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9073A - 편형 트랜치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단 트랜치 구조물 - Google Patents
편형 트랜치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단 트랜치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49073A KR20220149073A KR1020210056230A KR20210056230A KR20220149073A KR 20220149073 A KR20220149073 A KR 20220149073A KR 1020210056230 A KR1020210056230 A KR 1020210056230A KR 20210056230 A KR20210056230 A KR 20210056230A KR 20220149073 A KR20220149073 A KR 202201490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trench
- flat
- water passage
- flat trench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221110 common millet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의 저류 및 배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도로변을 따라 구축되는 다단 트랜치 구조물 및 이러한 다단 트랜치 구조물의 기본 단위 모듈이 되는 편형 트랜치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공성 재질로 제작되고, 세워져 설치되는 편형(扁形) 블록으로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양 측에 형성된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 중단을 가로질러 구비된 중층바닥부를 포함하는 블록 몸체부; 상기 중층바닥부 상부에 상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상공간부; 상기 중층바닥부 하부에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된 하공간부; 상기 중층바닥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통수홈; 및 상기 측벽부 상단 내벽면 측에 형성된 거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편형 트랜치 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형 트랜치 블록을 도로변을 따라 지중(地中)에 연속 배치하여 구축되는 선형 구조물로서, 상기 상공간부의 연접에 의해 배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하공간부의 연접에 의해 저류조가 형성되며, 연접하는 상기 편형 트랜치 블록 2개의 통수홈을 조합하여 통수구가 형성되고, 연접하는 상기 거치단을 따라 덮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트랜치 구조물」을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공성 재질로 제작되고, 세워져 설치되는 편형(扁形) 블록으로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양 측에 형성된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 중단을 가로질러 구비된 중층바닥부를 포함하는 블록 몸체부; 상기 중층바닥부 상부에 상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상공간부; 상기 중층바닥부 하부에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된 하공간부; 상기 중층바닥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통수홈; 및 상기 측벽부 상단 내벽면 측에 형성된 거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편형 트랜치 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형 트랜치 블록을 도로변을 따라 지중(地中)에 연속 배치하여 구축되는 선형 구조물로서, 상기 상공간부의 연접에 의해 배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하공간부의 연접에 의해 저류조가 형성되며, 연접하는 상기 편형 트랜치 블록 2개의 통수홈을 조합하여 통수구가 형성되고, 연접하는 상기 거치단을 따라 덮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트랜치 구조물」을 함께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빗물의 저류 및 배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도로변을 따라 구축되는 다단 트랜치 구조물 및 이러한 다단 트랜치 구조물의 기본 단위 모듈이 되는 편형 트랜치 블록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 도시화에 따라 농지와 산림 비율이 감소하는 것과 반대로 건물 점유 면적 및 도로 포장 면적(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포장)이 확대됨에 따라 빗물의 지면 침투율이 낮아짐으로써 지하수위 저하, 집중 호우에 따른 침수 등이 문제되어 왔고, 빗물 순환 시스템의 파괴로 인한 토지, 수질, 공기 등의 환경 문제 대두되면서 빗물 관리의 필요성이 점점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빗물 활용을 위한 기술로는, 지면 포장 수요와 빗물 침투 필요성을 함께 충족시키기 위한 투수 블록 기술군, 지중에 매설되어 침투한 빗물을 저장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저류조 기술군, 빗물 저류조를 투수성 소재로 제작하여 저장된 빗물이 시간차를 두고 서서히 지중으로 침투하도록 하는 침투 저류조 기술군 등이 있다.
또한, 빗물 저류조 또는 침투 저류조 구성을 위한 블록, 패널, 프리캐시트 부재 등에 관한 다양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다만, 지중에 매설되는 저류조의 용량은 한계가 있고, 집중 호우 시 빗물의 지반 침투 보다는 신속한 배수가 필요한 경우도 많다(도심지, 도로변 등). 따라서, 양립하기 어려운 "빗물의 저류 및 지반 침투 필요성" 및 "집중 호우 시 빗물의 신속한 배수 필요성"을 함께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적 해결책 마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양립하기 어려운 "빗물의 저류 및 지반 침투 기능" 및 "집중 호우 시 빗물의 신속한 배수 기능"을 유기적·상보적으로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다단 트랜치 구조물과 이러한 다단 트랜치 구조물을 간편하게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 단위 모듈인 편형 트랜치 블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공성 재질로 제작되고, 세워져 설치되는 편형(扁形) 블록으로서, 바닥부(11), 상기 바닥부(11)의 양 측에 형성된 측벽부(12) 및 상기 측벽부(12) 중단을 가로질러 구비된 중층바닥부(13)를 포함하는 블록 몸체부(10); 상기 중층바닥부(13) 상부에 상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상공간부(20); 상기 중층바닥부(13) 하부에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된 하공간부(30); 상기 중층바닥부(13)의 전면 또는 후면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통수홈(40); 및 상기 측벽부(12) 상단 내벽면 측에 형성된 거치단(50); 을 포함하여 구성된 편형 트랜치 블록(100)」을 제공한다.
