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585B1 -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 - Google Patents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585B1
KR101950585B1 KR1020170073193A KR20170073193A KR101950585B1 KR 101950585 B1 KR101950585 B1 KR 101950585B1 KR 1020170073193 A KR1020170073193 A KR 1020170073193A KR 20170073193 A KR20170073193 A KR 20170073193A KR 101950585 B1 KR101950585 B1 KR 101950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ainwater
road
plate member
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5515A (ko
Inventor
조태준
Original Assignee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3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585B1/ko
Publication of KR20180135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5Subsoil mean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은, 도로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 지주물 본체, 상기 지주물 본체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지주물 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도로에 매설되는 지주물 기초, 및 상기 지주물 기초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주물 기초들에 양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도로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저수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주물 기초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저수 블록들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 구조이므로, 상기 지주물 본체에 작용되는 풍하중에 의해서 상기 지주물 본체와 상기 지주물 기초가 유동되거나 비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 {ASSEMBLY TYPE ROAD SUPPORT STRUCTURE HAVING RAINWATER RESERVING FUNCTION}
본 발명은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도로용 지주물을 도로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도로 상의 빗물을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는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가로등, 신호등, 경고등, 표지판, 감시카메라 등을 위한 도로용 지주물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지주물은 도로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다.
통상의 지주물은 수직하게 형성된 기둥의 상부에서 도로의 중앙을 향해 지지바가 길게 연장된 구조이며, 그 지지바의 단부에 가로등, 신호등, 경고등, 표지판, 감시카메라 등이 설치된 구조이다.
이때, 지주물의 하부는 지주물을 지지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소재로 형성되어 도로 가장자리에 매설된다. 따라서, 지주물의 전체 중량은 지지바 쪽으로 편심된 상태이지만, 도로에 매설된 지주물의 하부 기초에 의해서 지주물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다만, 상기의 지지바의 측면에 소정 크기 이상의 바람이 작용되면, 지주물이 일측으로 비틀리거나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풍하중이 작용한다. 그런데, 기존 지주물의 하부 기초는 콘크리트 소재의 정육면체에 가까운 형상으로 제조되므로, 풍하중과 같이 지주물의 측면에 작용되는 외력에 대하여 충분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구조이며, 그 풍하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주물의 하부 기초를 더 크게 제작하거나 더 깊게 매립해야만 했다.
최근에는 지주물의 하부 기초를 다양한 형상과 소재로 제작하기 위한 기술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제10-1569865호(발명의 명칭: 매립형 지주 고정장치, 등록일: 2015.11.11) 또는 한국등록특허 제10-1163293호(발명의 명칭: 다목적 기둥 기초, 등록일: 2012.06.29)에서는 금속 소재로 제작된 다양한 구조의 기초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현장에서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정육면체에 가까운 형상으로 여전히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 국내에서는 수자원 부족 현상에 대한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물 부족 현상은 다수의 국가에서 이미 심각한 실정이며, 그 때문에 물 절약 및 수자원 확보를 위한 노력이 각국에서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도 수자원 확보를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우수(雨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하수(下水)와 함께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수의 경우에는 가정과 공장 등의 하수와 달리 비교적 깨끗한 물이므로, 농업용 및 청소용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우수를 적절히 모아서 필요한 부분에 사용할 수 있다면, 물 부족 현상을 방지하고 수자원 확보 측면에서도 매우 유용하다.
