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124B1 -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 Google Patents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4124B1 KR101404124B1 KR1020140032858A KR20140032858A KR101404124B1 KR 101404124 B1 KR101404124 B1 KR 101404124B1 KR 1020140032858 A KR1020140032858 A KR 1020140032858A KR 20140032858 A KR20140032858 A KR 20140032858A KR 101404124 B1 KR101404124 B1 KR 1014041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getation block
- elastic member
- vegetation
- brick
- he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10—Pre-cultivated sod or turf; Apparatu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돌이 안착된 상태로 보행로, 산책로, 야외주차장, 건물옥상 등에 설치되는 식생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보행할 때에 상기 벽돌이 신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의 편안함과 피로도 감소시키고, 또 잔디가 식생 되므로 자연친화적임은 물론, 설치개소에 안전하고 견고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완충 및 잔디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식생블록의 바닥면에는 그 바닥면으로부터 하향하도록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 고정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 안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 안착 홈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바닥면을 보강리브 역할하면서 바닥면에 흙을 채울 수 있도록 하는 돌출 턱을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 안착 홈에는 신축성을 갖으며 상기 돌출 턱의 상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높이를 갖는 탄성부재가 안착 결합되고, 상기 측벽에는 그 측벽과 벽돌 간에 잔디가 자랄 수 있도록 흙이 채워지는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측벽의 보강리브 역할을 공간유지구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에는 우천시 빗물은 배수되고 건조시 지면으로부터 증발되는 수분을 상기 흙이 흡수하도록 하는 수분통기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인접되게 설치되는 또 다른 식생블록과 연이어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마련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돌이 안착된 상태로 보행로, 산책로, 야외주차장, 건물옥상 등에 설치되는 식생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보행할 때에 상기 벽돌이 신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의 편안함과 피로도 감소시키고, 또 잔디가 식생 되므로 자연친화적임은 물론, 설치개소에 안전하고 견고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완충 및 잔디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각종 보행로 또는 주차장 등에 잔디 또는 기타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하는 식생블록(특허등록번호 10-0886952호)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공되어 있으며, 그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식생 블록(1)은, 시공 면에 안착 시공되는 파레트(3)와, 상기 파레트(3) 상부에 끼워 맞춤식으로 시공되는 블록(2)과, 상기 파레트(3)의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배수공(8)과, 상기 파레트(3)의 상면에 격자 상으로 형성되는 블록결합부(10)와, 상기 블록결합부(10) 상간에 형성되는 잔디식생 벽(9)에 의해 구성되는 잔디식생부(11)를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파레트(3)에 형성되는 잔디식생벽(9)의 외면에는 하향 경사면을 갖는 스토퍼(12)가 형성되고, 상기 파레트(3)는 4변 중 2변에 형성되는 끼움돌기(4)와, 나머지 2변에 형성되는 끼움 홈(5)과, 상기 파레트(3) 저면부에 다수의 보강리브(6)와 수개의 앵커(7)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 식생 블록은 잔디를 식생 시키기 위한 잔디식생 벽(9)이 4각형으로 상향되게 형성되고, 또 상기 잔디식생 벽(9)의 외면에는 하향 경사면을 갖는 스토퍼(12)가 잔디식생 벽(9)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잔디식생 벽(9)을 따라 형성된 스토퍼(12)와 스토퍼(12)의 사이에는 블록을 끼워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특허등록번호 10-1352549호의 방초 기능을 갖는 자연친화형 벽돌 