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730B1 -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730B1
KR101230730B1 KR1020120066507A KR20120066507A KR101230730B1 KR 101230730 B1 KR101230730 B1 KR 101230730B1 KR 1020120066507 A KR1020120066507 A KR 1020120066507A KR 20120066507 A KR20120066507 A KR 20120066507A KR 101230730 B1 KR101230730 B1 KR 101230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egetation
water supply
water storage
soi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김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태 filed Critical 김형태
Priority to KR1020120066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2Grey water, e.g. from clothes washers, showers or dishwas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otan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하면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중 하부에 수용되는 지지토양층과, 상기 지지토양층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물수용공간이 형성된 물저장부와, 상기 물저장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분공급면부와, 일단이 상기 물저장부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수분공급면부의 일측을 통과하며,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수분공급면부로 전달하는 수분전달부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중 상기 수분공급면부의 상부에 수용되는 식생토양층과, 상기 식생토양층에 식재되는 식생부 및 하단부가 설치대상영역에 매설되고, 내부에 상기 물저장부의 물저장공간과 연통되는 물공급로가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물공급로를 통해 상기 물저장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유입구가 형성된 중수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식생토양측에 식생을 식재하고, 물저장부 및 수분공급면부를 통해 식생에 수분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면서도 우천시 중수공급부에 형성된 물공급로를 통해 물저장부에 물이 충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생을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이면서도 별도의 관리작업없이도 식생에 지속적으로 수분이 공급되도록 하여 식생의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식생의 유지/관리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ecology block based veget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생을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이면서도 별도의 관리작업없이도 식생에 지속적으로 수분이 공급되도록 하여 식생의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식생의 유지/관리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이라는 트렌드에 따라 보차도의 주변영역이나 공원, 해변가, 건축물의 옥상과 같은 공터의 일측에는 다수의 식생이 식재된 조경물이 설치되어 주위의 경관을 미려하게 할 뿐 아니라 그 목적에 따라 차량 또는 사람이 내부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는 용도, 식용식물을 재배하는 용도등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생태조경물은 식재된 식생을 유지/관리하기 위해 별도의 관리인원이 주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해야 함으로써 식생의 유지/관리가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특히, 공용시설물의 경우 별도의 관리직원을 채용함에 따라 식생의 유지/관리비용이 현저하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생태조경물은 식생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 또는 영양분이 적은 토양에 설치되는 경우 식생의 생장이 어려워 이를 유지하거나 보수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식생기반 울타리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할 수 있으면서도 환경친화적인 울타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생을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이면서도 빗물과 같은 중수를 이용하여 식생의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식생의 유지/관리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하면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중 하부에 수용되는 지지토양층과, 상기 지지토양층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물수용공간이 형성된 물저장부와, 상기 물저장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분공급면부와, 일단이 상기 물저장부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수분공급면부의 일측을 통과하며,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수분공급면부로 전달하는 수분전달부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중 상기 수분공급면부의 상부에 수용되는 식생토양층과, 상기 식생토양층에 식재되는 식생부 및 하단부가 설치대상영역에 매설되고, 내부에 상기 물저장부의 물저장공간과 연통되는 물공급로가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물공급로를 통해 상기 물저장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유입구가 형성된 중수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중수공급부는 하단부가 설치대상영역에 매설되고, 상단에 상기 물저장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유입구가 형성된 한쌍의 중수공급몸체 및 일측에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수공급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물유입구를 차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수분공급면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식생토양층을 통과하여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으로부터 하단방향으로 우수유입공이 형성된 