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961B1 -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사전식재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 - Google Patents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사전식재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961B1
KR102439961B1 KR1020210106995A KR20210106995A KR102439961B1 KR 102439961 B1 KR102439961 B1 KR 102439961B1 KR 1020210106995 A KR1020210106995 A KR 1020210106995A KR 20210106995 A KR20210106995 A KR 20210106995A KR 102439961 B1 KR102439961 B1 KR 102439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wetland
block
guide plate
water flo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희
김좌관
황상철
김세근
Original Assignee
아쿠아셀 주식회사
한국수자원공사
김좌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쿠아셀 주식회사, 한국수자원공사, 김좌관 filed Critical 아쿠아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6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B01D23/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94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containing filter material retaining means (e.g. screens, balls)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rosthese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조립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공함양지에 수중식물을 미리 식재하여 인공함양지를 모듈별로 만든 후에 모듈형 블록 프레임에 미리 조성한 인공함양지를 각각 삽입하여 인공습지 조성지에 설치하는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조립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토양 식생층, 모래 여과층, 및 자갈층으로 적층 구획되며, 토양 식생층에 식물이 심겨진 상태로 모듈별로 블록형으로 조성되는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가 내측으로 삽입되며,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 방향을 조절하도록 하도록 하는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조립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사전식재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DEVICE FOR COMPOSING ARTIFICIAL WET LANDS}
본 발명은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사전식재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함양지에 수중식물을 미리 식재하여 인공함양지를 모듈별로 만든 후에 모듈형 블록 프레임에 미리 조성한 인공함양지를 각각 삽입하여 인공습지 조성지에 설치하는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하고 단위 모듈내 갈대 등 정수 식물등이 사전 식재되어 조립된 사전식재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공습지 조성 방법은 하천의 일부분을 파내어 웅덩이 형태의 부지를 조성한 후 조성된 부지 외곽부에 방수처리를 하고, 웅덩이 내부의 하단부터 자갈층, 모래층, 생태기반 층(토사층) 등의 순서로 채움 한 후 식생기반층에 인위적으로 식재 하여 인공습지를 조성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하였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기술이 단순하여 작업은 용이 하나 물의 특성상 조성된 지반의 특정 부위(큰 공극부)를 따라 반복 하여 물이 흐름으로 인해 수질 정화가 되지 않고 배출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부에 식재된 오염 제거용 수중 식물이 활착 되기 전 식물의 생육이 불완전한 시기에 인공 습지로 오염물질이 유입되면 식물이 고사하여 그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공사비 증가에 따른 인공습지 크기의 제한 또는 부지의 협소함에 따른 인공습지 크기의 제한이 있는 경우 하천의 오염수가 충분히 정화 될만한 체류 시간 이 부족하여 인공습지의 효과가 크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부분적인 식물의 고사, 부분적인 기능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인공습지 전체를 재 시공해야 하는 시간적 금전적인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48554(발명의 명칭 : 인공습지 및 인공함양지 복합 취수원 정화시설 및 그 운영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전에 일정한 모듈내에 수중식물을 식재하여 충분히 활착한 후에 인공습지 조성지에 시공함으로써 수중식물의 고사를 현저히 줄이고, 인공습지 조성 모듈에 물 흐름 조절 유도판을 설치함으로써 채널링 현상을 방지하고, 동시에 물 흐름방향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습지 운영시 폐색 등 문제가 생기는 모듈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인공습지 관리가 용이하고 최적의 운영환경을 조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인공습지는 비교적 넓은 부지면적을 소요하게되므로 모듈형 인공습지 하단에 모래 여과지나 특수 다공성 생물 여과재를 충전하여 미량의 유무기성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용해성 유기물질이나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양 식생층, 모래 여과층, 및 자갈층으로 적층 구획되며, 토양 식생층에 식물이 심겨진 상태로 모듈별로 블록형으로 조성되는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가 내측으로 삽입되며,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 방향을 조절하도록 하도록 하는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조립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는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프레임을 이루며,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를 통과하는 물이 외부에서 유입되거나 외부로 유출되도록 통공이 형성된 복수의 프레임부, 복수의 프레임부에 부착 고정되어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를 통과하는 물이 유입되거나 유출되도록 하고, 내부의 자갈, 모래, 흙 등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복수의 필터부, 복수의 