설치용 잔디 식생 파레트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벽돌이 안착 설치되며 벽돌과 벽돌의 사이에 잔디가 자랄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켜 된 잔디식생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잔디식생 파레트는 벽돌(B)의 하부 면을 지지하며 받쳐주는 4각형의 바닥면(10) 외곽에 벽돌의 이탈을 방지하는 각각의 외곽 벽(20)이 상호 연이어지며 상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잔디식생 파레트의 바닥면에는 복수 개의 벽돌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칸막이(40)를 형성시켜 복수 개의 벽돌안착부(30)를 형성하며, 상기 외곽 벽의 내측 면과 칸막이의 양측 면에는 벽돌안착부에 안착되는 벽돌의 측면과 면 접촉되어 벽돌의 지지 고정하며 그 지지 고정되는 벽돌의 측면과 외곽 벽의 내측 면 및 칸막이 간에 잔디가 자랄 수 있는 공간(S)을 확보하기 위한 공간유지구(50)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외곽 벽 중 2개의 외곽 벽 중앙 하단 바닥면의 가장자리에는 인접 연결설치되는 잔디식생 파레트의 외곽 벽에 형성된 결합구와 긴밀히 결합되는 결합부(60)가 하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외곽 벽 중 나머지 2개의 외곽 벽 중앙 하단 바닥면의 가장자리에는 인접 연결설치되는 잔디식생파레트의 외곽 벽에 형성된 결합부와 긴밀히 결합되는 결합구(70)가 하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간(S)의 바닥면에는 수분의 배수 및 기화와 잔디의 뿌리 활착을 위한 구멍(80)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잔디식생 파레트들은 잔디를 자랄 수 있도록 하여 환경친화적으로는 조성할 수 있으나, 벽돌을 디디고 보행할 때에 벽돌의 충격흡수기능이 없어 보행상의 어려움과 피로 도를 감쇄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 한번 설치하며 해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 식생블록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첫째, 사람이 보행할 때에 일정 정도의 신축성 유지하도록 하여 보행의 편안함과 피로 도를 감소시키고,
둘째, 잔디가 자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연친화적으로 조성할 수 있으며,
셋째, 벽돌안착부에 안착되는 벽돌이 탄성부재에 의해 충격을 흡수함으로 벽돌의 파손을 방지하고,
넷째, 식생블록과 식생블록의 연이은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또 연이어지게 설치된 식생블록을 해체할 때에도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복수 개의 벽돌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벽돌의 측면과 상호 마주보는 부분에는 각각의 측벽(110)이 형성되며, 상기 벽돌의 하면과 상호 마주보는 부분에는 바닥면(120)이 형성시켜 된 벽돌안착부(100)를 복수 개 형성시켜 된 식생블록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는 그 바닥면으로부터 하향하도록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 고정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 안착 홈(130)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 안착 홈의 상단 가장자리 바닥면에는 잔디가 자랄 수 있도록 흙이 채워짐과 동시에 바닥면의 보강리브 역할을 하는 돌출 턱(140)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 안착 홈에는 신축성을 갖으며 상기 돌출 턱의 상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높이를 갖는 탄성부재(150)가 안착 결합되고, 상기 측벽에는 그 측벽과 벽돌 간에 잔디가 자랄 수 있도록 흙이 채워지는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측벽의 보강리브 역할을 공간유지구(160)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에는 우천시 빗물은 배수되고 건조시 지면으로부터 증발되는 수분을 상기 흙이 흡수하도록 하는 수분통기구멍(170)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인접되게 설치되는 또 다른 식생블록과 연이어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180)을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 안착 홈(130)의 형상은, 원형 또는 3각 이상의 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 안착 홈(130)은, 바닥면의 4방 모서리와 중앙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돌출 턱(140)의 높이는, 상기 공간유지구의 폭과 동일하거나 또는 측벽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탄성부재(150)의 재질은, 분쇄된 폐타이어를 접착제를 매개로 압축 성형하거나 또는 고무,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50)의 두께는, 상기 탄성부재 안착 홈의 높이보다 적어도 2배 이상 높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간유지구(160)의 길이는, 측벽 상단에서부터 바닥면 상면까지 