상기 블록 몸체부(10)는 상기 상공간부(20) 및 하공간부(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종단 분할하는 격벽부(1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바닥부(11)의 전면 또는 후면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통수홈(40)과 수직 연통되지 않는 부위에 형성된 빗물침투홈(6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측벽부(12)의 외벽면측에 홈 또는 턱 형태로 구비된 인양걸이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형 트랜치 블록(100)을 도로변을 따라 지중(地中)에 연속 배치하여 구축되는 선형 구조물로서, 상기 상공간부(20)의 연접에 의해 배수로(120)가 형성되고, 상기 하공간부(30)의 연접에 의해 저류조(130)가 형성되며, 연접하는 상기 편형 트랜치 블록(100) 2개의 통수홈(40)을 조합하여 통수구(140)가 형성되고, 연접하는 상기 거치단(50)을 따라 덮개(1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트랜치 구조물(200)」을 함께 제공한다.
상기 통수구(140)에는 필터(145)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편형 트랜치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단 트랜치 구조물에 의해 다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배수 기능 및 저류 기능을 유기적·상보적으로 함께 수행할 수 있다.
2. 모듈화된 저류-배수용 편형 트랜치 블록의 연속 배치에 의해 상부에 배수로, 하부에 저류조가 구비된 다단 트랜치 구조물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
3. 통수구에 설치되는 필터는 간편한 세척 또는 교체가 가능하며, 상기 필터 설치 여부에 따라 다단 트랜치 구조물의 기능을 가변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4. 홈 또는 턱 형태의 인양걸이부 구성에 의해 블록 별 인양을 통한 다단 트랜치 구조물의 시공, 보수, 관리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편형 트랜치 블록의 실시예들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다단 트랜치 구조물의 실시예들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다단 트랜치 구조물의 실시예들이다.
본 발명은 편형 트랜치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단 트랜치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편형 트랜치 블록
본 발명은 「다공성 재질로 제작되고, 세워져 설치되는 편형(扁形) 블록으로서, 바닥부(11), 상기 바닥부(11)의 양 측에 형성된 측벽부(12) 및 상기 측벽부(12) 중단을 가로질러 구비된 중층바닥부(13)를 포함하는 블록 몸체부(10); 상기 중층바닥부(13) 상부에 상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상공간부(20); 상기 중층바닥부(13) 하부에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된 하공간부(30); 상기 중층바닥부(13)의 전면 또는 후면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통수홈(40); 및 상기 측벽부(12) 상단 내벽면 측에 형성된 거치단(50); 을 포함하여 구성된 편형 트랜치 블록(100)」을 제공한다.
상기 편형 트랜치 블록(100)은 투수성 확보를 위해 다공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다수개를 세워 연접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선형 구조물(후술할 다단 트랜치 구조물)이 구축된다.
상기 블록 몸체부(10)는 바닥부(11), 측벽부(12) 및 상기 중층바닥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의 (a) 참조).
상기 중층바닥부(13) 상부에는 상단이 개방된 상공간부(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상공간부(20)는 상기 중층바닥부(13) 상면이 바닥면이 되고, 상기 측벽부(12)의 상부 구간이 벽면이 되며, 천장은 트여있는 공간이다.
상기 중층바닥부(13) 하부에는 하공간부(3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하공간부(30)는 상기 바닥부(11) 상면이 바닥면이 되고, 상기 측벽부(12)의 하부 구간이 벽면이 되며, 상기 중층바닥부(13) 하면이 천장면이 되는 공간이다.
