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773B1 -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773B1
KR101078773B1 KR20110022467A KR20110022467A KR101078773B1 KR 101078773 B1 KR101078773 B1 KR 101078773B1 KR 20110022467 A KR20110022467 A KR 20110022467A KR 20110022467 A KR20110022467 A KR 20110022467A KR 101078773 B1 KR101078773 B1 KR 101078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layer
module case
filter
purif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22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선
송왕호
송준혁
송준호
양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계룡
계룡환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계룡, 계룡환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계룡
Priority to KR20110022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7Modular desig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雨水)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며 오염물질을 제거한 다음 지중에 침투시키기 위한 우수정화 모듈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생여재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틀과 여과재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틀로 구성된 충전(充塡) 프레임; 상기 충전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된 수직유로; 및 상기 하부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유로의 하부와 연통하는 침전조; 가 일체(一體)를 이루어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상부틀과 하부틀은 상하로 연통되어 있되, 상기 상부틀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테두리면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테두리면의 안쪽라인에서 수직으로 상기 하부틀의 벽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틀 벽면의 상단부는 처리수 배출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틀과 침전조의 벽면은 연속면을 이루고, 상기 하부틀과 침전조의 경계면에는 여과재 지지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雨水)정화 모듈케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地中)에 매립된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상부틀에 충전(充塡)된 식생여재층;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하부틀에 충전된 여과재층;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된 조립투수층;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와 조립투수층의 둘레를 감싸는 수직벽으로 이루어진 보호벽;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하부틀과 상기 보호벽 사이에 형성된 처리수 배출공간; 및 상기 조립투수층과 보호벽의 하부에 형성된 세립투수층; 을 포함하며,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수직유로를 거쳐 침전조에 유입된 빗물이 상기 여과재 지지망을 거쳐 여과재층의 바닥에서부터 차오르며 상향류 여과가 되도록 하고, 상기 여과재층을 거쳐 올라온 빗물은 상기 처리수 배출망을 통해 상기 처리수 배출공간으로 흘러나와 상기 조립투수층과 세립투수층을 차례로 거치며 심층지반에 스며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본 발명은 우수(雨水)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며 오염물질을 제거한 다음 지중에 침투시키기 위한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서는 오염원을 크게 점오염원, 비점오염원, 기타 수질오염원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 법 2조에서 비점오염원이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으로서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비점오염원에서 빗물과 더불어 하천에 유입되는 토사, 기타 부유물질, 유류(油類), 영양염류, 중금속 등은 수질을 오염시키고, 물고기를 폐사시키거나 저서생물의 서식처를 파괴하여 수생태계를 교란시키게 된다.
아울러, 경제발전과 도시화에 맞물려 불투수 포장지면이 증대되면서, 호우시에 빗물이 토양으로 흡수되거나 증발하지 않고 하천으로 배출되는 빗물의 양이 증가하여 홍수의 위험이 높아지고 지하수 함량이 감소하며 평시에 하천의 건천화가 유발되기도 한다.
비점오염을 줄이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진공흡입식 청소차량으로 도로를 주기적으로 청소하고, 도로주변에 가로수, 식생대를 조성하여 불투수층 면적을 줄이고, 주차장은 다공성 포장재료를 사용해 조성하고, 주차장 내에 자갈, 쇄석층 저류시설을 설치하고, 공원의 조경시설 유지관리를 위한 비료, 농약, 살충제 등의 과다살포를 억제하고, 단지 내 물의 흐름이 모이는 하단부에 오목형의 자연식생시설(저수지)을 설치하고, 도심 곳곳에 식생대를 조성하는 등의 방법들을 열거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방법들은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에 의한 것이 아니라 국지적이고 임시방편적이다.
한편, 근래에는 빗물을 지반에 매립된 저류조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면서, 저장된 빗물이 지반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땅의 보수(保水)기능과 유수(遊水)기능을 회복하고 하천으로의 유출량을 조정하는 기술이 여러 가지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우수(雨水) 저류시설은 하천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을 저감시키면서 빗물이 지반으로 침투하도록 유도하여 지하수원 확보에 기여하는 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우수 저류시설은 오염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빗물이 지반으로 유입됨에 따라 지반에 의한 자연 필터링에 의지하는 등의 수동적인 기능만이 구비되어 있으며, 우수 저류조의 내부 세척이 어렵고, 내부 세척을 하더라도 세척수에 의한 토양의 2차 오염을 막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음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1. 우수(雨水)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며 오염물질을 제거한 다음 지중에 침투시키기 위한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을 제공한다.
