부(31) 사이 공간인 외곽부(30)의 바닥에는 제1 진동부재(32)가 설치된다. 제1 진동부재(32)는 외곽부(30) 바닥에 형성되기 때문에 환형의 구조를 갖는다. 제1 진동부재(32)는 물을 진동시킨다. 제1 진동부재(32)가 물을 진동시키는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나, 초음파 진동 방식으로 물을 진동시킬 수 있다. 미세메쉬필터부(21, 31) 근처에서의 물의 이동속도는 2 내지 6mm/s로 형성될 정도로 작다. 본 발명과 같은 경우, 물의 이동속도가 작아 미세메쉬필터부(21, 31)에 결합되는 오염물질의 흡착력이 약하므로, 초음파 진동을 통해 오염물질이 미세메쉬필터부(21, 31)에 쉽게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진동부재(32)에 의해 오염물질이 제2 미세메쉬필터부(31)에 닿았다 떨어졌다를 반복하여 제2 미세메쉬필터부(31)의 공극에 오염물질이 끼거나 달라붙지 않게 된다.
제2 진동부재(23)는 커튼여과필터부(22)와 제1 미세메쉬필터부(21) 사이의 공간 바닥에 설치된다. 제2 진동부재(23) 또한 물을 진동시키며, 물의 진동 방식을 초음파 진동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제2 진동부재(23)의 진동에 의해, 커튼여과필터부(22)에서 제1 미세메쉬필터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오염물질이 제1 미세메쉬필터부(21)에 닿았다 떨어졌다는 반복하여 제1 미세메쉬필터부(21)의 공극에 오염물질이 끼거나 달라붙지 않게 된다.
제1 진동부재(32)와 제2 진동부재(23)에 의해 오염물질이 미세메쉬필터부(21, 31)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미세메쉬필터부(21, 31)의 오염물질 필터 기능이 향상된다. 또한, 오염물질이 미세메쉬펄터부(21, 31)에 달라붙는 정도가 현격히 줄어듬에 따라 미세메쉬필터부(21, 31)의 사용 가능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제2 미세메쉬필터부(31)의 공극이 제1 미세메쉬필터부(21)의 공극보다 더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달라붙을 가능성이 제1 미세메쉬필터부(21) 보다 제2 미세메쉬필터부(31)에서 더 높아진다. 따라서 제1 진동부재(32)의 진동을 제2 진동부재(23)의 진동보다 더 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진동부재(32)는 제2 미세메쉬필터부(31)에 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진동부재(23) 또한 제1 미세메쉬필터부(21)에 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물을 진동시키는 목적이 제1 미세메쉬필터부(21)와 제2 미세메쉬필터부(31)에 오염물질이 달라붙지 않게 하는 것이므로, 물의 진동을 미세메쉬필터부(21, 31)에 가장 가깝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진동부재(21a)와 제4 진동부재(31a)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10)은,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21)는 제1 메쉬필터(21c)와 상기 제1 메쉬필터(21c)를 둘러싸는 제1 외곽프레임(21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미세메쉬필터부(31)는 제2 메쉬필터(31c)와 상기 제2 메쉬필터(31c)를 둘러싸는 제2 외곽프레임(31b)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처리시설(10)은,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21)의 제1 외곽프레임(21b)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21)를 진동시키는 제3 진동부재(21a) 및 상기 제2 미세메쉬필터부(31)의 제2 외곽프레임(31b)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미세메쉬필터부(31)를 진동시키는 제4 진동부재(31a)를 더 포함한다.
