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978B1 -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978B1
KR101167978B1 KR1020120026747A KR20120026747A KR101167978B1 KR 101167978 B1 KR101167978 B1 KR 101167978B1 KR 1020120026747 A KR1020120026747 A KR 1020120026747A KR 20120026747 A KR20120026747 A KR 20120026747A KR 101167978 B1 KR101167978 B1 KR 101167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support
plate
layer
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만
Original Assignee
박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만 filed Critical 박성만
Priority to KR1020120026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93Anchoring means for 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받침틀에 의해 지면에서 이격설치되며, 수목의 설치를 위한 제1관통홀과 물의 유입을 위한 유입홀이 형성된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결합되며, 제1관통홀에 대응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 다공판; 상기 다공판의 상면에 깔리는 포장준비층과, 포장준비층에 시공되는 포장블록층으로 구성된 포장층;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이용하면, 인도와 동일한 포장부가 시공되는 것에 의해 미려한 미관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행공간이 넓게 확보되어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지면과 받침판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의해 수목 성장에 의한 뿌리 굵기의 변화에도 포장층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교체나 보수 등의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다공질관수부와 다공판을 통해 갈수기 시 지면과 받침판 사이의 이격공간에 물을 저수할 수 있어 수목의 안정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고, 다수로 분할형성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다공판의 구성으로 인해 수목의 줄기 성장에 맞춰 다공판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수목지지대를 포장층에 형성된 받침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A buried type tree protect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도로, 공원, 광장 등의 수목에 설치하는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도와 동일한 포장부가 시공되는 것에 의해 미려한 미관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행공간이 넓게 확보되어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지면과 받침판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의해 수목 성장에 의한 뿌리 굵기의 변화에도 포장층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교체나 보수 등의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다공질관수부와 다공판을 통해 갈수기 시 지면과 받침판 사이의 이격공간에 물을 저수할 수 있어 수목의 안정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고, 다수로 분할형성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다공판의 구성으로 인해 수목의 줄기 성장에 맞춰 다공판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수목지지대를 포장층에 형성된 받침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심 속의 녹지는 대기오염을 줄여 주고 방음벽 역할을 함과 동시에, 그늘의 제공과 온도 및 습도의 조절기능을 하기 때문에 주택가나 아스팔트로 포장된 도로변에는 수목(40)이 많이 심어져 있으며, 상기 수목(40)은 도로경계석(30)에 의해 차도(10)와 구분된 인도(20)에 일정간격으로 심어져 있다.
그리고, 인도(20)의 수목(40) 하단부 주위에는 보행인으로부터 수목(40)이 보호될 수 있도록 가로수 보호장치(5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가로수 보호장치(50)는 통상적으로 스틸 그레이팅과 같은 주철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종래의 가로수 보호장치(50)는 고중량에 의해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철의 가격상승으로 인해 도난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목(40)의 뿌리가 성장할 경우 가로수 보호장치(50)의 하부 지반이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미관이 불량하고, 보행인의 안전사고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 보도블록(60)은 시멘트, 점토 또는 석재 재질로 제작 설치되는데 에 반해, 가로수 보호장치(50)는 주철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수 보호장치가 인도의 통행면적을 축소시키는 요인이 되었고, 인도의 면적 축소로 인해 통행인이 가로수 보호장치(50)를 밟고 지나갈 경우 구두굽이나 지팡이 등이 끼는 경우가 빈번하였음은 물론, 미끄러짐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많았으며, 가로수 보호장치(50)의 변형이나 파손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근래에 들어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37304와 같은 투수성 조립식 가로수 보호 블록이 고안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인도의 면적이 축소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투수성 