2. 빗물 정화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3. 시공 편의성 및 유지관리 편의성이 우수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4. 저수 용량을 초과하는 양의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이를 별도의 우수배관으로 송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5. 여과재 세척 및 침전물 처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6. 세척과 배수를 반자동 또는 완전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식생여재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틀과 여과재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틀로 구성된 충전(充塡) 프레임; 상기 충전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된 수직유로; 및 상기 하부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유로의 하부와 연통하는 침전조; 가 일체(一體)를 이루어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상부틀과 하부틀은 상하로 연통되어 있되, 상기 상부틀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테두리면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테두리면의 안쪽라인에서 수직으로 상기 하부틀의 벽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틀 벽면의 상단부는 처리수 배출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틀과 침전조의 벽면은 연속면을 이루고, 상기 하부틀과 침전조의 경계면에는 여과재 지지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雨水)정화 모듈케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地中)에 매립된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상부틀에 충전(充塡)된 식생여재층;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하부틀에 충전된 여과재층;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된 조립투수층;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와 조립투수층의 둘레를 감싸는 수직벽으로 이루어진 보호벽;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하부틀과 상기 보호벽 사이에 형성된 처리수 배출공간; 및 상기 조립투수층과 보호벽의 하부에 형성된 세립투수층; 을 포함하며,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수직유로를 거쳐 침전조에 유입된 빗물이 상기 여과재 지지망을 거쳐 여과재층의 바닥에서부터 차오르며 상향류 여과가 되도록 하고, 상기 여과재층을 거쳐 올라온 빗물은 상기 처리수 배출망을 통해 상기 처리수 배출공간으로 흘러나와 상기 조립투수층과 세립투수층을 차례로 거치며 심층지반에 스며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여과재층에 충전(充塡)되는 여과재는 폐슬러지를 용융하여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상의 빗물이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수직유로에 유입되는 통로에 구비된 스크린장치;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빗물이 상기 수직유로에 유입되기 전에 비교적 큰 오염물질은 상기 스크린장치에 의해 걸러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생여재층과 여과재층의 경계면에 깔린 부직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여과재층은 아래에서부터 위로 조립여과재층, 세립여과재층 및 미세립여과재층이 구분되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침전조에서 수직유로를 거쳐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외부로 연결되어 있고, 펌핑에 의한 흡입력을 전달하는 흡입관;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침전조의 침전물이 상기 흡입관을 통해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흡입관과 연결된 바이패스관; 및 상기 바이패스배관과 연결된 우수배관;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입관을 통해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는 빗물과 침전물은 상기 바이패스관을 통해 상기 우수배관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이패스관의 특정 구간 내부에 구비된 필터; 및 상기 필터가 구비된 바이패스관의 특정 구간을 개폐하는 개폐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필터에 의해 걸러진 침전물은 상기 개폐구를 통해 상기 바이패스관의 외부로 반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펌프; 상기 급수펌프에서 연결되어 상기 미세립여과재층, 세립여과재층 및 조립여과재층 각각의 상면에 연결된 급수관; 및 상기 미세립여과층, 세립여과재층 및 조립여과재층 각각의 상면에 다수개가 분산배치되어 상기 급수관을 통해 공급받은 세척수를 하방향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수직유로에 설치된 유입수 수위센서; 상기 처리수 배출공간에 설치된 처리수 수위센서; 및 상기 유입수 수위센서와 처리수 수위센서로부터 수위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원격지의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제어반;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에 매립된 배수펌프실; 및 상기 배수펌프실 내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관에 흡입력을 전달하는 배수펌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수직유로에 설치된 유입수 수위센서; 상기 처리수 배출공간에 설치된 처리수 수위센서; 및 상기 유입수 수위센서와 처리수 수위센서로부터 수위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급수펌프 또는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반;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반은, 상기 유입수 수위센서와 처리수 수위센서에서 기 설정된 한계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배수펌프에 작동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침전조의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해 내고, 상기 유입수 수위센서에서만 기 설정된 한계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급수펌프에 작동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여과재층을 세척한 후, 상기 배수펌프에 작동신호를 전달하여 세척 후의 침전물을 세척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해 내도록 상기 급수펌프와 배수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을 집광하여 상기 제어반을 작동시키는 전원(電源)을 축전하는 집광판;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가 있다.
1. 우수정화 모듈케이스로 유입된 빗물을 여러 단계로 정화시킬 수 있다.
2. 우수배관 등의 시설과 효율적으로 연계시킬 수 있다.
3. 여과재 세척 및 침전물 배출 작업을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4. 유입수 수위센서와 유출수 수위센서를 통해 우수정화 모듈케이스 내부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5. 제어반을 통해 반자동 또는 완전자동으로 시스템을 유지관리할 수 있게 된다.
6. 우수정화 모듈케이스 다수개를 이어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대지에 적용할 수 있으며, 모듈별 확장, 축소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구성별 분해도이다.
[도 3]은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에 충전되는 식생여재층과 여과재층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의 단면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의 전체 구조도이다.
