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301Y1 -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301Y1
KR200324301Y1 KR20-2003-0014993U KR20030014993U KR200324301Y1 KR 200324301 Y1 KR200324301 Y1 KR 200324301Y1 KR 20030014993 U KR20030014993 U KR 20030014993U KR 200324301 Y1 KR200324301 Y1 KR 2003243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ember
water
assembled
packaging
wate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9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호
Original Assignee
한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호 filed Critical 한승호
Priority to KR20-2003-00149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3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3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3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빗물이나 유수의 지하 투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지하수 고갈을 야기 시키고 과도한 강우시 홍수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포장의 하방의 토양에서는 혐기성 미생물의 증식에 따라 지하수의 오염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block set)에 있어서,
포장부재는, 이에 상응하는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에 끼워져 조립 설치되어,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포장부재와 이에 인접(隣接)하여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포장부재 사이에 하방(下方)으로 통수(通水)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 크기의 제1 통수용 공간부(通水用 空間部)가 이루어짐이 가능하도록 된 소정 크기와 소정 형상의 포장부재로서 구비되고,
구획벽에는,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포장부재와 이에 인접(隣接)하여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포장부재 사이에 상기 제1 통수용 공간부(通水用 空間部)가 이루어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가 형성되고, 아울러 이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는,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에 상응하여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상기 포장부재와 이에 상응하는 상기 구획벽 사이에 하방(下方)으로 통수(通水)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 크기의 제2 통수용 공간부(通水用 空間部)가 이루어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支持 部材(member))로서 형성된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강우시(降雨時) 특히 집중 강우시 하방(下方)으로 빗물이나 유수가 용이하게 통수(通水) 내지 투수(透水)됨이 가능하여 표면에서의 유수량(流水量)을 최소화하며, 아울러 빗물이나 유수가 본체의 하부에서 적절히 체류(滯留)됨이 가능하여, 지하 투수가 적절하게 조절되어 용이하게 이루어짐이 가능하여, 포장에 따른 지하수 고갈의 방지가 가능하며, 집중 강우시에도 홍수 방지가 가능하고, 또한 지하수 오염의 방지가 가능하고, 아울러 다양한 선택이 가능한 포장부재의 설치가 가능하고, 시공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Built-up pavement member block set}
본 고안은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block se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강우시(降雨時), 특히 집중 강우시, 하방(下方)으로 빗물이나 유수(流水)가 용이하게 통수(通水) 내지 투수(透水)가 가능하여 표면에서의 유수량(流水量)을 최소화하며, 아울러 빗물이나 유수가 본체의 하부에서 적절한 체류(滯留)가 가능하여 지하 투수가 적절히 조절되어 용이하게 이루어짐이 가능하여 포장에 따른 지하수 고갈의 방지가 가능하며, 또한 지하수 오염의 방지가 가능하고, 아울러 다양한 선택이 가능한 포장부재의 설치가 용이하게 가능하고, 시공이 용이하도록 된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서, 포장재로서 판석(板石) 또는 사괴석(四塊石, 일명 사고석)이 포장되는 경우 모르타르(mortar)[즉, 시멘트와 모래와 물의 혼합물]을 반죽하여 바닥에 깔고 판석이나 사괴석을 모르타르 위에 설치하여 시공하여, 포장재 끼리의 좌우 및 전후 정렬과 높낮이 맞추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였으며, 양생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양생을 위한 온도 및 습도 조건에 맞추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포장재의 파손 또는 유실 등 하자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 보수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고, 빗물의 지하 투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지하수 고갈을 야기시키고 과도한 강우시 홍수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포장 하방의 토양에서는 혐기성 미생물의 증식 가능성에 따라 지하수의 오염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철거가 불가능하여 재사용 내지 재활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기술에서, 포장재로서, 종래의 콘크리트 내지 세라믹 재질로 된 조립식 블록 포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잡석(雜石)으로 기초 다짐을 한 후에, 이 기초 다짐된 잡석 위에 모래를 포설하여 시공하여, 종래의 콘크리트 내지 세라믹 재질로 된 조립식 블록 포장을 포장재 끼리의 좌우 및 전후 정렬과 높낮이 맞추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였으며, 포장재의 파손 또는 유실 등 하자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 보수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고, 빗물의 지하 투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지하수 고갈을 야기시키고 과도한 강우시 홍수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더욱이 콘크리트 내지 세라믹 재질로 된 조립식 블록 포장에서는 더욱이 철거가 불가능하여 재사용 내지 재활용이 불가능하였다.
