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474B1 - 띠녹지 화분 - Google Patents

띠녹지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474B1
KR102543474B1 KR1020210005201A KR20210005201A KR102543474B1 KR 102543474 B1 KR102543474 B1 KR 102543474B1 KR 1020210005201 A KR1020210005201 A KR 1020210005201A KR 20210005201 A KR20210005201 A KR 20210005201A KR 102543474 B1 KR102543474 B1 KR 102543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space
space
rainwater
planting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2818A (ko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이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훈 filed Critical 이성훈
Priority to KR1020210005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474B1/ko
Publication of KR20220102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Abstract

본 발명은 띠녹지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보도 주변, 차도 주변 또는 주차장 주변 공간의 지반 토양에 매립 설치되어 띠녹지를 형성하고, 상기 띠녹지 공간으로 빗물을 유입시키되, 집중호우시 빗물을 일정기간 저류시키면서 상기 띠녹지 하부 토양으로 물이 공급되게 하여 홍수를 예방하고, 가뭄시 수분공급을 위한 점적 관수에 의하여 수분공급부족에 의한 식물 고사를 방지하며, 상기 띠녹지 상부에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미스트 분무노즐을 구성하여 미세먼지제거 및 여름철 띠녹지 주변 분위기의 쿨링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 띠녹지 화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띠녹지 화분{Green belt planting pot}
본 발명은 띠녹지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보도 주변, 차도 주변 또는 주차장 주변 공간의 지반 토양에 매립 설치되어 띠녹지를 형성하고, 상기 띠녹지 공간으로 빗물을 유입시키되, 집중호우시 빗물을 일정기간 저류시키면서 상기 띠녹지 하부 토양으로 물이 공급되게 하여 홍수를 예방하고, 가뭄시 수분공급을 위한 점적 관수에 의하여 수분공급부족에 의한 식물 고사를 방지하며, 상기 띠녹지 상부에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미스트 분무노즐을 구성하여 미세먼지제거 및 여름철 띠녹지 주변 분위기의 쿨링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 띠녹지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보도 주변, 차도 주변 또는 주차장 주변 공간에 설치되는 조경용 식재공간 또는 화분에는 다양한 식물이 식재되어 도시경관의 자연스러운 미관을 연출하도록 시공된다.
상기와 같은 식재공간 또는 화분은 단순히 식물 식재를 목적으로 하고 있어 봄이나 가을과 같이 강수량이 적은 계절에 물부족 영향을 받기 때문에 수분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식물이 쉽게 시들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반대로 여름철 우기에는 강우가 시작되면 우천시 빗물이 도로변에 위치한 우수관으로 즉시 유출되기 때문에 곧바로 유출되는 빗물로 인해 우수관이 포화상태가 되어 도시홍수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도시지역은 지표면의 대부분이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뒤덮여서 빗물의 침투가 어려우므로 강우시 빗물이 지표면 아래의 토양으로 침투되지 못하고 우수관거나 하수관거를 통하여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거나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폭우, 집중호우로 인하여 빗물의 양이 우수관거나 하수관거의 설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빗물의 역류, 표면침하 등이 발생하고 장시간 또는 일시에 많은 양의 빗물이 하천으로 유입되면 하천의 범람 등과 같은 재해가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인보도에 시공된 보도 블럭은 콘크리트 재질로서 빗물이 보도 블럭 하부 토양으로 침투되지 않고 대부분 도로변 우수관거나 하수관거를 통하여 대부분 배출됨에 따라 수분공급부족으로 인보도 주변 가로수와 화단의 식물들이 고사될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로변 식생을 위한 기술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한국공개특허 특2003-0034818(2003년05월09일)에는 바닥판과 한 쌍의 측판으로 이루어진 단면
Figure 112021004957147-pat00001
자 형상의 화분본체와; 상기 화분본체로부터 상기 바닥판의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측판 중 상기 지지부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어느 한 측판의 외측에 형성된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경계석 화분이 개발되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0519736(2005년09월29일)에는 내부에 화초 등을 심을 수 있는 식재공간(1a)이 형성된 도로경계석(1)에 있어서, 상기 도로경계석(1)의 보도쪽 측면(1b)에는 급수공(2)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도로경계석(1)의 보도쪽 측면(1b)에 접하는 지중에는 양단부에 덮개(3a)(4a)로 개폐되는 주입부(3)(4)가 각각 수직으로 설치된 파이프형상으로 된 본체(5)에 상기 