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689B1 -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689B1
KR101412689B1 KR1020140020535A KR20140020535A KR101412689B1 KR 101412689 B1 KR101412689 B1 KR 101412689B1 KR 1020140020535 A KR1020140020535 A KR 1020140020535A KR 20140020535 A KR20140020535 A KR 20140020535A KR 101412689 B1 KR101412689 B1 KR 101412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tank
unit
stagna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Priority to KR1020140020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8Combined upward and downward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5Float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4Combinations of filters with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38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165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of synthetic origi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Abstract

본 발명은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여재의 세척이 가능하여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우수가 유입되지 않을 때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내부에 남아있는 정체수를 배출할 수 있는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filtering media washing and stagnant water discharge}
본 발명은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여재의 세척이 가능하여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우수가 유입되지 않을 때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내부에 남아있는 정체수를 배출할 수 있는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지역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별된다. 이 중 비점오염원은 강우시 지표면에 노출된 오염물질이 우수에 쓸려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오염원으로 강우 초기에 유출량이 집중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원이 공공수역으로 유입되어 될 경우 하천 및 호소의 오염을 유발시키며 또 지하로 침투되어 지하수자원의 오염을 유발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초기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은 정화 및 정수 과정을 거쳐 배출 수역으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에 초기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종래의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대략 인공습지 등의 저류형, 여과조 등의 여과형, 스월(Swirl) 처리장치 등의 장치형 등 다양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등이 있으며, 이들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각각 장단점을 가진다.
상기 저류형은 설비면적이 크게 요구되는 점에서 도심지역에 적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있어, 도심지역에 적용되고 있는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주로 원심력을 이용하는 와류방식(Swirl 처리방식)과 여과에 의해 처리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며, 이들 초기우수 처리방치의 처리효율은 각 처리장치마다 일정한 효율을 가지나, 유량 및 농도 변화가 큰 강우에 의한 비점오염원에 대해 탄력적인 처리효율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종래의 와류 방식은 침전물질은 제거가 가능하나 부유물질의 제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강우로 인해 반응조 내조 초기 우수가 유입될 경우 그동안의 강우로 인해 축척된 침전물이 와류를 통해 재부상하여 반응조를 빠져나감에 따라 이로 인한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여과방식은 스월방식에 비하여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급속침전이 어렵기 때문에 장치의 소요용량이 크고, 초기우수가 유입될 때 기존의 침전물이 재부상하는 문제점이 여전하므로 이로 인해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20864호에는 도심지역의 침전 유도형 비점오염원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는 침전과 여과방식을 혼용하여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처리수가 배출되는 방류관이 모두 처리장치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가 그쳐 유입관으로 우수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 처리장치 내에 많은 양의 우수가 머물러 있는다. 이러한 정체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패하거나 유해 해충의 발생지로 변할 수 있고, 차기 강우시 유입되는 우수 중의 초기 오염물질이 침전되지 못해 처리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카트리지 내에 구비된 여재들을 세척할 수 있는 기술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여과기능과 처리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여재의 세척이 가능하여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우수가 유입되지 않을 때 장치 내부에 남아있는 정체수를 배출할 수 있는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는 상부에 설치된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 중의 이물질을 침전시켜 분리하는 침전부와; 상기 침전부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침전부로부터 유출되는 우수를 유동상 여재가 수용된 여재수용실로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여재수용실을 통과하여 여과처리된 우수가 유입되는 저류부와; 상기 저류부에 유입된 우수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저류부의 