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319A -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 - Google Patents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319A
KR20100131319A KR1020090050148A KR20090050148A KR20100131319A KR 20100131319 A KR20100131319 A KR 20100131319A KR 1020090050148 A KR1020090050148 A KR 1020090050148A KR 20090050148 A KR20090050148 A KR 20090050148A KR 20100131319 A KR20100131319 A KR 20100131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partition wall
partition
water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5651B1 (ko
Inventor
한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설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설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설그린
Priority to KR1020090050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651B1/ko
Publication of KR20100131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저수(貯水) 공간이 작아 우수(雨水) 및 급수(給水)의 저수량이 적으며, 배수(排水) 기능이 원활하지 못하며, 식물(植物) 식재(植栽)용 구조물을 상방(上方)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력이 약하여 내구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에 있어서; '기본 단위 구성'으로서의 제1 구획부(區劃部)가 구비되고, '기본 단위 구성'으로서의 제1 구획부(區劃部)는 테두리부의 안쪽에 복수(複數) 개의 지지 기둥과, 상기 복수(複數) 개의 지지 기둥의 각각의 사이에 이루어진 저수(貯水)용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기둥에는 배수(排水)용 관통구멍과 배수로용 홈이 구비되고, 바닥부의 하면부에는 배수로용 공간부와 복수(複數) 개의 받침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기본 단위 구성"으로서의 상기 제1 구획부와 같은 구성으로써 같은 크기이며 같은 형상으로 각각 이루어진 제2 구획부(區劃部)와 제3 구획부(區劃部)와 제4 구획부(區劃部)가 구비되고, 상기 구획부들은 인접한 구획부 각각이 서로 상응하여 접하는 테두리부가 서로 일체로 이어져 구획벽이 이루어진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雨水) 및 급수(給水)의 저수가 극대화됨이 가능하여 물(水)의 급수(給水) 및 배수(排水)의 관리가 용이하며, 배수(排水)가 원활하여 식재된 식물의 식생 및 성장이 극대화됨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방(上方)에 구비되는 토양 및 부직포로 이루어진 식물(植物) 식재(植栽)용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상방으로 지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

Description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Combined water-storage and drainage board for cultivation of plants}
본 발명은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테두리부의 안쪽에 복수(複數) 개의 지지 기둥과, 상기 복수(複數) 개의 지지 기둥의 각각의 사이에 이루어진 저수(貯水)용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기둥에는 배수용 관통구멍과 배수로용 홈이 구비되고, 바닥부의 하면부에는 배수로용 공간부와 복수(複數) 개의 받침 부재가 구비되어,
저수용 공간부에 저수량을 극대화함이 가능하여 우수(雨水) 및 급수(給水)의 저수가 극대화됨이 가능하여 물(水)의 급수(給水) 및 배수(排水)의 관리가 용이하며, 배수(排水)가 원활하여 식재된 식물의 식생 및 성장이 극대화됨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방(上方)에 구비되는 토양 및 부직포를 안정적으로 상방(上方)으로 지지 가능하도록 된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에 관한 것이다.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의 종래의 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0-0388494호 "콘크리트에서도 잔디의 재배관리가 용이한 배수판"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판(510)의 몸체에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저수부(520)가 다수개 형성되고, 각 저수부(520)의 상단부 사이에 배수홀(530)이 형성되며, 각 저수부(520) 사이부분이 지지부(540)가 되며, 상기 저수부(520)는 반구형 돌출부(523)의 내측에 형성되는 구성이다.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의 상기 종래의 기술로서,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0-0388494호 "콘크리트에서도 잔디의 재배관리가 용이한 배수판"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부(520)에 의한 저수(貯水) 공간이 작아 우수(雨水) 및 급수(給水)의 저수량이 적으며, 배수(排水)홀(530)이 작아 배수 기능이 원활하지 못하며, 상방(上方)에 구비되는 토양과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식물(植物) 식재(植栽)용 구조물을 지지부(540)과 반구형 돌출부(523)에 의하여 상방(上方)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력이 약하여 내구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0-0388494호 "콘크리트에서도 잔디의 재배관리가 용이한 배수판"을, 식물(植物)의 식재(植栽)가 가능하도록 토양(土壤)과, 이 토양을 이 토양의 하방(下方)에서 상방(上方)으로 지지하는, 다공질(多孔質)의, 부직포(不織布)를 구비한 식물(植物) 식재(植栽)용 구조물의 하방(下方)에 설치되는 경우,
매우 부족한 양의 저수만이 가능하여, 물(水)의 급수(給水) 및 물(水)의 저 수를 위하여 잦은 급수 및 저수의 관리가 필요한 번거러움이 있었으며, 배수가 원활하지 아니하여 식물의 식생(植生) 및 성장에 큰 장애가 발생하였으며, 더욱이 상기 식물(植物) 식재(植栽)용 구조물을 상방(上方)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식물(植物)의 식재(植栽)가 가능하도록 토양(土壤)과, 이 토양을 이 토양의 하방(下方)에서 상방(上方)으로 지지하는, 다공질(多孔質)의, 부직포(不織布)를 구비한 식물(植物) 식재(植栽)용 구조물의 하방(下方)에 설치되어, 테두리부의 안쪽에서 복수개의 지지 기둥을 제외한 공간이 모두 저수용 공간부로서 극대화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토양을 통과한 우수(雨水) 및 급수(給水)가 용이하게 극대량으로 저수(貯水)됨이 가능하여, 물(水)의 급수 및 저수의 관리가 용이하여 편리한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을 제공하는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에 형성된 배수(排水)용 관통구멍과 이에 상응하여 연결된 배수로(排水路)용 홈 및 하면부의 배수로용 공간부에 의하여, 상기 토양을 통과한 우수(雨水) 및 상기 토양에서 하류하는 물(水)의 배수가 용이하여 토양에 식재되는 식물의 식생(植生) 및 성장이 극대화하도록 하는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더욱이, 상기 배수용 관통구멍과 상기 배수로용 홈에 의하여, 상기 토양으로 부터 하류하는 배수가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토양에 식재된 식물에 적절한 통기성을 주기 위한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된 구성 및 하면부의 복수 개의 받침 부재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토양이 놓인 상기 부직포가 구비된 식물(植物) 식재(植栽)용 구조물의 무게를 상방(上方)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함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더욱이, 상기 부직포가 상기 토양의 무게에 의하여 하방으로 조금 처져 있는 부분들이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의 각각의 사이에 끼워지면, 상기 식물(植物) 식재(植栽)용 구조물이 필요에 따라 경사(傾斜)지게 설치된 경우에도 상기 식물(植物) 식재(植栽)용 구조물이 안정적으로 정착됨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구획부와 제2 구획부와 제3 구획부와 제4 구획부 각각의 사이에 구비된 구획벽들이 각각 절단 가능하도록 각각의 구획벽의 상면부와 하면부에 각각 절단용 홈이 구비되어, 시공 현장의 규모에 맞추어 필요한 구획벽을 절단하여 필요한 크기를 조절함이 가능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의 자원 낭비를 극소화함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 기둥에 의하여 상기 저수용 공간부가 극대화되는 구성임과 상기 받침 부재에 의하여 배수로용 공간부가 구비된 구성임에 따라, 본 발명의 재질이 단열재인 경우 그 단열의 효과를 극대화함이 가능하게 하는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식물(植物)의 식재(植栽)가 가능하도록, 토양(土壤)과, 이 토양을 이 토양의 하방(下方)에서 상방(上方)으로 지지하는, 다공질(多孔質)의, 부직포(不織布)를 구비한 식물(植物) 식재(植栽)용 구조물의 하방(下方)에 설치되어, 상기 토양에 대하여 물(水)을 공급함이 가능하게 물(水)의 저수(貯水)가 가능하도록 하며 아울러 상기 토양으로부터 하류(下流)하는 물(水)의 배수(排水)가 가능하도록, 저수(貯水)용 공간부와, 배수용 관통구멍과, 테두리부와, 바닥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에 있어서;