[도 6]은 식생여재층 및 여과재층 적층구조의 분리상태 및 급수관과 분사노즐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프레임(110), 수직유로(120) 및 침전조(130)가 일체(一體)를 이루어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는 후술할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중(地中)에 설치하여, 저류조 및 침전조로서 활용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 식생틀, 필터장치 등의 기능도 겸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는 단독 설치에 의해서도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나, 다수개를 연속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체계적인 우수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충전 프레임(110)은 식생여재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틀(111)과 여과재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틀(1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틀(111)과 하부틀(112)은 상하로 연통되어 있되, 상기 상부틀(111)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테두리면(11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테두리면(113)의 안쪽라인에서 수직으로 상기 하부틀(112)의 벽면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상부틀(111)은 하부틀(112)에 비해 넓은 횡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틀(112) 벽면의 상단부는 처리수 배출망(114)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연설명하면, 상기 충전 프레임(110)의 일측면은 연속된 하나의 판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나머지 3면은 하부틀(112)을 이루는 판면이 상부틀(111)을 이루는 판면보다 안쪽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충전 프레임(110)의 구조상 특징에 따른 기능과 효과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직유로(120)는 상기 충전 프레임(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지상의 빗물이 유입되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 상기 수직유로(120)의 상단에는 개구부를 형성하여 그 개구부를 통해 지상의 빗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구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장치(122)를 설치하여 비교적 큰 오염물질은 수직유로(120)에 유입되지 않은 채 1차적으로 걸러질 수 있다.
상기 침전조(130)는 상기 하부틀(112)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유로(120)의 하부와 연통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유로(120) 하부에는 개구부(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121)를 통해 수직유로(120)와 침전조(130)가 연통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틀(112)과 침전조(130)의 벽면은 연속면을 이루고, 상기 하부틀(112)과 침전조(130)의 경계면(즉, 하부틀의 바닥면)에는 여과재 지지망(115)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유로(120)에 유입된 빗물은 자연스럽게 상기 침전조(130)에 유입되고, 빗물과 함께 침전조(130)에 유입된 오염물질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중력침전되며, 상기 침전조(130)에 빗물이 가득 찬 후에는 상기 하부틀(112)로 차오르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의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프레임(110)의 상부틀(111)에는 식생여재를 충전하여 초화류 등의 식생을 위한 식생틀로 활용하고, 하부틀(112)에는 여과재를 충전하여 침전조에서부터 차오른 빗물이 상방향으로 차오르며 여과재를 거쳐 침전 후 또 한번의 여과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틀(112)에 채워지는 여과재는 여과재 지지망(115)에 의해 지지되나, 상기 상부틀(111)에 채워지는 식생여재는 하부틀(112)에 여과재를 가득 채운 후 그 채움작업을 진행하면 되므로 별도의 지지부재는 불필요하다. 다만, 여과재 위에 직접 내리는 빗물에 의해 여과재가 채움재 쪽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여과재와 채움재 사이에 부직포(210)를 깔아둘 수 있다.
Ⅱ.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본 발명이 제공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은 전술한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의 상부틀(111)에 충전(充塡)된 식생여재층(200);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의 하부틀(112)에 충전된 여과재층(300);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의 하부에 형성된 조립투수층(400);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와 조립투수층(400)의 둘레를 감싸는 수직벽으로 이루어진 보호벽(500);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의 하부틀(112)과 상기 보호벽(500) 사이에 형성된 처리수 배출공간(600); 및 상기 조립투수층(400)과 보호벽(500)의 하부에 형성된 세립투수층(70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4] 참조).
본 발명이 제공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을 시공순서별로 설명하면, 우선, 지면을 파고 그 바닥에 작은 자갈과 모래를 성토하여 세립투수층(700)을 형성시킨다. 이후 상기 세립투수층(700) 위에 콘크리트 등으로 보호벽(500)을 축조하고, 상기 보호벽(500) 사이의 바닥면에 굵은 자갈로 조립투수층(400)을 형성시킨다. 상기 조립투수층(400) 위에는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를 설치하고, 하부틀(112)에는 여과재를, 상부틀(111)에는 식생여재를 차래로 채워 넣음으로써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보호벽(500) 외부의 절토 공간에는 절토에 의해 발생한 흙으로 성토(盛土)하여 표층지반(20)을 형성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는 다수개를 연속배치할 수 있으며, 시공 대지의 면적과 형상에 따라 다양한 배치를 구현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은 지면이 아스팔트, 시멘트 등의 불투수층(10)으로 이루어진 지역에 형성시킬 때 그 기능이 극대화된다. 상기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은 겉보기에는 화초가 심어진 화단 정도로 보여지나 땅속에 저류 및 침전시설, 여과시설, 저류 및 투수시설, 배수시설, 세척시설, 내부상황 파악시설, 제어시설 등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구성과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저류 및 침전시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에 의해 지상의 빗물은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의 수직유로(120)를 거쳐 침전조(130)에 유입된다. 침전조(130)에 유입된 빗물에 섞여 있는 오염물질은 중력에 의해 침전조 바닥에 침전되며, 이때의 침전물은 후술할 흡입관(80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해 낼 수 있다. 상기 수직유로(120) 및 침전조(130)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일련의 구성이 전술한 저류 및 침전시설이 된다.