상기 하공간부(30)는 [도 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층바닥부(13-1)에 의해 횡단 분할된 복층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몸체부(10)는 상기 상공간부(20) 및 하공간부(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종단 분할하는 격벽부(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의 (b)는 상기 하공간부(30)가 격벽부(14)에 의해 종단 분할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의 (c)는 상기 상공간부(20)와 하공간부(30)가 격벽부(14)에 의해 종단 분할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하공간부(30)의 격벽부(14)는 상기 중층바닥부(13)의 중간 지지벽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상공간부(20)의 격벽부(14)는 후술할 덮개(150)의 중간 지지벽 역할을 수행하므로 상기 편형 트랜치 블록(100)의 좌우 폭이 넓은 경우에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상공간부(20)에 격벽부(14)를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하공간부(30)에도 격벽부(14)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층바닥부(13)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통수홈(40)이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편형 트랜치 블록(100)을 세워서 연접 배치할 때 인접하는 편형 트랜치 블록(100)의 2개 통수홈(40)이 맞대어 이어짐으로써 1개의 통수구(140)로 조합되도록 할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 상공간부(20) 또는 하공간부(30)가 격벽부(14)에 의해 종단 분할되는 경우에는 분할되는 구간마다 상기 통수홈(40)이 별도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바닥부(11)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종방향의 빗물침투홈(6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빗물침투홈(60)은 상기 중층바닥부(13)에 형성된 통수홈(40)과는 수직 연통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벽부(12) 상단 내벽면 측에는 상기 측벽부(12) 최상단 보다 낮은 거치단(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치단(50)에는 후술할 덮개(150)를 거치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12)의 외벽면측에는 홈 또는 턱 형태로 구비된 인양걸이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빗물침투홈(60), 거치단(50), 인양걸이부(70) 등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2. 다단 트랜치 구조물
본 발명은 「상기 편형 트랜치 블록(100)을 도로변을 따라 지중(地中)에 연속 배치하여 구축되는 선형 구조물로서, 상기 상공간부(20)의 연접에 의해 배수로(120)가 형성되고, 상기 하공간부(30)의 연접에 의해 저류조(130)가 형성되며, 연접하는 상기 편형 트랜치 블록(100) 2개의 통수홈(40)을 조합하여 통수구(140)가 형성되고, 연접하는 상기 거치단(50)을 따라 덮개(1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트랜치 구조물(200)」을 함께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다단 트랜치 구조물(100)은 상기 편형 트랜치 블록(100)을 연접하도록 연속 배치함으로써 구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공간부(20)의 연접에 의해 배수로(120)가 형성되고, 상기 하공간부(30)의 연접에 의해 저류조(130)가 형성된다. 상기 편형 트랜치 블록(100)에 격벽부(14)를 구성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류조(130)가 격실로 분절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로(120)까지 수직 분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접하는 상기 편형 트랜치 블록(100) 2개의 통수홈(40)을 조합하여 통수구(140)가 형성되며, 연접하는 상기 거치단(50)을 따라 메탈 그레이팅, 투수성 패널 등의 덮개(150)를 설치한다.
빗물은 1차적으로 상기 덮개(150)를 통해 상기 배수로(120)에 유입되고, 2차적으로 상기 통수구(140)를 거쳐 저류조(130)에 유입된다. 저류조(130)에 유입된 빗물은 일정기간 저장되나, 상기 편형 트랜치 블록(100)은 다공성 재질로 제작된 것이므로 저장된 빗물이 시간차를 두고 서서히 상기 바닥부(11)를 투과하여 지중에 침투하게 된다. 물론, 상기 중층바닥부(13) 역시 상기 트랜치 블록(100)의 일부로서 다공성 재질로 형성된 것이므로 상기 배수로(120)의 빗물 일부는 상기 중층바닥부(13)를 투과하여 상기 저류조(130)에 유입된다.
한편, 상기 바닥부(11)의 전면 또는 후면에 종방향으로 빗물침투홈(60)을 형성시키고, 상기 편형 트랜치 블록(100)을 세워서 연접 배치할 때 인접하는 편형 트랜치 블록(100)의 2개 빗물침투홈(60)이 맞대어 이어짐으로써 1개의 빗물침투구(160)로 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저류조(130)에 저장된 빗물이 상기 바닥부(11)를 전체적으로 투과하여 지중에 침투되면서도, 상기 빗물침투구(160)를 통한 집중 침투 구간이 형성된다. 다만, 상기 빗물침투구(160)는 상기 통수구(140)와 수직 연통되지 않는 부위에 형성시킴으로써 낙수에 의해 지면이 파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통수구(140)에는 필터(145)를 설치하여, 상기 저류조(130)에 유입되는 빗물이 필터링을 거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필터(145)는 주기적인 세척 또는 교체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필터(145) 설치 여부에 따라 본 발명이 제공하는 다단 트랜치 구조물(200)의 기능에 변화가 발생한다.
