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494A - 주차장용 식생블럭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주차장용 식생블럭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494A
KR20110112494A KR1020100031611A KR20100031611A KR20110112494A KR 20110112494 A KR20110112494 A KR 20110112494A KR 1020100031611 A KR1020100031611 A KR 1020100031611A KR 20100031611 A KR20100031611 A KR 20100031611A KR 20110112494 A KR20110112494 A KR 20110112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lock
parking lot
barre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현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주)뉴그린테크
김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그린테크, 김철현 filed Critical (주)뉴그린테크
Priority to KR1020100031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2494A/ko
Publication of KR20110112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4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로 돌출된 식생공간을 규칙적으로 복수개 형성한 주차장용 식생블럭의 하부에 저수공간부를 형성하여 이 저수공간부에 물을 머금었다가 가뭄발생시 소량씩 상기 식생공의 토양으로 공급하여 식생공에 심어진 식물의 고사를 방지하여 식물의 생존률을 높이는 주차장용 식생블럭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주차장용 식생블럭은, 판체(11)의 상부에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됨과 동시에 상부로 돌출되고 그 내부는 중공이면서 상하가 관통되어 식생공간(20)을 제공하는 복수의 식생통주(12)를 구성하고,
상기 판체(11)의 하부에 식생통주(12) 들을 연통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공간에 물을 머금어 보관하는 흡습재(30)가 채워진 저수부(19)를 구성하고,
상기 판체(11)의 둘레에 다른 식생블럭(10)을 연결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차장용 식생블럭 및 그 시공방법{Plants growing parking block}
본 발명은 상부로 돌출된 식생공간을 규칙적으로 복수개 형성한 주차장용 식생블럭의 하부에 저수부를 구비하여 이 저수부에 물을 머금었다가 소량씩 상기 식생통주의 식생토양으로 공급하여 식생된 식물이 가뭄에도 고사하지 않고 생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물의 생존률을 높이는 주차장용 식생블럭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은 우천시 차량의 통행에 의해 바닥이 파이거나 물 고임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또는 아스콘 포장을 한다.
그런데, 콘크리트 또는 아스콘 포장은 차륜에 의한 주차장 노면 손상을 방지하고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 편리성을 얻을 수는 있으나 포장층 자체가 투수기능을 전혀 갖지 못하기 때문에 포장층 하부에는 어떤 생물도 전혀 살 수 없는 열악한 환경이 만들어진다. 더욱이, 여름과 같은 계절에는 태양에 의해 가열되어 뜨거워짐에 따라 도시의 열화현상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도 딱딱하고 황량한 느낌을 주게 되므로 차량의 주차 편리성을 위한 기능적 효과 이외에는 인간에게 전혀 이롭지 못한 비친환경적 포장공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콘크리트 또는 아스콘 포장공법으로부터 탈피하여 좀더 환경친환적인 포장공법을 제공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0749078호에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을 소개한다.
상기 식생블럭은, 장방형의 받침판에 등간격을 두고 상향 돌출되는 것으로 상면이 개방된 관형상의 융기부가 형성되고 이들 융기부 사이의 받침판 일단에 조립구멍이 구비되는 포머유닛과, 상기 융기부의 개방된 상측면을 통해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끼움되는 분리몰드와, 상기 융기부와 융기부 사이의 공간에 배근되는 격자 형태를 갖는 와이어 메쉬와, 상기 결합구멍에 하단이 끼움결합되고 상단은 상향 돌출되면서 일측으로 와이어 메쉬의 일단이 끼움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스페이서로 구성된다.
이러한 식생블럭을 지면위에 연속 연결하여 포설하고, 그 상부에 메쉬를 깔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킨 후, 상기 분리몰드를 융기부로부터 분리시켜 식생공간을 형성하고 이에 흙을 충진하고 초목을 식생하는 순서로 시공한다.