2. 여과시설
상기 침전조(130)에 빗물에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침전조(130)의 빗물이 상기 여과재 지지망(115)을 거쳐 여과재층(300)의 바닥에서부터 차오르며 상향류 여과가 되고, 상기 여과재층(300)을 거쳐 올라온 빗물은 상기 처리수 배출망(114)을 통해 상기 처리수 배출공간(600)으로 흘러나와 상기 조립투수층(400)과 세립투수층(700)을 차례로 거치며 심층지반(30)에 스며들게 된다. 상기 수직유로(120)는 지상면에서 침전조(130)까지 형성되어 있으므로 처리수 배출망(114)이 형성된 부분, 즉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 충전 프레임(110) 하부틀(112)의 상단부와는 상당한 높이 차이(상부틀 높이 만큼의 높이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여과재의 공극이 오염물질에 의해 막히지 않는 한 상기 침전조(130)에 유입된 빗물이 수직유로(120)를 통해 외부로 역류하지 않고, 여과재층(300)을 통해 처리수 배출망(114)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지상의 빗물이 상기 수직유로(120)에 유입되기 전에는 스크린장치(122)에 의해 비교적 큰 오염물질이 미리 걸러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장치(122)는 지상의 빗물이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의 수직유로(120)에 유입되는 통로에 구비되어 있어야 하며, 이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유로(120)의 상단에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생여재층(200)과 여과재층(300)의 경계면에는 부직포(210)를 깔아놓음으로써, 식생여재가 여과재층(3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식생여재층(200)에 직접 내린 빗물은 상기 부직포(210)에 의해 차단되거나 걸려진 상태로 상기 여과재층(300)에 스며들게 된다. 상기 여과재층(300)에 충전(充塡)되는 여과재로는 폐슬러지를 용융하여 제조한 것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여과재층(300)은 아래에서부터 위로 조립여과재층(330), 세립여과재층(320) 및 미세립여과재층(310)을 구분하여 적층할 수 있다. 폐슬러지로 여과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산업부산물 또는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친환경 기술로도 의미가 있게 되며, 여과재의 직경에 따라 미세립여과재, 세립여과재, 조립여과재로 분류하여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침전조(130)에서부터 상방향으로 차오르는 빗물은 조립여과재층(330), 세립여과재층(320), 미세립여과재층(310)을 단계별로 거치며 빗물 속의 미세한 오염물질까지 여과된다. 위와 같은 여과재층(300)과 스크린장치(122), 부직포(210) 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일련의 구성이 전술한 여과시설이다.
3. 저류 및 투수시설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유기적 결합에 의해 지상에 내린 빗물은 상기 스크린장치(122)에서 1차적인 여과를 거친 후 수직유로(120)를 통해 침전조(130)에 유입되어, 침전물이 분리된 상태로 상기 여과재층(300)을 지나며 단계적인 상향류 여과가 이루어 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여과과정을 거쳐 상기 여과재층(300)의 상층에 도달한 빗물은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 충전 프레임(110)의 하부틀(112) 벽면의 상단부에 구비된 처리수 배출망(114)을 통해 처리수 배출공간(600)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처리수 배출공간(600)은 상기 보호벽(500)의 내면과 상기 하부틀(112)의 벽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를 기준으로 보면 하부틀(112)이 수직유로(120)에 접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3면에 처리수 배출망(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수 배출공간(600)도 그 3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처리수 배출공간(600)에는 별도의 바닥면이 없이 곧바로 조립투수층(400)에 접해 있다. 따라서, 상기 처리수 배출공간(600)으로 유입된 빗물은 처리수 배출공간(600) 내에서 일시적으로 저류되며 서서히 조립투수층(400)에 스며들고, 이후 세립투수층(700)을 거쳐 심층지반(30)에 스며들어 지하수를 이루게 된다. 상기 처리수 배출망(114), 처리수 배출공간(600), 조립투수층(400) 및 세립투수층(700) 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일련의 구성이 전술한 저류 및 투수시설이다.