도로경계석(1)의 급수공(2)에 삽입되는 다수의 급수부(6)가 간격을 두고 설치된 급수배관(7)이 매설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배관이 구비된 식재용 도로경계석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공개특허 특2003-0034818의 경계석 화분은 경계석 상부에 식재공간을 끼워서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한국등록특허 10-0519736의 식재용 도로경계석은 경계석 자체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경계석의 기능이 상실되고, 빗물을 저류하거나, 지반토양으로 빗물을 침투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전혀 달성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10-2015-0011457(공개일자 2015년02월02일)에는 일정량의 빗물이 저장되도록 화분에 망체와 대나무숯을 충전하고 빗물을 저장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빗물 저장방법에 있어서, 물을 저장하도록 화분 옆면에 복수의 배수구가 형성된 화분: 상기 화분에 내부가 비어있는 상기 망체가 설치되고, 상기 망체와 같이 빗물을 저장하고 빗물을 삼투압방식으로 배양토로 전달해주며 미생물이 배양되어 빗물을 정화해주는 대나무숯이 충전되고, 상기 배양토에 식물이 식재된 화분; 상기 화분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장치와 수위가 떨어지면 급수구를 통해 급수되는 보충수조와 이송관과 급수 제어장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저장하여 보수력을 유지하는 식물재배용 화분이 공지된 바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874386(등록일자 2018년06월28일)에는 도로변에 설치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있게 구비되는 화분에 있어서, 상부에 식물이 식재된 채 성장가능한 토양층을 형성하는 식재부와, 상기 식재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수용할 수 있게 저류탱크를 형성하되 상기 식재부의 식물을 향해 급수가능한 급수수단을 구비하는 빗물탱크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화분본체와; 도로변 경계석의 통수로로 유입되는 빗물을 상기 화분본체의 빗물탱크부로 이송시키는 빗물공급기와; 상기 화분본체에 설치되어 강우 여부를 감지하는 강우감지수단과; 상기 강우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및 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수단에 점적관수를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스마트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빗물탱크부에는 내측 저류탱크 내 채워지는 빗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화분 본체에는 상기 수위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상기 빗물탱크부 내 수위를 표시할 수 있게 구비되는 수위표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제어기에서는 상기 빗물탱크부의 수위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빗물공급기의 구동정지를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스마트제어기는 상기 화분본체에 대한 운영을 강우량이 적은 건기의 봄이나 가을과 장마철인 우기의 여름을 계절별로 구분하여 서로 구분된 방식으로 제어하되, 우기에는 강우가 종료되면 설정된 일정기간 경과 후 상기 화분본체 내 빗물탱크부의 빗물을 자동배수할 수 있게 조절하여 홍수조절기능이 주가되도록 운영하며, 건기에는 비강우 일수에 초점을 맞추어 설정된 일정기간마다 상기 식재부를 향한 점적관수 기능을 수행 운영하게 구성하고, 상기 빗물공급기는 경계석의 통수로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대기 수용하는 저류피트와, 상기 저류피트 내 빗물을 상기 빗물탱크부를 향해 이송가능하게 구동하는 물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화분본체 상에 설치되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는 자가발전수단과, 상기 자가발전수단에서 발전생산된 전기를 충전하며 상기 화분본체 및 빗물공급기, 상기 스마트제어기에 전원을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축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변 빗물을 이용한 스마트 화분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공개특허 10-2015-0011457의 식물재배용 화분은 화분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장치와 수위가 떨어지면 급수구를 통해 급수되는 보충수조와 이송관을 구비하고 급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필요하고, 상기 한국등록특허 10-1874386의 도로변 빗물을 이용한 스마트 화분은 역시 강우감지수단, 수위감지수단, 수위표시수단, 빗물공급기와 이들을 제어하는 스마트제어기가 필요한 것으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과다의 경제성 문제로 상용화되지 못하였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2028065(등록일자 2019년09월26일)에는 경계석과 인접하는 보도에 설치된 저영향개발시설의 식물재배화분에 있어서, 상기 보도에 형성된 공간부에 상기 보도의 표면과 일직선상으로 식물이 식재되도록 설치되고, 외주면 상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식재박스; 및 상기 식재박스가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공간부에 배치되고, 내주면 하부에 상기 걸림턱이 걸려 지지되는 지지대가 형성되어 상기 식재박스를 지지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부에 