상기 식생블럭은 비 친환경적인 것으로 알려진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면서도 항상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이 확보됨에 따라 많은 차량이나 행인들의 통행이 반복되어도 항상 잔디와 같은 식물들이 자라게 되고, 또 식생공간을 통해 빗물이 지면으로 침투가 이루어져 지하수 고갈을 막을 수 있고, 토양내에 각종 미생물이나 곤충 등과 같은 생물들이 살수있는 환경이 만들어지는 비교적 친환경적인 포장공법이다.
그렇지만, 종래의 식생블럭은 가뭄이 들게 되면 식생 공간내에 채워진 토양의 수분도 쉽게 소진 되어 식생된 초목이 고사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식물들이 가뭄에 고사하게되면 그 식생공간에 새로운 식물을 심는 번거로운 관리 작업들이 수반되고 그에 따른 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880887호에 의하면, 식재 블럭(1)은 외형을 이루는 기반층(3)과, 이 기반층(3)의 상면에 설치되는 표면층(5)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기반층(3)에는 상면이 개방된 식재 가능한 식재공간홈(4)을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식재블럭은 평활한 지면에 보도블럭 깔듯이 규칙적으로 밀착 포설하는 방법으로 시공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이 시공된 주차장에 중량의 차량들이 반복적으로 지나다니게 되면 하중의 집중으로 지면이 파이게 됨과 동시에 식재블럭 간의 높이차가 발생된다. 이 상태에서 비가 내리게 되면 낮은 지면에 물이 고이게 되어 지면의 패임현상이 더욱더 진행 될 뿐만 아니라 식재블럭이 불안정하여 차량이나 보행자가 밟고 지나게 될 경우에는 심하게 흔들리게 되어 하부에 고인 흙탕물이 상부로 튀어올라 차량이나 보행자가 흙탕물 피해를 입게 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식재블럭이 불안정하게 흔들리다보면 크랙이 발생하거나 절단파손될 뿐만 아니라 식생공간홈에 심어진 식물이 고사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래서 깊게 패인 지면을 높여주고 파손된 식재블럭을 교체해줌과 아울러 식생공간홈에 식물을 재식생하는 번거로운 유지보수작업을 자주 실시해야하고, 그로인해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 20-0436071호에는 장애인 주차 표시용 조립식 저류 식생매트가 소개되어 있는데, 정육각 형상의 공간 형성벽을 통해 식생공간이 형성된 각 단위셀을 일체로 하여 벌집구조형태의 셀 구조체를 형성함과 동시에 각 셀 구조체 간 결합을 통해 주차장의 주차구획면에 매설 시공되는 식생매트블록인 것이다. 물론 고안의 요지는 주차장의 주차구획면에 매설 시공된 식생매트블록에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을 표시하여 장애인 차량의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지만, 주차장 식생매트 기능을 볼 때, 차량이 반복적으로 지나가게 되면 그로인해 지면을 파고들게 되어 높이가 들쭉날쭉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비가 내리면 물이고이게 되고 패임현상은 가중되며, 흔들림이 심하게 발생하게 되면 식생매트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식생된 식물이 고사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로인해 번거로운 유지관리작업을 자주 실시해야 하므로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선행기술들은 별도의 물을 저장하는 공간이 없으므로 비가 오랫동안 내리지 않게 되면 식생공간의 수분이 쉽게 소진되어 식물들이 빨리 고사하게 되는 공통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KR 10-0749078 B1 KR 10-0880887 B1 KR 20-0436071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식생블럭의 하부에 저수공간을 확보하여 상당기간 비가 내리지 않아 식생공간내의 토양에 수분이 마르게 되면 저수공간 내의 수분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식물이 공급되어 식물이 고사되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는 등 식생블럭에 심어진 식생식물의 생존확률을 높이는데 있다.