4. 배수시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은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의 침전조(130)에서 수직유로(120)를 거쳐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의 외부로 연결되어 있고, 펌핑에 의한 흡입력을 전달하는 흡입관(80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흡입관(800)은 침전조(130)의 침전물을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물론 침전물의 흡입, 배출 과정에서는 침전조(130)에 채워져 있는 빗물도 함께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빗물이 과도하게 유입되어 수직유로(120)를 통해 역류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위조절을 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관(800)은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 외부로 연장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를 바이패스관(900)과 연결시키고, 상기 바이패스관(900)은 우수배관(1000)과 연결시켜 둘 수 있다. 이로써,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에서의 처리 가능 수량을 초과한 양의 빗물이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에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흡입관(800)을 통해 펌핑하여 상기 우수배관(1000)으로 송수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침전조(130)에 있던 침전물이 빗물과 함께 우수배관(1000)으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바이패스관(900)의 특정 구간 내부에 필터(910)를 설치하고, 상기 필터(910)가 구비된 바이패스관(900)의 특정 구간을 개폐하는 개폐구(92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필터(910)에 의해 걸러진 침전물은 상기 개폐구(920)를 통해 상기 바이패스관(900)의 외부로 반출해 낼 수 있다. 상기 흡입관(800)은 이동식 배수펌프에 연결시켜 펌핑 작업을 수행토록 할 수도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地中)에 별도의 배수펌프실(1600)을 마련하고, 상기 배수펌프실(1600) 내에 배수펌프(1610)를 설치하여, 그 배수펌프(1610)가 상기 흡입관(800)에 흡입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수펌프실(1600) 상부는 덮개판(1620)으로 덮어 두고 배수펌프(1610)에 대한 정비 등이 필요할 때에만 상기 덮개판(1620)을 열어 개방시킬 수 있다. 다수개의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를 연속적으로 설치할 때에도 역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우수정화 모듈케이스 수직유로(120)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관로와 상기 관로에서 각각의 우수정화 모듈케이스 침전조(130)로 연결되는 흡입관(800)을 연결시킴으로써 침전물과 빗물의 배출경로를 일원화 할 수 있다. 인접하는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수직유로(120) 사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연결부(140)를 설치하여 상기 관로를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흡입관(800), 배수펌프(1610), 바이패스관(900) 및 우수배관(1000) 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일련의 구성이 전술한 배수시설이다.
5. 세척시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은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펌프(미도시), 상기 급수펌프에서 연결되어 상기 여과재층(300)의 상면에 연결된 급수관(1100) 및 상기 급수관(1100)을 통해 공급받은 세척수를 하방향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12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급수펌프는 본 시스템용으로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기존의 상수원 공급을 위한 급수펌프를 연계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여과재층(300)이 미세립여과재층(310), 세립여과재층(320) 및 조립여과재층(330)으로 구분된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세립여과재층(310), 세립여과재층(320) 및 조립여과재층(330) 각각의 상면에 급수관(1100)을 연결함으로써 전술한 각 층마다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여과재층(300)을 통해 상향류 여과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여과재 사이 사이에 오염물질이 끼게 된다. 이러한 오염물질이 과도하게 끼면 빗물의 상향류 여과작용은 일어나지 않고, 침전조(130)의 빗물이 수직유로(120) 쪽으로 역류하게 된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여과재층(300)의 공극에 끼인 오염물질을 씻어 낼 필요가 있다. 이 때 씻겨진 오염물질은 다시 침전조(130)로 떨어져 내려오며, 이러한 오염물질은 전술한 배수시설을 통해 외부로 흡출해 낼 수 있다. 상기 급수펌프(미도시), 급수관(1100) 및 분사노즐(1200) 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일련의 구성이 전술한 세척시설이다.
6. 내부상황 파악시설
상기 여과재층(300)의 세척작업은 정기적으로 시행할 수 있으나, 강수량, 유입되는 오염물질량 등의 상황에 따라 세척작업 시행 간격은 유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빗물이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로 과도하게 유입되어 지상으로 역류하도록 두는 것보다는 역류 전에 배수 등을 통해 다른 우수처리시설로 보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이 제공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은 지중에 매립되어 있는 것이므로 그 내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는 없으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 내의 모든 부위를 관찰할 수 있는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의 수직유로(120)에 설치된 유입수 수위센서(1300)와 상기 처리수 배출공간(600)에 설치된 처리수 수위센서(1400)를 통해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의 내부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수직유로(120)와 처리수 배출공간(600)의 수위가 함께 높아지면 유입되는 빗물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수직유로(120)의 수위는 높아지는데 처리수 배출공간(600)의 수위에 변동이 없으면 빗물이 처리수 배출공간(600)으로 배출되지 않는다는 의미이고 이는 곧 여과재층(300)이 오염물질에 의해 막혀 있다는 뜻이 된다. 즉, 상기 유입수 수위센서(1300)와 처리수 수위센서(1400)는 각각 수직유로(120)와 처리수 배출공간(600)의 수위를 측정함으로써 여과재층(300)에 오염물질이 많이 끼여 있는지,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 내로 유입된 빗물의 양이 과도한지 등에 대한 정보를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처리수 수위센서(1400)는 상부틀(111)에 형성된 투입구(116)를 통해 처리수 배출공간(600)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유입수 수위센서(1300) 및 처리수 수위센서(1400)의 기능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일련의 구성이 전술한 내부상황 파악시설이다.
7. 제어시설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의 관리자는 전술한 내부상황 파악시설을 통해 시스템 내부의 상황을 체크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배수시설이나 세척시설을 가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시설이나 세척시설은 제어반(1500)을 통해 반자동식 또는 완전자동식으로 운용할 수도 있다.