상부에 설치된 방류관과; 상기 유입관을 통한 우수의 유입이 중단되면 상기 여과부 및 상기 침전부에 정체된 우수를 여과하여 지중으로 배출하는 정체수배출수단과; 상기 저류부에 정체된 우수를 상기 여과부로 역이송시키면서 상기 여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기 위해 상기 저류부에 정체된 우수를 상기 여과부로 분사하는 역이송부와; 상기 여재수용실의 하부에서 공기를 분출시켜 상기 여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는 폭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전부는 상기 유입관이 설치된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하단이 상기 침전조의 바닥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배플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부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여과조로 유입된 우수가 하향류를 형성하는 제 1공간부 및 상기 제 1공간부에서 우수가 유입되어 상향류를 형성하는 제 2공간부로 구획하는 격판을 구비하고, 상기 여재수용실은 상기 제 2공간부의 상부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체수배출수단은 상기 침전부와 상기 여과부를 구획하는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여과부에 정체된 우수가 상기 침전부로 유입되는 제 1배수로와, 상기 제 1배수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 1배수로를 개폐하는 제 1개폐부재와, 상기 여과부의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침전부에 정체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제 2배수로가 형성된 배출조와, 상기 제 2배수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 2배수로를 개폐하는 제 2개폐부재와, 상기 제 2배수로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조 내부로 연장되는 살수관과, 상기 살수관을 통해 상기 배출조로 유입된 정체수를 여과하기 위해 상기 배출조에 설치되는 필터링부와, 상기 필터링부에 설치되어 하부가 지중으로 연결되며 상기 필터링부를 통과한 정체수가 유입되는 유공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이송부는 상기 저류부에 설치된 펌프와, 상기 여재수용실의 상방에 설치되는 분사관과, 일측이 상기 펌프의 토출구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분사관에 연결되는 연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상 여재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하며 비중 0.4 내지 0.8이고, 10 내지 50PPI의 기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배출조의 바닥에 모래와 담체를 10:0.5~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깔아 형성한 제 1필터층과, 상기 제 1필터층 위에 잔 자갈을 깔아 형성한 제 2필터층과, 상기 제 2필터층 위에 굵은 자갈을 깔아 형성한 제 3필터층을 구비하고,
상기 담체는 펄라이트 40 내지 80중량%, 생석회 10 내지 30중량%, 황토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동상 여재에 폭기를 시키거나 정체수를 분사하여 여재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세척이 가능하여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우수가 유입되지 않을 때 장치 내부에 남아있는 정체수를 지중으로 여과하여 배출할 수 있으므로 정체수로 인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는 산업단지 조성, 공항의 건설, 관광단지의 개발, 산지의 개발 등 개발사업의 공사 중 또는 완료 후 발생하는 비점오염사업장 또는 각종 오염물질이 쌓인 도로나 지면 등의 지표면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는 크게 침전부와, 여과부와, 저류부와, 정체수배출수단과, 역이송부와, 폭기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는 침전부에서 우수 중의 토사류, 조대협잡물 등 비교적 입자가 큰 고형 이물질을 침전시켜 분리하고, 여과부에서 침전처리된 우수 중의 미세 고형 이물질이나 부유물질을 여과와 흡착방식에 의해 처리한다. 여과부에서 여과처리된 우수는 저류부로 유입되어 체류하다가 방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침전부는 침전조(10)와, 침전조(10)의 내부에 설치된 배플판(15)을 구비한다.
침전조(10)는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다. 침전조(10)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침전조(10)의 측벽 상부측에 유입관(11)이 설치된다.
배플판(15)은 침전조(10)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배플판(15)의 하단은 침전조(10)의 바닥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배플판(15)은 유체의 흐름을 완화시키고 이물질의 침강성을 향상시킨다.
강우시 유입관(11)을 통해 침전조(10)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 중의 비교적 비중이 큰 이물질인 흙, 모래, 중금속 등은 침전조(10)의 바닥으로 침전되고, 비중이 작은 이물질인 부유물, 오일 등은 우수 중에 섞여 여과부로 유입된다.
여과부는 침전조(10)로부터 유출되는 우수를 유동상 여재(27)가 수용된 여재수용실로 통과시켜 잔존 이물질을 제거한다.
여과부는 여과조(20)와, 여과조 내부를 제 1공간부와 제 2공간부로 구획하는 격판(21)과, 유동상 여재(27)가 수용된 여재수용실로 이루어진다.
여과조(20)는 침전조(10)의 후단에 설치된다. 여과조(20)와 침전조(10)는 격벽(19)에 의해 구분된다. 격벽(19)에는 우수가 침전조(10)에서 여과조(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우수이동홀(18)이 형성된다. 우수이동홀(18)에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린이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여과조(20)의 상면은 침전조(10)의 상면과 동일하지만, 여과조(20)의 바닥(29)은 침전조(10)의 바닥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는 여과조(20)에 남아있는 정체수가 후술할 제 1배수로를 통해 침전조(10)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격판(21)은 여과조(20)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여과조(20) 내부를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즉, 격판(21)은 우수이동홀(18)을 통해 유입된 우수가 하향류를 형성하는 제 1공간부(31) 및 제 1공간부(31)에서 우수가 유입되어 상향류를 형성하는 제 2공간부(33)로 구획한다. 격벽(21)의 하부에는 제 1공간부(31)에서 제 2공간부(33)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연결홀(22)이 형성된다.