미세메쉬필터와 오염물질을 이격시키는 수단으로서 제3 진동부재(21a)와 제4 진동부재(31a)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 진동부재(32)와 제2 진동부재(23)는 물을 진동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을 미세메쉬필터로부터 이격시켰다. 그에 반해 제3 진동부재(21a)와 제4 진동부재(31a)는 미세메쉬필터를 직접적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을 미세메쉬필터로부터 이격시킨다. 제1 미세메쉬필터부(21)와 제2 미세메쉬필터부(31)를 쉽게 진동시키려면 진동을 시키는 수단이 물 속이 아니라 물 밖에 배치되어야 한다. 물 속에 진동을 시키는 수단이 위치하면 물이 진동을 흡수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3 진동부재(21a)와 제4 진동부재(31a)는 각각 제1 미세메쉬필터부(21)와 제2 미세메쉬필터부(31)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1 미세메쉬필터부(21)와 제2 미세메쉬필터부(31)는, 외곽프레임(21b, 31b)과 외곽프레임(21b, 31b) 사이의 메쉬 필터(21c, 31c)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3 진동부재(21a)와 제4 진동부재(31a)는 미세메쉬필터부(21, 31)의 외곽프레임(21b, 31b) 상에 설치되어 외곽프레임(21b, 31b)을 직접적으로 진동시킨다. 따라서 진동이 외곽프레임(21b, 31b)에서 메쉬 필터(21c, 31c)로 전달됨으로써 미세메쉬필터부(21, 31)가 전체적으로 떨리는 현상이 발생된다. 미세메쉬필터부(21, 31)가 떨리는 현상으로 인해 오염물질이 미세메쉬필터부(21, 31)에 달라붙지 못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발생 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10)은, 물이 중심부(20)로 진입하여 방사방향으로 흘러나가고, 상기 중심부(20)를 기준으로 방사방향 둘레에 설치되어 물 내의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제1 미세메쉬필터부(21),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21)의 방사방향 외곽에 설치되어 물 내의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제거하는 제2 미세메쉬필터부(31) 및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21)과 상기 제2 미세메쉬필터부(31) 사이 공간인 외곽부(30)의 바닥에 설치되어 물 속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제1 기포 발생 장치(3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포 발생 장치(33)에 의해 발생된 기포가 상승하면서 상기 외곽부(30)의 오염물질이 상기 제2 미세메쉬필터부(31)에 접촉하는 것을 방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10)은, 상기 중심부(20)에 설치되며, 일정두께를 갖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고 섬유상 여재가 충전된 커튼여과필터부(22) 및 상기 커튼여과필터부(22)와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21) 사이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어 물 속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제2 기포 발생 장치(2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포 발생 장치(24)에 의해 발생된 기포가 상승하면서 상기 중심부(20)의 오염물질이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21)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기포 발생 장치(33)와 제2 기포 발생 장치(24)를 포함한다. 기포 발생의 첫번째 효과는 기포 발생 장치(33, 24)에서 기포가 발생함으로 인해 물 속에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포 발생 장치(33, 24) 또한 제1 및 제2 진동부재(32, 23)과 마찬가지로 물에 진동을 가하게 되어, 오염물질이 미세메쉬필터부(21, 31)에 달라붙지 못하도록 한다. 기포 발생 장치(33, 24)의 두번째 효과는 기포의 공기압에 의해 오염물질이 밀려나거나 진동하게 됨으로써 오염물질이 미세메쉬필터부(21, 31)에 달라붙지 못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 발생 장치(33, 24)에서 발생된 기포가 상승되어 점점 커지면서 외곽부(30)의 물 내에 있는 오염물질을 진동시키거나 이동시킨다. 기포는 상승할수록 커지므로, 공기압에 의해 오염물질이 이동될 수 있다.
물 내의 오염물질이 제2 미세메쉬필터부(31)에 닿을 때 제1 기포 발생 장치(33)에서 발생된 기포에 의해 진동되어 제2 미세메쉬필터부(31)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오염물질이 제2 미세메쉬필터부(31)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2 기포 발생 장치(24)에서 발생된 기포가 상승되어 점점 커지면서 중심부(20)의 물 내의 오염물질을 진동시키거나 이동시킨다. 따라서 물 내의 오염물질이 제1 미세메쉬필터부(21)에 닿을 때 기포에 의해 진동되어 제1 미세메쉬필터부(21)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오염물질이 제1 미세메쉬필터부(21)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수처리시설 11: 유입파이프
20 : 중심부 21 : 제1 미세메쉬필터부
21a : 제3 진동부재 21b : 제1 외곽프레임
21c : 제1 메쉬필터 22 : 커튼여과필터부
23 : 제2 진동부재 24 : 제2 기포 발생 장치
30 : 외곽부 31 : 제2 미세메쉬필터부
31a : 제4 진동부재 31b : 제2 외곽프레임
31c : 제2 메쉬필터 32 : 제1 진동부재
33 : 제1 기포 발생 장치

Claims (5)

  1. 물이 중심부로 진입하여 방사방향으로 흘러나가고,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방향 둘레에 설치되어 물 내의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제1 미세메쉬필터부;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의 방사방향 외곽에 설치되어 물 내의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제거하는 제2 미세메쉬필터부; 및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과 상기 제2 미세메쉬필터부 사이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어 물 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수처리 과정에서 상기 제2 미세메쉬필터부의 공극에 오염물질이 끼거나 달라붙지 않도록 초음파 진동 방식으로 물을 임의의 방향으로 진동시켜 오염물질이 상기 제2 미세메쉬필터부에 닿았다 떨어졌다는 반복하게 하는 환형의 제1 진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진동부재의 진동을 통해 오염물질이 상기 제2 미세메쉬필터부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하는, 수처리시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에 설치되며, 일정두께를 갖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고 섬유상 여재가 충전된 커튼여과필터부; 및
    상기 커튼여과필터부와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 사이 공간의 바닥에 설치되어 물 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수처리 과정에서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의 공극에 오염물질이 끼거나 달라붙지 않도록 초음파 진동 방식으로 물을 임의의 방향으로 진동시켜 오염물질이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에 닿았다 떨어졌다를 반복하게 하는 환형의 제2 진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진동부재의 진동을 통해 상기 중심부의 오염물질이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하는, 수처리시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는 제1 메쉬필터와 상기 제1 메쉬필터를 둘러싸는 제1 외곽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미세메쉬필터부는 제2 메쉬필터와 상기 제2 메쉬필터를 둘러싸는 제2 외곽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처리시설은,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의 제1 외곽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미세메쉬필터부를 진동시키는 제3 진동부재; 및
    상기 제2 미세메쉬필터부의 제2 외곽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미세메쉬필터부를 진동시키는 제4 진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시설.