상기 식재박스 및 거치대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매립되고, 상기 경계석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가 저류되도록 하며, 상기 거치대의 하단에 다수의 수분 흡배수 심지가 기립되도록 매설된 외부 저류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식재박스 및 거치대의 각 하단은 상기 외부 저류층의 수분이 서로 흡배수 되도록 연통 형성되고, 상기 식재박스는 외주면 하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식재박스의 외주면 하부와 대응되도록 경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구비된 실린더의 피스톤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경사진 측면을 따라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에 의해 측방향으로 길이 조절됨에 따라 상기 식재박스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길이조절되는 길이 연장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영향개발시설의 식물재배화분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등록특허 10-2028065의 식물재배화분은 도로변 경계석 빗물유입구로 유입되는 빗물을 이용하고 화분 하부에 빗물 흡수심지를 연결하여 흡수심지의 수분흡수에 의해 식생토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으로 이는 도로 경계석 하부로 유입된 빗물이 식색토 상부로 역류하는 실현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도로 경계석 하부의 우수관거를 모두 철거하여야 하는 실현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특허출원하여 공개된 한국공개특허 10-2020-0020543(공개일자 2020년02월26일)에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격벽이 구비되어 식재가 가능하도록 토양이 수용되는 식재공간과, 빗물이 수용되어 일시적으로 저류되는 저류공간으로 구획되는 박스부; 및 상기 박스부의 상단부에 경첩에 의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개방된 상부를 덮어주며, 상면에는 식재공간에 식재된 식물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홀이 형성되고, 빗물이 유입되는 복수 개의 제1 및 제2유입공이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부의 후면 및 좌우측면에는 식재공간에 유입된 빗물과 저류공간에 일정기간 저류된 빗물을 배출시켜 지반토양에 물을 침투시키는 복수 개의 침투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공개특허 10-2020-0020543의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는 상부를 덮개로 덮는 구성이어서 빗물저류기능은 있으나, 식물이 제대로 성장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본 발명은 상기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의 문제점을 보완 개량하여 발명된 것이다.
[특허문헌 001] 한국공개특허 특2003-0034818(2003년05월09일) [특허문헌 002] 한국등록특허 10-0519736(2005년09월29일) [특허문헌 003] 한국공개특허 10-2015-0011457(공개일자 2015년02월02일) [특허문헌 004] 한국등록특허 10-1874386(등록일자 2018년06월28일) [특허문헌 005] 한국등록특허 10-2028065(등록일자 2019년09월26일) [특허문헌 006] 한국공개특허 10-2020-0020543(공개일자 2020년02월26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보도 주변, 차도 주변 또는 주차장 주변 공간의 지반 토양에 매립 설치되어 띠녹지를 형성하고, 상기 띠녹지 공간으로 빗물을 유입시키되, 집중호우시 빗물을 일정기간 저류시키면서 상기 띠녹지 하부 토양으로 물이 공급되게 하여 홍수를 예방하고, 가뭄시 수분공급을 위한 점적 관수에 의하여 수분공급부족에 의한 식물 고사를 방지하며, 상기 띠녹지 상부에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미스트 분무수단을 구성하여 미세먼지제거 및 여름철 띠녹지 주변 분위기의 쿨링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 띠녹지 화분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고 일정 높이의 길이방향 긴 면, 폭방향으로 짧은 면 및 바닥면을 가지는 직사각형 통체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긴 면을 따라 내부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격벽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부면이 폐쇄되어 일정 높이의 폐쇄공간으로 형성된 저류구획공간과; 상기 몸체의 긴 면을 따라 내부 타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1격벽에 대향하여 설치된 제2격벽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부면이 폐쇄되어 일정 높이의 폐쇄공간으로 형성된 분무구획공간과; 상기 저류구획공간 및 상기 분무구획공간 사이에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식생식물이 식재되는 식재구획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띠녹지 화분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저류구획공간 상부면에는 빗물유입이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분무구획공간 상부면에는 상기 식재구획공간에 관수 또는 액비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분무구획공간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관수파이프와 연결되는 관수공급공과, 상기 식재구획공간 상부를 