배수시설이나 세척시설을 반자동식으로 운용하는 경우, 상기 제어반(1500)은 상기 유입수 수위센서(1300)와 처리수 수위센서(1400)로부터 수위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원격지의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원격지의 관리자는 제어반(1500)으로부터 전달받은 수위 감지 신호를 해석하여 필요한 조치를 시행할 수 있다.
배수시설이나 세척시설을 완전자동식으로 운용하는 경우, 상기 제어반(1500)은 상기 유입수 수위센서(1300)와 처리수 수위센서(1400)로부터 수위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급수펌프(미도시) 또는 배수펌프(1610)를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어반(1500)은 상기 유입수 수위센서(1300)와 처리수 수위센서(1400)에서 기 설정된 한계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배수펌프(1610)에 작동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침전조(130)의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해 내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유입수 수위센서(1300)에서만 기 설정된 한계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급수펌프(미도시)에 작동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분사노즐(1200)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여과재층(300)을 세척한 후, 상기 배수펌프(1610)에 작동신호를 전달하여 세척 후의 침전물을 세척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해 내도록 한다.
상기 제어반(1500)이 곧 전술한 제어시설이며, 상기 제어반(1500)은 유입수 수위센서(1300) 및 처리수 수위센서(1400)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본 시스템을 반자동식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유입수 수위센서(1300), 처리수 수위센서(1400), 급수펌프(미도시) 및 배수펌프(1610)와 모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본 시스템을 완전자동식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8. 기타시설
상기 제어반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전원(電源)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태양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제공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에 태양광을 집광하여 상기 제어반(1500)을 작동시키는 전원(電源)을 축전하는 집광판(1700)을 포함시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집광판(1700)은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언급은 생략하기로 한다.
Ⅲ. 본 발명에 따른 빗물의 처리 경로
본 발명이 제공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이 설치된 지역의 빗물이 처리되는 경로를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경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 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 제1경로
제1경로는 표층지반(20) 위의 불투수층(10)에 내린 빗물이 수직유로(120)를 통해 시스템 내로 유입되어 여과처리된 후 심층지반(30)으로 침투되는 경로이다. 스크린장치(122)를 거쳐 비교적 큰 오염물질이 걸러진 채 수직유로(120)로 흘러온 빗물은 침전조(130)에 유입된다. 상기 침전조(130)에서 중력침전에 의해 침전물이 분리되고, 빗물이 계속 유입되면 침전조(130)에 빗물이 차올라 여과재 지지망(115)을 거쳐 여과재층(300)으로 들어간다. 여과재층(300)에 유입된 빗물은 조립여과재층(330), 세립여과재층(320) 및 미세립여과재층(310)을 차례로 거치며 상향류 여과가 이루어진다. 상기 여과재층(300)에 의해 여과처리된 빗물은 처리수 배출망(114)을 통해 처리수 배출공간(600)으로 흘러 내려와 상기 처리수 배출공간(600)에서 일시적으로 저류되었다가 서서히 하부의 조립투수층(400), 세립투수층(700)을 거쳐 심층지반(30)으로 스며들어 지하수가 된다. 이러한 제1경로로 스며든 빗물은 스크린, 침전, 여과, 투수를 거치며 깨끗하게 정화된다.
2. 제2경로
제2경로는 침전조(130)에 유입된 빗물이 흡입관(80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이다. 제2경로는 우수정화 모듈케이스(100) 내로 과도한 빗물이 유입될 때 빗물의 역류 방지를 위해 활용되는 경로이며, 여과재층(300)을 세척한 세척수가 배출되는 경로이기도 하다. 상기 흡입관(8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빗물은 별도의 저류, 저장시설에 보낼 수 있는데, 그 과정에서 바이패스관(900)을 거쳐 우수배관(1000)으로 유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관(900) 내에는 필터(910)를 설치하여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낼 수 있으며, 이렇게 걸러진 오염물질은 개폐구(920)를 통해 반출해 낼 수 있다. 반출된 오염물질은 용융하여 여과재로 제조하여 또 다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재로 재활용할 수 있다.