조립식 가로수 보호 블록은 인도의 면적이 축소되는 현상을 설치 초기에 줄일 수 있었을 뿐, 나무의 성장에 따른 줄기 및 뿌리가 굵어지는 현상에 의해 땅에서 솟음이 발생하여 지면에 맞닿아 설치된 보호블럭이 서로 어긋나므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형태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불규칙하게 들린 보도로 인하여 보행자의 안전사고가 유발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미려한 미관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장형태의 변화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수목의 성장에 따른 크기조절을 이룰 수 있는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는 받침틀에 의해 지면에서 이격설치되며, 수목의 설치를 위한 제1관통홀과 물의 유입을 위한 유입홀이 형성된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결합되며, 제1관통홀에 대응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 다공판; 상기 다공판의 상면에 깔리는 포장준비층과, 포장준비층에 시공되는 포장블록층으로 구성된 포장층;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은 인도와 동일한 포장부가 시공되므로 미관이 좋을 뿐만 아니라, 포장층에 의해 통행공간이 넓게 확보되어 보행자의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받침틀에 의해 지면과 받침판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수목 성장에 의한 뿌리 굵기의 변화에도 포장부의 솟음이 방지되어 변형이 생기지 않으므로, 교체나 보수 등의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다공질관수부와 다공판을 통해 갈수기 시 지면과 받침판 사이의 이격공간에 물을 저수할 수 있어 수목의 안정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고, 다수로 분할형성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다공판의 구성으로 인해 수목의 줄기 성장에 맞춰 다공판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수목지지대를 포장층에 형성된 받침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가로수 보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받침틀이 지면에 매설된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받침틀이 지면에 안착된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포장층에 하향경사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포장층에 수목지지대를 설치하여 수목을 지지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받침판 상면에 다공판이 결합설치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받침판과 다공판과 다공질관수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공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대기오염과 소음의 저감은 물론, 그늘의 제공 및 온도와 습도의 조절을 위하여 인도(9)에 심어진 수목(5)을 보호하는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10)과, 다공판(20)과 포장층(30)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첫째, 받침판(10)은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에 지면(1)에 설치되는 받침틀(3)에 의해 지면(1)으로부터 5cm ~ 20cm이격 설치되는 구성으로, 수목(5)의 설치를 위한 제1관통홀(11)이 내측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틀(3)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받침틀(3)의 형상에 따라 지면에 매설 또는 안착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틀(3)과 받침판(10)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공지된 통상의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10)에는 우천시나 인위적인 수분공급시 수목(5)으로 유입되는 수분의 양이 많아지도록 다수의 유입홀(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관통홀(11)과 인접해 있는 받침판(10)의 하측으로는 지면(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받침판(10)의 쳐짐 방지를 위해 받침대(미도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둘째, 다공판(20)은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10)의 상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수분의 유입을 위한 통공(20a)이 다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 중앙으로는 수목(5)의 설치를 위하여 상기 받침판(10)의 제1관통홀(11)에 대응되는 제2관통홀(21)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다공판(20)에 형성된 제2관통홀(21)의 직경은, 제2관통홀(21)의 내주가 수목(5)에 인접될 수 있도록 제2관통홀(21)의 직경이 받침판(10)에 형성된 제1관통홀(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관통홀(21)이 직경이 제1관통홀(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에 의해 상기 받침판(10)에 안착되지 않는 다공판(20)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지면(1)에 지지되는 받침지지대(23)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받침지지대(23)는 다공판(2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볼트 및 용접과 같은 통상의 결합방법(미도시)을 통해 결합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다공판(20)은 일체로 형성되어 받침판(10)의 