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961B1 -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961B1
KR101831961B1 KR1020150151392A KR20150151392A KR101831961B1 KR 101831961 B1 KR101831961 B1 KR 101831961B1 KR 1020150151392 A KR1020150151392 A KR 1020150151392A KR 20150151392 A KR20150151392 A KR 20150151392A KR 101831961 B1 KR101831961 B1 KR 101831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filter
space
unit
back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180A (ko
Inventor
박왕재
Original Assignee
성호그린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호그린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호그린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1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9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04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clamped between pervious fixe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효과적인필터의 역세척에 의해 오염물에 의한 필터의 폐색을 막아 우수처리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는 전면에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내부공간을 침전공간부와 상기 침전공간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여과공간부로 구획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격벽과, 여과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격벽을 월류하여 상기 여과공간부로 유입된 우수 중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유닛과, 여과유닛을 통과하여 여과처리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와, 여과유닛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여과유닛을 역세척하기 위한 역세척수단과, 역세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역세척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여과공간부의 바닥에 쌓인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침전물회수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비점오염원 저감장치{apparatus for redu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효과적인필터의 역세척에 의해 오염물에 의한 필터의 폐색을 막아 우수처리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지역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별된다. 이 중 비점오염원은 강우시 지표면에 노출된 오염물질이 우수에 쓸려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오염원으로 강우 초기에 유출량이 집중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원이 공공수역으로 유입되어 될 경우 하천 및 호소의 오염을 유발시키며 또 지하로 침투되어 지하수자원의 오염을 유발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초기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은 정화 및 정수 과정을 거쳐 배출 수역으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에 초기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종래의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대략 인공습지 등의 저류형, 여과조 등의 여과형, 스월(Swirl) 처리장치 등의 장치형 등 다양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등이 있으며, 이들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각각 장단점을 가진다.
상기 저류형은 설비면적이 크게 요구되는 점에서 도심지역에 적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있어, 도심지역에 적용되고 있는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주로 원심력을 이용하는 와류방식(Swirl 처리방식)과 여과에 의해 처리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며, 이들 초기우수 처리방치의 처리효율은 각 처리장치마다 일정한 효율을 가지나, 유량 및 농도 변화가 큰 강우에 의한 비점오염원에 대해 탄력적인 처리효율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종래의 와류 방식은 침전물질은 제거가 가능하나 부유물질의 제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강우로 인해 반응조 내조 초기 우수가 유입될 경우 그동안의 강우로 인해 축척된 침전물이 와류를 통해 재부상하여 반응조를 빠져나감에 따라 이로 인한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여과방식은 스월방식에 비하여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급속침전이 어렵기 때문에 장치의 소요용량이 크고, 초기우수가 유입될 때 기존의 침전물이 재부상하는 문제점이 여전하므로 이로 인해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00070호에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비점오염저감시설은 침전과 여과방식을 혼용하여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역세척시 필터로부터 탈리된 오염물질들이 처리수가 모여있는 공간으로 유입되어 우수처리효과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를 폭기하는 방식에 의한 역세척 방식으로는 필터의 세척효과가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00070호: 비점오염저감시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효과적인 역세척에 의해 오염물에 의한 필터의 폐색을 막음과 동시에 필터로부터 탈리된 오염물질이 처리수가 모여 있는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우수처리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는 전면에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침전공간부와, 상기 침전공간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여과공간부로 구획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격벽과; 상기 여과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격벽을 월류하여 상기 여과공간부로 유입된 우수 중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유닛과; 상기 여과유닛을 통과하여 여과처리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와; 상기 여과유닛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여과유닛을 역세척하기 위한 역세척수단과; 상기 역세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역세척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여과공간부의 바닥에 쌓인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침전물회수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여과유닛은 상기 격벽보다 높게 형성되며 다수의 통수홀들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를 제 1필터부와 제 2필터부로 구획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공판과, 상기 제 1필터부에 충진된 다공성 여재들 또는 비다공성 여재들과, 상기 제 2필터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필터부의 역세척시 상기 제 1필터부로부터 탈리된 오염물이 처리수 중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판상의 섬유필터를 구비한다.
상기 역세척수단은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어 상기 여과공간부로 연장되는 메인공급관과, 상기 메인공급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 1필터부에 설치되어 상기 다공성 여재 또는 비다공성 여재로 공기를 분출시키는 폭기관들을 구비한다.
