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4818A - 경계석 화분 - Google Patents

경계석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4818A
KR20030034818A KR1020010066573A KR20010066573A KR20030034818A KR 20030034818 A KR20030034818 A KR 20030034818A KR 1020010066573 A KR1020010066573 A KR 1020010066573A KR 20010066573 A KR20010066573 A KR 20010066573A KR 20030034818 A KR20030034818 A KR 20030034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flowerpot
present
boundary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애
Original Assignee
김경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애 filed Critical 김경애
Priority to KR1020010066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4818A/ko
Publication of KR20030034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81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8Raised beds; Planting beds; Edging elements for beds, lawn or the like, e.g. tiles

Abstract

본 발명은 경계석 상에 연이어 설치함으로써 도로변의 조경을 더욱 아름답게 할 수 있고, 또한 파손된 것은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특히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보여지는 화분의 표면적을 대폭 넓힘으로써 기업광고나 월드컵 행사광고와 같은 각종 광고에 활용할 수 있는 경계석 화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계석 화분은, 바닥판과 한 쌍의 측판으로 이루어진 단면

Description

경계석 화분{FLOWERPOTS FOR BOUNDARY STONE}
본 발명은 상행차선과 하행차선 또는 보도(인도)와 차도를 구분 짓는 경계석 상에 설치하여 도로변의 조경을 아름답게 만드는 도로조경용의 경계석 화분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로변을 따라 일렬로 설치된 경계석 위에 연이어 설치할 수 있고, 파손된 경우 새 것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화분 내부에 망 형태의 칸막이를 설치하여 아래 쪽 공간에 물이 저수되도록 함으로써 자주 물을 주지 않더라도 화초의 뿌리가 저수된 물을 빨아 올려 오랜 기간 동안 싱싱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경계석 화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나 보행자 쪽으로 노출되는 화분의 표면을 대폭 확대함으로써, 상기 화분의 표면에 큰 글씨로 광고 문안 등을 써 넣을 수 있게 하여 화분이 광고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게 한 경계석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에 인접한 보도(인도)나 상기 보도에 인접하여 형성된 화단 등의 경계 영역에는, 양 구역을 구분하기 위해 또는 안전 상의 이유로 인해 경계석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경계석은 주로 석재를 가공하여 고급스럽게 만들지만,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든 것도 있다. 그런데, 이제까지의 경계석은 구획 벽으로서의 기능만 가지고 있어 외관이 단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 구획 벽으로서의 기능과 도로 조경용 화분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한 경계석(덮개)이 개발되었다.
상기 경계석(덮개)의 예로는, 실용신안등록 제 20-202416호와 실용신안공개 제 98-60717호에 개시된 것이 있는데, 이들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간략히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1) 실용신안 등록 제20-202416호의 문제점
① 먼저, 상기 고안의 도1a 내지 도1c에 개시된 도로 조경용 경계석은, 화초가 심겨지는 화분본체의 적어도 어느 일 측면에 화분본체보다 낮은 높이의 경계턱이 일체로 성형되고, 다른 경계석과의 연접면 상에 걸림돌기 및/또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지면과의 고정을 위해 바닥면에 다수의 팩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화분본체에 물을 뿌릴 경우, 뿌려진 물이 화분본체에 채워진 흙과 상기 화분본체의 개방된 바닥을 통해 그대로 지표에 흡수되어 버리기 때문에 자주 물을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경계석 대신 사용되는 것이므로, 고안이 목적으로 하는 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경계석을 제거하고 새로 설치해야 하며, 상기 경계석을 지면에 제대로 고정시키려면, 지면이 토사 층이거나 또는 굳기 전의 시멘트 층 또는 아스팔트 층이어야 하는 제약이 있다.
또한, 인접한 다른 경계석의 삽입홈에 화살촉 형태의 걸림돌기를 억지끼움하여 연결시키기 때문에, 상기 경계석이 파손되어 새 것으로 교체할 경우, 상기 삽입홈에 억지로 끼워 넣은 걸림돌기를 모두 분리해야 하므로, 인접한 다른 경계석으로부터 파손된 것만을 분리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② 반면, 상기 고안의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경계석은 기존 경계석의 일 측면에 원통형의 화분본체가 분리 가능한 형태로 조립된 것이기 때문에, 상기 경계석으로 둘러싸이는 구역에 화단을 조성할 경우, 기존의 경계석에 해당되는 상기 고안의 경계턱 부분은 외관 형상이 여전히 단조롭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①과 마찬가지로 인접한 다른 경계석으로부터 분리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③ 한편, 상기 고안의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경계석 역시 상술한 ② 와 마찬가지의 단점이 있다.
