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564B1 - 오수 처리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오수 처리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564B1
KR100458564B1 KR10-2000-0017932A KR20000017932A KR100458564B1 KR 100458564 B1 KR100458564 B1 KR 100458564B1 KR 20000017932 A KR20000017932 A KR 20000017932A KR 100458564 B1 KR100458564 B1 KR 100458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solids
tank
filter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4326A (ko
Inventor
탁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비시스템
탁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비시스템, 탁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비시스템
Priority to KR10-2000-0017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564B1/ko
Publication of KR20010094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5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Abstract

본 발명은 갈대 등의 식물을 토양에 식재한 식물상(植物床)을 이용하여 생활오수를 정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오수를 목재편이나 숯, 퇴비 등의 유기물과 자갈, 쇄석, 인조석 등의 무기물이 각각 또는 혼합되어 채워진 상태의 여과통에 통과시켜 그로부터 고형물을 분리시키는 단계와, 여과통에서 고형물이 분리된 오수를 펌프에 의해 상기 식물상으로 압송시키되 식물상에 다수의 오수분배관을 그 수평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오수를 식물상에 균등하게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과통에 포집된 고형물을 지속적으로 공기와 접촉시켜 호기성 조건을 형성함으로써 퇴비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오수에 함유되어 있는 고형물을 사전에 분리하므로써 식물상 정화장치의 자정능력이 오염부하를 상회하여 오하수의 고도처리가 가능하게 됨은 물론 잉여오니의 발생이 없으면서 그 정화성능이 장기간 유지되며, 고형물이 분리된 장소에서 퇴비화되어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오수 처리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생활폐수로 배출되는 오수(汚水)를 적절히 정화시켜서 배출하기 위한 오수 처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갈대 등의 식물을 토양에 식재한 소위 식물상(植物床)을 이용하여 오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배출되는 오수나 하수 등의 생활폐수(이하 "오수"로 통칭함)에는 각종 유해물질들이 다량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하천으로 배출될 경우 수질오염에 의한 심각한 환경파괴를 초래하게 되는 바, 이러한 생활 오수는 반드시 적절히 정화시켜서 배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주로 소규모의 오수 배출원에 적용되는 임호프탱크(Imhoff tank)와 셉틱탱크(Septic tank) 등으로 대별되는 정화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정화조는 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고형물을 분리해 내는 것이 주목적으로, 오수가 정화조에 유입된 후 그 고형물이 침전되는데 필요한 충분한 시간동안 체류할 수 있도록 커다란 탱크에 오수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단순한 형태로 구성되어 지하에 매설된다. 따라서, 정화조에는 공기를 불어 넣어 주는 별도의 급기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정화조의 내부는 혐기성 조건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침전된 고형물과 오수에 함유된 유기성 오염물질은 혐기성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되나 그 제거목표를 50%로 설정할 정도로 효율이 저조하다. 또한, 정화조내에 침전되어 있는 고형물은 통상 1년에 1~2회 이루어지는 정화조 청소기간에 수거하여 분뇨처리장이나 하수처리장에서 별도로 처리해야 한다.
