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849B1 - 천연잔디 식재용 조립식 패널 - Google Patents

천연잔디 식재용 조립식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849B1
KR101709849B1 KR1020150046249A KR20150046249A KR101709849B1 KR 101709849 B1 KR101709849 B1 KR 101709849B1 KR 1020150046249 A KR1020150046249 A KR 1020150046249A KR 20150046249 A KR20150046249 A KR 20150046249A KR 101709849 B1 KR101709849 B1 KR 101709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rass
planting
nonwoven fabric
gra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8023A (ko
Inventor
장청일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장청일
김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청일, 김기현 filed Critical 장청일
Priority to KR1020150046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849B1/ko
Publication of KR20160118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1/005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1/00Planting
    • Y10S111/901Lawn or tur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잔디를 식재함에 있어서 소규모 면적에서도 원하는 크기별로 설치가 가능한 것으로 각 플레이트 상측면에 위치하여 수분을 포집하는 부직포와; 부직포 하부에 밀착되어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는 플레이트가 하나로 포개어지면서 각각으로 형성되는 1,2,3단계 층과; 상기 2단계 층과 3단계 층 사이에 충진되는 모래층과; 상기 1단계 층과 2단계 층 사이에 충전되는 자갈층과; 상기의 3가지 단계 층과 모래층 및 자갈층을 지탱하면서 다수개의 배수용 구멍이 형성된 조립식 패널에 관한 것으로 식재 후 잔디관리가 용이하고 이동이 쉽고 배수성과 보수성이 좋고 잔디를 밟을 때에 내 담압성이 우수한 천연잔디 식재용 조립식 패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잔디 식재용 조립식 패널{fabricated panel for planting nature lawn}
본 발명은 천연잔디 식재용 조립식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천연잔디를 식재함에 있어서 부직포와 플레이트를 3단계 층으로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구성함으로써 보수성과 투수성을 개선하고 플레이트층 사이에 모래층과 자갈층을 구성하여 잔디의 성장에 효과적이며 소규모로 원하는 면적과 모양에 맞춰서 천연 잔디장을 조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요즘 급속한 도시화가 진행되고 녹화된 공간이 점차 줄어드는 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새롭게 지어지는 건축물들이 대부분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이 차지하는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빌딩옥상이나 가정집옥상들이 콘크리트 표면이 노출된채로 되어있고 기능적으로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인공적인 조성을 하여 의자나 차양막을 설치해 휴식공간으로도 활용하기도 한다.
한편 이런 콘크리트 표면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건물의 옥상은 태양열에 의해 그 표면온도가 50~60℃에 도달하기도 하고 이 복사열로 인해 여름 철 난방비가 상승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빌딩의 옥상등에 인공지반을 만들어 상부를 녹화하는 방법이 제시되기에 다다랐다.
지금까지 제시된 인공지반 상부 녹화방법에는 인공잔디를 까는 방법과 가벼운 토양을 깔아 여기에 각종 나무나 잔디를 이식하는 방법 또는 에폭시를 칠하고 작은 화단을 만드는 방법 등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인공 잔디를 까는 것은 녹화된 분위기는 낼 수는 있으나 이 인공잔디가 열을 흡수하고 보온하기 때문에 휴식공간으로 사용하는 데는 문제가 있는데 최근에는 인공토양을 이용해 각종 식물을 식재하여 활용하는 방법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인공 토양위에 천연 잔디를 식재하는 것은 비용도 많이 들고 잔디 식재후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각종 건축물 옥상의 작은 공간에도 효율적으로 잔디를 식재하고 관리가 용이한 방법이 요구된다.