종래의 기술로서, 포장재로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량 면적의 공사에서는 유리하나, 특별한 문양의 시공이 어렵고, 작은 면적의 시공에서는 포장용 중장비가 아닌 인력에 의한 시공이 되어 소정의 품질의 포장면 처리가 어려우며, 포장재의 파손 또는 유실 등 하자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 보수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고, 빗물의 지하 투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지하수 고갈을 야기시키고 과도한 강우시 홍수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더욱이 더욱이 철거가 불가능하여 재사용 내지 재활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기술인, 본 고안의 고안자에 의한 선출원 선등록의 고안인 실용신안등록 제0118234호[출원번호 실1995-012434, 고안의 명칭 "포장용 조립배열식 블록상자 세트"]에서는, 도12a 및 도12b와, 도13a 및 도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부재(포장용 블록)(1)가 본체(상자)(100)에 조립 체결됨에서, 포장부재와 이에 인접하는 같은 구성의 별개의 포장부재가 서로 밀착하여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구성이었고, 하방(下方)으로 통수(通水) 내지 투수(透水) 가능하게 하는 통수용 공간부(通水用 空間部)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구성이었음에 따라,
강우시(降雨時) 특히 집중 강우시 하방(下方)으로 빗물이나 유수가 용이하게 통수(通水) 내지 투수(透水)됨이 어렵고, 포장부재와 이에 인접하는 같은 구성의별개의 포장부재가 서로 밀착하여 그 미세한 틈새 마저 이물질이나 이끼가 끼어 상기 미세한 틈새는 완전히 막혀 폐쇄되어 버려, 빗물 또는 유수의 지하 투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지하수 고갈을 야기시키고 과도한 강우시 홍수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포장부재의 하방 공간의 토양에서는 혐기성 미생물의 증식에 따라 지하수의 오염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포장부재와,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와,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와 이에 인접한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 사이의 구획벽과, 가장자리벽과, 포장부재 지지부와, 바닥부와, 바닥부의 배수용(排水用) 관통구멍과, 본체의 가장자리의 체결용 걸이부와 체결용 걸이 끼움부가 구비된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block set)에 있어서,
상기 포장부재는, 이에 상응하는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에 끼워져 조립 설치되어,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포장부재와 이에 인접(隣接)하여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포장부재 사이에 하방(下方)으로 통수(通水)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 크기의 제1 통수용 공간부(通水用 空間部)가 이루어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 크기와 소정 형상의 포장부재로서 구비되고,
상기 구획벽에는,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포장부재와 이에 인접(隣接)하여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포장부재 사이에 상기 소정 크기의 제1 통수용 공간부(通水用 空間部)가 이루어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支持 部材(member))가 형성되고,
아울러 이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는, 상기 포장부재와 이에 상응하는 상기 구획벽 사이에 하방(下方)으로 통수(通水)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 크기의 제2 통수용 공간부(通水用 空間部)가 이루어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支持 部材(member))로서 형성된 구성에 의하여,
강우시(降雨時) 특히 집중 강우시 하방(下方)으로 빗물이나 유수가 용이하게 통수(通水) 내지 투수(透水)됨이 가능하여 표면에서의 유수량(流水量)을 최소화하며, 아울러 빗물이나 유수가 본체의 하부에서 적절히 체류(滯留)됨이 가능하여, 지하 투수가 적절하게 조절되어 용이하게 이루어짐이 가능하여 포장에 따른 지하수 고갈의 방지가 가능하며, 집중 강우시에도 홍수 방지가 가능하고, 또한 지하수 오염의 방지가 가능하고,
아울러 공원이나 주차장, 보도(步道) 등에서 주위 환경에 어울리는 다양한 선택이 가능한 포장부재의 설치가 가능하고, 포장부재 끼리 및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의 본체 끼리의 좌우 및 전후 정렬이나, 높낮이를 맞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없이, 조립식 설치에 의한 시공이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포장부재의 파손이나 유실 등 하자가 발생하는 경우 그 보수 관리가 용이하고, 그 철거가 용이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평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본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본체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6은 도1의 A-A'선 단면도,
도7는 도6의 M의 확대 단면도,
도8a은 도3의 N의 확대 평면도,
도8b는 도3의 N의 해당 부분의 제2 통수용 공간부 및 그 관련부분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확대 횡단면도,
도9는 도4의 S의 확대 사시도,
도10은 도4의 B-B'선 단면도,
도11은 도10의 T의 확대 단면도,
도12a는 종래 기술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사시도,
도12b는 종래 기술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
도13a는 종래 기술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사시도
도13b는 종래 기술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포장부재(部材, member), 10a : 제1 통수용 공간부(通水用 空間部),
20 : 본체,
21 : 구획벽, 21a : 제2 통수용 공간부(通水用 空間部), 21b :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支持 部材(member)), 21b' :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의 횡단면(橫斷面), 21b-1 :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의 돌출끝단부, 21b'-1 :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의 횡단면의 돌출끝단부, 21b-2 :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의 돌출시작부(始作部), 21b'-2 :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의 횡단면의 돌출시작부(始作部), 22 : 가장자리벽, 25 : 포장부재 지지부, 29 : 바닥부, 29b : 배수용(排水用) 관통구멍,
30 :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
51 : 체결용 걸이부, 52 : 체결용 걸이 끼움부
본 고안은 그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은, 도1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서,
포장부재(部材, member)(10)가 끼워져 조립 설치 가능하도록 본체(20)의 상부(上部)에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가 구비되고,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와, 이에 인접(隣接)한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 사이에 구획벽(21)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2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를 내포(內包)하는 가장자리벽(22)이 구비되고,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의 하방(下方)에는 상기 포장부재(10)를 상방(上方)으로 지지 가능하도록 된 포장부재 지지부(25)가 형성되어, 상기 포장부재(10)가 이에 상응하는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에 끼워져 조립 설치되고, 바닥부(29)에는 배수용(排水用) 관통구멍(29b)이 형성되고, 본체(20)의 가장자리에는 소정의 위치에 체결용 걸이부(51)와, 같은 구성의 별개의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block set)의 체결용 걸이부가 상응하여 걸어 끼워져 체결 가능하도록 된 체결용 걸이 끼움부(52)가 구비된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block set)에 있어서,
상기 포장부재(10)는, 이에 상응하는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에 끼워져 조립 설치되어,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포장부재(10)와 이에 인접(隣接)하여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포장부재(10) 사이에 하방(下方)으로 통수(通水)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 크기의 제1 통수용 공간부(通水用 空間部)(10a)가 이루어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 크기와 소정 형상의 포장부재(10)로서 구비된다.