우수유입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물저장부는 상기 지지토양층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물수용공간이 형성된 탱크부 및 상기 탱크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설치대상지역의 지반을 굴착하여 상기 지반 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단계와,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잇는 물수용공간이 형성된 물저장부와, 내부에상기 물수용공간과 연통물저장부의 물저장공간과 연통되는 물공급로가 형성되며 상면 일측에 상기 물공급로를 통해 상기 물저장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유입구가 형성된 중수공급부를 상기 지반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지지부를 상기 물저장부의 상부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수분공급면부를 배치하는 단계와, 일단이 상기 물저장부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수분공급면부의 일측을 통과하도록 수분전달부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수분공급면부의 상면 일측에 우수유입관의 하단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우수유입관을 수직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수분공급면부의 상부에 식생토양층을 수용하여 상기 물저장부와, 상기 중수공급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수분공급면부와, 상기 수분전달부를 매설하는 단계 및 상기 식생토양층에 식생을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식생토양측에 식생을 식재하고, 물저장부 및 수분공급면부를 통해 식생에 수분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면서도 우천시 중수공급부에 형성된 물공급로를 통해 물저장부에 빗물과 같은 중수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생을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이면서도 별도의 관리작업없이도 식생에 지속적으로 수분이 공급되도록 하여 식생의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식생의 유지/관리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식생기반 울타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와, 수분공급면부 및 수분전달부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탱크부에 수용된 물이 식생부로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수공급부를 통해 탱크부에 물이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의 분해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의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1)는 본체(10)와, 지지토양층(20)과, 물저장부(30)와, 지지부(40)와, 수분공급면부(50)와, 수분전달부(60)과, 식생토양층(70)과, 식생부(80)과, 중수공급부(90) 및 우수유입관(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대략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수용공간(11)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형성되며, 저면에 복수개의 배출공(12)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0)는 내부에 후술하는 각 구성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제공함과 각 구성의 설치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토양층(20)은 본체(10)의 수용공간(11) 중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배출공(12)이 형성된 본체(10)의 내부 하면과 물저장부(30)의 저면이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물저장부(30)로부터 하방으로 이동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지지토양층(20)은 배수효율이 높은 재질이 사용됨에 바람직하며, 그 일예로 모래 또는 자갈과 모래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본체(10)의 내부에 후술하는 물저장부(30)와, 중수공급부(90)와, 지지부(40)와, 수분공급면부(50)와, 수분전달부(60) 및 식생토양층(70)이 수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 및 지지토양층(20)은 설치대상지역의 토양상태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즉, 설치대상지역의 토양이 수분과 영양분이 적은 경우에는 본체가 설치대상지역의 토양과 식생토양층을 구획하도록 본체를 이용하여 식생토양층의 수분과 영양분이 설치대상지역의 토양으로 흡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나, 설치대상지역 토양이 식생이 자라는데 충분한 수분과 영양분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본체 및 지지토양층(20)을 생략하여 식생이 설치대상지역의 토양으로부터 수분과 영양분을 공급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저장부(30)는 내부에 물수용공간(31a)이 형성된 탱크부(31) 및 탱크부(31)의 상단 외주연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지지리브(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후술하는 식생토양층(70)에 공급하고자 하는 수분, 즉 물을 일정시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탱크부(31)는 대략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부가 지지토양층(20)의 상부에 안착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에 물수용공간(31a)이 형성되어 식생토양층(70)에 공급하고자 하는 물을 일정시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탱크부(31)는 상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31b)가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중수 또는 우수의 양이 미리 설정된 양을 초과하는 경우 배출구(31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리브(32)는 탱크부(31)로부터 연장되고, 본체(10)의 내부 중 하부에 수용된 지지토양층(20)의 상면 일측에 지지되어 탱크부(31)가 유동되지 않고 본체(10)의 수용공간(11) 내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40)는 복수개의 통공(41)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 중 외주연이 지지리브(32)의 상면에 지지되면서 물저장부(30)의 상부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수분공급면부(50)가 