상기 침전물회수유닛은 상기 메인공급관과 연결되는 벤츄리관과, 상기 벤츄리관과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을 통해 침전물이 유입되는 회수조와, 상기 벤츄리관의 축소경부와 연결되는 흡입시라우드와, 상기 흡입시라우드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여과공간부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흡입시라우드의 흡입구를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바를 구비한다.
상기 제 1필터부의 역세척시 상기 다공성 여재들 또는 비다공성 여재들에 진동을 가하기 위한 진동부여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진동부여수단은 상기 다공판의 전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다공성 여재들 또는 비다공성 여재들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판과, 상기 다공판과 연결되어 상기 다공판을 상하로 왕복이동시키는 진동발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다공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캠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의 역세척시 충전된 여재에 공기를 강하게 공급하여 여재에 부착된 토사류 등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여재의 역세척시 탈리된 오염물이 후면에 설치된 섬유필터에 의해 처리수 중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역세척시 필터에 진동을 부여하여 역세척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오염물에 의한 필터의 폐색을 막을 수 있어 우수처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는 우수, 특히 초기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을 처리하여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산업단지 조성, 공항의 건설, 관광단지의 개발, 산지의 개발 등 개발사업의 공사 중 또는 완료 후 발생하는 비점오염사업장 또는 각종 오염물질이 쌓인 도로나 지면 등의 지표면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은 우수와 함께 배수관로를 통해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로 유입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는 전면에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된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공간을 침전공간부(13)와 여과공간부(15)로 구획하기 위한 격벽(20)과, 여과공간부(15)에 설치되는 여과유닛(30)과, 여과유닛(30)을 통과하여 여과처리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50)와, 여과유닛(30)을 역세척하기 위한 역세척수단과, 여과공간부(15)의 바닥에 쌓인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침전물회수유닛(70)을 구비한다.
본체(10)는 내부가 빈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체(10)는 콘크리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에는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유입구(11)는 배수관로와 연결되어 우천시 비점오염원 및 점오염원이 우수와 함께 유입구(11)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다. 본체(10)의 상부에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덮개(12)가 하나 또는 다수가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격벽(20)이 일정 높이로 형성된다. 격벽(20)은 본체(10)의 바닥에서 수직으로 형성된다. 격벽(20)은 본체(10)의 내부공간을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격벽(20)에 의해 본체(10)의 내부공간은 침전공간부(13)와 여과공간부(15)로 구획된다. 여과공간부(15)는 침전공간부(13)의 후방에 위치한다. 유입구(11)를 통해 우수는 침전공간부(13)로 유입된 후 격벽(20)을 월류하여 여과공간부(15)로 유입된다.
침전공간부(13)로 유입된 우수 중의 협잡물, 토사, 자갈 등은 침전공간부(13)의 바닥에 침전되어 쌓인다. 이와 같이 비교적 비중이 큰 이물질은 침전공간부(13)에서 침전된다. 그리고 우수는 격벽(20)을 월류하여 여과공간부(15)로 유입된다.
여과공간부(15)로 유입된 우수는 여과유닛(30)에 의해 비중이 낮은 이물질, 부유물, 비점 오염원 등의 각종 오염물이 필터링되어 제거된다.
여과유닛(30)은 여과공간부(15)에 설치된다. 여과유닛(30)은 여과공간부(15)를 여과전공간부(15)와 여과후공간부(17)로 구획한다.
도시된 여과유닛(30)은 케이싱(31), 다공판(35), 여재(40), 섬유필터(43)로 구비된다.
케이싱(31)은 격벽(20)보다 높게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다. 케이싱에는 다수의 통수홀들(3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케이싱(31)은 전면 방향이 벌어진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케이싱(31)의 벌어진 부분이 격벽(20)을 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싱(31)과 격벽(20) 사이에는 사각의 빈 공간인 여과전공간부(16)가 형성된다. 케이싱(31)과 본체(10)의 좌우 양측면 사이로 우수가 월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싱(31)과 본체(10)의 좌우 양측면 사이에는 월류방지턱(39)이 마련된다. 월류방지턱(39)은 격벽(20)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여과전공간부(16)의 바닥에는 여과유닛(30)을 통과하지 못한 각종 오염물이 침전되어 쌓인다. 침전물이 한 곳으로 모일 수 있도록 여과전공간부(16)의 바닥은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격벽(20)과 연결되어 후방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된 제 1경사면(18)과, 제 1경사면(18)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후방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형성된 제 2경사면(19)이 구비된다.
