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926B1 -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926B1
KR101923926B1 KR1020160059614A KR20160059614A KR101923926B1 KR 101923926 B1 KR101923926 B1 KR 101923926B1 KR 1020160059614 A KR1020160059614 A KR 1020160059614A KR 20160059614 A KR20160059614 A KR 20160059614A KR 101923926 B1 KR101923926 B1 KR 101923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rainwater
infiltration
inflow pipe
garde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921A (ko
Inventor
이주영
이재욱
김형석
노주원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59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92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8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3Naturals or landscape retention bodies, e.g. po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02F3/327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characterised by animals and pl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레인가든 시스템은 리르시아 속 식물과 시페루스 속 식물을 포함하는 식생부, 침투부 및 저류부를 포함하여 도시의 가로수, 건물 주변의 유휴공간, 예컨대, 옥상 및 공원 등에 설계 및 설치됨으로써 홍수 및 비점오염원을 저감하고 비강우 시에는 식생식물에 물을 공급하여 오랫동안 녹지 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URBAN RAIN GARDEN SYSTEM}
본 명세서에는 강우 유출수에 의한 홍수 저감 및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이 개시된다.
최근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층의 증가 및 기후 변화는 도시 하수관거시스템의 한계로 인해 도시 홍수 유발과 도시 비점오염원의 유출에 의한 하천 유입으로 발생되는 수생태계 오염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층의 증가는 강우 시 물이 지하로의 침투가 방해를 받게 되고, 결과적으로 도시의 미기상이나 지하 수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강우 유출수의 유출 특성이나 우수 활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레인가든 시스템은 친환경 빗물처리 방안에 유용한 방법이다.
KR 10-1461655 B1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도시에서 자주 발생되는 강우 유출수에 의한 홍수 저감 및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식생식물과 식생토를 포함하는 식생부; 쇄석층을 포함하고 상기 식생부 하부에 형성된 침투부; 및 조립식 저류조를 포함하고 상기 침투부 하부에 형성된 저류부;를 포함하며, 상기 식생식물은 리르시아 속(Leersia spp.) 식물과 시페루스 속(Cyperus spp.) 식물을 포함하고, 상기 식생토는 빗물이 유입되는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쇄석층은 빗물이 유입되는 침투부 우수 유입 유공관을 포함하는 레인가든 시스템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레인가든 시스템은 분획수단에 의해 식생부, 침투부 및 저류부와 분리 형성된 초기 우수 전처리조를 포함하고, 초기 우수 전처리조에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 및 침투부 우수 유입 유공관의 유입구가 형성되어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 및 침투부 우수 유입 유공관을 통해 빗물을 초기 우수 전처리조로부터 식생부 및 침투부에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레인가든 시스템은 수위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수위조절부는 분획수단에 의해 식생부 및 침투부와 분리 형성되고 저류부와 연결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위조절부는 빗물이 배출되는 유출부와 연결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식생식물은 벌노랑이(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와 물꽈리아재비(Mimulus nepalensis var. japonic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식생토는 모래, 실트 및 점토를 6 내지 8 : 1 내지 3 : 1 내지 2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식생토는 (a) pH 7.8±0.5; (b) 전기 전도도(EC: electrical conductivity) 0.61±0.05 mS/cm; (c) 유기물(Organic matter) 함량 4.35±0.04 %; 및 (d) 양이온 교환 용량(CEC: Cation Exchange Capacity) 37.54±0.7 meq/100g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 및 침투부 우수 유입 유공관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재질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 및 침투부 우수 유입 유공관은 40 mm 내지 80 mm의 평균 직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은 저류부에 저장된 빗물이 식생토로 이동되는 조경수관과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레인가든 시스템은 식생부와 침투부 사이에 토목섬유(geotextil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쇄석층은 자갈과 함께 숯, 폐잔목 및 연탄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폐자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립식 저류조는 공극률이 90% 이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립식 저류조는 폴리프로필렌(PP) 소재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레인가든 시스템은 도시의 가로수, 건물 주변의 유휴공간, 예컨대, 옥상 및 공원 등에 설계 및 설치되어 홍수 및 비점오염원을 저감하고 비강우 시에는 식생식물에 물을 공급하여 오랫동안 녹지 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레인가든 시스템은 오염물질의 배출이 전혀 없어 친환경적이고 강우 강도에 관계 없이 강우 시 물의 지하로의 침투가 방해받지 않으며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깨끗한 저류수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른 레인가든 시스템의 (a) 단면도, (b) 평면 단면도, (c)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른 레인가든 시스템의 조립식 저류조의 (a) 단면도, (b) 평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식생식물의 종류에 따른 오염물질 제거율(%)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른 레인가든 시스템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따른 레인가든 시스템은 초기 우수 전처리조(100), 식생부(200), 침투부(400) 및 저류부(50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레인가든 시스템은 수위조절부(600)를 더 포함하되, 수위조절부는 분획수단에 의해 식생부(200) 및 침투부(400)와 분리 형성되고 저류부(500)와 연결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위조절부는 빗물이 배출되는 유출부(700)와 연결 형성된다.