3. 제3경로
제3경로는 식생여재층(200)에 직접 내린 빗물이 식생여재를 거쳐 부직포(210)에 의해 차단되어 식생여재층(200) 내에 함수(含水)되거나, 부직포(210)를 거쳐 여과재층(300)으로 스며드는 경로이다. 식생여재층(200)에 함수된 빗물은 식재된 화초가 흡수하거나 자연증발될 수 있다. 빗물이 부직포(210)를 거쳐 여과재층(300)으로 스며든 경우에는 침전조(130)에서부터 차오르는 빗물과 함께 처리수 배출망(114)을 통해 처리수 배출공간(600)으로 유입되어 이후에는 제1경로를 따라 진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 : 불투수층 20 : 표층지반
30 : 심층지반
100 : 우수정화 모듈케이스 110 : 충전 프레임
111 : 상부틀 112 : 하부틀
113 : 테두리면 114 : 처리수 배출망
115 : 여과재 지지망 116 : 투입구
120 : 수직유로 121 : 개구부
122 : 스크린장치 130 : 침전조
140 : 바이패스 연결부 200 : 식생여재층
210 : 부직포 300 : 여과재층
310 : 미세립여과재층 320 : 세립여과재층
330 : 조립여과재층 400 : 조립투수층
500 : 보호벽 600 : 처리수 배출공간
700 : 세립투수층 800 : 흡입관
900 : 바이패스관 910 : 필터
920 : 개폐구 1000 : 우수배관
1100 : 급수관 1200 : 분사노즐
1300 : 유입수 수위센서 1400 : 처리수 수위센서
1500 : 제어반 1600 : 배수펌프실
1610 : 배수펌프 1620 : 덮개
1700 : 집광판

Claims (14)

  1. 삭제
  2. 지중(地中)에 매립되어 있으며, 식생여재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틀과 여과재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틀로 구성된 충전(充塡) 프레임, 상기 충전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된 수직유로 및 상기 하부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유로의 하부와 연통하는 침전조가 일체(一體)를 이루어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상부틀과 하부틀은 상하로 연통되어 있되, 상기 상부틀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테두리면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테두리면의 안쪽라인에서 수직으로 상기 하부틀의 벽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틀 벽면의 상단부는 처리수 배출망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틀과 침전조의 벽면은 연속면을 이루고, 상기 하부틀과 침전조의 경계면에는 여과재 지지망이 구비된 우수정화 모듈케이스;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상부틀에 충전(充塡)된 식생여재층;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하부틀에 충전되어 있으며, 아래에서부터 위로 조립여과재층, 세립여과재층 및 미세립여과재층이 구분되어 적층된 여과재층;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된 조립투수층;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와 조립투수층의 둘레를 감싸는 수직벽으로 이루어진 보호벽;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하부틀과 상기 보호벽 사이에 형성된 처리수 배출공간; 및
    상기 조립투수층과 보호벽의 하부에 형성된 세립투수층; 및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침전조에서 수직유로를 거쳐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외부로 연결되어 있고, 펌핑에 의한 흡입력을 전달하는 흡입관;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수직유로를 거쳐 침전조에 유입된 빗물이 상기 여과재 지지망을 거쳐 여과재층의 바닥에서부터 차오르며 상향류 여과가 되도록 하고, 상기 여과재층을 거쳐 올라온 빗물은 상기 처리수 배출망을 통해 상기 처리수 배출공간으로 흘러나와 상기 조립투수층과 세립투수층을 차례로 거치며 심층지반에 스며들고, 상기 침전조의 침전물은 상기 흡입관을 통해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여과재층에 충전(充塡)되는 여과재는 폐슬러지를 용융하여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4. 제2항에서,
    지상의 빗물이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수직유로에 유입되는 통로에 구비된 스크린장치;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빗물이 상기 수직유로에 유입되기 전에 비교적 큰 오염물질은 상기 스크린장치에 의해 걸러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5. 제2항에서,
    상기 식생여재층과 여과재층의 경계면에 깔린 부직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2항에서,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흡입관과 연결된 바이패스관; 및
    상기 바이패스배관과 연결된 우수배관;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입관을 통해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는 빗물과 침전물은 상기 바이패스관을 통해 상기 우수배관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9. 제8항에서,
    상기 바이패스관의 특정 구간 내부에 구비된 필터; 및
    상기 필터가 구비된 바이패스관의 특정 구간을 개폐하는 개폐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필터에 의해 걸러진 침전물은 상기 개폐구를 통해 상기 바이패스관의 외부로 반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10. 제2항에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펌프;
    상기 급수펌프에서 연결되어 상기 미세립여과재층, 세립여과재층 및 조립여과재층 각각의 상면에 연결된 급수관; 및
    상기 미세립여과층, 세립여과재층 및 조립여과재층 각각의 상면에 다수개가 분산배치되어 상기 급수관을 통해 공급받은 세척수를 하방향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11. 제10항에서,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수직유로에 설치된 유입수 수위센서;
    상기 처리수 배출공간에 설치된 처리수 수위센서; 및
    상기 유입수 수위센서와 처리수 수위센서로부터 수위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원격지의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제어반;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12. 제10항에서,
    지중에 매립된 배수펌프실; 및
    상기 배수펌프실 내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관에 흡입력을 전달하는 배수펌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13. 제12항에서,
    상기 우수정화 모듈케이스의 수직유로에 설치된 유입수 수위센서;
    상기 처리수 배출공간에 설치된 처리수 수위센서; 및