향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분무구획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급수파이프와 연결되는 미스트 분무노즐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수공급공으로 부터 공급되는 관수 또는 액비가 상기 관수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식재구획공간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관수파이프에서 분기되어 상기 식재구획공간 내부를 향하여 관통 연장되고 다수의 통공이 구비된 하나 이상의 관수분기파이프가 형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관수공급공과 상기 미스트 분무노즐공은 상기 분무구획공간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교대로 번갈아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분무구획공간 상부면에 폭방향으로 나란히 한쌍으로 배치되되, 상기 미스트 분무노즐공이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띠녹지 화분은 천연목재, 합성목재, 플라스틱 또는 프리캐스트 투수콘크리트로부터 선택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저류구획공간은 상기 인보도 블록의 상부면으로부터 배수되는 빗물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인보도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분무구획공간은 내부에 상기 관수파이프와 급수파이프가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경계석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저류구획공간 상부면 및 상기 분무구획공간 상부면은 인보도 블록의 상부면과 배수구배를 따라 평탄면을 이루면서 매립 설치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저류구획공간의 인보도 방향 벽체에는 상기 저류구획공간에 저류된 빗물이 인보도 블록 하부 토양으로 유입 침투되도록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저류구획공간의 제1격벽은 상기 식재구획공간의 토양이 상기 저류구획공간으로 유입을 방지하면서 상기 저류구획공간에 저류된 빗물이 상기 식재구획공간의 토양으로 유입 침투되도록 다수의 통수공이 형성되거나 미세메쉬망으로 형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저류구획공간의 바닥면은 상기 저류구획공간에 저류된 빗물이 하부 토양으로 유입 침투되도록 다수의 통수공이 형성되거나 미세메쉬망으로 형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식재구획공간의 바닥면은 식재된 식생식물의 뿌리 생장을 위하여 상기 바닥면을 제거하여 하부토양과 접하도록 개방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의 띠녹지 화분은 인보도 주변, 차도 주변 또는 주차장 주변 공간의 지반 토양에 매립 설치되어 띠녹지를 형성하고, 상기 띠녹지 공간으로 빗물을 유입시키되, 집중호우시 빗물을 일정기간 저류시키면서 상기 띠녹지 하부 토양으로 물이 공급되게 하여 홍수를 예방하고, 가뭄시 수분공급을 위한 점적 관수에 의하여 수분공급부족에 의한 식물 고사를 방지하며, 상기 띠녹지 상부에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미스트 분무수단을 구성하여 미세먼지제거 및 여름철 띠녹지 주변 분위기의 쿨링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띠녹지 화분의 몸체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띠녹지 화분의 몸체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띠녹지 화분이 인보도 주변에 설치된 측단면도
본 발명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고 일정 높이의 길이방향 긴 면, 폭방향으로 짧은 면 및 바닥면을 가지는 직사각형 통체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긴 면을 따라 내부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격벽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부면이 폐쇄되어 일정 높이의 폐쇄공간으로 형성된 저류구획공간과; 상기 몸체의 긴 면을 따라 내부 타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1격벽에 대향하여 설치된 제2격벽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부면이 폐쇄되어 일정 높이의 폐쇄공간으로 형성된 분무구획공간과; 상기 저류구획공간 및 상기 분무구획공간 사이에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식생식물이 식재되는 식재구획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띠녹지 화분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류구획공간 상부면에는 빗물유입이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분무구획공간 상부면에는 상기 식재구획공간에 관수 또는 액비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분무구획공간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관수파이프와 연결되는 관수공급공과, 상기 식재구획공간 상부를 향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분무구획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급수파이프와 연결되는 미스트 분무노즐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수공급공으로 부터 공급되는 관수 또는 액비가 상기 관수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식재구획공간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관수파이프에서 분기되어 상기 식재구획공간 내부를 향하여 관통 연장되고 다수의 통공이 구비된 하나 이상의 