이와 유사한 발명으로 국내 발명특허 101297869호 에서는 "천연잔디 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매트" 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천연잔디를 매트형 상토 또는 식생매트가 구비된 육모상자에 파종하여 매트형 천연잔디를 식생하여 실내골프 연습장 등 인공잔디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잔디 매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파종후 매트위에서 재배한 잔디를 생산하고 다자란 잔디를 골프장 등에 잔디 뗏장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유사발명으로 "잔디 묘망판과 이를 이용한 잔디구장의 조성방법" 에 관한 국내 발명특허 100545740호를 보면 잔디를 육모하기 위해 사용되는 묘망판에 흙과 잔디씨를 뿌려주어 효율적 재배와 운송을 위하여 묘망판을 잡아주는 지지틀을 이용하여 재배함과 아울러, 받침판을 체결부재로 다수개를 연결하여 그 상단에 재배된 잔디가 묘망판을 안착시켜 시공함으로서, 간편하게 잔디구장을 조성함과 동시에 시공 후 잔디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것인데 이는 운동장 위에 설치해 상기방식으로 파종 후 식재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패널상에서 재배하고 그 상태대로 옥상 등 원하는 작은 면적에 이동해서 설치되는 것과는 큰 차이가 있다.
그리고 인용발명으로 부직포와 완충층을 형성해서 시공하는 방법으로서는 국내 발명특허 101138004호에 "인조 잔디의 시공방법" 이 있는데 인조잔디를 시공하되 평탄하게 다져진 지반위에 합성 수지재 완충부재를 포설하는 과정과, 상기 완충부재 상부에 자갈층을 다짐시공하는 과정과 자갈층 위에 인조잔디를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이는 인조잔디가 시공된 각종 경기장에서 볼이 잔디위에 낙하시 일정하고 우수한 바운딩이 이루어질 수 있게 경기력을 향상시키고 발을 족답시 뒤틀림 등으로 인한 부상 등의 우려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우기에 빗물이 단순 석재 골재층으로만 이뤄진 배수기반에 비해 높은 배수효율을 주는 방식이나 이 또한 본 발명과 달리 인조잔디 시공에 관한 것이고 완충부재를 포설하는 것과 자갈층만으로 배수를 유도하는 것이 차이가 있다. 게다가 이 시공방법은 넓은 면적의 여러 운동장 등에 적용하는 것으로 상기 기능을 지니면서 소규모 장소에도 식재가 되고 원하는 규격으로 구성하여 실내외로 원하는 곳으로 이동해 재배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천연잔디를 식재함에 있어서 식재 공간이 많이 필요하고 식재후에도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실외 각종 건물의 옥상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원하는 크기별로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천연잔디 식재 후 관리가 용이하고 소정의 위치로 잔디장의 이동이 자유로우며 배수성과 내 담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규격화된 잔디를 재배함과 동시에 설치 공간에 원하는 규격에 따라 간편하게 잔디장을 조성하는 천연잔디의 식재가 용이한 조립식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천연잔디 식재용 조립식 패널은 식재 후 잔디가 골고루 자랄 수 있게 부직포가 포개어진 플레이트 3단계 층으로 적층하여 구성하고, 각층별로 배수용 구멍을 형성하며 1단에서 3단으로 올라갈수록 플레이트 구멍의 크기를 작게 구성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디딤성과 수직 힘을 견디기 위해 주름진 모양으로 구성한 것과, 1단계 층과 2단계 층 사이에는 자갈층을 형성하고, 2단계와 3단계 층 사이에는 모래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직포는 배수가 되는 다수겹의 천연소재의 직물 또는 합성수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플레이트는 다수개의 구멍을 구성하고 판형 또는 삼각형, 또는 반원형 또는 물결무늬 모양으로 형성된 것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 몸체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패널 