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5998A -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5998A
KR20160055998A KR1020140155803A KR20140155803A KR20160055998A KR 20160055998 A KR20160055998 A KR 20160055998A KR 1020140155803 A KR1020140155803 A KR 1020140155803A KR 20140155803 A KR20140155803 A KR 20140155803A KR 20160055998 A KR20160055998 A KR 20160055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tank
construction waste
wet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2166B1 (ko
Inventor
최성규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장성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장성이엔티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장성이엔티
Priority to KR1020140155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166B1/ko
Publication of KR20160055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7/00Combinations of wet processes or apparatus with other processes or apparatus, e.g. for dressing ores or garbage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에 사용되는 물을 정류하여 순환-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지상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 작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집수조 하부에 설치되는 저류-정수조로서,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일측벽 상부에 제1필터가 구비된 침전조; 상기 침전조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필터가 구비된 방향의 벽에 제2필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2필터가 구비된 벽 이외의 다른 벽에 제3필터가 구비된 정수부; 상부는 상기 제1필터와 연통하고 하부는 상기 제2필터와 연통하도록 상기 침전조 및 정수부 외측에 형성된 유로부; 및 하부가 상기 제3필터와 연통된 저류;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저류조 내에 펌프가 배치되고, 상기 펌프에서 연결된 급수관이 상기 집수조로 이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Reservoir-integer tank of construction wastes wet s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에 사용되는 물을 정류하여 순환-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지상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 작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축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에 대해서는 실용신안등록 제136229호(명칭:건축폐기물을 위한 분류기)와 실용신안등록 제219306호(명칭:건축폐기물의 재활용 골재생산을 위한 처리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136229호의 기술적 요지는 물이 담겨지는 집수조의 전방 상부로 건축폐기물이 투입되고, 건축폐기물이 투입되는 반대방향으로는 일측이 집수조의 내부의 물속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향경사지게 침강 배출콘베어가 설치되어 물속으로 가라앉는 골재나 폐콘크리트 덩어리가 얹혀서 배출되고, 침강 배출콘베어와 직각방향으로는 집수조의 수면으로 부유하는 종이나 비닐, 폐스티로폼 조각등의 부유물을 걷어내는 부유물 배출콘베어가 설치되며, 집수조의 바닥에는 집수조의 바닥면에 침전되는 슬러지형태의 침전물을 배출하는 무단순환체인이 콘베어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무단순환체인은 집수조바닥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와 이어서 경사지게 상향 설치되는 경사부로 이루어져 집수조의 바닥면에 침전되는 침전물을 무단순환체인에 설치된 스크레이퍼로서 긁어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용신안등록 제136229호 기술은 자갈이나 콘크리트조각들과 같이 물속으로 가라앉을 수 있는 물체는 물속으로 가라앉으면서 침강물 배출콘베어에 실려서 외부로 배출되고, 비닐이나 스티로폼 조각들과 같이 물위에 뜰 수 있는 물체는 스스로의 비중에 의해 물위로 뜨면 배출브러쉬가 설치된 부유물 배출콘베어로서 걷어내는 것이나, 비닐이나 스티로폼 조각과 같이 물위로 뜨는 부유물체가 부유물 배출콘베어측으로 모아지지 않아서 부유물체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실용신안등록 제219306호의 기술적 요지는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136229호 기술에 부유물이 수면 위로 쉽게 떠오르도록 집수조의 내부에 노즐을 구비한 워터포켓을 부가한 것으로, 이러한 후자의 출원건의 경우에 물속에 잠겨지게 설치된 워터포켓의 노즐에서 물을 상측으로 분사시켜서 토사등의 무거운 침강물체와 함께 물속으로 침강하는 비닐이나 스티로폼 조각들과같은 부유물이 상측으로 쉽게 떠 오르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실용신안등록 제219306호 기술의 경우 상기 워터포켓에 의해 부유물이 수면으로 신속하게 떠올라 침강물체와 부유물체와의 분류작업이 실용신안등록 제136229호 기술 보다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는 하였으나, 부유물을 부유물 배출콘베어 측으로 신속하게 이송시키는 수단이 없어서 부유물이 수면위에 떠 있기는 하나, 부유물을 신속하게 배출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위의 두 가지 기술 모두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 외에 또 다른 공통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는데, 그 문제점은 건축폐기물에서 자갈이나 토사와 같이 무거워서 침강하는 침강물과, 비닐이나 스티로폼과 같이 가벼워서 물 위로 뜨는 부유물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토사와 같이 입자가 작은 침강물은 집수조의 내면에 쌓이게 되는데, 이 2건의 기술은 집수조의 바닥에 슬러지 형태의 침전되는 침전물을 무단순환체인으로서 긁어내어 배출시킬 수 있으나, 바닥면 양측의 경사진 면에 쌓이는 침전물은 제거할 수 없어서 부유물에 토사가 많이 묻어나오고 침강물의 분리가 제대로 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었다.