물저장부(3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수분공급면부(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수분공급면부(50)와 함께 식생토양층(70)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지지부(40)의 통공(41)은 수분공급면부(50)로부터 낙하하는 물방울이 물저장부(30)의 탱크부(31)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지지부(40)는 수분공급면부(50)를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수분공급면부(50)로부터 낙하하는 물방울이 물저장부(30)로 유입될 수 있는 메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공급면부(50)는 지지부(40)의 상부에 설치되어 물저장부(30)의 상부에 위치되며, 후술하는 수분전달부(60)를 통해 물저장부(30)에 수용된 수분이 공급되는 경우 공급된 수분을 후술하는 식생토양층(70)으로 전달하여 식생토양층(70)에서 식생부(80)에 수분을 공급함과 아울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부(40)와 함께 식생토양층(70)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수분전달부(60)에 수분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부직포와 같이 수분흡수율이 높은 천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전달부(60)는 수분흡수율이 높은 천 재질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탱크부(31)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측이 수분공급부를 통과하면서 모세관현상에 의해 탱크부(31)에 저장된 물이 수분공급면부(50)로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식생토양층(70)은 본체(10)의 수용공간(11) 중 수분공급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식생부(80)에 영양분을 공급함과 아울러 식생부(80)의 성장에 필요한 수분을 수분공급면부(50)로부터 전달받고 이를 식생부(8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식생부(80)는 식생토양층(70)에 식재되고, 외부로 노출되어 보는 이로 하여금 경계영역을 표시하도록 하는 역할하는데, 이러한 식생부(80)는 식재되는 식생의 종류에 따라 각종 열매등의 수확물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러한 식생부(80)는 뿌리를 보호하기 위해 지지프레임에 수용된 후 지지프레임과 함께 식생토양층(70)에 식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수공급부(90)는 하단부가 설치대상지역 중 본체(10)의 양측방에 각각 매설되는 한쌍의 중수공급몸체(91) 및 중수공급몸체(9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커버부(9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물저장부(30)에 물이 공급될 수 있는 물공급로(91aa)를 제공함과 아울러 산소의 공급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중수공급몸체(91)는 대략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물공급로(91aa)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가 개방되어 상단에 물유입구(91ab)가 형성된 몸체부(91a)와, 일단부가 물공급로(91aa)와 연통되고 타단부가 탱크부(31)의 물수용공간(31a)과 연통되는 연결관(91b)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탱크부(31)에 빗물과 같은 중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물공급로(91aa)를 제공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탱크부 내부로 산소가 유입될 수 있도록 산소의 유입로를 제공함으로써 산소가 공급되지 못해 탱크부(31)의 물수용공간(31a)에 수용된 중수가 썩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중수공급몸체(91)의 기능은 후술하는 동작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커버부(92)는 일측에 통과공(92a)이 형성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수공급몸체(91)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몸체부(91a)에 형성된 물유입구(91ab)를 차폐함과 아울러 우수가 통과공(92a)을 통해 물유입구(91ab)로 유입되어 물공급로(91aa)에 의해 탱크부(31) 내에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우수유입관(100)은 하단부가 지지부(40)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분공급면부(50)의 일측에 배치되고, 일측이 식생토양층(70)을 통과하여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으로부터 하단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우수유입공(101)이 형성된다.
이러한 우수유입관(100)은 우천시 지면에 고이는 빗물이 우수유입공(101)을 통해 물저장부(30)의 물수용공간(31a)으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물저장부(30)에 충진되는 우수의 충진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의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을 시공하기 위해 설치대상지역의 지반을 굴착하여 지반 내에 공간부를 형성(S10)하고, 형성된 지반의 공간부 내에 본체를 설치한다.(S20)
지반의 내에 설치된 본체의 수용공간에 지지토양층을 수용(S30)하고, 물저장부와 중수공급부를 결합상태에서 물저장부와 중수공급부를 지지토양층의 상부에 설치(S40)한다.
이후, 물저장부의 상부에 지지부를 설치(S50)하고, 지지부의 상부에 수분공급면부를 배치(S60)하며, 일단이 물저장부의 물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일측이 수분공급면부를 통과하도록 수분전달부를 배치(S70)한다.
다음, 물저장부의 지지리브와 대응되는 수분공급면부(50)의 일측에 우수유입관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우수유입관을 수직방향을 배치(80)한 상태에서 수분공급면부의 상부에 식생토양층을 수용(S90)하여 본체 내에 설치된 물저장부, 중수공급부, 지지부, 수분공급면부 및 수분전달부를 매설하고, 식생토양층에 식생을 식재(S100)함으로써 그 시공을 완료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와, 지지토양층이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치대상지역의 토양상태에 따라 본체 및 지지토양층을 생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탱크부에 수용된 물이 식생부로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수공급부를 통해 탱크부에 물이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의 동작을 첨부된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저장부의 탱크부(31)에 저장된 물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전달부(60)를 통해 수분공급면부(50)로 공급되고, 수분공급면부(50)로 전달된 수분은 식생토양층(70)으로 전달된다.