상호간에 연결하여 이동과 설치가 편리하게 일측면에 돌출부와 대응면에 삽입부를 다수 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천연잔디 식재용 패널을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소규모 공간에서도 원하는 크기별로 이동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식재 후 잔디관리가 용이하여 배수성과 내 담압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직포와 플레이트를 총 3단계 층으로 적층하고 자갈층과 모래층을 구성함으로써 배수력이 뛰어나 잔디를 밝을 때 수직하중을 고르게 흡수하여 발목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와 각 단계별 부직포가 겹쳐진 플레이트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각 단계 층과 모래 및 자갈층이 구성된 상태를 보여 주는 설치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순서에 따라 각 단계 층이 몸체 위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부분이 상호 연결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본 발명은 천연잔디를 식재함에 있어서 소규모 공간에도 원하는 크기별로 설치 가능한 3단계 층의 부직포가 밀착된 플레이트 층과 모래층 및 자갈층으로 구성된 조립식패널에 관한 것으로 식재 후 잔디관리가 용이하고 설치장소 이동이 용이하며 보수성과 투수성이 향상되어 잔디를 밟을 시에 내 담압성이 개선된 천연잔디 식재용 조립식 패널에 관한 것이다. 또한 옥상 등의 소규모 공간에서도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인조잔디에서 느낄 수 없는 필드와 같은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먼저 평평한 바닥에 수지판으로 된 몸체(10)를 놓고, 몸체(10) 내부에 꼭 맞는 사각형 플레이트(30)를 몸체(10) 내부 하단에 넣은 다음 부직포(20)를 플레이트(30) 상측면에 포개어 놓아 1단계 층(21)을 구성한다. 여기서 몸체(10) 바닥면 또는 측면에는 다수개의 배수용 구멍(13)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10)는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구성하며 보통 가로, 세로 50cm×100cm 규격이 좋으며 원하는 면적크기에 따라 달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패널(70)을 상호 결합하여 옥상등의 면적 모양에 따라 편리하게 조절하는 방법으로 구성한다.
상기 부직포(20)(20a)(20b)는 수분을 포집하며 1단계 층(21)과 2단계 층(22), 3단계 층(23)이 모두 같은 규격과 재질로 구성하며 배수가 되는 다수겹의 천연소재의 직물 또는 합성수지 재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보수성이 좋고 배수도 되는 재질로 형성한다.
상기 1단계 층(21)의 플레이트(30)에는 다수개의 구멍(34)을 형성하는데 이는 배수를 원할하게 할 목적으로 구성하며 상기 구멍(34)의 크기는 4~10mm로 하되 하단층으로 내려갈수록 상단층 보다 큰 크기로 구성한다. 이는 식재한 잔디(80)가 잘 자라기 위해서는 살수를 하는데 한번에 대량으로 살수가 되거나 일시적으로 집중호우가 오더라도 배수가 잘 되게 하는 목적이다.
상기 플레이트(30)의 재질은 합성수지 계열로 하되 내구성이 좋은 것을 택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1단계 층(21) 상측에 자갈을 포설하여 자갈층(50)을 구성하되 자갈의 크기는 중자갈로 10~20mm가 좋으며 자갈층(50)의 두께는 10~30mm로 충진한다.
상기 자갈층(50)을 형성하는 이유는 배수와 내 담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자갈층(50)의 상측면에 상기한 다수개의 구멍(35)을 구성한 플레이트(31)를 놓고 부직포(20a)를 포개어 2단계 층(22)을 구성한다. 여기서 플레이트 배수 구멍(35)의 크기는 1단계 층(21)보다 작은 2~4mm로 구성하고, 상기 2단계층(22)은 수분의 흡수와 배수를 촉진한다.
2단계 층(22)의 부직포(20a) 상측면에 모래를 포설하여 모래층(40)을 형성하며 이 두께는 10~30mm로 한다. 상기 모래층(40)은 잔디(80)의 성장에 적절한 수분과 습도를 제공한다. 여기서 모래층(40)은 충분히 다짐을 하고 수평을 맞춘다.