이르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분통기구멍(17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바닥면에 채워진 흙이 상기 수분통기구멍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흙 유실방지 턱(190)이 상기 돌출 턱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또 상기 연결수단(180)은,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기(181)와, 일 측에 상기 돌기와 끼워 결합되는 결합구멍(182a)이 형성되고, 타 측에 또 다른 식생블록과 연이어 연결 설치하는 식생블록의 바닥 저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기(181)와 끼워 결합되는 결합구멍(182b)이 형성된 연결구(182)로 구성되고, 상기 돌기(181)의 길이는, 상기 탄성부재 안착 홈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은,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첫째, 사람이 보행할 때에 일정 정도의 신축성 유지하도록 하여 보행의 편안함과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둘째, 잔디가 자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연친화적으로 조성할 수 있으며, 셋째, 벽돌안착부에 안착되는 벽돌이 탄성부재에 의해 충격을 흡수함으로 벽돌의 파손을 방지하고, 넷째, 식생블록과 식생블록의 연이은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또 연이어지게 설치된 식생블록을 해체할 때에도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제1실시 예의 식생블록 단면 구성도,
도 2는 종래 제2실시 예의 식생블록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평면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일 요부 발췌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저면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의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일 요부 발췌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식생블록과 식생블록이 연결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식생블록과 식생블록이 연결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
도 2는 종래 제2실시 예의 식생블록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평면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일 요부 발췌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저면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의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일 요부 발췌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식생블록과 식생블록이 연결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식생블록과 식생블록이 연결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의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은,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벽돌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벽돌의 측면과 상호 마주보는 부분에는 각각의 측벽(110)이 형성되며, 상기 벽돌의 하면과 상호 마주보는 부분에는 바닥면(120)이 형성시켜 된 벽돌안착부(100)를 복수 개 마련하여 된 식생블록을 형성시켜 그 식생블록들을 야외주차장 , 보행로 및 산책로, 건물옥상 또는 실내바닥면에 연이어 연결 설치함과 동시에 설치 후에는 잔디가 자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연친화적이며, 사람이 보행할 때에는 일정 정도의 신축성 유지되게 하여 보행의 편안함과 피로 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 및 효능을 갖는 본 발명의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에서 측벽(110)은 벽돌(B)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며 벽돌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활을 하는 것이고, 바닥면(120)은 벽돌(B)의 하면을 받쳐주며 지지하는 것이며, 상부를 개방시킨 이유는, 벽돌(B)을 벽돌안착부(100)에 용이하게 안착시키거나 또는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벽돌안착부(100)를 형성하는 측벽(110)의 높이는, 벽돌(B)의 두께보다 낮게 형성시켜 상기 벽돌안착부(100)에 안착된 벽돌(B)의 상부가 측벽(110) 상부로 일부 노출되게 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측벽(110)의 높이를 벽돌(B)의 두께와 준하는 높이로 형성시켜도 가능하다.
