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357B1 -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 - Google Patents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357B1
KR102186357B1 KR1020190095134A KR20190095134A KR102186357B1 KR 102186357 B1 KR102186357 B1 KR 102186357B1 KR 1020190095134 A KR1020190095134 A KR 1020190095134A KR 20190095134 A KR20190095134 A KR 20190095134A KR 102186357 B1 KR102186357 B1 KR 102186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water
concrete
storage member
porous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정섭
박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알에스
트리폴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알에스, 트리폴건설(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알에스
Priority to KR1020190095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2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시공될 궤도를 따라 시공되며,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레일홈들이 구비되는 콘크리트베이스; 상기 레일홈들에 각각 설치되는 레일; 상기 콘크리트베이스에 놓여지며, 다수 개의 물저장홀들이 구비된 물저장부재; 상기 물저장부재의 상면에 높여지며 물이 투수되는 다공성커버; 상기 다공성커버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물저장부재의 물저장홀들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물저장홀의 물을 다공성커버로 흡수시키는 물흡수전달부재; 상기 다공성커버위로 적층되어 잔디와 같은 녹색식물이 식생하는 식재층; 및 상기 식재층의 상면에서 각각 박혀 상기 물저장부재의 물저장홀에 위치하며, 상기 식재층에 유입되는 물을 상기 물저장부재의 물저장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물유입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잔디 등의 녹색식물에 물이 잘 공급되어 녹색식물들이 잘 자랄 수 있고, 또한 레일홈들을 제외한 부분에 잔디 등의 녹색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하여 녹색공간을 극대화한다.

Description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APPARATUS FOR GROWING GREEN PLANT}
본 발명은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도시의 교통난 해소와 대기오염이 없는 친환경 대중교통망구축을 위해 주요 광역시와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도시철도의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도시철도의 궤도는 유지 관리상의 어려움으로 대부분 슬래브궤도시스템을 채택하고 있으나, 자동차 중심의 기존 교통체계와 도로를 공유할 수 없는 관계로 도심을 관통하는 철도궤도의 경우 설치를 위해 막대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은 물론 도시철도에서 유발되는 과다한 소음 및 진동으로 차량과 구조물의 내구성 감소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자동차 및 보행자와 도로를 공유할 수 있는 매립형 궤도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0954호(2014. 06. 25. 공고일)(이하, 선행기술1 이라 함)에는 블록을 형성하는 외부틀채의 내부에 레일홈을 형성하는 두 개의 내부틀채가 구비된 레일매립형 궤도용프리캐스트 콘크리트블록제조용 거푸집장치의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을 주입하여 레일홈이 형성된 레일매립형 궤도용 프리캐스트콘크리트블록을 제작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을 이용하여 레일매립형 궤도를 시공하게 될 경우 도시 공간에 콘크리트구조물이 바닥에 설치되어 도시환경을 저해시키고 열섬 현상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26138호(2013. 03. 13. 공개일)(이하, 선행기술2이라 함)에는 레일매립궤도의 내부에 식생구간을 구비한 친환경적인 레일매립궤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2는 레일매립궤도의 콘크리트 바닥 일부분에 식생구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비가 장시간 오지 않을 경우 식생구간에 물이 공급되지 못하여 식생구간의 녹색식물이 잘 자라지 못하고 말라죽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레일매립궤도의 일부분에만 식생구간을 구비하게 되므로 충분히 친환경적인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잔디 등의 녹색식물에 건조기에도 물이 잘 공급되어 녹색식물들이 잘 자랄 수 있는,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공될 궤도를 따라 시공되며,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레일홈들이 구비되는 콘크리트베이스; 상기 콘크리트베이스에 놓여지며, 다수 개의 물저장홀들이 구비된 물저장부재; 상기 물저장부재의 상면에 놓여지며 물이 투수되는 다공성커버; 상기 다공성커버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물저장부재의 물저장홀들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물저장홀의 물을 다공성커버로 흡수시키는 물흡수전달부재; 상기 다공성커버위로 적층되어 잔디와 같은 녹색식물이 식생하는 식재층; 및 상기 식재층의 상면에서 각각 박혀 상기 물저장부재의 물저장홀에 위치하며, 상기 식재층에 유입되는 물을 상기 물저장부재의 물저장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물유입관;을 포함하는,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콘크리트베이스는 시공될 궤도를 따라 시공되는 기초콘크리트와,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에 