관수분기파이프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수공급공과 상기 미스트 분무노즐공은 상기 분무구획공간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교대로 번갈아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분무구획공간 상부면에 폭방향으로 나란히 한쌍으로 배치되되, 상기 미스트 분무노즐공이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띠녹지 화분은 천연목재, 합성목재, 플라스틱 또는 프리캐스트 투수콘크리트로부터 선택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류구획공간은 상기 인보도 블록의 상부면으로부터 배수되는 빗물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인보도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분무구획공간은 내부에 상기 관수파이프와 급수파이프가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경계석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류구획공간 상부면 및 상기 분무구획공간 상부면은 인보도 블록의 상부면과 배수구배를 따라 평탄면을 이루면서 매립 설치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류구획공간의 인보도 방향 벽체에는 상기 저류구획공간에 저류된 빗물이 인보도 블록 하부 토양으로 유입 침투되도록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류구획공간의 제1격벽은 상기 식재구획공간의 토양이 상기 저류구획공간으로 유입을 방지하면서 상기 저류구획공간에 저류된 빗물이 상기 식재구획공간의 토양으로 유입 침투되도록 다수의 통수공이 형성되거나 미세메쉬망으로 형성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류구획공간의 바닥면은 상기 저류구획공간에 저류된 빗물이 하부 토양으로 유입 침투되도록 다수의 통수공이 형성되거나 미세메쉬망으로 형성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재구획공간의 바닥면은 식재된 식생식물의 뿌리 생장을 위하여 상기 바닥면을 제거하여 하부토양과 접하도록 개방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 및/또는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띠녹지 화분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고 일정 높이의 길이방향 긴 면(101), 폭방향으로 짧은 면 (102) 및 바닥면(103)을 가지는 직사각형 통체로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긴 면(101)을 따라 내부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격벽(111)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부면이 폐쇄되어 일정 높이의 폐쇄공간으로 형성된 저류구획공간(113)과; 상기 몸체(100)의 긴 면(101)을 따라 내부 타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1격벽(111)에 대향하여 설치된 제2격벽(112)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부면이 폐쇄되어 일정 높이의 폐쇄공간으로 형성된 분무구획공간(114)과; 상기 저류구획공간(113) 및 상기 분무구획공간(114) 사이에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식생식물이 식재되는 식재구획공간(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저류구획공간(113) 상부면에는 빗물유입이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유입공(117)이 형성되고, 상기 분무구획공간(114) 상부면에는 상기 식재구획공간(120)에 관수 또는 액비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분무구획공간(114)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관수파이프(122)와 연결되는 관수공급공(115)과, 상기 식재구획공간(120) 상부를 향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분무구획공간(114) 내부에 설치되는 급수파이프(121)와 연결되는 미스트 분무노즐공(116)이 형성되며, 상기 관수공급공(115)으로 부터 공급되는 관수 또는 액비가 상기 관수파이프(122)를 통하여 상기 식재구획공간(1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관수파이프(122)에서 분기되어 상기 식재구획공간(120) 내부를 향하여 관통 연장되고 다수의 통공(118)이 구비된 하나 이상의 관수분기파이프(130)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관수공급공(115)과 상기 미스트 분무노즐공(116)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무구획공간(114)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교대로 번갈아 배치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무구획공간(114) 상부면에 폭방향으로 나란히 한쌍으로 배치되되, 상기 미스트 분무노즐공(116)이 외측(경계석 방향)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띠녹지 화분은 천연목재, 합성목재, 플라스틱 또는 프리캐스트 투수콘크리트로부터 선택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합성목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류구획공간(113)은 상기 인보도 블록의 상부면으로부터 배수되는 빗물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인보도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분무구획공간(114)은 내부에 상기 관수파이프(122)와 급수파이프(121)가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경계석에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매립 시공된다.