이때, 식생토양층(70)으로 전달된 수분은 식생토양층(70)에 의해 식생부(80)에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아울러,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천시 우수가 커버부(92)의 일측에 형성된 통과공(92a)으로 유입되어 중수공급몸체(91)의 물유입구(91ab)를 통해 물공급로(91aa)로 이동되고, 물공급로(91aa)로 이동된 물은 물공급로(91aa)와 연통된 연결관(91b)을 통해 탱크부(31)의 물수용공간(31a)으로 유입되면서 탱크부(31) 내에 물이 충진되어 식생부(80)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수공급몸체(91)는 평상시에 외부의 산소가 물유입구(91ab)를 통해 탱크부(31)의 물수용공간(31a)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산소의 유입로를 제공함으로써 산소부족으로 인해 탱크부(31)의 물수용공간(31a)에 수용된 중수가 썩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우천시 지면상으로 낙하한 우수는 식생토양층(70)의 일측을 통해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된 우수유입관(100)의 우수유입공(101)을 통해 탱크부(31)의 내부에 빗물과 같은 중수를 용이하게 충진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10 : 본체 11 : 본체
12 : 배출공 20 : 지지토양층
30 : 물저장부 31 : 탱크부
31a : 물수용공간 32 : 지지리브
40 : 지지부 41 : 통공
50 : 수분공급면부 60 : 수분전달부
70 : 식생토양층 80 : 식생부
90 : 중수공급부 91 : 중수공급몸체
91a : 몸체부 91aa : 물공급로
91ab : 물유입구 91b : 연결관
92 : 커버부 92a : 통과공
100 : 우수유입관 101 : 중수유입관

Claims (6)

  1. 굴착된 설치대상영역의 내부 일측에 위치하고,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물수용공간이 형성된 물저장부와;
    상기 물저장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일측에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천 재질의 수분공급면부와;
    일단이 상기 물저장부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수분공급면부의 일측을 통과하며,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수분공급면부로 전달하는 수분전달부와;
    상기 수분공급면부의 상부에 수용되는 식생토양층과;
    상기 식생토양층에 식재되는 식생부; 및
    하단부가 설치대상영역에 매설되고, 내부에 상기 물저장부의 물저장공간과 연통되는 물공급로가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물공급로를 통해 상기 물저장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유입구가 형성된 중수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굴착된 설치대상영역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물저장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수분공급면부와, 상기 수분전달부와, 상기 식생토양층 및 상기 식생부가 순차적으로 적층수용되며, 하면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중 상기 본체의 저면과 상기 물저장부 사이에 수용되는 지지토양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수공급부는
    하단부가 설치대상영역에 매설되고, 상단에 상기 물저장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유입구가 형성된 한쌍의 중수공급몸체; 및
    일측에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수공급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물유입구를 차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4. 제3항에 있어서,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수분공급면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식생토양층을 통과하여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으로부터 하단방향으로 우수유입공이 형성된 우수유입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부는
    상기 지지토양층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물수용공간이 형성된 탱크부; 및
    상기 탱크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6. 설치대상지역의 지반을 굴착하여 상기 지반 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단계와;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물수용공간이 형성된 물저장부와, 내부에상기 물수용공간과 연통물저장부의 물저장공간과 연통되는 물공급로가 형성되며 상면 일측에 상기 물공급로를 통해 상기 물저장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유입구가 형성된 중수공급부를 상기 지반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지지부를 상기 물저장부의 상부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천 재질의 수분공급면부를 배치하는 단계와;
    일단이 상기 물저장부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수분공급면부의 일측을 통과하도록 수분전달부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수분공급면부의 상면 일측에 우수유입관의 하단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우수유입관을 수직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수분공급면부의 상부에 식생토양층을 수용하여 상기 물저장부와, 상기 중수공급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수분공급면부와, 상기 수분전달부를 매설하는 단계; 및
    상기 식생토양층에 식생을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의 시공방법.