유동상 여재(27)가 수용된 여재수용실은 제 2공간부(33)의 상부측에 설치된다. 여재수용실은 유동상 여재(27)의 유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상부망체(23)와 하부망체(25)로 이루어진다. 상부 및 하부망체(23)(25)는 유동상 여재(27)의 통과는 차단하고 우수는 통과시킬 수 있도록 망 구조로 이루어진다.
유동상 여재(27)는 상부망체(23)와 하부망체(25) 사이에 수용된다. 유동상 여재(27)는 상부망체(23)와 하부망체(25)에 의해 한정된 공간에서 유동을 하면서 우수를 여과처리한다. 또한, 유동상 여재(27)는 흡착능력이 우수하여 콜로이드성 부유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유동상 여재(27)에는 미생물을 고정시켜 이용할 수 있다.
유동상 여재(27)는 표면적이 넓어야 하고 물의 흐름에 따라 유동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유동상 여재(27)는 비중이 0.4 내지 0.8로 가볍고, 10 내지 50PPI(pores per inch)의 기공을 갖는 다공 구조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유동상 여재의 소재로 가볍고 다공구조를 갖는 망상형의 폴리우레탄 폼이 적절하다.
유동상 여재(27)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령 구형, 타원형, 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예와 달리 여재수용실은 다수의 단위 카트리지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단위 카트리지는 사각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위 카트리지 내부에 유동상 여재가 수용될 수 있다. 단위 카트리지는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망체로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여재수용실을 통과하면서 여과처리된 우수는 저류부(50)로 유입된다. 이를 위해 여과조(20)와 저류부를 구분하는 격벽(40)의 상부측에 우수이동홀(45)이 형성된다. 저류부(50)의 바닥은 여과조(20)의 바닥보다는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침전조(10)의 바닥과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저류부(50)에 유입된 우수는 방류관(5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방류관(55)은 저류부(50)의 측벽 상부측에 마련된다. 따라서 저류부(50)에 유입된 우수의 수위가 방류관(55)의 높이까지 도달하여야 외부로 배출이 가능하다.
한편, 유동상 여재(27)의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여재를 역세할 수 있는 세척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폭기부와 역이송부를 구비한다.
폭기부는 여재수용실의 하부에서 공기를 분출시켜 유동상 여재(27)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킨다.
이물질을 탈리시키기 위한 폭기부의 일 예로 공기압축기(80)와, 공기압축기(80)와 연결되어 여과조(20) 내부로 연장되는 공기공급관(83)과, 공기공급관(83)에 설치되어 여재수용실로 공기를 분사하는 산기관(85)을 구비한다.
산기관(85)은 하부망체(25)와 하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산기관(85)은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산기관(85)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는 유동상 여재(27)와 충돌하여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킨다.
역이송부는 저류부(50)에 정체된 우수를 여과조(20)의 내부로 분사하여 유동상 여재(27)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킨다. 이러한 역이송부는 여재의 세척 기능과 함께 저류부에 정체된 우수를 여과조로 역이송시키는 기능을 한다.
역이송부의 일 예로 저류부(50)에 설치된 펌프(90)와, 여재수용실의 상방에 설치되는 분사관(95)과, 일측이 펌프(90)의 토출구와 연결되고 타측이 분사관(95)에 연결되는 연결관(93)을 구비한다.
저류부(50)에 정체되어 있는 정체수를 펌핑하기 위해 저류부(50)의 바닥에 펌프(90)가 설치된다. 분사관(95)은 연결관(93)과 연결되어 여재수용실의 상방에 설치된다. 분사관(95)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의 정체수는 유동상 여재(27)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탈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는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과 처리된 우수가 배출되는 방류관(55)이 모두 상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가 그쳐 유입관으로 우수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장치 내에 많은 양의 우수가 머물러 있는다. 이와 같이 유입관(11)으로 우수가 유입되지 않을 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내부에 남아있는 우수를 정체수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정체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패하거나 유해 해충의 발생지로 변할 수 있고, 차기 강우시 유입되는 우수 중의 초기 오염물질이 침전되지 못해 처리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비가 자주 오지 않는 시기에는 정체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유입관(11)을 통한 우수의 유입이 중단되면 침전조, 여과조, 저류부에 정체된 우수를 여과하여 지중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류부(50)의 정체수는 역이송부를 통해 여과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여과부와 침전부의 정체수는 정체수배출수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에 적용된 정체수배출수단의 일 예로 격벽(19)에 형성된 제 1배수로와, 제 1배수로에 설치되어 제 1배수로를 개폐하는 제 1개폐부재(101)와, 여과조(20)의 하방에 설치된 배출조(60)와, 제 2배수로에 설치되어 제 2배수로를 개폐하는 제 2개폐부재(105)와, 제 2배수로와 연결되어 배출조(60) 내부로 연장되는 살수관(65)과, 정체수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링부(70)와, 필터링부(70)에 설치되어 하부가 지중으로 연결되는 유공관(67)을 구비한다.