또한, 식생블럭의 일측에 저수공간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구를 형성하여 필요시 급수하여 식물에 물을 공급하여 식생식물의 생장에 최상의 여건을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식생블럭의 시공을 보다 신속 간편하면서도 시공현장에 따라 주어지는 조건에 능동적으로 적응 할 수 있는 주차장용 식생블럭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주차장용 식생블럭은,
판체의 상부에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됨과 동시에 상부로 돌출되고 그 내부는 중공이면서 상하가 관통되어 식생공간을 제공하는 복수의 식생통주를 구성하고,
상기 판의 하부에 식생통주 간을 연통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공간에 물을 머금어 보관하는 흡습재가 채워진 저수부를 구성하고,
상기 판체의 둘레에 다른 식생블럭을 연결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주차장 식생블럭 시공방법은, 시공할 주차장 지면을 평탄화하는 평탄작업을 수행하고,
판상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그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식생공간을 제공하는 식생통주를 일정 패턴으로 복수개 구성하고, 상기 판의 하부에 식생통주 간을 연통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공간에 물을 머금어 보관하는 흡습재가 채워진 저수부를 구성하고, 상기 판의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인접 두 변에 조립공을 형성하고, 다른 인접한 두 변에 상기 조립공에 끼워지는 조립돌기를 구성한 주차장용 식생블럭을 복수개 마련하여,
평탄작업이 이루어진 주차장 지면에 상기 식생블럭을 포설함과 동시에 조립공에 조립돌기를 끼워 연속 연결 설치하고,
상기 식생블럭의 상부에 철근 또는 메쉬를 깔고,
상기 식생통주의 상단 높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상기 식생통주의 상단을 차단하고 있는 막을 제거하고, 토양을 채우고 식물을 식생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 주차장용 식생블럭은, 하부에 식생통주를 연결하는 저수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당기간 비가 내리지 않아 식생통주 내의 토양에 수분이 고갈되면 상기 저수부에 저수된 물이 모세관현상에 의해 식물에 공급되어 식물의 고사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식물의 생존 확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주차장용 식생블럭에는 저수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별도의 물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어 가뭄기간에 물을 공급하여 식생통주내의 토양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주차장 표면에 물을 뿌려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것보다 증발을 막을 수 있어 물을 좀더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투리 블럭이 더 구비되어 있으므로 주차장 면적에 따라 자 적당한 크기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 식생통주의 상부를 연장하는 연장통주가 구비되어 있어 콘크리트의 두께 설계에 따라 식생통주의 상부에 이어붙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현장여건에 따라 신속 간편하게 능동적으로 식생블력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1b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용 식생블럭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용 식생블럭의 구조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2는 도 1a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주차장용 식생블럭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주차장용 식생블럭을 시공완료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주차장용 식생블럭에 적용되는 식생의 일 실시예도.
도 6는 본 발명 주차장용 식생블럭에 적용되는 식생의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용 식생블럭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주차장용 식생블럭의 설치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주차장용 식생블럭의 저수공간에 형성한 물 주입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주차장용 식생블럭에 형성된 물 주입구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주차장용 식생블럭의 연결통주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주차장용 식생블럭에 연결통주를 연결한 시공상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주차장용 식생블럭에 연결된 연결통주 블럭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주차장용 식생블럭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마감블럭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주차장용 식생블럭 상부에 설치된 상부마감블럭의 설치상태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 주차장용 식생블럭에 별도로 구성되는 자투리 블럭 사시도.
본 발명 주차장용 식생블럭(10)은 도 1a,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체(11)의 상부에 상향 돌출되는 복수의 식생통주(12)들을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 구성한다. 상기 식생통주(12)는 내부가 중공이고 상하부가 개구된 식생공간(20)을 형성하며, 외부형태는 원형이나 사각 또는 도 1b와 같은 육각형 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판체(11)의 하부에 식생통주(12) 간을 연통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공간에 물을 머금어 보관하는 흡습재(30)가 채워진 저수부(19)를 구성한다. 상기 저수부(19)는 도 1c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체(11)의 하부 둘레에 소정높이의 측벽을 형성하여 저면부와 지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저수부(19)를 구성하는 것이다. 그 상기 공간 내부에 흡습재(30)를 채워 구성하는데, 도 7, 도 9,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식생통주(12)를 연결하는 돔형상의 저수통로(19')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하중에 의해 판체(11)가 처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판체(11)의 여러 개소에 콘크리트(C)가 바닥까지 채워져 하중을 지탱하는 지지발 기능을 수행하는 콘크리트채움홈(18)을 형성한다.