프레임부에 탈부착 결합됨으로써 결합된 방향에 따라 물의 흐름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복수의 물 흐름 조절 유도판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프레임부는 제1 영역에서 프레임부의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제1,2 유도판 고정홈이 형성됨으로써 물 흐름 조절 유도판이 삽입되는 제1,2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 제2 영역에서 프레임부의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제3,4 유도판 고정홈이 형성됨으로써 물 흐름 조절 유도판이 삽입되는 제3,4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 제3 영역에서 프레임부의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제5,6 유도판 고정홈이 형성됨으로써 물 흐름 조절 유도판이 삽입되는 제5,6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 제4 영역에서 프레임부의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제7,8 유도판 고정홈이 형성됨으로써 물 흐름 조절 유도판이 삽입되는 제7,8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물 흐름 조절 유도판은 복수의 유도판 고정홈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물의 흐름방향을 수평방향으로 흐르도록 1차적으로 조절하고, 복수의 유도판 고정홈에 삽입 고정시에 고정된 높이에 따라 물의 흐름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흐르도록 2차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조립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
또한,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 및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제1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 및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를 구비하며, 제1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를 1차적으로 통과한 물이 물의 흐름방향에 따라 2차적으로 통과하도록 제1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와 함께 조성되는 제2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를 포함하며, 제1,2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의 각각의 물 흐름 조절 유도판의 결합된 방향에 따라 물의 흐름방향을 자유롭게 수평방향, 지그재그 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조절한다.
또한, 제1,2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는 모래를 충진하여 공극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정화가 필요한 하천수를 1차적으로 여과하여 제1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로 배출하는 하천수 여과부, 모래 여과층을 역세척하도록 배치되는 역세 펌프부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인공함양지에 수중식물을 식재하여 충분히 활착한 후에 인공습지 조성지에 시공함으로써 수중식물의 고사를 현저히 줄이고, 인공습지 조성 모듈에 물 흐름 조절 유도판을 설치함으로써 채널링 현상을 방지하고, 동시에 물 흐름방향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래 여과층을 주기적으로 역세척함으로써 처리 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물 흐름 조절 유도판에 의해 지그재그 방향, 수평방향, 상하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의 물 흐름 조절 유도판 배치 방향에 따라 처리수의 흐름방향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리수가 상하로 업/다운 흐르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리수가 수평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전식재된 모듈형 인공함양지(토양식생대)의 하부에 자갈층과 메디아층을 추가적으로 배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천수 여과부 및 역세 펌프부를 구비하는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의 전체 시스템 플로우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사전식재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는 정화가 필요한 하천수를 사전식재된 모듈형 인공함양지에서 처리 정화하는 장치이다. 사전식재된 모듈형 인공함양지는 일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전 식재된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100)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사전식재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천수 여과부(Automatic filter)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가 필요한 하천수를 1차적으로 여과하여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11)로 배출한다. 하천수 여과부는 하천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탁도, 녹조 등을 미리 여과한다.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11)는 하천수 여과부로부터 1차 정화된 처리수를 공급받아 인공함양지에서 2차적으로 처리한다. 정화 처리된 처리수는 처리수 저장부로 공급될 수 있다. 하천수 여과부는 전처리 여과 장치로서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다.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11,...,16)는 미리 식물을 식생하여 조성된 조립이 가능한 사전 식재형 모듈형 인공함양지로서 각각의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11,….,16)는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어 공급된 처리수가 여과 처리되도록 한다. 즉, 어느 하나의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를 통과한 처리수는 처리수의 흐름 방향에 따라 다음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로 공급되어 순차적으로 처리수를 여과 처리할 수 있다. 처리수는 직선의 수평방향으로 흐르도록 할 수도 있고, 지그재그 방향의 수평방향으로 흐르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처리수는 상하방향으로 흐르도록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100)는 하부에서 순차적으로 자갈층(130), 모래 여과층(120), 토양 식생층(110)으로 이루어진 인공함양지이다. 하천수 여과부에서 1차 정화 처리된 처리수가 인공함양지로 공급된다.