케이싱(31)의 내부에는 다공판(35)이 설치된다. 다공판(35)은 케이싱(31)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지지판(37)에 지지된다. 다공판(35)에는 다수의 관통홀들(36)이 형성된다. 다공판(35)은 케이싱(31) 내부에 설치되어 케이싱(31)의 내부를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다공판(35)의 전면에 위치한 공간을 제 1필터부라 하고, 다공판(35)의 후면에 위치한 공간을 제 2필터부라 한다.
제 1필터부에는 여재들(40)이 충전된다. 여재로 다공성 여재 또는 비다공성 여재를 이용할 수 있다. 다공성 여재로 제올라이트, 활성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비다공성 여재로 패각조각 또는 섬모상 여재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패각 조각은 조개류의 껍질을 굽거나 굽지 않은 채로 10 내지 50메쉬 입도 크기로 분쇄한 것으로서, 높은 비표면적에 의한 우수한 물리적 흡착 특성을 갖는다.
또한, 여재로 다공성 여재와 비다공성 여재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 1필터부에 충전된 여재에 의해 물리적 흡착과 함께 미생물의 유기물 분해에 의한 생물학적 처리가 가능하다.
제 2필터부에는 판상의 섬유필터(43)가 설치된다. 섬유필터(43)는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계열 등의 섬유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섬유필터(43)는 공극이 20 내지 100㎛이다.
격벽(20)을 월류하여 여과전공간부(16)로 유입된 우수는 제 1필터부의 여재들(40)을 통과하면서 1차로 여과된다. 그리고 다공판(35)의 관통홀(36)을 통과하여 제 2필터부로 유입된다. 우수는 제 2필터부를 통과하면서 섬유필터(43)에 의해 2차로 여과된다. 제 2필터부를 통과하여 여과처리된 우수 즉, 처리수는 여과후공간부(17)로 유입된다.
처리수는 배출부(50)에 의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부(50)는 여과후공간부(17)에 설치된 배수펌프(51)와, 배수펌프(51)와 연결되어 본체(10)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관(55)을 구비한다.
상술한 섬유필터(43)는 여재(40)와 함께 우수를 여과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 1필터부의 역세척시 여재(40)로부터 탈리된 오염물이 처리수 중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 1필터부를 역세척하기 위한 역세척수단은 고압의 공기를 분출시켜 여재(40)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을 탈리시킨다.
역세척수단은 송풍기(60)와, 상기 송풍기(60)와 연결되어 여과공간부(17)로 연장되는 메인공급관(61)과, 메인공급관(61)에서 분기되어 제 1필터부에 설치되어 다공성 여재 또는 비다공성 여재로 공기를 분출시키는 폭기관들(63)을 구비한다.
송풍기(60)는 본체(10)의 외부에 설치된다. 메인공급관(61)은 케이싱(31)의 하부를 관통한다. 폭기관(63)은 메인공급관(61)으로부터 다수가 분기되어 제 1필터부에 설치된다. 폭기관(63)은 제 1필터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송풍기(60)가 가동되면 고압의 공기가 폭기관(63)을 통해 분출되어 여재(40)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을 탈리시킨다.
역세척시 여재(40)로부터 탈리된 오염물들은 섬유필터에 의해 여과후공간부(17)로 이동이 차단된다. 따라서 탈리된 오염물들은 여과전공간부(16)의 바닥에 쌓인다. 바닥에 쌓인 침전물은 침전물회수유닛(7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침전물회수유닛(70)은 역세척수단과 연결된다. 침전물회수유닛(70)은 역세척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여과전공간부(16)의 바닥에 쌓인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침전물회수유닛은 메인공급관(61)과 연결되는 벤츄리관(71)과, 벤츄리관(71)과 연결되어 본체(10)의 외부로 연장되는 연결관(77)과, 연결관(77)에 연결되어 침전물이 유입되는 회수조(83)와, 벤츄리관(71)의 축소경부(75)와 연결되는 흡입시라우드(80)와, 흡입시라우드(80)의 하부에 형성되어 여과전공간부(16)의 바닥으로부터 흡입시라우드(80)의 흡입구를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바(81)를 구비한다.
벤츄리관(71)의 일측에는 메인공급관(61)이 플랜지로 연결되고, 벤츄리관(71)의 타측에는 연결관(77)이 플랜지로 연결된다. 벤츄리관(71)의 내부 유로는 직경이 좁아지는 축소경부(75)와, 축소경부(75)의 양측에 위치하여 직경이 넓어지는 확대경부(73)로 이루어진다.