상면에 안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성장하는 수목(5)줄기의 굵기에 맞쳐 다공판(20)의 제2관통홀(21)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로 분할형성되어 볼트와 같은 통상의 결합수단을 통해 서로 조립되는 구성으로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다공판(20)은 수목(5)의 성장에 따라 제2관통홀(2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링과 같은 형상으로 다수로 분할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용이한 결합과 탈착을 위해 분할형성된 각각의 다공판(20)을 2 ~ 4개의 바람직하게는 2개의 조각으로 나누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할형성된 각각의 다공판(20)은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보행자가 밟고 지나가는 등의 하중 발생시에도 형태의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결합수단이 결합되는 부분에 결합부(22)를 각각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2)는 다공판(20)의 일측 상부에 상측결합턱(22a)을 구성함과 동시에, 다공판(20)의 타측 하부에 하측결합턱(22b)을 구성함으로써, 서로 마주하는 다공판(20)의 상측결합턱(22a)과 하측결합턱(22b)이 맞대어 지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상, 하측결합턱(22a, 22b)을 결합수단으로 결합하는 것은, 다공판(20) 즉, 상, 하측결합턱(22a, 22b)에 형성된 통공(20a)을 통해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공판(20)은 결합부(22) 및 상기 결합부(20)에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통해 다수로 분할 형성된 각각의 다공판(20)을 견고히 결합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공판(20)에 형성된 제2관통홀(21)의 크기를 수목(5)의 성장 크기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용이한 유지보수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다공판(20)의 분할형성은 수목(5)의 성장에 따라 제2관통홀(21)의 크기를 확장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받침판(10)의 제1관통홀(11) 직경보다 큰 부분은 링과 같은 형상으로 분할할 필요 없이 2 ~ 4개의 조각으로만 나누어 형성하면 되며, 견고한 설치를 통해 볼트와 같은 통상의 체결수단(미도시)으로 받침판(10)과 다공판(30)을 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판과 다공판은 용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위한 것으로, 분리형이 아닌, 일체형(미도시)으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셋째, 포장층(30)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공판(20)의 상면에 포장되는 구성으로, 인도(9)에 깔려진 보도블록이나 아스팔트블록 및 쿠션블럭과 동일 또는 유사재질의 블록으로 제작되어 인도와 동일높이로 시공되며, 다공판(20)에 견고히 시공되기 위해 다공판(20)의 상면에 깔리는 포장준비층(31)과, 상기 포장준비층(31)에 시공되는 포장블록층(35)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포장준비층(31)은 포장블록층(35)을 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모래로써 간단히 이룰 수 있으나, 모래가 다공판(20)의 통공(20a)과 받침판(10)의 유입홀(12)을 통해 지면(1)에 쌓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부직포(미도시)와 모래(미도시)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부직포는 물을 제외한 이물질이 통과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써,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른 물품으로 대체될 수도 있을 것이며, 모래는 포장블록층(35)의 포장을 위한 구성으로 포장되는 포장블록층(35)의 재질에 따라 자갈 또는 자갈과 모래의 혼합물 등으로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포장블록층(35)은 물이 지면으로 스며들 수 있도록 골재와 골재 사이에 다수의 공극이 형성된 일반적인 투수콘크리트나 투수고무로 이루어진 투수성블록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로 분할되어 시공됨으로써, 수목(5)의 성장에 따라 용이한 유지보수를 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포장층(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방향으로 1 ~ 3°의 하향경사(α)를 형성하여 시공됨으로써, 빗물이나 인위적으로 공급되는 물이 수목으로 집중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이 포장층(30)에 수목방향으로 하향경사를 형성하는 것은 부직포와 모래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포장준비층(31)의 시공시 상기 포장준비층(31)에 수목(5)방향으로 향하는 하향경사를 형성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포장층(30)에 수목(5)방향으로 향하는 하향경사(α)를 형성하면, 포장층(30)에 구성된 포장블록층(35)을 투수성블록이 아닌 비투수성 블록으로 제작할지라도 수목(5)으로 수분공급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으며, 포장블록층(35)을 투수성블록으로 제작하였을 때에도 상기와 같이 수목(5)방향으로 향하는 하향경사(α)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포장층(30)에 형성되는 하향경사(α)는 1 ~ 3°의 작은 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보행자의 보행에 따른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수목(5)를 식생하면 일정기간 수목지지대(7)를 세워야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수목지지대(7)는 포장층(30)의 상부에 별도의 지지부(미도시)를 추가로 구성하여 세울 수도 