상기 소정 크기의 제1 통수용 공간부(10a)의 상기 소정 크기는, 그 폭이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포장부재(10)와, 이에 인접하여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포장부재(10) 사이의 간격으로서, 상기 구획벽(21)의 두께(t1)와; 이 구획벽(21)에서 이에 상응하는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를 향(向)하여 돌출되어 그 횡단면(21b')의 돌출끝단부(21b'-1)가 이에 상응하는 포장부재(10)에 접(接)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21b)의 두께(t2)[즉, 상기 횡단면(21b')에서 그 돌출끝단부(21b'-1)로부터 횡단면(21b')의 상응하는 구획벽(21)에 이어진 부분(즉, 돌출시작부(21b'-2))까지의 거리 만큼의 두께(t2)임]와; 상기 구획벽(21)과 같은 구획벽(21)에서, 이 구획벽(21)을 사이에 두고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에 인접하는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를 향(向)하여 돌출되어 그 횡단면(21b')의 돌출끝단부(21b'-1)가 이에 상응하는 포장부재(10)에 접(接)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21b)의 두께(t2)[즉, 상기 횡단면(21b')에서 그 돌출끝단부(21b'-1)로부터 횡단면(21b')의 상응하는 구획벽(21)에 이어진 부분(즉, 돌출시작부(21b'-2))까지의 거리 만큼의 두께(t2)임]를 합(合)한 크기이다.
상기 소정 크기의 제1 통수용 공간부(10a)의 상기 소정의 크기는, 그 폭이,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포장부재(10)와, 이에 인접하여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포장부재(10) 사이의 간격으로서, 강우시(降雨時) 특히 집중 강우시 하방(下方)으로 빗물이나 유수가 적절한 유속으로 용이하게 흘러내려 통수(通水) 가능하도록 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장부재(10)의 상기 소정 크기는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어 상기 소정 크기의 제1 통수용 공간부(10a)가 이루어짐을 가능하게 하는 크기이며,
상기 포장부재(10)의 상기 소정 형상은 그 상면(上面)과 그 하면(下面)이 정사각형의 평면을 이루는 직육면체의 형상이 바람직하며,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형성된 형상의 구성이 가능하며, 상기 직육면체의 형상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에 따른 새로운 통수용 공간부의 구성을 추가하는 구성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적절하게 형성된 형상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에 따른 새로운 통수용 공간부의 구성을 추가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고안은, 상기 구획벽(21)에는,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상기 포장부재(10)와, 이에 인접(隣接)하여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포장부재(10) 사이에, 상기 소정 크기의 제1 통수용 공간부(通水用 空間部)(10a)가 이루어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支持 部材(member))(21b)가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21b)는,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에 상응하여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상기 포장부재(10)와, 이에 상응하는 상기 구획벽(21) 사이에, 하방(下方)으로 통수(通水)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 크기의, 제2 통수용 공간부(通水用 空間部)(21a)가 이루어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支持 部材(member))(21b)로서 형성된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block set)이다.