한편, 이와 같은 정화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산소를 필요로하는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수를 정화시키는 이른 바 "활성오니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오수를 호기성 미생물이 존재하는 생물반응조에 투입한 후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므로써 유기성 오염물질을 생물학적 분해에 의하여 제거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활성오니법도 고형물의 처리에는 부적절하여 소형인 경우에는 정화조의 후속공정으로 사용하며, 대형인 경우에는 별도의 침전지를 전착시켜 고형물을 우선적으로 제거한 후 이를 별도로 처리해야 한다. 그러므로 활성오니법도 소형인 경우에는 정화조의 문제점을 대부분 그대로 안고 있으며, 대형인 경우에도 고형물을 처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이러한 활성오니법의 경우 지속적으로 산소를 투입하는데 따른 에너지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특히 미생물의 증식으로 과다 미생물인 잉여오니가 필연적으로 발생하여 이의 처리가 큰 사회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다. 또한, 호기성 공정의 유지에는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나 소형처리시설의 경우에는 비전문가에 의하여 운영될 수밖에 없어 여전히 하천오염의 한 원인이 되고 있기도 하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토양에 갈대 등의 식물을 식재한 식물상을 이용하여 오수를 정화시키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식물상은 유입된 오수가 정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수 유입부인 상부만개구시킨 채 나머지 부위는 차수(遮水)층 또는 차수막에 의해 차폐하고, 그 내부에 모래 등의 토양을 채운 후 갈대 등의 식물을 식재함으로써 구성한다. 따라서, 식물상의 상부로 유입된 오수는 토양층을 거쳐 하부로 이동되면서 토양의 흡착작용과 토양내의 미생물에 의한 오염물질 분해작용, 그리고 식물의 오염물질 섭취작용 등에 의하여 정화된 후 하부에 설치된 유출구를 통해 밖으로 유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식물상의 정화과정에서 주 정화작용은 토양의 흡착작용에 의존하고, 미생물에 의한 분해작용과 식물의 섭취작용은 토양의 흡착능력을 재생시키는 보조적인 기능이 더 강하다. 그러므로 식물상의 정화능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려면 토양층의 지속적인 흡착능력이 확보되어야 하는 바, 토양층의 과부하가 철저히 배제되어야 함은 물론 식물상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어야 한다.
토양층의 과부하는 대부분 고형물에 의한 막힘 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토양층의 일부가 막히면 막히지 않는 곳으로 오수가 집중 유입되어 특정부위에 과부하가 발생하게 되고, 과부하 발생부위에는 미생물이 과다 증식되어 결과적으로 식물상의 전부분으로 막힘현상이 확산되며, 이에 따라 식물상의 내부로 산소가 침투할 수 없어 토양층내에 산소부족이 야기된다.
따라서, 종래의 식물상에서는 고형물에 의한 막힘현상을 피하기 위해 대부분 식물상에 정화조를 전착시키고 있다. 정화조에서는 유입된 오수에 함유되어 있는 고형물이 침전 분리되거나 부상 분리되도록 설계되어 있어 정화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효과적으로 고형물이 분리된다면 식물상의 성능도 높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정화조에서는 혐기성 조건으로 인하여 침전된 유기물이 발효과정을 통해 부유물질로 되며 부유과정에서 유로를 따라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또한, 상부에 형성된 부유물질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적으로 두꺼워져 결과적으로는 고형물이 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정화조를 전착한 식물상에는 고형물이 쉽게 집적(集積)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토양층의 막힘현상과 식물상의 성능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한편, 정화조에 모인 고형물은 전기한 바와 같이 정기적인 청소과정에서 수거되는 바, 그 후처리에도 많은 경비가 소요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오수 처리방법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오수를 식물상에 의해 정화시킴에 있어 오수에 포함된 고형물을 식물상으로 유입되기 전에 확실하게 분리시켜 고형물에 의한 토양층의 막힘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식물상의 정화능력이 오염부하를 상회하도록 향상 유지시킬 수 있고 잉여오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면서 분리된 고형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오수 처리방법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방법의 다른 목적은, 고형물이 분리된 장소에서 퇴비화되도록 함으로써 고형물을 감량화시킴과 동시에 처분이 용이한 형태로 변환시켜 고형물의 처리에 별도의 비용부담이 없는 오수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술한 방법들을 구현하는데 적합한 오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수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고형물 여과통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미세 여과조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식물상에 적용되는 분배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저류조 11: (저류조의) 분쇄펌프