있으나,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장층(30)에 수목지지대(7)가 받쳐지는 받침홀(30a)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받침홀(30a)을 통하면, 받침홀(30a)에 수목지지대(7)를 끼우는 것만으로 수목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어 수목(5) 지지를 위한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포장층(30)에 형성되는 받침홀(30a)은 포장층(30)의 형성 후, 후 가공을 통해 이룰 수도 있으나, 상기 다공판(20)에 받침홀(30a)에 대응되는 중공형돌부(30b)를 구성함로써 포장층(30)의 시공시 상기 포장층(30)에 받침홀(30a)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중공형돌부(30b)의 내경을 받침홀(30a)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형돌부(30b)는 다공판(2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볼트나 용접과 같은 통상의 결합수단(미도시)을 통해 다공판(20)에 결합설치되는 구성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판(20)에 형성된 제2관통홀(21)과 수목(5) 사이의 공간에는 본 발명의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50)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는 구성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제2관통홀(21)과 수목(5) 사이의 공간을 통상의 흙(미도시)으로 매움으로써 이룰 수도 있으나, 도 2 또는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질관수부(40)를 끼워 넣음으로써 본 발명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다공질관수부(40)는 서로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분할되어 통상의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서로 조립되는 구성으로, 수목(5)을 감쌀 수 있도록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다공판(20)의 제2관통홀(21)에 밀착되고, 타측이 수목(5)의 둘레에 밀착되며, 수목(5)의 줄기 성장에 맞춰 가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세미와 같은 신축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공질관수부(40)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도록 포장층(30)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50)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목(5)을 심을 장소를 선정하여 터파기를 한 후, 터파기 한 곳의 중앙부분에 수목(5)을 위치시킨 다음, 뿌리부분을 흙으로 덮어 수목을 심는다.(S10)
그리고, 터파기한 곳을 다짐 작업하면서 메움으로써 받침틀(3)에 의해 지면(1)에서 이격되는 받침판(10)의 이격높이가 지면에서 5cm ~ 20cm 되도록 받침틀(3)을 설치한다.(S20)
여기서, 상기 받침틀(3)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받침틀(3)의 형상에 따라 터파기 한 지면에 매설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터파기 된 지면을 다짐하면서 되메워 평활화 한 후 안착 설치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그 후에는, 분할형성된 다공질관수부(40)를 수목(5) 사이에 두고 볼트와 같은 통상의 결합수단을 통해 서로 조립하는 것으로, 상기 다공질관수부(40)가 수목(5)을 둘러싸도록 설치를 완료한다.(S30)
여기서, 상기 다공질관수부(40)는 본 발명의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5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다공질관부수(40)의 상부가 후 시공될 포장층(3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다공질관수부(40)에 의하면, 다공질관수부를 통해 지면과 받침판 사이의 이격공간에 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물 공급을 보다 원활히 이룰 수 있게 된다.
다공질관수부(40)를 설치한 후에는, 받침판(10)의 제1관통홀(11)에 다공질관수부(40)가 밀착되도록 상기 받침판(10)을 받침틀(3)에 각각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받침판(10)이 지면에서 5cm ~ 20cm 이격되도록 설치를 완료한다.(S40)
여기서, 상기 받침판(10)의 설치는 상기 받침판(10)을 분할형성된 받침판(10)을 받침틀(3)에 각각 결합한 후, 서로 조립하는 통상의 구성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판(10)을 설치한 다음에는 상기 받침판(10)의 상면에 다공판(20)을 안착설치한다.(S50)
여기서, 상기 다공판(20)의 안착설치는 수목(5)에 의한 걸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분할형성된 다공판(20)을 제2관통홀(21)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하여 결합수단을 통하여 각각 조립한 다음, 좌측과 우측으로 분리되어 조립된 좌, 우측 다공판(20)을 받침판(10)의 상면에 각각 안착시킨 상태에서 통상의 체결수단을 통하여 받침판(10)과 다공판(20)을 결합함으로써 다공판(20)을 받침판(10)에 견고히 결합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분할된 다공판(20)의 조각에 상, 하측결합턱(22a, 22b)을 돌출구성하였을 때에는, 좌, 우측 다공판(20)을 받침판(10)의 상면에 각각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다공판(20)에 형성된 상측결합턱(22a)과 하측결합턱(22b)을 맞대어 놓은 후, 통상의 체결수단을 통하여 받침판(10)과 다공판(20)을 결합함으로써 다공판(20)을 받침판(10)에 견고히 결합설치하거나, 상기 다공판(20)에 형성된 상측결합턱(22a)과 하측결합턱(22b)을 맞대어 상, 하측결합턱(22a, 22b)을 통상의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하고, 이 후, 통상의 체결수단을 통하여 받침판(10)과 다공판(20)을 결합함으로써 다공판(20)을 받침판(10)에 더욱 견고히 결합설치할 수도 있다.