설정된 높이로 시공되는 구체콘크리트를 포함하며, 상기 구체콘크리트는 균일한 폭과 높이로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면에 레일홈이 형성되는 장착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장착부들 사이의 베이스부 상면과, 상기 장착부와 베이스부의 측면 사이에 각각 상기 물저장부재들이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저장부재는 다수 개의 물유입구멍들이 구비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하면에 물유입구멍들과 각각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물저장홀을 형성하는 물저장컵들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물유입구멍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홈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저장컵들의 상부에 복수 개의 물유출슬릿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유입관은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이 막힌 관부와, 상기 관부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관통구멍들과, 상기 관부의 상단에 연장 확관된 환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부의 하단은 원추 형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재층의 표면에 녹색식물을 보호하는 격자대가 배열되며, 상기 격자대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테두리프레임과,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일렬로 배열되는 가로바들과, 상기 테두리프레임에 상기 가로바들에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세로바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베이스의 레일홈들의 각 내부에 레일홈거푸집이 매립되고, 상기 레일홈거푸집은 레일홈의 바닥에 위치하는 거푸집바닥판과, 레일홈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거푸집측면판들을 포함하며, 상기 거푸집측면판들의 각 상부는 상기 콘크리트베이스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기 식재층은 상기 콘크리트베이스의 상면 전체를 복개하여 상기 식재층의 표면이 상기 거푸집측면판들의 상단과 상기 콘크리트베이스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베이스의 상면과 식재층의 바닥 사이에 물저장부재들이 구비되고 다공성커버가 물저장부재를 커버하고 그 다공성커버에 식재층이 위치하고 물저장부재의 물저장홀에 다공성커버와 연결되는 물흡수전달부재가 위치하게 되어 빗물이 물저장부재의 물저장홀들에 저장되므로 식재층이 건조하게 되면 물저장부재의 물저장홀들에 저장된 물이 식재층을 통해 녹색식물의 뿌리에 공급되어 녹색식물이 말라죽지 않고 식생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베이스의 상면과 식재층의 바닥 사이에 물저장부재들이 구비되고 다공성커버가 물저장부재를 커버하고 물유입관이 식재층을 관통하여 물저장홀에 연통되므로 식재층의 표면이 비가 올 경우 빗물이 물유입관을 통해 물저장부재의 물저장홀들로 쉽게 유입되어 저장되어 물저장부재의 물저장홀들에 물이 빠르게 채워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베이스의 레일홈들에 각각 레일홈거푸집이 매립되고 콘크리트베이스의 레일홈들을 제외한 상면 전체에 걸쳐 식재층이 구비되고 그 식재층에 잔디 등의 녹색식물들이 식생하게 되므로 친환경적인 도시환경을 조성하게 될 뿐만 아니라 도시의 열섬 현상을 감소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물저장부재의 일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물저장부재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격자대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의 일실시예는, 콘크리트베이스(10), 레일(20), 물저장부재(30), 다공성커버(40), 물흡수전달부재(50), 식재층(60), 물유입관(70)을 포함한다.
콘크리트베이스(10)는 시공될 궤도를 따라 시공되며,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레일홈(2)들이 구비된다. 콘크리트베이스(10)의 일예로, 콘크리트베이스(10)는 시공될 궤도를 따라 시공되는 기초콘크리트(A)와, 그 기초콘크리트(A)의 상면에 설정된 높이로 기초콘크리트(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시공되는 구체콘크리트(B)를 포함한다. 구체콘크리트(B)는 균일한 폭과 높이로 형성되는 베이스부(11)와, 그 베이스부(11)의 상면에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면에 레일홈(2)이 형성되는 장착부(12)들을 포함한다. 장착부(12)는 균일한 높이를 가지며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홈(2)은 장착부(12)의 상면 가운데 횡단면이 사각 형태인 상측이 개구된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장착부(12)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물저장홀(13)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저장홀(13)은 균일한 내경을 가지며 설정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크리트베이스(10)의 레일홈(2)들의 각 내부에 레일홈거푸집(80)이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홈거푸집(80)은 콘크리트베이스(10)를 콘크리트몰탈로 타설시 매립된다. 레일홈거푸집(80)은 레일홈(2)의 바닥에 위치하는 거푸집바닥판(81)과, 레일홈(2)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거푸집측면판(82)들을 포함한다.
콘크리트베이스(10)의 하면 아래에 배수라인(9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라인(90)은 콘크리트베이스(10)의 폭방향 중간 부분을 관통하는 수직배수관(91)과, 콘크리트베이스(10)의 폭 방향으로 위치하여 수직배수관(91)이 연통되는 수평배수관(92)을 포함한다. 수직배수관(91)의 상단은 장착부(12)들 사이에 위치하는 베이스부(11)의 상면에 위치한다.