'기본 단위 구성'으로서의 제1 구획부(區劃部)가 구비되고,
상기 '기본 단위 구성'으로서의 상기 제1 구획부(區劃部)는, 이 제1 구획부의 테두리부의 안쪽에, 상기 토양의 무게가 실린 상기 다공질의 부직포를 상방(上方)으로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上方)으로 돌출되며 상기 바닥부와 일체로 형성된 복수(複數) 개의 지지 기둥과, 상기 복수(複數) 개의 지지 기둥의 각각의 사이에 이루어진 상기 저수(貯水)용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複數) 개의 지지 기둥 중 서로 인접한 지지 기둥의 각각의 사이는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의 각각에는 수직으로 상기 배수용 관통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의 각각의 상면부(上面部)에는 상기 배수용 관통구멍에 배수(排水)가 흐르도록 하는 배수로(排水路)용 홈이 구비되고;
상기 바닥부의 하면부(下面部)에는, 상기 배수용 관통구멍으로부터 배수(排水)되는 물(水)이 흐르도록 하는 배수로(排水路)용 공간부와, 이 배수로(排水路)용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아울러 상기 하면부를 상방(上方)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하면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며 상기 하면부와 일체로 형성된 복수(複數) 개의 받침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複數) 개의 받침 부재 중 서로 인접한 받침 부재 각각의 사이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본 단위 구성"으로서의 상기 제1 구획부와 같은 구성으로써 같은 크기이며 같은 형상으로 각각 이루어진 제2 구획부(區劃部)와 제3 구획부(區劃部)와 제4 구획부(區劃部)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구획부의 테두리부는 이에 인접한 상기 제2 구획부의 테두리부와 서로 일체로 이어져 구획벽(區劃壁)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구획부의 테두리부는 이에 인접한 상기 제3 구획부의 테두리부와 서로 일체로 이어져 구획벽(區劃壁)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구획부의 테두리부는 이에 인접한 상기 제4 구획부의 테두리부와 서로 일체로 이어져 구획벽(區劃壁)이 형성되고,
상기 제4 구획부의 테두리부는 이에 인접한 상기 제1 구획부의 테두리부와 서로 일체로 이어져 구획벽(區劃壁)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성 수단에 의하여,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이 용이하게 달성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구획벽들 각각에는 배수용 관통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구획벽들 각각의 상면부(上面部)에는 상기 배수용 관통구멍에 배수(排水)가 흐르도록 하는 배수로(排水路)용 홈이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구획벽들 각각의 하방(下方)에는 배수로용 공간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경우에는 더욱 바람직하여, 이러한 구성 수단에 의하여,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이 용이하게 달성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구획벽들은 각각 절단(切斷) 가능하도록, 상기 구획벽들의 각각의 상면부(上面部)와 하면부(下面部) 각각에는 절단(切斷)용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경우에는 더욱 바람직하여, 이러한 구성 수단에 의하여,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이 용이하게 달성 가능하다.
상기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테두리부의 안쪽에서 복수개의 지지 기둥을 제외한 공간이 모두 저수용 공간부로서 극대화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토양을 통과한 우수(雨水) 및 급수(給水)가 용이하게 극대량으로 저수(貯水)됨이 가능하여, 물(水)의 급수 및 저수의 관리가 용이하여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에 형성된 배수(排水)용 관통구 멍과 이에 상응하여 연결된 배수로(排水路)용 홈 및 하면부의 배수로용 공간부에 의하여, 상기 토양을 통과한 우수(雨水) 및 상기 토양에서 하류하는 물(水)의 배수가 용이하여 토양에 식재되는 식물의 식생(植生) 및 성장이 극대화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배수용 관통구멍과 상기 배수로용 홈에 의하여, 상기 토양으로부터 하류하는 배수가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토양에 식재된 식물에 적절한 통기성을 주기 위한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된 구성 및 하면부의 복수 개의 받침 부재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토양이 놓인 상기 부직포가 구비된 식물(植物) 식재(植栽)용 구조물의 무게를 상방(上方)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함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부직포가 상기 토양의 무게에 의하여 하방으로 조금 처져 있는 부분들이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의 각각의 사이에 끼워지면, 상기 식물(植物) 식재(植栽)용 구조물이 필요에 따라 경사(傾斜)지게 설치된 경우에도 상기 식물(植物) 식재(植栽)용 구조물이 안정적으로 정착됨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구획부와 제2 구획부와 제3 구획부와 제4 구획부 각각의 사이에 구비된 구획벽들이 각각 절단 가능하도록 각각의 구획벽의 상면부와 하면부에 각각 절단용 홈이 구비되어, 시공 현장의 규모에 맞추어 필요한 구획벽을 절단하여 필요한 크기를 조절함이 가능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의 자원 낭비를 극소화함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 기둥에 의하여 상기 저수용 공간부가 극대화되는 구성임과 상기 받침 부재에 의하여 배수로용 공간부가 구비된 구성임에 따라, 본 발명의 재질이 단열재인 경우 그 단열의 효과를 극대화함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10a 내지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와 같다. 즉, 본 발명은,
식물(植物)의 식재(植栽)가 가능하도록, 토양(土壤)(210)과, 이 토양(210)을 이 토양(210)의 하방(下方)에서 상방(上方)으로 지지하는, 다공질(多孔質)의, 부직포(不織布)(220)를 구비한 식물(植物) 식재(植栽)용 구조물(200)의 하방(下方)에 설치되어, 상기 토양(210)에 대하여 물(水)을 공급함이 가능하게 물(水)의 저수(貯水)가 가능하도록 하며 아울러 상기 토양(210)으로부터 하류(下流)하는 물(水)의 배수(排水)가 가능하도록, 저수(貯水)용 공간부(10)와, 배수용 관통구멍과, 테두리부(70)와, 바닥부(8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에 있어서;
'기본 단위 구성'으로서의 제1 구획부(區劃部)(K1)가 구비되고,
상기 '기본 단위 구성'으로서의 상기 제1 구획부(區劃部)(K1)는, 이 제1 구획부(K1)의 테두리부(70-K1-1)(70-K1-2)(70-K1-3)(70-K1-4)의 안쪽(70-K1-10)에, 상기 토양(210)의 무게가 실린 상기 다공질의 부직포(220)를 상방(上方)으로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부(80)로부터 상방(上方)으로 돌출되며 상기 바닥부(80)와 일체로 형성된 복수(複數) 개의 지지 기둥(20)과, 상기 복수(複數) 개의 지지 기둥(20)의 각각의 사이에 이루어진 상기 저수(貯水)용 공간부(10)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複數) 개의 지지 기둥(20) 중 서로 인접한 지지 기둥(20)의 각각의 사이는 서로 일정한 간격(t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의 각각에는 수직으로 배수(排水)용 관통구멍(20e)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의 각각의 상면부(上面部)에는 상기 배수용 관통구멍(20e)에 배수(排水)가 흐르도록 하는 배수로(排水路)용 홈(d)이 구비된다.