상기 제1 통수용 공간부(10a)는,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포장부재(10)와, 이에 인접하여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포장부재(10) 사이에서, 이 사이의구획벽(21)의 양면(兩面)에 형성된, 그 일면의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21b)와, 그 타면의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21b)에 의하여 상응하는 상기 포장부재(10)가 지지되어, 유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통수용 공간부(21a)는,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포장부재(10)와, 이에 인접하여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포장부재(10) 사이에서, 이 사이의 구획벽(21)의 양면(兩面)에 형성된, 그 일면과 그 타면의 각각의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21b)에 의하여 상응하는 상기 포장부재(10)가 지지되어, 상기 그 일면과 그 타면에 각각 상응하여 유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통수용 공간부(10a)는 상기 제2 통수용 공간부(21a)와 서로 통수 유로(通水 流路)가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소정 크기의 제2 통수용 공간부(21a)의 상기 소정의 크기는,
그 폭이,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21b)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포장부재(10)와, 이에 상응하는 구획벽(21) 사이의 간격의 크기로서, 강우시(降雨時) 특히 집중 강우시 하방(下方)으로 빗물이나 유수가 적절한 유속으로 조절되어 용이하게 흘러내려 통수(通水) 가능하도록 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2 통수용 공간부(通水用 空間部)(21a)는 통수 유로(通水 流路)가 상하(上下)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支持 部材(member))(21b)는 적절한 소정 갯수로 상기 구획벽(21)에서 그 횡단면(橫斷面)(21b')의 돌출끝단부(21b'-1)가, 이에 상응하는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를 향(向)하여, 돌출(突出)되어 이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에 끼워져 조립 설치되어 상응하는 포장부재(10)에 접(接)하는 형상을 이루며, 이러한 형상의 횡단면(21b')이 상기 바닥부(29)에 대하여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 만큼 연속(連續)된 형상으로 형성된 구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21b)의 상기 소정의 길이는, 상기 구획벽(21)의 상단면(上端面) 내지 그 이하의 부근(附近)으로부터 수직으로,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상기 포장부재(10)의 하면(下面)까지의 길이의 구성과; 상기 구획벽(21)의 상단면(上端面) 내지 그 이하의 부근으로부터 수직으로,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상기 포장부재(10)의 하면(下面) 이하로서 상기 본체(20)의 바닥부(29)의 상면(上面)까지의 길이의 구성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21b)의 상기 횡단면(21b')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직삼각형, 정삼각형, 반원형(半圓型) 등 상기 제1 통수용 공간부(10a)와 상기 제2 통수용 공간부(21a)를 함께 이룰 수 있는 형상의 구성은 모두 가능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21b)는 상기 제1 통수용 공간부(10a)와 상기 제2 통수용 공간부(21a)가 이루어짐이 가능하게 하는 여러개의 엠보싱(embossing)이 상기 구획벽(21)에 형성된 구성도 가능하다[다만, 그 도시는 생략함].
상기 구획벽(21)은 상기 바닥부(29)의 상면(上面)으로부터 상기 구획벽(21)의 상단면(上端面)까지의 그 높이가, 상기 바닥부(29)의 상면(上面)으로부터, 상기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포장부재(10)의 상단면(上端面)까지의 높이보다 상기 제1 통수용 공간부(10a)의 높이 만큼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포장부재(10)는 사람의 발(足)로부터의 무게나 자동차의 타이어로부터의 무게 등 상방으로부터의 하중(荷重)를 견딜수 있는 재질로서, 화강석 판석(板石)이 바람직하며, 그밖에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또는 나무재(방부(防腐) 처리된 나무재임), 또는 콘크리트재, 세라믹재 등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20)의 하부의 공간부(40)[즉, 상기 본체(20)에서,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의 하방(下方)의 공간부로서 상기 가장자리벽(22)에 둘러싸이고 상기 포장부재 지지부(25)가 차지하는 공간부를 제외한 공간부임]에는 모래 등 기초 다짐용 부재가 채워지는 구성, 또는 그 공간부 그대로 빈 상태가 유지되는 구성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 본체(20)는 사람의 발(足)로부터의 하중(荷重) 또는 자동차의 타이어로부터의 하중(荷重) 등의 하중(荷重)을 견딜 수 있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이다.
본 고안의 시공에서,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의 하방에는 통상의 방식에 의한 기초 다짐 시공이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의 본 고안의 작용은 도1 내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기와 같다.