등록특허 제0422340호(명칭 : 건축폐기물 습식 분류장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집수조의 수면 위에는 수면 위로 뜨는 부유물을 부유물 배출콘베어측으로 모아 주면서 이송시키는 부유물이송배관을 설치하면서, 집수조의 수중에는 집수조의 내면으로 물을 분사시켜 침전물을 청소하는 청소배관을 설치하며, 집수조의 하단에는 스크류식으로 슬러지형태의 침전물을 배출하는 나선형의 스크류콘베어를 설치하여 부유물의 배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집수조의 내부가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등록특허 제0422340호는 하방이 호퍼형으로 형성된 집수조의 하방에 스크류콘베어가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수평 설치되고, 펌프로부터 물을 집수조로 공급하는 급수관은 세가닥으로 분기되어 각각이 밸브가 설치된 1차공급관과, 청소배관과, 부유물이송배관이 구비되며, 상기 청소배관은 집수조의 수중 내부에 "ㄷ"자 형태로 설치되며 다수의 노즐이 집수조의 내부면으로 물을 분사토록 설치되고, 상기 부유물이송배관은 집수조의 수면 상부에 설치되며, 급수관에서 분기된 단부에 설치되는 1차부유물이송배관과 1차부유물이송배관에서 분기되는 2차부유물이송배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1차부유물이송배관의 단부는 부유물배출콘베어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그 단부에는 부유물배출콘베어 측으로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이 부유물배출콘베어 측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2차부유물이송배관의 단부는 진동선별기가 설치된 쪽에 설치되며 노즐이 설치된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다수의 노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실용신안등록 제136229호 "건축폐기물을 위한 분류기" 2. 실용신안등록 제219306호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골재생산을 위한 처리장치" 3. 등록특허 제0422340호 "건축폐기물 습식 분류장치"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습식 분류를 위한 것으로서, 건축폐기물 세척에 사용되는 물을 순환식으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수기능 및 저류조에 침강되는 침전물 중 물에 뜨는 경량물질을 최대한 분리해낼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조정수-저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집수조(1) 하부에 설치되는 저류-정수조로서,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일측벽 상부에 제1필터(F1)가 구비된 침전조(110); 상기 침전조(11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필터(F1)가 구비된 방향의 벽에 제2필터(F2)가 구비되고, 상기 제2필터(F2)가 구비된 벽 이외의 다른 벽에 제3필터(F3)가 구비된 정수부(120); 상부는 상기 제1필터(F1)와 연통하고 하부는 상기 제2필터(F2)와 연통하도록 상기 침전조(110) 및 정수부(120) 외측에 형성된 유로부(130); 및 하부가 상기 제3필터(F3)와 연통된 저류조(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저류조(140) 내에 펌프(5)가 배치되고, 상기 펌프(5)에서 연결된 급수관이 상기 집수조(1)로 이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100)」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수부(120)는 상기 제2필터(F2)와 제3필터(F3)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격벽에는 제2-1필터(F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100)」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수부(120)에는 여과재(미도시)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100)」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류조(140)의 일측벽 상부에 연통하도록 결합된 우수관(15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100)」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는 제4필터(F4)에 의해 상기 우수관(150)과 연통하고, 하부는 제5필터(F5)에 의해 상기 저류조(140)와 연통하도록 구성된 우수로(16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100)」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류조(140)에는 수위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우수관(150)에는 댐퍼(151)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수위감지센서가 기 설정된 한계수위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댐퍼(151)가 우수관(150)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100)」를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류조에서 건축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집수조로 물이 공급될 때 물에 섞여 있는 이물질에 의해 급수관이 폐색되는 문제가 발생 없이 지속적으로 순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우수관 및 우수로의 구성에 의해 빗물을 건축폐기물 습식 분류 작업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등록특허 10-0422340이 제공하는 "건축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저류-정수조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저류-정수조가 건축폐기물 습식 분류장치 하부에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건축폐기물 습식 분류장치는 월류벽(2)을 기준하여 양측에 1,2차침전조(3,4)의 상부에 상부가 개방된 집수조(1)가 설치되며, 상기 집수조(1)에는 2차침전조(4)에 받혀진 물을 펌프(5)를 통하여 공급하여 집수조(1)의 내부에 물이 채워지게 되고, 집수조(1)의 상부 일측에는 수위조절센서(6)가 설치되어 집수조(1)의 내부에 항상 적정량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집수조(1)는 진동선별기(7)에서 선별된 건축폐기물이 투입되는 일측 상부에 건축폐기물의 투입을 안내하는 내부슈트(8)가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집수조(1)의 내부에는 내부슈트(8)를 통해 투입되는 건축폐기물 중의 무거운 물체가 수중에서 얹혀지게 되는 침강물배출콘베어(9)의 일측이 물속에 잠기고 타측이 상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이때 침강물배출콘베어(9)의 설치방향은 진동선별기(7)와 반대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슈트(8) 근방의 집수조(1) 일측에는 침강물배출콘베어(9)와 직각방향으로 집수조(1) 내의 수면 위에 뜬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유물배출콘베어(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집수조(1)의 타측 상부에는 집수조(1)에 채워진 물이 일정 수위를 넘으면 배출되는 월류수배출구(15)가 1차침전조(3)측으로 하향 설치되어 있으며 하방이 호평형으로 형성된 집수조(1)의 하방에는 1차침전조(3)쪽으로 침전물을 배출시키는 나선형 스크류콘베이어(16)가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수평설치되어 있다. 이상은 종래의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를 설명한 것이다.