상기 "복수(複數) 개"의 지지 기둥(20)에서의 "복수(複數) 개"는 상기 토양(210)의 무게가 실린 상기 부직포(220)를 상방(上方)으로 지지함이 가능한 복수(複數) 개이며, 아울러 상기 저수용 공간부(10)의 필요한 저수량을 극대화함이 가능한 복수(複數) 개이다.
아울러 상기 복수(複數) 개의 지지 기둥(20)에서의 각각의 지지 기둥(20)의 횡단면적은 상기 토양(210)의 무게가 실린 상기 부직포(220)를 상방(上方)으로 지지함이 가능한 횡단면적이며, 아울러 상기 저수용 공간부(10)의 필요한 저수량을 극대화함이 가능한 횡단면적이다.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의 각각의 지지 기둥(20)은 서로 같은 크기와 같은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기둥(20)은 원 기둥의 형상 또는, 8각 기둥의 형상 또는, 다각 기둥의 형상 또는 4각 기둥의 형상 또는 3각 기둥의 형상이 모두 가능하며, 8각 기둥의 형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 중 상기 테두리부(70-K1-1)와 상기 테두리부(70-K1-2)와 상기 테두리부(70-K1-3)와 상기 테두리부(70-K1-4) 각각에 상응하여 닿아 이어지는 위치에서의 지지 기둥(20)은 이에 상응하는 테두리부와 이어져 일체로 된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두리부(70-K1-1)와 상기 테두리부(70-K1-2)와 상기 테두리부(70-K1-3)와 상기 테두리부(70-K1-4) 각각의 높이(70H)는 서로 같은 높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 기둥(20)의 높이(20h)는 상기 테두리부(70-K1-1)와 상기 테두리부(70-K1-2)와 상기 테두리부(70-K1-3)와 상기 테두리부(70-K1-4) 각각의 높이(70H)와 같은 높이가 바람직하다.
상기 테부리부(70-K1-1)(70-K1-2)(70-K1-3)(70-K1-4)의 상기 높이(70H)와 상기 지지 기둥(20)의 상기 높이(20h)는 상기 토양(210)의 무게가 실린 상기 부직포(220)를 상방(上方)으로 지지함이 가능한 높이이며, 아울러 상기 저수용 공간부(10)의 필요한 저수량을 극대화함이 가능한 높이이다.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의 각각의 지지 기둥(20)에, 바람직하게는, 그 중앙부(20C)에 수직으로 상기 배수용 관통구멍(20e)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의 각각의 지지 기둥(20)의 상면부(上面部)에는 배수용 관통구멍(20e)에 배수(排水)가 흐르도록 하는 배수로(排水路)용 홈(d)이 방사상(放射狀)으로 복수(複數) 개 구비되어 이루어짐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로용 홈(d)의 깊이(d-h)는 배수(排水)의 필요량(必要量)에 따른 깊 이로서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바닥부(80)의 하면부(下面部)(80b)에는, 상기 배수용 관통구멍(20e)으로부터 배수(排水)되는 물(水)이 흐르도록 하는 배수로(排水路)용 공간부(90)와, 이 배수로(排水路)용 공간부(90)가 형성되도록 하며 아울러 상기 하면부(80b)를 상방(上方)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하면부(80b)로부터 하방(下方)으로 돌출하며 상기 하면부(80b)와 일체로 형성된 복수(複數) 개의 받침 부재(91)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複數) 개의 받침 부재(91) 중 서로 인접한 받침 부재(91)의 각각의 사이는 일정한 간격(t2)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複數) 개"의 받침 부재(91)에서의 "복수(複數) 개"는 상기 하면부(80b)에 실리는 무게를 지지함이 가능한 복수(複數) 개이며, 아울러 상기 배수로용 공간부(90)의 원활한 배수가 가능한 복수(複數) 개이다.
아울러 상기 복수(複數) 개의 받침 부재(91)에서의 각각의 받침 부재(91)의 횡단면적은 상기 하면부(80b)에 실리는 무게를 지지함이 가능한 횡단면적이며, 아울러 상기 배수로용 공간부(90)의 원활한 배수가 가능한 횡단면적이다.
상기 복수(複數) 개의 받침 부재(91)의 각각의 받침 부재(91)는 모두 같은 높이(91h)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같은 크기와 서로 같은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 부재(91)는 직육면체 내지 4각 기둥의 형상 또는, 모서리가 곡면 처리된 직육면체 내지, 모서리가 곡면 처리된 4각 기둥의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 부재(91)은 원 기둥의 형상 또는, 8각 기둥의 형상 또는, 다각 기둥의 형상 또는 4각 기둥의 형상 또는 3각 기둥의 형상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 복수 개의 받침 부재(91) 중 상기 하면부(80b)의 가장자리부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받침 부재(91) 중 상기 하면부(80b)의 가장자리부의 안쪽부에서의 받침 부재(91)의 높이(91h)와 같은 높이(91h)의 형상이며, 상기 복수 개의 받침 부재(91) 중 상기 하면부(80b)의 가장자리부의 안쪽부에서의 받침 부재(91)의 상기 바람직한 형상과는 별개 형상으로서 상기 가장자리부에 따라 맞추어 이루어진 형상의, 직육면체 내지 4각 기둥의 형상 또는, 모서리가 곡면 처리된 직육면체 내지, 모서리가 곡면 처리된 4각 기둥의 형상이 가능하다.