후자(저수통로(19') 타입)의 경우에는 저수통로(19') 이외의 부분은 모두 주차장 지면과 밀착되므로 콘크리트의 지지력이 직접 지면에 전달되므로 별도의 지지발 기능의 구조물이 필요없다. 특히 저수통로(19')가 아치형을 이루면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더욱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성형시 판체(11)가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저수부(19)는 측벽을 일부 개방하거나 또는 상기 저수통로(19')를 개방되게 연결하여 이웃하는 식생블럭(10)들과도 연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체(11)의 둘레에 다른 식생블럭(10)을 연결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를 구성한다. 즉,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판체(11)의 일측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인접 두 변에 연결편(15)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편(15) 상면에 복수의 조립공(16a)을 형성하고, 다른 인접한 두 변과 인접한 판체(11)의 상면에 상기 연결편(15)의 조립공(16a)에 끼워지는 조립돌기(16b)를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판체(11)의 상부에 철근(S) 또는 메쉬를 고정하는 철근지지대(17)를 구비한다. 상기 철근지지대(17)에는 철근 또는 메쉬가 끼움 고정되는 고정홈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발명 주차장용 식생블럭(10)은, 시공할 주차장 지면을 고르게 평탄작업을 수행하고, 이에 주차장용 식생블럭(10)을 포설한다.
주차장용 식생블럭(10)의 포설시 도 3과 같이 연장편(15)을 다른 식생블럭의 상면에 올려놓으면서 연장편(15)의 조립공(16a)을 조립돌기(16b)에 끼워 고정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주차장용 식생블럭(10)을 포설 완료하면, 상기 식생블럭(10) 상부의 철근지지대(17)에 도 4와 같이 철근(S) 또는 메쉬를 배근하고, 식생통주((12)의 상단 높이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양생시킨다.
상기 식생통주(10)의 상단에는 둘레에 파단선(14)이 형성된 막(13)을 구비하여 콘크리트(C) 타설시 식생통주(12)의 내부로 콘크리트(C)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콘크리트(C)가 양생되면, 식생통주(12)의 상단에 있는 막(13)을 타격하거나 압력을 가하여 파단선(14)을 따라 파괴함으로써 막(13)을 제거한 다음 식생통주(12)내부의 식생공간(20)에 도 4와 같이 토양을 채우고 그 상부에 잔디와 같은 식물을 식생하여 시공을 완료하는 것이다.
상기 식생통주(12)의 식생공간(20)에 토양을 채우고 식생하는 방법은, 도 5와 같이 외주면에 복수의 통수공(42)을 형성한 식생용기(40)에 미리 토양을 채움과 동시에 식생을 하여 두었다가 식생매트(10)의 시공 완료 후 식생통주(12)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거나 또는, 망체로 토양을 감싸고 그 상부에 식물을 식생한 식생망체(50)를 미리 준비한 후 식생매트(10)의 시공 완료 후 식생통주(12)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식생용기(40)나 식생망체(50)를 이용하면 식생매트(10) 시공완료 후 식생통주(12) 내부에 일일이 흙을 채우고 식물을 식생하는 번거로운 작업 없이 준비된 식생용기(40) 또는 식생망체(50)를 삽입하는 것으로 식생작업이 완료되므로 식생작업에 따른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식생통주(12)에 식생을 하지 않고, 그 상단부에 색상을 가진 캡을 씌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캡은 특정 주차표시 즉, 장애인 표식이나 소방전용 주차표시 등과 같은 표시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식생블럭(10)의 저수부(19)를 구성하기 위해 주차장 지면에 흡습재(30)를 포설한 후 그 상부에 식생블럭(10)을 포설하는 순서를 가질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스폰지와 같은 다공체 또는 발포체로 형성된 흡착재(30)의 특성에 의해 콘크리트(C)의 타설시 식생블럭(10)이 무게에 의해 하강하면서 무게가 가하여지는 부분은 협착되고 그 외의 공간부에는 흡착재(30)가 공간을 채우게 되어 자연적으로 저수부(19)의 내부에는 흡착재(30)가 충진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흡습재(30)는 저수부(19)(19') 공간 형태로 절단하여 상기 저수부(19)(19')에 충진할 수도 있다.