위와 같은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에서 1차침전조(3)에 쌓이는 침전물 중에는 통상적으로 물에 뜨는 경량물질이 뒤섞여 함께 침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1차침전조(3)에서 2차침전조(4)로 월류된 물은 펌프(5)에 의해 펌핑되어 급수관(17)을 통해 집수조(1)의 청소 등에 재사용되는데, 이 물에 미세 부유물 등이 혼탁하게 혼합되어 있어 상기 급수관(17)이 폐색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도 1]의 1차침전조(3) 및 2차침전조(4)를 대체하는 조정수-저류(100)에 관한 것으로서,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저류-정수조(100)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저류-정수조가 건축폐기물 습식 분류장치 하부에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집수조(1) 하부에 설치되며, 크게 침전조(110), 정수부(120), 유로부(130) 및 저류조(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침전조(110)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일측벽 상부에 제1필터(F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침전조(110)는 본 발명 상부에 위치한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에서 배출되는 침전물을 수용한다. 상기 침전물은 물과 함께 낙하하여 상기 침전조(110) 바닥에 쌓이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침전물에는 통상적으로 물에 뜨는 경량물질이 뒤섞여 있으므로 상기 경량물질은 물에 떠 부유하게 된다.
상기 침전조(110)에 물이 차오르면 상기 제1필터(F1)를 통해 1차적으로 필터링 되면서 유로부(130)로 배출된다. 상기 제1필터(F1)에서 필터링된 각종 이물질은 상기 침전조(110)에 침전물과 함께 남아 후에 별도의 작업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유로부(130)로 배출된 물은 다시 제2필터(F2)를 통해 2차적으로 필터링 되면서 상기 침전조(110)의 하부에 형성된 정수부(120)로 유입된다. 상기 정수부(120)에 유입된 물은 상기 제2필터(F2)가 구비된 벽 이외의 다른 벽에 구비된 제3필터(F3)를 통해 3차적으로 필터링되면서 상기 저류조(140)에 유입된다.
상기 정수부(120)에서의 필터링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제2필터(F2)와 제3필터(F3)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을 구성하여 제1정수부(120a)와 제2정수부(120b)로 분절되도록 하고, 상기 격벽에는 제2-1필터(F2-1)가 구비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필터(F2)를 통해 상기 제1정수부(120a)로 유입된 물이 상기 제2정수부(120b)로 유출될 때 상기 제2-1필터(F2-1)를 거쳐 추가적으로 필터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F2), 제2-1필터(F2-1) 및 제3필터(F3)는 물의 흐름을 일 방향으로 유도하여 역류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필터 사이즈를 점차 작게 구성함으로써 이물질의 크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부(120)에는 여과재(미도시)를 충전함으로써 정수성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정수부(120)를 격벽에 의해 제1정수부(120a)와 제2정수부(120b)로 분절한 경우에는 상기 제2정수부(120b)에 충전되는 여과재가 상기 제1정수부(120a)에 충전되는 여과재보다 작게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축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에서 침전조(110)로 배출된 물이 최소한 3차례의 필터링을 거치면서 저류조(140)에 유입된 상태는 물 이외의 이물질이 최대한 제거되어 정수된 상태이고, 이렇게 정수된 물을 펌핑할 때에는 급수관(17) 폐색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저류조(140)의 일측벽 상부에 연통하도록 결합된 우수관(15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100)」를 함께 제공한다. 이에 따라 빗물을 건축폐기물 습식 분류 작업에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지상에서부터 흘러온 빗물에는 여러 가지 이물질이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빗물이 상기 우수관(150)에 유입되기 전에 이물질 제거를 위한 필터링을 거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빗물이 우수관(150)에서 별도로 마련된 우수로(160)를 거쳐 저류조(140)로 유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우수로(160)의 상부는 제4필터(F4)에 의해 상기 우수관(150)과 연통하고, 상기 우수로(160)의 하부는 제5필터(F5)에 의해 상기 저류조(140)와 연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빗물이 최소한 2단계의 필터링을 거쳐 저류조(140)에 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5필터(F5)는 물의 흐름을 일 방향으로 유도하여 역류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4필터(F4) 보다 상기 제5필터(F5)의 필터 사이즈를 작게 구성함으로써 이물질의 크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수로(160)에는 여과재(미도시)를 충전시킴으로써 빗물에 대한 정수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류조(140)에는 수위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우수관(150)에는 댐퍼(151)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수위감지센서가 기 설정된 한계수위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댐퍼(151)가 우수관(150)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100)」를 함께 제공한다.