특히, 상기 저류구획공간(113) 상부면 및 상기 분무구획공간(114) 상부면은 인보도 블록의 상부면과 배수구배를 따라 평탄면을 이루면서 매립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인보도 블록 상부면에 흐르는 빗물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저류구획공간(113)의 인보도 방향 벽체에는 상기 저류구획공간에 저류된 빗물이 인보도 블록 하부 토양으로 유입 침투되도록 하나 이상의 배수공(119)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저류구획공간(113)의 제1격벽(111)은 상기 식재구획공간(120)의 토양이 상기 저류구획공간(113)으로 유입을 방지하면서 상기 저류구획공간(113)에 저류된 빗물이 상기 식재구획공간(120)의 토양으로 유입 침투되도록 다수의 통수공(123)이 형성되거나 미세메쉬망(미도시)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저류구획공간(113)의 바닥면은 상기 저류구획공간(113)에 저류된 빗물이 하부 토양으로 유입 침투되도록 다수의 통수공(123)이 형성되거나 미세메쉬망(123)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재구획공간(120)의 바닥면은 식재된 식생식물의 뿌리 생장을 위하여 상기 바닥면을 제거하여 하부토양과 접하도록 개방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띠녹지 화분은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연장 매립 설치하여 띠녹지를 형성하여 도시자연 경관 개선, 미세먼지 저감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또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띠녹지 화분 몸체 101 : 긴 면
102 : 짧은 면 103 : 바닥면
111 : 제1격벽 112 : 제2격벽
113 : 저류구획공간 114 : 분무구획공간
115 : 관수공급공 116 : 미스트 분무노즐공
117 : 유입공 118 : 통공
119 : 배수공 120 : 식재구획공간
121 : 급수파이프 122 : 관수파이프
123 : 통수공 130 : 관수분기파이프

Claims (10)

  1.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고 일정 높이의 길이방향 긴 면, 폭방향으로 짧은 면 및 바닥면을 가지는 직사각형 통체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긴 면을 따라 내부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격벽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부면이 폐쇄되어 일정 높이의 폐쇄공간으로 형성된 저류구획공간과; 상기 몸체의 긴 면을 따라 내부 타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1격벽에 대향하여 설치된 제2격벽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부면이 폐쇄되어 일정 높이의 폐쇄공간으로 형성된 분무구획공간과; 상기 저류구획공간 및 상기 분무구획공간 사이에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식생식물이 식재되는 식재구획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저류구획공간 상부면에는 빗물유입이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분무구획공간 상부면에는 상기 식재구획공간에 관수 또는 액비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분무구획공간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관수파이프와 연결되는 관수공급공과, 상기 식재구획공간 상부를 향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분무구획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급수파이프와 연결되는 미스트 분무노즐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수공급공으로 부터 공급되는 관수 또는 액비가 상기 관수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식재구획공간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관수파이프에서 분기되어 상기 식재구획공간 내부를 향하여 관통 연장되고 다수의 통공이 구비된 하나 이상의 관수분기파이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녹지 화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공급공과 상기 미스트 분무노즐공은 상기 분무구획공간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교대로 번갈아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분무구획공간 상부면에 폭방향으로 나란히 한쌍으로 배치되되, 상기 미스트 분무노즐공이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녹지 화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녹지 화분은 천연목재, 합성목재, 플라스틱 또는 프리캐스트 투수콘크리트로부터 선택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녹지 화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구획공간은 인보도 블록의 상부면으로부터 배수되는 빗물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인보도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분무구획공간은 내부에 상기 관수파이프와 급수파이프가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경계석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녹지 화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구획공간 상부면 및 상기 분무구획공간 상부면은 인보도 블록의 상부면과 배수구배를 따라 평탄면을 이루면서 매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녹지 화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구획공간의 인보도 방향 벽체에는 상기 저류구획공간에 저류된 빗물이 인보도 