상기 초기 우수 전처리조(100)는 분획수단에 의해 식생부(200), 침투부(400) 및 저류부(500)와 분리 형성되되, 초기 우수 전처리조에는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12a) 및 침투부 우수 유입 유공관(12b)의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초기 우수 전처리조 내의 빗물이 유공관으로 공급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따른 레인가든 시스템은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12a) 및 침투부 우수 유입 유공관(12b)을 통해 빗물을 초기 우수 전처리조(100)로부터 식생부(200) 및 침투부(400)에 유입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초기 우수 전처리조(100)의 상부에는 세목스크린(11)이 형성되어 있어 초기 우수 유출수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고형물을 1차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세목스크린은 지름 약 1 mm의 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생부(200)는 식생을 조성하는 레인가든 시스템의 상부구조로서 식생식물(21) 및 식생토(22)를 포함하며, 강우 초기 유출수에 주로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과 영양염류(N, P)를 제거하여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낸다.
상기 식생식물(21)은 리르시아 속(Leersia spp.) 식물과 시페루스 속(Cyperus spp.) 식물을 포함하여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식생식물(21)은 벌노랑이(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와 물꽈리아재비(Mimulus nepalensis var. japonica)를 더 포함하여 오염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홍수 및 비점오염원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식생토(22)는 식생부(200)의 토양으로서, 초기 우수 전처리조(100)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12a)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식생토(22)는 모래, 실트 및 점토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래, 실트 및 점토는 6 내지 8 : 1 내지 3 : 1 내지 2의 중량비, 구체적으로 7 : 2 : 1의 중량비로 구성된 것이 오염물질 제거, 홍수 및 비점오염원 저감 면에서 본 명세서의 레인가든 시스템에 적합하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식생토(22)의 이화학적인 특성은 pH 7.8±0.5, 전기 전도도(EC: electrical conductivity) 0.61±0.05 mS/cm, 유기물(Organic matter) 함량 4.35±0.04 %, 양이온 교환 용량(CEC: Cation Exchange Capacity) 37.54±0.7 meq/100g인 것이 오염물질 제거, 홍수 및 비점오염원 저감 면에서 본 명세서의 레인가든 시스템에 적합하다.
상기 침투부(400)는 식생부(200) 하부에 형성되며, 빗물이 최종적으로 저류부(500)로 이동되기 전에 빗물이 침투 및 여과되는 중간구조로서, 쇄석층(41)을 포함한다.
상기 쇄석층(41)은 초기 우수 전처리조(100)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침투부 우수 유입 유공관(12b)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침투에 적합한 쇄석층(41)의 두께는 레인가든 시스템 전체 깊이의 20% 내지 50%인 것이 좋다.