제 1배수로는 여과조(20)의 바닥(29)과 근접하도록 격벽(19)에 형성된다. 따라서 침전조(10)의 정체수 수위가 낮아지면 여과조(20)의 정체수가 제 1배수로를 통해 침전조(10)로 흐른다. 제 1개폐부재(101)는 제 1배수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기능을 한다. 제 1개폐부재(101)는 제 1배수로를 개폐할 수 있으면 다양한 예로 구현이 가능하다. 가령, 제 1개폐부재(101)로 통상적인 밸브나 수문이 이용될 수 있다.
배출조(60)는 여과조(20)의 하방에 설치된다. 배출조(60)의 바닥은 침전조(10)의 바닥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다. 여과조와 침전조를 구분하는 격벽(19)에 의해 배출조(60) 역시 침전조(10)와 구분된다.
격벽(19)에는 침전조(10)에 정체된 우수가 배출조(6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 2배수로가 형성된다. 제 2배수로는 제 1배수로부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제 2배수로에는 제 2개폐부재(105)가 설치된다. 제 2개폐부재(105)는 제 2배수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기능을 한다. 제 2개폐부재(105)는 제 2배수로를 개폐할 수 있으면 다양한 예로 구현이 가능하다. 가령, 제 2개폐부재(105)로 통상적인 밸브나 수문이 이용될 수 있다.
살수관(65)은 제 2배수로와 연결되어 배출조(60) 내부로 연장된다. 살수관(65)에는 다수의 홀들이 형성된다. 제 2개폐부재(105)에 의해 제 2배수로가 개방되면 침전조(10)에 정체된 정체수가 살수관(65)을 통해 배출조(60) 내부로 살수된다.
배출조(60)의 내부에는 배출조(60) 내부로 유입된 정체수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링부(70)가 설치된다. 필터링부(70)는 입자의 크기가 다른 여재를 다층으로 적층하여 구성한다.
가령, 배출조(60)의 바닥에 모래와 담체를 혼합한 혼합물을 깔아 제 1필터층(71)을 형성하고, 제 1필터층 위에 잔 자갈을 깔아 제 2필터층(73)을 형성하고, 제 2필터층 위에 굵은 자갈을 깔아 제 3필터층(75)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필터층(71)을 구성하기 위한 혼합물은 모래 대 담체가 10:0.5~1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담체의 일 예로 펄라이트, 생석회, 황토를 혼합한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작한다. 펄라이트는 진주석을 1000 내지 1200℃로 소성하여 팽창시킨 것으로서, 가벼운 백색의 다공질체로 다수의 모세관 상을 갖는 다공성을 형성한다.
펄라이트 40 내지 80중량%, 생석회 10 내지 30중량%, 황토 10 내지 30중량%를 혼합한 조성물에 물을 첨가하여 반죽한 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한 다음 건조시켜 담체를 제작한다. 이러한 담체는 pH완충 역할과 함께 유기물 제거, 암모니아성 질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필터링부(70)에는 다수의 유공관(67)이 설치된다. 유공관(67)은 일정 간격으로 종 및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필터링부(70)에 매설된다. 유공관(67)은 상부는 막혀 있고 하부는 개방된 통형 구조를 갖는다. 유공관(67)은 필터링부(70)에 매설되어 하부가 배출조(60)의 바닥을 관통하여 지중으로 노출된다.
유공관(67)의 측면에는 다수의 관통홀(69)이 형성된다. 관통홀(69)은 측면 하부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공관(67)이 필터링부(70)에 매설된 상태에서 제 1필터층(71)과 대응되는 영역 및 지중으로 돌출되는 영역에 관통홀(69)이 형성된다.