레일(20)은 콘크리트베이스(10)의 레일홈(2)들에 각각 설치된다. 레일(20)은 레일장착수단에 의해 레일홈(2)에 설치된다.
물저장부재(30)는 콘크리트베이스(10)의 상면에 놓여지며, 다수 개의 물저장홀(31)들이 구비된다. 물저장부재(30)의 일예로, 도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저장부재(30)는 다수 개의 물유입구멍(3)들이 구비되는 베이스판(32)과, 그 베이스판(32)의 하면에 물유입구멍(3)들과 각각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물저장홀(31)을 형성하는 물저장컵(33)들을 포함한다. 베이스판(32)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 사각판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물유입구멍(3)들은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저장컵(33)들은 상단 면적이 크고 하단면적이 작은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그 상단이 베이스판(32)의 물유입구멍(3)의 테두리와 연결된다. 물저장컵(33)의 높이는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저장컵(33)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저장컵(33)들의 상부에 복수 개의 물유출슬릿(4)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유출슬릿(4)들은 물저장컵(33)의 상단으로부터 1/4 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길이 방향으로 열을 이루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베이스판(32)의 상면에 물유입구멍(3)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홈(5)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저장부재(30)들은 두 개의 장착부(12)들 사이의 베이스부(11) 상면과, 장착부(12)와 베이스부(11)의 측면 사이에 각각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성커버(40)는 물저장부재(30)의 상면에 높여지며 물이 투수된다. 다공성커버(40)는 균일한 두께와 설정된 면적을 갖는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성커버(40)는 물저장부재(30)의 베이스판(32) 상면에 접촉되도록 물저장부재(30)에 놓여진다.
물흡수전달부재(50)는 다공성커버(40)와 각각 연결되어 물저장부재(30)의 물저장홀(31)들에 각각 위치하며, 물저장홀(31)의 물을 다공성커버(40)로 흡수시킨다. 물흡수전달부재(50)는 봉 형태로 형성되어 상단은 다공성커버(40)와 연결되고 하단은 물저장홀(31) 내부에 위치한다. 물흡수전달부재(50)는 모세관 현상에 따라 물을 잘 흡수하는 다공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흡수전달부재(50)는 물저장홀(31)들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세 개나 네 개의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도 있다.
콘크리트베이스(10)의 장착부(12)의 상면에 구비된 다수 개의 물저장홀(13)들을 다공성커버(40)로 복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물흡수전달부재(50)가 다공성커버(40)에 각각 연결되어 장착부(12)의 물저장홀(31)들에 각각 위치한다.
식재층(60)은 다공성커버(40) 위로 적층되어 잔디와 같은 녹색식물이 식생한다. 식재층(60)은 잔디와 같은 녹색식물이 자랄 수 있는 토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재층(60)은 콘크리트베이스(10)에서 레일홈(2)들을 제외한 상면 전체에 걸쳐 적층되며 그 식재층(60)의 표면은 수평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식재층(60)은 구체콘크리트의 베이스부(11)와 장착부(12)들 상면을 복개하여 식재층(60)의 표면이 장착부(12)의 상면과 거푸집측면판(82)들 상단 사이에 위치하여 두 개의 레일홈(2)들만이 노출된다.
콘크리트베이스(10)의 레일홈(2)들에 각각 구비된 레일홈거푸집(80)의 거푸집측면판(82)들의 각 상부는 콘크리트베이스(10)의 장착부(12) 상면보다 높게 위치하며, 식재층(60)의 표면은 거푸집측면판(82)들의 상단과 콘크리트베이스(10)의 장착부(12) 상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레일홈(2)들을 제외한 콘크리트베이스(10)의 상면 전체 영역에 걸쳐 식재층(60)이 형성되어 식재층(60)의 표면 면적을 극대화하게 되어 잔디 등이 녹색식물들이 식생영역을 극대화하게 된다.