그 후에는, 상기 다공판(20)의 상면에 포장준비층(31)과 포장블록층(35)으로 이루어진 포장층(30)을 순차적으로 시공한다(S60)
이때, 포장층 시공단계(S60)는 투수성블록을 사용할 때와 비투수성 블록을 사용할 때로 구분하여 2가지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다.
먼저, 투수성블록을 이용할 때에는, 다공판(20)의 상면에 부직포와 모래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포장준비층(31)을 수평하게 시공한 후, 투수성블록으로 이루어진 포장블록층(35)을 상기 포장준비층(31)의 상면에 수평하게 포장하여 상기 포장블록층(35)의 높이가 인도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는 것으로 간단히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비투수성 블록을 이용할 때에는, 다공판(20)의 상면에 부직포와 모래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포장준비층(31)을 시공하되, 상기 포장준비층(31)이 수목방향으로 1 ~ 3°의 하향경사를 형성하도록 시공한 후, 비투수성 블록으로 이루어진 포장블록층(35)을 상기 포장준비층(31)과 수평을 이루도록 포장하여 인도(9)와 인접하는 포장층(30)의 가장자리 높이가 인도(9)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는 것으로 이룰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시공에 의하면, 포장층(30)이 수목방향으로 갈수록 1 ~ 3°의 하향경사를 향하도록 용이한 시공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장층(30)에 수목(5)방향으로 하향경사를 두는 것은, 포장블록층(30)이 비투수성 블록인 것에 의해 포장블록층(35)으로 수분이 침투되지 않으므로, 빗물이나 인위적으로 공급되는 물을 하향경사를 통해 수목(5)으로 집중시키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포장층(30)을 시공한 후에는, 상기 포장층(30)에 수목지지대(7)를 설치하여 수목(5)의 지지를 이룬다.(S70)
그리고, 상기 수목지지대(7)의 시공은 상기 포장층(30)의 상부에 별도의 지지부(미도시)를 추가로 설치하여 이룰 수도 있으나, 포장층(30)의 시공시 상기 포장층(30)에 받침홀(30a)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수목지지대(7)를 포장층(30)에 형성된 받침홀(30a)에 끼우는 것만으로 수목지지대(7)의 시공을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받침홀(30a)의 형성은 다공판(20)의 상부에 형성할 받침홀(30a)과 대응되는 형상의 중공형돌부(30b)를 구성함으로써 포장층(30)의 시공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50)를 시공하면, 포장층(30)이 인도(9)와 동일한 블록으로 되어 있어 미관이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교체 및 분실에 따른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되며, 인도(9)의 면적 확보를 통해 보행자 통행시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고, 다공판(20)과 포장층(30)과 다공질관수부(40) 및 이격공간에 의해 수목(5)으로의 수분유입을 원활히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50)가 받침판(10)에 의해 지면(1)으로부터 5cm ~ 20cm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목(5)의 성장에 따라 뿌리가 굵어지면서 땅에서 솟음이 발생하더라도 본 발명이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형상 변화나 파손이 생기지 않아 유지보수 없이도 미려한 미관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는 현상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지않는 효과가 있다.