상기 받침 부재(91)의 상기 높이(91h)는 상기 하면부(80b)에 실린 무게를 상방(上方)으로 지지함이 가능한 높이이며, 아울러 상기 배수로용 공간부(90)의 원활한 배수가 가능한 높이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본 단위 구성"으로서의 상기 제1 구획부(K1)와 같은 구성으로써 같은 크기이며 같은 형상으로 각각 이루어진 제2 구획부(區劃部)(K2)와 제3 구획부(區劃部)(K3)와 제4 구획부(區劃部)(K4)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구획부(K1)의 테두리부(70-K1-1)는 이에 인접한 상기 제2 구획부(K2)의 테두리부(70-K2-2)와 서로 일체로 이어져 구획벽(區劃壁)(F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구획부(K2)의 테두리부(70-K2-1)는 이에 인접한 상기 제3 구획부(K3)의 테두리부(70-K3-2)와 서로 일체로 이어져 구획벽(區劃壁)(F2)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구획부(K3)의 테두리부(70-K3-1)는 이에 인접한 상기 제4 구획부(K4)의 테두리부(70-K4-2)와 서로 일체로 이어져 구획벽(區劃壁)(F3)이 형성되고,
상기 제4 구획부(K4)의 테두리부(70-K4-1)는 이에 인접한 상기 제1 구획부(K1)의 테두리부(70-K1-2)와 서로 일체로 이어져 구획벽(區劃壁)(F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이다.
본 발명의 재질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 등의 내수성(耐水性)이 좋은 합성수지재가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벽(F1)과 상기 구획벽(F2)과 상기 구획벽(F3)과 상기 구획벽(F4) 각각에는 배수(排水)용 관통구멍(F-e)이 구비되고,
상기 구획벽(F1)의 상면부(上面部)와 상기 구획벽(F2)의 상면부(上面部)와 상기 구획벽(F3)의 상면부(上面部)와 상기 구획벽(F4)의 상면부(上面部) 각각에는 상기 배수용 관통구멍(F-e)에 배수(排水)가 흐르도록 하는 배수로(排水路)용 홈(F-d)이 구비되고,
상기 구획벽(F1)과 상기 구획벽(F2)과 상기 구획벽(F3)과 상기 구획벽(F4) 각각의 하방(下方)에는 배수로(排水路)용 공간부(F-s)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성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벽(F1)과 상기 구획벽(F2)과 상기 구획벽(F3)과 상기 구획벽(F4)이 서로 만나는 중심부에는 배수용 관통구멍(C-e)이 구비되는 구성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벽(F1)과 상기 구획벽(F2)과 상기 구획벽(F3)과 상기 구획벽(F4)은 각각 절단(切斷) 가능하도록,
상기 구획벽(F1)과 상기 구획벽(F2)과 상기 구획벽(F3)과 상기 구획벽(F4) 각각의 상면부(上面部)에는 절단(切斷)용 홈(v1)이 형성되어 구비되고,
상기 구획벽(F1)과 상기 구획벽(F2)과 상기 구획벽(F3)과 상기 구획벽(F4) 각각의 하면부(下面部)에는 절단(切斷)용 홈(v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성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하면부(80b)에는, 도 1 내지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구성에 더하여, 도 11a 내지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면부(80b)의 가장자리 부근에 복수(複數) 개의 보조 받침 부재(95)가 구비되는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식물(植物) 식재(植栽)용 구조물(200)은, 식물(植物)의 식재(植栽)가 가능하도록, 토양(土壤)(210)과, 이 토양(210)을 이 토양(210)의 하방(下方)에서 상방(上方)으로 지지하는, 다공질(多孔質)의, 부직포(不織布)(220)를 구비하고, 다공질(多孔質)의, 상기 부직포(220)는 2겹 구조로서 하측(下側)의 부직포(220-1)와 상측(上側)의 부직포(220-2)가 구비되며, 상기 상측의 부직포(220-2)는 그 상방(上方)에 상기 토양(210)이 놓이며, 상기 하측의 부직포(220-1)는 상기 상측의 부직포(220-2)의 하방(下方)에 상기 상측의 부직포(220-2)에 겹쳐져 구비된다. 상기 하측의 부직포(220-1)은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의 각각의 지지 기둥(20) 사이의 상기 저수용 공간부(10)에 저수된 물(水)의 흡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부직포 절개편(220-1b)으로서, 이에 상응하는 상기 저수용 공간부(10)에 위치함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되어 구비된다.