토양 식생층(110)은 수중식물이 식재되는 토양층으로서, 수중식물을 미리 식재하여 충분히 활착시키기 때문에 하천수 유입시 식물이 고사하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모래 여과층(120)은 토양 식생층(110)으로부터 보내지는 처리수를 여과한다. 또한, 역세 펌프부에서 펌핑된 깨끗한 물이 모래 여과층(120)을 관통하여 흐르도록 역세척 할 수 있어 모래 여과층(120)의 여과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처리수가 토양 식생층(110), 모래 여과층(120) 및 자갈층(13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처리수에 포함된 미세 입자와 유기물을 여과 또는 흡착하여 정화 처리한다.
도 1(a)는 토양 식생층(110), 모래 여과층(120) 및 자갈층(130)을 일체형으로 조성한 것이고, 도 1(b)는 토양 식생층(110), 모래 여과층(120) 및 자갈층(130)을 분리형으로 각각의 블록별로 조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200)는 미리 조성한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100)를 모듈 타입으로 조성하기 위한 프레임 몸체를 제공한다. 즉, 프레임부의 몸체 내부로 미리 조성한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100)가 삽입 고정된다. 이를 위해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4 프레임부(210,220,230,240)를 포함한다.
제1,2,3,4 프레임부(210,220,230,240)는 각 프레임이 일면씩 4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2,3,4 프레임부(210,220,230,240)의 각 면에는 처리수가 관통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2,3,4 프레임부(210,220,230, 240)에 통공이 형성되기 때문에 인공함양지에 조성된 흙, 모래 또는 자갈 등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2,3,4 프레임부(210,220,230,240)에는 각 프레임의 면에 부직포가 배치 고정된다. 부직포는 처리수가 관통되도록 할 수 있게 하면서 흙, 모래 또는 자갈 등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4면으로 이루어진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200)는 4면으로 처리수가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처리수의 흐름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물 흐름 조절 유도판(271,272,273,274)의 배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200)의 각 모서리 영역에는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가 배치됨으로써 유도판 고정홈이 형성된다.
제1,2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251a,251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몸체의 제1 모서리 영역에 형성된다.
제1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251a)는 제1 모서리 영역에서 제1 유도판 고정홈(261a)이 제4 영역에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된다. 제2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251b)는 제1 모서리 영역에서 제2 유도판 고정홈(261b)이 제1 영역에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된다. 제7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254a)는 제4 모서리 영역에서 제7 유도판 고정홈(264a)이 제4 영역에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된다. 제1 유도판 고정홈(261a)과 제7 유도판 고정홈(264a)에 제4 물 흐름 조절 유도판(274)이 삽입 고정된다. 상기 제1 영역과 제4 영역은 서로 직교하는 영역이다. 제1,7 유도판 고정홈(261a,264a)은 서로 마주 보도록 형성된다.
제3,4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252a,252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몸체의 제2 모서리 영역에 형성된다. 제3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252a)는 제2 모서리 영역에서 제3 유도판 고정홈(262a)이 제2 영역에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된다. 제4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252b)는 제2 모서리 영역에서 제4 유도판 고정홈(262b)이 제1 영역에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된다. 제5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253a)는 제3 모서리 영역에서 제5 유도판 고정홈(263a)이 제2 영역에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된다. 제2 유도판 고정홈(261b)과 제4 유도판 고정홈(262b)에 제1 물 흐름 조절 유도판(271)이 삽입 고정된다. 또한, 제3유도판 고정홈(262a)와 제5 유도판 고정홈(263a)에 제2 물 흐름 조절 유도판(272)이 삽입 고정된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서로 직교하는 영역이다. 제2 유도판 고정홈(261b)과 제4 유도판 고정홈(262b)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또한 제3유도판 고정홈(262a)와 제5 유도판 고정홈(263a)도 서로 마주 보도록 형성된다.