상기 모래층(40) 상측면에 상기한 플레이트(32)와 부직포(20b)를 안착해 3단계 층(23)을 형성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구멍(36) 크기는 0.5~2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이 3단계 층(21)(22)(23)을 차례로 적층하고 모래층(40)과 자갈층(50)을 포설함으로써 배수력이 뛰어나 잔디를 밝을 때 수직하중을 고르게 흡수하여 발목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 3단계 층(23) 상측면에 모래나 상토(60)를 포설하고 잔디(80)를 식재하게 되는데 도 3에서와 같이 상토(60)의 포설 형태는 몸체 턱(15)의 높이와 같이 포설하되 가운데 부위가 약간 불룩하게 깔고 충분히 다짐을 한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총 3단계 층(21)(22)(23)으로 형성된 이 식재용 조립식패널(70)을 사용하므로 천연잔디 식재가 간편하며 각 단계별 보수와 배수가 효과적으로 제공되며 부직포(20b) 상측에 포설한 상토(60) 및 모래층(40)의 손실을 줄이면서 잔디(80)와 모래층(40)을 통과하고 흘러내리는 물의 배수량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잔디(80) 식재 작업이 마치고 나면 물을 흠뻑 뿌려주는데 이때 3단계 층(21)(22)(23)으로 형성된 부직포(20)(20a)(20b)위에 수분이 일정하게 보수되고 일부 수분은 아래 단계층으로 빠지는 과정을 차례로 거치게 되는데 이런 3단계 층(21)(22)(23)을 구성함으로써 보수력과 투수력이 조화를 이뤄 천연잔디의 성장이 좋게 되고 일정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더운 여름철에도 잔디의 뿌리가 잘 활착 되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 각 단계별 플레이트(30)(31)(32) 구조는 판형 또는 삼각형 또는 반원형 또는 물결무늬 모양으로 형성된 것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식재 후 디딤을 하는 동안 수직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반원형이나 물결무늬 형태를 권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는 대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도4 에서와 같이 사각패널(70) 상호간에 연결할 수 있게 몸체(10) 일측면에 돌출부(11)와 대응면에 삽입부(12)를 다수개 형성함으로써 실내에서 패널(70)을 설치하여 천연잔디 식재 후 원하는 장소로 이동해 소정의 모양대로 패널(70)을 상호 결합할 수도 있다. 즉 옥상 등의 소규모 면적에 길이나 모양대로 "1"혹은 "ㄱ" 자로 공간에 맞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몸체(10) 양측면에 오목형 또는 돌출형 손잡이(14)를 형성해 운반을 쉽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이유는 실내에서 식재 후 2~3일 지난 후 햇볕을 받으러 외부로 옮기게 되는데 운반하기 용이하며 이동할 때 각 패널(70) 크기별로 이동할 수 있고 천연 잔디장 조성 비용 측면에서도 상기 패널(70) 방식을 적용하면 설치 면적대비 해서 경제적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식재하는 잔디종류는 한국잔디류(중지, 건희)에서 선택하거나 버뮤다그래스, 또는 켄터키 블루그래스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옥상이나 여름철 고온건조 조건에서도 잘 견디고 잔디 손상 후에도 회복이 빠르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특성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하여야 한다.
10: 몸체 11: 돌출부 12: 삽입부
13: 몸체 배수구멍 14: 돌출형 손잡이 15: 몸체 턱
20, 20a, 20b: 부직포 21: 1단계 층 22: 2단계 층
23: 3단계 층 30,31,32: 플레이트 34,35,36: 플레이트 구멍
40: 모래층 50: 자갈층 60: 상토
70: 패널 80: 잔디

Claims (5)

  1. 플레이트(30,31,32) 상측면에 위치하여 수분을 포집하는 부직포(20,20a,20b);
    부직포(20,20a,20b) 측면에 밀착되어 다수의 구멍(34,35,36)을 형성하는 플레이트(30,31,32)가 하나로 포개어지면서 각각으로 형성되는 1,2,3단계층(21,22,23);
    1단계층(21)과 2단계층(22) 사이에 충진되는 자갈층(50);
    2단계층(22)과 3단계층(23) 사이에 충진되는 모래층(40);
    1,2,3단계층(21,22,23)과 모래층(40) 및 자갈층(50)을 지탱하면서 배수용 구멍(13)이 형성되는 몸체(10);
    로 구성되고,
    위 몸체(10)는 패널(70)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도록 돌출부(11)와 삽입부(12)를 대응 형성하고,
    위 플레이트(30,31,32) 각 구멍(34,35,36)의 크기는 1단계층(21) 4~10mm, 2단계층(22) 2~4mm, 3단계층(23) 0.5~2mm로 형성되고,