상기 저수용 공간부(10)에는, 함수(含水)가 가능한 충전재(充塡材)[예컨대, 모래, 스폰지, 오아시스 등]를 적절히 넣어 상기 부직포(220-1)(220-2)를 통하여 저수된 물(水)을 상기 토양(210)에 공급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면에서의 부호 중 미설명 부호 1은 식물(植物)이고, 250은 경계석(境界石)이고, 300은 인공 지반(人工 地盤)이고, F-e-a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이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된 경우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배수용 관통구멍을 이루는 부분이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작용은, 도 1 내지 도 11a 내지 도11e, 특히 도 7a 내지 도 7c 내지 도10a 내지 도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와 같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기본 단위 구성'으로서의 제1 구획부(區劃部)(K1)가 구비되고, 상기 '기본 단위 구성'으로서의 상기 제1 구획부(區劃部)(K1)는, 이 제1 구획부(K1)의 테두리부(70-K1-1)(70-K1-2)(70-K1-3)(70-K1-4)의 안쪽(70-K1-10)에, 상기 토양(210)의 무게가 실린 상기 다공질의 부직포(220)를 상방(上方)으로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부(80)로부터 상방(上方)으로 돌출되며 상기 바닥부(80)와 일체로 형성된 복수(複數) 개의 지지 기둥(20)과, 상기 복수(複數) 개의 지지 기둥(20)의 각각의 사이에 이루어진 상기 저수(貯水)용 공간부(10)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複數) 개의 지지 기둥(20) 중 서로 인접한 지지 기둥(20)의 각각 의 사이는 서로 일정한 간격(t1)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테두리부(70-K1-1)(70-K1-2)(70-K1-3)(70-K1-4)의 안쪽(70-K1-10)에서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을 제외한 공간이 모두 저수용 공간부(10)로서 극대화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토양(210)을 통과한 우수(雨水) 및 급수(給水)가 용이하게 극대량으로 저수(貯水)됨이 가능하여, 물(水)의 급수 및 저수의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이 일정한 간격(t1)을 두고 구비된 구성 및, 상기 하면부(80b)의 상기 복수 개의 받침 부재(91)가 일정한 간격(t2)을 두고 구비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토양(210)의 무게가 실린 상기 부직포(220)의 무게를 균일하게 분산하여 상방(上方)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함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상측의 부직포(220-2)가 상기 토양(210)의 무게에 의하여 하방(下方)으로 조금 처져 있는 부분들(220-2b)이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의 각각의 사이에 끼워지면, 상기 식물(植物) 식재(植栽)용 구조물(200)이 필요에 따라 경사(傾斜)지게 설치된 경우에도 상기 식물(植物) 식재(植栽)용 구조물(200)이 안정적으로 정착됨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의 각각의 지지 기둥(20)은 서로 같은 크기와 같은 형상이 바람직하여, 상기 토양(210)의 무게가 실린 상기 부직포(220)의 무게를 균일하게 분산하여 상방(上方)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함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테두리부(70-K1-1)와 상기 테두리부(70-K1-2)와 상기 테두리부(70-K1-3)와 상기 테두리부(70-K1-4) 각각의 높이(70H)는 서로 같은 높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 기둥(20)의 높이(20h)는 상기 테두리부(70-K1-1)와 상기 테두리부(70-K1-2)와 상기 테두리부(70-K1-3)와 상기 테두리부(70-K1-4) 각각의 높이(70H)와 같은 높이가 바람직하여, 상기 토양(210)의 무게가 실린 상기 부직포(220)의 무게를 균일하게 분산하여 상방(上方)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함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의 각각에는 수직으로 배수(排水)용 관통구멍(20e)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의 각각의 상면부(上面部)에는 상기 배수용 관통구멍(20e)에 배수(排水)가 흐르도록 하는 배수로(排水路)용 홈(d)이 구비되므로,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을 제외한 공간이 모두 저수용 공간부(10)로서 극대화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토양(210)을 통과한 우수(雨水) 및 급수(給水)가 용이하게 극대량으로 저수(貯水)됨이 가능하여, 물(水)의 급수 및 저수의 관리가 용이함과 아울러,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의 각각의 지지 기둥(20)에 형성된 배수(排水)용 관통구멍(20e)과 이에 상응하여 연결된 배수로(排水路)용 홈(d) 및 하면부(80b)의 배수로용 공간부(90)에 의하여, 상기 토양(210)을 통과한 우수(雨水) 및 상기 토양(210)에서 하류(下流)하는 물(水)의 배수(排水)가, 도면 10c의 화살표 D 표시 의 방향으로, 용이하여 토양(210)에 식재된 식물(1)의 식생(植生) 및 성장이 극대화하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배수용 관통구멍(20e)과 상기 배수로용 홈(d)에 의하여, 상기 토양(210)으로부터 하류(下流)하는 배수(排水)가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토양(210)에 식재된 식물(1)에 적절한 통기성을 주기 위한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의 각각의 지지 기둥(20)에, 바람직하게는, 그 중앙부(20c)에 수직으로 상기 배수용 관통구멍(20e)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므로, 중앙부(20c)에 구비된 배수용 관통구멍(20e)과 이에 이어진 배수로용 홈(d)에 의하여 중앙부(20c)에 배수(排水)가 용이하게 집중되는 구조가 가능하다.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의 각각의 지지 기둥(20)의 상면부(上面部)에는 배수용 관통구멍(20e)에 배수(排水)가 흐르도록 하는 배수로(排水路)용 홈(d)이 방사상(放射狀)으로 복수(複數) 개 구비되어 이루어짐이 더욱 바람직한 구성이므로, 상기 토양(210)으로부터 하류하는 우수(雨水) 또는 급수(給水)를 배수용 관통구멍(20e)에 이어진 배수로용 홈(d)에 의하여 배수용 관통구멍(20e)에 배수가 용이하게 집중되는 구조가 가능하다.
상기 배수로용 홈(d)의 깊이(d-h)는 배수(排水)의 필요량(必要量)에 따른 깊이로서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배수(排水)가 많이 필요한 제품으로는 상기 깊이(d-h)가 상대적으로 깊게 하여 배수량이 많고 이에 따라 저수량은 상대적으로 적게 됨이 가능하며, 배수(排水)가 적게 필요한 제품으로는 상기 깊이(d-h)가 상대적으로 얕게 하여 배수량이 적고 이에 따라 저수량은 상대적으로 많게 됨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바닥부(180)의 하면부(下面部)(80b)에는, 상기 배수용 관통 구멍(20e)으로부터 배수(排水)되는 물(水)이 흐르도록 하는 배수로(排水路)용 공간부(90)와, 이 배수로(排水路)용 공간부(90)가 형성되도록 하며 아울러 상기 하면부(80b)를 상방(上方)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하면부(80b)로부터 하방(下方)으로 돌출하며 상기 하면부(80b)와 일체로 형성된 복수(複數) 개의 받침 부재(91)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複數) 개의 받침 부재(91) 중 서로 인접한 받침 부재(91)의 각각의 사이는 일정한 간격(t2)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이 일정한 간격(t1)을 두고 구비된 구성 및, 상기 하면부(80b)의 상기 복수 개의 받침 부재(91)가 일정한 간격(t2)을 두고 구비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토양(210)의 무게가 실린 상기 부직포(220)의 무게를 균일하게 분산하여 상방(上方)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함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의 각각의 상면부(上面部)에는 상기 배수용 관통구멍(20e)으로부터 배수되는 물(水)은 하면부(80b)의 배수로용 공간부(90)에 의하여, 상기 토양을 통과한 우수(雨水) 및 상기 토양에서 하류하는 물(水)의 배수가 용이하여 토양에 식재되는 식물의 식생(植生) 및 성장이 극대화하도록 한다.
상기 배수로용 공간부(90)을 통하여 배수(排水)된 물(水)은 인공 지반(人工 地盤)(300)에 설치된 통상의 배수(排水) 시설(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배수(排水)가 마무리된다.
상기 배수로용 공간부(90)는 그 구조가, 일정한 간격(t2)으로 사이가 이루어 진 상기 복수 개의 받침 부재(91)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 된다.