물유입관(70)은 식재층(60)의 상면에서 각각 박혀 물저장부재(30)의 물저장홀(31)에 위치하며, 식재층(60)에 유입되는 물을 물저장부재(30)의 물저장홀(31)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물유입관(70)의 일예로, 물유입관(70)은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이 막힌 관부(71)와, 그 관부(71)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관통구멍(72)들과, 관부(71)의 상단에 연장 확관된 환관부(7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부(71)의 하단은 원추 형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구멍(72)들을 각각 위에서 아래로 경사지도록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유입관(70)은 복수 개의 물저장홀(31)들 중 한 개의 물저장홀(31)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유입관(70)이 위치한 물공급부재(30)의 물저정컵(33)에 물이 채워져 넘치게 되면 연결홈(5)을 통해 인접한 물저장컵(33)으로 흘러 채워지게 된다. 또한, 물유입관(70)은 콘크리트베이스(10)의 장착부(12)에 구비된 물저장홀(13)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장착부(12)의 복수 개의 물저장홀(13)들 중 한 개의 물저장홀(13)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재층(60)의 표면에 녹색식물을 보호하는 격자대(100)가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자대의 일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자대(100)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테두리프레임(110)과, 그 테두리프레임(110)에 일렬로 배열되는 가로바(120)들과, 그 테두리프레임(110)에 가로바(120)들에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세로바(130)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식재층(60)에 비가 오게 되게 되면 식재층(60)에 빗물이 뿌려지게 되고 식재층(60)에 뿌려진 물이 식재층(60)에 침투하여 식재층(60)이 물을 머금음과 동시에 빗물의 일부가 물유입관(70)들을 통해 유동하여 물저장부재(30)들의 물저장홀(31)들에 유입되어 물저장홀(31)들에 채워지게 된다. 비가 과도하게 오게 되면 식재층(60)에 침투된 빗물 및 물저장홀(31)들에 저장되는 물이 넘쳐 배수라인(90)을 통해 배수된다. 한편, 물저장부재(30)들의 물저장홀(31)들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비가 일정 기간 오지 않아 식재층(60)이 건조하게 되면 물저장부재(30)들의 물저장홀(31)들에 저장된 물이 물흡수전달부재(50)를 통해 흡수되어 다공성커버(40)에 공급되면서 식재층(60)으로 물이 공급된다. 식재층(60)으로 공급되는 물은 식재층(60)에 식재된 잔디나 녹색식물들의 뿌리로 공급되면서 잔디나 녹색식물들이 식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베이스(10)의 상면과 식재층(60)의 바닥 사이에 물저장부재(30)들이 구비되고 다공성커버(40)가 물저장부재(30)를 커버하고 그 다공성커버(40)에 식재층(60)이 위치하고 물저장부재(30)의 물저장홀(31)에 다공성커버(40)와 연결되는 물흡수전달부재(50)가 위치하게 되어 빗물이 물저장부재(30)의 물저장홀(31)들에 저장되므로 식재층(60)이 건조하게 되면 물저장부재(30)의 물저장홀(31)들에 저장된 물이 식재층(60)을 통해 녹색식물의 뿌리에 공급되어 녹색식물이 말라죽지 않고 식생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베이스(10)의 상면과 식재층(60)의 바닥 사이에 물저장부재(30)들이 구비되고 다공성커버(40)가 물저장부재(30)를 커버하고 물유입관(70)이 식재층(60)을 관통하여 물저장홀(31)에 연통되므로 식재층(60)의 표면이 비가 올 경우 빗물이 물유입관(70)을 통해 물저장부재(30)의 물저장홀(31)들 뿐만 아니라 장착부(12)의 물저장홀(13)들로 쉽게 유입되어 저장되어 물저장부재(30)의 물저장홀(31)들에 물이 빠르게 채워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베이스(10)의 레일홈(2)들에 각각 레일홈거푸집(80)이 매립되고 콘크리트베이스(10)의 레일홈(2)들을 제외한 상면 전체에 걸쳐 식재층(60)이 구비되고 그 식재층(60)에 잔디 등의 녹색식물들이 식생하게 되므로 친환경적인 도시환경을 조성할 뿐만 아니라 도시의 열섬 현상을 감소시키게 된다.