최근에는 도로에 설치된 가로등이나 교통신호의 기둥에 우수를 집수하는 기술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제10-1373452호(빗물 재활용 가로등, 출원일: 2013.07.11)에는 가로등에 빗물을 집수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집수된 빗물을 가로등의 주변에 있는 화분에 공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가로등이나 신호등과 같은 지주물의 기둥만을 통해서 집수 가능한 빗물의 양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주물의 옆면에 작용되는 풍하중에 의한 지주물의 유동 및 비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로에 내린 빗물을 집수하여 빗물을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주물의 기초를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지주물의 기초 내부에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로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 지주물 본체, 상기 지주물 본체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지주물 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도로에 매설되는 지주물 기초, 및 상기 지주물 기초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주물 기초들에 양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도로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저수 블록을 포함하는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주물 기초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저수 블록들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 구조이므로, 상기 지주물 본체에 작용되는 풍하중에 의해서 상기 지주물 본체와 상기 지주물 기초가 유동되거나 비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빗물이 상기 저수 블록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저수 공간에 저장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빗물의 저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빗물을 더욱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저수 블록은 상기 지주물 기초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도로에 상기 지주물 기초와 동일 깊이로 매설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주물 기초와 상기 저수 블록은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저수 블록의 양단부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지주물 기초들의 측면에 앵커 볼트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저수 블록은, 상기 지주물 기초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판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상판 부재, 및 상기 상판 부재의 양측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상판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저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 부재의 양측부에서 하측을 향해 수직판 형상으로 길게 연장된 측판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수 블록은, 상기 상판 부재와 평행하도록 상기 상판 부재의 하측에 수평판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상판 부재 및 상기 측판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저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측판 부재에 양측부가 각각 연결된 하판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 블록은, 상기 저수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빗물을 저장하도록 상기 저수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저수 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은, 상기 도로 상의 상기 빗물을 집수하도록 상기 도로에 배치되고 상기 집수한 빗물을 상기 저수 공간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저수 공간에 일측이 연결된 집수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 구조물은, 상기 도로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빗물이 통과되는 구조로 형성된 투수층, 및 상기 투수층과의 사이에 상기 빗물을 집수하기 위한 집수 경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투수층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빗물이 불투과되는 구조로 형성된 불투수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수 블록의 일측에는 상기 집수 경로에서 상기 저수 공간으로 상기 빗물을 유입시키도록 상기 집수 경로와 연통되는 빗물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불투수층은, 상기 빗물이 자중에 의해서 상기 집수 경로를 따라 상기 빗물 유입구로 유동되도록 상기 빗물 유입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은, 지주물 기초들의 사이에 저수 블록을 각각 배치한 후 저수 블록들의 양단부를 지주물 기초에 각각 연결한 구조이므로, 지주물 기초들과 저수 블록들을 상호 교차시킨 형태로 하나의 구조물로 조립하여 지주물 기초들을 도로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은, 지주물 기초를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저수 블록들의 사이에 끼워 고정한 구조이므로, 지주물 본체에 작용되는 풍하중에 의해서 지주물 본체와 지주물 기초가 유동되거나 비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은, 저수 블록의 내부에 형성된 저수 공간에 빗물을 저장하는 구조이므로, 빗물의 저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빗물의 활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은, 도로에 배치된 집수 구조물을 이용하여 도로 상의 빗물을 효과적으로 집수할 수 있고, 그 집수된 빗물을 저수 블록의 저수 공간으로 원활하게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로에 내리는 빗물을 확보하여 대량의 빗물을 안정적으로 모을 수 있고, 그 저장된 빗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용도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은, 지주물 기초들과 저수 블록들을 도로에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그 조립된 지주물 기초들과 저수 블록들이 하나의 구조체로 이루어져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지주물 기초의 높이를 더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지주물 기초의 취급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의 주요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의 주요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저수 블록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100)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100)의 주요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100')의 주요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와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저수 블록(130)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100)은 지주물 본체(110), 지주물 기초(120), 저수 블록(130), 및 집수 구조물(140, 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100)은 가로등, 신호등, 경고등, 표지판, 감시카메라, 전선 등을 도로(10)에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조물로서, 도로(10)를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100)이 가로등을 지지하는 지주물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지주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로(10)는 경계석(16)을 기준으로 차도(12)와 보도(14)로 구분될 수 있다. 