본 고안에서, 상기 포장부재(10)는, 이에 상응하는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에 끼워져 조립 설치되어,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포장부재(10)와 이에 인접(隣接)하여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포장부재(10) 사이에 하방(下方)으로 통수(通水)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 크기의 제1 통수용 공간부(通水用 空間部)(10a)가 이루어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 크기와 소정 형상의 포장부재(10)로서 구비된다. 즉,
상기 포장부재(10)는, 이에 상응하는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에 끼워져 조립 설치됨에서, 이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에서 이에 상응하여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상기 포장부재(10)가 차지하는 공간부를 제외한 그 나머지인 공간부 중 상기 제2 통수용 공간부(21a)의 상방(上方)인 공간부가 상기 제1 통수용 공간부(10a)인데,
이 제1 통수용 공간부(10a)를 통하여 강우시(降雨시) 특히 집중 강우시 하방(下方)으로 빗물이나 유수(流水)가 적절한 유속으로 조절되어 용이하게 흘러내려 통수(通水) 가능하여 지하로 통수(通水) 내지 투수(透水) 가능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 빗물이나 유수가 하방(下方)으로 상기 적절한 유속으로 조절되어 용이하게 흘러내려 상기 제1 통수용 공간부(10a)를 통하여 통수(通水) 가능하기 위한 상기 포장부재(10)의 상기 소정 크기는, 그 횡단면(橫斷面)에서, 상기 포장부재(10)의 횡단면의 면적이, 이 포장부재(10)가 이에 상응하여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의 횡단면의 면적보다 상기 제1 통수용 공간부(10a)의 횡단면의 상응하는 면적 만큼 작은 면적의 소정의 크기이며,
그 형상 즉 상기 포장부재(10)의 상기 소정 형상은 그 횡단면(橫斷面)에서, 이 포장부재(10)가 이에 상응하여 조립 설치되는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의횡단면의 형상에 따라 상기 제1 통수용 공간부(10a)의 횡단면의 상응하는 면적 만큼 작은 면적의 크기가 형성되는 소정 형상인 구성임에 따라, 상기 포장부재(10)의 상기 소정 크기와 상기 소정 형상에 의하여, 상기 제1 통수용 공간부(10a)가 이루어짐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상기 구획벽(21)에는,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상기 포장부재(10)와, 이에 인접(隣接)하여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포장부재(10) 사이에, 상기 소정 크기의 제1 통수용 공간부(通水用 空間部)(10a)가 이루어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支持 部材(member))(21b)가 형성되므로,
상기 포장부재(10)는, 이 포장부재(10)가 이에 상응하여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에 상응하는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21b)에 의하여 지지되어, 이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에 안정되게 조립 설치 가능하며, 아울러 이에 따라 상기 제1 통수용 공간부(10a)도 상기 빗물이나 유수가 하방으로 통수 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소정의 크기가 안정되게 유지됨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제1 통수용 공간부(10a)는 상기 빗물이나 유수가 하방으로 통수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 안정되게 유지됨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1 통수용 공간부(10a)를 통하여, 도7의 화살표 P 표시와 같이, 상기 빗물이나 유수가 하방(下方)으로 상기 적절한 유속으로 조절되어 용이하게 흘러내려, 제2 통수용 공간부(21a)를 향(向)하여 통수(通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1 통수용 공간부(10a)에 의하여 상기 빗물이나 유수가 하방(下方)으로 통수(通水) 가능하여, 표면에서의 유수량을 최소화함이 가능하여, 지하에의 통수(通水) 내지 투수(透水)가 최대화함이 가능하여, 지하수 고갈의 방지가 가능하다.
또한, 강우시(降雨時)가 아닌 경우에, 상기 제1 통수용 공간부(10a)를 통하여, 공기가 출입이 가능하며, 미세하나마 햇빛 등 광선이 비추어질 수 있음에 따라, 포장부재(10) 하방의 모래 등 기초 다짐용 부재에서 혐기성 미생물의 성장을 최소화함이 가능하여 혐기성 미생물의 존재에 따른 토양의 썩음을 최소화함이 가능하여 지하수 오염의 방지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21b)는 상기 작용에 더하여 , 아울러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에 상응하여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상기 포장부재(10)와, 이에 상응하는 상기 구획벽(21) 사이에, 하방(下方)으로 통수(通水) 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소정 크기의, 제2 통수용 공간부(通水用 空間部)(21a)가 이루어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支持 部材(member))(21b)로서 형성되므로,
상기 포장부재(10)가 이에 상응하는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에 안정되게 끼워져 조립 설치됨에 따라,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포장부재(10)와 이에 상응하는 구획벽(21) 사이는, 상기 제2 통수용 공간부(21a)로서, 이 구획벽(21)에 형성된 상응하는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21b)에 의하여 안정되게 유지되어, 안정되게 상기 소정 크기의 제2 통수용 공간부(21a)가 이루어짐이 가능하다.
상기 제1 통수용 공간부(10a)는 그 하방(下方)에,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21b)에 의하여 이루어진, 상기 제2 통수용 공간부(21a)가 이어져, 상기 제2 통수용 공간부(21a)를 통하여도, 도7의 화살표 Q 표시와 같이, 상기 빗물이나 유수가 하방(下方)으로 통수(通水) 가능하여, 표면에서의 유수량을 최소화함이 가능하며, 지하에의 통수 내지 투수가 적절히 유속이 조절되어 가능하여, 지하수 고갈의 방지가 가능하다.
또한, 강우시(降雨時)가 아닌 경우에, 상기 제1 통수용 공간부(10a)에 이어져 상기 제2 통수용 공간부(21a)를 통하여, 공기가 출입이 가능하며, 미세하나마 햇빛 등 광선이 비추어질 수 있음에 따라, 포장부재(10) 하방의 모래 등 기초 다짐용 부재에서 혐기성 미생물의 성장을 최소화함이 가능하여 혐기성 미생물의 존재에 따른 토양의 썩음을 최소화함이 가능하여 지하수 오염의 방지가 가능하다.