10; 콘크리트베이스 20; 레일
30; 물저장부재 40; 다공성커버
50; 물흡수전달부재 60; 식재층
70; 물유입관

Claims (7)

  1. 시공될 궤도를 따라 시공되며,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레일홈들이 구비되는 콘크리트베이스;
    상기 레일홈들에 각각 설치되는 레일;
    상기 콘크리트베이스에 놓여지며, 다수 개의 물저장홀들이 구비된 물저장부재;
    상기 물저장부재의 상면에 놓여지며 물이 투수되는 다공성커버;
    상기 다공성커버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물저장부재의 물저장홀들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물저장홀의 물을 다공성커버로 흡수시키는 물흡수전달부재;
    상기 다공성커버위로 적층되어 잔디와 같은 녹색식물이 식생하는 식재층; 및
    상기 식재층의 상면에서 각각 박혀 상기 물저장부재의 물저장홀에 위치하며, 상기 식재층에 유입되는 물을 상기 물저장부재의 물저장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물유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물유입관은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이 원추 형태로 형성되어 막힌 관부와, 상기 관부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관통구멍들과, 상기 관부의 상단에 연장 확관된 환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베이스는 시공될 궤도를 따라 시공되는 기초콘크리트와,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에 설정된 높이로 시공되는 구체콘크리트를 포함하며, 상기 구체콘크리트는 균일한 폭과 높이로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레일홈이 형성되는 두 개의 장착부들과, 상기 장착부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 구비되는 물저장홀들을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베이스의 레일홈들의 각 내부에 레일홈거푸집이 매립되고, 상기 레일홈거푸집은 레일홈의 바닥에 위치하는 거푸집바닥판과, 레일홈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거푸집측면판들을 포함하며, 상기 거푸집측면판들의 각 상단은 상기 장착부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되며,
    상기 두 개의 장착부들 사이의 베이스부 상면에 상기 물저장부재들이 배열되고,
    상기 식재층은 상기 구체콘크리트의 베이스부와 장착부들 상면을 복개하여 식재층의 표면이 상기 장착부의 상면과 거푸집측면판들 상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두 개의 레일홈들만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95134A 2019-08-05 2019-08-05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 KR102186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134A KR102186357B1 (ko) 2019-08-05 2019-08-05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134A KR102186357B1 (ko) 2019-08-05 2019-08-05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357B1 true KR102186357B1 (ko) 2020-12-03

Family

ID=73779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134A KR102186357B1 (ko) 2019-08-05 2019-08-05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3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851B1 (ko) * 2021-09-16 2022-01-13 트리폴건설(주) 물저장트레이 및 그것을 구비한 트램궤도 수평면 및 경사면 식생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6851A (ja) * 1993-03-24 1994-10-04 Hayashi Prod Corp アスファルト舗装面等への芝生の植付構造
KR100840406B1 (ko) * 2007-10-30 2008-06-23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KR20100131319A (ko) * 2009-06-05 2010-12-15 주식회사 한설그린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
KR101230730B1 (ko) * 2012-06-21 2013-02-07 김형태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JP5318504B2 (ja) * 2008-09-04 2013-10-16 株式会社竹中工務店 軌道の緑化構造、及び緑化工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6851A (ja) * 1993-03-24 1994-10-04 Hayashi Prod Corp アスファルト舗装面等への芝生の植付構造
KR100840406B1 (ko) * 2007-10-30 2008-06-23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JP5318504B2 (ja) * 2008-09-04 2013-10-16 株式会社竹中工務店 軌道の緑化構造、及び緑化工法
KR20100131319A (ko) * 2009-06-05 2010-12-15 주식회사 한설그린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
KR101230730B1 (ko) * 2012-06-21 2013-02-07 김형태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851B1 (ko) * 2021-09-16 2022-01-13 트리폴건설(주) 물저장트레이 및 그것을 구비한 트램궤도 수평면 및 경사면 식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5979B2 (ja) 貯留緑化給水システム
ES2956872T3 (es) Estructura de drenaje
KR102186357B1 (ko)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
KR101835881B1 (ko) 투수성 보도블록
CN109403181A (zh) 一种透水路面
KR102350851B1 (ko) 물저장트레이 및 그것을 구비한 트램궤도 수평면 및 경사면 식생장치
KR101190418B1 (ko) 빗물활용이 가능한 보도블럭 조립체
KR101232896B1 (ko) 수로를 이용한 식생부를 가지는 매립형 궤도 선로 구조체
KR102015523B1 (ko) 친환경 식생형 배수로 장치
JP2005097858A (ja) 排水ブロックとこれを用いた舗装構造
JP5100163B2 (ja) 潅水システム
KR101171208B1 (ko) 도로용 아케이드 구조물
CN212224453U (zh) 一种用于地下室顶板排水的蓄排水结构
TWI721329B (zh) 網連式排水鋪面裝置
KR100799733B1 (ko) 우수 저류 장치
KR200462236Y1 (ko) 투수 보도판석용 케이스
KR200451992Y1 (ko) 투수 패드를 구비한 보도블럭용 포석 케이스
CN207143613U (zh) 用于绿化段的轨道交通道床结构
JP2004293098A (ja) 吸水型保水性舗装構造
KR100926539B1 (ko) 지열과 우수의 순환을 통한 석재포장 보도의 온도 습도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석재포장 보도의 시공방법
JP2008240388A (ja) 潅水システム及びこの潅水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貯水ユニット
KR100850381B1 (ko) 식재용 보도블럭
CN214459334U (zh) 一种透水沥青道路
JP6080117B2 (ja) 地下排水処理施設の施工法
CN111910480B (zh) 一种园林道路绿化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