시공완료된 주차장 식생블럭(10)의 상부에 비가 오거나 또는 인위적으로 물을 뿌리게 되면, 빗물 또는 물은 식생통주(12) 내부의 토양을 통해 흡수되어 하부로 유입되며, 상기 흡착재(30)에도 유입된다. 흡착재(30)는 스폰지와 같은 다공체 또는 발포체이므로 모세관현상에 의해 많은 물을 머금게 된다.
만일 가뭄이 들어 식생통주(12) 내부의 토양에 수분이 소진되면 모세관현상에 의해 흡착재(30)에 저수된 물이 조금씩 식생통주(12) 내에 충진된 토양으로 흡수되며, 이어서 식생된 식물의 뿌리에 공급된다. 따라서 식물은 가뭄이 오랫동안 지속되어도 고사하지 않고 오랫동안 살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저수부(19) 상부에는 도 9, 도 10과 같이 인공으로 물을 주입하는 주입구(60)를 형성한다. 이 주입구(60)는 가뭄이 상당기간 진행되어 식생통주(12) 내 토양은 물론이고 흡착재(30) 내에 저수된 물이 고갈 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 상기 저수부(19)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물을 공급하기 위해 단순히 식생블럭(10) 상부에 물을 뿌리게 되면 일부의 물은 식생통주(12)를 통해 유입되지만 일부 상당량은 증발되어 손실된다. 반면, 물 주입구(60)를 통해 저수부(19)에 물을 공급하면 증발로 인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물 주입구(60)는 평상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캡을 씌워둔다. 필요에 따라서 영양제(비료)를 물과 함께 공급할 수도 있다.
식생블럭(10)을 이용하여 주차장을 시공하다보면 주차장 여건에 따라 콘크리트(C) 두께를 두껍게 해야할 필요가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주차 차량이 대형 화물차가 많을 경우에는 콘크리트(C)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균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때에는 식생통주(12)의 높이가 그만큼 높은 식생블럭(10)을 사용해야 하는데, 식생블럭(10) 제조금형의 한계상 높은 식생통주(12)를 성형할 수가 없거나, 또는 성형이 가능하더라도 금형비용이 상승되는 부분이 있다. 따라서 식생통주(12)의 상부에 조립되어 길이를 연장하는 연장통주(71)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장통주(71)는 하부에 상기 식생통주(12)에 끼움 결합되는 삽입부를 형성하여 조립할 수도 있으나, 삽입부 대신 결합구 즉, 도 11과 같이 탄성편(72)으로 구성한다. 상기 삽입부 또는 탄성편(72)은 식생통주(12)에 일단 결합되면 콘크리트(C)가 타설되더라도 빠지지 않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연장통주(71)는 상기 식생통주(12)와 동일한 배열 패턴으로 배열하고 서로의 연장통주(71)간을 연결대로 연결하여 구성한 일체의 연장블럭(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블럭(70)은 식생블럭(10)의 상부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시공시 적은 비용으로 신속 간편하게 식생매트(10) 조립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식생블럭(10)을 이용하여 주차장을 시공하다보면, 주차장면적에 따라 식생블럭(10)의 사이즈가 커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설치해야할 때가 있다. 그렇지만 현장에서 식생블럭(10)을 절단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절단을 위한 도구를 휴대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면이 고르지 못해 틈새가 발생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그 일부가 저수부(19)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 16의 (A),(B),(C),(D),(E)와 같이 여러 사이즈의 자투리 식생블럭(10)을 형성하여 주차장 면적에 따라 선택하여 연결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식생블럭(10)을 시공완료하면, 상부에 식생된 식물이 자라기도 하지만 콘크리트(C)가 상당부분 노출된다.