또한, 쇄석층(41)을 이루는 자갈의 크기는 다소 불규칙하지만 평균 지름이 2 내지 5 cm인 자갈로 구성하여 하향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잔여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레인가든 시스템은 장기간 사용 시 쇄석층의 자갈 표면에 바이오필름이 형성되어 미생물에 의해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쇄석층을 통해 형성되어 있는 바이오필름에 의해 질소와 인이 추가로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쇄석층(41)은 추가적으로 미생물 생육에 적합한 폐자재들, 예컨대 숯, 폐잔목, 연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초기 우수 전처리조(100)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유공관(12a, 12b)의 유입구에는 망(예를 들어, Mesh No. 150)이 형성되어 유공관에 유입되는 빗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유공관의 유입구 단면은 도 1의 (c)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공관(12a, 12b)에는 밸브가 형성되어 유입되는 빗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12a) 및 침투부 우수 유입 유공관(12b)의 구비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재질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재질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12a) 및 침투부 우수 유입 유공관(12b)은 40 mm 내지 80 mm의 평균 직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12a) 및 침투부 우수 유입 유공관(12b)에 형성된 구멍은 4 mm 내지 8 mm의 평균 직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12a)은 저류부(500) 또는 수위조절부(600)에 저장된 빗물이 식생토(22)로 이동되는 조경수관(52)과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조경수관은 조경수 이동관으로서, 저류부 또는 수위조절부에 저장된 빗물이 식생토로 이동될 수 있도록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과 연결 형성되며, 펌프 및 밸브를 통해 이동되는 조경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12a)은 초기 우수 전처리조(100)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의 반대쪽 입구에서 조경수관(52)과 연결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과 조경수관은 망(예를 들어, Mesh No. 150)을 통해 연결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레인가든 시스템은 식생부(200)와 침투부(400) 사이에 토목섬유(geotextile)(300)를 포함하여 식생부에서 유출되는 미세토양과 부유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토목섬유(geotextile)는 투수성(water permeability)을 갖는 재료를 기초로 하여 직조된 것으로서, 모래, 흙, 자갈 등의 환경에 사용되는 섬유, 고분자 재료를 말한다. 사용되는 섬유 원료는 물리적 성질, 기계적 성질 및 내약품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섬유가 주류를 이룬다. 본 명세서에서 토목섬유는 편물, 직물 및 부직포를 포함하며, 사용방법이 비슷하고 토목섬유로 취급할 수 있는 웹(web), 매트(mat), 네트(net), 그리드(grid) 및 플라스틱시트 등을 모두 포함하는 최광의 개념이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토목섬유는 부직포 또는 매트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토목섬유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저류부(500)는 침투부(400) 하부에 형성되며, 그 상부의 구조를 지탱하는 하부구조로서, 조립식 저류조(51)를 포함하여 강우 유출수를 저장 및 재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저류부(500)는 레인가든 시스템 전체 부피의 50 부피%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저류조(51)는 빗물이 이동될 수 있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물이 차지할 수 있는 공간인 공극률이 90% 이상인 것이면 그 형상에 제한이 없는 조립식의 저류조 모듈 시스템을 말한다. 예컨대, 조립식 저류조는 상하 마주보는 한 쌍의 변이 평행한 사다리꼴의 형상일 수 있으며, 이때 조립식 저류조는 상하 부분이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될 수 있다. 적층 시 조립식 저류조에 형성된 홈(5)을 통해 조립식 저류조 모듈이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도 2b 참조).
또한, 상기 조립식 저류조(51)는 저판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내부에 토사 등이 모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립식 저류조(51)는 폴리프로필렌(PP) 소재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조립식 저류조(51)는 상부의 하중을 골고루 지중으로 분포시켜 주어 시스템의 안정을 꽤할 수 있게 하고 저류 용량 확보와 확보된 것을 비강우 시 펌프로 배송하여 살수용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레인가든 시스템의 운용 방식은 다음과 같다.
초기 우수 전처리조의 상부에 형성된 세목스크린을 통해 초기 우수 유출수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고형물을 1차로 제거하고, 초기 우수 전처리조에서 유공관의 유입구에 형성된 망을 통해 걸러져 유입된 빗물이 유공관을 거쳐 쇄석층을 지나 최종적으로 저류조로 전달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따른 레인가든 시스템은 도시 강우 시 고농도의 초기 우수를 전처리조에서 바로 쇄석층을 통해 저류조로 공급하는 방식과 직접 레인가든에 떨어지는 빗물은 식생식물과 쇄석층을 거쳐 저류조로 공급하는 방식을 갖는다.