상기 측벽(110)의 높이를 벽돌(B)의 두께보다 낮게 형성시키는 이유는, 사람이 보행할 때에 측벽(110)의 상단이 신발의 바닥면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사람이 보행할 때에 신발의 바닥면이 측벽(110)의 상단에 걸리게 되면 측벽이 훼손됨은 물론, 아래에서 설명되는 벽돌(B)의 하부 면을 지지하며 받쳐주는 탄성부재(150)의 탄성력을 발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식생블록에서 바닥면(120)에는 그 바닥면(120)으로부터 하향하도록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 고정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 안착 홈(130)이 형성되는데, 상기 탄성부재 안착 홈(130)을 바닥면(120)으로부터 하향하도록 형성시키는 이유는, 식생블록이 지면 즉 땅(흙)에 설치될 때에는 상기 탄성부재 안착 홈(130)이 흙 속에 매립되어 식생블록을 안정적이며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식생블록이 시멘트콘크리트나 아스팔트 상에 설치될 때에는 상기 탄성부재 안착 홈(130)의 하단 면이 상기 시멘트콘크리트나 아스팔트의 표면에 안정적으로 면 접촉되어 지지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탄성부재 안착 홈(13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바닥면(120)을 보강리브 역할하면서 바닥면(120)에 흙을 채울 수 있도록 하는 돌출 턱(140)을 형성되는데, 상기 탄성부재 안착 홈(130)의 상부 가장자리에 돌출 턱(140)을 형성시키는 이유는, 돌출 턱(140)의 상단과 바닥면(120)의 상부 표면 사이에 흙을 채워 잔디뿌리가 자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탄성부재 안착 홈(130)의 상부 가장자리에 바닥면(120)을 보강리브 역할하는 돌출 턱(140)을 형성함으로 인하여 바닥면(120)이 휘어지거나 또는 뒤틀림 및 파손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120)에는 돌출 턱(140)의 상단부까지 흙이 채워짐으로 인하여 잔디가 자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돌출 턱(140)의 높이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공간유지구(160)의 폭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측벽(11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돌출 턱(140)의 높이가 상기 공간유지구(160)의 폭보다 큰 폭의 높이를 갖거나 또는 상기 측벽(110)의 두께보다 두꺼운 높이로 형성되면 아래에서 설명되는 탄성부재(150)의 수축량이 제약을 받음으로 상기 돌출 턱(140)의 높이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공간유지구(160)의 폭과 동일 하거나 또는 상기 측벽(11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생블록에서 상기 탄성부재 안착 홈(130)에는 신축성을 갖으며 상기 돌출 턱(140)의 상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높이를 갖는 탄성부재(150)가 안착 결합되는데, 그 이유는, 벽돌(B)이 벽돌안착부(100)에 안착되면 그 벽돌의 하면이 탄성부재(150)의 상부 표면에 접촉되면서 벽돌(B)을 받쳐주고 있다가 사람의 보행으로 인하여 벽돌(B)에 누르는 압력이 가해지면 탄성부재(150)가 수축되면서 충격을 완충함으로 보행 감을 향상시킴은 물론, 피로 도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탄성부재(150)의 재질은, 분쇄된 폐타이어를 접착제를 매개로 압축 성형하거나 또는 고무,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하면 되는데, 그 이유는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수축 및 복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탄성부재(150)의 재질은 상기에서 설명한 폐타이어, 고무, 실리콘 외에도 수축 및 팽창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또 상기 탄성부재(150)의 두께는, 상기 탄성부재 안착 홈의 높이보다 적어도 2배 이상 높은 두께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탄성부재(150)의 수축 및 팽창 양을 최대로 확보하여 사람이 보행할 때에 충격 완충 력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150)와 그 탄성부재(150)가 안착되는 탄성부재 안착 홈(130)의 형상은 원형 또는 3각 이상의 각형 중 어느 형태로 해도 가능하며, 상기 상기 탄성부재(150)가 안착되는 탄성부재 안착 홈(130)은, 바닥면(120)의 4방 모서리와 중앙부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벽돌(B)의 하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받쳐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바닥면(120)에 형성되는 탄성부재 안착 홈(130)의 위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닥면(120)의 4방 모서리와 중앙부 외에도 벽돌(B)이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받쳐주도록 하는 위치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식생블록에서 상기 측벽(110)에는 그 측벽(110)과 상기 벽돌(B)의 사이에서 잔디가 자랄 수 있도록 흙이 채워지는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측벽의 보강리브 역할을 공간유지구(160)가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측벽(110)과 