본 고안은,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2 통수용 공간부(通水用 空間部)(21a)는 그 통수 유로(通水 流路)가 상하(上下)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支持 部材(member))(21b)는 상기 구획벽(21)에서 그 횡단면(橫斷面)(21b')의 돌출끝단부(21b'-1)가, 이에 상응하는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를 향(向)하여, 돌출(突出)되어 이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에 끼워져 조립 설치되어 상응하는 포장부재(10)에 접(接)하는 형상을 이루며, 이러한 형상의 횡단면(21b')이 상기 바닥부(29)에 대하여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 만큼 연속(連續)된 형상으로 형성된 구성이므로,
상기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빗물이나 유수가 상하 방향으로 통수 유로가 형성되어 하방으로의 유속이 빠르며, 이러한 통수 유로는 상기 바닥면(29)에 대하여 상기 수직으로 형성된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21b)의 구성에 의하여, 하방으로의 유속이 빠르게 되어, 표면에서의 유수량을 효율적으로 최소화함이 가능하다.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21b)의 상기 소정의 길이가, 상기 구획벽(21)의 상단면(上端面) 내지 그 이하의 부근(附近)으로부터 수직으로,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상기 포장부재(10)의 하면(下面)까지의 길이의 구성인 경우에는, 상기 수직으로 형성된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21b)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2 통수용 공간부(21a)에서는 상기 포장부재(10)의 하면(下面)까지의 길이에서, 하방으로의 유속이 빠르게 되어, 표면에서의 유수량을 효율적으로 최소화함이 가능하다.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21b)의 상기 소정의 길이가, 상기 구획벽(21)의 상단면(上端面) 내지 그 이하의 부근으로부터 수직으로,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상기 포장부재(10)의 하면(下面) 이하로서 본체(20)의 바닥부(29)의 상면(上面)까지의 길이의 구성인 경우에는, 상기 수직으로 형성된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21b)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2 통수용 공간부(21a)에서는 상기 포장부재(10)의 하면(下面) 이하로서 본체(20)의 바닥부(29)의 상면(上面)까지의 길이에서, 하방으로의 유속이 빠르게 되어, 표면에서의 유수량을 더욱 효율적으로 최소화함이 가능하다.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21b)는 상기 구획벽(21)에 형성된 여러개의 엠보싱(embossing)으로 구성된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빗물이나 유수가 하방으로 투수 가능하도록 된 상기 제1 통수용 공간부(10a)와 상기 제2 통수용 공간부(21a)를 이룸이 가능하여, 상기 빗물이나 유수가 하방으로 통수되어 지하에의 통수 내지 투수 가능하다.
상기 제1 통수용 공간부(10a)와 상기 제2 통수용 공간부(21a)를 통하여, 하방으로 통수된 상기 빗물이나 유수는,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의 하방에 구성된 공간부(40)[즉, 상기 본체(20)에서,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의 하방의 공간부로서 상기 가장자리벽(22)에 둘러싸이고, 상기 포장부재 지지부(25)가 차지하는 공간부를 제외한 부분인 공간부임]로 유입된다.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의 하방에 구성된 상기 공간부(40)에 모래 등 기초 다짐용 부재가 채워지는 경우에는, 상기 빗물이나 유수는 이 모래 사이 사이에 이루어지는 모세관적 통수 가능 공간에서 적절히 체류(滯留)되어 그 유속이 적절히 조절되어 상기 빗물이나 유수가 하방(下方)으로 통수 가능하게 된다.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의 하방에 구성된 상기 공간부(40)가 그 공간부 그대로 빈 상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빗물이나 유수는 이 공간부(40)의 저수 기능 내지 체류 기능에 따라, 적절히 체류(滯留)되어 그 유속이 적절히 조절되어 상기 빗물이나 유수가 하방(下方)으로 통수 가능하게 된다.
상기 빗물이나 유수는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의 하방에 구성된 공간부(40)를 거쳐, 바닥부(29)에 구성된 통상의 배수용 관통구멍(29b)을 통하여, 지하에의 통수 내지 투수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빗물이나 유수가 하방(下方)으로 통수(通水) 가능하여, 표면에서의 유수량을 최소화함이 가능하며, 지하에의 통수 내지 투수가 적절히 유속이 조절되어 가능하여, 지하수 고갈의 방지가 가능하다.
또한, 강우시(降雨時)가 아닌 경우에, 상기 제1 통수용 공간부(10a)에 이어져 상기 제2 통수용 공간부(21a)를 통하여, 공기가 출입이 가능하며, 미세하나마 햇빛 등 광선이 비추어질 수 있음에 따라, 포장부재(10) 하방의 모래 등 기초 다짐용 부재에서 혐기성 미생물의 성장을 최소화함이 가능하여 혐기성 미생물의 존재에 따른 토양의 썩음을 최소화함이 가능하여 지하수 오염의 방지가 가능하다.