상기 필터(145)가 미설치된 경우, 상기 배수로(120)에 유입된 빗물은 일단 상기 통수구(140)를 통해 상기 저류조(130)에 흘러들어 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다단 트랜치 구조물(200)은 빗물 저장 기능을 우선적으로 수행하여, 평시에는 저장된 빗물이 서서히 지반으로 스며들도록 한다. 상기 저류조(130)의 일시적 빗물 저장 용량을 초과하는 집중 호우 시에는 상기 저류조(130)의 빗물이 상기 통수구(140)를 통해 월류하여 상기 배수로(120)를 따라 배수된다.
상기 필터(145)가 설치된 경우, 상기 필터(145)를 통한 단위 면적-시간 당 빗물 투과량과 다공성 재질의 상기 중층바닥부(13)를 통한 단위 면적-시간 당 빗물 투과량에 큰 차이가 없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다단 트랜치 구조물(200)은 배수 기능을 우선적으로 수행하여, 유입된 빗물이 상기 배수로(120)를 따라 배수되면서, 일부가 상기 중층바닥부(13) 또는 필터(145)를 거쳐 저류조(130)에 유입된다. 집중 호우 시에도 배수 기능이 우선시 되며, 배수 중인 빗물의 일부가 상기 저류조(130)로 유출되므로 그 유출량 만큼 배수 용량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편형 트랜치 블록(100)의 연속 배치에 따라 홈 또는 턱 형태로 구비된 인양걸이부(70)도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된다.
상기 다단 트랜치 구조물(200)을 축조하거나 유지 관리 및 보수 과정에서 상기 인양걸이부(70)에 그립을 끼워 상기 편형 트랜치 블록(100)을 개별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편형 트랜치 블록(100)의 하부에는 다공성 재질로 제작된 기초블록(170)을 포설해 둘 수 있다([도 5] 참조). 상기 기초블록(170)으로는 등록특허 10-1560719호, 등록특허 10-1896264호 등에 나타난 田자형 블록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 : 블록 몸체부
11 : 바닥부
12 : 측벽부 13 : 중층바닥부
14 : 격벽부
20 : 상공간부 30 : 하공간부
40 : 통수홈 50 : 거치단
60 : 빗물침투홈 70 : 인양걸이부
100 : 편형 트랜치 블록
120 : 배수로 130 : 저류조
140 : 통수구 145 : 필터
150 : 덮개 160 : 빗물침투구
170 : 기초블록
200 : 다단 트랜치 구조물
12 : 측벽부 13 : 중층바닥부
14 : 격벽부
20 : 상공간부 30 : 하공간부
40 : 통수홈 50 : 거치단
60 : 빗물침투홈 70 : 인양걸이부
100 : 편형 트랜치 블록
120 : 배수로 130 : 저류조
140 : 통수구 145 : 필터
150 : 덮개 160 : 빗물침투구
170 : 기초블록
200 : 다단 트랜치 구조물
Claims (6)
- 다공성 재질로 제작되고, 세워져 설치되는 편형(扁形) 블록으로서,
바닥부(11), 상기 바닥부(11)의 양 측에 형성된 측벽부(12) 및 상기 측벽부(12) 중단을 가로질러 구비된 중층바닥부(13)를 포함하는 블록 몸체부(10);
상기 중층바닥부(13) 상부에 상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상공간부(20);
상기 중층바닥부(13) 하부에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된 하공간부(30);
상기 중층바닥부(13)의 전면 또는 후면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통수홈(40); 및
상기 측벽부(12) 상단 내벽면 측에 형성된 거치단(50); 을 포함하여 구성된 편형 트랜치 블록(100).
- 제1항에서,
상기 블록 몸체부(10)는 상기 상공간부(20) 및 하공간부(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종단 분할하는 격벽부(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형 트랜치 블록(100).
- 제1항에서,
상기 바닥부(11)의 전면 또는 후면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통수홈(40)과 수직 연통되지 않는 부위에 형성된 빗물침투홈(6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형 트랜치 블록(100).
- 제1항에서,
상기 측벽부(12)의 외벽면측에 홈 또는 턱 형태로 구비된 인양걸이부(7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형 트랜치 블록(100).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편형 트랜치 블록(100)을 도로변을 따라 지중(地中)에 연속 배치하여 구축되는 선형 구조물로서,
상기 상공간부(20)의 연접에 의해 배수로(120)가 형성되고,
상기 하공간부(30)의 연접에 의해 저류조(130)가 형성되며,
연접하는 상기 편형 트랜치 블록(100) 2개의 통수홈(40)을 조합하여 통수구(140)가 형성되고,
연접하는 상기 거치단(50)을 따라 덮개(1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트랜치 구조물(200).