벽돌(B)의 사이에 잔디를 심어 자라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식생블록이 설치되는 곳을 자연친화적으로 조성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공간유지구(160)의 길이는 측벽(110) 상단에서부터 바닥면(120) 상면까지 이르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벽돌(B)의 측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흙을 재우는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로의 측벽(110)이 변형되거나 또는 뒤틀림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보강리브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공간유지구(160)는 측벽(110) 상단에서부터 바닥면(120) 상면까지 이르는 길이로 형성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돌기를 형성시키거나 또는 측벽(110) 상단에서부터 바닥면(120) 상면까지 이르지 못하는 길이를 갖도록 하거나 벽돌(B)의 폭 방향으로 형성시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식생블록에서 상기 바닥면(120)에는 우천시 빗물은 배수되고 건조시 지면으로부터 증발되는 수분을 상기 흙이 흡수하도록 하는 수분통기구멍(170)이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우천시 빗물을 지면으로 용이하게 배수되고, 건조시에는 지면으로부터 증발되는 수분을 상기 흙이 흡수하여 잔디가 잘 자라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수분통기구멍(17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바닥면(120)에 채워진 흙이 상기 수분통기구멍(170)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흙 유실방지 턱(190)이 상기 돌출 턱(14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흙 유실방지 턱(190)이 상기 돌출 턱(140)의 높이보다 높거나 낮게 되면 탄성부재(150)가 압축되면서 벽돌(B)의 하면이 상기 흙 유실방지 턱(190)의 상단에 접촉될 때에 벽돌(B)이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일 측으로 더 기울어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사람이 본 발명의 식생블록에 설치된 벽돌로 보행할 때에 안정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식생블록에서 상기 바닥면(120)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인접되게 설치되는 또 다른 식생블록과 연이어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결수단(180)을 마련하는데, 그 연결수단(180)의 바람직한 실시 예 구성은,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기(181)와, 일 측에 상기 돌기(181)와 끼워 결합되는 결합구멍(182a)이 형성되고, 타 측에 또 다른 식생블록과 연이어 연결 설치하는 식생블록의 바닥 저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기(181)와 끼워 결합되는 결합구멍(182b)이 형성된 연결구(182)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연결수단(180)을 바닥면(120)의 저면 가장자리에 형성시키는 이유는, 식생블록과 식생블록을 연이어지게 연결 설치할 때에 그 연결설치되는 각각의 측벽(110)이 상호 긴밀히 면 접촉되며 연결설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식생블록과 식생블록이 연이어지게 연결 설치되는 측벽(110)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면 그 공간 사이로 잡풀이 자라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연결수단(180)은 지면에 매립되도록 하향 돌출되게 형성시켰는데, 그 이유는, 상기 연결수단(180)이 지면에 매립됨으로 인하여 식생블록의 고정이 더욱 견고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180)인 돌기(181)의 길이는 상기 탄성부재 안착 홈(130)의 높이와 동일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식생블록이 설치되는 지면이 흙이 아닌 표면이 평탄한 시멘트콘크리트나 아스팔트일 때 상기 식생블록을 설치 후 상기 돌기(181)의 하단과 탄성부재 안착 홈(130)의 하단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접촉 지지되어 실생블록이 유동되지 않고 안전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은, 벽돌안착부(100)에 벽돌이 안착되고 그 벽돌(B)이 안착된 바닥면(120)과 벽돌(B)의 하면 사이에 흙이 채워짐과 동시에 벽돌(B)의 측면 사이와 측벽(110)) 사이에 흙이 채워졌기 때문에 잔디가 잘랄 수 있음은 물론, 수분통기구멍(170)으로 우천시 빗물은 배수되고 건조시에는 지면의 증발되는 수분이 수분통기구멍(170)을 통하여 바닥면(120)과 벽돌(B)의 사이 흙 및 벽돌(B)의 측면과 측벽(110)) 사이에 흙으로 흡수됨을 잔디가 자랄 수 있는 것이다.
단 본 발명의 식생블록이 설치되는 지면이 시멘트콘크리트나 아스팔트일 때에는 정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하여 잔디가 자랄 수 있도록 관리하면 된다.