경계석(16)은 차도(12)와 보도(14)의 사이에 배치되며, 통상적으로 단차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도(12)는 차량이 운행되기 위한 도로이고, 보도(14)는 보행자가 걷기 위한 도로이다. 상기와 같은 차도(12), 보도(14), 및 경계석(16)은 지반(G) 위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100)이 차도(12), 보도(14), 및 경계석(16)이 모두 구비된 도로(10)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100)은 차도(12) 또는 보도(14) 중 어느 하나만 있는 도로(10), 예를 들면 고속도로 또는 주택가 골목길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주물 본체(110)는 가로등주(112), 지지바(114), 가로등(116), 장착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등주(112)는 기둥 형상의 부재로서, 도로(10)를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바(114)는 가로등(116)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가로등주(112)에서 차도(12) 또는 보도(14)를 향해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가로등(116)은 차도(12) 또는 보도(14)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부재로서, 지지바(114)의 선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부(118)는 지주물 본체(110)를 지주물 기초(120)에 장착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가로등주(112)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지주물 본체(110)의 가로등주(112)가 보도(14)에 설치되고, 지지바(114)가 차도(12)로 연장되며, 가로등(116)의 조명이 차도(12)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지주물 본체(110)는 인장 응력을 구비한 금속 소재 또는 콘크리트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지주물 본체(110)는 프리텐션(pretension)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주물 기초(120)는 지주물 본체(11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지주물 본체(110)의 장착부(118)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주물 본체(110)는 콘크리트 소재를 사용하여 프리케스트(precast)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지주물 본체(110)의 상부에는 앵커 볼트(122)가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앵커 볼트(122)는 너트(124)에 의해서 지주물 본체(110)의 장착부(118)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주물 본체(110)의 장착부(118) 및 지주물 기초(120)는 포스트텐션(post tention)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지주물 기초(120)는 보도(14)에 매설될 수 있다. 이때, 지주물 기초(120)의 상부는 지주물 본체(110)와의 연결을 위해서 보도(14)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주물 기초(120)의 높이(H1)가 늘어나면, 지주물 기초(120)가 지반(G)에 더 깊숙히 매설되기 때문에 지주물 본체(110)가 지주물 기초(120)에 의해 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하지만, 지주물 기초(120)의 높이(H1)가 늘어날 경우, 지주물 기초(120)의 제조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지주물 기초(120)의 설치 작업이 매우 어려워질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물 기초(120)는 사각형 단면의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주물 기초(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100')의 다른 예에서 지주물 기초(120')는 하부가 넓게 확장된 사다리꼴 단면의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지주물 기초는 원기둥 형상, 다각기둥 형상, 사다리꼴 또는 역사다리꼴 단면의 원기둥이나 다각기둥 형상, 또는 첨단 부분이 절개된 원뿔이나 다각뿔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주물 기초(120)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사각형 단면의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저수 블록(130)은 도로(10)를 따라 배치된 지주물 기초(120)들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저수 블록(130)의 내부에는 도로(10)로부터 유입되는 빗물(W)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 공간(S)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저수 블록(130)은 도로(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지주물 기초(120)들 사이의 이격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수 블록(130)의 양단부는 지주물 기초(120)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저수 블록(130)은 지주물 기초(120)와 동일 유사한 콘크리트 소재를 사용하여 프리케스트(precast)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저수 블록(130)의 양단부는 지주물 기초(120)들의 측면에 체결 부재(미도시)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저수 블록(130)의 양단부는 지주물 기초(120)의 측면에 형성된 앵커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되는 구조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저수 블록(130)은 지주물 기초(120)와 동일 높이(H2)로 형성되거나 또는 지주물 기초(120)의 높이(H1)보다 작은 높이(H2)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 블록(130)이 지주물 기초(120)의 높이(H1)보다 작은 높이(H2)로 형성되면, 저수 블록(130)이 보도(14)의 하측에 완전히 매립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저수 블록(130)의 사용에 따른 미관 저하 및 보도(14)의 감소가 방지될 수 있다. 반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 블록(130')이 지주물 기초(120)의 높이(H1)와 동일 높이(H2)로 형성되면, 저수 블록(130')이 지주물 기초(120)와 동일한 깊이로 보도(14)에 매립되어 저수 블록(130')의 상부가 보도(14)의 외측에 노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저수 블록(130')의 설치 작업 및 교체 수리가 매우 간편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저수 블록(130)의 높이(H2)가 지주물 기초(120)의 높이(H1)보다 작은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저수 블록(130)의 양단부는 지주물 기초(120)의 측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물 기초(120)가 사각형 단면의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면, 저수 블록(130)의 양단부도 지주물 기초(120)의 수직한 측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수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물 기초(120')가 사다리꼴 단면의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면, 저수 블록(130')의 양단부도 지주물 기초(120')의 경사진 측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경사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주물 기초(120)가 사각형 단면의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도 2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저수 블록(130)의 양단부도 수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수 블록(130)은 상판 부재(132) 및 측판 부재(134)를 구비할 수 있다.