제5,6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253a,253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몸체의 제3 모서리 영역에 형성된다. 제5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253a)는 제3 모서리 영역에서 제5 유도판 고정홈(263a)이 제2 영역에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된다. 제6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253b)는 제3 모서리 영역에서 제6 유도판 고정홈(263b)이 제3 영역에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된다. 제8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254b)는 제4 모서리 영역에서 제8 유도판 고정홈(264b)이 제3 영역에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된다. 제6 유도판 고정홈(263b)과 제8 유도판 고정홈(264b)에 제3 물 흐름 조절 유도판(273)이 삽입 고정된다. 제2 영역과 제3 영역은 서로 직교하는 영역이다. 제6 유도판 고정홈(263b)과 제8 유도판 고정홈(264b)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물 흐름 조절 유도판의 배치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처리수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8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와 제1,….,8 유도판 고정홈은 프레임 몸체의 상측 모서리 영역에서 하측 모서리 영역까지 일체로 이어지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상측 모서리 영역과 하측 모서리 영역에 각각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물 흐름 조절 유도판은 프레임 몸체의 일면의 하측(또는 밑바닥)에서 일부 높이를 가지도록 제1 배치 고정되거나, 또는 프레임 몸체의 일면의 전체를 덮도록 제2 배치 고정되거나, 또는 프레임 몸체의 일면의 상측에서 하부측으로 일부 높이를 가지도록 제3 배치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제1,2,3 배치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처리수의 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조절하거나 상하 업다운 흐르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21,22)는 인공습지 조성지에 웅덩이를 파고 웅덩이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제1,2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21,22)의 내부에는 앞서 설명한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100)가 배치 조성된다. 다만, 도 3에는 2개의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를 도시하여 설명하나 3개 이상의 배치에 대해서도 서로 맞닿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처리수의 흐름 방향 조절도 동일한 원리로 설명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21)는 3면에 물 흐름 조절 유도판(271,273,274)이 배치 고정된다. 제2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22)는 2면에 물 흐름 조절 유도판(281,283)이 배치 고정된다. 이와 같은 물 흐름 조절 유도판의 배치에 따라 제1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21)의 인공함양지를 통과한 처리수가 도 3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흐를 수 있다. 동일한 원리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21)의 물 흐름 조절 유도판의 배치 방향을 변경하면 처리수의 방향도 바뀔 수 있다. 따라서 물 흐름 조절 유도판의 배치된 방향에 따라 처리수의 흐름 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물 흐름 조절 유도판의 배치 높이에 따라 상하 로 업다운 흐르드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21)와 제2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22)가 서로 맞닿는 영역에는 공극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모래를 충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11,13,15)의 물 흐름 유도판(11a,13a,15a)을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배치하고,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12,14)의 물 흐름 유도판(12a,14a)을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배치함으로써 처리수의 흐름 방향을 업/다운시킬 수 있다. 처리수의 흐름 방향을 상하로 업/다운시키는 경우에는 하측 물 흐름 유도판(11a,13a,15a)과 상측 물 흐름 유도판(12a,14a)이 대략 중앙을 기점으로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11,13,15)의 물 흐름 유도판(11a,13a,15a)을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배치하고,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12,14)의 물 흐름 유도판(12a,14a)을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배치함으로써 처리수의 흐름 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처리수의 흐름 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유도하는 경우에는 상측 물 흐름 유도판(11a,13a,15a)과 하측 물 흐름 유도판(12a,14a)이 대략 중앙을 기점으로 일부 높이만큼 겹쳐지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측 물 흐름 유도판(11a,13a,15a)과 하측 물 흐름 유도판(12a,14a)의 길이가 각각 중앙까지의 길이보다 크도록 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 식재된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100, 토양식생대)의 하부에 자갈층을 깔고, 자갈층의 하부에 메디아층을 배치함으로써 좀 더 효율적으로 미세입자와 유기물을 여과 또는 흡착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메디아층은 본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번호 10-0712007에 개시된 발명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세 펌프부(또는 역세척용 펌프)에서 펌핑된 깨끗한 물이 메디아층을 관통하여 흐르도록 역세척 할 수 있어 메디아층의 여과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설명하였을 뿐 여기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구성요소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추가될 수 있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1,12,13,14,15,16 : 제1,2,3,4,5,6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