또 본 발명의 식생블록은 벽돌의 하면에 탄성부재(15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이 보행할 때에는 상기 탄성부재(150)가 신축되면서 보행의 편안함과 피로 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은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첫째, 사람이 보행할 때에 일정 정도의 신축성 유지하도록 하여 보행의 편안함과 피로 도를 감소시키고, 둘째, 잔디가 자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연친화적으로 조성할 수 있으며, 셋째, 벽돌안착부에 안착되는 벽돌이 탄성부재에 의해 충격을 흡수함으로 벽돌의 파손을 방지하고, 넷째, 식생블록과 식생블록의 연이은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또 연이어지게 설치된 식생블록을 해체할 때에도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벽돌안착부 110 : 측벽
120 : 바닥면 130 : 탄성부재 안착 홈
140 : 돌출 턱 150 : 탄성부재
160 : 공간유지구 170 : 수분통기구멍
180 : 연결수단 181 : 돌기
182 : 연결구 182a, 182b : 결합구멍
190 : 흙 유실방지 턱 B : 벽돌
120 : 바닥면 130 : 탄성부재 안착 홈
140 : 돌출 턱 150 : 탄성부재
160 : 공간유지구 170 : 수분통기구멍
180 : 연결수단 181 : 돌기
182 : 연결구 182a, 182b : 결합구멍
190 : 흙 유실방지 턱 B : 벽돌
Claims (10)
- 복수 개의 벽돌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벽돌의 측면과 상호 마주보는 부분에는 각각의 측벽(110)이 형성되며, 상기 벽돌의 하면과 상호 마주보는 부분에는 바닥면(120)이 형성시켜 된 벽돌안착부(100)를 복수 개 형성시켜 된 식생블록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는 그 바닥면으로부터 하향하도록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 고정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 안착 홈(130)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 안착 홈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바닥면을 보강리브 역할하면서 바닥면에 흙을 채울 수 있도록 하는 돌출 턱(140)을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 안착 홈에는 신축성을 갖으며 상기 돌출 턱의 상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높이를 갖는 탄성부재(150)가 안착 결합되고,
상기 측벽에는 그 측벽과 벽돌 간에 잔디가 자랄 수 있도록 흙이 채워지는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측벽의 보강리브 역할을 하는 공간유지구(160)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에는 우천시 빗물은 배수되고 건조시 지면으로부터 증발되는 수분을 상기 흙이 흡수하도록 하는 수분통기구멍(170)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인접되게 설치되는 또 다른 식생블록과 연이어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180)을 마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안착 홈(130)의 형상은, 원형 또는 3각 이상의 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안착 홈(130)은, 바닥면의 4방 모서리와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턱(140)의 높이는, 상기 공간유지구의 폭과 동일하거나 또는 측벽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50)의 재질은, 분쇄된 폐타이어를 접착제를 매개로 압축 성형하거나 또는 고무,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50)의 두께는, 상기 탄성부재 안착 홈의 높이보다 적어도 2배 이상 높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유지구(160)의 길이는, 측벽 상단에서부터 바닥면 상면까지 이르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통기구멍(17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바닥면에 채워진 흙이 상기 수분통기구멍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흙 유실방지 턱(190)이 상기 돌출 턱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180)은,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기(181)와, 일 측에 상기 돌기와 끼워 결합되는 결합구멍(182a)이 형성되고, 타 측에 또 다른 식생블록과 연이어 연결 설치하는 식생블록의 바닥 저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기(181)와 끼워 결합되는 결합구멍(182b)이 형성된 연결구(18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181)의 길이는, 상기 탄성부재 안착 홈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2858A KR101404124B1 (ko) | 2014-03-20 | 2014-03-20 |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
CN201480006254.2A CN105188346A (zh) | 2014-03-20 | 2014-08-14 | 可缓冲及丝草植被的植被砌块 |
PCT/KR2014/007590 WO2015141906A1 (ko) | 2014-03-20 | 2014-08-14 |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2858A KR101404124B1 (ko) | 2014-03-20 | 2014-03-20 |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4124B1 true KR101404124B1 (ko) | 2014-06-30 |
Family