20: 여과통 24: (여과통의) 여과재
25: (여과통의) 통풍구 26: (여과통의) 악취제거재
30: 여과조 31: (여과조의) 압송펌프
32: (여과조의) 압송관 40: 미세여과조
44: (미세여과조의) 미세여과통 50: 분배조
51: (분배조의) 분배펌프 52: (분배조의) 분배관
60: 식물상 63: (식물상의) 급기관
70: 중수조 80: 고형물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오수 처리방법은, 오수를 목재편이나 숯, 퇴비 등의 유기물과 자갈, 쇄석, 인조석 등의 무기물이 각각 또는 혼합되어 채워진 상태의 여과통에 통과시켜 그로부터 고형물을 분리시키는 고형물 포집단계; 여과통에서 고형물이 분리된 오수를 펌프에 의해 식물상으로 압송시키되, 식물상에 다수의 오수분배관을 그 수평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오수를 식물상에 균등하게 공급하는 식물상에 대한 오수공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 오수 처리방법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여과통에 포집된 고형물을 지속적으로 공기와 접촉시킴으로써 퇴비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 오수 처리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고형물이 포함된 오수를 여과조에 일시 저장하여 고형물을 침전시킨 뒤, 침전된 고형물을 펌프에 의해 여과통으로 압송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위와 같은 본 발명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수 처리장치는, 목재편이나 숯, 퇴비 등의 유기물과 자갈, 쇄석, 인조석 등의 무기물이 각각 또는 혼합되어 이루어진 여과재가 내부에 수용되고, 일측에 통풍구를 가지며, 오수가 유입·유출되면서 고형물이 분리 포집되는 여과통; 이 여과통의 하부에 설치되며, 여과통으로부터 유입된 오수를 일시 저장하여 고형물을 침전시키는 여과조; 이 여과조로부터 고형물이 분리되어 유입된 오수가 분배처리되는 분배조; 이 분배조로부터 오수가 유입되어 정화되며, 갈대 등의 식물이 토양에 식재된 상태의 식물상;이 식물상의 토양에 매립되는 다수의 오수분배관;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 오수 처리장치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여과조의 바닥에 침전된 고형물을 여과재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압송관을 통해 여과통내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압송시키는 고형물 압송펌프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 오수 처리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여과통이, 여과조와 연통하도록 그 상면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외통과, 여과재를 내부에 수용하여 외통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통과, 통풍구가 형성되며 외통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여과통을 개폐시키는 덮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오수에 포함된 고형물을 식물상으로 유입되기 전에 확실하게 분리시켜 고형물에 의한 토양층의 막힘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식물상의 정화능력은 크게 향상되면서 잉여오니는 발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분리된 고형물도 퇴비화시켜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의한 오수 처리장치는 고형물(80)을 포함한 오수가 집수되는 저류조(10)와, 오수를 필터링하여 그에 포함된 고형물(80)을 분리 포집하는 여과통(20)과, 저류조(10)로부터 이송된 오수를 일시 저장하여 고형물(80)을 침전시키는 여과조(30)와, 여과통(20)에서 고형물(80)이 분리된 오수를 재여과하여 미세입자 고형물(81)을 필터링하는 미세여과조(40) 및 미세입자 고형물(81)까지 제거된 오수를 저장하여 식물상(60)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분배조(50)로 구성되며, 여과통(20)을 제외하고 모두 지하에 매립된다.
저류조(10)는 여러 곳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여과조(30)에 보다 효과적으로 보내주기 위해 각종 오수를 일시적으로 집수하는 것으로, 집수된 오수를 여과조(30)로 압송시키기 위한 분쇄펌프(11)와 오수관(12)을 가진다. 여기서, 분쇄펌프(11)를 사용하는 이유는 고형물(80)의 원활한 이송과 함께 여과조(30)에서의 침전성을 돕기 위해 고형물(80)을 적절한 크기로 분쇄하기 위한 것이다.
여과통(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조(30)의 상부에 그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외통(21)과, 이 외통(21)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통(22) 및 그 개폐를 위한 덮개(23)로 이루어진다. 내통(22)의 내부에는 오수에 포함된 고형물(80)을 필터링하는 여과재(24)가 구비되는데, 이 여과재(24)는 목재편이나 숯, 퇴비 등의 유기물과 자갈이나 쇄석, 인조석 등의 무기물을 각각 또는 혼합한 것이 사용된다. 그리고, 덮개(23)의 중앙부에는 포집된 고형물(80)이 공기와 지속적으로 접촉되도록 통풍구(25)가 형성되며, 이 통풍구(25)에는 바람직하기로 고형물(80)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악취제거재(26)가 구비된다.