상기 침전조(110), 유로부(130) 및 정수부(120)를 거쳐 저류조(140)에 유입되는 수량이 충분한 경우 또는 우수관(150)을 통한 빗물의 유입량이 이미 충분한 상황에서 빗물이 계속 공급되면, 상기 저류조(140)의 용량을 초과하게 된다. 이를 대비하여 별도의 월류관을 구성할 수도 있으나, 월류수가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위감지센서(미도시) 및 댐퍼(51)의 구성으로 저류조의 용량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저류조(140)의 수위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되, 기 설정된 한계수위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댐퍼(151)에 차단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댐퍼(151)에 의해 우수관(150)이 차단되어 더 이상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저류조(140) 내의 펌프(5)가 배수작용을 하여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상기 댐퍼(151)에 개방 신호가 전달되어, 댐퍼(51)가 열리면서 다시 빗물이 저류조(140)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전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 : 집수조 2 : 월류벽 3 : 1차침전조
4 : 2차침전조 5 : 펌프 6 : 수위조절센서
7 : 진동선별기 8 : 내부슈트 9 : 침강물배출콘베어
10 : 부유물배출콘베어 11 : 콘베어벨트 12 : 부유물수거판
13 : 유도슈트 14 : 배출슈트 15 : 월류수배출구
16 : 스크류콘베어 17 : 급수관 18 : 밸브
19 : 노즐 20 : 청소배관 21 : 1차부유물이송배관
22 : 밸브 23 : 노즐 24 : 2차부유물이송배관
25 : 노즐 26 : 부유물이송배관
100 : 저류-정수조 110 : 침전조 120 : 정수부
130 : 유로부 140 : 저류부 150 : 우수관
151 : 댐퍼 160 : 우수로
F1 : 제1필터 F2 : 제2필터 F3 : 제3필터
F4 : 제4필터 F5 : 제5필터

Claims (7)

  1.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집수조(1) 하부에 설치되는 저류-정수조로서,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일측벽 상부에 제1필터(F1)가 구비된 침전조(110);
    상기 침전조(11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필터(F1)가 구비된 방향의 벽에 제2필터(F2)가 구비되고, 상기 제2필터(F2)가 구비된 벽 이외의 다른 벽에 제3필터(F3)가 구비된 정수부(120);
    상부는 상기 제1필터(F1)와 연통하고 하부는 상기 제2필터(F2)와 연통하도록 상기 침전조(110) 및 정수부(120) 외측에 형성된 유로부(130); 및
    하부가 상기 제3필터(F3)와 연통된 저류조(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저류조(140) 내에 펌프(5)가 배치되고, 상기 펌프(5)에서 연결된 급수관이 상기 집수조(1)로 이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100).
  2. 제1항에서,
    상기 정수부(120)는 상기 제2필터(F2)와 제3필터(F3)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격벽에는 제2-1필터(F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100).
  3. 제1항에서,
    상기 정수부(120)에는 여과재(미도시)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1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저류조(140)의 일측벽 상부에 연통하도록 결합된 우수관(15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100).
  5. 제4항에서,
    상부는 제4필터(F4)에 의해 상기 우수관(150)과 연통하고, 하부는 제5필터(F5)에 의해 상기 저류조(140)와 연통하도록 구성된 우수로(16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100).
  6. 제4항에서,
    상기 우수로(160)에는 여과재(미도시)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100).
  7. 제4항에서,
    상기 저류조(140)에는 수위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우수관(150)에는 댐퍼(151)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수위감지센서가 기 설정된 한계수위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댐퍼(151)가 우수관(150)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100).