    위 플레이트(30,31,32)는 반원형 또는 물결무늬 형상으로 형성하되, 각 플레이트 최상단에 위치되는 해당 구멍(34,35,36)이 부직포와 중첩 배치되게 함으로써 발목의 안정성과 잔디 뿌리 활착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잔디 식재용 조립식 패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46249A 2015-04-01 2015-04-01 천연잔디 식재용 조립식 패널 KR101709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249A KR101709849B1 (ko) 2015-04-01 2015-04-01 천연잔디 식재용 조립식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249A KR101709849B1 (ko) 2015-04-01 2015-04-01 천연잔디 식재용 조립식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023A KR20160118023A (ko) 2016-10-11
KR101709849B1 true KR101709849B1 (ko) 2017-02-23

Family

ID=57161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249A KR101709849B1 (ko) 2015-04-01 2015-04-01 천연잔디 식재용 조립식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573A (ko) * 2018-08-07 2020-02-1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잔디패널의 조립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6974A (zh) * 2019-10-18 2020-02-28 赵素真 一种新型多功能人造草坪
KR102447523B1 (ko) * 2021-02-03 2022-09-26 서재호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
KR102439961B1 (ko) * 2021-08-12 2022-09-07 아쿠아셀 주식회사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사전식재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944A (ja) * 1993-08-05 1995-02-21 Fukuoka Daiee Riaru Estate:Kk 置換え型天然芝構造
JPH07331640A (ja) * 1994-06-06 1995-12-19 Dokoo:Kk 排水機能を有するシートマット体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573A (ko) * 2018-08-07 2020-02-1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잔디패널의 조립 구조
KR102174789B1 (ko) * 2018-08-07 2020-11-0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잔디패널의 조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023A (ko)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78937Y (zh) 加固型边坡绿化结构
JP2004503257A (ja) 好ましい縁システムを備えたパネルを有したモジュール式緑化屋上
KR101709849B1 (ko) 천연잔디 식재용 조립식 패널
JP2013509512A (ja) 混合芝及びその生成方法
CN111109012B (zh) 自循环可拆卸天然草坪储水模块结构、草坪及施工方法
CN102172186A (zh) 草坪坪床温度的调控结构及其建造方法
CN100494599C (zh) 坡面屋顶草坪
KR100520420B1 (ko) 인공지반녹화용 모듈과 이를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JPH06209655A (ja) 建築構造物の緑化用床構造
JP6436617B2 (ja) 芝生の施工方法
KR101996068B1 (ko) 잔디를 이용한 모듈형 옥상녹화 시스템의 판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옥상녹화 시스템
JP2980873B2 (ja) 植物栽培マットを使用した芝の生育方法
KR100572973B1 (ko) 잔디 경기장 및 그 시공 방법
JP3822195B2 (ja) 植物栽培装置
JPH07150513A (ja) スポーツグラウンド用排水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多孔質層形成ユニット、スポーツグラウンド用排水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パイプユニット並びにスポーツグラウンドの施工方法
KR200348313Y1 (ko) 인공지반녹화용 모듈
KR100566934B1 (ko) 녹지조성용 블록
KR200448578Y1 (ko) 잔디 파종 겸용 잔디보호블럭
JP3669946B2 (ja) 構造物の緑化構造
KR102174789B1 (ko) 천연잔디패널의 조립 구조
KR200220851Y1 (ko) 측면 배수공을 가진 조경용 배수판
JPH086807Y2 (ja) 排水、保水装置
KR20090117453A (ko)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 블럭을 이용한박층녹화방법 및 다목적 식생블럭구조
JP4741259B2 (ja) 折板屋根の外断熱構造
KR200322191Y1 (ko) 조경용 배수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