상기 포장부재(10)는, 통행하는 사람의 발의 하중이나, 통행 또는 주차(駐車)시 자동차 타이어의 하중에 대응하여 그 상면이 접(接)하여 상기 사람의 발이나 자동차 타이어를 상방(上方)으로 지지 가능하도록, 상기 포장부재 지지부(25)에 의하여 지지되며, 아울러 포장부재 설치공간부(30)에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21b)에 의하여 지지되어 끼워져 조립 설치 가능한 상기 소정 형태로 구성되므로,
상기 포장부재(10)는 상기 포장부재 지지부(25)에 의하여 상방(上方)으로 지지되며, 아울러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에 안정되게 끼워져 조립 설치되어,
본 고안에 의한 시공에서 상기 포장부재(10)는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에 끼워져 조립 설치함이 용이하여, 상기 포장부재(10)는 주위 환경에 맞추어 다양한 재질과 다양한 질감과 다양한 무늬와 다양한 색채에 따른 선택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상기 포장부재(10)는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21b)와 상기 포장부재 지지부(25)에 의하여 지지되어,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에 안정되게 끼워져 조립 설치되면, 상기 포장부재(10)들은 서로 같은 구성으로서 그 각각의 상면은 본체(20)의 저면부(29)로부터의 그 각각의 높이가 같으므로,
상기 포장부재(10)들은, 균등하게, 통행하는 사람의 발로부터의 하중, 또는 통행 또는 주차하는 자동차의 타이어로부터의 하중 등 상방으로부터의 하중을 견디어 지지하여, 포장재로서의 그 기능을 유지함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포장부재(10)는 상기 조립 설치에 의하여 용이하게 좌우 및 전후 정렬이 이루어지므로,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상기 포장부재(10) 끼리의 좌우 및 전후 정렬이나, 높낮이를 맞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없이, 상기 조립 설치에 의하여, 그 완벽한 정렬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시공에서, 공원이나 주차장, 보도(步道) 등에서 주위 환경에 어울리는 다양한 재질, 다양한 질감, 다양한 무늬, 다양한 색채 등의 선택 가능의 포장재인 상기 포장부재(10)의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본체(20)의 가장자리에는 소정의 위치의 체결용 걸이부(51)와, 같은 구성의 별개의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의 체결용 걸이 끼움부(52)가 상응하여 서로 체결 가능하므로,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에서 상기 본체(20)와, 이에 인접하는 같은 구성의 별개의 본체(20)는 그 각각의 상기 체결용 걸이부(51)와 상기 체결용 걸이 끼움부(52)의 서로 간의 체결에 의하여, 본 고안의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는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어 넓게 조립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포장재인 상기 포장부재(10) 끼리 및 상기 본체(20) 끼리의 좌우 및 전후 정렬이나, 높낮이를 맞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없이, 조립식 설치에 의한 시공이므로, 그 완벽한 정렬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포장재인 상기 포장부재(10)는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에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구성이므로, 상기 포장부재(10)에 파손이나 유실 등 하자가 발생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정상적인 것으로 대체 가능하다.
상기 구성과 작용의 본 고안에 의하면,
강우시(降雨時) 특히 집중 강우시 하방(下方)으로 빗물이나 유수가 용이하게 통수(通水) 내지 투수(透水)가 가능하여 표면의 유수량(流水量)을 최소화하며, 아울러 빗물이나 유수가 본체의 하부에서 적절히 체류(滯留)됨이 가능하여 지하 투수가 적절하게 조절되어 용이하게 이루어짐이 가능하여 포장에 따른 지하수 고갈의 방지가 가능하며, 집중 강우시에도 홍수 방지가 가능하고, 또한 지하수 오염의 방지가 가능하고,
아울러 공원이나 주차장, 보도(步道) 등 주위 환경에 맞추어 다양한 재질, 다양한 질감, 다양한 무늬, 다양한 색채의 선택 가능의 포장부재의 설치가 용이하게 가능하고, 사람의 발(足)의 하중이나 자동차의 타이어의 하중을 잘 견디며, 아울러 포장부재 및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의 본체 끼리의 좌우 및 전후 정렬이나, 높낮이를 맞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없이, 조립식 설치에 의한 시공이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포장부재의 파손이나 유실 등 하자가 발생하는 경우 용이하게 정상적인 것으로 대체 가능하며 그 보수 관리가 용이하고, 시공의 전체적 또는 일부의 철거가 용이하여 재사용 내지 재활용이 가능하다.