상판 부재(132)는 저수 블록(130)의 상부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서로 이웃하는 지주물 기초(120)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판 부재(132)는 도로(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판 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측판 부재(134)는 상판 부재(132)와의 사이에 저수 공간(S)이 형성되도록 상판 부재(132)의 양측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측판 부재(134)는 상판 부재(132)의 양측부에서 하측을 향해 수직판 형상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저수 블록(130)의 저수 공간(S)은 한 개의 상판 부재(132) 및 두 개의 측판 부재(134)에 의해 둘러 싸인 공간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측판 부재(134)에는 도로(10)에서 집수된 빗물(W)을 저수 공간(S)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빗물 유입구(134a, 134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 유입구(134a)는 저수 블록(13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 유입구(134')는 저수 블록(130')의 길이 방향으로 단수개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빗물 유입구(134a)가 측판 부재(134)에 저수 블록(13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저수 블록(130)의 전체 단면 구조를 살펴보면. 하측이 개구된 'ㄷ'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저수 블록(130)의 저수 공간(S)에 저장된 빗물(W)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지반(G)으로 흡수될 수 있고, 저수 블록(130)이 상수관이나 하수관(20)이 배치된 지반(G) 위에 설치되더라도 상수관이나 하수관(20)에 간섭되는 문제도 방지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도 5와 도 6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저수 블록(130)의 변형 예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저수 블록(130)은 도 4에 도시된 저수 블록(130)과 비교하여 상판 부재(132)와 평행하도록 상판 부재(132)의 하측에 수평판 형상으로 배치된 하판 부재(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판 부재(136)의 양측부는 상판 부재(132), 측판 부재(134), 및 하판 부재(136)의 사이에 저수 공간(S)이 형성되도록 측판 부재(134)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저수 블록(130)은 하판 부재(136)에 의해서 저수 공간(S)과 지반(G)이 서로 분리된 상태이므로, 저수 공간(S)에 저장된 빗물(W)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저수 블록(130)의 하측에 통신관(22), 전선관(24), 및 가스관(26) 등을 배치하더라도 빗물(W)의 침투로 인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저수 블록(130)은 도 4에 도시된 저수 블록(130)과 비교하여 저수 공간(S)의 내부에 배치되는 저수 탱크(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수 탱크(138)는 저수 공간(S)으로 유입된 빗물(W)을 더욱 안정적으로 저장하도록 금속 소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 등과 같은 방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저수 탱크(138)의 일측에는 저수 공간(S)과 연통되도록 빗물 유입관(138a)이 형성될 수 있다. 빗물 유입관(138a)은 저수 블록(130)의 빗물 유입구(134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저수 블록(130)은 저수 탱크(138)에 의해서 저수 공간(S)과 지반(G)이 서로 분리된 상태이므로, 저수 탱크(138)에 저장된 빗물(W)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저수 블록(130)의 하측에 통신관(22), 전선관(24), 및 가스관(26) 등을 배치하더라도 빗물(W)의 침투로 인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저수 블록(130) 대신에 도 4에 도시된 저수 블록(130)이 설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도 1과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집수 구조물(140, 150)은 도로(10) 상의 빗물(W)을 집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로(10)에 배치될 수 있다. 