  4. 삭제
  5. 삭제
KR1020180167478A 2018-12-21 2018-12-21 수처리시설 KR102152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478A KR102152943B1 (ko) 2018-12-21 2018-12-21 수처리시설
CN201811607554.2A CN111346429A (zh) 2018-12-21 2018-12-27 水处理设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478A KR102152943B1 (ko) 2018-12-21 2018-12-21 수처리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997A KR20200077997A (ko) 2020-07-01
KR102152943B1 true KR102152943B1 (ko) 2020-09-07

Family

ID=71188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478A KR102152943B1 (ko) 2018-12-21 2018-12-21 수처리시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2943B1 (ko)
CN (1) CN11134642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313B1 (ko) * 2013-07-15 2014-05-28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수처리시설
KR101900274B1 (ko) * 2017-12-18 2018-09-19 (재)에스지환경기술연구원 생물학적 공정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236B1 (ko) 2007-08-28 2008-04-18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방사형 초기우수처리장치
CN204689669U (zh) * 2015-05-24 2015-10-07 邱吓妹 一种厨房污水过滤处理装置
KR101743712B1 (ko) * 2015-08-10 2017-06-07 주식회사 유니에코 역세척 기능이 구비된 비점오염 저감시설장치
CN205127598U (zh) * 2015-08-31 2016-04-06 成都易态科技有限公司 过滤元件再生装置
KR101831961B1 (ko) * 2015-10-29 2018-02-23 성호그린테크주식회사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CN205095515U (zh) * 2015-11-20 2016-03-23 浙江大川新材料股份有限公司 震动过滤组件
CN106237691A (zh) * 2016-09-27 2016-12-21 无锡大功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滤板升降式污水振动过滤装置
CN208115280U (zh) * 2017-12-05 2018-11-20 盐城金球不锈钢有限公司 一种用于固液分离装置的过滤组件
CN208082233U (zh) * 2018-01-08 2018-11-13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一种超声波辅助连续自动清洗氧化石墨烯的膜过滤装置
CN108283857A (zh) * 2018-04-04 2018-07-17 广州微碳科技有限公司 带在线自动清洗功能的光催化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313B1 (ko) * 2013-07-15 2014-05-28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수처리시설
KR101900274B1 (ko) * 2017-12-18 2018-09-19 (재)에스지환경기술연구원 생물학적 공정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46429A (zh) 2020-06-30
KR20200077997A (ko)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6637B1 (ko) 유동하는액체나기체로부터고체를미립자를분리하는장치
KR100987316B1 (ko)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 방법
US8871087B2 (en)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water
US9739047B2 (en) Non-point polluta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KR100991492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KR200417011Y1 (ko)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의 내부 침전조
KR101349613B1 (ko) Lid 기법적용 선진모래여과장치
KR101113989B1 (ko)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547484B1 (ko) 스월 장치와 여재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WO2006121268A1 (en) Non-point source pollution treatment apparatus
KR102152943B1 (ko) 수처리시설
KR100621193B1 (ko) 오염수정화장치 및 오염수정화장치의 오염수정화방법
KR100516951B1 (ko) 건축물 우수배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619386B1 (ko) 여과장치
KR101760902B1 (ko) 블록식 결합형태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101147021B1 (ko) 비점오염수 정화장치
KR101887408B1 (ko)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KR100719944B1 (ko)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
KR20130001044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CN206417978U (zh) 一种污水过滤处理装置
KR101173780B1 (ko) 상향류식 여과방법과 하향류식 여과방법을 이용한 다단계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694827B1 (ko)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수처리장치
KR101415941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0923234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정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