11a,12a,13a,14,a,15a,16a : 물 흐름 유도판
21 : 제1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
22 : 제2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
100 :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
110 : 토양 식생층
120 : 모래 여과층
130 : 자갈층
200 :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
210,210a : 제1 프레임부
220,220a : 제2 프레임부
230,203a : 제3 프레임부
240,240a : 제4 프레임부
251a, 251b : 제1,2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
252a, 252b : 제3,4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
253a, 253b : 제5,6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
254a, 254b : 제7,8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
261a, 261b : 제1,2 유도판 고정홈
262a, 262b : 제3,4 유도판 고정홈
263a, 263b : 제5,6 유도판 고정홈
264a, 264b : 제7,8 유도판 고정홈
271 : 제1 물 흐름 조절 유도판
272 : 제2 물 흐름 조절 유도판
273 : 제3 물 흐름 조절 유도판
274 : 제4 물 흐름 조절 유도판
281 : 제1 물 흐름 조절 유도판
283 : 제3 물 흐름 조절 유도판
290 : 모래 충진

Claims (7)

  1. 토양 식생층, 모래 여과층, 및 자갈층으로 적층 구획되며, 상기 토양 식생층에 식물이 심겨진 상태로 모듈별로 블록형으로 조성되는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
    상기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가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 방향을 조절하도록 하도록 하는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는,
    상기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프레임을 이루며, 상기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를 통과하는 물이 4면으로 유입되거나 유출되도록 상기 4면에 통공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프레임부,
    프레임부의 4면에 각각 부착 고정되어 상기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를 통과하는 물이 유입되거나 유출되도록 하고, 내부의 자갈, 모래, 흙 등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복수의 필터부,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에 탈부착 결합하며, 프레임부의 상기 4면 중 선택된 결합 방향 및 고정된 높이에 따라 물의 흐름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복수의 물 흐름 조절 유도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물 흐름 조절 유도판은, 상기 프레임부의 몸체의 일면의 하측에서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제1 배치 고정, 상기 몸체의 일면의 전체를 덮도록 제2 배치 고정, 또는 상기 몸체의 일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제3 배치 고정되며,
    상기 제1,2,3 배치 고정에 따라 상기 물의 흐름방향이 수평방향으로 흐르도록 조절되고, 물의 흐름방향이 상하방향으로 업다운 흐르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조립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는,
    제1 영역에서 프레임부의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제1,2 유도판 고정홈이 형성됨으로써 물 흐름 조절 유도판이 삽입되는 제1,2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
    제2 영역에서 프레임부의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제3,4 유도판 고정홈이 형성됨으로써 물 흐름 조절 유도판이 삽입되는 제3,4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
    제3 영역에서 프레임부의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제5,6 유도판 고정홈이 형성됨으로써 물 흐름 조절 유도판이 삽입되는 제5,6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
    제4 영역에서 프레임부의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제7,8 유도판 고정홈이 형성됨으로써 물 흐름 조절 유도판이 삽입되는 제7,8 물 흐름 유도판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조립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물 흐름 조절 유도판은,
    복수의 유도판 고정홈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물의 흐름방향을 수평방향으로 흐르도록 1차적으로 조절하고,
    상기 복수의 유도판 고정홈에 삽입 고정시에 고정된 높이에 따라 물의 흐름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흐르도록 2차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조립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 및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제1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