상기 복수(複數) 개의 받침 부재(91)의 각각의 받침 부재(91)은 모두 같은 높이(91h)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같은 크기와 서로 같은 형상이 바람직하여, 상기 배수로용 공간부(90)는 그 구조가, 일정한 간격(t2)으로 사이가 이루어진 상기 복수 개의 받침 부재(91)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본 단위 구성"으로서의 상기 제1 구획부(K1)와 같은 구성으로써 같은 크기이며 같은 형상으로 각각 이루어진 제2 구획부(區劃部)(K2)와 제3 구획부(區劃部)(K2)와 제4 구획부(區劃部)(K4)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구획부(K1)의 테두리부(70-K1-1)는 이에 인접한 상기 제2 구획부(K2)의 테두리부(70-K2-2)와 서로 일체로 이어져 구획벽(區劃壁)(F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구획부(K2)의 테두리부(70-K2-1)는 이에 인접한 상기 제3 구획부(K3)의 테두리부(70-K3-2)와 서로 일체로 이어져 구획벽(區劃壁)(F2)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구획부(K3)의 테두리부(70-K3-1)는 이에 인접한 상기 제4 구획부(K4)의 테두리부(70-K4-2)와 서로 일체로 이어져 구획벽(區劃壁)(F3)이 형성되고,
상기 제4 구획부(K4)의 테두리부(70-K4-1)는 이에 인접한 상기 제1 구획부(K1)의 테두리부(70-K1-2)와 서로 일체로 이어져 구획벽(區劃壁)(F4)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므로,
상기 구획부들은 인접한 구획부 각각이 서로 상응하여 접하는 테두리부가 서로 일체로 이어져 구획벽들이 이루어져, 상기 토양(210)의 무게가 실린 상기 부직포(220-1)(220-2)를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과 함께 안정적으로 상방(上方)으로 지지 함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재질은 내수성(耐水性)의 합성수지재가 바람직하여,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에 의하여 상기 저수용 공간부(10)가 극대화되는 구성임과 상기 복수 개의 지지 받침(91)에 의하여 배수로용 공간부(90)가 구비된 구성임에 따라, 본 발명의 재질이 합성수지재로서의 단열재에 의한 단열 효과에 더하여, 그 단열의 효과를 극대화함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벽(F1)과 상기 구획벽(F2)과 상기 구획벽(F3)과 상기 구획벽(F4) 각각에는 배수용 관통구멍(F-e)이 구비되고,
상기 구획벽(F1)의 상면부(上面部)와 상기 구획벽(F2)의 상면부(上面部)와 상기 구획벽(F3)의 상면부(上面部)와 상기 구획벽(F4)의 상면부(上面部) 각각에는 상기 배수용 관통구멍(F-e)에 배수(排水)가 흐르도록 하는 배수로(排水路)용 홈(F-d)이 구비되고,
상기 구획벽(F1)과 상기 구획벽(F2)과 상기 구획벽(F3)과 상기 구획벽(F4) 각각의 하방(下方)에는 배수로용 공간부(F-s)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므로,
상기 토양(200)으로부터 하류하는 물(水)의 배수를 위하여, 배수로용 홈(F-d)에 의하여 배수용 관통구멍(F-e)에 배수가 용이하게 집중되어 배수가 이루 어지며, 이러한 배수는 상기 배수로용 공간부(F-s)에 의하여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벽(F1)과 상기 구획벽(F2)과 상기 구획벽(F3)과 상기 구획벽(F4)이 서로 만나는 중심부에는 배수용 관통구멍(C-e)이 구비되는 구성이 더욱 바람직하여, 상기 배수용 관통구멍(C-e)은 상기 배수로용 공간부(F-s)에 의하여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벽(F1)과 상기 구획벽(F2)과 상기 구획벽(F3)과 상기 구획벽(F4)은 각각 절단(切斷) 가능하도록,
상기 구획벽(F1)과 상기 구획벽(F2)과 상기 구획벽(F3)과 상기 구획벽(F4) 각각의 상면부(上面部)에는 절단(切斷)용 홈(v1)이 형성되어 구비되고,
상기 구획벽(F1)과 상기 구획벽(F2)과 상기 구획벽(F3)과 상기 구획벽(F4) 각각의 하면부(下面部)에는 절단(切斷)용 홈(v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1 구획부(K1)와 제2 구획부(K2)와 제3 구획부(K3)와 상기 제4 구획부(K4) 각각은 그 각각의 구획벽들이 각각 절단 가능하므로,
시공 현장의 규모에 맞추어 필요한 구획벽을 손(手)이나 휴대용 도구로 용이하게 시공 현장에서 절단하여 필요한 크기를 조절함이 가능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의 자원 낭비를 극소화함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a 내지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면부(80b)에는, 그 가장자리 부근에 복수(複數) 개의 보조 받침 부재(95)가 구비되는 구성이 가능하여, 상기 보조 받침 부재(95)는 제품 성형시에 제 품의 안정성을 주며, 제품의 사용에서는 상방(上方)으로 지지력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함이 가능하다.
상기 식물(植物) 식재(植栽)용 구조물(200)은, 식물(植物)의 식재(植栽)가 가능하도록, 토양(土壤)(210)과, 이 토양(210)을 이 토양(210)의 하방(下方)에서 상방(上方)으로 지지하는, 다공질(多孔質)의, 부직포(不織布)(220)를 구비하고, 다공질(多孔質)의, 상기 부직포(220)는 2겹 구조 즉 2층 구조로서 하측(下側)의 부직포(220-1)와 상측(上側)의 부직포(220-2)가 구비되며, 상기 상측의 부직포(220-2)는 그 상방(上方)에 상기 토양(210)이 놓이므로, 상기 토양(210)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상측 부직포(220-2)는 이에 상응하는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의 각각의 지지 기둥(20) 사이의 저수용 공간부(10)에 처져서 위치하여 도면 10c 도시의 처져 있는 부직포(220-2b)로서 위치하게 되어, 상기 저수용 공간부(10)에 저수가 가득찬 경우 및 거의 가득찬 경우에는, 저수된 물(水)(w)이 도면 10c에서 화살표 Q 표시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부직포(220-2b)에 모세관 작용으로 흡수되어 상기 토양(210)으로 물(水)의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측의 부직포(220-1)는 상기 상측의 부직포(220-2)의 하방(下方)에 상기 상측의 부직포(220-2)에 겹쳐져 구비되고, 상기 하측의 부직포(220-1)는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의 각각의 지지 기둥(20) 사이의 상기 저수용 공간부(10)에 저수된 물(水)의 흡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부직포 절개편(220-1b)으로서, 이에 상응하는 상기 저수용 공간부(10)에 위치함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되어 구비되므로,