KR1020120066507A 2012-06-21 2012-06-21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230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507A KR101230730B1 (ko) 2012-06-21 2012-06-21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507A KR101230730B1 (ko) 2012-06-21 2012-06-21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0730B1 true KR101230730B1 (ko) 2013-02-07

Family

ID=47899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507A KR101230730B1 (ko) 2012-06-21 2012-06-21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7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38200A (zh) * 2016-12-06 2017-05-10 同济大学 一种适用于季节性冻土地区的路基防冻和截排水设施及施工方法
KR101939346B1 (ko) * 2018-05-08 2019-01-16 공지은 물순환패널조립체
KR20190057944A (ko) * 2017-11-21 2019-05-29 (주)마이즈텍 집수 블록
KR102186357B1 (ko) * 2019-08-05 2020-12-03 주식회사 이알에스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867B1 (ko) * 2003-07-26 2005-05-27 주식회사 포모나환경기술 초기우수유출수 비점오염물질 정화처리장치
KR100681408B1 (ko) * 2006-07-25 2007-02-16 주식회사 태원코퍼레이션 커브길 도로에 설치되는 초기우수 정화 구조물
KR101106778B1 (ko) * 2011-05-24 2012-01-18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공공시설 및 공동주택용 자연정화형 하폐수·빗물처리시설과 이를 이용한 하폐수·빗물처리방법 및 물순환 시스템
KR101122040B1 (ko) * 2009-12-31 2012-03-13 주식회사 한설그린 녹지(綠地) 통합형 빗물 정화(淨化) 저장(貯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867B1 (ko) * 2003-07-26 2005-05-27 주식회사 포모나환경기술 초기우수유출수 비점오염물질 정화처리장치
KR100681408B1 (ko) * 2006-07-25 2007-02-16 주식회사 태원코퍼레이션 커브길 도로에 설치되는 초기우수 정화 구조물
KR101122040B1 (ko) * 2009-12-31 2012-03-13 주식회사 한설그린 녹지(綠地) 통합형 빗물 정화(淨化) 저장(貯藏) 장치
KR101106778B1 (ko) * 2011-05-24 2012-01-18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공공시설 및 공동주택용 자연정화형 하폐수·빗물처리시설과 이를 이용한 하폐수·빗물처리방법 및 물순환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38200A (zh) * 2016-12-06 2017-05-10 同济大学 一种适用于季节性冻土地区的路基防冻和截排水设施及施工方法
CN106638200B (zh) * 2016-12-06 2019-01-25 同济大学 一种适用于季节性冻土地区的路基防冻和截排水设施及施工方法
KR20190057944A (ko) * 2017-11-21 2019-05-29 (주)마이즈텍 집수 블록
KR102037462B1 (ko) * 2017-11-21 2019-10-29 (주)마이즈텍 집수 블록
KR101939346B1 (ko) * 2018-05-08 2019-01-16 공지은 물순환패널조립체
KR102186357B1 (ko) * 2019-08-05 2020-12-03 주식회사 이알에스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21034B (ko)
RU2370020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озеленяемой стены
JP5142498B2 (ja) 草木用の植栽装置と植栽構造
JP2008043241A5 (ko)
KR101230730B1 (ko)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038060B1 (ko) 인공생태연못 및 그 조성방법
JP2007267731A (ja) 緑化システム
KR101055566B1 (ko) 친환경 식생옹벽
KR100863625B1 (ko) 옹벽 또는 법면 녹화용 펜스
KR101025260B1 (ko)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KR100808923B1 (ko) 경사지용 저수 시스템
WO2009111995A1 (en) Vegetation roof, especially pitched,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KR101694502B1 (ko) 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한 식생 개비온 및 이를 이용한 식생 개비온 시공방법
CN211143522U (zh) 一种便于排水和灌溉的种植屋面
JP2014095216A (ja) ユニット化された土のう
KR101127628B1 (ko)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JP5108225B2 (ja) 緑化容器
KR20230034533A (ko) 빗물을 이용한 옥상 녹화장치 및 그 방법
CN113374026A (zh) 一种西南丘陵地区坡地路带沟雨水收集与再利用系统
KR101046650B1 (ko) 초목 식재를 위한 축조형 화분과, 이 화분이 설치된 옹벽과, 옹벽의 시공방법
KR102543474B1 (ko) 띠녹지 화분
CN114991173A (zh) 一种用于岩质边坡加固、绿化、浇灌一体化边坡支护系统
JP3191153U (ja) 緑化用植栽基盤
JPH08120693A (ja) 擁 壁
KR100566934B1 (ko) 녹지조성용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