2) 실용신안공개 제 98-60717호의 문제점
상기 고안에 개시된 경계석 덮개는 상기 1)에서 언급한 경계석과 달리 도로변을 따라(예를 들면, 중앙선을 따라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독립적으로 설치된 대형 경계석에 부가하여 사용하는 형태로서, 하측에 경계석삽입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화분본체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다수의 경계석이 연이어 설치된 곳에는 상기 경계석 덮개를 채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경계석은 여러 개가 일렬로 조립되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상기 예의 덮개는 사용되고 있지 않다.
또한, 화분본체 내에 채워진 토사 층으로부터 계속해서 물이 증발되므로, 화초를 싱싱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주 물을 뿌려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플라스틱으로 만든 기존의 조경용 화분은 하부보다 상부의 폭이 넓기 때문에, 화분의 무게중심이 비교적 높은 곳에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형상의 화분을 경계석 위에 얹어 놓을 경우 차량주행에 따른 진동이나 바람에 의해서 전도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위 2가지 실용신안에 개시된 경계석(덮개)과 기존의 화분이 가지는 공통된 단점은 각각의 고안품이 화초를 가꾸기 위한 용기로만 사용될 뿐 광고수단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기증자의 이름이나 상호 등이 새겨진 장방형의 플라스틱제 화분을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이러한 장방형의 플라스틱제 화분은 광고 면으로 활용할 수 있는 표면이 너무 좁아 빠른 속도로 지나쳐 가는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광고내용을 제대로 전달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경계석상에 연이어 설치함으로써 도로변의 조경을 더욱 아름답게 할 수 있고, 또한 파손된 것은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화분 내에 물을 저장함으로써 장기간 물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상기 화분에 심어진 화초가 싱싱한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고, 특히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보여지는 화분 표면을 대폭 넓힘으로써 기업광고나 월드컵 행사와 같은 각종 광고에 활용할 수 있는 경계석 화분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경계석 화분의 설치 상태도중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경계석 화분이 광고 수단으로 활용된 경우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00...화분본체, 110...측판,
111...지지턱, 120...바닥판,
200...지지부, 300...고정부,
310...앵커 삽입공, 320...앵커,
400...망상체, 500...칸막이벽,
600...급수호스, 700...경계석,
800...이음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계석 화분은, 기본적으로, 바닥판 과 한 쌍의 측판으로 이루어진 단면자 형상의 화분본체와; 상기 화분본체로부터 상기 바닥판의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측판 중 상기 지지부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어느 한 측판의 외측에 형성된 고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도로변을 따라 촘촘히 늘어 서 있는 경계석 위에 본 발명의 경계석 화분을 연이어 설치함으로써 작은 화단을 형성할 수 있고, 다수의 경계석 화분이 모여 만든 넓고 긴 표면에 클라이언트가 요구한 광고내용을 큰 글씨로 새겨 넣을 수 있어 광고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를 경계석 전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 위에 토사를 퇴적시키면, 차량 주행 시 생성되는 진동이나 강한 바람에 의해 차도나 인도 쪽으로 화분(본체)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경계석 화분은 화분본체에 추가로 형성된 지지부와 고정부의 무게에 의하여 화분 전체의 무게중심이 종래보다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있기 때문에, 경계석 상에 더욱 안정된 상태로 안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분본체를 구성하는 바닥판이나 한 쌍의 측판 중 어느 하나에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발명은 상기 바닥판의 저면에 배수홈을 형성함으로써, 인도에서 차도로 또는 화단에서 인도로 또는 화단에서 차도 쪽으로 빗물 등이 흘러 나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경계석보다 높은 위치에 우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계석 화분은, 상기 고정부의 저면에 앵커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가 경계석에 맞닿은 상태에서 고정부를 발로 밟아 앵커를 지면에 박아 넣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경계석 화분을 상기 경계석 상에 보다 신속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앵커는 