집수 구조물(140, 150)은 차도(12) 또는 보도(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차도(12)와 보도(14)에 모두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집수 구조물(140, 150)은 집수한 빗물(W)을 저수 공간(S)으로 안내하도록 저수 공간(S)과 연통된 빗물 유입구(134a)에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집수 구조물(140, 150)은 빗물(W)을 집수한 후 빗물 유입구(134a)로 유동시키기 위한 집수 경로(146, 156)를 형성하되, 집수 경로(146, 156)는 빗물 유입구(134a)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집수 구조물(140, 150)은 차도용 집수 구조물(140) 및 보도용 집수 구조물(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도용 집수 구조물(140)은, 빗물(W)이 통과되는 구조로 차도(12)의 상면에 배치된 차도용 투수층(142), 및 차도용 투수층(142)과의 사이에 빗물(W)을 집수하기 위한 차도용 집수 경로(146)가 형성되도록 빗물(W)이 불투과되는 구조로 차도용 투수층(142)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된 차도용 불투수층(144)을 포함할 수 있다.
차도용 투수층(142)은 빗물(W)의 침투가 가능한 다공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도용 불투수층(144)은 빗물(W)의 침투가 불가능한 방수 소재로 형성되거나 방수제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차도용 불투수층(144)은 빗물(W)이 자중에 의해서 차량용 집수 경로(146)를 따라 빗물 유입구(134a)로 자연스럽게 유동되도록 빗물 유입구(134a)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차도용 집수 경로(146)는 차도용 투수층(142)과 차도용 불투수층(144) 사이의 전체 면적 중 일부분에만 유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차도용 투수층(142)과 차도용 불투수층(144)은 완전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것은 아니며, 차도용 투수층(142)과 차도용 불투수층(144)은 서로 지지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차도용 집수 경로(146)가 차도용 투수층(142)과 차도용 불투수층(144) 사이의 일부분에 통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도용 집수 구조물(150)은, 빗물(W)이 통과되는 구조로 보도(14)의 상면에 배치된 보도용 투수층(152), 및 보도용 투수층(152)과의 사이에 빗물(W)을 집수하기 위한 보도용 집수 경로(156)가 형성되도록 빗물(W)이 불투과되는 구조로 보도용 투수층(152)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된 보도용 불투수층(154)을 포함할 수 있다.
보도용 투수층(152)은 빗물(W)의 침투가 가능한 다공질의 보도 블록 또는 틈새가 형성된 보도 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도용 불투수층(154)은 빗물(W)의 침투가 불가능한 방수 소재로 형성되거나 방수제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보도용 불투수층(154)은 빗물(W)이 자중에 의해서 보도용 집수 경로(156)를 따라 빗물 유입구(134a)로 자연스럽게 유동되도록 빗물 유입구(134a)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보도용 집수 경로(156)는 차도용 집수 경로(146)와 마찬가지로 보도용 투수층(152)과 보도용 불투수층(154) 사이의 전체 면적 중 일부분에만 유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보도용 투수층(152)과 보도용 불투수층(154)은 완전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것은 아니며, 보도용 투수층(152)과 보도용 불투수층(154)은 서로 지지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보도용 집수 경로(156)가 보도용 투수층(152)과 보도용 불투수층(154) 사이의 일부분에 통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100)의 설치 과정 및 작동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100)의 설치 과정을 살펴보면, 차도(12)에 차도용 집수 구조물(140)을 설치하고, 보도(14)에 보도용 집수 구조물(150)을 설치한다.
즉, 차도용 불투수층(144)을 차도(12)의 지반(G) 위에 형성하고, 그 차도용 불투수층(144)의 위에 차도용 투수층(142)을 형성한다. 이때, 차도용 불투수층(144)과 차도용 투수층(142)의 사이에 차도용 집수 유로(146)를 형성한다.