ID=51131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2858A KR101404124B1 (ko) | 2014-03-20 | 2014-03-20 |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4124B1 (ko) |
CN (1) | CN105188346A (ko) |
WO (1) | WO2015141906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2865B1 (ko) * | 2015-06-23 | 2016-01-11 | 주식회사 에코하이테크 | 지반 토사 유실방지를 위한 다기능 식생프레임 구조체 |
KR20160010733A (ko) * | 2014-07-17 | 2016-01-28 | 송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신호등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용 벽돌고정 파레트 |
CN106049215A (zh) * | 2016-05-25 | 2016-10-26 | 安徽普氏生态环境工程有限公司 | 一种道路绿化砖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0235Y1 (ko) | 2007-06-26 | 2008-05-30 | 임선명 | 충격 완화 법면 보호 블럭 |
KR20110112494A (ko) * | 2010-04-07 | 2011-10-13 | (주)뉴그린테크 | 주차장용 식생블럭 및 그 시공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144917Y (zh) * | 1992-12-09 | 1993-11-03 | 帅青园艺企业股份有限公司 | 蜂巢式植草砖 |
CN2561809Y (zh) * | 2002-07-21 | 2003-07-23 | 李晓拴 | 人造五色草砖 |
KR200442828Y1 (ko) * | 2007-06-26 | 2008-12-17 | 임선명 | 충격 완화 잔디 식생 블럭 |
KR101279958B1 (ko) * | 2011-06-01 | 2013-07-05 | 주식회사 트래코 | 식생층을 구비한 식생블록체 및 그 제조방법 |
KR101352549B1 (ko) * | 2013-11-20 | 2014-01-16 | (주)봉황씨원 | 방초 기능을 갖는 자연친화형 벽돌 설치용 잔디 식생 파레트 |
-
2014
- 2014-03-20 KR KR1020140032858A patent/KR10140412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08-14 CN CN201480006254.2A patent/CN105188346A/zh active Pending
- 2014-08-14 WO PCT/KR2014/007590 patent/WO201514190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0235Y1 (ko) | 2007-06-26 | 2008-05-30 | 임선명 | 충격 완화 법면 보호 블럭 |
KR20110112494A (ko) * | 2010-04-07 | 2011-10-13 | (주)뉴그린테크 | 주차장용 식생블럭 및 그 시공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10733A (ko) * | 2014-07-17 | 2016-01-28 | 송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신호등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용 벽돌고정 파레트 |
KR101667775B1 (ko) * | 2014-07-17 | 2016-10-20 | 송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신호등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용 벽돌고정 파레트 |
KR101582865B1 (ko) * | 2015-06-23 | 2016-01-11 | 주식회사 에코하이테크 | 지반 토사 유실방지를 위한 다기능 식생프레임 구조체 |
CN106049215A (zh) * | 2016-05-25 | 2016-10-26 | 安徽普氏生态环境工程有限公司 | 一种道路绿化砖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5188346A (zh) | 2015-12-23 |
WO2015141906A1 (ko) | 2015-09-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37285B1 (en) | Plant cultivation mat | |
RU2549645C2 (ru) | Синтетическая напольная плитка, имеющая частично податливую опорную конструкцию | |
CA2663050C (en) | Interlocking floor system | |
KR101404124B1 (ko) | 완충 및 잔디 식생이 가능한 식생블록 | |
EP2309839B1 (en) | Modular green roof building element | |
KR101619285B1 (ko) |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 | |
KR101328678B1 (ko) | 조립식 대형화분과 그 설치방법 | |
US8333042B2 (en) | Slip-stop | |
KR101709849B1 (ko) | 천연잔디 식재용 조립식 패널 | |
CN209974417U (zh) | 多功能生态浮岛与多功能生态浮岛组合 | |
CN209555684U (zh) | 一种透水地面以及地砖 | |
KR101352549B1 (ko) | 방초 기능을 갖는 자연친화형 벽돌 설치용 잔디 식생 파레트 | |
KR20100114635A (ko) | 수목 지지대용 경계석 | |
KR101582865B1 (ko) | 지반 토사 유실방지를 위한 다기능 식생프레임 구조체 | |
KR100924218B1 (ko) | 계단식 논의 논두렁 덮개 | |
CN1337494A (zh) | 人造草皮 | |
KR200465986Y1 (ko) | 블록설치용 식생 파레트 | |
KR102030135B1 (ko) | 결속형 잔디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식생로드 시공방법 | |
KR101122412B1 (ko) | 잔디블럭 | |
KR101224137B1 (ko) | 잔디블럭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 |
JP2005198529A (ja) | 緑化用植栽ユニット | |
KR102257452B1 (ko) | 이중 사출 잔디 보호 매트 블록 | |
KR102003726B1 (ko) | 수축 및 팽창에 대한 보상 기능을 갖는 바닥재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바닥재 | |
KR100537957B1 (ko) | 건축단지내 친환경적인 옹벽구조물 | |
KR101238903B1 (ko) | 조립식 모듈형 정원키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