지면으로의 삽입은 용이하면서도 쉽게 뽑히지 않도록, 하단부의 형상이 쐐기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부에 앵커 삽입공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앵커 삽입공에 끼워지는 앵커가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앵커로는 볼트나 못과 같은 통상의 고정수단이 채용될 수 있고, 또 앵커의 일부가 지면에 미리 매설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앵커로서 볼트가 채용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가 제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게, 상기 고정부의 양 표면을 지지하는 2개의 너트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화분본체에서 분리될 수도 있으며, 작은 크기로 여러 개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경계석이 설치된 도로변의 주변 여건에 맞춰 상기 고정부의 위치를 경계석의 길이방향(좌우)이나 높이방향(상하)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분본체를 형성하는 한 쌍의 측판의 내면에 지지턱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에는 망상체가 얹혀져 상기 화분본체의 내부공간이 상하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화분본체 위로 뿌려진 물의 일부는 토사 층에 흡수되고, 나머지는 망상체를 통해 아래쪽의 저수공간으로 이동하여 저장된다. 일반적으로, 토사 층에 흡수된 물은 직사광선이나 바람에 의해서 증발되거나 화초에 흡수되어 금방 말라버지만, 화분본체 내에 저장된 물은 토사 층의 단열작용에 의해서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하며, 상기 망상체의 눈금(메쉬)을 통과하여 상기 저수공간 쪽으로 뻗어 내린 화초의 뿌리가 물을 흡수하게 됨으로 자주 물을 주지 않더라도 화초가 장기간 싱싱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배수공은 측판에만 형성되거나 아예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분본체의 개방된 양측 단부에, 다른 화분본체의 양측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이음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이음부끼리 상대방의 움직임을 구속하므로, 차량 주행에 따른 진동으로 상기 화분본체가 원래의 자리에서 조금씩 움직이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즉, 상술한 고정부와 함께 경계석 화분의 자리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이음부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화분본체에 채워진 토사나 급수된 물이 화분(본체)바깥으로 배출되는 것을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의 말단이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고정부의 말단에 결합돌기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공이 상기 측판이나 고정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때에는 상기 고정부의 표면에 미세 홈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의 말단이 측판 쪽으로 쉽게 접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 위에 급수호스를 얹어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화분에 물을 뿌려 줄 수 있는 다수개의 T자형 급수관이 분기·설치된 급수호스를 설치하면, 한꺼번에 모두 급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분본체의 개방된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 단부가 칸막이벽으로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칸막이벽은 화분본체에 일체로 고정된 형태로 제공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도로변을 따라 일렬로 설치한 경계석 화분들 중에서 도로변의 양끝에 위치하는 경계석 화분의 한 쪽 끝을 막을 수 있으므로, 외관상 보기 좋을 뿐 아니라 화분본체에 채워 넣은 토사의 유실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와 측판의 외표면에, 여러 가지 입체적인 형상이나 문양 또는 색상을 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와 화분본체의 전면측 측판은 일체로 성형되어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서로 분리될 수도 있고 두께 방향으로 약간의 높낮이를 갖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계석 화분은, 도로변의 코너와 같이 원만한 원호형태로 꺾이거나 ㄱ자와 같이 90°로 꺾이는 곳에서도 채용할 수 있도록,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형상이 ㄱ자 형상이거나 또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화분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경계석 화분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게 용이한 설계 변경사항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기본개념
도1은 본 발명의 경계석 화분을 개략 도시한 기본 구성도이다.