살수관(65)을 통해 살수되는 정체수는 제 3, 제 2, 제 1필터층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유공관의 관통홀을 통해 유공관 내부로 유입된 다음 지중으로 배출된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비가 오면 우수가 유입관(11)을 통해 우수가 침전조(10)로 유입된다. 침전조(10)로 유입된 우수 중 비중이 큰 이물질인 흙, 모래, 중금속 등은 바닥으로 침전되고, 물보다 비중이 작은 이물질인 먼지, 오일 등은 우수와 섞여 여과조(20)로 유입된다.
여과조(20)로 유입된 우수 중의 미세 고형 이물질이나 부유물질은 여재수용실을 통과하면서 유동상 여재(27)에 의해 제거된다. 여과조(20)에서 여과처리된 우수는 저류부(50)로 유입되고 수위가 높아지면 방류관(5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비가 그치고 유입관(11)으로 우수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 폭기부를 작동시켜 고압의 공기를 여재수용실로 분사하여 여재(27)를 1차로 역세한다. 폭기부의 작동 후 제 1개폐부재(101)와 제 2개폐부재(105)를 개방시켜 침전조(10)의 정체수를 배출조(60)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여과조(20)의 정체수를 침전조(10)로 유입시킨다.
이와 함께 역이송부를 작동시켜 여재(27)에 저류부(50)의 정체수를 분사하여 여재를 역세함과 동시에 저류부(50)의 정체수를 여과부로 역이송시킨다.
살수관(65)을 통해 배출조(60)로 살수된 정체수는 제 3, 제 2, 제 1필터층으로 이루어진 필터링부(70)을 통과한 후 유공관(67)의 관통홀(69)을 통해 유공관(67) 내부로 유입된다. 유공관 내부로 유입된 정체수는 지중으로 배출된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침전조 11: 유입관
19: 격벽 20: 여과조
21: 격판 23: 상부망체
25: 하부망체 27: 유동상 여재
50: 저류부 55: 방류관
60: 배출조 67: 유공관
70: 필터링부

Claims (7)

  1. 상부에 설치된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 중의 이물질을 침전시켜 분리하는 침전부와;
    상기 침전부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침전부로부터 유출되는 우수를 유동상 여재가 수용된 여재수용실로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여재수용실을 통과하여 여과처리된 우수가 유입되는 저류부와;
    상기 저류부에 유입된 우수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저류부의 상부에 설치된 방류관과;
    상기 유입관을 통한 우수의 유입이 중단되면 상기 여과부 및 상기 침전부에 정체된 우수를 여과하여 지중으로 배출하는 정체수배출수단과;
    상기 저류부에 정체된 우수를 상기 여과부로 역이송시키면서 상기 여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기 위해 상기 저류부에 정체된 우수를 상기 여과부로 분사하는 역이송부와;
    상기 여재수용실의 하부에서 공기를 분출시켜 상기 여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는 폭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체수배출수단은 상기 침전부와 상기 여과부를 구획하는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여과부에 정체된 우수가 상기 침전부로 유입되는 제 1배수로와, 상기 제 1배수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 1배수로를 개폐하는 제 1개폐부재와, 상기 여과부의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침전부에 정체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제 2배수로가 형성된 배출조와, 상기 제 2배수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 2배수로를 개폐하는 제 2개폐부재와, 상기 제 2배수로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조 내부로 연장되는 살수관과, 상기 살수관을 통해 상기 배출조로 유입된 정체수를 여과하기 위해 상기 배출조에 설치되는 필터링부와, 상기 필터링부에 설치되어 하부가 지중으로 연결되며 상기 필터링부를 통과한 정체수가 유입되는 유공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부는 상기 유입관이 설치된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하단이 상기 침전조의 바닥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배플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여과조로 유입된 우수가 하향류를 형성하는 제 1공간부 및 상기 제 1공간부에서 우수가 유입되어 상향류를 형성하는 제 2공간부로 구획하는 격판을 구비하고,
    상기 여재수용실은 상기 제 2공간부의 상부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이송부는 상기 저류부에 설치된 펌프와, 상기 여재수용실의 상방에 설치되는 분사관과, 일측이 상기 펌프의 토출구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분사관에 연결되는 연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상 여재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하며 비중 0.4 내지 0.8이고, 10 내지 50PPI의 기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배출조의 바닥에 모래와 담체를 10:0.5~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깔아 형성한 제 1필터층과, 상기 제 1필터층 위에 잔 자갈을 깔아 형성한 제 2필터층과, 상기 제 2필터층 위에 굵은 자갈을 깔아 형성한 제 3필터층을 구비하고,
    상기 담체는 펄라이트 40 내지 80중량%, 생석회 10 내지 30중량%, 황토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20140020535A 2014-02-21 2014-02-21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412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535A KR101412689B1 (ko) 2014-02-21 2014-02-21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535A KR101412689B1 (ko) 2014-02-21 2014-02-21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689B1 true KR101412689B1 (ko) 2014-06-27

Family

ID=51134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535A KR101412689B1 (ko) 2014-02-21 2014-02-21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68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617A (ko) * 2014-07-28 2016-02-05 씨에스이(주)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시설 및 그를 이용한 배수제어시스템