도면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의 부직포(220-1)는 부직포 절개편(220-1b)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의 각각의 지지 기둥(20) 사이의 상기 저수용 공간부(10)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저수용 공간부(10)에 저수가 가득찬 경우 및 상기 저수용 공간부(10)에 저수가 일부 차 있는 경우에, 저수된 물(水)(w)이 도면 10c에서 화살표 P 표시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부직포(220-1b)에 모세관 작용으로 흡수되어 상기 토양(200)으로 물(水)의 공급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토양(210)을 통과한 우수(雨水) 및 급수(給水)가 용이하게 극대량으로 저수(貯水)됨이 가능하고, 이렇게 저수된 물(水)는 용이하게 상기 토양(210)으로 공급 가능하므로, 물(水)의 급수 및 저수의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토양(210)에 식재된 식물(1)이 성장하여 뿌리가 길어진 경우에는 상기 부직포(220-1)(220-2)의 다공질의 공간을 통하여 상기 저수용 공간부(10)에까지 뿌리가 뻗어 나와, 상기 저수용 공간부(10)에 저수된 물(水)은 상기 식물(1)에 용이하게 공급됨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상기 식물 식재용 구조물(200)의 하방(下方)에서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서로 접(接)하며 연속하여 설치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구성 및 작용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 기재의 효과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식물(植物)의 식재(植栽)에 의한 건물의 옥상(屋上) 녹화(綠化)용 으로 사용되며, 그 밖에 건물의 복도, 건물의 베란다, 발코니 등의 녹화(綠化)용으로 사용되며, 아울러 지하철 내부 통로, 포장도로 주변부 등 인공 지반(人工 地盤)에 친환경적 필요에 따라, 상기 작용 효과에 따라 널리 이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저면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1 구획부(區劃部)의 구성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지지 기둥의 구성을 보인 더욱 확대된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1 구획부(區劃部)의 저면의 구성을 보인 저면 확대 사시도,
도 7a는 도 2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7b는 도 7a에서의 지지 기둥과 배수용 관통구멍 및 저수용 공간부 및 배수로용 공간부와 받침 부재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확대 단면도
도 7c는 도 2에서의 B-B'선에 따른 절단부에서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확대 단면도,
도 8은 제1 구획부와 제2 구획부로부터 절단된 제3 구획부와 제4 구획부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에서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에서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에서의 구성 및 작용을 확대하여 보인 확대 종단면도,
도 10c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에서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확대하여 보인 확대 종단면도,
도 11a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보조 받침 부재가 구비된 구성을 보이기 위한 E-E'선 단면도를 위한 E-E'선을 표시한 평면도,
도 11b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보조 받침 부재가 구비된 구성을 보인 저면도,
도 11c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보조 받침 부재가 구비된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11d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보조 받침 부재가 구비된 구성을 보인 저면 확대 사시도,
도 11e는 도 11a에서의 E-E'선 단면도,
도12는 종래 기술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수(貯水)용 공간부,
20 : 지지 기둥, 20h : 지지 기둥의 높이, 20e : 배수(排水)용 관통구멍,
70 : 테두리부, 70H : 테두리부의 높이,
70-K1-1, 70-K1-2, 70-K1-3, 70-K1-4 : 제1 구획부의 테두리부, 70-K1-10 : 제1 구획부의 테두리부의 안쪽,
70-K2-1, 70-K2-2, 70-K2-3, 70-K2-4 : 제2 구획부의 테두리부,
70-K3-1, 70-K3-2, 70-K3-3, 70-K3-4 : 제3 구획부의 테두리부,
70-K4-1, 70-K4-2, 70-K4-3, 70-K4-4 : 제4 구획부의 테두리부,
80 : 바닥부, 80b : 바닥부의 하면부(下面部),
90 : 배수로(排水路)용 공간부, 91 : 받침 부재, 91h : 받침 부재의 높이,
100 : 식물(植物) 식재(植栽)용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 판(板)
200 : 식물(植物) 식재(植栽)용 구조물, 210 : 토양(土壤),
220 : 부직포(不織布), 220-1 : 하측(下側)의 부직포, 220-2 : 상측(上側)의 부직포, 220-1b : 부직포 절개편, 220-2b : 처져 있는 부직포,
d : 배수로(排水路)용 홈, d-h : 배수로용 홈의 높이,
F-d : 배수로(排水路)용 홈, F-e : 배수(排水)용 관통구멍, F-s : 배수로(排水路)용 공간부,
F1, F2, F3, F4 : 구획벽(區劃壁),
K1 : 제1 구획부(區劃部), K2 : 제2 구획부(區劃部) K3 : 제3 구획부(區劃部), K4 : 제4 구획부(區劃部),
t1 : 복수(複數) 개의 지지 기둥(20) 중 서로 인접한 지지 기둥(20)의 각각의 사이의 일정한 간격,
t2 : 복수(複數) 개의 받침 부재(91) 중 서로 인접한 받침 부재(91)의 각각의 사이의 일정한 간격,
v1, v2 : 절단(切斷)용 홈
w : 물(水)

Claims (3)

  1. 식물(植物)의 식재(植栽)가 가능하도록, 토양(土壤)(210)과, 이 토양(210)을 이 토양(210)의 하방(下方)에서 상방(上方)으로 지지하는, 다공질(多孔質)의, 부직포(不織布)(220)를 구비한 식물(植物) 식재(植栽)용 구조물(200)의 하방(下方)에 설치되어, 상기 토양(210)에 대하여 물(水)을 공급함이 가능하게 물(水)의 저수(貯水)가 가능하도록 하며 아울러 상기 토양(210)으로부터 하류(下流)하는 물(水)의 배수(排水)가 가능하도록, 저수(貯水)용 공간부(10)와, 배수용 관통구멍과, 테두리부(70)와, 바닥부(8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에 있어서;
    '기본 단위 구성'으로서의 제1 구획부(區劃部)(K1)가 구비되고,
    상기 '기본 단위 구성'으로서의 상기 제1 구획부(區劃部)(K1)는, 이 제1 구획부(K1)의 테두리부(70-K1-1)(70-K1-2)(70-K1-3)(70-K1-4)의 안쪽(70-K1-10)에, 상기 토양(210)의 무게가 실린 상기 다공질의 부직포(220)를 상방(上方)으로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부(80)로부터 상방(上方)으로 돌출되며 상기 바닥부(80)와 일체로 형성된 복수(複數) 개의 지지 기둥(20)과, 상기 복수(複數) 개의 지지 기둥(20)의 각각의 사이에 이루어진 상기 저수(貯水)용 공간부(10)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複數) 개의 지지 기둥(20) 중 서로 인접한 지지 기둥(20)의 각각의 사이는 서로 일정한 간격(t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의 각각에는 수직으로 배수(排水)용 관통구멍(20e)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 기둥(20)의 각각의 상면부(上面部)에는 상기 배수용 관통구멍(20e)에 배수(排水)가 흐르도록 하는 배수로(排水路)용 홈(d)이 구비되고;