이에 따라, 강우 강도에 관계 없이 강우 시 물의 지하로의 침투가 방해받지 않으며, 여과 및 초본류에 의한 질소와 인 제거, 식생식물 및 쇄석층에서의 흡착 효과 등으로 인해 깨끗한 저류수를 확보활 수 있게 한다.
한편, 비강우 시에는 저류수를 조경수로 활용하기 위해 펌프를 사용하여 조경수관을 통해 저류부 또는 수위조절부에 저장된 빗물을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으로 식물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조경수는 모세관 현상에 따라 관수를 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홍수 및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레인가든 시스템은 도시의 제한된 부지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도시경관생태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홍수 저감에 따른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비점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과 장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따른 레인가든 시스템을 도시 부지에 적용함으로써, 저지대 등의 상습 침수를 예방하여 도시 홍수를 저감하고 도로, 주차장, 가로수, 공원, 산업 단지, 공사장 등 부유성 및 침전성 비점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곳에 설치하여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은 동력과 도시경관생태 향상의 장점으로 근본적인 수생태계 오염을 방지하고 도시기반시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비강우 시에는 빗물을 재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 가능한 물 순환 개선에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험예.
본 명세서의 레인가든 시스템에서 식생식물에 따른 오염물질 제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지름 약 30 cm, 높이 약 60 cm의 원기둥 아크릴 컬럼에 리르시아 속(Leersia spp.) 식물, 시페루스 속(Cyperus spp.) 식물, 벌노랑이(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 물꽈리아재비(Mimulus nepalensis var. japonica), 서양잔디를 각각 4 포기/30 cm의 식재밀도로 식재하였다. 식생토의 높이는 약 30 cm 정도로 피트모스, 펄라이트 및 일반흙을 1:1:1의 중량비로 조성하였다.
씨를 파종하고 싹이 틀때까지는 계속하여 물만 공급하였고 하부에 형성된 유출부로부터 식생토 자체에서 배출하는 질소, 인,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을 배출시켰다. 발육이 되기 시작하면 물에 질소(15 ppm), 인(5 ppm) 및 중금속(5 ppm)을 혼합하여 주 2회 공급하였고, 파종 후 1달 이후 질소, 인 및 중금속의 제거율(%)을 측정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질소와 인은 흡광도, 중금속은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미국산 잔디, 즉 서양잔디에 비해 시페루스 속 식물, 리르시아 속 식물, 벌노랑이 및 물꽈리아재비의 질소, 인, 중금속 제거율이 현저하게 높아 강우 초기 유출수에 주로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과 영양염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초기 우수 전처리조 200: 식생부
300: 토목섬유 400: 침투부
500: 저류부 600: 수위조절부
700: 유출부 11: 세목스크린
12a: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 12b: 침투부 우수 유입 유공관
21: 식생식물 22: 식생토
41: 쇄석층 51; 조립식 저류조
52: 조경수관 5; 홈

Claims (14)

  1. 식생식물과 식생토를 포함하는 식생부;
    쇄석층을 포함하고 상기 식생부 하부에 형성된 침투부;
    빗물이 이동되는 다수개의 구멍을 갖는 조립식 저류조를 포함하고 상기 침투부 하부에 형성된 저류부;
    분획수단에 의해 식생부, 침투부 및 저류부와 분리 형성된 초기 우수 전처리조; 및
    저류부에 저장된 빗물이 식생토로 이동되는 조경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식생식물은 리르시아 속(Leersia spp.) 식물과 시페루스 속(Cyperus spp.) 식물을 포함하고,
    상기 식생토는 빗물이 유입되는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쇄석층은 빗물이 유입되는 침투부 우수 유입 유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초기 우수 전처리조에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 및 침투부 우수 유입 유공관의 유입구가 형성되어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 및 침투부 우수 유입 유공관을 통해 빗물을 초기 우수 전처리조로부터 식생부 및 침투부에 공급하고,
    상기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은 초기 우수 전처리조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의 반대쪽 입구에서 조경수관과 연결 형성되고,
    상기 조립식 저류조의 구조 단위체를 수직 방향으로 자른 종단면은 상하 마주보는 한 쌍의 변이 평행한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는 것인, 레인가든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가든 시스템은 수위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수위조절부는 분획수단에 의해 식생부 및 침투부와 분리 형성되고 저류부와 연결 형성된 것인, 레인가든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부는 빗물이 배출되는 유출부와 연결 형성된 것인, 레인가든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식물은 벌노랑이(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와 물꽈리아재비(Mimulus nepalensis var. japonica)를 더 포함하는, 레인가든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토는 모래, 실트 및 점토를 6 내지 8 : 1 내지 3 : 1 내지 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레인가든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토는 하기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인, 레인가든 시스템.