여과조(30)에는 분쇄펌프(11)에 의해 저류조(10)로부터 이송되어 그 바닥에 침전된 고형물(80)을 여과통(20)의 내부로 압송시키기 위한 고형물 압송펌프(31)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여과통(20)과 여과조(30) 간에는 여과재(24)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압송관(32)이 설치된다.
미세여과조(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41)에 의해 그 내부가 여과영역(42)과 저류영역(43)의 두 구역으로 구획된다. 여과영역(42)의 상부에는 여과조(30)로부터 안내관(33)을 통해 유입된 오수중의 미세한 고형물(81)을 포집하는 미세여과통(44)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미세여과통(44)의 하부에 위치되는 격벽(41)의 하단부에는 여과영역(42)과 저류영역(43)을 상호 연통시키는 다수의 연통구멍(46)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미세여과통(44)은 자갈이나 쇄석 등의 무기물로 이루어진 여과재(45)를 갖는다.
분배조(5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세고형물(81)까지 걸러진 오수를 다수의 분배관(52)을 통해 식물상(60)으로 강제 압송시키기 위한 분배펌프(51)가 구비된다. 분배관(52)들은 그 배출단부가 식물상(60)의 수평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후술한 식물상(60)의 토양(61)에 지상으로부터 수십센티미터 깊이에 매설된다. 이는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악취발생과 해충서식 우려를 예방함과 동시에 겨울철 식물상(60)의 동결을 방지하여 정화능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각 분배관(52)의 배출단부에는 오수가 유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출구멍(53)들이 형성된다.
식물상(60)은 오수가 딴 곳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면을 제외한 모든 면이 차폐된 용기형태로 구성되어 그 내부에 토양(61)이 충진되며, 이 토양(61)에 예를 들어 갈대 등의 식물(62)이 적정간격으로 식재된다. 이러한 식물상(60)에는 산소를 토양(61)에 보다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급기관(63)이 함께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급기관(63)은 양 단부만 외부에 노출되도록 토양(61)에 매립되며, 그 매립부위에 다수의 배기구멍(64)을 갖는다. 이와 같은 식물상(60)은 필요에따라 한 개만 구비될 수도 있고, 여러 개가 동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식물상(60)에서 정화된 오수는 그 배출구를 통해 하수도 등으로 그대로 배출시킬 수도 있고, 중수로 재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오수 처리장치에는 바람직하기로 식물상(60)에서 정화된 오수를 저장하기 위한 중수조(70)가 함께 구비되고, 식물상(60)의 바닥부와 유도관(71)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중수조(70)에도 식물상(60) 등 중수를 필요로 하는 곳에 중수를 공급하기 위한 중수펌프(72)가 구비된다.
도면중 나머지 부호(47)는 미세여과조(40)와 분배조(50)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관이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오수 처리장치에 의해 오수를 정화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저류조(10)에 집수된 오수가 분쇄펌프(11)에 의해 여과조(30)로 이송되면 오수에 함유되어 있는 고형물(80)이 여과조(30)의 하부로 침전된다. 이 과정에서 오수에 함유되어 있는 고형물(80)은 분쇄펌프(11)에 의해 침전에 유리한 적절한 크기로 분쇄되어 여과조(30)로 이송된다. 여과조(30)의 바닥에 침전된 고형물(80)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고형물 압송펌프(31)에 의하여 압송관(32)을 따라 여과통(20)으로 압송된다. 이에 따라 여과통(20)으로 압송된 고형물(80)은 여과재(24)에 걸려 여과통(20)내에 포집되고, 이때 고형물(80)과 함께 운송된 오수는 여과재(24))을 통과하여 여과조(30)로 다시 흘러 내리게 된다.