    상기 유입수 수위센서와 처리수 수위센서로부터 수위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급수펌프 또는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반;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반은, 상기 유입수 수위센서와 처리수 수위센서에서 기 설정된 한계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배수펌프에 작동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침전조의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해 내고, 상기 유입수 수위센서에서만 기 설정된 한계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급수펌프에 작동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여과재층을 세척한 후, 상기 배수펌프에 작동신호를 전달하여 세척 후의 침전물을 세척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해 내도록 상기 급수펌프와 배수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14. 제11항 또는 제13항에서,
    태양광을 집광하여 상기 제어반을 작동시키는 전원(電源)을 축전하는 집광판;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KR20110022467A 2011-03-14 2011-03-14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KR101078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22467A KR101078773B1 (ko) 2011-03-14 2011-03-14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22467A KR101078773B1 (ko) 2011-03-14 2011-03-14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8773B1 true KR101078773B1 (ko) 2011-11-02

Family

ID=45396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22467A KR101078773B1 (ko) 2011-03-14 2011-03-14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77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581B1 (ko) 2013-07-31 2013-11-08 주식회사 현진기업 비점오염제거를 위한 수생식물식재용 성장박스 시스템
KR101352784B1 (ko) 2012-09-14 2014-01-15 서용섭 인공함양을 위한 저류지 필터링 시스템
KR101349613B1 (ko) 2013-06-24 2014-01-20 (주)웸스 Lid 기법적용 선진모래여과장치
KR101375866B1 (ko) 2013-10-29 2014-03-17 주식회사 이피에스이앤이 초기 우수 처리 장치 및 우수 유출 저감 장치
KR20160055998A (ko) * 2014-11-11 2016-05-19 유한회사 장성이엔티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
KR101636035B1 (ko) * 2016-03-07 2016-07-06 주식회사 보람 포장도로의 친환경 배수로장치
KR102406486B1 (ko) 2021-04-30 2022-06-08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시인성을 확보한 호우 방재형 다단 빗물 침투 측구 구조물
KR20220149076A (ko)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빗물 저류-배수용 편형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호우 방재형 다단 빗물 침투 측구 구조물
KR20220149073A (ko)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편형 트랜치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단 트랜치 구조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784B1 (ko) 2012-09-14 2014-01-15 서용섭 인공함양을 위한 저류지 필터링 시스템
KR101349613B1 (ko) 2013-06-24 2014-01-20 (주)웸스 Lid 기법적용 선진모래여과장치
KR101326581B1 (ko) 2013-07-31 2013-11-08 주식회사 현진기업 비점오염제거를 위한 수생식물식재용 성장박스 시스템
KR101375866B1 (ko) 2013-10-29 2014-03-17 주식회사 이피에스이앤이 초기 우수 처리 장치 및 우수 유출 저감 장치
KR20160055998A (ko) * 2014-11-11 2016-05-19 유한회사 장성이엔티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
KR101632166B1 (ko) * 2014-11-11 2016-06-21 유한회사 장성이엔티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
KR101636035B1 (ko) * 2016-03-07 2016-07-06 주식회사 보람 포장도로의 친환경 배수로장치
KR102406486B1 (ko) 2021-04-30 2022-06-08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시인성을 확보한 호우 방재형 다단 빗물 침투 측구 구조물
KR20220149076A (ko)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빗물 저류-배수용 편형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호우 방재형 다단 빗물 침투 측구 구조물
KR20220149073A (ko)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편형 트랜치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단 트랜치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8773B1 (ko)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US8940170B2 (en) Triple-chambered wetland biofilter treatment system
US8303816B2 (en) Wetland biofilter chamber with peripheral catch basin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012749B1 (ko) 개방형 우수처리 장치
JP5537401B2 (ja) 道路散水システム
US7517450B2 (en) Pre-assembled flow control structured and related media filtration system
KR101319073B1 (ko) 우수 집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관리장치
KR101294715B1 (ko)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051778B1 (ko) 우수저장 블록, 집수여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우수처리 시스템
KR102089235B1 (ko) 다기능 비점오염 저감 구조물
KR20160022632A (ko) 식생 성장 촉진 및 비점오염물질의 저감 제거를 갖는 빗물 정원 시설의 시공 방법
KR101725047B1 (ko) 비점오염원 처리 장치
JP6621653B2 (ja) 貯留浄化システム
CN101839007A (zh) 水收集过滤净化储存系统
KR101239389B1 (ko) 자연형 침투도랑형 재이용수 활용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300796B1 (ko)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
CN211200624U (zh) 一种城市公园雨水收集净化回用系统
CN104532942B (zh) 一种雨水净化树箱系统
US10865547B1 (en) Distributed integrated water management system
CN102574718A (zh) 一种促进水利用的方案和方法
KR101738952B1 (ko) 고분자pe필터를 이용한 빗물 처리장치
KR101281034B1 (ko) 비점오염원 수처리시스템
KR101208694B1 (ko) 우수의 여과장치
KR101635966B1 (ko)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생태수로
CN213572245U (zh) 一种基于lid技术的矿区雨水净化排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