도면에서,자 단면 형상의 채널로 표시된 화분본체(100)는, 양 측면 쪽과 상면 쪽이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화분본체의 바닥판(120)에는 상기 화분본체의 어느 일 측판과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상기 바닥판과는 수직을 이루고 있는 지지부(200)와, 상기 화분본체의 타 측판(110)의 후방으로 연장된 고정부(300)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2는 상기 도1에 개시된 경계석 화분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로 중앙의 화단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경계석 화분의 설치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로 중앙에 경계석(700)을 포설하여 화단으로 조성할 영역의 경계를 형성한다. 그 후, 상기 경계석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토사를 퇴적시켜 퇴적높이가경계석의 높이와 같게 만든 다음, 상기 경계석 상에 본 발명의 경계석 화분들을 간격 없이 촘촘히 밀접시켜 안착하고, 이어서 상기 화단 쪽으로 돌출된 고정부(300) 위로 토사를 퇴적시켜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고정부(300) 위에 퇴적시킨 토사의 중량과 상기 화분본체(100) 내에 넣어 둔 토사의 중량이 경계석 화분에 작용하여, 차량 주행 시에 생성된 진동이나 강한 바람 등에 의해, 상기 화분본체가 경계석 위에서 조금씩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고정부(300)의 저면에는 쐐기형태의 하단부를 갖는 앵커(3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이미 화단이 조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의 경계석 화분을 경계석 위에 가지런히 설치한 후 고정부를 발로 밟음으로써 상기 앵커를 지면에 박아 넣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경계석 화분보다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화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화분본체의 개방된 양측 단부에는, 다른 화분본체의 양측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이음부(80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판(100)에는 다수의 배수공(810)이 뚫려 있다. 그리고, 고정판(300)에는 앵커 삽입공(310)이 뚫려 있다. 상기 앵커 삽입공에는, 예를 들면 머리부분을 미리 지면에 고정시킨 볼트의 나사부분이 관통되며, 상기 고정부의 상면과 저면 쪽에 접하는 2개의 너트가 상기 볼트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를 위아래에서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바닥판에서 연장되어 나온 이음부의 일부분은, 측판에서 연장되어 나온 일부분보다 더 길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경계석을 따라 긴 채널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본 실시예의 경계석 화분에 물을 너무 많이 공급한 경우에도, 상기 배수공(810)을 통해 불필요한 물이 배수됨으로 화초가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각각의 경계석 화분이 이어지는 이음부(800)는, 상기 경계석 화분 간의 위치변동을 억제함과 동시에 화분본체 내에 채워진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급수된 물이 지나치게 빨리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
첨부된 도5와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제4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화분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화분본체(100)는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형상이 ㄱ자형상 또는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고, 고정부(300)에는 앵커(3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2개의 경계석이 수직으로 접속되는 각진 모서리부분과 원호형태의 경계석이 접속되는 코너부분에도 본 발명의 경계석 화분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6에 도시된 경계석 화분은 2개의 원호길이가 다르게 되어 있지만, 2개의 원호길이가 똑 같을 수도 있다.
제5 실시예
첨부된 도7은,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경계석 화분의 측판(110)과 지지부(200)의 표면에, 소정의 문양이나 패턴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문양으로서 다수의 반원이 연속된 형태를 채용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문양이나 패턴은 현재 알려진 플라스틱 성형기술로 해결될 수 있으므로, 성형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경계석 화분을 경계석 상에 설치한 경우, 형형색색의 문양을 새겨 놓은 면이 운전자 쪽으로 노출되어 운전자의 기분전환을 시킬 수 있음으로 졸음운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6실시예
도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화분본체(100)로부터 고정부(300)를 분리시킬 수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상기 고정부의 말단에는 고정돌기(30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화분본체의 측판(110)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결합되는 결합공(306)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공은 측판의 양측 하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측판의 중간높이지점에 다수개가 형성됨으로써 일부는 결합공으로 나머지는 배수공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경계석 주변의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보도블록이경계석보다 더 위로 튀어 나와 있는 경우, 통상적으로 상기 보도블록들은 약간의 간격을 두고 포설되므로 상기 고정부의 앵커 삽입공(310)에 끼워질 앵커가 상기 보도블록의 틈새 쪽으로 파고 들 수 있게, 고정부의 결합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제7 실시예
제7 실시예의 경계석 화분은, 도9에 도시된 것처럼, 화분본체(100)의 양측 개방부가 칸막이벽(500)으로 폐쇄되고, 상기 칸막이벽(500)의 상단 중앙에 반원형의 안착홈(530)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다른 경계석 화분과 조립할 필요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경계석 화분이 인접하여 설치되는 경우, 다른 경계석과의 사이가 조금 벌어져도 하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도6에 도시된 경계석 화분 대신 둥근 코너부분을 커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출구공이나 출수밸브가 형성된 급수호스를 상기 안착홈(530)에 안정적으로 걸쳐 놓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급수호스의 어느 한 쪽에서 물을 공급하기만 하면 경계석 화분의 상방에서 화초 쪽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경계석 화분마다 작업자가 일일이 물을 뿌려 주어야 하는 폐단이 개선될 수 있다.