한편, 여과통(31)에 포집된 고형물(80)은 그 덮개(23)에 형성된 통풍구(25)에 의해서 외부공기와 항상 접촉하게 되는 호기성 조건으로 인하여 퇴비화가 진행되므로써 감량화되며, 이와 같이 퇴비화 된 고형물(80)은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여과통(20)의 덮개(23)를 열고 그 내통(22)을 외통(21)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여과통(20)으로부터 채취된 후 이차 부숙과정을 통해 토양개량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통풍구(25)를 통해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악취는 통풍구(25)에 설치된 악취제거재(26)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그리고, 여과조(30)에서 고형물(80)과 분리된 오수는 안내관(33)을 통하여 미세여과조(40)로 유입되는데, 이와 같이 미세여과조(40)로 유입된 오수는 먼저 그 여과영역(42)에 구비된 미세여과통(44)을 지나 저류영역(43)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오수에 잔류하고 있던 미세고형물(81)은 미세여과통(44)의 미세여과재(45)에 의해 포집되고, 순수한 오수만이 격벽(41)의 연통구멍(46)들을 통해 저류영역(43)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미세여과통(44)에 포집된 미세고형물(81) 역시 일정한 기간마다 미세여과통(44)을 미세여과조(40)로부터 분리하여 처리하게 된다.
미세여과조(40)에서 완전 여과된 오수는 연결관(47)을 통해 분배조(50)로 유입되며, 여기서 분배펌프(51)에 의해 각 분배관(52)으로 분배되어 식물상(60)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식물상(60)으로 유입되는 오수는 고형물(80)이 거의 다 제거된 상태의 저부하로 유입되는 바, 자연의 자정능력에 기초한 식물상(60)의 정화능력이 충분히 유지될 수 있는 필요조건이 충족되어 오수를 확실하게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식물상(60)에 오수를 공급하는 다수의 분배관(52)이 수평방향과 수직방향 공히 균일한 간격으로 분배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식물상(60)에 국부적인 고부하가 발생하지 않으며, 이와 같은 조건은 분배펌프(51)의 작동방법의 조작과 함께 더욱 강화되게 된다. 즉, 분배관(52)을 수직으로 지상에서 수십센티미터 아래의 지하에 매설하고 수평으로 각 분배관(52)을 수십센티 간격으로 일정하게 설치한 후 분배펌프(51)을 간헐적으로 작동시키되, 각각의 분배관(52)으로부터 식물상(60)으로 유출된 오수가 수평적으로 서로 연결될 정도의 시간만 작동시킴으로써 오수가 식물상(60)의 전면에 균일하게 퍼지게 된다. 그 후 오수는 중력에 의하여 식물상(60)의 하부로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토양(61)의 간극을 메우고 있는 물이 흘러내려감에 따라 발생하는 빈 공간이 공기로 채워지게 되어 결국 식물상(60)에는 일정한 주기로 산소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식물상(60)에는 급기관(63)이 함께 구비되어 있어 산소공급이 충분하면서도 매우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식물상(60)은 일반적인 오수의 유입으로 인한 오염부하 보다 자정능력이 훨씬 더 높아질 수 있는 근원적인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구체적인 결과는 잉여오니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오수의 고도처리가 가능케 될 뿐만 아니라 정화성능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이 약 240ppm, 질소성분이 약 30ppm, 인 성분이 약 8ppm인 오수를 1년간 정화한 결과 유출수의 평균수질이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은 5ppm, 질소성분은 2 ppm, 그리고 인 성분이 0.2ppm 이하로 유지되었는 바, 유기성물질 뿐 아니라 부영양화물질도 처리하는 고도처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잉여오니는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고형물(80)을 회수하여 이차 부숙시킨 결과 외형이 갈색인 부엽토 형태가 되었다.