한편, 다공질관수부(40)는 신축성있는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수목(5)의 줄기가 어느 정도 성장할 때까지도 교체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수목(50)의 줄기성장이 지속되어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에는, 수목(5)과 인접해 있는 포장층(30)의 일부를 걷어낸 후, 결합수단의 체결을 해제하여 수목(5)과 인접해 있는 다공판(20)의 일부를 분리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다공질관수부(40)는 그에 상응되는 새로운 것으로 설치함으로써 유지보수를 완료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1 : 지면 3 : 받침틀
5 : 수목 7 : 수목지지대
9 : 인도 10 : 받침판
11 : 제1관통홀 12 : 유입홀
20 : 다공판 20a : 통공
21 : 제2관통홀 22 : 결합부
22a, 22b : 상, 하측결합턱 23 : 받침지지대
30 : 포장층 30a : 받침홀
31 : 포장준비층 35 : 포장블록층
40 : 다공질관수부 50 :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Claims (14)

  1. 받침틀(3)에 의해 지면(1)에서 이격설치되며, 수목(5)의 설치를 위한 제1관통홀(11)과 물의 유입을 위한 유입홀(12)이 형성된 받침판(10);
    상기 받침판(10)의 상면에 결합되며, 제1관통홀(11)에 대응되는 제2관통홀(21)이 형성된 다공판(20);
    상기 다공판(20)의 상면에 깔리는 포장준비층(31)과, 포장준비층(31)에 시공되는 포장블록층(35)으로 구성된 포장층(30);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20)은 제2관통홀(21)의 내주가 수목(5)에 인접될 수 있도록 제2관통홀(21)의 직경이 받침판(10)에 형성된 제1관통홀(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에 안착되지 않는 다공판(20)의 하면에는 지면(1)에 지지되는 받침지지대(23)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20)은 다수로 분할형성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다수로 분할형성된 다공판(20)의 일측 상부에는 상측결합턱(22a)을 구성하고, 타측 하부에는 하측결합턱(22b)을 구성하여 맞대어 조립된 상, 하측결합턱(22a, 22b)이 결합수단을 통해 서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과 다공판(20)은 일체로 제작된 것에 특징이 있는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층(30)에는 수목지지대(7)를 통해 수목(5)을 지지할 수 있도록 수목지지대(7)를 받치는 받침홀(30a)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준비층(31)은 부직포와 모래로 구성되며, 모래가 다공판(20)의 통공(20a)과 받침판(10)의 유입홀(12)을 통해 지면에 쌓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부직포와 모래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블록층(35)은 투수성블록인 것에 특징이 있는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층(30)은 수목방향으로 1 ~ 3°의 하향경사(α)를 형성하여 시공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20)의 제2관통홀(21)에는 분할형성되어 서로 조립되는 다공질관수부(40)가 끼워져 상기 다공질관수부(40)에 의해 수목(5)의 둘레가 감싸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13. 수목(5)을 심을 주변의 장소를 터파기한 후, 수목(5)을 심는 수목 설치단계(S10);
    터파기한 곳을 다짐 작업하면서 메움으로써 받침틀(3)을 터파기한 지면(1)에 설치하는 받침틀 설치단계(S20);
    분할형성된 다공질관수부(40)를 서로 조립하여 수목(5)의 둘레를 감싸는 관수부 설치단계(S30);
    분할형성된 받침판(10)을 받침틀(3)에 결합하여 상기 받침판(10)을 지면(1)의 상측으로 이격설치하는 받침판 설치단계(S40);
    분할형성되는 다공판(20)을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하여 결합수단을 통해 각각 조립한 다음, 좌, 우로 분리형성된 다공판(20)을 받침판(10)의 상면에 각각 안착시켜 체결수단을 통해 받침판(10)과 결합하는 다공판 설치단계(S50);
    다공판(20)의 상면에 부직포와 모래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포장준비층(31)을 시공한 후, 상기 포장준비층(31)의 상면에 투수성블록으로 구성된 포장블록층(35)을 포장하여 포장층(30)의 시공을 완료하는 포장층 시공단계(S60);
    상기 포장층(30)에 수목지지대(7)를 설치하여 수목(5)을 지지하는 수목지지대 설치단계(S7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시공방법.
  14. 수목(5)을 심을 주변의 장소를 터파기한 후, 수목(5)을 심는 수목 설치단계(S10);
    터파기한 곳을 다짐 작업하면서 메움으로써 받침틀(3)을 터파기한 지면(1)에 설치하는 받침틀 설치단계(S20);
    분할형성된 다공질관수부(40)를 서로 조립하여 수목(5)의 둘레를 감싸는 관수부 설치단계(S30);
    분할형성된 받침판(10)을 받침틀(3)에 결합하여 상기 받침판(10)을 지면(1)의 상측으로 이격설치하는 받침판 설치단계(S40);
    분할형성되는 다공판(20)을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하여 결합수단을 통해 각각 조립한 다음, 좌, 우로 분리형성된 다공판(20)을 받침판(10)의 상면에 각각 안착시켜 체결수단을 통해 받침판(10)과 결합하는 다공판 설치단계(S50);
    다공판(20)의 상면에 수목방향으로 1 ~ 3°의 하향경사를 형성하도록 부직포와 모래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포장준비층(31)을 시공한 후, 상기 포장준비층(31)의 상면에 비투수성 블록으로 구성된 포장블록층(35)을 포장하여 포장층(30)이 수목방향으로 1 ~ 3°의 하향경사(α)를 형성하도록 시공하는 포장층 시공단계(S60);
    상기 포장층(30)에 수목지지대(7)를 설치하여 수목(5)을 지지하는 수목지지대 설치단계(S7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시공방법.