따라서 수요자의 요청에 따라 노출된 콘크리트(C)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상단이 요철을 이루는 보강살(81)들을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하거나 또는 격자형태로 배열 형성하고, 하부에 복수의 매립돌기(82)를 구성한 상부마감블럭(80) 구비하여 필요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마감블럭(80)은 상기 식생블럭(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식생블럭(10)의 상부에 식생통주(12)의 높이로 콘크리트(C)를 타설한 직후 상기 상부마감블럭(80)의 매립돌기(82)를 콘크리트(C) 상면에 박아 콘크리트(C)의 상부에 매립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콘크리트(C)가 상부마감블럭(80)에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식생된 식물의 줄기나 잎은 상부마감블럭(80)의 보강살(81)에 형성된 요철내에 놓여지게 되어 차량이나 보행자가 밟고 지나가더라도 바퀴나 발에 밟히지 않아 식물의 잎이나 줄기가 손상되지 않는다.
10 - 식생블럭 11 - 판체 12 - 식생통주
13 - 막 14 - 파단홈 15 - 연결편
16a,16b - 조립공, 조립돌기 17 - 철근지지대 18 - 콘크리트채움홈
19 - 저수부 20 - 식생공간 30 - 흡습재
40 - 식생용기 42 - 통수공 50 - 식생망체
60 - 주입구 70 - 연장블럭 71 - 연장통주
72 - 탄성편 80 - 상부마감블럭 81 - 보강살
82 - 매립돌기 C - 콘크리트 S - 철근

Claims (14)

  1. 판체(11)의 상부에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됨과 동시에 상부로 돌출되고 그 내부는 중공이면서 상하가 관통되어 식생공간(20)을 제공하는 복수의 식생통주(12)를 구성하고,
    상기 판체(11)의 하부에 식생통주(12) 들을 연통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공간에 물을 머금어 보관하는 흡습재(30)가 채워진 저수부(19)를 구성하고,
    상기 판체(11)의 둘레에 다른 식생블럭(10)을 연결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용 식생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19)는, 상기 식생통주(12)를 연결하는 돔형상의 저수통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용 식생블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19) 상부에는 물을 주입하는 주입구(6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용 식생블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통주(12)의 상부는 타격 또는 압력에 분리되는 파단홈(14)을 갖는 막(1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용 식생블럭.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통주(12) 배열 패턴에서 일열 또는 복열 형태의 자투리 블럭을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용 식생블럭.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통주(12)의 상부에 조립되어 식생통주(12)의 길이를 연장하는 연장통주(71)를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용 식생블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통주(71)는 상기 식생통주(12)와 동일한 배열 패턴으로 묶어진 일체의 블럭(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용 식생블럭.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통주(71)의 하부 둘레에는 상기 식생통주(12)의 상단에 강제 삽입되어 탄성 결합되는 탄성결합돌기(72)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용 식생블럭.
  9. 제 1 항에 있어서, 상단이 요철을 이루는 보강살(81)들을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 형성하고, 하부에 복수의 매립돌기(82)를 구성하여 상기 식생블럭(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마감블럭(80)을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용 식생블럭.
  10. 제 1 항에 있어서, 외주면에 복수의 통수공(42)을 형성함과 동시에 식물의 식생을 완료하여 상기 식생통주(12)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는 식생용기(40)를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용 식생블럭.
  11. 제 1 항에 있어서, 식물이 식생 완료된 토양의 둘레를 감싸 고정하여 상기 식생통주(12)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는 식생망체(50)를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용 식생블럭.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판체(11)의 일측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인접 두 변에 연결편(15)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편 상면에 복수의 조립공(16a)을 형성하고, 다른 인접한 두 변과 인접한 판체(11)의 상면에 상기 조립공(16a)에 끼워지는 조립돌기(16b)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용 식생블럭.