흡입시라우드(80)는 벤츄리관(71)의 하부에 설치되어 여과전공간부(16)의 바닥에 안착된다. 흡입시라우드(80)는 제 1경사면(18)과 제 2경사면(19) 사이의 평평한 바닥면에 위치한다. 흡입시라우드(80)의 상부는 벤츄리관(71)에 형성된 나사홀에 나사결합된다. 나사홀에 결합된 흡입시라우드(80)의 상부는 축소경부(75)와 연통된다. 그리고 흡입시라우드(80)의 하부에는 다수의 스페이서바(81)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스페이서바(81)는 흡입시라우드(80)의 흡입구가 여과전공간부의 바닥과 이격되도록 한다.
역세척시 송풍기가 작동되면 고압의 공기가 메인공급관(61)을 통해 벤츄리관(71)으로 유입된다. 벤츄리관(71)으로 유입된 공기는 축소경부(75)를 통과하면서 속도는 빨라지고 압력은 낮아진다. 이때 흡입시라우드(80)를 통해 우수와 함께 침전물들이 벤츄리관(71)으로 강하게 흡입되어 공기와 함께 연결관(77)을 따라 이동하여 회수조(83)로 유입된다.
회수조(83)는 사각의 통형 구조로서, 내부에 스크린(85)이 설치된다. 스크린(85)은 침전물은 차단시키고 우수는 통과시키기 위함이다. 회수조(83) 내부의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리턴관(87)이 회수조(83)에 설치된다. 리턴관(87)의 일측은 회수조(83)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본체(10)의 내부로 연장된다.
회수조(83)로 유입된 우수와 침전물 중 우수는 외부로 배출되고 침전물은 회수조에 남는다. 회수조(83)로 유입된 우수는 스크린(85)을 통과하여 리턴관(87)으로 유입된다. 리턴관(87)으로 유입된 우수는 본체(10)의 침전공간부(13)로 유입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는 진동부여수단을 더 구비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진동부여수단은 제 1필터부의 역세척시 여재들에 진동을 가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진동부여수단은 다공판(35)의 전면에 형성된 돌출판(95)과, 다공판(35)과 연결되어 다공판(35)을 상하로 왕복이동시키는 진동발생부(100)를 구비한다.
돌출판(95)은 다공판(35)의 전면에 다수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판(95)은 상하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된다. 돌출판(95)에는 원형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고, 폭기관(63)은 관통홀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진동발생부(100)는 다공판(35)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110)과,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우징(110)을 관통하는 회전축(101)과, 회전축(101)에 결합되어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캠(103)과, 회전축(101)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회전축(101)의 일측에 결합된 풀리(105)는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풀리와 벨트(107)로 연결된다.
회전축(101)은 본체(10)의 좌우 양 측벽에 설치된 베어링유니트(109)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하우징(110)은 다공판(35)의 상단에 볼트 등과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원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0)의 양측면에는 회전축(101)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캠(103)은 회전축(101)에 결합되어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된다. 캠(103)은 회전축(10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킨다.
모터가 구동되면 회전축(101)과 함께 캠(103)이 회전하면서 다공판(35)을 상하로 왕복 이동시킨다. 이러한 왕복 이동에 의해 돌출판(95)이 상하로 반복적으로 이동하면서 여재들(40)에 미세한 진동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역세척시 폭기와 함께 여재들(40)을 진동시킬 수 있어 여재(40)에 부착된 오염물을 더욱 용이하게 탈리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유입구
20: 격벽 30: 여과유닛
31: 케이싱 35: 다공판
40: 여재 43: 섬유필터
60: 송풍기 61: 메인공급관
63: 폭기관 70: 침전물회수유닛

Claims (6)

  1. 전면에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침전공간부와, 상기 침전공간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여과공간부로 구획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격벽과;
    상기 여과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격벽을 월류하여 유입된 우수 중의 오염물을 제거하고, 상기 여과공간부를 여과전공간부와 여과후공간부로 구획하는 여과유닛과;
    상기 여과유닛을 통과하여 여과처리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와;
    상기 여과유닛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여과유닛을 역세척하기 위한 역세척수단과;
    상기 역세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역세척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여과유닛의 역세척시 상기 여과전공간부의 바닥에 쌓인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침전물회수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여과유닛은 상기 격벽보다 높게 형성되며 다수의 통수홀들이 형성되고 내부가 빈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를 제 1필터부와 제 2필터부의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공판과, 상기 제 1필터부에 충진되며 10 내지 50메쉬 입도크기로 분쇄된 패각조각으로 이루어진 비다공성 여재들과, 상기 제 2필터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필터부의 역세척시 상기 제 1필터부로부터 탈리된 오염물이 처리수 중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공극이 20 내지 100㎛ 크기인 판상의 섬유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격벽을 향하여 벌어진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싱과 상기 격벽 사이에 상기 여과전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필터부는 상기 다공판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필터부는 상기 다공판의 후면에 위치하며,
    상기 격벽을 월류하여 상기 여과전공간부로 유입된 우수는 상기 제 1필터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비다공성 여재들에 의해 1차로 여과된 후 상기 다공판을 통과하고, 상기 다공판을 통과 후 상기 제 2필터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섬유필터에 의해 2차로 여과되어 상기 여과후공간부로 유입되고,