제8 실시예
도1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화분본체(100)의 양측 개방부에는, 양 측단으로부터 약간의 거리를 두고 각각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화분본체의 폭 방향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칸막이벽(500)의 양단에, 상기 슬라이딩 홈에 대응되는 미끄럼턱이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슬라이딩 홈의 바깥쪽에 위치한 돌출부분 2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미끄럼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서로 인접·설치되는 경계석 화분의 양단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화분본체의 비틀림이나 위치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칸막이벽은 2개의 경계석 화분을 결합시키는 체결요소로 작용하고 있지만, 각각의 화분본체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상기 슬라이딩 홈에 대응되는 미끄럼턱만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경계석 화분 하나당 2개씩의 칸막이벽이 제공되는 것이다.
제9 실시예
본 발명의 제9 실시예가 도시된 도 11에서, 화분본체의 내면-즉, 측판(110)의 내면에는 다수의 지지턱(111)이 돌출되어 있고, 그 지지턱 위에 망상체(400)가 얹혀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화초에 뿌려진 물의 일부는 토사 층에 흡수되고 나머지는 상기 망상체의 눈금(메쉬)을 통해 화분본체의 바닥에 저장된다.
또한, 토사 층에 흡수된 물은 화초의 뿌리로 흡수되거나 또는 직사광선이나 스쳐 지나가는 바람에 의해서 증발되어 금방 말라 버리게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화분본체의 바닥에 물이 저장되는 경우에는 증발에 의한 손실이 없기 때문에 오로지 화초의 성장에만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망상체의 눈금을 통해 화분본체의 바닥 쪽으로 내리 뻗은 화초의 뿌리로만 물이 흡수되므로, 장시간 물을 보충해 주지 않더라도 화초가 오랫동안 싱싱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10 실시예
도12에 도시된 경계석 화분은, 화분본체의 내면에, 상기 측벽보다 낮은 높이의 격벽(540)이 화분본체를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고, 그 격벽 위에 망상체(400)가 얹혀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경사진 도로변을 따라 설치된 경계석 화분에 물을 줄 때 발생되는 문제점-즉, 상대적으로 고지대에 위치한 경계석 화분에 뿌린 물이 저지대에 위치한 경계석 화분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고지대에 놓인 경계석 화분은 물이 부족하고 저지대에 놓인 경계석 화분에는 물이 넘쳐 나서 화초가 썩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계석 화분 각각에 작은 저수조가 형성되어, 이 저수조에 물이 균등하게 저장되는 것이다. 따라서, 화초가 건강하게 성장된다.
제11 실시예
도13에 도시되어 있는 본 실시예의 경계석 화분은, 고정부(300)의 말단에 결합돌기(34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미세홈 형상의 절곡부(330)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공이 측판(110)에 뚫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가 절곡부를 중심으로 둥글게 말릴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 상에 급수호스(600)을 설치하더라도 급수호스가 경계석 화분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호스를 통하여 각각의 경계석 화분에 모두 급수할 수 있다.
경계석 화분을 광고수단으로 활용한 예
도14는 본 발명의 경계석 화분이 광고판으로 사용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계석 화분은, 도로변에 설치된 경계석 상에 다수 개가 일렬로 배열되기 때문에, 긴 광고문안도 전부 표기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경계석 화분은 측판과 지지부가 넓은 광고판 역할을 하기 때문에, 광고내용을 크게 써 넣을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650은 T자형의 급수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경계석 화분은 기존의 화분과는 개념이 전혀 다른 것으로서, 경계석 상에 연이어 설치함으로써 도로변의 조경을 더욱 아름답게 할 수 있고, 파손된 것은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화분 내에 물을 저장함으로써 장기간 물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상기 화분에 심어진 화초가 싱싱한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고, 특히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보여지는 화분의 표면적을 대폭 넓힘으로써 기업광고나 월드컵 행사와 같은 각종 광고에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경계석 화분을 이용한 광고방법은, 비교적 저렴한 비용을 들여 큰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도로시설물을 관리하는 관공서에서는 광고의뢰인으로부터 광고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바닥판과 한 쌍의 측판으로 이루어진 단면자 형상의 화분본체와;
    상기 화분본체로부터 상기 바닥판의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측판 중 상기 지지부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어느 한 측판의 외측에 형성된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경계석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앵커 삽입공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앵커 삽입공에 앵커가 삽입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화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앵커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화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판의 내면에 지지턱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에는 망상체가 얹혀져 상기 화분본체의 내부공간이 상하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화분.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본체의 개방된 양측 단부에는, 다른 화분본체의 양측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이음부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화분.