    (a) pH 7.8±0.5;
    (b) 전기 전도도(EC: electrical conductivity) 0.61±0.05 mS/cm;
    (c) 유기물(Organic matter) 함량 4.35±0.04 %; 및
    (d) 양이온 교환 용량(CEC: Cation Exchange Capacity) 37.54±0.7 meq/100g.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 및 침투부 우수 유입 유공관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재질인, 레인가든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부 우수 유입 유공관 및 침투부 우수 유입 유공관은 40 mm 내지 80 mm의 평균 직경을 갖는 것인, 레인가든 시스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가든 시스템은 식생부와 침투부 사이에 토목섬유(geotextile)를 더 포함하는, 레인가든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쇄석층은 자갈과 함께 숯, 폐잔목 및 연탄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폐자재를 포함하는, 레인가든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저류조는 공극률이 90% 이상인, 레인가든 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저류조는 폴리프로필렌(PP) 소재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레인가든 시스템.
KR1020160059614A 2016-05-16 2016-05-16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 KR101923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614A KR101923926B1 (ko) 2016-05-16 2016-05-16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614A KR101923926B1 (ko) 2016-05-16 2016-05-16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921A KR20170128921A (ko) 2017-11-24
KR101923926B1 true KR101923926B1 (ko) 2018-11-30

Family

ID=6081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614A KR101923926B1 (ko) 2016-05-16 2016-05-16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9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679B1 (ko) 2019-05-13 2019-12-06 주식회사 가랑비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수 처리시스템
CN111119324A (zh) * 2020-01-19 2020-05-08 深圳园林股份有限公司 海绵城市节水型园林水池
CN111456336A (zh) * 2020-04-08 2020-07-28 无锡锡晟建设有限公司 用于海绵城市建设的绿色屋顶装置
KR20200131152A (ko) 2019-11-29 2020-11-23 주식회사 가랑비 그레이팅 조립체와,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수 처리시스템
KR20230022665A (ko) 2021-08-09 2023-02-16 남옥랑 그레이팅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3166B (zh) * 2019-04-16 2021-06-08 湖北工业大学 用于海绵城市路边的储水窖绿化系统及使用方法
CN110042724B (zh) * 2019-04-30 2024-04-19 中国市政工程西北设计研究院有限公司 湿陷性黄土地区道路海绵设施雨水收集利用和排放系统
CN110206094B (zh) * 2019-06-04 2021-01-12 徐州工程学院 一种适用于季风性气候的雨水花园系统
CN110241906A (zh) * 2019-06-18 2019-09-17 清华大学 雨水净化回用生物滞留系统
CN111379308B (zh) * 2020-03-25 2021-01-08 广东现代建筑设计与顾问有限公司 一种建筑地库顶部顶板排水盲沟结构
CN112523336A (zh) * 2020-11-24 2021-03-19 深圳市环亚联合设计有限公司 一种景观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7584A1 (en) * 2003-03-31 2004-10-14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System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astewater using plants
KR100458564B1 (ko) * 2000-04-06 2004-12-03 주식회사 엔비시스템 오수 처리방법 및 장치
KR100697671B1 (ko) * 2006-10-13 2007-03-21 주식회사 가림환경개발 점토질성 미립토의 이화학성을 개선하고 중금속에 오염된토양을 복원하는 토양 개량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이용한 토양 개량 방법
KR101221620B1 (ko) * 2012-04-20 2013-01-14 김회진 수처리 시설용 판재 및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도심지형 인공습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781Y1 (ko) * 2010-06-17 2013-07-03 (주)고려환경 점·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식물포트 여과 시스템