  13. 시공할 주차장 지면을 평탄화하는 평탄작업을 수행하고,
    판체(11) 상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그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식생공간(20)을 제공하는 식생통주(12)를 일정 패턴으로 복수개 구성하고, 상기 판체(11)의 하부에 식생통주(12) 간을 연통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공간에 물을 머금어 보관하는 흡습재(30)가 채워진 저수부(19)를 구성하고, 상기 판체(11)의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인접 두 변에 연결편(15)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편(15)면에 조립공(16a)을 형성하고, 다른 인접한 두 변에 상기 조립공(16a)에 끼워지는 조립돌기(16b)를 구성한 주차장용 식생블럭(10)을 복수개 마련하여,
    평탄작업이 이루어진 주차장 지면에 상기 식생블럭(10)을 포설함과 동시에 조립공(16a)에 조립돌기(16b)를 끼워 연속 연결 설치하고,
    상기 식생블럭(10)의 상부에 철근(S) 또는 메쉬를 깔고,
    상기 식생통주(10)의 상단 높이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상기 식생통주(10)의 상단을 차단하고 있는 막(13)을 제거하고, 토양을 채우고 식물을 식생하여 이루어지는 주차장 식생블럭 시공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단이 요철을 이루는 보강살(81)들을 격자형태로 배열 형성하고, 하부에 복수의 매립돌기(82)를 구성하여 상기 식생블럭(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마감블럭(80)을 구성하여,
    상기 식생블럭(10)의 상부에 식생통주(12)의 높이로 콘크리트(C)를 타설한 직후 상기 상부마감블럭(80)의 매립돌기(82)를 콘크리트(C) 상면에 박아 콘크리트(C)의 양생에 의해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식생블럭 시공방법.
KR1020100031611A 2010-04-07 2010-04-07 주차장용 식생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20110112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611A KR20110112494A (ko) 2010-04-07 2010-04-07 주차장용 식생블럭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611A KR20110112494A (ko) 2010-04-07 2010-04-07 주차장용 식생블럭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494A true KR20110112494A (ko) 2011-10-13

Family

ID=45028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611A KR20110112494A (ko) 2010-04-07 2010-04-07 주차장용 식생블럭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249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124B1 (ko) * 2014-03-20 2014-06-30 (주)봉황씨원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CN109057234A (zh) * 2018-08-22 2018-12-21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生态停车场地坪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657813B1 (ko) * 2023-04-21 2024-04-17 (주)한길산업 하이브리드 식생포장 투수지그 및 이를 이용한 식생포장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124B1 (ko) * 2014-03-20 2014-06-30 (주)봉황씨원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WO2015141906A1 (ko) * 2014-03-20 2015-09-24 (주)봉황씨원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CN109057234A (zh) * 2018-08-22 2018-12-21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生态停车场地坪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657813B1 (ko) * 2023-04-21 2024-04-17 (주)한길산업 하이브리드 식생포장 투수지그 및 이를 이용한 식생포장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3934B2 (ja) 緑化体
KR100525753B1 (ko) 도로의 가로수의 보호구조
KR20110112494A (ko) 주차장용 식생블럭 및 그 시공방법
JP2003047346A (ja) 緑化用植栽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81321Y1 (ko) 녹지 조성용 잔디블록
JP5246991B2 (ja) 珪藻頁岩を用いた舗装構造
JP2009112208A (ja) 緑化植栽保護パネル
JP2006345825A5 (ko)
KR100807771B1 (ko) 잔디블럭 구조물
KR100917382B1 (ko) 공간 잔디 블럭
KR101127628B1 (ko)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KR101279958B1 (ko) 식생층을 구비한 식생블록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02107A (ko) 친환경 주차장
KR200379935Y1 (ko) 교체 가능한 주차장 잔디 보호대
KR200430137Y1 (ko) 잔디보도블럭
KR101057646B1 (ko) 인공구조물을 이용한 천연잔디 포장재
KR200401423Y1 (ko) 주차라인이 형성되는 잔디블럭
KR200430140Y1 (ko) 잔디보호블럭
JP3136617U (ja) 路外駐車場に敷設する緑化用芝を有するグリーンパッド支持枠体
KR101089653B1 (ko) 가로수 보호용 보도블록의 시공방법
JP2011043040A (ja) 緑化舗装、緑化パネル並びに緑化パネル用枠体
KR200369540Y1 (ko) 벌집형 조립식 저류 식생매트
JP6186123B2 (ja) 緑化構造
KR100937197B1 (ko) 공원녹지 가로수용 잔디보호 블록
KR101297778B1 (ko) 주거단지의 도로에 설치되는 텃밭조성용 홈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