KR1020120026747A 2012-03-15 2012-03-15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67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747A KR101167978B1 (ko) 2012-03-15 2012-03-15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747A KR101167978B1 (ko) 2012-03-15 2012-03-15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978B1 true KR101167978B1 (ko) 2012-07-23

Family

ID=46717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747A KR101167978B1 (ko) 2012-03-15 2012-03-15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9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3345A1 (ko) * 2013-04-03 2014-10-09 (주)성본 인도의 변형이 방지되는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공법
CN108642994A (zh) * 2018-07-05 2018-10-12 广州市花木公司 环保透气的树池
KR102175271B1 (ko) * 2020-05-25 2020-11-09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수목 뿌리 보호기능을 갖는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388Y1 (ko) * 2003-09-22 2003-12-06 박왕진 수목 보호덮개
KR200404519Y1 (ko) * 2005-10-12 2005-12-23 강찬성 가로수 토사유실 및 잡초발생 방지장치
KR100827102B1 (ko) 2007-01-16 2008-05-02 김광제 수목보호용 보호덮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388Y1 (ko) * 2003-09-22 2003-12-06 박왕진 수목 보호덮개
KR200404519Y1 (ko) * 2005-10-12 2005-12-23 강찬성 가로수 토사유실 및 잡초발생 방지장치
KR100827102B1 (ko) 2007-01-16 2008-05-02 김광제 수목보호용 보호덮개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3345A1 (ko) * 2013-04-03 2014-10-09 (주)성본 인도의 변형이 방지되는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공법
CN108642994A (zh) * 2018-07-05 2018-10-12 广州市花木公司 环保透气的树池
KR102175271B1 (ko) * 2020-05-25 2020-11-09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수목 뿌리 보호기능을 갖는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672B1 (ko) 식생수목 보호대
CA2908464A1 (en) A modular cell and matrix for supporting a load bearing feature
KR101167978B1 (ko)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19181B1 (ko) 도로용 블록을 이용한 도로의 포장구조
KR101048026B1 (ko) 가로수 보호구조
KR100827102B1 (ko) 수목보호용 보호덮개 시공방법
KR100807771B1 (ko) 잔디블럭 구조물
KR20070087942A (ko) 가로수 아래의 식물식재와 비산 먼지 방지 가로수 보호대
KR101277662B1 (ko) 인도의 변형이 방지되는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공법
KR101083745B1 (ko)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틀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시공 공법
CN211256560U (zh) 生态型人行道
RU118644U1 (ru) Дорожное покрытие на газоне,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для стоянок автомобилей с весом менее 2000 кг (варианты)
KR20140032160A (ko) 스톤 바스켓과 유공관을 이용한 도로포장 방법
CN107829347B (zh) 用于城市天然草皮的人行道结构及其施工方法
NZ542317A (en) Tree grate system
KR101057646B1 (ko) 인공구조물을 이용한 천연잔디 포장재
KR20110112494A (ko) 주차장용 식생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34970A (ko) 게비온 블럭 및 게비온 블럭 제조 방법
KR100577846B1 (ko) 친환경적인 도로 옹벽 설치구조
KR101089653B1 (ko) 가로수 보호용 보도블록의 시공방법
KR100429032B1 (ko) 녹화보도블록을 이용한 보도녹지화 포장방법
CN113951038B (zh) 一种扩大行道树根系生长空间的种植方法及支撑装置
CN210561574U (zh) 一种防滑的城乡园林景观道路
DK2578076T3 (en) An installation device on the ground in the vicinity of plants and method for the handling of such a device
KR100770281B1 (ko) 자연녹화가 가능한 경계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