또한, 보도용 불투수층(154)을 보도(14)의 지반(G) 위에 형성하고, 그 보도용 불투수층(154)의 위에 보도용 투수층(152)을 형성한다. 이때, 보도용 불투수층(154)과 보도용 투수층(152)의 사이에 보도용 집수 유로(156)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차도용 집수 구조물(140) 및 보도용 집수 구조물(150)을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도로(10)의 경계석(16)과 근접한 보도(14)의 지반(G)을 도로(10)를 따라 길게 파서 지주물 기초(120) 및 저수 블록(130)을 매립하기 위한 공간을 만든다.
그리고, 그 보도(14)의 파낸 공간에는 지주물 기초(120)들과 저수 블록(130)들을 도로(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일렬로 길게 배치한다.
상기와 같이 지주물 기초(120)들과 저수 블록(130)들을 배치한 상태에서 저수 블록(130)의 양단부를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지주물 기초(120)에 각각 연결시켜 지주물 기초(120)들과 저수 블록(130)들을 하나의 구조체로 만들 수 있다.
이후, 지주물 기초(120)들과 저수 블록(130)들을 다시 매립한 후 지주물 기초(120)에 지주물 본체(110)를 연결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지주물 기초(120)들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저수 블록(130)들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 구조임과 아울러 지주물 기초(120)들과 저수 블록(130)들이 하나의 구조체를 형성하므로, 지주물 본체(110)에 작용되는 풍하중에 의해서 지주물 본체(110)와 지주물 기초(120)가 유동되거나 비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100)이 배치된 도로(10)에 비가 내리면, 빗물(W)이 차도(12)의 차도용 투수층(142) 및 보도(14)의 보도용 투수층(152)을 통과한 후 차도용 불투수층(144) 및 보도용 불투수층(154)에 모이고, 차도용 집수 경로(146)와 보도용 집수 경로(156)를 따라 저수 블록(130)의 빗물 유입구(134a)를 통해 저수 블록(130)의 저수 공간(S)으로 유동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빗물(W)이 저수 블록(130)의 내부에 형성된 저수 공간(S)에 저장되므로, 빗물(W)을 모아서 저장한 후 다양한 용도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빗물(W)을 차도(12)로 분사시켜 차도(12)에서 발생되는 미세 먼지를 제거하거나 차도(12)를 세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도로
12: 차도
14: 보도
100, 100':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
110: 지주물 본체
120, 120': 지주물 기초
130, 130': 저수 블록
132: 상판 부재
134: 측판 부재
136: 하판 부재
138: 저수 탱크
140: 차도용 집수 구조물
150: 보도용 집수 구조물
W: 빗물
S: 저수 공간

Claims (9)

  1. 도로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 지주물 본체;
    상기 지주물 본체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지주물 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도로에 매설되는 지주물 기초; 및
    상기 지주물 기초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주물 기초들에 양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도로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저수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 블록은, 상기 지주물 기초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도로에 상기 지주물 기초와 동일 깊이로 매설되거나, 상기 지주물 기초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도로에 상기 지주물 기초보다 깊게 매설되며,
    상기 저수 블록은 상기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상기 지주물 기초들 사이의 이격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저수 블록의 양단부는 상기 지주물 기초들과 상기 저수 블록들이 하나의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서로 이웃하는 상기 지주물 기초들의 측면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물 기초와 상기 저수 블록은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저수 블록의 양단부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지주물 기초들의 측면에 앵커 볼트로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블록은,
    상기 지주물 기초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판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상판 부재; 및
    상기 상판 부재의 양측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상판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저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 부재의 양측부에서 하측을 향해 수직판 형상으로 길게 연장된 측판 부재;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블록은,
    상기 상판 부재와 평행하도록 상기 상판 부재의 하측에 수평판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상판 부재 및 상기 측판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저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측판 부재에 양측부가 각각 연결된 하판 부재;