    상기 바닥부(80)의 하면부(下面部)(80b)에는, 상기 배수용 관통구멍(20e)으로부터 배수(排水)되는 물(水)이 흐르도록 하는 배수로(排水路)용 공간부(90)와, 이 배수로(排水路)용 공간부(90)가 형성되도록 하며 아울러 상기 하면부(80b)를 상방(上方)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하면부(80b)로부터 하방(下方)으로 돌출하며 상기 하면부(80b)와 일체로 형성된 복수(複數) 개의 받침 부재(91)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複數) 개의 받침 부재(91) 중 서로 인접한 받침 부재(91)의 각각의 사이는 일정한 간격(t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본 단위 구성"으로서의 상기 제1 구획부(K1)와 같은 구성으로써 같은 크기이며 같은 형상으로 각각 이루어진 제2 구획부(區劃部)(K2)와 제3 구획부(區劃部)(K3)와 제4 구획부(區劃部)(K4)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구획부(K1)의 테두리부(70-K1-1)는 이에 인접한 상기 제2 구획부(K2)의 테두리부(70-K2-2)와 서로 일체로 이어져 구획벽(區劃壁)(F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구획부(K2)의 테두리부(70-K2-1)는 이에 인접한 상기 제3 구획부(K3)의 테두리부(70-K3-2)와 서로 일체로 이어져 구획벽(區劃壁)(F2)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구획부(K3)의 테두리부(70-K3-1)는 이에 인접한 상기 제4 구획부(K4)의 테두리부(70-K4-2)와 서로 일체로 이어져 구획벽(區劃壁)(F3)이 형성되고,
    상기 제4 구획부(K4)의 테두리부(70-K4-1)는 이에 인접한 상기 제1 구획부(K1)의 테두리부(70-K1-2)와 서로 일체로 이어져 구획벽(區劃壁)(F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F1)과 상기 구획벽(F2)과 상기 구획벽(F3)과 상기 구획벽(F4) 각각에는 배수(排水)용 관통구멍(F-e)이 구비되고,
    상기 구획벽(F1)의 상면부(上面部)와 상기 구획벽(F2)의 상면부(上面部)와 상기 구획벽(F3)의 상면부(上面部)와 상기 구획벽(F4)의 상면부(上面部) 각각에는 상기 배수용 관통구멍(F-e)에 배수(排水)가 흐르도록 하는 배수로(排水路)용 홈(F-d)이 구비되고,
    상기 구획벽(F1)과 상기 구획벽(F2)과 상기 구획벽(F3)과 상기 구획벽(F4) 각각의 하방(下方)에는 배수로(排水路)용 공간부(F-s)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F1)과 상기 구획벽(F2)과 상기 구획벽(F3)과 상기 구획벽(F4)은 각각 절단(切斷) 가능하도록,
    상기 구획벽(F1)과 상기 구획벽(F2)과 상기 구획벽(F3)과 상기 구획벽(F4) 각각의 상면부(上面部)에는 절단(切斷)용 홈(v1)이 형성되어 구비되고,
    상기 구획벽(F1)과 상기 구획벽(F2)과 상기 구획벽(F3)과 상기 구획벽(F4) 각각의 하면부(下面部)에는 절단(切斷)용 홈(v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
KR1020090050148A 2009-06-05 2009-06-05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 KR101055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148A KR101055651B1 (ko) 2009-06-05 2009-06-05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148A KR101055651B1 (ko) 2009-06-05 2009-06-05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319A true KR20100131319A (ko) 2010-12-15
KR101055651B1 KR101055651B1 (ko) 2011-08-09

Family

ID=43507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148A KR101055651B1 (ko) 2009-06-05 2009-06-05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6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965B1 (ko) * 2011-08-25 2013-10-28 도호레오 가부시키가이샤 식재 팔레트 및 이를 이용한 조경 시설
KR102186357B1 (ko) * 2019-08-05 2020-12-03 주식회사 이알에스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068B1 (ko) 2019-01-11 2019-07-03 주식회사 스마트아그로 잔디를 이용한 모듈형 옥상녹화 시스템의 판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옥상녹화 시스템
KR102195247B1 (ko) 2020-07-09 2020-12-24 (주) 금룡 내구성이 증대된 잔디식재용 완충배수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420B1 (ko) * 2004-02-04 2005-10-11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인공지반녹화용 모듈과 이를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JP2009118770A (ja) * 2007-11-14 2009-06-04 Kureatera:Kk マット植物用地盤軽量化部材及び屋上緑化工法
KR101051529B1 (ko) * 2009-02-13 2011-07-22 주식회사 세인환경기술 인공지반을 이용한 꽃밭의 조성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965B1 (ko) * 2011-08-25 2013-10-28 도호레오 가부시키가이샤 식재 팔레트 및 이를 이용한 조경 시설
KR102186357B1 (ko) * 2019-08-05 2020-12-03 주식회사 이알에스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5651B1 (ko) 201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8690B1 (en) Plant cultivation mat and method for laying the same
EP2885460B1 (en) Plantsurface structure, method for forming the same and module for such a structure
JP4165841B2 (ja) 植栽マット用貯水槽トレー及びその設備
DK2904895T3 (en) Vertical planting system
KR101055651B1 (ko) 식물(植物) 식재용(植栽用) 저수(貯水) 겸용 배수(排水)판(板)
JP3813934B2 (ja) 緑化体
KR200455094Y1 (ko) 초박형 식생유니트
JP4753074B2 (ja) 緑化システム
WO2012169451A1 (ja) 貯水排水基盤材とそれを用いた緑化構造体
JP3856681B2 (ja) 植栽トレー
JP2007167039A (ja) 緑化容器
AU2021107070A4 (en) Suppor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0974086B1 (ko) 포트 식생 호안 블록
JP2005341905A (ja) 壁面緑化部材および壁面緑化方法
JP2008017850A (ja) 屋上緑化施工用パネル、及びその屋上緑化施工用パネルを用いた屋上緑化の施工システム
JP4008950B2 (ja) 植栽マット及び植栽設備
JP4342593B2 (ja) 植栽マット用貯水槽トレー及びその設備
JPH1175561A (ja) プランター
JP2005333976A (ja) 多目的植栽基盤
JP2007053970A (ja) 屋上用路床ブロック並びにこれを用いた屋上用路床構造
CN117694134A (zh) 模块组装式种植容器
KR100830937B1 (ko) 수분공급컬럼이 구비된 수분공급시트
JP2013230121A (ja) 間仕切り自在な組立て式プランター
KR20040042911A (ko) 식생플랜터를 구비한 방음벽 조립체
JP2004073213A (ja) 植栽用マ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