Claims (2)

  1. 포장부재(部材, member)(10)가 끼워져 조립 설치 가능하도록 본체(20)의 상부(上部)에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가 구비되고,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와, 이에 인접(隣接)한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 사이에 구획벽(21)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2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를 내포(內包)하는 가장자리벽(22)이 구비되고,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의 하방(下方)에는 상기 포장부재(10)를 상방(上方)으로 지지 가능하도록 된 포장부재 지지부(25)가 형성되어, 상기 포장부재(10)가 이에 상응하는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에 끼워져 조립 설치되고, 바닥부(29)에는 배수용(排水用) 관통구멍(29b)이 형성되고, 본체(20)의 가장자리에는 소정의 위치에 체결용 걸이부(51)와, 같은 구성의 별개의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block set)의 체결용 걸이부가 상응하여 걸어 끼워져 체결 가능하도록 된 체결용 걸이 끼움부(52)가 구비된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block set)에 있어서,
    상기 포장부재(10)는, 이에 상응하는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에 끼워져 조립 설치되어,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포장부재(10)와 이에 인접(隣接)하여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포장부재(10) 사이에 하방(下方)으로 통수(通水)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 크기의 제1 통수용 공간부(通水用 空間部)(10a)가 이루어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 크기와 소정 형상의 포장부재(10)로서 구비되고,
    상기 구획벽(21)에는,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상기 포장부재(10)와, 이에 인접(隣接)하여 상기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포장부재(10) 사이에, 상기 소정 크기의 제1 통수용 공간부(通水用 空間部)(10a)가 이루어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支持 部材(member))(21b)가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21b)는,
    상기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에 상응하여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상기 포장부재(10)와, 이에 상응하는 상기 구획벽(21) 사이에, 하방(下方)으로 통수(通水)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 크기의, 제2 통수용 공간부(通水用 空間部)(21a)가 이루어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支持 部材(member))(21b)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block set).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수용 공간부(通水用 空間部)(21a)는 그 통수 유로(通水 流路)가 상하(上下)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통수용 공간부 이룸 지지부재(支持 部材(member))(21b)는 그 횡단면(橫斷面)(21b')의 돌출끝단부(21b'-1)가, 이에 상응하는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를 향(向)하여, 돌출(突出)되어 이 포장부재 설치 공간부(30)에 끼워져 조립 설치되어 상응하는 포장부재(10)에 접(接)하는 형상을 이루며, 이러한 형상의 횡단면(21b')이 상기 바닥부(29)에 대하여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 만큼 연속(連續)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block set).
KR20-2003-0014993U 2003-05-15 2003-05-15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 KR2003243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993U KR200324301Y1 (ko) 2003-05-15 2003-05-15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993U KR200324301Y1 (ko) 2003-05-15 2003-05-15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387A Division KR100528363B1 (ko) 2003-05-13 2003-05-13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301Y1 true KR200324301Y1 (ko) 2003-08-25

Family

ID=49413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993U KR200324301Y1 (ko) 2003-05-15 2003-05-15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30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464B1 (ko) * 2005-09-16 2007-03-28 김도환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KR100880152B1 (ko) 2007-11-29 2009-01-23 김도환 공간 잔디블럭
KR100917382B1 (ko) 2007-07-10 2009-09-16 김도환 공간 잔디 블럭
KR100930419B1 (ko) * 2008-07-01 2009-12-08 이지은 보도블럭용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도블럭 시공방법
KR101083745B1 (ko) 2011-04-29 2011-11-15 고선식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시공 공법
KR200462236Y1 (ko) * 2011-11-07 2012-09-03 이윤근 투수 보도판석용 케이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464B1 (ko) * 2005-09-16 2007-03-28 김도환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KR100917382B1 (ko) 2007-07-10 2009-09-16 김도환 공간 잔디 블럭
KR100880152B1 (ko) 2007-11-29 2009-01-23 김도환 공간 잔디블럭
KR100930419B1 (ko) * 2008-07-01 2009-12-08 이지은 보도블럭용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도블럭 시공방법
KR101083745B1 (ko) 2011-04-29 2011-11-15 고선식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시공 공법
KR200462236Y1 (ko) * 2011-11-07 2012-09-03 이윤근 투수 보도판석용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3372B2 (en) Trench drain frame and grate assembly
KR101835881B1 (ko) 투수성 보도블록
KR200324301Y1 (ko)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
KR102095581B1 (ko) 조립식 빗물 저류용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101321992B1 (ko) 블록식 우수 저류조
KR100528363B1 (ko)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
JP7124224B2 (ja) 浅深度部への応用のための地下流体管理用のモジュール及びアセンブリ
KR100708344B1 (ko) 보수 및 투수 포장 스페이서
KR100802994B1 (ko) 대형 우수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H0786247B2 (ja) 複合機能型側溝
JPH0711691A (ja) 地下貯水槽
KR102076482B1 (ko)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
KR102186357B1 (ko)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
KR101950585B1 (ko)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
KR100476833B1 (ko) 잔디보호 블록
JP6931876B2 (ja) 法面補強用透水壁の構築方法
JP2003166281A (ja) 排水用ブロック
KR100936575B1 (ko) 친환경 투수 블록 제작 방법
GB2299605A (en) Drainage installation for roads
KR101733481B1 (ko) 빗물 저장 기능을 갖는 조립식 저류블록을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
JP4092284B2 (ja) 雨水地下浸透構造物とその施工方法
KR200313921Y1 (ko) 잔디보호 블록
KR20160080135A (ko) 다기능 보도블럭 하부구조체 및 그를 사용한 시공방법
JP2004011124A (ja) 路面の排水構造及び排水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2563746B1 (ko) 잡초생착 방지 및 부등침하 방지용 조립식 보도블록 설치용 받침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