    상기 역세척수단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어 상기 여과공간부로 연장되는 메인공급관과, 상기 메인공급관에서 다수가 분기되어 상기 제 1필터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다공성 여재로 공기를 분출시키는 폭기관들을 구비하고,
    상기 침전물회수유닛은 상기 메인공급관과 연결되는 벤츄리관과, 상기 벤츄리관과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을 통해 침전물이 유입되는 회수조와, 상기 벤츄리관의 축소경부와 연결되어 상기 여과전공간부의 바닥에 위치하는 흡입시라우드와, 상기 흡입시라우드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여과전공간부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흡입시라우드의 흡입구를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필터부의 역세척시 상기 비다공성 여재들에 진동을 가하기 위한 진동부여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여수단은 상기 다공판의 전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비다공성 여재들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판과, 상기 다공판과 연결되어 상기 다공판을 상하로 왕복이동시키는 진동발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다공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캠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20150151392A 2015-10-29 2015-10-29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831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392A KR101831961B1 (ko) 2015-10-29 2015-10-29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392A KR101831961B1 (ko) 2015-10-29 2015-10-29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180A KR20170050180A (ko) 2017-05-11
KR101831961B1 true KR101831961B1 (ko) 2018-02-23

Family

ID=58741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392A KR101831961B1 (ko) 2015-10-29 2015-10-29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9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3325B (zh) * 2018-06-01 2020-11-10 安徽智时代科技有限公司 一种市政排水系统
CN108755899B (zh) * 2018-06-01 2020-11-10 安徽智时代科技有限公司 市政排水系统
CN108755904B (zh) * 2018-06-01 2020-12-01 安徽智时代科技有限公司 一种市政排水系统
KR102152943B1 (ko) * 2018-12-21 2020-09-07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수처리시설
CN109626640A (zh) * 2018-12-24 2019-04-16 扬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高效水处理设备
KR102222106B1 (ko) * 2020-11-20 2021-03-03 주식회사 프라미스그린 역세척 장치를 포함한 오염원처리장치
CN112717494A (zh) * 2020-12-22 2021-04-30 新疆碧水源环境资源股份有限公司 一种方便组装的污水处理装置
KR102375964B1 (ko) * 2020-12-29 2022-03-18 주식회사 프라미스그린 전처리 스크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오염원처리장치
CN114164910A (zh) * 2021-11-15 2022-03-11 高邮市恒立液压成套设备有限公司 一种避免堵塞可降低水体污染的一体化智能截污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563B1 (ko) * 2003-07-28 2005-09-06 이인남 우수여과장치
KR101425770B1 (ko) * 2014-05-08 2014-08-05 (주) 일신네이쳐 수평흐름식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563B1 (ko) * 2003-07-28 2005-09-06 이인남 우수여과장치
KR101425770B1 (ko) * 2014-05-08 2014-08-05 (주) 일신네이쳐 수평흐름식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180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961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668618B1 (ko) 경사판 침전 및 섬유상여재의 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0987316B1 (ko)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 방법
KR101412689B1 (ko)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419909B1 (ko) 침전 및 여과방식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614687B1 (ko) 우수 정화처리장치에 설치되는 더블유형 스크린장치
KR101020864B1 (ko) 도심지역의 침전 유도형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WO2006125168A2 (en) Systems for the removal of solids from fluid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736743B1 (ko)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KR101181863B1 (ko) 무인 자동 제어가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JP4521614B2 (ja) 重力式ろ過装置
KR101547484B1 (ko) 스월 장치와 여재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2291828B1 (ko) 이동형 정수처리장치
KR100807192B1 (ko) 와류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516951B1 (ko) 건축물 우수배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846421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2143796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JPH0999203A (ja) 雨水および/または排水の処理方法
KR101036944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760902B1 (ko) 블록식 결합형태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101560158B1 (ko) 역세척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2375964B1 (ko) 전처리 스크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오염원처리장치
KR20110043346A (ko) 관로형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0896056B1 (ko) 우수 처리장치
KR102230225B1 (ko)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