- 제5항에서,
상기 통수구(140)에 필터(14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트랜치 구조물(2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6230A KR20220149073A (ko) | 2021-04-30 | 2021-04-30 | 편형 트랜치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단 트랜치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6230A KR20220149073A (ko) | 2021-04-30 | 2021-04-30 | 편형 트랜치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단 트랜치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9073A true KR20220149073A (ko) | 2022-11-08 |
Family
ID=84041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6230A KR20220149073A (ko) | 2021-04-30 | 2021-04-30 | 편형 트랜치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단 트랜치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49073A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8773B1 (ko) | 2011-03-14 | 2011-11-02 | 주식회사 계룡 |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
KR101141308B1 (ko) | 2011-06-30 | 2012-07-11 | 이상우 | 우수 침투 및 저류 시스템 |
KR101896264B1 (ko) | 2016-08-11 | 2018-09-07 | 최희용 | 전처리 일체형 조립식 빗물 침투-저류 시설 |
KR101997173B1 (ko) | 2017-11-22 | 2019-07-08 | 김정곤 | 단계적 여과방식 빗물 저류 시스템 |
KR102053044B1 (ko) | 2017-05-11 | 2019-12-06 | 이환규 | 보도블록 경사면과 저류 침투형 탄소 복합 소재 투수 보도 블록 조립체를 연계한 우수 유출 저감형 투수성 보도블록 포장 시공 시스템 |
-
2021
- 2021-04-30 KR KR1020210056230A patent/KR20220149073A/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8773B1 (ko) | 2011-03-14 | 2011-11-02 | 주식회사 계룡 |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
KR101141308B1 (ko) | 2011-06-30 | 2012-07-11 | 이상우 | 우수 침투 및 저류 시스템 |
KR101896264B1 (ko) | 2016-08-11 | 2018-09-07 | 최희용 | 전처리 일체형 조립식 빗물 침투-저류 시설 |
KR102053044B1 (ko) | 2017-05-11 | 2019-12-06 | 이환규 | 보도블록 경사면과 저류 침투형 탄소 복합 소재 투수 보도 블록 조립체를 연계한 우수 유출 저감형 투수성 보도블록 포장 시공 시스템 |
KR101997173B1 (ko) | 2017-11-22 | 2019-07-08 | 김정곤 | 단계적 여과방식 빗물 저류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3845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retention or detention | |
JP2007520651A (ja) | 木の根及び嵐の水に対する一体化システム | |
KR101896264B1 (ko) | 전처리 일체형 조립식 빗물 침투-저류 시설 | |
KR20120065375A (ko) | 물의 유동을 관리하기 위한 조립체 및 모듈 | |
KR101052857B1 (ko) | 우수 저류조용 블록과 우수 저류조 및 우수 저류조용 블록을 이용한 우수 저류조 시공방법 | |
JP4772662B2 (ja) | 浸透システム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JP4833916B2 (ja) | 貯留浸透システム | |
KR102095581B1 (ko) | 조립식 빗물 저류용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및 시공방법 | |
KR20220149073A (ko) | 편형 트랜치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단 트랜치 구조물 | |
KR20220149076A (ko) | 빗물 저류-배수용 편형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호우 방재형 다단 빗물 침투 측구 구조물 | |
CN208594610U (zh) | 海绵城市调蓄结构 | |
KR102406486B1 (ko) | 시인성을 확보한 호우 방재형 다단 빗물 침투 측구 구조물 | |
KR102256179B1 (ko) | 도시 빗물 순환 시스템 | |
NL2024264B1 (en) | Urban artificial wetland and method for building such an urban artificial wetland. | |
US20220268008A1 (en) | Modular rain garden system | |
JP2022011215A (ja) | 貯留システム | |
KR101542568B1 (ko) | 블록에 의한 시공이 가능한 부등침하 방지 투수성 도로 포장 침투 시설 | |
KR200324301Y1 (ko) |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 | |
KR102154399B1 (ko) | 배수시스템 | |
KR100926539B1 (ko) | 지열과 우수의 순환을 통한 석재포장 보도의 온도 습도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석재포장 보도의 시공방법 | |
KR102644552B1 (ko) |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 | |
CN213772758U (zh) | 一种市政道路的排水路基结构 | |
JP2020045622A (ja) | 貯水システム | |
RU2828694C2 (ru) | Высокопрочная дорога для системы регулирования водных ресурсов в ответ на изменение климата | |
JP2559892Y2 (ja) | 雨水浸透貯留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137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628 Effective date: 2023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