KR20160028071A (ko) * 2014-09-02 2016-03-11 (주)워터소루션텍 우수 처리 장치
KR20160055998A (ko) * 2014-11-11 2016-05-19 유한회사 장성이엔티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
KR101638563B1 (ko) * 2015-10-23 2016-07-11 주식회사 에코스타 비점오염처리시설, 중대형 비점오염처리시설에 적합한 다단 복합 역세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다단 복합 역세 방법
KR101700931B1 (ko) * 2015-12-15 2017-01-31 조성범 스크린과 섬유볼 여재의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833213B1 (ko) 2017-02-01 2018-03-02 효림산업주식회사 저에너지형 여과장치 및 이의 운전방법
KR102562753B1 (ko) * 2022-06-07 2023-08-02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고속 응집 침전 여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수처리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567B1 (ko) * 2011-12-16 2012-06-28 조영철 유동상 여재를 이용한 여과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우수 정화장치
KR101288331B1 (ko) * 2013-02-13 2013-07-22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부상여재를 이용한 자동역세 비점오염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567B1 (ko) * 2011-12-16 2012-06-28 조영철 유동상 여재를 이용한 여과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우수 정화장치
KR101288331B1 (ko) * 2013-02-13 2013-07-22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부상여재를 이용한 자동역세 비점오염처리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617A (ko) * 2014-07-28 2016-02-05 씨에스이(주)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시설 및 그를 이용한 배수제어시스템
KR101661997B1 (ko) * 2014-07-28 2016-10-04 씨에스이(주)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시설 및 그를 이용한 배수제어시스템
KR20160028071A (ko) * 2014-09-02 2016-03-11 (주)워터소루션텍 우수 처리 장치
KR101637562B1 (ko) * 2014-09-02 2016-07-07 주식회사 워터솔루션텍 우수 처리 장치
KR20160055998A (ko) * 2014-11-11 2016-05-19 유한회사 장성이엔티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
KR101632166B1 (ko) * 2014-11-11 2016-06-21 유한회사 장성이엔티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
KR101638563B1 (ko) * 2015-10-23 2016-07-11 주식회사 에코스타 비점오염처리시설, 중대형 비점오염처리시설에 적합한 다단 복합 역세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다단 복합 역세 방법
KR101700931B1 (ko) * 2015-12-15 2017-01-31 조성범 스크린과 섬유볼 여재의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833213B1 (ko) 2017-02-01 2018-03-02 효림산업주식회사 저에너지형 여과장치 및 이의 운전방법
KR102562753B1 (ko) * 2022-06-07 2023-08-02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고속 응집 침전 여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수처리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689B1 (ko)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700931B1 (ko) 스크린과 섬유볼 여재의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US10927538B2 (en) In-line partitioned separator storm water drain treatment system with upflow filter
US7632403B2 (en) Liquid filtration system
KR101555257B1 (ko) 부상성 입상여재를 이용한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831961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741449B1 (ko) 유량 조정 및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초기 강우 유출수의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1601488B1 (ko)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0904177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0605267B1 (ko) 우수처리장치
KR101419909B1 (ko) 침전 및 여과방식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874063B1 (ko) 스크린과 여재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812917B1 (ko) 정체수 여과조가 추가된 동력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725047B1 (ko) 비점오염원 처리 장치
KR101547484B1 (ko) 스월 장치와 여재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334884B1 (ko)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KR101527005B1 (ko) 오염수 정화장치
KR101580859B1 (ko) 우·오수 및 빗물 재이용 여과형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와 역세 방법
KR100955098B1 (ko)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KR100516951B1 (ko) 건축물 우수배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353280B1 (ko) 여재카트리지를 결합한 모듈식 침투도랑
JPH0999203A (ja) 雨水および/または排水の処理方法
KR101067699B1 (ko) 와류와 여과기능을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US20150258472A1 (en) Partitioned Separator Water Treatment System with Upflow Filter
KR101036944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