한편, 이와 같이 식물상(60)에서 정화된 오수는 유도관(71)을 통해서 중수조(70)로 유입되는데, 중수조(70)로 유입된 오수는 그대로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 중수펌프(72)에 의해 식물상(60)이나 기타 중수가 필요한 곳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오수 처리공정의 관리가 거의 필요 없고 오수의 고도처리가 가능한 식물상 방법에서 가장 문제 될 수 있는 식물상의 막힘 현상을 오수에 함유되어 있는 고형물이 식물상으로 유입되기 전에 확실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식물상의 정화능력이 크게 향상되어 오수를 장기간동안 고효율로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오수로부터 분리된 고형물을 호기성 조건에 의해 퇴비화시킬 수 있어 기존의 정화오니 처리문제를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게 되며, 잉여오니 처리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오수의 고형물 포집단계 및 식물상에 대한 오수공급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수의 고형물 포집단계는 고형물이 포함된 오수를 여과조(30)에 일시 저장하여 고형물을 침전시킨 후, 침전된 상기 고형물을 압송펌프(31)에 의해 상기 여과통(20)으로 압송시키는 단계; 상기 여과통(20)으로 압송된 고형물을 포함한 오수를 여과통(20) 내의 여과재(24)에 통과시킴으로써 고형물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통에서 고형물이 분리된 오수를 미세여과조(40)의 여과재(45)를 통과시킴으로써 미세입자 고형물을 재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식물상에 대한 오수공급단계는 상기 고형물이 분리, 여과된 오수를 분배펌프(51)에 의해 상기 식물상(60)으로 압송시키되, 상기 식물상(60)에 다수의 오수분배관(52)을 배치하여 오수를 상기 식물상에 균등하게 공급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여과통(20)에 포집된 고형물을 지속적으로 공기와 접촉시킴으로써 퇴비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통(20)을 지상에 노출되게 설치하고, 그 상면에 악취제거수단을 갖는 통풍구(25)를 구비하여 내부에 포집된 고형물을 공기와 지속적으로 접촉시켜 퇴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오수분배관(52)에서 유출된 오수가 서로 합류하는 시간까지 상기 분배펌프(51)를 구동시킨 뒤, 토양에 유입된 오수가 상기 식물상(60)의 하부로 이동하여 배출될 때까지 상기 분배펌프(51)의 구동을 일시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방법.
  7. 고형물을 포함한 오수가 집수되는 저류조(10);
    여과재가 내부에 수용되고, 오수가 유입 또는 유출되면서 고형물이 분리되고 포집되는 여과통(20);
    상기 여과통(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여과통(20)으로부터 유입된 오수를 일시 저장하여 상기 고형물을 침전시키는 여과조(30);
    상기 여과조(30)의 바닥에 침전된 고형물을 여과재(24)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압송관(32)을 통해 상기 여과통(20) 내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압송시키는 압송펌프(31);
    미세여과통(44)을 구비하여 상기 여과조(30)로부터 유입된 오수 중의 미세 고형물을 포집한 뒤, 분배조(50)로 유출시키는 미세여과조(40);
    상기 미세여과조(40)로부터 고형물이 분리되어 유입된 오수가 분배처리되는 분배조(50);
    상기 분배조(50)로부터 오수가 유입되어 정화되며, 식물이 토양에 식재된 상태의 식물상(60);
    상기 식물상(60)의 토양에 매립되는 다수의 오수분배관(52)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장치.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통(20)이 상기 여과조(30)와 연통하도록 그 상면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외통(21)과, 상기 여과재(24)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외통(21)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통(22)과, 통풍구(25)가 형성되며 상기 외통(21)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여과통(20)을 개폐시키는 덮개(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3)의 통풍구에 악취제거재(2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00-0017932A 2000-04-06 2000-04-06 오수 처리방법 및 장치 KR100458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932A KR100458564B1 (ko) 2000-04-06 2000-04-06 오수 처리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932A KR100458564B1 (ko) 2000-04-06 2000-04-06 오수 처리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326A KR20010094326A (ko) 2001-10-31
KR100458564B1 true KR100458564B1 (ko) 2004-12-03

Family

ID=19662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932A KR100458564B1 (ko) 2000-04-06 2000-04-06 오수 처리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5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058B1 (ko) 2014-12-12 2016-10-25 박기호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방법