    를 더 포함하는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블록은,
    상기 저수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빗물을 저장하도록 상기 저수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저수 탱크;
    를 더 포함하는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
  7.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상의 상기 빗물을 집수하도록 상기 도로에 배치되고, 상기 집수한 빗물을 상기 저수 공간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저수 공간에 일측이 연결된 집수 구조물;
    를 더 포함하는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구조물은,
    상기 도로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빗물이 통과되는 구조로 형성된 투수층; 및
    상기 투수층과의 사이에 상기 빗물을 집수하기 위한 집수 경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투수층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빗물이 불투과되는 구조로 형성된 불투수층;
    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 블록의 일측에는 상기 집수 경로에서 상기 저수 공간으로 상기 빗물을 유입시키도록 상기 집수 경로와 연통되는 빗물 유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수층은, 상기 빗물이 자중에 의해서 상기 집수 경로를 따라 상기 빗물 유입구로 유동되도록 상기 빗물 유입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
KR1020170073193A 2017-06-12 2017-06-12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 KR101950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193A KR101950585B1 (ko) 2017-06-12 2017-06-12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193A KR101950585B1 (ko) 2017-06-12 2017-06-12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515A KR20180135515A (ko) 2018-12-21
KR101950585B1 true KR101950585B1 (ko) 2019-02-21

Family

ID=64960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193A KR101950585B1 (ko) 2017-06-12 2017-06-12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5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8023B (zh) * 2019-04-04 2021-07-02 北方工业大学 一种防尘自清洗组合式自排水透水砖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6701A (ja) * 2002-03-28 2003-10-10 Gantan Beauty Ind Co Ltd 舗装構造
JP2005133361A (ja) * 2003-10-29 2005-05-26 Yasukatsu Oosawa 側溝蓋
JP2006089972A (ja) * 2004-09-22 2006-04-06 Daichi Koei Kk 橋面排水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6701A (ja) * 2002-03-28 2003-10-10 Gantan Beauty Ind Co Ltd 舗装構造
JP2005133361A (ja) * 2003-10-29 2005-05-26 Yasukatsu Oosawa 側溝蓋
JP2006089972A (ja) * 2004-09-22 2006-04-06 Daichi Koei Kk 橋面排水処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515A (ko)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5072B1 (ko) 투수 포장 구조체
JP5726507B2 (ja) 筒状濾過槽及び雨水処理装置
KR100967187B1 (ko) 이중 배수 장치
KR20140041029A (ko) 교량용 녹화 및 우수 정화 구조체
KR100855630B1 (ko) 우수의 수집 및 저장을 위한 지하 구조물
KR101950585B1 (ko)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
KR100654667B1 (ko) 투수성 도로 포장체에서 저수저감 공간을 형성하는 환경친화적 다공 패널
KR101179252B1 (ko) 상하 조절이 용이한 지주 커버 장치
CN110924251A (zh) 底部设置有管廊的道路结构
JP2886528B1 (ja) 多目的街渠構造
CN212895755U (zh) 一种城市道路人行道排水装置
KR102076482B1 (ko)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
KR200324301Y1 (ko)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
KR102051860B1 (ko) 보도용 배수 트렌치
KR20130070075A (ko) 침하방지 기능을 구비한 가로수목 식재 박스
KR200462236Y1 (ko) 투수 보도판석용 케이스
KR200351164Y1 (ko) 습지지역 도로의 빗물튀김 방지를 위한 안전시설 구조
KR101389479B1 (ko) 식생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모듈형 빗물 침투·저류 시설구조
CN201024368Y (zh) 一种排水路缘石
CN216474341U (zh) 一种生态园林用透水步道
KR100528363B1 (ko) 조립식 포장부재 블록 세트
KR101663914B1 (ko) 조립식 우수 침투형 측구
CN216585989U (zh) 一种市政道路防渗设计结构
CN211848704U (zh) 一种用于铺设人行道的架空支座
KR101196227B1 (ko) 우수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