KR1020140155803A 2014-11-11 2014-11-11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 KR101632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803A KR101632166B1 (ko) 2014-11-11 2014-11-11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803A KR101632166B1 (ko) 2014-11-11 2014-11-11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998A true KR20160055998A (ko) 2016-05-19
KR101632166B1 KR101632166B1 (ko) 2016-06-21

Family

ID=56103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803A KR101632166B1 (ko) 2014-11-11 2014-11-11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1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4262A (zh) * 2020-06-15 2020-09-11 乐清众汇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五金电器零件分拣装置
CN112427136A (zh) * 2020-10-28 2021-03-02 河南能祥建筑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非金属矿深加工的分离提纯装置
BE1030128B1 (nl) * 2021-12-28 2023-07-26 Craenhals Metal Terminal Nv Werkwijze voor het aanvullen van water aan een flotatiestysteem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229B1 (ko) 1994-12-30 1998-07-01 이종수 프레스 금형
KR100219306B1 (ko) 1997-05-31 1999-09-01 오인제 봉선화 추출물 및 그의 추출방법
KR200331319Y1 (ko) * 2003-07-25 2003-10-23 (주식회사)문창 빗물저장탱크의 정수처리장치
KR100422340B1 (ko) 2001-12-26 2004-03-11 (주)거산기계 건축폐기물 습식 분류장치
KR20080048994A (ko) * 2008-02-21 2008-06-03 이득수 세륜기용 청정수 공급장치
KR101078773B1 (ko) * 2011-03-14 2011-11-02 주식회사 계룡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KR101412689B1 (ko) * 2014-02-21 2014-06-27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229B1 (ko) 1994-12-30 1998-07-01 이종수 프레스 금형
KR100219306B1 (ko) 1997-05-31 1999-09-01 오인제 봉선화 추출물 및 그의 추출방법
KR100422340B1 (ko) 2001-12-26 2004-03-11 (주)거산기계 건축폐기물 습식 분류장치
KR200331319Y1 (ko) * 2003-07-25 2003-10-23 (주식회사)문창 빗물저장탱크의 정수처리장치
KR20080048994A (ko) * 2008-02-21 2008-06-03 이득수 세륜기용 청정수 공급장치
KR101078773B1 (ko) * 2011-03-14 2011-11-02 주식회사 계룡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KR101412689B1 (ko) * 2014-02-21 2014-06-27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4262A (zh) * 2020-06-15 2020-09-11 乐清众汇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五金电器零件分拣装置
CN112427136A (zh) * 2020-10-28 2021-03-02 河南能祥建筑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非金属矿深加工的分离提纯装置
BE1030128B1 (nl) * 2021-12-28 2023-07-26 Craenhals Metal Terminal Nv Werkwijze voor het aanvullen van water aan een flotatiestyste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166B1 (ko) 201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0693C2 (ru) Бассейн-отстойник для очистных установок
US6676832B2 (en) Surface water purifying catch basin
KR101483316B1 (ko) 침사 분리 설비
CN102036731A (zh) 自行凝集功能的长方形沉淀系统
KR101214553B1 (ko) 합류식 하수 월류수 처리시스템
CN210409828U (zh) 一种混凝土实验室设备清洗污水沉降装置
KR100751534B1 (ko) 연속 침전여과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632166B1 (ko)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
CN107619122A (zh) 带集油回流装置的餐饮污水处理设备及其工作方法
JP2020062612A (ja) 上向流傾斜板沈砂槽
KR100422340B1 (ko) 건축폐기물 습식 분류장치
RU115776U1 (ru) Установка очистки ливневых стоков от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и взвешенных частиц
Shammas et al. Sedimentation
KR101038684B1 (ko) 다층 수평관 액체 침전장치
RU160712U1 (ru) Фильтрующий патрон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размещаемый в канализационном колодце
KR102081851B1 (ko) 스컴제거부를 구비한 선회류식 협잡물처리기
CN210357528U (zh) 一种固定式水力浮选机
KR101352690B1 (ko) 협잡물종합처리기
US2935201A (en) Removal of grit from sewage
CN207361916U (zh) 带集油回流装置的餐饮污水处理设备
WO1990011813A1 (en) Liquid processing apparatus, its continuous liquid processing apparatus and its continuous liquid processing method
KR200271389Y1 (ko) 건축폐기물 습식 분류장치
CN207243524U (zh) 水平管隔油沉淀池
KR100913526B1 (ko) 침사 및 부유물 제거용 수처리 장치
KR0156867B1 (ko) 협잡물 자동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