블록 하부 토양으로 유입 침투되도록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녹지 화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구획공간의 제1격벽은 상기 식재구획공간의 토양이 상기 저류구획공간으로 유입을 방지하면서 상기 저류구획공간에 저류된 빗물이 상기 식재구획공간의 토양으로 유입 침투되도록 다수의 통수공이 형성되거나 미세메쉬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녹지 화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구획공간의 바닥면은 상기 저류구획공간에 저류된 빗물이 하부 토양으로 유입 침투되도록 다수의 통수공이 형성되거나 미세메쉬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녹지 화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구획공간의 바닥면은 식재된 식생식물의 뿌리 생장을 위하여 상기 바닥면을 제거하여 하부토양과 접하도록 개방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녹지 화분
KR1020210005201A 2021-01-14 2021-01-14 띠녹지 화분 KR102543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201A KR102543474B1 (ko) 2021-01-14 2021-01-14 띠녹지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201A KR102543474B1 (ko) 2021-01-14 2021-01-14 띠녹지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818A KR20220102818A (ko) 2022-07-21
KR102543474B1 true KR102543474B1 (ko) 2023-06-13

Family

ID=8261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201A KR102543474B1 (ko) 2021-01-14 2021-01-14 띠녹지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4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98037B (zh) * 2023-03-03 2023-10-13 江苏民生建设有限公司 一种道路绿化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001B1 (ko) 2013-08-21 2015-01-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와 보도 연계형 빗물관리 시스템
KR101874284B1 (ko) * 2018-01-19 2018-07-03 이성재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KR101874386B1 (ko) 2017-07-19 2018-07-05 씨에스이(주) 도로변 빗물을 이용한 스마트 화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818A (ko) 2001-10-27 2003-05-09 김경애 경계석 화분
KR100519736B1 (ko) 2005-07-12 2005-10-11 (주) 부경종합기술단 급수배관이 구비된 식재용 도로경계석
KR20150011457A (ko) 2013-07-23 2015-02-02 김준배 빗물이 저장되는 식물재배용 화분.
KR102233633B1 (ko) 2018-08-17 2021-03-31 이성훈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
KR102028065B1 (ko) 2019-02-18 2019-10-02 (주)리드코 저영향개발시설의 식물재배화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001B1 (ko) 2013-08-21 2015-01-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와 보도 연계형 빗물관리 시스템
KR101874386B1 (ko) 2017-07-19 2018-07-05 씨에스이(주) 도로변 빗물을 이용한 스마트 화분
KR101874284B1 (ko) * 2018-01-19 2018-07-03 이성재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818A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059B1 (ko) 도로 미세먼지 및 지면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JP5248944B2 (ja) 浄化された路面排水を利用する緑化装置
KR101874386B1 (ko) 도로변 빗물을 이용한 스마트 화분
KR102543474B1 (ko) 띠녹지 화분
KR101505984B1 (ko) 가로 녹지용 저류 관수장치
ES2924082T3 (es) Dispositivo de depósito de agua para un sistema de riego de superficies útiles y dispositivo de riego para superficies útiles
JP3121174B2 (ja) 雨水貯留型植栽地盤
CN104179242B (zh) 一种复合型雨水沟和雨水综合利用系统
JP5116709B2 (ja) 駐車場緑化システム
CN213805213U (zh) 一种灌溉河道的生态护岸
JP3191153U (ja) 緑化用植栽基盤
CN212561003U (zh) 一种绿化环保高效控水地面系统
CN204023762U (zh) 一种复合型雨水沟和雨水综合利用系统
JP2007167039A (ja) 緑化容器
KR100352143B1 (ko) 가로수의 생육여건개선용 식수대(植樹帶) 시공방법
GB2431851A (en) Underground water reservoir for plants
KR101668420B1 (ko) 우수 저류침투형 잔디조성구조
GB2288306A (en) Modular sports field construction
EP1090545B1 (en) Greenhouse comprising a reservoir for storing liquid, such as rain water
KR102226600B1 (ko) 그레이팅 조립체와,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수 처리시스템
KR200371639Y1 (ko) 도로 환경을 위한 가로수 물공급 구조
CN217556591U (zh) 园艺种植景观砖
CN213233498U (zh) 道路边坡绿化排水结构
KR102069259B1 (ko)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
CN211498724U (zh) 一种防积水景观生态护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