KR20170128921A (ko) * 2016-05-16 2017-11-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596B1 (ko) * 2000-06-20 2002-12-26 정동양 간이 하수처리시스템
KR20030044164A (ko) * 2001-11-29 2003-06-09 김성호 각종 독성분이 제거된 천일염 제조방법
KR100423265B1 (ko) * 2002-02-25 2004-03-18 김성호 항염증과 방부성분과 제독성분을 지닌 약초를 이용한활어의 보존 및 양식수 제조방법
KR20030086184A (ko) * 2002-05-01 2003-11-07 김성호 각종 유독 성분이 제거된 무독소 천일염 제조방법
KR20040003488A (ko) * 2002-07-03 2004-01-13 상 을 이 유입수를 중앙으로 공급하여 대용량의 하수 또는 폐수를처리하는 자연정화시스템
KR100478605B1 (ko) * 2002-07-08 2005-03-28 이홍재 이중통기형 자연정화 하수처리시스템
KR100648885B1 (ko) * 2006-05-03 2006-11-24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오폐수에 의한 토양오염 방지 구조
KR101307169B1 (ko) * 2013-03-07 2013-09-1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원순환형 인공습지 가축분뇨 처리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2999U (ko) * 1980-11-01 1982-05-22
JPS5870890A (ja) * 1981-10-21 1983-04-27 Toa Harbor Works Co Ltd 水生植物を利用した水質浄化方法
JPS60104067U (ja) * 1983-12-19 1985-07-16 原 幸宏 高次汚水処理施設を兼ねる植物水耕栽培装置
JPH06198299A (ja) * 1992-12-28 1994-07-19 Nikusu:Kk 生活排水の浄化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19980043082A (ko) * 1998-05-26 1998-08-17 이상을 수생식물을 이용한 오.폐수 자연 정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2999U (ko) * 1980-11-01 1982-05-22
JPS5870890A (ja) * 1981-10-21 1983-04-27 Toa Harbor Works Co Ltd 水生植物を利用した水質浄化方法
JPS60104067U (ja) * 1983-12-19 1985-07-16 原 幸宏 高次汚水処理施設を兼ねる植物水耕栽培装置
JPH06198299A (ja) * 1992-12-28 1994-07-19 Nikusu:Kk 生活排水の浄化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19980043082A (ko) * 1998-05-26 1998-08-17 이상을 수생식물을 이용한 오.폐수 자연 정화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058B1 (ko) 2014-12-12 2016-10-25 박기호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방법
KR20170128921A (ko) * 2016-05-16 2017-11-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
KR101923926B1 (ko) * 2016-05-16 2018-11-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326A (ko) 200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7961A (en) Combined waste water clarification and trash disposal system
US7416668B1 (en) Wastewater chemical/biological treatment plant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US7455773B1 (en) Package wastewater chemical/biological treatment method
US5897777A (en)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100458564B1 (ko) 오수 처리방법 및 장치
KR101027047B1 (ko) 이엠을 이용한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 방법 및 장치
KR100956120B1 (ko)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KR20070012971A (ko) 미생물을 이용한 축산분뇨 정화시스템
KR100341103B1 (ko) 슬러지 처리장치
KR101346604B1 (ko) 무동력 역세 기능을 갖는 생물막 수처리 장치
CN209872675U (zh) 一种农村小型生活污水收集、处理、回用一体化系统
KR102046833B1 (ko) 사계절 다목적 중수도 정화장치
KR100920090B1 (ko) 오·폐수를 재활용하기 위한 고도처리 장치
KR101865618B1 (ko) 블록 모듈형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048516B1 (ko) 혐기발효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KR100453391B1 (ko) 물밑퇴적물의 처리공법 및 시스템
CN114315050A (zh) 农村污水智慧化集中收集及处理方法
KR100667012B1 (ko) 여상 회전 순환식 오수여과장치
KR100381901B1 (ko) 접촉산화방법을 이용한 오염심화 하천수 및 하수, 오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처리시스템
KR200220403Y1 (ko) 반송습지법을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CN220845822U (zh) 一种简易净化槽装置
KR100242561B1 (ko) 지렁이를 이용한 오수오니중의 유기물의 감량방법
KR102410925B1 (ko) 가축분뇨 처리 시스템
CN216005564U (zh) 一种河流水体异位净化处理组合设备
KR102410922B1 (ko) 가축분뇨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122

Effective date: 2004090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