    상기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부 및 모듈형 블록 프레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를 1차적으로 통과한 물이 물의 흐름방향에 따라 2차적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제1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와 함께 조성되는 제2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의 각각의 물 흐름 조절 유도판의 결합된 방향에 따라 물의 흐름방향을 자유롭게 수평방향, 지그재그 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조립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는 모래를 충진하여 공극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조립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정화가 필요한 하천수를 1차적으로 여과하여 상기 제1 블록형 인공습지 조성 모듈부로 배출하는 하천수 여과부,
    상기 모래 여과층을 역세척하도록 배치되는 역세 펌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조립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
KR1020210106995A 2021-08-12 2021-08-12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사전식재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 KR102439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995A KR102439961B1 (ko) 2021-08-12 2021-08-12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사전식재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995A KR102439961B1 (ko) 2021-08-12 2021-08-12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사전식재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961B1 true KR102439961B1 (ko) 2022-09-07

Family

ID=8327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995A KR102439961B1 (ko) 2021-08-12 2021-08-12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사전식재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9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62900A (zh) * 2023-02-09 2023-05-05 西南交通大学 基于植物-生物炭协同富氧人工湿地布水系统及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0351A (ja) * 2004-11-05 2006-06-15 Kato Construction Co Ltd 湿地型水質浄化処理システム
KR20120095981A (ko) * 2009-11-30 2012-08-29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식재 용기
KR101329985B1 (ko) * 2013-04-26 2013-11-15 (주)이자인 비점오염원 유입저감형 사면녹화 블럭조립체
KR20160118023A (ko) * 2015-04-01 2016-10-11 장청일 천연잔디 식재용 조립식 패널
KR101948554B1 (ko) 2018-11-21 2019-02-15 주식회사 성일엔텍 인공습지 및 인공함양지 복합 취수원 정화시설 및 그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0351A (ja) * 2004-11-05 2006-06-15 Kato Construction Co Ltd 湿地型水質浄化処理システム
KR20120095981A (ko) * 2009-11-30 2012-08-29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식재 용기
KR101329985B1 (ko) * 2013-04-26 2013-11-15 (주)이자인 비점오염원 유입저감형 사면녹화 블럭조립체
KR20160118023A (ko) * 2015-04-01 2016-10-11 장청일 천연잔디 식재용 조립식 패널
KR101948554B1 (ko) 2018-11-21 2019-02-15 주식회사 성일엔텍 인공습지 및 인공함양지 복합 취수원 정화시설 및 그 운영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62900A (zh) * 2023-02-09 2023-05-05 西南交通大学 基于植物-生物炭协同富氧人工湿地布水系统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061B1 (ko) 처리토양층 및 투수여재층을 이용한 하천수질 정화장치 및 방법
US8940170B2 (en) Triple-chambered wetland biofilter treatment system
KR101923926B1 (ko)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
US20130140229A1 (en) Stormwater Filtration Systems
JP2006150351A (ja) 湿地型水質浄化処理システム
KR101051611B1 (ko)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
KR102439961B1 (ko) 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사전식재형 인공습지 조성 장치
JP2000246283A (ja) 有用植物を用いた水質浄化方法及びその装置
CN104445824B (zh) 一种净化水域面源污染的系统及方法
KR101221620B1 (ko) 수처리 시설용 판재 및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도심지형 인공습지
KR101353280B1 (ko) 여재카트리지를 결합한 모듈식 침투도랑
KR20030065730A (ko) 미생물접촉과 식물을 이용한 하수, 하천수 와 오·폐수의처리방법 및 그 처리시스템
KR20040102931A (ko) 연못의 수질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098230B (zh) 一种组装式固定化微生物人工湿地系统
KR101614394B1 (ko) 미생물과 식물을 이용한 다용도 수질정화 장치
KR101704529B1 (ko) 비점오염원 처리를 위한 인공습지시스템
JP4181586B2 (ja) 水質浄化処理施設
CN204325088U (zh) 一种净化水域面源污染的系统
CN104086059B (zh) 一种人工湿地系统
JPH09248585A (ja) 池水浄化方法及び装置
KR100331066B1 (ko) 모관침윤트랜치형 오폐수의 무동력 정화장치
KR20010025498A (ko) 물리적 정수기법을 이용한 인공연못
CN205368062U (zh) 一种小型模块化人工湿地
CN105916820A (zh) 利用环境净化植物的水质净化系统
KR101088385B1 (ko) 자연형 연못 정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