  6.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단이 각각 상기 측벽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화분본체의 내부를 가로질러 격벽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 위로는 망상체가 얹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화분.
  7.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말단은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화분.
  8.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본체의 개방된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 단부는 칸막이벽으로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화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은 상기 화분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화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의 상단 중앙에는 급수호스를 걸쳐 놓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화분.
KR1020010066573A 2001-10-27 2001-10-27 경계석 화분 KR200300348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573A KR20030034818A (ko) 2001-10-27 2001-10-27 경계석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573A KR20030034818A (ko) 2001-10-27 2001-10-27 경계석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818A true KR20030034818A (ko) 2003-05-09

Family

ID=29566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573A KR20030034818A (ko) 2001-10-27 2001-10-27 경계석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48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206B1 (ko) * 2018-03-28 2018-06-27 (유)금오안전 화단 경계시설구조
KR20220102818A (ko) 2021-01-14 2022-07-21 이성훈 띠녹지 화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7756U (ko) * 1975-07-24 1977-02-08
JPS5323757U (ko) * 1976-08-09 1978-02-28
JPH08172923A (ja) * 1994-12-28 1996-07-09 I Beam:Kk プランター
US5852895A (en) * 1997-05-08 1998-12-29 Sinanan; Terry Raised planter
KR200202416Y1 (ko) * 2000-06-16 2000-11-15 김봉근 도로 조경용 경계석
KR200251982Y1 (ko) * 1998-12-23 2002-09-17 박두하 석부작용수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7756U (ko) * 1975-07-24 1977-02-08
JPS5323757U (ko) * 1976-08-09 1978-02-28
JPH08172923A (ja) * 1994-12-28 1996-07-09 I Beam:Kk プランター
US5852895A (en) * 1997-05-08 1998-12-29 Sinanan; Terry Raised planter
KR200251982Y1 (ko) * 1998-12-23 2002-09-17 박두하 석부작용수반
KR200202416Y1 (ko) * 2000-06-16 2000-11-15 김봉근 도로 조경용 경계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206B1 (ko) * 2018-03-28 2018-06-27 (유)금오안전 화단 경계시설구조
KR20220102818A (ko) 2021-01-14 2022-07-21 이성훈 띠녹지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04083C (en) Permeable paving system
KR100822057B1 (ko) 담수형 가로수 보호 덮개
KR101361196B1 (ko) 화분 난간
KR100627575B1 (ko) 도로용 화단 구조
KR100807771B1 (ko) 잔디블럭 구조물
KR20030034818A (ko) 경계석 화분
CN111395104A (zh) 彩色沥青梁浇筑式商品住宅小区景观路面
JP2005133458A (ja) 緑化舗装路
KR101167978B1 (ko)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408850B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0202416Y1 (ko) 도로 조경용 경계석
KR200245391Y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NZ542317A (en) Tree grate system
KR100937197B1 (ko) 공원녹지 가로수용 잔디보호 블록
KR100558468B1 (ko) 도로 조경용 화단
KR101871206B1 (ko) 화단 경계시설구조
KR102050376B1 (ko) 친환경적 외관을 갖는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방법
CN218125967U (zh) 一种免维护景观绿化带
CN218478986U (zh) 一种路牙及含有其的生态路牙系统
KR200435930Y1 (ko) 식재용 보차도 경계블럭
KR200424289Y1 (ko) 가로수 급수구조
KR200392392Y1 (ko) 화단 조경용 경계블록
KR102086743B1 (ko)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
KR20100095117A (ko) 가로수 보호용 보도블록의 시공방법
KR200348002Y1 (ko) 거리미화용 석재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