KR20130134271A (ko) * 2012-05-30 2013-12-10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변 빗물 침투 저류시설
KR20150003558U (ko) * 2014-03-19 2015-10-01 김상태 유공관
KR101668420B1 (ko) * 2014-05-07 2016-10-21 태림조경 주식회사 우수 저류침투형 잔디조성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564B1 (ko) * 2000-04-06 2004-12-03 주식회사 엔비시스템 오수 처리방법 및 장치
WO2004087584A1 (en) * 2003-03-31 2004-10-14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System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astewater using plants
KR100697671B1 (ko) * 2006-10-13 2007-03-21 주식회사 가림환경개발 점토질성 미립토의 이화학성을 개선하고 중금속에 오염된토양을 복원하는 토양 개량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이용한 토양 개량 방법
KR101221620B1 (ko) * 2012-04-20 2013-01-14 김회진 수처리 시설용 판재 및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도심지형 인공습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679B1 (ko) 2019-05-13 2019-12-06 주식회사 가랑비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수 처리시스템
KR20200131152A (ko) 2019-11-29 2020-11-23 주식회사 가랑비 그레이팅 조립체와,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수 처리시스템
CN111119324A (zh) * 2020-01-19 2020-05-08 深圳园林股份有限公司 海绵城市节水型园林水池
CN111119324B (zh) * 2020-01-19 2021-01-05 深圳园林股份有限公司 海绵城市节水型园林水池
CN111456336A (zh) * 2020-04-08 2020-07-28 无锡锡晟建设有限公司 用于海绵城市建设的绿色屋顶装置
CN111456336B (zh) * 2020-04-08 2021-05-04 无锡锡晟建设有限公司 用于海绵城市建设的绿色屋顶装置
KR20230022665A (ko) 2021-08-09 2023-02-16 남옥랑 그레이팅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921A (ko) 201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926B1 (ko)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
US20220144677A1 (en) Horizontal flow biofilter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US8287728B2 (en) Elevated swale for treatment of contaminated stormwater
KR101323288B1 (ko)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KR101067023B1 (ko) 자연식생형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이용한 분산식 빗물관리장치
KR101294715B1 (ko)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356690B1 (ko) 하천형 수류 순환 시스템 및 하천형 수류 순환 관리 방법
KR101105272B1 (ko) 녹지 생태축 연결 및 비점오염원 제거를 위한 도로용 소규모 인공습지
WO2008127479A1 (en) In line wetland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KR101319073B1 (ko) 우수 집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관리장치
CN109399800B (zh) 一种河流湖泊径流污染梯级控制系统
CN102351316A (zh) 一种处理公路降雨径流污染的绿化带排水沟人工湿地装置
KR100901263B1 (ko) 이온 교환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자연형 비점 오염원 저감장치
KR101578551B1 (ko) 우수 오염 방지와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식생체류지
KR20160022140A (ko) 빗물 침투에 의한 저류 및 증발로 식생 성장이 가능토록 한 확장형 침투 화분 시설물
KR20130048884A (ko) 자연순환형 나무화분여과시스템
KR102229560B1 (ko) 비점오염원 처리 시스템
KR101333120B1 (ko) 가로수목 식재박스 및 이를 이용한 물 순환 환경 구축을 위한 가로 수목 공간 조성 구조
KR20130013063A (ko) 트리 필터 박스
KR100477532B1 (ko) 연못의 수질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264773A (zh) 一种用于处理停车场雨水及调节小气候的蓄流湿地系统
KR101380776B1 (ko) 측구집수조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CN207958057U (zh) 雨水处理系统
KR20110011506A (ko) 자연적 물순환 및 비점오염 저감 기능을 겸비한 침투도랑
KR20080015136A (ko) 생태정화형 인공습지용 연결수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